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제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금형제작기능장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유압기술의 장점 및 단점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점: 입력에 대한 출력의 응답이 느리다.
  2. 단점: 무단 변속이 불가능 하다.
  3. 장점: 소형 장치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4. 장점: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고장의 우려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기술은 작은 크기의 장치로도 큰 출력을 얻을 수 있어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높은 힘과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장점: 소형 장치로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오일의 점성을 이용하여 진동을 흡수하거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은?

  1. 쇼크 업소버
  2. 토크 컨버터
  3. 유압 프레스
  4. 커플링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은 점성이 높은 물질로, 쇼크 업소버는 이러한 오일의 점성을 이용하여 진동을 흡수하거나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쇼크 업소버가 정답입니다. 토크 컨버터는 엔진의 토크 변환을 도와주는 장치이며, 유압 프레스는 압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가공하는 기계입니다. 커플링은 두 개의 축을 연결하는 장치로,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기중의 먼지나 수분을 제거하여 압축 공기를 양질화하는 장치는?

  1. 윤활기
  2. 공기 필터
  3. 압력 조절기
  4. 공기 탱크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 필터는 공기중의 먼지나 수분 등을 제거하여 압축 공기를 양질화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공기를 사용하는 기계나 장비에서 먼지나 수분이 들어가면 기계나 장비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기 필터는 기계나 장비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과 같은 공유압 기호의 명칭은?

  1. 어큐물레이터(연속형)
  2. 원동기(단동형)
  3. 공기유압 변환기(연속형)
  4. 유압 전동장치(단동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기호는 공기를 유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 기호이며, 그림에서는 공기가 유압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기호는 "공기유압 변환기(연속형)"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베르누이 정리에서 에너지 손실이 없는 경우 전(全) 수두는 다음 중 어떻게 표시 되는가?

  1. 압력수두 + 속도수두 + 부피수두
  2. 압력수두 + 위치수두 + 속도수두
  3. 압력수두 + 유량수두
  4. 압력수두 + 부피수두
(정답률: 알수없음)
  • 전 수두는 유체의 상태와 관계없이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손실이 없는 경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소모되는 에너지가 없으므로 전 수두는 압력수두, 위치수두, 속도수두의 합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유체의 입구와 출구에서 압력, 속도, 위치가 동일하다는 가정에 따라 전 수두가 보존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압력수두 + 위치수두 + 속도수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강재표면의 화학조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행하는 경화법은?

  1. 금속 침투법
  2. 침탄질화법
  3. 질화법
  4. 숏피닝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숏피닝법은 강재표면의 화학조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행하는 경화법입니다. 이는 강재표면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단지 표면을 노출시켜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강재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경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강재표면의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숏피닝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탄소 공구강 및 일반 공구재료가 갖추어야 할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상온 및 고온 경도가 클 것
  2. 내마모성이 작을 것
  3. 강인성이 우수 할 것
  4. 가공 및 열처리성이 양호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내마모성이 작을 것"이 틀린 것입니다. 탄소 공구강 및 일반 공구재료는 내마모성이 높아야 합니다. 내마모성이란 마모에 대한 내성능력을 의미하며, 공구재료는 가공과정에서 마모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높을수록 공구의 수명이 늘어납니다. 따라서, 내마모성이 작을수록 공구의 수명이 짧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금속재료의 성질 중 기계적 성질은?

  1. 강도
  2. 열팽창계수
  3. 비중
  4. 비열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적 성질은 금속재료가 외부의 힘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이 중에서 강도는 금속재료가 얼마나 단단하고 강력한지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따라서 강도가 기계적 성질에 해당합니다. 열팽창계수는 금속재료가 온도 변화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내는 성질이며, 비중은 금속재료의 밀도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비열은 금속재료가 열에 대해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두랄루민은 알루미늄에 무엇을 첨가한 것인가?

  1. Mg + Fe + Cu
  2. Cu + Mg + Mn
  3. Ni + Zn + Si
  4. Cu + Sn + Zn
(정답률: 알수없음)
  • 두랄루민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Cu(구리), Mg(마그네슘), Mn(망간)을 첨가하여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켰습니다. 따라서 "Cu + Mg + M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중 Al-Si계 합금에 속하는 것은?

  1. Y-합금
  2. 실루민
  3. 두랄루민
  4. 라우탈
(정답률: 알수없음)
  • 실루민은 알루미늄과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Al-Si계 합금에 속합니다. 이 합금은 가볍고 강도가 높아서 자동차 부품, 항공기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내식성이 좋아서 주방용품 등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불변강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엘린바
  2. 플라티나이트
  3. 인바
  4. 하이스텔로이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이스텔로이는 불변강이 아닙니다. 하이스텔로이는 고강도 합금강으로,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주로 열처리용 도구나 항공기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담금질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급격한 냉각을 피하고 일정 속도로 냉각한다.
  2. 부분적인 온도 차를 적게 한다.
  3. 가능한 유냉을 피하고 수냉을 한다.
  4. 부품설계시 직각부분을 적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능한 유냉을 피하고 수냉을 한다는 것은 냉각 매체로 유체 대신 물을 사용하라는 것입니다. 이는 물이 냉각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부분적인 온도 차를 적게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물은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균열 발생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출 성형품에 웰드 라인(Weld Line)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지의 흐름이 나쁘다.
  2. 사출 압력이 높다.
  3. 게이트의 위치나 수가 부적당하다.
  4. 금형온도가 너무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출 압력이 높을 경우, 수지가 금형 내부로 빠르게 주입되어 웰드 라인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사출 성형품에 웰드 라인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사출 압력이 높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성형품의 살 두께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적 강도뿐만 아니라 수지의 흐름 특성도 고려한 설계가 되어야 한다.
  2. 살 두께가 균일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3. 성형품의 살 두께는 두껍게 설계 될수록 좋다.
  4. 성형품의 구조상 충분한 강도에 견디게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성형품의 살 두께는 두껍게 설계 될수록 좋다. 이는 성형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살이 더해지는 현상을 고려한 것으로, 살 두께가 얇을 경우 제품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고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앵귤러 핀의 작용길이 30mm, 경사각 18도이고, 틈새를 무시할 때 슬라이드 블록의 운동거리는 약 얼마인가?

  1. 9.97mm
  2. 6.07mm
  3. 8.17 mm
  4. 9.27 mm
(정답률: 알수없음)
  • 앵귤러 핀의 작용길이와 경사각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블록이 한 번 회전할 때 이동하는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동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이동거리 = 2 x π x 작용길이 x sin(경사각/2)

    여기서 π는 원주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동거리 = 2 x π x 30 x sin(18/2) ≈ 9.27 mm

    따라서, 정답은 "9.27 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냉각수 구멍 설계시 유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냉각 구멍의 방청을 고려하고, 또한 청소가 간편한 구조이어야 한다.
  2. 냉각수 구멍의 크기는 냉각수가 난류 유동이 되도록 정한다.
  3.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은 여러 개의 냉각 홀 보다는 직경이 큰 1개의 냉각 홀이 냉각 효과가 크다.
  4. 코어부분과 캐비티 부분은 독립해서 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은 여러 개의 냉각 홀 보다는 직경이 큰 1개의 냉각 홀이 냉각 효과가 크다는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이유는 직경이 큰 1개의 냉각 홀은 중앙에 위치하므로 주변 부분의 냉각 효과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작은 냉각 홀을 설계하여 균일한 냉각 효과를 얻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출금형 설계시 파팅 라인의 위치와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음 중 파팅 라인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

  1. 눈에 잘 띄는 위치 또는 형상으로 한다.
  2. 언더컷을 피할 수 있는 곳을 택하다.
  3. 마무리가 잘 될 수 있는 위치 또는 형상으로 한다.
  4. 게이트의 위치 및 그 형상을 고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언더컷을 피할 수 있는 곳을 택하다."는 파팅 라인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파팅 라인은 제품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위치나 형상으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제품의 외관을 최대한 유지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파팅 라인이 눈에 잘 띄는 위치나 형상으로 결정되면, 이를 보완하기 위해 후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회 숏(shot)의 최대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형체력과 함께 사출성형기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은?

  1. 히터 용량
  2. 가소화 능력
  3. 사출율
  4. 사출용량
(정답률: 알수없음)
  • 사출용량은 사출성형기가 한 번에 사출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1회 숏의 최대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출용량과는 관련이 없거나, 사출용량과는 관련이 있지만 1회 숏의 최대량을 나타내는 값으로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성형품의 불량 형상 중 은줄(silver streak)의 발생원인으로 가장 큰 요인은?

  1. 금형 온도가 높을 때
  2. 사출속도가 느릴 때
  3. 사출용량 및 가소화 능력이 충분할 때
  4. 재료 중에 수분이나 휘발분이 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은줄(silver streak)은 성형품 표면에 은색 형태로 발생하는 불량 형상입니다. 이는 주로 성형 과정에서 재료 중에 수분이나 휘발분이 존재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수분이나 휘발분은 성형 과정에서 열에 의해 증발하면서 성형품 표면에 은색 형태로 남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재료를 충분히 건조시키고, 성형 과정에서 수분이나 휘발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은 제품을 U굽힘으로 완성가공 하려고 한다. 소재의 길이는 약 얼마인가? (단, 중립면 이동계수 K의 값은 0.5를 택한다. )

  1. 188 mm
  2. 225 mm
  3. 212 mm
  4. 193 mm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의 완성 형상을 보면, U굽힘으로 인해 소재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때 소재의 길이는 중립면 이동계수 K와 두께 t에 따라 결정된다.

    주어진 그림에서, 소재의 두께 t는 2 mm이다. 중립면 이동계수 K는 0.5로 주어졌으므로, 소재의 길이는 초기 길이의 1.5배가 된다.

    따라서 초기 길이를 구해야 한다. 초기 형상에서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까지의 길이는 100 mm + 50 mm + 38 mm = 188 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8 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블랭킹 다이에서 제품의 치수를 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가장 적합한 것은?

  1. 블랭킹 펀치를 정치수로 하여 다이의 치수를 가감하여 클리어런스를 준다.
  2. 구멍 치수가 필요한 피어싱 할 때는 정치수로 하여 펀치의 치수를 가감하여 클리어런스를 준다.
  3. 블랭킹이나 피어싱은 다 같이 다이를 정치수로 하여 펀치의 치수를 적게 한다.
  4. 블랭킹 때는 다이의 치수, 피어싱 때는 펀치를 각각 정치수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블랭킹은 다이와 워크피스의 간격을 정하는 작업이고, 피어싱은 다이와 펀치의 간격을 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블랭킹 때는 다이의 치수를 기준으로 클리어런스를 조절하고, 피어싱 때는 펀치의 치수를 기준으로 클리어런스를 조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블랭킹 때는 다이의 치수, 피어싱 때는 펀치를 각각 정치수로 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금형설계를 할 때 파일럿 핀(Pilot Pin)을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제품을 정확히 벤딩 시키기 위해
  2. 제품을 펀칭하기 위해
  3. 제품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4. 제품을 돌출하기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일럿 핀은 금형과 제품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이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제품의 정확한 벤딩이 가능해지며, 제품의 펀칭이나 돌출 작업에서도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가 가장 큰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소재의 두께 2mm 전단강도 τ=38kgf/mm2 이고, 압축강도 σp=142kgf/mm2 일 때 펀치의 소직경은 약 얼마인가?

  1. 5.14 mm
  2. 4.14 mm
  3. 3.14 mm
  4. 2.14 mm
(정답률: 알수없음)
  • 펀치의 소직경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d = 2√(F/(πτ))

    여기서 F는 압축하려는 재료의 최대 하중입니다. 이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F = σp×A

    여기서 A는 압축하려는 면의 면적입니다. 이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t×w

    여기서 t는 소재의 두께이고, w는 압축하려는 면의 너비입니다.

    따라서, F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A를 구해야 합니다.

    A = 2mm×w

    다음으로 F를 구합니다.

    F = 142kgf/mm²×2mm×w = 284w kgf

    마지막으로 d를 구합니다.

    d = 2√(284w/(π×38kgf/mm²))

    여기서 w는 d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입니다. 따라서, w를 최대화하여 d를 구합니다.

    d = 2√(284×(d/2)÷(π×38)) = 2.14mm

    따라서, 정답은 "2.14 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상형의 상하운동을 정확히 하형에 안내하여 펀치와 다이의 관계위치를 정확히 유지하며 금형의 수명을 보호하고 제품의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부품으로 사용되는 것은?

  1. 소재안내판
  2. 가이드포스트와 가이드 부시
  3. 위치결정핀
  4. 파일럿 핀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형의 상하운동을 정확히 유지하며 금형의 수명을 보호하고 제품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펀치와 다이의 관계위치를 정확히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이드포스트와 가이드 부시가 사용됩니다. 가이드포스트는 다이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부시는 펀치에 부착되어 펀치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펀치와 다이의 관계위치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금형의 수명을 보호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U-굽힘에서 스프링 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펀치의 내측에 구배를 만든다.
  2. 펀치 밑면에 도피 홈을 만든다.
  3. 패드 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의 압력을 적당히 조절한다.
  4. 펀치와 다이 사이의 공간을 크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펀치와 다이 사이의 공간을 크게 한다."가 틀린 것은 이유가 없습니다. 모든 보기는 U-굽힘에서 스프링 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펀치와 다이 사이의 공간을 크게 한다."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른 설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4개의 모서리에 가이드 포스트를 설치한 다이 세트는?

  1. DB형
  2. BB
  3. CB
  4. FB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FB"입니다. 이유는 다이 세트가 4개의 모서리에 가이드 포스트를 설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DB형"은 가이드 포스트가 3개이고, "BB"와 "CB"는 가이드 포스트가 2개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벤딩가공시 휨이나 비틀림이 생긴다. 그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벤딩 전개 계산이 보정 계수를 수정한다.
  2. 클리어런스를 균일하게 한다.
  3. 판 두께 치수를 변경한다.
  4. 벤딩 선상의 R을 크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벤딩가공시 휨이나 비틀림이 생기는 이유는 재료의 물성과 벤딩 가공시 발생하는 내부응력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벤딩 전개 계산을 통해 보정 계수를 수정하여 클리어런스를 균일하게 하거나 판 두께 치수를 변경하거나 벤딩 선상의 R을 크게 조절하여 휨이나 비틀림을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벤딩 전개 계산이 보정 계수를 수정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레이저(Laser)가공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비접촉 가공이므로 공구마모가 없다.
  2. 자동 가공이 쉽고 특히 CNC이용이 가능하다.
  3. 높은 에너지를 집중시킴으로써 열에 의한 변형이 많다.
  4. 세라믹, 유리, 석영 등 고경도 취성재료의 가공이 용이 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에너지를 집중시킴으로써 열에 의한 변형이 많다."가 틀린 것입니다. 레이저 가공은 높은 에너지를 집중시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열에 의한 변형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드릴 가공의 종류 중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부분이 가공물 안으로 묻히도록 단이 있는 구멍을 절삭하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카운터 보링
  2. 리밍
  3. 보링
  4. 태핑
(정답률: 알수없음)
  • 카운터 보링은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부분이 가공물 안으로 묻히도록 하기 위해 단이 있는 구멍을 절삭하는 방법입니다. "카운터"는 영어로 "계수기"를 뜻하며, 이는 가공물 표면에서부터 특정 깊이까지의 거리를 계수하는 기계에서 유래한 용어입니다. 따라서 카운터 보링은 가공물 표면에서부터 특정 깊이까지의 구멍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레스 가공의 블랭킹 전단과정에서 펀치와 다이 사이의 틈새(Clearance)가 클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제품 또는 소재가 펀치에 부착되어 상승하므로 이를 빼는 힘이 커진다.
  2. 제품의 전단면이 커지며 깨끗한 가공이 된다.
  3. 제품의 정도가 향상되며 뒤틀림 현상이 적어진다.
  4. 전단 날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으므로 마모가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 날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으므로 마모가 적다."는 틈새가 클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펀치와 다이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서 제품이 펀치에 부착되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전단 날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아지므로 마모가 적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재료 표면 속에 가공하려는 부분만큼을 남겨서 다른 부분을 내약품 도막으로 피복하여 산 또는 알칼리 등에서 이루어지는 가공액 속에 침지하여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노출면 만큼 용해하는 가공법으로 명판, 자의 눈금 등을 만드는 가공법은?

  1. 부식가공
  2. 전주가공
  3. 밀링가공
  4. 선반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 표면을 부식하여 원하는 형태를 만드는 가공법이 부식가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전주, 밀링, 선반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이므로 부식가공과는 다른 가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600rpm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에서 3회전 휴지(Dwell)를 주려고 할 때 NC 프로그램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G04 X0.3;
  2. G04 X0.5;
  3. G04 P30;
  4. G04 P5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G04 P30;"입니다.

    G04는 지연(Dwell) 명령어이며, P는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입니다. P30은 30밀리초 동안 지연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3회전 휴지를 줄 수 있습니다.

    G04 X0.3;은 X축 방향으로 0.3mm 이동 후 지연을 주는 명령어이므로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G04 X0.5;와 G04 P50;도 마찬가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공액 속에서 전극과 가공물 사이에 전기를 통전 시켜, 방전형상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용융 증발시켜 가공을 진행하는 비접촉식 가공방법은?

  1. 초음파 가공
  2. 방전 가공
  3. 전해 연삭
  4. 드릴 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가공은 전극과 가공물 사이에 전기를 통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용융 증발시켜 가공을 진행하기 때문에 비접촉식 가공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방전 가공, 전해 연삭, 드릴 가공은 모두 전극과 가공물 사이에 전기를 통전시켜 가공을 진행하는 방법이므로 정답은 초음파 가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CNC 밀링에서 Ø20mm인 엔드밀로 연강을 가공하고자 할 때 주축의 회전수는 얼마인가? (단, 절삭소도는 150m/min이다.)

  1. 890rpm
  2. 1390 rpm
  3. 1590 rpm
  4. 2389 rp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로부터 절단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절단속도 = 절삭속도 × 절삭소도 = 0.15m/min × π × 0.02m = 0.00942m/s

    엔드밀의 주축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주축 회전수 = 절단속도 ÷ (π × 지름) = 0.00942m/s ÷ (π × 0.02m) ≈ 2389rpm

    따라서, 정답은 "2389 rp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앵글 플레이트 지그의 형태로 공작물을 일정한 거리와 각도로 분할 하여 정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는 데 가장 적합한 지그는?

  1. 리프형 지그
  2. 분할형 지그
  3. 채널 지그
  4. 박스 지그
(정답률: 알수없음)
  • 분할형 지그는 앵글 플레이트를 일정한 거리와 각도로 분할하여 정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공작물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분할 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고,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을 수 있어 제조 공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리프형 지그는 곡면을 가진 공작물을 가공할 때 사용되며, 채널 지그는 채널 형태의 공작물을 가공할 때 사용되며, 박스 지그는 상자 형태의 공작물을 가공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반적으로 치공구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위치 결정면
  2. 클램프
  3. 위치 결정구
  4. 게이지
(정답률: 알수없음)
  • 위치 결정면, 클램프, 위치 결정구는 모두 치공구의 위치 결정에 관련된 요소이지만, 게이지는 치공구의 크기나 깊이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도구이기 때문에 위치 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게이지는 치공구의 3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감을 지그에 고정할 때에는 일감에 변형이 나타나거나 절삭력에 의하여 일감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야 하며, 일감을 고정하거나 풀기가 쉬워야 한다. 지그의 클램핑(체결) 방식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나사 클램핑
  2. 캠 클램핑
  3. 유압, 공기압을 이용한 클램핑
  4. 리벳을 이용한 클램핑
(정답률: 알수없음)
  • 리벳을 이용한 클램핑은 일감을 고정하는 것이지만, 일감에 변형이 생길 수 있으며 일감을 풀기가 어렵기 때문에 지그의 클램핑 방식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리벳을 이용한 클램핑은 지그의 클램핑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공작기계 자체로 절삭할 수 없는 윤곽을 절삭할 수 있도록 절삭 공구를 안내하는데 사용되며 커터는 고정구와 계속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고정구의 윤곽대로 절삭되는 것은?

  1. 멀티스테이션 고정구
  2. 앵글플레이트 고정구
  3. 총형 고정구
  4. 분할 고정구
(정답률: 알수없음)
  • 총형 고정구는 공작기계 자체로 절삭할 수 없는 복잡한 윤곽을 절삭할 수 있도록 고정구와 커터가 계속적으로 접촉되어 있어 고정구의 윤곽대로 절삭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공작기계 자체로는 절삭할 수 없는 윤곽을 절삭할 수 있는 고정구를 선택해야 하므로 총형 고정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구명용 한계게이지가 아닌 것은?

  1. 판형 플러그 게이지
  2. 스냅게이지
  3. 원통형 플러그 게이지
  4. 봉 게이지
(정답률: 알수없음)
  • 구명용 한계게이지는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파열하여 안전장치로 작용하는 게이지입니다. 스냅게이지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스냅하는 장치로서, 구명용 한계게이지와는 다른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냅게이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밀 정반의 평면도, 마이크로미터의 직각도, 평행도, 공작기계 베드 면의 진직도, 직각도, 기타 미소각의 차 등의 측정에 이용되는 광학적 측정기는 ?

  1. 공기 마이크로미터
  2. 오토콜리메이터
  3. 전기 마이크로미터
  4. 텔리스코핑 게이지
(정답률: 알수없음)
  • 오토콜리메이터는 광학적 측정기 중 하나로, 정밀 정반의 평면도, 마이크로미터의 직각도, 평행도, 공작기계 베드 면의 직각도, 직각도, 기타 미소각의 차 등의 측정에 이용됩니다. 이는 광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빛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의 크기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토콜리메이터는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수나사의 측정법 중 3침법은 다음의 어느 것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가?

  1. 리드각
  2. 유효경
  3. 피치
  4. 나사산의 각도
(정답률: 알수없음)
  • 3침법은 유효경을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3침법이 나사의 유효경을 직접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리드각은 나사의 나선 간격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피치는 나사의 나선 간격과 나사 진행 방향의 거리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나사산의 각도는 나사의 나선 각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한 진원도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직경법
  2. 3점법
  3. 반경법
  4. 2점법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한 진원도 측정법은 원의 직경을 측정하여 진원도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해 2점법은 원의 둘레 상에서 두 점을 선택하여 그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2점법은 직경이나 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한 진원도 측정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한국산업규격 촉침식 표면 거칠기 측정기에서 촉침과 변환기를 가지고 대상물에 직접 닿아 궤적을 그리는 요소를 포함한 기구는?

  1. 트레이싱 요소
  2. 노즐
  3. 측정 루프
  4. 프로브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 루프는 촉침식 표면 거칠기 측정기에서 촉침과 변환기를 가지고 대상물에 직접 닿아 궤적을 그리는 요소입니다. 다른 보기인 트레이싱 요소, 노즐, 프로브는 측정 루프와 달리 대상물에 직접 닿지 않고 측정을 수행하는 요소들입니다. 따라서 측정 루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게이지 블록과 같이 밀착이 가능하므로 헐더가 필요 없으며, 각도의 가산, 감산에 의해서 필요한 각도를 조합할 수있고 조합 후 정도는 2~3”인 것은?

  1. 오토콜리메이터
  2. N.P.L식 각도 게이지
  3. 기계식 각도 정규
  4. 수준기
(정답률: 알수없음)
  • N.P.L식 각도 게이지는 각도를 조합할 수 있고 정도가 2~3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도를 조합하거나 정도를 나타내는 기능이 없으므로 정답은 N.P.L식 각도 게이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3D모델링 방법에서 가장 고급적인 기법으로 셀 혹은 기본곡면이라고 불리는 직육면체, 구, 원추, 실린더 등의 입체 요소들을 조합하여 모델을 구성하는 방식은?

  1. 서페이스 모델링
  2. 와이어프레임 모델링
  3. 솔리드 모델링
  4. 직선 모델링
(정답률: 알수없음)
  • 솔리드 모델링은 입체 요소들을 조합하여 모델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모델 내부와 외부를 모두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 3D 프린팅 등의 제조 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장 고급적인 기법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최근 CAD/CAM 시스템에서 지원되고 있는 곡선으로 4개의 조정 점 외에 4개의 가중치 값과 놋트 벡터라는 추가적인 정보가 이용되는 곡선은?

  1. 퍼거슨 곡선
  2. 원추 곡선
  3. 스플라인 곡선
  4. NURBS 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플라인 곡선은 4개의 조정 점 외에 4개의 가중치 값과 놋트 벡터를 이용하여 곡선을 정의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곡선의 부드러운 곡률을 조절할 수 있으며, CAD/CAM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플라인 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AD 시스템에서 선, 원, 문자 등 동형 형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요소
  2. 모델
  3. 데이터
  4. 픽셀
(정답률: 알수없음)
  • CAD 시스템에서 선, 원, 문자 등 동형 형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는 "픽셀"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각각의 픽셀은 색상과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CAD 시스템에서도 도형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를 담고 있는 픽셀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AM 소프트웨어를 이요한 곡면 가공에서 CL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구의 위치, 과절삭, 미절삭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곡면 정의
  2. 전처리
  3. 도형저의
  4. 공구경로 검증
(정답률: 알수없음)
  • C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곡면 가공에서 CL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구의 위치, 과절삭, 미절삭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공구경로 검증"이라고 합니다. 이는 CAM 소프트웨어가 생성한 곡면 가공 경로가 실제로 공구가 움직이는 경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가공 중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가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정확한 가공 결과를 얻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래와 같은 머시닝 센터 프로그램에서 현재 공구가 프로그램 원점에 위치해 있을 때 공구가 지령 된 위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단, 스핀들의 회전수는 120rpm이다.)

  1. 3초
  2. 3분
  3. 1.5초
  4. 1.5분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동화시스템의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생산성 향상
  2. 원가절감
  3. 생산제품의 품질 균일
  4. 시설투자비와 운영비 절감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화시스템의 도입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원가절감이 가능해지며 시설투자비와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산제품의 품질 균일은 자동화시스템의 도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생산제품의 품질 균일은 생산 과정에서 품질관리를 철저히 하고, 작업자의 기술과 경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물체의 위치와 속도, 가속도 등 방향 및 자세 등의 기계적인 변위를 제어량으로 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량이 목표 값에 정확히 추종하도록 설계한 제어계로서 공작 기계의 제어 등에 이용되는 제어는?

  1. 수치 제어
  2. 서보 제어
  3. 자동 조정
  4. 고정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서보 제어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 가속도 등의 기계적인 변위를 제어량으로 하여 목표 값에 정확히 추종하도록 설계된 제어계입니다. 따라서 공작 기계의 제어 등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그림과 같은 기호 중 에서 검출 스위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검출 스위치가 아닌, 출력 스위치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검출 스위치는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스위치이고, 출력 스위치는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금속체나 자성체에서 발생 되는 전계나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점을 개폐하며,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검출하는 스위치는?

  1. 리미트 스위치
  2. 풋 스위치
  3. 근접 스위치
  4. 압력 스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근접 스위치는 금속체나 자성체에서 발생되는 전계나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점을 개폐하며,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검출하는 스위치입니다. 따라서 근접 스위치는 물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물체의 형태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동기가 가동이 되지 않을 때 점검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원 주파수 변동 유무
  2. 과부하 유무
  3. 퓨즈의 단선
  4. 상 결선의 단락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기의 가동 여부는 전원 주파수 변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전원 주파수가 일정하지 않거나 변동이 심하면 전동기의 회전수가 일정하지 않아 가동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동기가 가동이 되지 않을 때는 전원 주파수 변동 여부도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절차 계획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각 작업의 소요시간
  2. 각 작업의 실시 순서
  3. 각 작업에 필요한 기계와 공구
  4. 각 작업의 부하와 능력의 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절차 계획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내용은 각 작업의 소요시간, 각 작업의 실시 순서, 각 작업에 필요한 기계와 공구입니다. 이 중에서 "각 작업의 부하와 능력의 조정"은 작업자나 기계의 능력과 부하를 고려하여 작업 일정을 조정하는 것으로, 다른 내용들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업자가 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그 과정을 가공, 검사, 운반, 저장 등의 기호를 사용하며 분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작업자 연합작업분석
  2. 작업자 동작분석
  3. 작업자 미세분석
  4. 작업자 공정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자가 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의 동작과 함께 작업의 과정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작업 방법을 찾는 것을 작업자 공정분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작업자 공정분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u 관리도의 관리상한선과 관리 하한선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u 관리도에서 관리상한선은 평균값에서 3 표준편차를 더한 값이고, 관리하한선은 평균값에서 3 표준편차를 뺀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계획공정도에서 주공정으로 옳은 것은?

  1. ① - ③ - ⑥
  2. ① - ② - ⑤ - ⑥
  3. ① - ② - ④ - ⑤ - ⑥
  4. ① - ③ - ④ - ⑤ - ⑥
(정답률: 알수없음)
  • 주공정은 전체 공정 중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공정으로, 다른 공정들이 이에 맞춰 진행되기 때문에 주공정이 먼저 진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①이 가장 먼저 오고, 그 다음으로는 ③이 오게 됩니다. 그리고 ③ 이후에는 ④, ⑤, ⑥이 차례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 ③ - ④ - ⑤ - 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집단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으로부터 각각 랜덤하게 시료를 뽑는 샘플링 방법은?

  1. 층별 샘플링
  2. 2단계 샘플링
  3. 계통 샘플링
  4. 단순 샘플링
(정답률: 알수없음)
  • 층별 샘플링은 모집단을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서 랜덤하게 시료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층을 나누기 때문에 층 내부의 특성이 유사한 경우에는 샘플링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층별로 시료를 추출하기 때문에 모집단의 전체를 대표하는 샘플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층별 샘플링은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샘플링을 수행할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관리의 사이클을 가장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A: 조치, C: 검토, D: 실행, P: 계획)

  1. P-C-A-D
  2. P-A-C-D
  3. A-D-C-P
  4. P-D-C-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D-C-A"입니다.

    관리의 사이클은 계획, 실행, 검토, 조치의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P-D-C-A"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먼저, 계획 단계에서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다음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계획을 실행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리고 검토 단계에서는 실행 결과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합니다. 마지막으로, 조치 단계에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

    따라서, "P-D-C-A"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