철도차량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철도차량정비기능장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계량치 관리도는 어느 것인가?

  1. R 관리도
  2. nP 관리도
  3. C 관리도
  4. U 관리도
(정답률: 79%)
  • R 관리도는 측정값들의 변동성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계량치 관리도입니다. R 관리도는 측정값들의 범위를 추적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공정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개선점을 찾는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R 관리도가 계량치 관리도 중에서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데이터로부터 통계량을 계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중앙값(Me) = 24.3
  2. 제곱합(S) = 7.59
  3. 시료분산(s2) = 8.988
  4. 범위(R) = 7.6
(정답률: 81%)
  • 제곱합(S) = 7.59이 틀린 것입니다.

    제곱합(S)는 각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한 값들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S = (19.5-24.3)2 + (22.1-24.3)2 + (23.4-24.3)2 + (24.5-24.3)2 + (25.4-24.3)2 = 7.59

    따라서 제곱합(S) = 7.59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여력을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여력 = 1일 실동시간 × 1개월 실동시간 × 가동대수
(정답률: 88%)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여력을 나타내는 식은 실제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여력 = 1일 실동시간 × 1개월 실동시간 × 가동대수"로 표현됩니다. 이 식에서 1일 실동시간은 하루 동안 일하는 시간을 의미하고, 1개월 실동시간은 한 달 동안 일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가동대수는 일하는 기계나 장비의 대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 가장 올바른 여력을 나타내는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로트별 검사에 대한 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식은 어느 것인가?

  1. KS A ISO 2859-0
  2. KS A ISO 2859-1
  3. KS A ISO 2859-2
  4. KS A ISO 2859-3
(정답률: 91%)
  • 정답은 "KS A ISO 2859-1"입니다. 이는 로트별 검사에서 AQL(Acceptable Quality Level)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식을 규정한 표준입니다. 이 방식은 제품의 불량률을 특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샘플링을 통해 검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수량과 불량률에 따라 샘플링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에서 작업자에 대한 심리적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작업측정의 기법은?

  1. PTS법
  2. 워크 샘플링법
  3. WF법
  4. 스톱 워치법
(정답률: 90%)
  • 스톱 워치법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성과를 가장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신의 성과를 인식하고, 성과 향상을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가장 큰 심리적 영향을 주는 작업측정의 기법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생산보전(PM:Productive Maintenance)의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후보전
  2. 안전보전
  3. 예방보전
  4. 개량보전
(정답률: 79%)
  • 안전보전은 생산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활동으로, 생산보전과는 다른 분야입니다. 생산보전은 생산설비의 가동률을 높이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 정비, 개선 등을 수행하는 활동입니다. 따라서 안전보전은 생산보전의 일부분이지만, 생산보전의 내용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직류 주발전기에서 일정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계자는?

  1. 차동계자
  2. 기동계자
  3. 보상계자
  4. 정류계자
(정답률: 65%)
  • 직류 주발전기에서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의 변화를 제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차동계자를 사용합니다. 차동계자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제어 회로에 신호를 보내어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차동계자가 직류 주발전기에서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계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SIV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AC 380V와 전동차 제어전원 DC 100V를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
  2. 사령실과 기지, 전차로 연결된 기지보수자와 통신하는 전원장치
  3. AC 440V와 전동차 제어전원 DC 100V를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
  4. DC 1500V의 전차선 전압을 강하하는 전원장치
(정답률: 83%)
  • SIV는 전동차의 보조전원장치로, AC 380V와 전동차 제어전원 DC 100V를 공급합니다. 따라서 "AC 380V와 전동차 제어전원 DC 100V를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기동력차에서 판토그래프의 압상력으로 옳은 것은?

  1. 약 60㎏f/cm2
  2. 약 6㎏f/cm2
  3. 약 4㎏f
  4. 약 6㎏f
(정답률: 90%)
  • 전기동력차에서 판토그래프의 압상력은 약 6㎏f/cm2이다. 이는 전기차의 모터가 발생시키는 토크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일반적인 내연기관 차량의 압력인 약 60㎏f/cm2보다 약 10배 낮다. 이는 전기차의 모터가 내연기관 차량보다 효율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열차 운전의 기초가 되는 것 중 전기차의 성능이 아닌 것은?

  1. 견인성능
  2. 제어성능
  3. 주행성능
  4. 제동성능
(정답률: 79%)
  • 열차 운전의 기초는 견인성능, 주행성능, 제동성능 등이 중요하지만, 전기차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은 제어성능입니다. 제어성능은 열차의 운전자나 시스템이 열차를 제어하는 능력을 말하며, 전기차와 일반 기관차 모두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제어성능은 전기차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시철도 5호선용 표시기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열차번호표시기
  2. 행선표시기
  3. 객실승객안내표시기
  4. 운전시각표시기
(정답률: 94%)
  • 운전시각표시기는 열차 운행 정보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 운전자가 현재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도시철도 5호선용 표시기장치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시철도 5호선에서 사용하는 VVVF인버터의 동작원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GTO-THYRISTOR를 사용하고 GTO의 스위칭 작용에 의하여 3상교류를 발생시킨다.
  2. 출력전압, 주파수를 가변제어하고 유도전동기에 의해 역행제어 회생제어를 행한다.
  3. 출력전류를 가변제어하는 방식으로 ON,OFF의 펄스폭을 바꾸는 펄스폭변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4. 인버터에 의한 역행, 회생의 절환은 슬립주파수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정답률: 80%)
  • 정답은 "GTO-THYRISTOR를 사용하고 GTO의 스위칭 작용에 의하여 3상교류를 발생시킨다."입니다. 이유는 문장이 VVVF인버터의 동작원리와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VVVF인버터는 출력전류를 가변제어하는 방식으로 ON,OFF의 펄스폭을 바꾸는 펄스폭변조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발전전압이 60V, 발전전류 2400A, 주발전기의 효율이 80%일 때 디젤전기기관차의 구동마력은 약 몇 HP 인가?

  1. 220
  2. 241
  3. 250
  4. 265
(정답률: 77%)
  • 구동마력 = 발전전압 × 발전전류 × 주발전기 효율 / 746
    구동마력 = 60 × 2400 × 0.8 / 746
    구동마력 ≈ 64.5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2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객차의 전기장치 중 전원분산방식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정차중 전원은 축전지에서, 운전중 전원은 발전기에서 공급하고 있는 방식이다.
  2. 객차 편성중 1개 전원이 고장이 되어 사용불능일 경우 전차량에 영향을 미친다.
  3. 발전기는 차축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고 운전중의 부하를 담당함과 동시에 축전지에 충전한다.
  4. 전원이 직류 24V로서 트랜스 인버터를 사용하여 승압하고 직류를 교류화할 필요가 있어 기기를 복잡화하는 불편이 있다.
(정답률: 94%)
  • 정답: "전원이 직류 24V로서 트랜스 인버터를 사용하여 승압하고 직류를 교류화할 필요가 있어 기기를 복잡화하는 불편이 있다."

    해설: 전원분산방식은 객차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에서 발생한 교류전력을 각 차량에 설치된 정류기를 통해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객차 편성 중 1개 전원이 고장이 되어 사용불능일 경우 전차량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원분산방식의 특징 중 하나로, 발전기가 차축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고 운전중의 부하를 담당하면서 축전지에 충전한다는 것과, 전원이 직류 24V로서 트랜스 인버터를 사용하여 승압하고 직류를 교류화할 필요가 있어 기기를 복잡화하는 불편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기차에서 주회로 과전류 보호기로 볼 수 없는 것은?

  1. 주퓨즈
  2. 차단기
  3. 고속도 차단기
  4. 고속도 한류기
(정답률: 60%)
  • 주회로 과전류 보호기는 전기차의 전기 시스템에서 과전류를 감지하고 차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퓨즈, 고속도 차단기, 고속도 한류기는 모두 주회로 과전류 보호기의 일종입니다. 하지만 차단기는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회로 과전류 보호기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차단기는 주회로 과전류 보호기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기차에 사용되는 판상 혹은 선형의 주저항기로서 옳지 않는 것은?

  1.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
  2.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냉각효과가 크다.
  3. 소형 경량화에 유리하다.
  4. 강제 통풍에 적합하다.
(정답률: 82%)
  •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주저항기는 전기적인 저항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저항기의 기계적 강도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기동차에서 TCMS 유니트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TC(Train Computer)
  2. CC(Car Computer)
  3. 통신연결 장치
  4. 모니터 장치
(정답률: 67%)
  • TCMS 유니트는 전기동차의 제어 시스템 중 하나로, TC(Train Computer)와 CC(Car Computer) 등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됩니다. 이 중 TC와 CC는 전기동차의 운전 및 제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만, 통신연결 장치는 단순히 TC와 CC를 연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TCMS 유니트의 구성품이 아닙니다. 모니터 장치는 전기동차의 운전자가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로, TCMS 유니트와는 관련이 있지만 구성품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7000대 디젤전기기관차의 졸음방지 장치에서 E-B 전자변의 역할은?

  1. 기관사가 졸음 방지장치 페달을 정상적으로 조작할 경우 이 전자변이 여자 되어 P-2-A 제동작용변의 공기를 배출하여 제동
  2. 기관사가 졸음 방지장치 페달을 정상적으로 조작하지 않을 경우 이 전자변이 여자 되어 P-2-A 제동작용변의 공기를 배출하여 완해
  3. 기관사가 졸음 방지장치 페달을 정상적으로 조작하지 않을 경우 이 전자변이 무여자(소자) 되어 P-2-A 제동 작용변의 공기를 배출하여 제동
  4. 기관사가 졸음 방지장치 페달을 정상적으로 조작할 경우 이 전자변이 무여자(소자) 되어 P-2-A 제동작용변의 공기를 배출하여 완해
(정답률: 85%)
  • 7000대 디젤전기기관차의 졸음방지 장치에서 E-B 전자변은 기관사가 졸음 방지장치 페달을 정상적으로 조작하지 않을 경우 이 전자변이 무여자(소자) 되어 P-2-A 제동 작용변의 공기를 배출하여 제동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졸음 방지장치를 작동하지 않으면 전자변이 제동 작용변으로 신호를 보내어 차량을 제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서울지하철 5호선을 비롯한 Cross Blending제동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전동차의 제동제어 내용이 아닌 것은?

  1. 구동차(M차)는 회생제동을 우선 사용한다.
  2. 구동차(M차)의 회생제동 부족분은 부수차(T차)의 공기 제동이 부담한다.
  3. 구동차(M차)의 회생제동력 및 부수차(T차)의 공기제동력 부족시 구동차(M차)의 공기제동력이 작용한다.
  4. 회생제동 실효시 부수차(T차)의 공기제동력만 증가한다.
(정답률: 75%)
  • "회생제동 실효시 부수차(T차)의 공기제동력만 증가한다."는 전동차의 제동제어 내용이 아닙니다. 이유는 구동차(M차)와 부수차(T차)가 Cross Blending제동 방식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구동차(M차)가 회생제동을 우선 사용하다가 회생제동력이 부족할 경우 부수차(T차)의 공기 제동력을 이용하여 제동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회생제동 실효시 부수차(T차)의 공기제동력만 증가하는 것은 전동차의 제동제어 내용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동차 압축공기공급장치에 적용된 공기건조기(Twin Tower Air Dryer형)의 검사 및 보수방법이 잘못된 것은?

  1. 변형이나 상처, 흠이 있는 체크밸브는 교환한다.
  2. 스프링은 녹, 왜곡이나 영구변형이 발생했는지 검사하고 필요시는 교체한다.
  3. 비드형 건조재가 변색되었을때는 물로 잘 씻어 햇볕에 말린후 사용한다.
  4. 손상된 전선은 교환한다.
(정답률: 93%)
  • 비드형 건조재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변색된 경우에는 흡습능력이 감소하여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물로 씻어서 깨끗하게 만들고 햇볕에 말려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새마을형동차에서 전공 제동 7단 일 때 제동통의 압력은?

  1. 2.5bar
  2. 3.5bar
  3. 3.8bar
  4. 5bar
(정답률: 73%)
  • 제동통의 압력은 제동력과 제동면적에 비례하며, 제동력은 전공과 속도에 비례하므로 전공이 일정하다면 제동력도 일정합니다. 따라서 제동통의 압력은 제동면적에만 영향을 받습니다. 새마을형동차에서 전공 제동 7단이므로 제동면적이 일정하다면 제동통의 압력은 일정합니다. 따라서 제동통의 압력이 3.8bar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객화차에 적용하고 있는 제동배율은?

  1. 5∼9
  2. 9∼10
  3. 10∼12
  4. 12∼24
(정답률: 85%)
  • 객화차에 적용되는 제동배율은 차량의 무게와 제동장치의 성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는 5~9의 범위에서 적용되며, 이는 차량의 무게가 가벼울수록 제동배율이 작아지고, 제동장치의 성능이 우수할수록 제동배율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도로 상황에 따라 제동배율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Cross Blending 제동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전동차의 혼합제동 모드별 공기제동계산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비혼합제동시에는 회생제동을 실행하지 않는다.
  2. 혼합제동모드에서는 공기제동이 우선이다.
  3. 정상혼합제동모드에서는 T차와 M차의 공기제동이 동등한 우선권을 가진다.
  4. 특별혼합제동모드에서는 회생제동 공기제동이 공존한다.
(정답률: 68%)
  • 특별혼합제동모드에서는 회생제동과 공기제동이 동시에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이 모드는 급정거나 급감속 상황에서 사용되며, 회생제동만으로는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시키지 못할 때 공기제동이 보조적으로 작용하여 제동력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회생제동과 공기제동이 함께 사용되는 것이 특별혼합제동모드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디젤전기기관차에 사용되는 살사시한계전기 약호는?

  1. WSC
  2. TDS
  3. STD
  4. SCR
(정답률: 89%)
  • 디젤전기기관차에서는 배기가스 처리를 위해 살사시한계전기를 사용합니다. 이때, 살사시한계전기의 약호는 TDS입니다. 이는 Total Dissolved Solids(총 용해성 고형물)의 약어로, 배기가스 처리 시 살사를 사용하여 용해된 고형물의 양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동차의 주차제동장치 내장형 브레이크실린더의 작용 방식은?

  1. 스프링작용식 공기완해 방식
  2. 스프링작용시 완해, 제동방식
  3. 공기완해, 제동 방식
  4. 공기제동 스프링완해 방식
(정답률: 78%)
  • 전동차의 주차제동장치 내장형 브레이크실린더는 스프링작용식 공기완해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는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에 의해 브레이크패드가 붙어있지 않고, 주차제동장치를 작동시키면 공기압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어 브레이크패드가 붙어서 차량을 제동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차프레임에 전자석을 궤조면과 대면하게 취부하여 이것과 궤조와의 사이에 흡인력으로 제동작용를 체결하는 제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자 발전기제동
  2. 전자드럼제동
  3. 전자트락제동
  4. 전자흡인력제동
(정답률: 69%)
  • 전자석과 궤조면 사이에 흡인력으로 제동을 거는 것이 전자트락제동입니다. 이는 전자석과 궤조면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석을 활성화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궤조를 끌어당겨 제동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ATS관계 초제동에서 몇초 이내 확인제동이 필요한가?

  1. 1
  2. 2
  3. 3
  4. 5
(정답률: 75%)
  • ATS관계 초제동에서 몇초 이내 확인제동이 필요한가? 정답은 "3"입니다. 이는 ATS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상황을 감지하면 3초 이내에 확인제동을 실행하여 비상 상황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이 시간 내에 확인제동이 실행되지 않으면 시스템은 자동으로 제동을 실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기동차 SELD형 제동장치의 일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자직통 제동장치로서 발전제동을 주로 사용한다.
  2. 정지시에는 발전제동력이 약화되면 공기제동을 사용한다.
  3. 발전, 전자직통, 자동제동비상은 하나의 제동핸들로 제어한다.
  4. 발전제동의 고장발생시는 수동조작하여 전자직통 제동으로 전환한다.
(정답률: 83%)
  • "발전제동의 고장발생시는 수동조작하여 전자직통 제동으로 전환한다."이 틀린 이유는, SELD형 제동장치에서는 발전제동과 전자직통 제동을 병행하여 사용하며, 발전제동의 고장 발생 시 자동으로 전자직통 제동으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동조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H-6-L제동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동을 체결 완해하는 장치이다.
  2. 제동계통에 충기되는 동안 제동관과 균형공기류의 압력은 협로균형피스톤에 의하여 균형을 이룬다.
  3. 핸들위치는 왼쪽부터 완해(release), 운전(running), 홀딩(holding), 래프(lap), 상용제동(service), 비상제동(emergence) 순이다.
  4. 비상제동위치에서는 제동관 공기를 신속하게 충기 시키므로서 최단시간내에 최대제동력을 발생케 한다.
(정답률: 77%)
  • 정답: 없음

    해설: 모든 설명이 옳은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객차 승강문이 닫히는중에 승객이 합승하여 문 사이에 승객이나 소지품이 끼이게 되면 승객보호장치인 프레스 웨이브가 작동하여 문은 자동적으로 열리게 되나 최대 두께 몇 mm 이하의 물체가 승강문 사이에 끼이면 프레스 웨이브가 작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나?

  1. 3
  2. 5
  3. 7
  4. 10
(정답률: 91%)
  • 객차 승강문의 프레스 웨이브는 최대 10mm 이하의 물체가 승객보호장치에 끼이면 작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코일스프링의 상수가 10kg/cm 이고 여기에 120kg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변위량은 몇 cm인가?

  1. 12
  2. 20
  3. 35
  4. 38
(정답률: 89%)
  • 코일스프링의 상수는 10kg/cm 이므로, 1cm의 변위에 대해 10kg의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20kg의 하중이 작용하면 변위량은 120kg ÷ 10kg/cm = 12c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객차에 사용되는 차륜의 직경 원형은 860mm이다 최소 몇 mm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

  1. 786
  2. 776
  3. 766
  4. 756
(정답률: 83%)
  • 객차에 사용되는 차륜의 직경이 860mm이므로, 이 값에서 최소한 10mm 이상 작아지면 다른 차량과의 호환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860mm에서 10mm를 뺀 값인 850mm가 최소 사용 가능한 값이다. 이를 계산하면 850mm = 860mm - 10mm = 2 x 5 x 17 x 1, 이므로, 850mm의 약수 중에서 가장 큰 값인 776m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진공식 오물처리장치에서 사용중지 표시등이 점등되는 경우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압측 압력공기가 3.5㎏f/cm2 이하일 때
  2. 변기 세정수가 수위에 도달시
  3. 탱크 누수로 19초 이내 진공형성이 안될 때
  4. 진공스위치가 고장일 때
(정답률: 88%)
  • 진공식 오물처리장치에서는 오물을 처리하기 위해 진공을 형성해야 합니다. 이때, 탱크에 누수가 발생하면 진공이 형성되지 않아 오물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탱크 누수로 19초 이내 진공형성이 안될 때 사용중지 표시등이 점등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새마을형동차 에어백의 자동높이 조정장치 완해변은 양측의 압력차이가 얼마 이상일 때 작동하는가?

  1. 0.5bar
  2. 1.3bar
  3. 1.8bar
  4. 1.5bar
(정답률: 83%)
  • 새마을형동차 에어백의 자동높이 조정장치는 양측의 압력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작동합니다. 이 압력차이는 보기 중에서 "1.5bar"가 되며, 이는 다른 보기들보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적당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동높이 조정장치가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압력차이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우리나라에서 객차에 사용하고 있는 자동 연결기의 형식은?

  1. AAR type
  2. H type
  3. D type
  4. E type
(정답률: 90%)
  • 우리나라에서 객차에 사용하는 자동 연결기의 형식은 "H type"입니다. 이는 한국에서 개발된 형식으로, 기존의 AAR type과 D type, E type과는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H type은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제작되어 있으며, 기존의 연결기와 호환성이 높아 교체나 보수가 용이합니다. 또한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아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객실 조명장치의 평균 조도(Lux)는 얼마인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89%)
  • 객실 조명장치의 평균 조도는 일반적으로 200 Lux 정도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생활 활동에 적합한 수준으로, 너무 어둡지도 너무 밝지도 않은 적당한 밝기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객실의 크기, 용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조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화차용 아취바 대차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제작비가 저렴하다.
  3. 축상과 후레임 과의 유동이 없다.
  4. 중량이 가볍고 부담하중이 적다.
(정답률: 75%)
  • 화차용 아취바 대차는 축상과 후레임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축상과 후레임 간의 유동이 없습니다. 이는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KT23형 대차의 2차현수장치로서 맞는 것은?

  1. 볼스터레스 공기스프링 + 수직오일댐퍼
  2. 세브론 고무스프링 + 1차 수직오일 댐퍼
  3. 원통코일스프링 + 수직오일 댐퍼
  4. 세브론 고무스프링 + 횡오일 댐퍼
(정답률: 77%)
  • KT23형 대차는 고속도로에서 사용되는 대형 버스로서, 높은 안정성과 편안한 주행성능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2차현수장치로는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주행을 위해 볼스터레스 공기스프링과 수직오일댐퍼가 적합합니다. 볼스터레스 공기스프링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스프링 역할을 하며, 수직오일댐퍼는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돕습니다. 이러한 조합은 대형 버스의 무게와 속도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면서도 편안한 주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중 기관사가 객실로 안내방송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디젤전기기관차 방송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제어증폭기
  2. 전광판
  3. 마이크로폰
  4. 출력증폭기
(정답률: 94%)
  • 전광판은 안내방송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전광판은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안내방송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디젤전기기관차 방송장치의 구성요소로는 제어증폭기, 마이크로폰, 출력증폭기가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1 냉동톤 이란?

  1. 1시간당 2400kcal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2. 1시간당 7968kcal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3. 1시간당 3320kcal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4. 1시간당 2700kcal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정답률: 92%)
  • 냉동톤은 1시간당 3320kcal를 흡수할 수 있는 냉각 능력을 말한다. 즉, 냉동톤이 있는 장소에서는 1시간에 3320kcal의 열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디스크 제동장치는 답면 제동장치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맞지 않는 것은?

  1. 제동력이 균일하다.
  2. 외륜에 고장을 유발하는 일이 적다.
  3. 제동시 소음이 적다.
  4. 중량이 무거워서 제동력이 좋다.
(정답률: 90%)
  • 중량이 무거워서 제동력이 좋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디스크 제동장치는 회전하는 디스크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데, 디스크의 직경이 크면 제동력이 더욱 강력해지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서 제동력이 좋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량이 무거워서 제동력이 좋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열차가 곡선을 통과시 원심력으로 인한 작용을 감소 시키는 시설은?

  1. 스랙
  2. 완화 곡선
  3. 캔트
  4. 호륜 궤조
(정답률: 92%)
  • 열차가 곡선을 통과할 때, 중심축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 열차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캔트라는 시설이 사용됩니다. 캔트는 곡선 부분의 레일을 기울여서 중심축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열차가 곡선을 통과할 때 원심력으로 인한 작용을 감소시키는 시설은 캔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기부상열차의 초전도방식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부상높이가 높기 때문에 궤도보수가 거의 필요없고 고속운전에 적합하다.
  2. 1차전원이 궤도측에 있으므로 진행중인 차량에 대용량 송전이 불필요 하다.
  3. 가 감속성능이 좋고 구배에 강하다.
  4. 공심(空心)의 구조로 견인력이 적어 효율이 나쁘다.
(정답률: 83%)
  • 공심(空心)의 구조로 견인력이 적어 효율이 나쁘다는 것은 자기부상열차의 초전도방식에 대한 설명이 맞습니다. 이는 자기부상열차가 공중에 떠다니며 운행되기 때문에, 기존의 철도와는 달리 지면과의 마찰력이 없어서 견인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심 구조로 인해 더 많은 자기장을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이 나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어에서 두축이 평행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워엄기어
  2. 스퍼어기어
  3. 헬리컬기어
  4. 랙과 피니언
(정답률: 75%)
  • 워엄기어는 두 축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기어이기 때문에, 기어에서 두 축이 평행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워엄기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쵸파제어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저항기가 필요하지 않다
  2. 접촉불량이 일어난다
  3. 평활리엑터가 필요하다
  4. 환류용 다이오드가 필요하다
(정답률: 74%)
  • 쵸파제어 방식의 특징 중 "접촉불량이 일어난다"는 올바르지 않은 특징입니다. 쵸파제어 방식은 저항기가 필요하지 않고, 평활리엑터와 환류용 다이오드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것은 쵸파제어 방식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스위칭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스위치의 접촉 부분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촉재질을 개선하거나 스파크 억제 회로를 추가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음 대책 중 차량측의 대책은?

  1. 소음원의 경감과 소음차단
  2. 장대레일 적용
  3. 발라스트(Ballast) 궤도 적용
  4. 방음벽 적용
(정답률: 82%)
  • 차량측의 대책 중 "소음원의 경감과 소음차단"이 정답인 이유는, 차량이 발생시키는 소음이 주요한 소음원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량의 소음을 경감시키는 방법과 차량과 주변환경 사이의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이 소음 대책 중 가장 중요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열차의 제동거리 계산시 차륜과 같은 회전부분의 관성계수를 일반열차에는 몇 % 적용하는가?

  1. 3 %
  2. 6 %
  3. 9 %
  4. 11 %
(정답률: 50%)
  • 열차의 제동거리는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마찰력으로 소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리이므로, 차량의 관성에 의한 운동에너지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회전부분의 관성계수는 제동거리 계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열차에도 회전부분의 관성계수는 6%로 적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hopper 차의 기본 주파수 (Hz)와 주기(ms)는?

  1. (153) (2.53)
  2. (283) (3.53)
  3. (153) (3.53)
  4. (283) (2.53)
(정답률: 78%)
  • chopper는 283Hz의 기본 주파수를 가지며, 이는 주기가 1/283초 혹은 3.53ms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83) (3.5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열차 속도가 90 km/h 일 때 제동을 취급하였더니 84 m 지나서 제동효과(감속력)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공주 시간은?

  1. 1.26 s
  2. 2.26 s
  3. 3.36 s
  4. 4.46 s
(정답률: 66%)
  • 제동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지점에서의 속도는 90 km/h - 0 km/h = 90 km/h 이다. 이를 m/s 단위로 변환하면 25 m/s 이다.

    감속도는 제동효과를 나타내므로 a = 제동효과 / 시간 이다. 여기서 a는 음수이다(감속).

    이를 이용하여 등가속도 운동에서 사용하는 공식을 적용하면,

    v^2 = v0^2 + 2ax

    여기서 v는 0 m/s (정지), v0는 25 m/s, x는 84 m, a는 구하고자 하는 값이다.

    a = (v^2 - v0^2) / 2x = (-625) / (2 x 84) = -3.72 m/s^2

    이제 감속도를 구했으므로, 공식을 이용하여 시간을 구할 수 있다.

    a = (v - v0) / t

    t = (v - v0) / a = (-25) / (-3.72) = 6.72 s

    하지만 이 시간은 제동효과가 나타난 지점에서부터 정지까지 걸린 시간이므로, 최종 답안에서 84 m를 이동하는 시간을 빼주어야 한다.

    84 m / 25 m/s = 3.36 s

    따라서 정답은 3.36 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차량의 상하진동은?

  1. 대차 스프링 장치와 관계가 없다.
  2. 습동부의 마찰과 관계가 없다.
  3. 차체의 강성과 관계가 있다.
  4. 차체 및 대차의 중량과 관계가 없다.
(정답률: 88%)
  • 차량의 상하진동은 차체가 지면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때 차체의 강성이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차체의 강성과 관계가 있습니다. 대차 스프링 장치와 습동부의 마찰은 차량의 상하진동을 줄이는 역할을 하지만, 진동의 원인은 차체의 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차체 및 대차의 중량은 진동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진동의 원인은 차체의 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차체의 강성과 관계가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2행정 기관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동일 피스톤 배기량으로 많은 동력 발생
  2. 무변의 것도 있어 변기구가 간단함
  3. 평균 가스온도가 높음
  4. 회전력이 균일하여 플라이휠이 가벼움
(정답률: 82%)
  • 정답: "평균 가스온도가 높음"

    설명: 평균 가스온도가 높다는 것은 엔진 내부에서 연소가 더 잘 일어나고, 따라서 더 많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효율적인 연소를 위해 필요한 것이지, 기관의 장점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기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장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디젤기관의 배기가스 공해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1. 탄화수소(HC)
  2. 일산화탄소(CO)
  3. 매연
  4. 이산화탄소(CO2)
(정답률: 75%)
  • 디젤기관에서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연은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인체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연은 디젤기관의 배기가스 공해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젤기관에서 저수압 및 크랭크케이스 압력탐지기 조립체의 검수와 관계 없는 것은?

  1. 저수압 및 크랭크케이스 압력탐지기는 주기적으로 시험해야 한다.
  2. 압력탐지기는 수동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시험한다.
  3. 기관을 유전속도에서 운전하면서 밸브를 열어 냉각수를 흐르게하면 탐지기는 1, 2만회에 작동해야 한다.
  4. 테스트 밸브 핸들을 수평위치로 놓을 때 밸브내의 작은 오리피스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냉각수는 일정해야 한다.
(정답률: 73%)
  • 압력탐지기는 수동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시험하는 것은 검수와 관계 없는 것이다. 이유는 검수는 제품의 품질을 확인하는 것이고, 압력탐지기를 수동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시험하는 것은 제품의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디젤전기기관차에서 835 rpm 때 제동마력 1948 HP을 발휘하는 SD18형 동력차 기관에서 BSFC 0.24 L/HP·hr이면 인젝터 1 행정마다 분사하는 연료량은?

  1. 385 mm3
  2. 853 mm3
  3. 358 mm3
  4. 583 mm3
(정답률: 72%)
  • BSFC는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의 약자로,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제동마력 1마력당 필요한 연료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SFC가 0.24 L/HP·hr이면, 1마력당 0.24 L의 연료가 필요합니다.

    SD18형 동력차 기관에서 발휘하는 제동마력은 1948 HP이므로, 1시간 동안 필요한 연료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1948 HP × 0.24 L/HP·hr = 467.52 L/hr

    인젝터 1 행정마다 분사하는 연료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체 연료량을 인젝터 수로 나누면 됩니다.

    467.52 L/hr ÷ 800 = 0.5844 L/hr

    하지만 문제에서는 연료량을 mm3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0.5844 L/hr을 mm3/hr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1 L은 1000 cm3이므로,

    0.5844 L/hr = 584.4 cm3/hr

    또한, 1시간은 3600초이므로,

    584.4 cm3/hr ÷ 3600 sec/hr = 0.1623 cm3/sec

    따라서, 인젝터 1 행정마다 분사하는 연료량은 0.1623 cm3/sec이며, 소수점을 반올림하여 583 mm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디젤전기기관차의 ORS가 자화되었을 때 부하 조정기가 최대 계자 위치에서 최소 계자 위치까지 이동되는 시간은?

  1. 3 s
  2. 6 s
  3. 15 s
  4. 30 s
(정답률: 70%)
  • ORS가 자화되면 전류가 갑자기 증가하여 부하 조정기가 최대 계자 위치에서 최소 계자 위치까지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부하 조정기의 이동 시간은 부하 조정기의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디젤전기기관차의 부하 조정기 이동 시간은 6초 정도이므로, 정답은 "6 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디젤전기기관차의 645계 기관에서 캠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젝터 로커암
  2. 배기밸브 로커암
  3. 로커암 파울
  4. 크랭크실 압력 탐지장치
(정답률: 63%)
  • 디젤전기기관차의 645계 기관에서는 캠에 의해 작동되는 로커암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크랭크실 압력 탐지장치는 캠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크랭크실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엔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크랭크실 압력 탐지장치는 캠에 의해 작동되는 로커암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디젤전기기관차의 윤활유 고유온 탐지장치가 작용하면 기관은 어떻게 되는가?

  1. 기관이 정지된다.
  2. 기관이 유전으로 된다.
  3. 발전이 중지된다.
  4. 기관회전이 4 놋치 이상 않된다.
(정답률: 90%)
  • 디젤전기기관차의 윤활유 고유온 탐지장치는 윤활유의 고온 상태를 감지하여 기관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이 장치가 작동하여 고온을 감지하면, 기관은 고온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자동으로 정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관이 정지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디젤기관의 2행정사이클의 소기방식으로 옳은 것은?

  1. 반전소기식
  2. 횡단소기식
  3. 단류소기식
  4. 루프소기법
(정답률: 80%)
  • 디젤기관의 2행정사이클은 압축, 연소, 배기로 이루어지며, 소기방식은 연소실에서 공기와 연료를 혼합한 후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만들고, 그 상태에서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중에서 단류소기식은 고압 상태의 공기와 연료를 분리된 챔버에서 혼합시킨 후, 연소실로 유입하는 방식으로, 공기와 연료의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연소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디젤기관의 2행정사이클에서는 단류소기식이 가장 적합한 소기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터보차저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송풍기는 터빈휠에 직결하여 사용 한다
  2. 공기밀도가 높은 곳에서 연소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3. 기관부하가 낮으면 기관후단 치차열에서 크랭크축으로 부터 동력을 지원받아 필요한 연소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4. 터보차저는 공기압축기, 가스터어빈, 치차구동부품, 오우버런닝 클러치 등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80%)
  • 정답은 "송풍기는 터빈휠에 직결하여 사용 한다"입니다. 이유는 터보차저는 송풍기와는 다른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터보차저는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송풍기와는 원리가 다르며, 송풍기는 터빈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기기관차의 주변압기유 냉각송풍장치(MVRH)와 관계 되지 않는 것은?

  1. 구동전동기는 4극 직권전동기가 사용됨
  2. 공칭 송풍량은 6.5 m3/s임
  3. 전동기는 AC 220V에 의해 구동됨
  4. 최대 3600rpm으로 회전함
(정답률: 94%)
  • 전기기관차의 주변압기유 냉각송풍장치(MVRH)와 관계 되지 않는 것은 "전동기는 AC 220V에 의해 구동됨" 입니다.

    전동기는 AC 220V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이유는 전동기 내부에 있는 회전자와 정자 사이에 자기장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 자기장은 교류 전원에 의해 생성되며, 회전자가 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전동기는 AC 전원에 의해 구동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