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건설기계정비기능장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2행정 사이클 가솔린 기관의 실린더 내경이 109(mm)이고, 행정이 129(mm), 실린더수 6개 일때 총배기량은?

  1. 6939.2(cc)
  2. 7043.2(cc)
  3. 7222.4(cc)
  4. 7462.4(cc)
(정답률: 알수없음)
  • 한 실린더의 배기량은 실린더 내경의 제곱에 행정을 곱한 후 0.785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한 실린더의 배기량은 109^2 x 129 x 0.785 = 1399.6(cc) 이다. 6개의 실린더가 있으므로 총배기량은 1399.6 x 6 = 8397.6(cc) 이다. 이 값에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은 7222.4(c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관의 피스톤에서 압축링을 설치하는 목적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실린더 내면의 유막형성을 위하여
  2. 피스톤과 실린더사이에 적합한 틈새를 주기 위해
  3. 피스톤의 마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4. 피스톤과 실린더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며 피스톤의 열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73%)
  • 피스톤과 실린더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며 피스톤의 열을 방출시키는 것은 압축링의 주요 목적입니다. 이는 실린더 내부에서 압력이 상승할 때 가스가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피스톤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열팽창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윤활유의 구비조건에 들지 않는 것은?

  1. 냉각작용
  2. 밀봉작용
  3. 응력분산작용
  4. 산화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윤활유는 기계 부품의 마모를 줄이고 부품 간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윤활유는 냉각작용, 밀봉작용, 응력분산작용 등의 구비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하지만 산화작용은 윤활유의 구비조건에 들지 않습니다. 산화작용은 윤활유가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어 녹슬거나 변질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윤활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윤활유는 산화작용을 최소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밀폐형 노즐 중 구멍형(hole type)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분사압력이 높으므로 무화가 양호하다.
  2. 열효율이 높다.
  3. 연료를 완전히 연소시킬수 있어 연료 소비량이 적다.
  4. 분사공이 적어 가공하기가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멍형 노즐은 분사공이 많아 분사압력이 낮아 무화가 불안정하고, 연료를 완전히 연소시키지 못해 연료 소비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분사공이 적어 가공하기가 쉽다"는 장점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디젤기관에서 과급을 함으로써 얻어지는 잇점이 아닌 것은?

  1. 엔진 출력을 증가시킨다.
  2. 마력당 중량은 감소한다.
  3. 엔진 회전수가 빨라진다.
  4. 기계의 효율이 좋아진다.
(정답률: 90%)
  • 과급을 함으로써 엔진 출력이 증가하고, 마력당 중량은 감소하며, 기계의 효율이 좋아지지만, 엔진 회전수가 빨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과급은 엔진에 더 많은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를 촉진시키는 것이므로, 엔진 회전수가 빨라지는 것은 과급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디젤기관에 사용되는 조속기 중 회전속도 변화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한 것은?

  1. 공기식 조속기
  2. 기계식 조속기
  3. 복합식 조속기
  4. 유압식 조속기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기관에서 사용되는 조속기는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엔진의 출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 원심력을 이용한 조속기는 회전속도가 높아질수록 원심력이 증가하여 출력을 줄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조속기는 기계식 조속기입니다. 따라서 디젤기관에서는 기계식 조속기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직접분사식 연소실의 장점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높다.
  2. 연료의 분사압력이 낮다.
  3. 실린더 헤드의 구조가 간단하다.
  4. 냉각손실이 적다.
(정답률: 73%)
  • 직접분사식 연소실은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료의 분사압력이 낮다는 것이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화씨 100℉를 섭씨로 환산하면 몇 도가 되는가?

  1. 37.8℃
  2. 45.2℃
  3. 28.9℃
  4. 32.3℃
(정답률: 91%)
  • 화씨와 섭씨는 온도를 측정하는 두 가지 척도입니다. 화씨는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는 온도를 32℉, 물이 끓어서 수증기가 되는 온도를 212℉로 정한 것이고, 섭씨는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는 온도를 0℃, 물이 끓어서 수증기가 되는 온도를 100℃로 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화씨 100℉를 섭씨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화씨 온도 - 32) x 5/9 = 섭씨 온도

    (100 - 32) x 5/9 = 68 x 5/9 = 37.8℃

    따라서, 정답은 "37.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장행정 디젤기관에서 행정체적이 1000cc, 제동마력 55ps, 회전수 4500rpm 의 4행정 사이클 기관에서 기계적 효율이 85% 일 때 제동평균 유효압력은?

  1. 5.5kgf/cm2
  2. 9kgf/cm2
  3. 10kgf/cm2
  4. 11kgf/cm2
(정답률: 16%)
  • 제동평균 유효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제동평균 유효압력 = (제동마력 × 기계적 효율) ÷ (행정체적 × 회전수 × 0.001)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제동평균 유효압력 = (55 × 0.85) ÷ (1000 × 4500 × 0.001) = 0.00085 ≈ 0.85kgf/cm²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5kgf/cm²", "9kgf/cm²", "10kgf/cm²"이 아닙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가 kgf/cm²인 반면, 계산 결과는 kgf/mm² (또는 MPa) 단위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계산 결과를 1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0.85kgf/mm² ÷ 10 = 0.085kgf/cm²

    즉, 제동평균 유효압력은 약 0.085kgf/cm²이며,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11kgf/c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4행정 사이클에서 흡기밸브를 하사점을 지나서 닫는 이유는?

  1. 흡입 작용을 돕기 위해서
  2. 압축 작용을 돕기 위해서
  3. 크랭크 회전을 돕기 위해서
  4. 착화를 돕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흡기밸브를 하사점을 지나서 닫는 이유는 흡입 작용을 돕기 위해서입니다. 하사점 이후에는 실린더 내부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밸브를 닫아서 외부 대기압이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어 흡입 작용을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디젤기관의 연소실 중 NOx가 가장 많이 배출되는 연소실은?

  1. 직접분사식
  2. 예연소실식
  3. 공기실식
  4. 와류실식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분사식 연소실은 연료를 직접 분사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고압으로 분사되는 연료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되기 때문에 연소 온도가 높아집니다. 이로 인해 NOx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디젤기관의 연소실 중 NOx가 가장 많이 배출되는 연소실은 직접분사식 연소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디젤기관에서 인체에 해로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분사시기가 너무 빠르다.
  2. 공기 과잉률이 크다.
  3. 유황성분이 포함된 연료
  4. 노즐 및 분사펌프 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 과잉률이 크다는 것은 공기가 연료보다 많이 혼합되어 연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연료가 완전하게 연소되어 배기가스가 깨끗하게 배출되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공기 과잉률이 크다면 배기가스가 더욱 깨끗해지므로 인체에 해로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정격 출력이 145ps인 건설기계의 연료소비율이 151g/ps·h을 소비하여 작업하였을 때 시간당 연료 소비량은 몇 ℓ/h인가? (단, 작업조건의 부하율은 70%이며 연료의 비중은 0.84이다.)

  1. 12.87ℓ/h
  2. 18.25ℓ/h
  3. 26.27ℓ/h
  4. 36.51ℓ/h
(정답률: 46%)
  • 먼저, 건설기계의 연료소비율은 1ps당 151g의 연료를 1시간 동안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45ps의 건설기계가 1시간 동안 사용하는 연료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145ps x 151g/ps·h = 21,895g/h

    부하율이 70%이므로, 실제 작업 시간은 1시간의 70%인 0.7시간입니다. 따라서, 실제 작업 시간 동안 사용하는 연료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21,895g/h x 0.7시간 = 15,326.5g

    연료의 비중이 0.84이므로, 사용하는 연료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15,326.5g / 0.84 = 18,246.7ml

    따라서, 시간당 연료 소비량은 18.25ℓ/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자제어 디젤엔진에서 ECU의 입력 신호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수온 센서
  2. 글로우 플러그 릴레이
  3. A/T시프트 포지션
  4. 차속 센서
(정답률: 알수없음)
  • 글로우 플러그 릴레이는 ECU의 입력 신호가 아닌 출력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ECU는 수온 센서, A/T시프트 포지션, 차속 센서와 같은 입력 신호를 받아서 이를 기반으로 디젤엔진의 제어를 수행합니다. 반면에 글로우 플러그 릴레이는 ECU가 디젤엔진의 출발을 돕기 위해 출력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글로우 플러그 릴레이는 ECU의 입력 신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급자에 대한 보호와 구입자에 대한 보증의 정도를 규정해 두고 공급자의 요구와 구입자의 요구 양쪽을 만족하도록 하는 샘플링 검사방식은?

  1. 규준형 샘플링 검사
  2. 조정형 샘플링 검사
  3. 선별형 샘플링 검사
  4. 연속생산형 샘플링 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규준형 샘플링 검사는 공급자와 구입자 모두에게 보호와 보증을 제공하기 위해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샘플링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공급자가 제품을 생산할 때 일정한 품질 수준을 유지하도록 강제하고, 구입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일정한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공급자와 구입자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하며, 효율적인 품질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표는 어느 회사의 월별 판매실적을 나타낸것이다. 5개월 이동평균법으로 6월의 수요를 예측하면?

  1. 150
  2. 140
  3. 130
  4. 120
(정답률: 80%)
  • 5개월 이동평균법은 최근 5개월간의 판매실적을 모두 더한 후 5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6월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2월부터 6월까지의 판매실적을 더한 후 5로 나누어야 한다.
    2월부터 6월까지의 판매실적은 각각 100, 110, 120, 130, 140 이므로, 이를 모두 더한 값인 600을 5로 나누면 12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u 관리도의 공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u 관리도에서는 공정의 변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편차를 사용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공식이 ""입니다. 이 공식은 표본평균과 표본편차를 이용하여 공정의 변동성을 계산하는 것으로, u 관리도에서 가장 올바른 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수분포표를 만드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데이터의 흩어진 모양을 알고 싶을 때
  2. 많은 데이터로부터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할 때
  3. 원 데이터를 규격과 대조하고 싶을 때
  4. 결과나 문제점에 대한 계통적 특성치를 구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도수분포표는 데이터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표이므로, 결과나 문제점에 대한 계통적 특성치를 구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들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설비의 구식화에 의한 열화는?

  1. 상대적 열화
  2. 경제적 열화
  3. 기술적 열화
  4. 절대적 열화
(정답률: 86%)
  • 설비의 구식화는 기술적으로 발전된 새로운 설비가 출시되면서 상대적으로 구식한 설비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상대적 열화라고 부르며, 다른 선택지인 경제적 열화나 절대적 열화와는 달리 기술적인 발전에 의한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모든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정해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S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기록법
(정답률: 알수없음)
  • PTS법은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정해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의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각 동작의 시간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서 정확한 작업시간 산정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수동변속기에서 록킹 볼이 마멸되면 나타나는 현상은?

  1. 중립에서 소음발생
  2. 기어가 2중으로 물릴수 있다.
  3. 기어가 빠지기 쉽다.
  4. 기어 변속시 충돌음이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롤링 볼이 마멸되면 기어와 볼 간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기어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기어가 빠지기 쉬워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트랙터 구조에 있어서 최대의 견인력을 증가시켜 주는 장치는?

  1. 변속기
  2. 최종구동기어
  3. 트랙
  4. 피니언 및 베벨기어
(정답률: 알수없음)
  • 최종구동기어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토크 변환을 통해 트랙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최종구동기어의 기어비가 크면 트랙에 전달되는 토크가 증가하게 되어 최대 견인력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최종구동기어는 트랙터 구조에서 최대의 견인력을 증가시켜 주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체클러치에 있어서 토크 변환율은?

  1. 1 : 1
  2. 2 : 1
  3. 3 : 1
  4. 4 : 1
(정답률: 알수없음)
  • 유체클러치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유체를 이용하여 토크를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이때 토크 변환율은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속도 비율과 동일합니다. 즉, 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속도가 같을 때 토크 변환율이 1:1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 :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직 및 수평하중을 비롯하여 휠에 걸리는 충격과 옆방향의 작용력 전부를 하우징이 받고 차축은 동력전달만을 하는 액슬 축 형식은?

  1. 반부동식
  2. 전부동식
  3. 고정식
  4. 3/4부동식
(정답률: 알수없음)
  • 액슬 축 형식에서 하우징은 수직 및 수평하중, 충격, 옆방향 작용력 등 모든 하중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차축은 동력전달만을 담당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전부동식 액슬 축 형식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부동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총 중량 20t급 불도저의 제2속에서 견인력은 7,500kgf 이며, 그 때의 차속은 7.2km/h이다. 견인 출력은?

  1. 200 ps
  2. 167 ps
  3. 242 ps
  4. 305 ps
(정답률: 40%)
  • 견인력 = (중량 × 가속도) + 저항력
    여기서 중량은 20t = 20,000kg, 가속도는 차속을 m/s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2m/s이다. 저항력은 불도저의 기계적 특성에 따라 다르므로 간단하게 계산하기 위해 무시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견인력 = (20,000kg × 2m/s) = 40,000N 이다. 이를 kgf로 변환하면 40,000N ÷ 9.81m/s² ≈ 4,080kgf 이다.

    따라서 견인 출력은 견인력 × 속력 = 4,080kgf × 7.2km/h = 29,376kgf·m/s 이다. 이를 ps로 변환하면 29,376kgf·m/s ÷ 75kgf·m/s/ps ≈ 391ps 이다. 하지만 이는 이론적인 값으로, 실제로는 변환 효율 등의 손실이 있으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00 ps"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엔진에 연결된 클러치의 역할은 어느 것인가?

  1.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만을 한다.
  2. 동력 전달과 출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3.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4. 힘과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위치하여 엔진에서 생성된 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압브레이커(Hydraulic breaker)에 대한 설명 중 관계 없는 것은?

  1. 작동유압 : 150 ~ 180kgf/cm2
  2. 타격수 : 350 ~ 1,000회/분
  3. 충격에너지 : 400 ~ 600kgf.m
  4. 피스톤행정수 : 2,000 ~ 3,000회
(정답률: 알수없음)
  • 피스톤행정수는 유압브레이커의 성능과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피스톤은 유압브레이커 내부에서 움직이는 부품 중 하나이며, 피스톤행정수는 피스톤이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유압브레이커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바퀴의 복원력이 핸들에 전달되고 노면의 충격도 완화 시킬수 있는 환향장치는 어떤 것인가?

  1. 비가역식 환향장치
  2. 반가역식 환향장치
  3. 가역식 환향장치
  4. 배력식 환향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반가역식 환향장치는 바퀴의 움직임이 핸들로 전달될 때 일어나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바퀴의 복원력을 유지하면서도 노면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바퀴의 회전 방향이 바뀔 때 일어나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바퀴의 회전 운동을 유지하면서도 핸들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퀴의 복원력과 노면의 충격 완화에 효과적인 반가역식 환향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크롤러형 유압식 굴삭기에서 트랙구동모터가 한쪽만 작동하고 있을 때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방향제어밸브의 스폴위치 점검
  2. 안전밸브의 압력제어 불량상태 점검
  3. 트랙구동모터의 내부 누유 점검
  4. 메인 릴리프밸브의 내부 누유 점검
(정답률: 알수없음)
  • 메인 릴리프밸브는 유압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로, 트랙구동모터의 작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트랙구동모터가 한쪽만 작동하는 경우에는 메인 릴리프밸브의 내부 누유 점검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에서 골재를 입도별로 구분하는 일을 하는 것은?

  1. 핫 엘리베이터
  2. 피드 호퍼
  3. 아스팔트 캐틀
  4. 진동 스크린
(정답률: 90%)
  • 진동 스크린은 골재를 입도별로 구분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이는 스크린 내부에 있는 진동장치가 골재를 진동시켜 작은 입도의 골재는 아래로, 큰 입도의 골재는 위로 올라가게 되어 구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에서 골재를 입도별로 구분하는 일을 하는데에는 진동 스크린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모터 그레이더의 전륜 경사를 좌,우 20 ~ 30° 정도 경사시키므로서 회전반경을 작게하고 측능 절삭작업시 반력에 의해 그레이더가 옆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는?

  1. 오토미터 장치
  2. 리이닝 장치
  3. 탠덤 드라이브 장치
  4. 틸트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모터 그레이더의 전륜 경사를 좌,우 20 ~ 30° 정도 경사시키면 회전 반경이 작아지고 측능 절삭작업시 반력에 의해 그레이더가 옆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륜의 기울기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리이닝 장치입니다. 리이닝 장치는 전륜의 기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그레이더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트랙 아이들러의 트랙장력 조정 실린더속에는 어떤 물질을 삽입하여 아이들러를 앞뒤로 이동시키는가?

  1. 질소가스
  2. 그리스
  3. 유압오일
  4. 코일스프링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랙 아이들러의 트랙장력 조정 실린더속에는 그리스가 삽입됩니다. 그리스는 윤활제로 작용하여 아이들러를 앞뒤로 움직이게 하기 때문입니다. 질소가스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유압오일은 유압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데, 트랙 아이들러의 경우 유압식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코일스프링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아이들러를 움직이게 하는데, 트랙 아이들러의 경우 그리스를 사용하여 윤활하면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공기압축기에서 언로더 밸브의 기능은?

  1. 공기가 규정압력 이상이 되면 압축공기를 대기로 방출하는 밸브이다.
  2.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탱크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3. 사용하는 공기의 압력을 상승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4.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과부하를 막기 위해 공기의 압력을 하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80%)
  • 언로더 밸브는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탱크로 보내기 전에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탱크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운전을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탱크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모터 그레이더의 스케리파이어(scarifi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삭지반의 상태에 따라 스케리파이어의 절삭각도를 조정하여야 한다.
  2. 절삭깊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케리파이어 장착위치가 다단으로 되어 있다.
  3. 스케리파이어는 전, 후진의 모든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4. 스케리파이어는 나무뿌리 파헤치기 작업시에는 항상 부착해 주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케리파이어는 나무뿌리 파헤치기 작업시에는 항상 부착해 주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스케리파이어는 절삭지반의 상태에 따라 절삭각도를 조정하여야 하며, 절삭깊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장착위치가 다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스케리파이어는 전, 후진의 모든 작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스크레이퍼에서 메인 바디에 고정되어 상하 운동하며 흙을 적재할 때와 내릴 때 열리게 되어 있는 것은?

  1. 볼 (bowl)
  2. 커팅 에지 (cutting edge)
  3. 에이프런 (apron)
  4. 이젝터 (ejecter)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레이퍼의 메인 바디는 흙을 적재하고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바디의 아래쪽에 위치한 에이프런은 바디와 함께 상하 운동하며 열리고 닫히는 구조입니다. 흙을 적재할 때는 에이프런이 열려서 바닥으로 내려가고, 흙을 내릴 때는 에이프런이 닫혀서 흙이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막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이프런 (apr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선기어 치차수가 20개, 링기어 치차수가 60개, 유성기어에서 선기어를 고정하고 링기어가 80회전하면 유성기어 캐리어의 회전수는 얼마가 되는가?

  1. 45 회전
  2. 50 회전
  3. 60 회전
  4. 65 회전
(정답률: 79%)
  • 유성기어와 링기어는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링기어가 1회전할 때 유성기어도 같이 1회전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링기어가 80회전하면 유성기어도 80회전을 하게 됩니다. 선기어와 링기어의 치차수는 회전당 이동 거리를 나타내므로, 회전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60 회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블레이드의 커팅 에지는 블레이드에 어떻게 체결되어 있는가?

  1. 용접되어 있다.
  2. 리벳팅 되어 있다.
  3. 끼우는 형식으로 체결되어 있다.
  4. 볼트로 체결되어 있다.
(정답률: 91%)
  • 볼트는 블레이드와 커팅 에지를 강력하게 고정시키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볼트를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 커팅 에지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커팅 에지는 볼트로 체결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트랙터의 롤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트랙롤러는 윤활제의 누설을 방지하고 흙물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시일을 사용한다.
  2. 캐리어롤러에는 부싱을, 트랙롤러에는 테이퍼 롤러를 주로 사용한다.
  3. 트랙롤러에서 5개의 롤러가 있는 경우 2번과 4번이 이중 플랜지형 롤러를 사용한다.
  4. 단일 플랜지형과 이중 플랜지형이 있고 트러스트 방향의 하중은 플랜지가 받는다.
(정답률: 40%)
  • "트랙롤러는 윤활제의 누설을 방지하고 흙물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시일을 사용한다."이 부분이 바르지 못한 설명입니다. 트랙롤러는 롤러 자체가 윤활유를 보유하고 있어서 윤활제의 누설을 방지하고 흙물의 침입을 막기 때문에 시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이 정답입니다.

    캐리어롤러에는 부싱을, 트랙롤러에는 테이퍼 롤러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캐리어롤러는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부싱이 필요하고, 트랙롤러는 직선 운동을 하기 때문에 테이퍼 롤러가 더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트랙롤러에서 5개의 롤러가 있는 경우 2번과 4번이 이중 플랜지형 롤러를 사용한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단일 플랜지형과 이중 플랜지형이 있고 트러스트 방향의 하중은 플랜지가 받는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기동전동기의 무부하 시험을 할 때 필요없는 것은?

  1. 가변저항
  2. 전류계
  3. 전압계
  4. 저항시험기
(정답률: 알수없음)
  • 기동전동기의 무부하 시험은 전류, 전압 등을 측정하여 모터의 성능을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가변저항, 전류계, 전압계는 시험에 필요한 측정기기입니다. 하지만 저항시험기는 모터의 무부하 시험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저항시험기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기기로, 모터의 무부하 시험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배터리를 급속 충전 할 때 가장 조심하여야 할 것은?

  1. 테이퍼 충전
  2. 배터리의 온도 상승
  3. 기포의 발생
  4. 자연 방전
(정답률: 알수없음)
  • 배터리를 급속 충전할 때는 충전 전압이 높아져서 배터리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배터리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과열로 인한 화재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터리의 온도 상승을 가장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배터리 셀페이션 현상의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충전 전압이 높다.
  2. 전해액의 양이 부족하다.
  3. 전해액의 온도가 높다.
  4. 충전 전류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터리 셀페이션 현상은 충전 시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충분하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이는 전해액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충전 전압이 높거나 전해액의 온도가 높거나 충전 전류가 크다고 해서 셀페이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동전동기의 전기자 점검내용 중 단락시험을 하는 이유는?

  1. 코일이 철심에 절연된 상태 점검
  2. 코일의 끊어진 상태 점검
  3. 코일과 코일이 접지된 상태 점검
  4. 코일과 정류자편과의 접촉상태 점검
(정답률: 64%)
  • 기동전동기의 코일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코일과 코일이 접지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전기적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입니다. 만약 코일과 코일이 접지되지 않은 상태로 작동하게 된다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인명사고나 재산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일과 코일이 접지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DC발전기 조정기에서는 전류 제한기로 전류를 제한하고 AC발전기에서 전류를 제한하는 것은?

  1. 로터
  2. 전압 조정기
  3. 스테이터 코일
  4. 다이오드
(정답률: 알수없음)
  • AC발전기에서 전류를 제한하는 것은 스테이터 코일입니다. 스테이터 코일은 회전자 주위에 위치한 고정자 부분에 있는 코일로, 회전자의 자기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스테이터 코일의 전류를 제한하여 AC발전기에서 안정적인 전기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전조등의 조도가 부족한 원인이 아닌 것은?

  1. 축전지의 과충전
  2. 렌즈의 손상
  3. 전구의 열화
  4. 반사경의 손상
(정답률: 77%)
  • 축전지의 과충전은 전조등의 조도가 부족한 원인이 아닙니다. 축전지가 과충전되면 전조등이 과부하되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지만, 조도가 부족한 원인은 아닙니다. 조도가 부족한 원인은 렌즈의 손상, 전구의 열화, 반사경의 손상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료탱크의 연료량을 표시하는 연료계의 형식 중 기계식의 형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밸런싱 코일식
  2. 바이메탈 저항식
  3. 연료면 표시기식
  4. 바이메탈식
(정답률: 60%)
  • 연료면 표시기식은 기계식이 아닌 전기식으로, 연료탱크 내의 연료면 높이를 측정하여 연료량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기계식 형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2V 교류발전기가 840W의 출력을 낸다면 이 발전기의 로터 코일 저항은 얼마인가?

  1. 0.05Ω
  2. 0.17Ω
  3. 0.84Ω
  4. 1.17Ω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전기의 출력인 840W는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전압은 12V이므로, 전류는 840W / 12V = 70A가 됩니다.

    로터 코일의 저항은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로터 코일의 저항은 12V / 70A = 0.17Ω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7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피복형 예열 플러그(sheathed type glow plug)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열선이 직접 연소가스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진동의 영향도 직접적으로 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2. 예열 플러그의 출력은 약 45∼70W정도가 대부분이며 완전 적열까지는 약 30∼50초 정도가 소요된다.
  3. 내열성, 내부식성의 금속 튜브(metal tube)내에 코일형의 열선을 설치하고 산화마그네슘(magnesiumoxid) 분말을 채워 밀봉하였다.
  4. 금속 튜브속에 내장된 열선은 가열 코일(heatingcoil)과 레귤레이팅 코일(regulating coil)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장된 열선은 가열 코일(heating coil)과 레귤레이팅 코일(regulating coil)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는 피복형 예열 플러그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므로 바르지 못한 것이다.

    예열 플러그의 출력이 약 45∼70W정도이며 완전 적열까지는 약 30∼50초 정도가 소요되는 이유는 플러그 내부의 열선이 전기적으로 가열되어 적정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압 회로란 무엇인가?

  1. 외부로 부터 혼입되는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2. 유압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그 동력 전달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3. 작동유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4. 작동유에 압력 에너지를 주는 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 회로는 유압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그 동력 전달을 제어하는 수단입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압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계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따라서, 유압 회로는 유압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큐뮬레이터의 구조상 분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서스팬션 식
  2. 스프링 하중식
  3. 피스톤 식
  4. 블래더 식
(정답률: 알수없음)
  • 서스팬션 식은 실제 자동차의 서스펜션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방식인 스프링 하중식, 피스톤 식, 블래더 식에 비해 구조상 분류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스프링 하중식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이고, 피스톤 식은 유체를 이용하여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블래더 식은 공기를 이용하여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5,000kgf의 힘을 발생하고, 피스톤의 속도가 3.8m/min 인단로드 실린더의 소요마력은 얼마인가? (단, 실린더 내경은 160mm 이다.)

  1. 4.222 PS
  2. 5.444 PS
  3. 6.333 PS
  4. 7.555 PS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힘과 속도를 이용하여 일하는 힘(파워)을 구해야 한다.

    파워 = 힘 × 속도

    힘은 5,000kgf 이므로, 이를 뉴턴(N)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5,000kgf = 5,000 × 9.81 N ≈ 49,050 N

    따라서, 파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파워 = 49,050 N × (3.8 m/min ÷ 60) ≈ 3,086.5 W

    다음으로, 이 값을 마력(PS)으로 변환해야 한다. 1 PS는 약 735.5 W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파워 = 3,086.5 W ÷ 735.5 ≈ 4.222 PS

    따라서, 정답은 "4.222 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어펌프의 폐쇄작용이 일어나면 어떤 현상이 생기는가?

  1. 축동력의 감소
  2. 기어진동의 소멸
  3. 기포발생
  4. 기름의 흡입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어펌프의 폐쇄작용이 일어나면 기어와 기어 사이에 압력이 생기게 되어 기름이 공기와 혼합되어 기포가 발생합니다. 이는 기어펌프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고, 기어진동의 소멸과 축동력의 감소를 유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포발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좌측 실린더의 직경은 10mm이고 추의 무게는 110kgf이고 우측 실린더의 직경은 200mm일때 다음 그림에서 우측 실린더위에 있는 추의 무게는 약 얼마인가?

  1. 22톤
  2. 33톤
  3. 40톤
  4. 44톤
(정답률: 알수없음)
  • 우측 실린더의 면적은 좌측 실린더의 면적의 100배이므로, 우측 실린더에 작용하는 압력은 좌측 실린더에 작용하는 압력의 1/100배가 됩니다. 따라서, 우측 실린더 위에 있는 추의 무게는 좌측 실린더 위에 있는 추의 무게의 1/100배인 1.1kgf가 됩니다. 이를 뉴턴으로 환산하면 약 10.8N이 됩니다. 이는 보기 중에서 "40톤"과 "44톤" 중에서만 가능한 값이며, 이 중에서 우측 실린더 위에 있는 추의 무게는 44톤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4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용어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1. 캐비테이션(Cavitation): 유압이 진공에 가깝게 되면 기포가 생기고 이로 인하여 국부적인 고압 또는 소음을 발생하는 현상
  2. 크래킹(Craking)압력: 릴리프밸브가 닫히는 마지막압력
  3. 채터링(Chattering): 밸브시이트를 두드리는 소리를 내는 진동 현상
  4. 스위블(Swivel)죠인트: 선회가능한 관이음
(정답률: 80%)
  • 크래킹(Craking)압력: 릴리프밸브가 닫히는 마지막압력. 설명이 부족하며, 정확한 의미는 릴리프밸브가 열리는 압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실린더가 중력으로 인하여 제어속도 이상 낙하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밸브는?

  1. 언로우드밸브
  2. 시퀸스밸브
  3. 리듀싱밸브
  4. 카운터밸런스밸브
(정답률: 70%)
  • 카운터밸런스밸브는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실린더가 중력으로 인하여 제어속도 이상 낙하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정답이 됩니다. 언로우드밸브는 압력을 해제하는 밸브, 시퀸스밸브는 순서대로 작동하는 밸브, 리듀싱밸브는 압력을 감소시키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압제어 밸브에서 방향 제어밸브(Directional control valve)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시퀀스 밸브
  2. 첵 밸브
  3. 셔틀 밸브
  4. 감속 밸브
(정답률: 28%)
  • 시퀀스 밸브는 유압 시스템에서 일정한 순서로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로, 방향 제어밸브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방향 제어밸브에 속하지 않습니다. 첵 밸브, 셔틀 밸브, 감속 밸브는 모두 방향 제어밸브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휠로더의 앞 타이어를 교환할 때 가장 안전하게 작업한다고 생각되는 것은?

  1. 침목만 확실히 고인다.
  2. 버켓을 들고 작업을 한다.
  3. 잭으로 확실히 고인 다음 작업을 한다.
  4. 버켓을 이용하여 차체를 들고 돌을 안전하게 고인다.
(정답률: 84%)
  • 잭으로 확실히 고인 다음 작업을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이유는, 휠로더가 무게가 매우 무거우며, 앞 타이어를 교환할 때는 차체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잭으로 차체를 확실히 고정시키고 작업을 진행해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불도저의 스프로킷 축을 탈착할 때 가장 안전한 방법은?

  1. 탈착할 때는 특수공구를 사용하지 않는다.
  2. 베어링 레이스는 손을 이용하여 빼낸다.
  3. 탈착할 때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케이스를 든 다음 받침대로 받친 후 작업한다.
  4. 볼트가 풀리지 않을 때는 해머를 사용하여 볼트를 푼다.
(정답률: 70%)
  • 불도저의 스프로킷 축은 매우 무거우며 크레인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들어올리고 받침대에 올려놓으면 작업자가 스프로킷 축을 안전하게 탈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수공구나 해머를 사용하면 스프로킷 축이나 주변 부품에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에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베어링 레이스는 손으로 빼내는 것도 위험하므로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굴삭기 유압 오일량을 점검하는 경우의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오일이 뜨거우면 캡을 탈착하지 않는다.
  2. 보충 플러그를 천천히 풀어서 탈착한다.
  3. 버킷은 지면에 내려 놓는다.
  4. 평지에 위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충 플러그를 천천히 풀어서 탈착하는 것은 안전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유압 오일이 고압으로 차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갑자기 풀리면 유압 오일이 분사되어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충 플러그를 천천히 풀어서 압력을 안전하게 놓은 후에 탈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설기계 작업장의 안전사고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1. 공장설비의 미비
  2. 공구의 미비
  3. 작업자의 부주의
  4. 작업장의 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기계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작업자의 부주의입니다. 작업자가 안전에 대한 인식 부족, 안전절차 무시, 안전장비 미착용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안전교육을 받고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든 장비에 승차하거나 하차할 때 맞지 않는 것은?

  1. 항상 3점 접촉을 유지한다.
  2. 주변의 안전상태를 확인후 장비를 가동한다.
  3. 이동하는 장비에 뛰어오르거나 내리지 않는다.
  4. 정비작업 중에는 관계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비작업 중에는 장비가 가동되지 않으므로 승차하거나 하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보기에서는 정비작업 중에는 관계없다고 나와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