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제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30)

금형제작기능장
(2008-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기능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방향제어밸브
  2. 회로지시밸브
  3. 압력제어밸브
  4. 유량제어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회로지시밸브는 유압 회로의 흐름을 표시하거나 회로의 특정 부분에서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압 제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기능에 따른 유압 제어 밸브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압 실린더의 호칭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호칭 압력
  2. 스트로크 길이
  3. 튜브 안지름
  4. 실린더 외경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린더 외경은 유압 실린더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호칭 압력, 스트로크 길이, 튜브 안지름은 유압 실린더의 성능과 사용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호칭에 표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실린더 외경은 호칭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공유압 회로에 대한 용어로 옳은 것은?

  1. 미터 인 회로
  2. 미터 아웃 회로
  3. 블리드 오프 회로
  4. 오어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공유압 회로에서 미터는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며, 이 회로에서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미터가 사용되므로 "미터 인 회로"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미터 인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기의 공급량(체적 유량)이 일정할대, 지름 6mm인 공압 호스를 지름 10mm로 바꾸었다면 공기의 속도는 처음 속도의 몇 배로 되는가? (단, 공기는 비압축성이고 흐름은 정상류이다.)

  1. 0.36배
  2. 2.78배
  3. 0.65배
  4. 1.67배
(정답률: 알수없음)
  • 체적 유량이 일정하므로, 호스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속도는 줄어들게 된다. 이는 연속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Q = Av

    여기서 Q는 체적 유량, A는 단면적, v는 속도를 나타낸다. 체적 유량은 일정하므로, A가 커질수록 v는 작아지게 된다.

    지름이 6mm인 호스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1 = π(6/2)^2 = 28.27 mm^2

    지름이 10mm인 호스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2 = π(10/2)^2 = 78.54 mm^2

    단면적이 2.78배 커졌으므로, 속도는 0.36배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0.36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유압장치의 각 기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오일 필터는 회로에 공급되는 유압유 내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을 여과한다.
  2. 릴리프 밸브는 회로의 최고압력을 제한하는 밸브로서 회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3. 어큐뮬레이터는 밸브의 개폐 등에 의한 충격압력을 흡수하며 맥동압을 제거한다.
  4. 무부하 밸브는 어큐뮬레이터의 브릿지를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부하 밸브는 어큐뮬레이터의 브릿지를 조정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무부하 밸브는 유압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하중이 없는 상태에서 유압유의 유입을 차단하여 유압장치의 작동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어큐뮬레이터의 브릿지를 조정하는 역할은 브릿지 밸브가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2~3% Be을 첨가한 구리 합금으로 시효 경화성이 있으며, 구리 합금 중에서 가장 큰 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내마멸성, 탄성, 전도율이 우수하므로 베어링, 고급스프링 등으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은?

  1. 코슨 합금
  2. 규소 청동
  3. 베릴륨 동
  4. 망간 동
(정답률: 알수없음)
  • 베릴륨 동은 2~3%의 베릴륨을 첨가하여 만든 구리 합금으로, 시효 경화성이 있어 강도와 경도가 높습니다. 또한 내마멸성, 탄성, 전도율이 우수하여 베어링, 고급스프링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베릴륨 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6:4 황동에 1~2% Fe을 첨가한 고강도의 황동은?

  1. 엘린바
  2. 네이벌 황동
  3. 델타메탈
  4. 애드미럴티 황동
(정답률: 알수없음)
  • 황동에 첨가된 1~2%의 Fe은 황동 내부의 결정 구조를 바꾸어 고강도를 얻을 수 있게 합니다. 이때, Fe이 첨가된 황동 중에서 델타메탈은 Fe이 더욱 고루 분포되어 있어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황동에 Fe을 첨가하여 고강도를 얻고자 할 때, 델타메탈이 가장 적합한 선택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탄소강에 함유된 망간의 영향과 거리가 먼 것은?

  1. 고온에서 거칠어지는 것을 감소시킨다.
  2. 고온가공은 용이하나 냉간가공에는 불리하다.
  3. 담금질 효과를 증대시킨다.
  4. 강도를 감소시키고 연성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은 탄소강의 합금 원소 중 하나로, 강도를 증가시키고 연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강도를 감소시키고 연성을 증가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시험편의 인장시험에서 초기 단면적이 0.2cm2 이고, 단면 수축율이 25%로 계산되었다면 파괴되기 직전의 최소 단면적은 몇 cm2 인가?

  1. 0.15
  2. 0.12
  3. 0.05
  4. 0.19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수축율은 초기 단면적에서 파괴 직전 단면적까지의 감소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파괴 직전의 최소 단면적은 초기 단면적에서 단면 수축율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단면 수축율이 25%이므로, 파괴 직전의 단면적은 초기 단면적의 75%가 됩니다. 따라서 최소 단면적은 0.2cm2 x 0.75 = 0.15cm2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철(Fe)-탄소(C) 복합형 상태도에서 공석(0.8%C)강의 조직은?

  1. 페라이트
  2. 펄라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공석강은 Fe-C 상태도에서 Fe와 C가 혼합된 상태로, 주로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0.8%C는 유리전이 온도가 낮아 펄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동시에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펄라이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펄라이트는 철과 탄소가 균일하게 혼합된 조직으로, 연성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황동에서 나타나는 화학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고온 탈아연
  2. 저온풀림연화
  3. 탈아연 부식
  4. 자연균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자연균열

    설명: 황동은 고온에서는 탈아연 부식이 일어나고, 저온에서는 풀림연화가 일어납니다. 하지만 자연균열은 황동의 화학적 성질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주조된 상태에서 구상 흑연 주철의 조직이 아닌 것은?

  1. 페라이트
  2. 펄라이트
  3. 불스아이(페라이트+펄라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된 상태에서 구상 흑연 주철은 불스아이(페라이트+펄라이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텐자이트는 경화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조직으로, 주조된 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텐자이트는 주조된 상태에서 구성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출성형품에 발생한 기포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사출압력을 내린다.
  2. 윤활제나 이형제의 과다한 사용을 피한다.
  3. 수지를 충분히 건조 시킨다.
  4. 캐비티 내의 공기빼기를 충분히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출압력을 내리는 것은 기포를 방지하는 대책이 아니다. 사출압력을 낮추면 제품의 밀도가 낮아지고, 제품의 크기나 형태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출성형품에 발생한 기포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은 사출압력을 유지하면서 윤활제나 이형제의 과다한 사용을 피하고, 수지를 충분히 건조시키며, 캐비티 내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사출성형기의 형체력을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은? (단, P(kgf/cm2) : 캐비티 내의 단위 면적당 평균압력, A(cm2) : 캐비티 내의 투영면적 , F(ton) : 형체력)

  1. F ≧ P + A × 10-3
  2. F < P + A × 10-3
  3. F < P × A × 10-3
  4. F ≧ P × A × 10-3
(정답률: 알수없음)
  • 사출성형기에서 형체력은 캐비티 내의 평균압력(P)과 투영면적(A)에 비례하며, 상수계수인 10-3을 곱한 값과 같다. 따라서 형체력(F)은 P × A × 10-3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즉, 캐비티 내의 압력과 면적이 클수록 형체력이 커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F ≧ P × A × 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싱크마크(sink mark)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성형품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오목현상이다.
  2. 용융 수지가 금형 캐비티 내에 충전되면서 유통 궤적이 생겨 나타나는 현상이다.
  3. 성형품의 일부분이 성형되지 않는 현상이다.
  4. 용융된 수지가 금형 캐비티 내에서 분류하였다가 합류하는 부분에 생기는 가느다란 선모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성형품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오목현상이다."입니다. 싱크마크는 성형품의 표면에서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오목한 현상으로, 성형 시 용융된 수지가 금형 캐비티 내에서 냉각되면서 수축하고, 그 결과 표면에 오목한 형상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는 성형품의 외관적인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핀 포인트 게이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게이트의 위치 선정이 자유롭다.
  2. 게이트 부근에서 잔류응력이 많다.
  3. 게이트가 자동적으로 절단된다.
  4. 수축 및 변형을 적게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트가 자동적으로 절단되는 것은 핀 포인트 게이트의 특징이 아닙니다.

    게이트 부근에서 잔류응력이 많은 이유는, 핀 포인트 게이트는 작은 크기의 게이트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절단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절단된 부분에서 잔류응력이 발생하며, 이는 부분적으로 절단된 부분의 물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출금형 설계시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정하는데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마무리가 잘 될 수 있는 위치 또는 형상으로 한다.
  2. 언더컷을 피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3. 눈에 잘 보이는 위치 또는 형상으로 한다.
  4. 금형 열림 방향에 수직인 평면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팅 라인은 제품의 외형과 마감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마무리가 잘 될 수 있는 위치 또는 형상으로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에 잘 보이는 위치 또는 형상으로 정하는 것은 제품의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며,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때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파팅 라인을 눈에 잘 보이는 위치 또는 형상으로 정하는 것은 제품의 외형적인 측면을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상자 또는 뚜껑을 사출성형으로 가공 하고자 한다. 성형품 높이가 50mm 까지인 경우 빼기구배를 얼마로 하는 것이 좋은가?

(정답률: 알수없음)
  • 빼기구배는 성형품의 높이와 뚜껑 또는 상자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클수록 성형품의 높이와 뚜껑 또는 상자의 높이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가공이 어렵고, 불량품 발생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성형품 높이가 50mm 까지인 경우에는 빼기구배를 0.5mm 이하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빼기구배가 작을수록 가공이 쉽고, 불량품 발생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출성형 후 스프루를 스프루부시 밖으로 당겨 빼는 기능을 가진 금형 부품은?

  1. 슬라이드 핀
  2. 스프루 가이드 핀
  3. 스프루 로크 핀
  4. 스프루 로킹 블록
(정답률: 알수없음)
  • 사출성형 후 스프루를 스프루부시 밖으로 당겨 빼는 기능을 가진 부품은 스프루 로크 핀입니다. 스프루 로크 핀은 스프루부시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루가 형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잠금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스프루를 쉽게 빼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프레스 가공에서 다이를 분할 할 때의 검토 사항이다. 가장 옳은 것은?

  1. 분할점에서 분할선의 방향은 절단윤곽의 곡선 또는 예각으로 한다.
  2. 국부적으로 이상한 요철이 있을 때는 일체형 다이를 사용한다.
  3. 분할점은 곡선과 곡선의 접점으로 하고 비대칭이 되도록 한다.
  4. 다이 블록(die block)은 각형, 원형,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 블록은 각형, 원형,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한다. 이유는 이러한 형상은 가공이 용이하고, 다이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제품의 정확도와 품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형상은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드로잉한 가공제품에서 발생하는 쇼크 마크(Shock mark) 발생에 대한 설명 중 관계없는 것은?

  1. 재 드로잉용 펀치의 모서리 반경이 작을 때 생긴다.
  2. 펀치의 모서리 반경이 작을 때 생긴다.
  3. 다이의 모서리 반경이 작을 때 생긴다.
  4. 블랭크 홀더의 압력이 너무 클 때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블랭크 홀더의 압력이 너무 클 때 생긴다. - 이유: 가공 과정에서 블랭크 홀더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드로잉한 부분이 블랭크 홀더와 마찰하면서 쇼크 마크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프레스가공 중 압축가공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업세팅
  2. 트리밍
  3. 코이닝
  4. 스웨이징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가공은 재료를 압축하여 형태를 만드는 가공 방법이며, 업세팅, 코이닝, 스웨이징은 모두 압축가공에 속합니다. 하지만 트리밍은 이미 만들어진 제품의 가장자리를 깎아내는 가공 방법으로, 압축가공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트리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판 두께가 5mm인 경강 제품을 블랭킹 하는데 6000kgf의 전단력이 필요하였다. 프레스의 일량은 몇 kgf-m 인가? (단, 일량보정계수 k = 0.7 이다.)

  1. 19
  2. 21
  3. 24
  4. 28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력 = 전단강도 × 면적 × 전단변형률
    전단강도 = 78kgf/mm² (경강의 전단강도)
    면적 = 길이 × 두께 = 1m × 0.005m = 0.005m²
    전단변형률 = 0.2 (경강의 전단변형률)

    6000kgf = 6000N = 6000N × 0.001kN/N = 6kN
    전단력 = 6kN
    전단력 = 78kgf/mm² × 0.005m² × 0.2
    0.6kN = 78kgf/mm² × 0.005m² × 0.2
    0.6kN = 0.00039m³
    일량 = 전단력 × 블랭킹 거리 × k
    블랭킹 거리 = 0.005m (판 두께)
    일량 = 6kN × 0.005m × 0.7
    일량 = 21kgf-m

    따라서, 정답은 "2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블랭킹 작업시 전단력을 작게 하려고 한다. 다음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어느 것인가?

  1. 다이에 전단각(shear angle)을 준다.
  2. 펀치와 다이의 틈새(clearance)를 작게 한다.
  3. 프레스의 가공속도를 빨리 한다.
  4. 펀치와 다이의 모서리를 날카롭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에 전단각을 준다. 전단각을 주면 재료가 다이와 펀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전단력이 분산되어 작용하게 되어 전단력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도면과 같은 원통형 성형품의 블랭크 직경은 약 몇 mm 인가? (단, 판 두께와 무서리 반지름은 무시한다.)

  1. 150
  2. 160
  3. 170
  4. 180
(정답률: 알수없음)
  • 원통형 성형품의 블랭크 직경은 원주율 π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원주율 π는 대략 3.14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원통형 성형품의 둘레는 무서리 반지름과 판 두께를 더한 값과 같습니다.

    둘레 = (무서리 반지름 + 판 두께) × 2 × π

    둘레가 942mm 이므로,

    942 = (무서리 반지름 + 판 두께) × 2 × 3.14

    무서리 반지름과 판 두께를 무시하고 계산하면,

    942 ÷ 2 ÷ 3.14 ≈ 150

    따라서, 블랭크 직경은 약 150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블랭크 지름이 85mm이고, 제품의 지름이 55mm인 원통을 만들려고 한다. 드로잉률은 몇 % 인가?

  1. 55.4
  2. 64.7
  3. 69.3
  4. 72.8
(정답률: 알수없음)
  • 드로잉률은 (블랭크 지름 - 제품 지름) / 블랭크 지름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85-55)/85 x 100 = 64.7 이므로 정답은 6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블랭킹, 피어싱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2. 파일럿 핀이 설치되어 있다.
  3. 스트리퍼가 없다.
  4. 다이 블록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블랭킹, 피어싱 등 다양한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금형으로, 다이 블록이 있어서 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자동으로 금형이 이동하면서 작업을 처리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 때문에 스트리퍼가 필요하지 않다. 스트리퍼는 금형에서 제품을 분리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다이 블록이 이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스트리퍼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스트리퍼가 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레이저 가공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가공면은 섬세하나 정밀도가 비교적 낮다.
  2. 가공시 열에 의한 변형이 적다.
  3. 공구의 마모가 심하다.
  4.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CNC 이용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저 가공은 고열로 인해 재료를 녹이거나 증발시켜 가공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가공면 주변에는 열이 많이 발생하지만 가공면 자체는 열에 의한 변형이 적습니다. 이는 레이저 가공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고열을 발생시키고 빠르게 냉각시켜 가공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으로 원통 슈퍼피니싱 가공에서 숫돌의 길이는 공작물 길이에 얼마로 하는가?

  1. 같게 한다.
  2. 1/4 로 한다.
  3. 1/6 로 한다.
  4. 1/8 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원통 슈퍼피니싱 가공에서 숫돌의 길이는 공작물 길이와 같게 한다. 이는 숫돌이 공작물의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가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숫돌의 길이를 공작물 길이보다 짧게 하면 일부 부분은 가공되지 않을 수 있고, 길게 하면 숫돌의 끝 부분이 더 많은 압력을 받아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숫돌의 길이는 공작물 길이와 같게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방전가공의 장점을 말한 것이다.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가공 경화되기 쉬운 재료의 가공이 용이하다.
  2. 열에 의한 변형이 적어 가공 정밀도가 좋다.
  3. 전극 및 가공물에 큰 힘이 가해진다.
  4. 무인 운전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극 및 가공물에 큰 힘이 가해진다."는 방전가공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방전가공 시 전극과 가공물에 큰 힘이 가해져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전가공의 장점은 "가공 경화되기 쉬운 재료의 가공이 용이하다.", "열에 의한 변형이 적어 가공 정밀도가 좋다.", "무인 운전이 가능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음파 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가공 후 변형이 거의 없다.
  2. 공구 이외는 마모 부품이 없다.
  3. 표면 다듬질에는 이용할 수 없다.
  4. 유리, 수정, 루비 등의 재료를 가공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가공은 고주파 진동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으로, 공구 이외의 마모 부품이 없고 가공 후 변형이 거의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초음파는 고주파 진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표면 다듬질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초음파는 재료 내부로 진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표면을 다듬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표면 다듬질에는 초음파 가공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전성의 가공물은 그 재질 및 경도에 관계없이 고정도의 가공이 가능하며 또한 가공액으로 물을 사용하므로 화재의 염려가 없어 야간 무인운전이 가능한 공작기계는?

  1. 밀링
  2. 공구 연삭기
  3. 브로우칭 머신
  4.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
(정답률: 알수없음)
  •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는 물을 사용하여 가공하는 공작기계로, 화재의 염려가 없어 야간 무인운전이 가능합니다. 또한 그 재질 및 경도에 관계없이 고정도의 가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도전성의 가공물을 가공하는 데 적합한 공작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금속판의 두께는 변화시키지 않고 상하 반대로 여러 가지 모양의 요철을 만드는 가공은?

  1. 비딩가공
  2. 버링가공
  3. 엠보싱가공
  4. 피어싱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엠보싱가공은 금속판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 상하 반대로 여러 가지 모양의 요철을 만드는 가공 방법입니다. 이는 금속판을 특정한 패턴으로 압축하여 요철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요철의 모양과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엠보싱가공은 금속판을 꾸미는 장식적인 요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금형제작에 있어 전기화학 가공에 의한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해가공
  2. 버니싱가공
  3. 전해연마
  4. 전주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버니싱가공은 금형제작에 있어 전기화학 가공에 속하지 않습니다. 버니싱가공은 표면처리 기술 중 하나로, 금속 표면에 특수한 도료를 바르거나 분사하여 광택을 내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전해가공, 전해연마, 전주가공은 전기화학 가공에 속하며, 버니싱가공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치공구의 사용에 따른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의 숙련도 요구가 감소한다.
  2. 가공 정밀도 향상으로 불량품을 방지한다.
  3. 가공시간을 단축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호환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일체형 단일제품 제작에만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호환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일체형 단일제품 제작에만 사용한다."는 치공구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치공구를 사용하여 가공한 제품이 다른 치공구나 기계와 호환되지 않아,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제약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체형 단일제품 제작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그의 손익분기점(N)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Y : 지그 제작 비용, y : 1시간당 가공 비용, H : 지그를 사용하지 않을 때 1개당 가공 시간, HJ : 지그를 사용할 때 1개당 가공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지그의 손익분기점(N)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N = Y / (HJ - H)

    이유는 손익분기점이란 매출액과 총 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하는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액 = 판매량 x 판매가격

    총 비용 = 고정비용 + 가변비용

    여기서 판매량은 N개, 판매가격은 Y + yHJ입니다. 고정비용은 지그 제작 비용 Y이고, 가변비용은 1개당 가공 비용 yH입니다. 따라서 손익분기점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해야 합니다.

    N(Y + yHJ) = Y + NyH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N = Y / (HJ - H)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계 게이지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열팽창 계수가 클 것
  2. 내마모성이 좋을 것
  3. 변형이 적을 것
  4. 정밀 다듬질이 가능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한계 게이지 재료는 높은 내구성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야 하므로 내마모성이 좋을 것이며, 변형이 적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변형이 적을 것이어야 합니다. 또한 정밀 다듬질이 가능해야 하므로 표면 가공이 용이해야 합니다. 따라서, 열팽창 계수가 클 경우 온도 변화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여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한계 게이지 재료에 요구되는 성질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편측공차 을 동등양측공차로 옳게 변환한 것은?

  1. 5.255 ± 0.005
  2. 5.255 ± 0.010
  3. 5.260 ± 0.005
  4. 5.260 ± 0.010
(정답률: 알수없음)
  • 편측공차는 하나의 값에서 양쪽으로 벌어진 범위가 다른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5.255에서 오른쪽으로 0.010만큼 벌어진 범위는 5.265이지만, 왼쪽으로 0.005만큼 벌어진 범위는 5.250입니다. 따라서, 이 값을 동등양측공차로 변환하면, 범위가 양쪽으로 동일하게 0.005만큼 벌어진 경우인 "5.255 ± 0.00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형판 지그(template jig)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레이아웃 템플레이트 지그
  2. 평판 템플레이트 지그
  3. 앵거스 템플레이트 지그
  4. 원판 템플레이트 지그
(정답률: 알수없음)
  • 앵거스 템플레이트 지그는 형판 지그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앵거스 템플레이트 지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판 지그가 아니며, 특정한 용도를 위해 제작되는 맞춤형 지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형판 지그의 종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표면거칠기 측정기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삼선식, 촉침식
  2. 촉침식, 광파간섭식
  3. 광파간섭식, 스키드식
  4. 정적검출식, 촉침식
(정답률: 알수없음)
  • 표면거칠기 측정기는 촉침식과 광파간섭식으로 나뉩니다.

    - 촉침식: 측정기의 촉감 부분을 측정 대상에 대고 압력을 가해 표면의 거칠기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 광파간섭식: 레이저 광선을 측정 대상에 비추어 반사되는 광선의 각도와 진폭을 측정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촉침식, 광파간섭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다음 중 KS규격에 따른 스퍼기어 및 헬리컬기어의 측정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피치
  2. 잇줄
  3. 이형
  4. 유효지름
(정답률: 알수없음)
  • KS규격에 따른 스퍼기어 및 헬리컬기어의 측정요소는 피치, 잇줄, 이형입니다. 유효지름은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KS규격에서는 측정요소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유효지름은 기어의 효율성과 회전력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기어의 토크 전달 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나사 골지름을 측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M : 나사의 바깥지름, H : 나사산의 높이임)

  1. 수나사 골지름 = M – 2H
  2. 수나사 골지름 = M – 4H
  3. 수나사 골지름 = M + 2H
  4. 수나사 골지름 = M + 4H
(정답률: 알수없음)
  • 수나사 골지름은 나사의 바깥지름에서 나사산의 높이의 두 배를 뺀 값이다. 따라서 계산식은 "수나사 골지름 = M – 2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인바에 의한 각도측정시 45° 이상의 각도 측정에서 큰 오차가 발생하는 가장 타당한 이유는?

  1. 각도설정 오차함수가 탄젠트 함수로 되므로 45° 이상에서는 심한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2. 측정시 사인바를 설치할 때 자세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3. 사인바의 롤러 중심거리가 짧으므로 45° 이상에서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4. 사인바의 측정면의 정밀도가 45° 이상에서 저하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도설정 오차함수가 탄젠트 함수로 되므로 45° 이상에서는 심한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탄젠트 함수는 45°를 기준으로 값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이 이상의 각도에서는 작은 오차도 큰 값의 오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인바를 사용하여 45° 이상의 각도를 측정할 때는 이러한 오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의 치수공차 표시에서 최대허용치수는?

  1. 70.03
  2. 70.05
  3. 69.98
  4. 69.05
(정답률: 알수없음)
  • 치수공차란 제품의 크기나 형상 등이 어느 정도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최대허용치수는 가장 오른쪽에 있는 "70.05"입니다. 이는 해당 치수의 최대 허용 범위가 70.05에서 70.15까지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치수가 70.05보다 크면 제품이 불량으로 판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솔리드 모델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2. 불(Boolean) 연산(합, 차, 적)에 의하여 복잡한 형상표현이 어렵다.
  3. 형상을 절단하여 단면도 작성이 용이하다.
  4.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솔리드 모델링은 물체를 고체(solid)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불(Boolean) 연산(합, 차, 적)을 통해 여러 개의 기본 도형을 조합하여 복잡한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불(Boolean) 연산에 의하여 복잡한 형상표현이 어렵다"는 것은 솔리드 모델링에서 가장 큰 단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불 연산을 할 때, 기본 도형들의 교차점이나 경계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 연산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개선하거나, 다른 형상 모델링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평판 디스플레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플라즈마 가스 방출형
  2. 래스터 스캔 형
  3. 액정형
  4. 전자 발광판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래스터 스캔 형

    설명: 평판 디스플레이의 종류에는 플라즈마 가스 방출형, 액정형, 전자 발광판형이 있습니다. 래스터 스캔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디스플레이의 종류는 아닙니다. 래스터 스캔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캐너, 프린터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머시닝센터에서 가공물의 고정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으로 공작물을 교환하는 장치는?

  1. APT
  2. ATP
  3. ATC
  4. APC
(정답률: 알수없음)
  • APC는 Automatic Pallet Changer의 약자로, 자동 팔레트 교환기를 의미합니다. 이 장치는 머시닝센터에서 가공물의 고정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자동으로 공작물을 교환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P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500rpm 으로 회전하는 스핀들에서 2회전 드웰(dwell)을 주려고 할 때 정지시간은?

  1. 0.05초
  2. 0.08초
  3. 1.2초
  4. 1.5초
(정답률: 알수없음)
  • 드웰(dwell)은 스핀들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2회전 드웰을 주기 위해서는 스핀들이 2회전을 돌아야 합니다.

    스핀들의 회전속도는 1500rpm 이므로 1분에 1500회전을 합니다. 따라서 1초당 회전수는 1500/60 = 25회전입니다.

    2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2/25초가 필요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0.08초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8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NC 공작기계에서 제어의 3가지 방식이 아닌 것은?

  1. 위치결정제어
  2. 서보기구제어
  3. 윤곽절삭제어
  4. 직선절삭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위치결정제어, 윤곽절삭제어, 직선절삭제어는 모두 CNC 공작기계에서 사용되는 제어 방식입니다. 그러나 서보기구제어는 제어 방식이 아니라 서보 모터와 같은 기구를 제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물리량의 변화를 기본 전기회로의 전원과 같이 스스로 전위차를 줄 수 있는 기전력의 값으로 표현되는 센서는?

  1. 서미스터
  2. CdS
  3. 열전쌍
  4. 바이메탈
(정답률: 알수없음)
  • 물리량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열전자력을 이용하여 스스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센서가 열전쌍입니다. 다른 센서들은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만, 열전쌍은 스스로 전위차를 발생시키므로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그림과 같은 기호로 표현되며, 조작 후에 손을 떼면 접점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조작부분은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스위치는?

  1. 복귀형 스위치
  2. 근접 스위치
  3. 잔류형 스위치
  4. 리미트 스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스위치는 조작 후에 손을 떼어도 접점이 유지되므로 "잔류형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공압 시스템에서 수분에 의한 고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밸브의 고착
  2. 갑작스런 압력강하
  3. 부식 작용에 의한 손상
  4. 에멀션화에 의한 밸브 오동작
(정답률: 알수없음)
  • 갑작스런 압력강하는 수분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로, 수분에 의한 고장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수분은 부식 작용이나 에멀션화에 의한 밸브 오동작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자동화 시스템에서 컴퓨터 통합 생산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은?

  1. CAD
  2. CIM
  3. MRP
  4. FM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CIM

    CIM은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의 약어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통합하는 생산 시스템을 지칭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CAD"는 컴퓨터 지원 설계, "MRP"는 자재 요구 계획, "FMC"는 유연 제조 셀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릴레이 제어와 비교한 PLC 제어의 특징에 해당 되는 것은?

  1. 제어의 변경을 프로그램 변경만으로 가능하다.
  2. 접점 마모/융착 등의 접촉 불량으로 신뢰성이 낮다.
  3. 제어반의 크기가 크다.
  4. 정기 점검 및 보수를 필요로 하며 고장부위 발견이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의 변경을 프로그램 변경만으로 가능하다."는 PLC 제어의 특징이다. 이는 PLC 제어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을 수정하면 제어 방식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릴레이 제어와 달리 전기적 회로를 변경할 필요 없이 소프트웨어적인 수정만으로 제어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모든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S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자료법
(정답률: 알수없음)
  • PTS법은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의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각 동작의 시간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서 정확한 작업시간 산정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TS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반적으로 품질코스트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코스트는?

  1. 평가코스트
  2. 실패코스트
  3. 예방코스트
  4. 검사코스트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이 나쁘면 고객으로부터 불만을 받게 되고, 이는 기업에 큰 손실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손실을 실패코스트라고 합니다. 실패코스트는 제품 불량으로 인한 재작업, 교체, 보상 등의 비용과 고객의 신뢰도 하락으로 인한 매출 감소 등의 비용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 불량을 최소화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예방코스트와 검사코스트를 투자하여 실패코스트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정 통제를 할 때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1. 비용구배(Cost slope)
  2. 정상소요시간(Normal duration time)
  3. 비용견적(Cost estimation)
  4. 총비용(Total cost)
(정답률: 알수없음)
  • 비용구배는 작업 일정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추가 비용을 의미합니다. 즉, 작업 기간을 단축하면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비용구배는 작업 일정과 비용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데이터를 그 내용이나 원인 등 분류 항목별로 나누어 크기의 순서대로 나열하여 나타낸 그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히스토그램(histogram)
  2. 파레토도(pareto diagram)
  3. 특성요인도(causes and effects diagram)
  4. 체크시트(check shee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파레토도(pareto diagram)

    설명: 파레토도는 데이터를 그 내용이나 원인 등 분류 항목별로 나누어 크기의 순서대로 나열하여 나타낸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80:20 법칙을 기반으로 하며, 문제의 대부분은 소수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파레토도는 문제 해결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 관리도에서 k = 20인 군의 총부적합(결점)수 합계는 58 이었다. 이 관리도의 UCL, L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UCL = 6.92, LCL = 0
  2. UCL = 4.90, LCL = 고려하지 않음
  3. UCL = 6.92, LCL = 고려하지 않음
  4.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
(정답률: 알수없음)
  • c 관리도에서 k = 20이므로, 평균적으로 한 개의 단위에 결점이 발생할 확률은 1/20 = 0.05이다. 이 때, 결점의 분산은 평균과 같으므로, 표준편차는 sqrt(0.05) = 0.2236이다.

    따라서, UCL은 평균 + 3시그마 = 0.05 + 3*0.2236 = 0.7218이고, LCL은 평균 - 3시그마 = 0.05 - 3*0.2236 = -0.3248이다. 하지만, 결점 수는 항상 0 이상이므로, LCL은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해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로트의 판정기준과 대조하여 그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샘플링검사
  2. 전수검사
  3. 공정검사
  4. 품질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하여 조사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통해 전체 로트의 품질을 대표적으로 평가하고 판정하는 검사를 "샘플링검사"라고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샘플링검사와는 구분되는 다른 종류의 검사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