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30)

건설기계정비기능장
(2003-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사용중인 실린더 라이너에서 마모가 가장 큰 곳은?

  1. 상사점 피스톤 제1링의 크랭크축 길이방향
  2. 하사점 피스톤 제1링의 크랭크축 길이방향
  3. 상사점 피스톤 제1링의 크랭크축과 직각방향
  4. 하사점 피스톤 제1링의 크랭크축과 직각방향
(정답률: 86%)
  • 상사점 피스톤 제1링의 크랭크축과 직각방향이 마모가 가장 큰 곳인 이유는, 이 부분이 실린더 벽과 가장 많은 접촉을 하기 때문입니다. 피스톤 제1링은 실린더 벽과 밀착되어 있으며, 크랭크축과 직각방향으로 마모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부분이 마모가 가장 큰 이유는, 피스톤 제1링이 실린더 벽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이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스톤링의 3가지 하는 일은?

  1. 냉각, 밀봉 및 오일 제거
  2. 밀봉, 피스톤 슬랩의 방지와 압축의 유지
  3. 밀봉, 압축제어, 냉각
  4. 밀봉, 블로우바이, 압축유지
(정답률: 100%)
  • 피스톤링은 엔진 내부에서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에 위치하여, 냉각수나 기름 등의 유체가 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피스톤링은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여 압축을 유지하고, 오일 제거를 통해 엔진 내부의 오염물질을 제거합니다. 따라서, "냉각, 밀봉 및 오일 제거"가 피스톤링의 3가지 하는 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윤활유 소비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각 계통에서의 누유
  2. 엔진구성 재료와의 화학적 결합
  3.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
  4. 연소실 내에서 연소
(정답률: 알수없음)
  • 윤활유 소비의 원인은 각 계통에서의 누유,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 연소실 내에서 연소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엔진구성 재료와의 화학적 결합은 윤활유 소비의 원인이 아닙니다. 이는 윤활유가 엔진 내부에서 작동할 때 엔진 부품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제동 연료 소비율이 be=190g/PSㆍh, 연료의 저위발열량이 10,200 kcal/kg인 기관의 제동 열효율(%)은?

  1. 27.5
  2. 19.4
  3. 32.6
  4. 47.2
(정답률: 46%)
  • 제동 연료 소비율은 1마력당 190g의 연료를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PS(마력)당 연료 소비량은 190g입니다.

    저위발열량이 10,200 kcal/kg이므로, 1kg의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량은 10,200 kcal입니다.

    따라서 1PS당 소비되는 연료의 열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190g/PS × 1kg/1000g × 10,200 kcal/kg = 1.938 kcal/PS

    제동 열효율은 출력 열과 연소열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출력 열은 제동력으로 나타내며, 연소열은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량입니다.

    제동력은 1PS당 735.5W이므로, 1PS의 제동력은 735.5W입니다.

    따라서 1PS당 출력 열은 다음과 같습니다.

    735.5W × 1kcal/1.163W = 632.41 kcal/PS

    따라서 제동 열효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동 열효율(%) = (출력 열 ÷ 연소열) × 100
    = (632.41 kcal/PS ÷ 1.938 kcal/PS) × 100
    = 326.3%

    하지만 제동 열효율은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실제 제동 열효율은 100%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제동 열효율은 32.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농후한 혼합기가 기관에 미치는 영향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관의 과열
  2. 불완전연소
  3. 기관의 과냉
  4. 동력의 감소
(정답률: 75%)
  • 농후한 혼합기가 기관에 미치는 영향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기관의 과냉"입니다. 이는 혼합기가 기관 내부에서 과열되어 열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기관 내부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기관의 과열"과는 반대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솔린 엔진에서 노크발생의 주 원인이 아닌 것은?

  1. 연료의 혼합기가 적당하지 못할 때
  2. 엔진이 과대한 부하로 운전될 때
  3. 엔진의 압축비를 낮추었을 때
  4. 냉각수 윤활유의 부족으로 실린더 및 피스톤이 과열되었을 때
(정답률: 75%)
  • 가솔린 엔진에서 노크발생의 주 원인은 연료의 혼합기가 적당하지 못할 때와 엔진이 과대한 부하로 운전될 때입니다. 반면에 엔진의 압축비를 낮추면 연료와 공기가 덜 압축되어 연소가 덜 활발하게 일어나므로 노크발생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2행정 사이클 기관을 4행정 사이클 기관에 비하여 고속으로 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1. 왕복 관성력이 크므로
  2. 소기효율이 나쁘므로
  3. 열응력이 크므로
  4. 회전 관성력이 크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2행정 사이클 기관은 작은 크기와 낮은 회전수로 인해 소기효율이 나쁘기 때문에 고속으로 동작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연료소비량이 많아지고 열응력이 증가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속 운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4행정 사이클 기관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4행정 싸이클 디젤기관에서 최대압력이 발생되는 시기는 언제인가?

  1. 압축행정이 막 완료되는 순간
  2. 동력행정에서 TDC후 10~15° 에서
  3. 동력행정이 반쯤 진행되었을 때
  4. 피스톤이 BDC에 이르렀을 때
(정답률: 70%)
  • 디젤기관에서는 압축행정에서 공기가 압축되어 최대압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디젤기관은 압축비가 높아서 압축행정이 끝나기 직전에 연료를 분사하여 발화시키는 방식으로 동력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최대압력이 발생하는 시기는 동력행정에서 TDC후 10~15° 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연료가 분사되어 발화되면서 압력이 최대치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인터쿨러(Intercooler)의 기능은?

  1. 라디에이터로 공급되기 전에 엔진 냉각수를 식힌다.
  2. 터보차저를 떠난 배기가스를 식힌다.
  3. 흡입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밀도를 증가시킨다.
  4. 터보차저로 들어오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정답률: 92%)
  • 인터쿨러는 흡입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밀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공기가 차가운 상태일수록 분자간 거리가 가까워져서 공기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터쿨러를 통해 냉각된 공기는 엔진실로 유입되어 연소 과정에서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게 되어 연소 효율을 높이고, 더 많은 연소가 일어나므로 더 많은 힘을 발생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배압이 높을때 기관에 미치는 영향 중 틀린 것은?

  1. 소제 작용이 불량해 진다.
  2. 발생마력이 감소한다.
  3. 엔진의 회전수가 빨라진다.
  4. 배기온도가 높아 부식을 촉진한다.
(정답률: 67%)
  • 배압이 높을 때 소제 작용이 불량해지고 발생마력이 감소하며 배기온도가 높아 부식을 촉진하지만, 엔진의 회전수가 빨라지는 것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엔진의 회전수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디젤기관이 1200rpm 일때 분사지연과 착화지연시간이 1/600초면 크랭크 각도로 몇도 전에 분사하여야 하는가?

  1. 14°
  2. 10°
  3. 12°
(정답률: 59%)
  • 분사지연과 착화지연시간이 1/600초이므로, 크랭크 각도로 변환하면 1/600 x 1200 = 2도이다. 따라서, 분사는 2도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착화시간이 분사시간보다 더 길기 때문에, 분사는 더욱 더 앞서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2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 KW는 몇 kgf.m/sec에 해당 하는가?

  1. 78
  2. 427
  3. 102
  4. 632
(정답률: 47%)
  • 1 KW는 102 kgf.m/sec에 해당합니다. 이는 1 KW가 1초당 102 kgf.m의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힘과 거리의 곱으로 나타낸 역학적인 단위인 kgf.m과 시간의 단위인 sec를 곱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관이 마멸되는 원인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흡입되는 먼지
  2. 연소 화합물
  3. 윤활부족
  4. 압축압력
(정답률: 50%)
  • 기관이 마멸되는 원인 중에서 압축압력은 관계가 적은 것입니다. 이는 압축압력이 기관 내부에서 필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압축압력은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폭발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기관이 작동합니다. 따라서 압축압력은 기관 작동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기관이 마멸되는 원인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디젤기관 전자제어 시스템의 기능 중 분사량 제어가 아닌 것은?

  1. 기본 분사량 제어
  2. 불균량 보상 분사량 제어
  3. 시동시 분사량 제어
  4. 저온시 분사량 제어
(정답률: 80%)
  • 저온시 분사량 제어는 디젤 엔진이 저온 환경에서 작동할 때,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여 최적의 연소를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분사량 제어와 관련된 기능이며, 주어진 보기 중에서 분사량 제어와 관련 없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의 OC곡선을 보고 가장 올바른 내용을 나타낸 것은?

  1. α : 소비자 위험
  2. L(p) : 로트의 합격확률
  3. β : 생산자 위험
  4. 불량율 : 0.03
(정답률: 알수없음)
  • OC곡선은 생산자 위험과 소비자 위험 사이의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이 그래프에서 L(p)는 로트의 합격확률로, 생산자가 제품을 생산할 때 불량품이 생산될 확률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L(p)가 높을수록 생산자 위험이 높아지고, L(p)가 낮을수록 소비자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OC곡선에서 L(p)가 작을수록 좋은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품질관리 활동의 초기단계에서 가장 큰 비율로 들어가는 코스트는?

  1. 평가코스트
  2. 실패코스트
  3. 예방코스트
  4. 검사코스트
(정답률: 알수없음)
  • 품질관리 활동의 초기단계에서 가장 큰 비율로 들어가는 코스트는 실패코스트입니다. 실패코스트는 제품 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으로, 제품을 다시 생산하거나 수리하는 등의 비용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실패코스트를 줄이기 위해 초기에 예방코스트를 투자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품질관리 활동에서는 초기에 예방코스트를 투자하여 실패코스트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PERT/CPM에서 Network 작도시 碇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단계(event)
  2. 명목상의 활동(dummy activity)
  3. 병행활동(paralleled activity)
  4. 최초단계(initial event)
(정답률: 알수없음)
  • 碇은 명목상의 활동(dummy activity)을 나타냅니다. 이는 실제로는 활동이 아니지만, 두 개 이상의 활동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의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A 활동이 B 활동보다 먼저 시작되어야 하지만, A 활동이 완료되는 시점과 B 활동이 시작되는 시점이 겹치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A와 B 사이에 명목상의 활동을 추가하여 연결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체 프로젝트 일정을 정확하게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신제품에 가장 적합한 수요예측 방법은?

  1. 시계열분석
  2. 의견분석
  3. 최소자승법
  4. 지수평활법
(정답률: 87%)
  • 신제품은 과거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시계열분석이나 지수평활법과 같은 수량적인 예측 방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수요를 예측하는 의견분석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관리도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관리도는 공정의 관리만이 아니라 공정의 해석에도 이용된다.
  2. 관리도는 과거의 데이터의 해석에도 이용된다.
  3. 관리도는 표준화가 불가능한 공정에는 사용할 수 없다.
  4. 계량치인 경우에는 관리도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정답률: 65%)
  • 계량치인 경우에는 관리도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워크 샘플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관측대상의 작업을 모집단으로 하고 임의의 시점에서 작업내용을 샘플로 한다.
  2. 업무나 활동의 비율을 알 수 있다.
  3. 기초이론은 확률이다.
  4. 한 사람의 관측자가 1인 또는 1대의 기계만을 측정한다.
(정답률: 75%)
  • 한 사람의 관측자가 1인 또는 1대의 기계만을 측정하는 것은 워크 샘플링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인 "단일 관측자 원칙"에 따른 것이다. 이는 하나의 관측자나 기계만을 이용하여 작업 내용을 측정함으로써 일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관측자나 기계를 이용하는 것은 워크 샘플링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덤프트럭의 구동피니언기어 잇수 6, 링기어 잇수 30, 추진축 1200rpm 일때 왼쪽 바퀴가 200회전하면 오른쪽 바퀴 회전수는?

  1. 240회전
  2. 400회전
  3. 280회전
  4. 1400회전
(정답률: 40%)
  • 덤프트럭의 구동피니언기어와 링기어의 비율은 1:5이므로, 추진축 1200rpm일 때 왼쪽 바퀴의 회전수는 1200/6*30 = 6000회전이 됩니다. 이때, 왼쪽 바퀴가 200회전했다면, 오른쪽 바퀴는 1/5 비율로 200*5 = 1000회전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80회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터 그레이더에서 리닝의 경사각도는?

  1. 20 ~ 30°
  2. 30 ~ 40°
  3. 40 ~ 50°
  4. 50 ~ 60°
(정답률: 80%)
  • 모터 그레이더에서 리닝의 경사각도는 20 ~ 30°이다. 이는 리닝의 경사각이 너무 가파르면 작업 중에 안정성이 떨어지고, 너무 완만하면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20 ~ 30°가 적절한 경사각으로 판단되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크 변환기의 일방향 클러치가 작용이 불량하여 지장이 많을 때는?

  1. 공전
  2. 저속
  3. 중속
  4. 고속
(정답률: 91%)
  • 일방향 클러치가 작용이 불량할 때는 토크 변환기의 출력축과 입력축이 서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어 엔진의 토크가 변환되지 않고 직접 전달되어 엔진에 부하가 걸리게 됩니다. 이 때, 고속으로 주행하면 엔진의 부하가 더욱 커지므로 고속 주행을 하면 안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성기어식 변속기에서 변속이 되지 않는 이유 중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오일 압력이 과다할 때
  2. 링키지의 조정 불량
  3. 오일량이 부족할 때
  4. 오일 펌프의 작동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유성기어식 변속기에서 변속이 되지 않는 이유 중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오일 압력이 과다할 때"입니다. 이는 오일 압력이 과다하면 변속기 내부의 부품들이 강하게 작용하여 오히려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일 압력이 적절하게 유지되어야만 변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력 조향장치에서 앞바퀴의 조향력이 약화되었다. 제일 먼저 어느 부분을 점검 정비하여야 하는가?

  1. 작동장치
  2. 동력장치
  3. 제어장치
  4. 배력장치
(정답률: 73%)
  • 작동장치는 조향력을 발생시키는 핵심 부품으로, 앞바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바퀴의 조향력이 약화되었을 때는 작동장치를 점검하고 정비해야 합니다. 동력장치, 제어장치, 배력장치는 조향력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부품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유체 클러치의 최대 효율은 몇 % 인가?

  1. 80
  2. 94
  3. 96
  4. 98
(정답률: 65%)
  • 유체 클러치의 최대 효율은 98%입니다. 이는 유체 클러치가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최대 전달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된 동력의 대부분이 출력으로 전달되며, 전력 손실은 최소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성기어를 이용한 유압식 변속기에서 링기어를 고정하고 선기어를 구동할 때 캐리어는?

  1. 감속한다.
  2. 증속한다.
  3. 역전한다.
  4. 선기어와 같다.
(정답률: 72%)
  • 유성기어를 이용한 유압식 변속기에서 링기어를 고정하고 선기어를 구동할 때, 캐리어는 유성기어의 작용으로 인해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어 감속하게 됩니다. 이는 유성기어의 작용 원리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속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변속비가 6:1이며 토크가 40kgf-m 이고, 추진축의 회전수는 800rpm인 덤프트럭에서 피니언 기어 잇수가 12 이고 링기어 잇수가 96 일때 총 감속비는 얼마인가?

  1. 19:1
  2. 35:1
  3. 48:1
  4. 52:1
(정답률: 50%)
  • 피니언 기어와 링기어의 잇수 비율은 1:8 이므로, 총 감속비는 6 x 8 = 48: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트랙이 벗겨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고속 주행시 급 선회
  2. 프론트 아이들러와 스프로킷의 중심이 틀릴 때
  3. 트랙이 이완(늘어짐) 되었을 때
  4. 리코일 스프링의 장력이 클 때
(정답률: 91%)
  • 리코일 스프링의 장력이 클 때는 트랙이 벗겨지는 원인이 아닙니다. 이는 스프링이 너무 강하게 작용하여 트랙이 붙어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고속 주행시 급 선회, 프론트 아이들러와 스프로킷의 중심이 틀릴 때, 트랙이 이완(늘어짐) 되었을 때가 트랙이 벗겨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건설기계를 수리할 때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연료계통 수리 중에는 연료를 차단한다.
  2. 유압계통 수리시에는 압력이 방출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3. 전기계통을 수리시에는 사전에 축전지 단자를 떼어 놓는다.
  4. 트랙은 트랙사이에 손을 넣어서 점검하고, 수리시에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트랙은 트랙사이에 손을 넣어서 점검하고, 수리시에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입니다.

    트랙은 매우 무거우며 회전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손이 끼이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랙을 점검할 때는 손을 넣지 않고 시선으로만 확인해야 하며, 수리시에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여 안전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모터 그레이더가 작업도중 무리한 하중이 걸리면 장비의 각부분이 파괴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베벨기어
  2. 조 클러치
  3. 셀프록
  4. 시어핀
(정답률: 알수없음)
  • 셀프록은 모터 그레이더가 무리한 하중이 걸렸을 때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시켜 파괴를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베벨기어, 조 클러치, 시어핀은 모터 그레이더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아니므로 정답은 셀프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크레인 붐의 최대 안정각은?

  1. 35°
  2. 50° 30′
  3. 66° 30′
  4. 78°
(정답률: 50%)
  • 크레인 붐의 최대 안정각은 66° 30′입니다. 이는 물리학적인 원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크레인 붐이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을 때, 붐의 끝에 있는 물체의 무게와 붐의 중심에서 물체까지의 거리가 증가하면 안정성이 감소합니다. 이는 물리학에서 "레버 원리"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크레인 붐의 최대 안정각은 물체의 무게와 붐의 길이, 그리고 물체와 붐 중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66° 3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언더 케리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반드시 트랙조정 완충장치가 필요하다.
  2. 트랙롤러는 일반적으로 하부에는 싱글플랜지 롤러를, 상부에는 더블플랜지 롤러를 장착한다.
  3. 트랙롤러의 듀콘실은 컬러밖에 설치되어 흙먼지의 침입과 오일 누유를 방지한다.
  4. 트랙롤러의 내부에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이 있어 중하중을 분담한다.
(정답률: 70%)
  • 반드시 트랙조정 완충장치가 필요하다는 이유는 트랙롤러가 지형의 불규칙한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과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완충하여 트랙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스크레이퍼의 구조에서 적재함의 흙을 밀어내는 것은 어떤 장치의 기능인가?

  1. 에이프런(apron)
  2. 케이블(cable)
  3. 볼(bowl)
  4. 이젝터(ejector)
(정답률: 50%)
  • 스크레이퍼의 구조에서 적재함에 적재된 흙을 밀어내는 것은 이젝터(ejector)의 기능입니다. 이젝터는 압축된 공기나 물 등을 이용하여 물체를 밀어내는 장치로, 스크레이퍼에서는 적재함에 적재된 흙을 밀어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도져의 뒤쪽 아래 부분에 갈퀴가 핀으로 연결되어 전진시 굳은 땅 파헤치기, 암석제거 등에 쓰이는 것은?

  1. 훅 (hook)
  2. 스케리파이어 (scarifier)
  3. 백 호 (back hoe)
  4. 푸시 블레이드 (push blade)
(정답률: 알수없음)
  • 스케리파이어는 갈퀴가 핀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전진시 땅을 파헤치거나 암석을 제거하는 데에 쓰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스케리파이어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져의 트랙 조정은 무엇으로 조정하는가?

  1. 캐리어 롤러의 이동
  2. 스프로켓의 이동
  3. 프론트 아이들러의 이동
  4. 트랙 롤러의 이동
(정답률: 91%)
  • 도져의 트랙 조정은 프론트 아이들러의 이동으로 조정합니다. 이는 트랙의 길이를 조절하여 트랙의 긴장을 유지하고, 도져의 이동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캐리어 롤러, 스프로켓, 트랙 롤러는 모두 트랙을 구성하는 부품이지만, 트랙의 긴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스팔트 피니셔의 구조에서 혼합재를 펴고 다듬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호퍼(hopper)
  2. 피이더(feeder)
  3. 댐퍼(damper)
  4. 스크리드(screed)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리드는 아스팔트 피니셔의 구조에서 혼합재를 펴고 다듬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크리드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평평하게 펴주는 장치로, 아스팔트를 균일하게 분배하고 압축하여 도로 표면을 완성합니다. 따라서 스크리드는 아스팔트 도로 건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굴삭기가 가장 큰 굴삭력을 내기 위하여 붐과 암의 각도는 얼마가 가장 좋은가?

  1. 45 ∼ 75°
  2. 60 ∼ 90°
  3. 80 ∼ 110°
  4. 100 ∼ 130°
(정답률: 알수없음)
  • 굴삭기의 붐과 암의 각도가 작을수록 굴삭기의 굴삭력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45°에서 75°까지의 각도는 굴삭력이 낮아지는 범위입니다. 반면에 100°에서 130°까지의 각도는 굴삭기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60°에서 90°까지의 범위보다는 80°에서 110°까지의 범위가 가장 적절한 굴삭력과 안정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발전기 조정기 컷아웃릴레이의 컷인전압을 낮추려면?

  1. 에어 캡을 크게한다.
  2. 접점 간극을 크게한다.
  3. 스프링 장력을 약하게 한다.
  4. 발전기의 회전속도를 낮춘다.
(정답률: 54%)
  • 발전기 조정기 컷아웃릴레이의 컷인전압을 낮추려면 스프링 장력을 약하게 해야합니다. 이는 스프링의 장력이 약해지면 컷아웃릴레이의 접점이 더 쉽게 닫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컷인전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동기의 원리를 알기 위한 법칙은?

  1. 프레밍의 오른손법칙
  2. 프레밍의 왼손법칙
  3. 렌쯔의 법칙
  4. 오른나사의 법칙
(정답률: 85%)
  • 전동기는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발생시키는데, 이 자기장이 회전자를 회전시켜 전동력을 발생시킵니다. 이때 전류의 방향, 자기장의 방향, 회전자의 방향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를 나타내는 법칙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프레밍의 왼손법칙은 전류의 방향을 엄지손가락, 자기장의 방향을 중지손가락, 회전자의 방향을 검지손가락으로 나타내어 이들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하면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전동력의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법칙으로 프레밍의 왼손법칙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완전충전된 셀에 있어서 전기적인 최대 잠재량은?

  1. 4.0볼트
  2. 2.1볼트
  3. 1.2볼트
  4. 0.5볼트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충전된 셀은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위차가 가장 크므로, 전기적인 최대 잠재량은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위차인 2.1볼트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1볼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점화코일에서 1차 코일의 권수는 250회 이고, 2차 코일의 권수는 30,000회 일때 2차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은 몇 V인가? (단, 1차코일 유기전압은 250V이고, 축전지는 12V)

  1. 25,000
  2. 30,000
  3. 35,000
  4. 4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점화코일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차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면, 자기장이 발생하여 2차 코일에 전압이 유도됩니다. 이 때, 2차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은 1차 코일 유기전압과 2차 코일 권수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2차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차 코일 유기전압 = 1차 코일 유기전압 × (2차 코일 권수 ÷ 1차 코일 권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2차 코일 유기전압 = 250V × (30,000 ÷ 250) = 30,000V

    따라서, 정답은 "30,0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발전기의 계자코일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원인은?

  1. 계자코일의 단락
  2. 슬립링의 불량
  3. 계자코일의 높은 저항
  4. 계자코일의 단선
(정답률: 67%)
  • 계자코일의 단락은 전류가 계자코일 내부에서 비정상적으로 흐르게 하여 발전기 내부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예열플러그 회로에 관하여 틀린 것은?

  1. 코일형 예열 플러그는 직렬로 접속된다.
  2. 시일드형 예열 플러그는 병렬로 접속된다.
  3. 시일드형 예열 플러그 회로에 히이트 레인지가 있다.
  4. 코일형 예열 플러그 회로에 저항기가 있다.
(정답률: 42%)
  • 시일드형 예열 플러그 회로에 히이트 레인지가 있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시일드형 예열 플러그는 병렬로 접속되며, 히이트 레인지는 코일형 예열 플러그에서 사용됩니다. 히이트 레인지는 예열 플러그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예열 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점화플러그의 구비조건 중 틀린 것은?

  1. 급격한 온도변화에 견딜 것
  2. 고온, 고압에서 기밀을 유지할 것
  3. 고전압에 대한 충분한 전도성이 있을 것
  4. 사용조건에 따른 변화에 내구성이 있을 것
(정답률: 64%)
  • 고전압에 대한 충분한 전도성이 있을 것은 틀린 조건입니다. 이는 점화플러그가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기가 충분히 흐를 수 있도록 전도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8암페어의 전류로 10시간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의 용량은 얼마인가?

  1. 50Ah
  2. 80Ah
  3. 100Ah
  4. 150Ah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디젤기관의 기동전동기에 요구되는 조건 중 틀린 것은?

  1. 기계적인 충격에 잘 견뎌야 한다.
  2. 소형이고 가벼우며 출력이 커야한다.
  3. 부하가 커지면 발생토크는 감소한다.
  4. 회전수 커지면 발생토크는 감소한다.
(정답률: 60%)
  • "부하가 커지면 발생토크는 감소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부하가 커지면 발생토크는 오히려 증가합니다. 이유는 부하가 커지면 엔진이 더 많은 힘을 발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부하가 커지면 발생토크는 감소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압력 제어밸브의 종류 중 틀린 것은?

  1. 교축밸브
  2. 릴리프 밸브
  3. 시퀸스 밸브
  4. 카운터 밸런스 밸브
(정답률: 80%)
  • 교축밸브는 압력 제어밸브가 아닙니다. 교축밸브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로, 압력 제어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압력 제어밸브로 분류되는 것은 교축밸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50PS 의 전동기로 배출압력 135kgf/cm2, 전효율 90%의 유압펌프를 구동할 때 펌프의 토출량은?

  1. 1.6ℓ/sec
  2. 3.4ℓ/sec
  3. 2.5ℓ/sec
  4. 4.7ℓ/sec
(정답률: 58%)
  • 유압펌프의 토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토출량 = 전동기 출력 / (배출압력 x 전효율 x 9.81)

    전동기 출력 = 50PS = 36.75kW
    배출압력 = 135kgf/cm^2 = 132.3bar
    전효율 = 90%
    중력가속도 = 9.81m/s^2

    따라서,

    토출량 = 36.75 / (132.3 x 0.9 x 9.81) = 2.5ℓ/sec

    즉, 전동기 출력과 배출압력, 전효율,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유압펌프의 토출량은 2.5ℓ/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여러가지 회로 중 유량조절 밸브를 사용하여 액츄에이터에 출입하는 유량을 제한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는?

  1. 카운터 밸런스 회로
  2. 인 로우더 조정회로
  3. 파일럿 시이퀀스 회로
  4. 미터 인(meter in)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미터 인(meter in)회로는 유량조절 밸브를 사용하여 유량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액츄에이터에 출입하는 유량을 제어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유량계(meter)를 사용하여 유량을 측정하고, 이를 피드백하여 유량조절 밸브를 제어합니다. 따라서, 유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감속밸브의 스풀형식에 따른 분류이다. 맞지 않는 것은?

  1. 노말오픈형
  2. 노말클로즈형
  3. 역지변붙임형
  4. 셔틀변붙임형
(정답률: 알수없음)
  • 감속밸브의 스풀형식에는 노말오픈형, 노말클로즈형, 역지변붙임형, 셔틀변붙임형이 있습니다. 이 중 셔틀변붙임형은 셔틀이라는 부품을 사용하여 스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스풀형식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으므로 맞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피스톤 직경이 8cm인 실린더에 100kgf의 힘을 작용할 때 실린더내의 압력은 몇 kgf/cm2 인가?

  1. 1.6
  2. 2.0
  3. 4.8
  4. 6.3
(정답률: 19%)
  • 압력은 힘을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압력 = 힘 ÷ 면적

    여기서 면적은 실린더의 단면적이며, 이는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π)를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면적 = 반지름 x 반지름 x π

    반지름은 피스톤 직경의 절반인 4cm이므로,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면적 = 4cm x 4cm x 3.14 ≈ 50.24cm²

    따라서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압력 = 100kgf ÷ 50.24cm² ≈ 1.99kgf/cm²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압력은 약 2.0kgf/cm²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정용량형 유압펌프에서 토출이 안되거나 토출량이 적을 경우 그 원인이 아닌 것은?

  1. 작동압 탱크의 유면이 낮다.
  2. 펌프의 흡입상태가 불량하다.
  3. 작동유의 점도가 낮다.
  4. 펌프의 회전속도가 늦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용량형 유압펌프는 일정한 유량을 공급하기 위해 회전속도와 작동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작동유의 점도가 낮으면 유체의 저항이 감소하여 펌프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고, 작동압이 감소하여 토출량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작동유의 점도가 낮을 경우 토출이 안되거나 토출량이 적어지는 것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타이어 공기압력을 점검할 때 안전하지 못한 방법은?

  1.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할 때 앞 부분에는 과압을 뒤 부분에는 저압으로 주입한다.
  2. 각 장비의 규격에 맞는 타이어를 사용한다.
  3. 작업 중에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승되어 있어도 공기를 빼내지 않아야 한다.
  4. 타이어는 보호장비를 사용하여 보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할 때 앞 부분에는 과압을 뒤 부분에는 저압으로 주입하는 이유는 차량의 무게 중심이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앞쪽 타이어는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해야 하므로 과압으로 주입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뒤쪽 타이어는 상대적으로 덜 무거우므로 저압으로 주입하여 주행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트랙형 로더의 트랙장력을 조정하는 실린더 취급시 안전 사항이 아닌 것은?

  1. 밸브의 그리스 누출 육안 확인
  2. 리코일 스프링과 앞쪽 파일럿 움직임
  3. 장비를 앞, 뒤로 작동시켜 트랙 조정 움직임
  4. 시그멘트와 트랙사이 쇠봉설치 후진
(정답률: 50%)
  • 밸브의 그리스 누출 육안 확인은 안전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유지보수나 정기적인 점검에 해당하는 내용이며, 실린더 취급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안전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에서 건설기계 가동 중 운전자가 가장 주의깊게 보아야 할 것은?

  1. 전류계
  2. 유압계
  3. 배기가스 색깔
  4. 속도계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기계는 대개 유압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유압계를 가장 주의깊게 보아야 합니다. 유압계는 기계 내부의 유압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 압력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기계 작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유압계를 주시하여 기계 작동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드라이버 사용시 유의 사항 중 틀린 것은?

  1. 날 끝이 홈의 폭과 길이가 같은 것을 사용한다.
  2. 날 끝이 수평이어야 한다.
  3. 작은 공작물은 한손으로 잡고 사용한다.
  4. 전기 작업시 절연된 자루를 사용한다.
(정답률: 73%)
  • "작은 공작물은 한손으로 잡고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작은 공작물은 두 손으로 잡고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이유는 작은 공작물은 힘이 약하고 민감하기 때문에 한 손으로 잡으면 제어하기 어렵고,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져서 위험합니다. 따라서 작은 공작물을 사용할 때는 두 손으로 잡고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그림은 오리피스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압력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A > B
  2. A < B
  3. A = B
  4. 정답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리피스 효과는 유체가 통로를 통과할 때 통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면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그림에서 A 지점은 통로의 단면적이 작아져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하고, B 지점은 통로의 단면적이 넓어져 유체의 속도가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A 지점의 압력이 B 지점의 압력보다 작아지므로 "A = B"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오일과 가스의 분리가 좋고, 혼합되지 않는 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어큐뮤레이터(축압기)는?

  1. 중력식 어큐뮤레이터
  2. 블리더식 어큐뮤레이터
  3. 공기축적식 어큐뮤레이터
  4. 이중피스톤식 어큐뮤레이터
(정답률: 72%)
  • 블리더식 어큐뮤레이터는 오일과 가스를 분리하기 위해 블리더(bleeder)라는 작은 구멍을 가지고 있어서 오일은 블리더를 통해 빠르게 흐르면서 가스는 상단에 모이게 됩니다. 이렇게 분리된 오일과 가스는 혼합되지 않아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실린더가 2개 있는 유압기에서 1번 실린더 작동이 완료되면 2번 실린더가 작동을 개시하는 회로(2중의 실린더가 시간차를 두고 작동하는 것)는?

  1. 브레이크회로(brake circuit)
  2. 시퀀스회로(sequence circuit)
  3. 인터록회로(inter lock circuit)
  4. 미터아웃회로(meter out circuit)
(정답률: 54%)
  • 시퀀스회로는 여러 개의 액추에이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1번 실린더 작동이 완료되면 2번 실린더가 작동을 개시하는 것과 같이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퀀스회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