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체건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선체건조기능사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선공학일반

1. 선박이 갖추어야 하는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이동성
  2. 부양성
  3. 적재성
  4. 경제성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이 갖추어야 하는 3대 요소는 이동성, 부양성, 적재성입니다. 경제성은 선박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3대 요소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경제성은 선박의 운영 비용, 수익성, 효율성 등과 관련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달리, 이동성은 선박이 이동할 수 있는 능력, 부양성은 선박이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는 능력, 적재성은 선박이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선박 설계와 건조에 가장 관계가 깊은 길이는?

  1. 수선간장
  2. 전장
  3. 등록장
  4. 건현장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 설계와 건조에 가장 관계가 깊은 길이는 "수선간장"입니다. 수선간장은 선박의 길이를 측정하는 기준이며, 선박의 크기와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수선간장은 선박의 등록과 운항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선박 건조 및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선박 설계와 건조에 가장 관계가 깊은 길이는 수선간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최근 개발된 FRP선은?

  1. 유리섬유를 적층하여 만든 플라스틱 선박이다.
  2. 철근과 철망으로 된 선체에 시멘트를 적층하여 만든 선박이다.
  3. 목재를 주재료로 만든 선박이다.
  4. 강판을 주재료로 만든 선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FRP선은 유리섬유를 적층하여 만든 플라스틱 선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어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포경선
  2. 컨테이너선
  3. 트롤선
  4. 유자망어선
(정답률: 알수없음)
  • 컨테이너선은 어선이 아니라 화물선의 일종입니다. 어선은 주로 어류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배를 말하는데, 컨테이너선은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컨테이너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선수흘수와 선미흘수가 같을 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평균흘수
  2. 무흘수
  3. 등흘수
  4. 중앙흘수
(정답률: 알수없음)
  • 선수흘수와 선미흘수가 같을 때를 등흘수라고 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분포가 대칭적으로 분포하고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포의 양 끝단에 있는 값들이 중앙값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흘수는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반적으로 횡메터센터 높이가 가장 큰 배는?

  1. 화물선
  2. 범선
  3. 고속선
  4. 어선
(정답률: 알수없음)
  • 횡메터센터 높이는 배의 안정성과 흔들림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범선은 다른 보기에 비해 횡메터센터 높이가 높아서 파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범선이 횡메터센터 높이가 가장 큰 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박의 횡복원력을 결정하는 값과 무관한 것은?

  1. GM
  2. 배의 길이
  3. 중심의 위치
  4. 부심의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횡복원력은 GM, 중심의 위치, 부심의 위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배의 길이는 선박의 횡복원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배의 길이는 횡복원력을 결정하는 값과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체의 횡동요를 감소시키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만곡부 용골
  2. 감요 수조
  3. 핀 안정기
  4. 바우 드러스트
(정답률: 알수없음)
  • 바우 드러스트는 선체의 횡동요를 감소시키는 장치가 아닙니다. 바우 드러스트는 선박의 방향을 제어하는 장치로, 선박의 회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강의 기계적 성질 중 탄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은?

  1. 경도
  2. 연신율
  3. 항장력
  4. 항복점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량이 증가하면 강철 내부의 결정 구조가 바뀌어 더 단단한 구조가 형성되므로 강철의 경도는 증가합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강철의 연신율은 감소하게 됩니다. 연신율은 재료가 얼마나 변형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강철 내부의 결정 구조가 더 단단해지면 변형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량이 증가하면 경도는 증가하지만 연신율은 감소하게 됩니다. 항장력과 항복점은 강철의 내구성과 관련된 성질로, 탄소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선박 선미부 외판의 전해부식 방지용 보호판으로 쓰이는 것은?

  1. 아연
  2. 알루미늄
  3. 구리
(정답률: 알수없음)
  • 아연은 전기적으로 부식되지 않는 금속으로, 선박 선미부 외판의 전해부식 방지용 보호판으로 적합합니다. 이는 아연이 노출되면 자연적으로 산화되어 표면에 밀도 높은 산화물 층을 형성하며, 이 층이 부식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연은 납, 알루미늄, 구리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여 선박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기호는?

  1. SM
  2. SWS
  3. SS
  4. RSC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기호는 SWS입니다. S는 Steel(강철)을 나타내며, W는 Welded(용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SWS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를 의미합니다. SM은 Structural Mild Steel(구조용 연성강)을, SS는 Stainless Steel(스테인리스 강)을, RSC는 Rolled Steel Channel(압연강 채널)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선박의 하역설비와 관계없는 것은?

  1. 데릭 붐(derrick boom)
  2. 윈치(winch)
  3. 화물창구(cargo hatch)
  4. 윈드라스(windlass)
(정답률: 알수없음)
  • 윈드라스는 선박의 앵커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기계로, 하역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윈드라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방형계수(CB)의 계산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1. 배의 길이
  2. 배수 용적
  3. 배의 폭
  4. 수선면적
(정답률: 알수없음)
  • 방형계수는 배의 형태와 관련된 값으로, 배의 길이, 폭, 용적 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선면적은 배의 선체 형태와는 관련이 없는 값으로, 배의 선체가 물에 담길 때 만들어지는 수직면과 수평면이 만나는 면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선면적은 방형계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하학적으로 상사한 실선과 모형선에서 모형선의 길이가 4m,속력이 2 노트(knot) 일 때, 실선의 길이가 169 m 이면 실선의 속력은?

  1. 13 knot
  2. 15 knot
  3. 17 knot
  4. 19 knot
(정답률: 알수없음)
  • 상사한 실선과 모형선은 서로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모형선의 길이와 속력을 각각 1/42배, 1/2배로 줄인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모형선의 길이는 1/42 × 4m = 0.0952m, 속력은 1/2 × 2 knot = 1 knot가 됩니다.

    이제 실선과 모형선의 속력 비율을 구해보면, 실선의 길이와 모형선의 길이 비율과 같으므로 169m / 0.0952m = 1774.79 입니다. 따라서 실선의 속력은 모형선의 속력에 1774.79배가 되므로, 1 knot × 1774.79 ≈ 1775 knot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3, 15, 17, 19 knot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13 knot이므로 정답은 13 kno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배수용적이 60m3인 선박의 해수 중 배수량은? (단, 해수의 비중은 1.025 이다.)

  1. 58.8ton
  2. 61.5ton
  3. 72ton
  4. 90ton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의 비중이 1.025이므로 1m3의 해수는 1.025톤이다. 따라서 60m3의 해수는 60 x 1.025 = 61.5톤이다. 따라서 정답은 "61.5t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박 추진장치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기관
  2. 축계
  3. 프로펠러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 추진장치의 기본 구성 요소는 기관, 축계, 프로펠러입니다. "타"는 선박 추진장치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타"는 일반적으로 선박의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선박이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선박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선미 골재나 추진 축의 제작에 주로 이용되는 재료는?

  1. 단강재
  2. 주강재
  3. 아연동재
  4. 황동재
(정답률: 알수없음)
  • 선미 골재나 추진 축은 매우 큰 하중을 견디기 위해 강한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에 주강재가 이용되는 이유는 주강재가 단강재보다 더욱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강재는 가공이 용이하고 용접이 용이하여 제작 과정에서도 편리합니다. 따라서, 선미 골재나 추진 축의 제작에는 주로 주강재가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로프 또는 체인의 끝에 철물을 연결하거나, 블록을 붙이려고 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하역 훅
  2. 섀클
  3. 딤블
  4. 소켓
(정답률: 알수없음)
  • 섀클은 로프나 체인의 끝에 철물을 연결하거나 블록을 붙일 때 사용되는 도구로,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배의 전진 시 받는 저항 중 저속선에서 무시해도 되는 저항은?

  1. 마찰저항
  2. 조파저항
  3. 공기저항
  4. 조와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배의 전진 시 받는 저항 중에서 저속선에서 무시해도 되는 저항은 공기저항입니다. 이는 저속선에서는 공기의 저항이 매우 작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속선에서는 공기저항을 무시하고, 마찰저항과 조파저항에만 집중하여 저항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면적을 구하는 공식 중에서 간격이 3 배수 등간격인 조건을 요구하는 법칙은?

  1. 사다리꼴 법칙
  2. 심프슨 제 1법칙
  3. 심프슨 제 2법칙
  4. 체비체브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심프슨 제 2법칙은 3 등분한 구간에서의 사다리꼴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이 공식은 간격이 3 배수 등간격인 조건을 요구하는데, 이는 구간을 3 등분하여 중간 지점에서의 면적을 두 번 더해주는 방식으로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공식은 등간격이 3 배수인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선박건조

21. 조선소 입지 조건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필요한 노동력을 쉽게 얻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2. 주요 자재의 구입이 쉽고 편리한 곳이어야 한다.
  3. 기후가 온화하고 강수량이 적은 지역이어야 한다.
  4. 얕은 해안선과 바다 밑이 암석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얕은 해안선과 바다 밑이 암석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 이유는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대형 선박들은 큰 깊이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얕은 해안선은 대형 선박들이 출입하기 어렵고, 바다 밑이 모래나 진흙으로 되어 있으면 선박들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대형 기계들은 무거워서 암석으로 된 바다 밑에서 작업이 가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은 외판과 종늑골의 결합에 의해 생긴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의 변형을 바로잡기 위하여 가장 먼저 선조가열을 하여야 할 부분은?

(정답률: 알수없음)
  • 선조가열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변의 길이가 일정해야 한다. 그러나 그림에서는 외판과 종늑골이 결합하여 변형이 생겨 일정하지 않은 변의 길이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외판과 종늑골의 결합 부분을 수정하여 변의 길이를 일정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에 해당하는 부분은 "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선체 건조용 강판의 가공 공정 순서가 맞는 것은?

  1. 밀스케일 제거-응력제거-마킹-가공
  2. 응력제거-밀스케일 제거-마킹-가공
  3. 마킹-밀스케일 제거-응력제거-가공
  4. 밀스케일 제거-응력제거-가공-마킹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건조용 강판은 제조 과정에서 밀스케일이 발생하고, 이는 가공 과정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밀스케일을 제거하고, 강판 내부의 응력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후 마킹을 하고, 최종적으로 가공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밀스케일 제거-응력제거-마킹-가공"이 올바른 가공 공정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프로판가스 절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연소 속도가 아세틸렌에 비해 느린 편이다.
  2. 아세틸렌 절단보다 원가가 싸게 들어 주로 얇은 판의 절단에 사용된다.
  3. 프로판은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통풍이 잘되지 않는 장소에서 사용할 때는 주의하여야 한다.
  4. 아세틸렌에 비하여 역화, 역류 및 폭발에 대한 위험성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아세틸렌 절단보다 원가가 싸게 들어 주로 얇은 판의 절단에 사용된다."입니다. 이유는 프로판은 아세틸렌에 비해 연소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두꺼운 금속재료의 절단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로 얇은 판의 절단에 사용되며, 이로 인해 원가가 더 저렴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탑재준비 작업을 위한 블록의 보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강재료는 찬넬(channel),형강 등을 사용한다.
  2. 탑재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위치를 결정한다.
  3. 탑재후 철거하기 쉬운 위치에 부착한다.
  4. 보강재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착방법은 고려치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강재는 탑재 후 철거하기 쉬운 위치에 부착한다는 것이 틀린 설명이다. 보강재는 탑재된 부위를 보강하고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이므로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부착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블록 조립의 기본은 어떤 부재 조립인가?

  1. 판과 판
  2. 판과 브라켓
  3. 판과 보강재
  4. 보강재와 보강재
(정답률: 알수없음)
  • 블록 조립에서 기본이 되는 부재는 판과 보강재입니다. 이는 판이 블록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보강재는 판의 강도를 높여 더욱 견고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블록 조립을 시작할 때는 판과 보강재를 준비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용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조립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한 부착 피스(Piece)가 아닌 것은?

  1. 문형 피스
  2. 스트롱 백(Strong Back)
  3. 꺾임방지 브래킷
  4. 도그 피스(Dog Piece)
(정답률: 알수없음)
  • 문형 피스는 용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거나 조립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한 부착 피스가 아닙니다. 문형 피스는 금속 시트를 구부리거나 절곡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 금속 시트를 고정하고 구부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문형 피스는 용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거나 조립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한 부착 피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강관을 가열 굽힘할 때의 가열온도는?

  1. 500 ∼ 600℃
  2. 800 ∼ 900℃
  3. 1200℃
  4. 1350℃
(정답률: 알수없음)
  • 강관을 가열 굽힘할 때는 강의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온도인 아우스테나이트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강의 단단한 구조를 유지하는 펄라이트 상태보다 높은 온도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강관을 가열 굽힘할 때의 가열온도는 800 ∼ 900℃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강의 아우스테나이트 상태로 변환하기에 적절한 온도이며, 이 온도에서 굽힘을 하면 강관의 내구성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800 ∼ 9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슬라이딩 진수시 진수과정을 차례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트리거 안전장치 제거 - 도그쇼어 제거 - 모래반목 제거 - 지지로프 절단
  2. 모래반목 제거 - 도그쇼어 제거 - 트리거 안전장치 제거 - 지지로프 절단
  3. 도그쇼어 제거 - 모래반목 제거 - 트리거 안전장치 제거 - 지지로프 절단
  4. 도그쇼어 제거 - 모래반목 제거 - 지지로프 절단 - 트리거 안전장치 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도그쇼어 제거 - 모래반목 제거 - 트리거 안전장치 제거 - 지지로프 절단" 입니다.

    슬라이딩 진수시에는 먼저 도그쇼어를 제거해야 하고, 그 다음으로 모래반목을 제거해야 합니다. 그리고 트리거 안전장치를 제거한 후에 지지로프를 절단해야 합니다. 이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류 소화작업에 적당한 것은?

  1. 수조부 펌프 소화기
  2. 분말 소화기
  3. 포말 소화기
  4. 산 알칼리 소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유류는 분말 소화기로는 소화하기 어렵고, 산 알칼리 소화기는 유류에 대한 효과가 미미합니다. 수조부 펌프 소화기는 유류 소화에 적합하지 않은 용도입니다. 따라서, 유류 소화작업에 적당한 것은 포말 소화기입니다. 포말 소화기는 유류에 대한 효과가 높고, 불꽃을 일으키지 않으며, 사용이 간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확대식 본 절단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프레임 플레이너
  2. 모노폴
  3. 시코마트
  4. 유니그래프
(정답률: 알수없음)
  • 프레임 플레이너는 절단기가 아니라, 금속 가공 공정 중 하나인 프레임 가공에 사용되는 기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드릴링 머신에서 얇은 철판이나 동판에 구멍을 뚫을 때 어떤 방법이 좋은가?

  1. 테이블에 고정한다.
  2. 클램프로 고정한다.
  3. 드릴 바이스에 고정한다.
  4. 각목을 밑에 깔고 기구로 고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얇은 철판이나 동판은 드릴링 머신으로 구멍을 뚫을 때 진동이 심해지기 때문에 고정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 각목을 밑에 깔고 기구로 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이유는 각목이 진동을 흡수하여 철판이나 동판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목은 쉽게 구할 수 있고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프레스 작업시의 안전수칙 중 틀린 사항은?

  1. 두꺼운 판의 절단시는 손으로 힘주어 잡는다.
  2. 발판 밑에는 재료나 제품을 두지 않아야 한다.
  3. 형틀에는 손이 닿지 않도록 하고 작업한다.
  4. 작업전에는 공회전을 하면서 클러치를 조작해 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꺼운 판의 절단시는 손으로 힘주어 잡는다."는 틀린 안전수칙입니다. 이유는 손이 절단기에 끼이거나 자르는 도중에 다른 부위에 부딪혀 상처를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단 작업시에는 적절한 고정장치나 클램프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선용 도형처리 프로그램 중 스웨덴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은 어느 것인가?

  1. VIKING
  2. HIZAC
  3. APOLOS
  4. VENU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IKING"입니다. 스웨덴에서 사용하는 조선용 도형처리 프로그램은 Kockums Computer Systems (KCS)사에서 개발한 VIKING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화물선의 건조시 탑재 기점은?

  1. 화물 유창의 1번 선미 부분
  2. 중앙부의 기계실 부분
  3. 선수창 부분
  4. 선미 격벽 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화물선의 건조시에는 중앙부의 기계실 부분이 탑재 기점이 됩니다. 이는 일반화물선의 중심축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화물의 무게를 균등하게 분산시키기에 적합하며, 또한 선미 부분이나 선수창 부분보다는 안정적인 탑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선미 격벽 부분은 화물의 무게가 집중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탑재 기점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선체에 작용하는 수압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부재가 아닌 것은?

  1. 필러
  2. 늑골
  3. 외판
  4. 이중저
(정답률: 알수없음)
  • 필러는 선체에 작용하는 수압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부재가 아니라, 선체 내부의 공간을 채우거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 부재입니다. 따라서 필러는 선체의 강도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선체 횡강력 부재가 아닌 것은?

  1. 늑골
  2. 횡격벽
  3. 거더
  4. 늑판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횡강력 부재란 선박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선박의 횡격벽과 늑판 등이 강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거더는 선박의 구조물 중 하나로, 선박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크레인이나 기타 장비를 부착하거나 화물을 옮기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거더는 선체 횡강력 부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선박의 주요치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길이
  2. 흘수
  3. 건현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주요치수는 길이, 폭, 흘수로 구성되며, 건현은 선박의 주요치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건현은 선박의 높이를 나타내는 용어로, 선박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적으로 단저구조에서 배의 길이에 따라 치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현측 후판
  2. 늑판
  3. 중심선 내용골
  4. 측내용골
(정답률: 알수없음)
  • 단저구조에서 배의 길이에 따라 치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늑판입니다. 늑판은 배의 길이와 관계없이 배의 너비와 높이를 결정하는 구조물로, 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배의 크기가 작아도 늑판의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빌지용골의 길이는 배의 길이의 몇 % 정도인가?

  1. 10 % ∼ 20 %
  2. 30 % ∼ 60 %
  3. 20 % ∼ 40 %
  4. 60 % ∼ 90 %
(정답률: 알수없음)
  • 빌지용골은 배의 뒷부분에 위치한 뼈로, 배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빌지용골의 길이는 배의 길이의 30%에서 60% 사이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른 선택지인 "10% ~ 20%", "20% ~ 40%", "60% ~ 90%"은 너무 짧거나 길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박구조 및 조선제도

41. 이중저 구조의 잇점이 잘못 설명된 것은?

  1. 연료유 탱크 및 화물창으로 이용할 수 있다.
  2. 선체 종강력이 증대하여 황천에 견디는 힘이 커진다.
  3. 선저가 파손되어도 선내로의 침수를 방지한다.
  4. 밸러스트 탱크로 이용하여 트림을 조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중저 구조는 선체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저수지가 있어서, 선체 파손 시 내부 저수지가 침수되어도 외부 저수지가 보호하여 선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저가 파손되어도 선내로의 침수를 방지한다."가 잘못 설명된 것이 아니라, "선체 종강력이 증대하여 황천에 견디는 힘이 커진다."가 잘못 설명된 것이다. 이중저 구조는 연료유 탱크 및 화물창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의 운송 능력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개구(開口)가 허용되지 않는 격벽은?

  1. 선수 격벽
  2. 화물창 격벽
  3. 보일러실 격벽
  4. 기관실 후단 격벽
(정답률: 알수없음)
  • 선수 격벽은 선박의 선수부에 위치한 격벽으로, 파도나 물결 등으로 인해 선수부에서 발생하는 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개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화물창 격벽은 화물창을 막기 위한 격벽이며, 보일러실 격벽은 보일러실을 막기 위한 격벽입니다. 기관실 후단 격벽은 기관실 뒷부분을 막기 위한 격벽으로, 개구가 허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중앙기관선의 선박에서 최소한의 격벽 수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기관선은 4개의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선박 안전 규정에서 정해진 최소한의 격벽 수입니다. 격벽은 선박 내부를 구획화하여 화재, 침수 등의 사고 발생 시 전체 선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중앙기관선에서는 최소한 4개의 격벽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선수재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은 것은?

  1. 하부 브레스트 훅의 중간마다 팬팅 스트링거를 설치한다.
  2. 상방의 선수재가 좁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중심선 거더로 보강한다.
  3. 소형선에서는 하부에 주강을 상부에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4. 하부에 팬팅 스트링거를 상부에 늑판을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형선에서는 하부에 주강을 상부에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는 이유는, 소형선의 경우 구조물이 작아서 하부에 주강만으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부에 강판을 추가로 사용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선체 격벽판(bulkhead plate)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할 부분이 아닌 것은?

  1. 격벽의 최상부 판
  2. 빌지 웰이 접하는 판
  3. 선미관 또는 추진축이 관통하는 부분
  4. 격벽의 최하부 판
(정답률: 알수없음)
  • 격벽의 최상부 판은 선체의 상단에 위치하며, 물의 압력이 가장 적게 작용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다른 부분들에 비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일점쇄선으로 표시할 수 없는 선은?

  1. 중심선
  2. 절단선
  3. 치수선
  4. 가상선
(정답률: 알수없음)
  • 일점쇄선은 한 점에서 시작하여 끝나는 선을 말합니다. 그러나 치수선은 물체의 크기나 거리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끝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치수선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재료의 중심축, 대칭 형상의 중심, 구멍의 중심 등을 나타내는 선은?

  1. 굵은 실선
  2. 파선
  3. 굵은 이점쇄선
  4. 가는 일점쇄선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는 일점쇄선은 한 점에서 시작하여 무한히 직선을 그어 그 형상의 중심축이나 대칭축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따라서 중심축이나 대칭축을 나타내는 선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면을 제 3각법으로 그릴 때 옳은 것은?

  1. 물체 → 투상면 → 눈
  2. 투상면 → 물체 → 눈
  3. 눈 → 투상면 → 물체
  4. 눈 → 물체 → 투상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눈 → 투상면 → 물체"입니다.

    이유는 제 3각법에서는 눈에서 보이는 모습을 그리기 때문에 눈이 가장 먼저 위치하게 됩니다. 그리고 눈에서 보이는 모습을 투상면에 그리게 되는데, 이때 투상면은 눈과 물체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투상면에 그려진 모습을 기준으로 물체를 그리면 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눈 → 투상면 → 물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선체표면상 곡율이 가장 큰 부분의 선도 순정 상태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선면과 종절면에 경사하고 횡절면에 수직인 평면은?

  1. 사절면
  2. 선저평행면
  3. 기선면
  4. 중앙횡단면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표면상 곡율이 가장 큰 부분은 곡률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 수선면과 종절면에 경사하고 횡절면에 수직인 평면은 곡률반경의 방향과 일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곡률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에서 수선면과 종절면에 경사하고 횡절면에 수직인 평면은 사절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측면선도에 그리는 것이 아닌 것은?

  1. 빌지 서클
  2. 불워크선
  3. 선수 촉(chock)
  4. 갑판 중심선
(정답률: 알수없음)
  • 측면선도는 선박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므로, 선박의 내부 구조나 부품을 그리는 것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빌지 서클"은 선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므로 측면선도에 그리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선박 일반배치도에서 연료유창의 약자는?

  1. F.W.T
  2. F.D.T
  3. F.O.T
  4. F.P.T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 일반배치도에서 연료유창의 약자는 F.O.T입니다. F.O.T는 Fuel Oil Tank의 약자로, 연료유를 저장하는 탱크를 나타냅니다. F.W.T는 Fresh Water Tank, F.D.T는 Dirty Water Tank, F.P.T는 Fuel Purifier Tank를 나타내며, 이들은 연료유창과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적인 선도(Lines)의 배치 방법은?

  1. 위쪽이 정면도, 중간이 반폭도, 아래가 측면도
  2. 위쪽이 반폭도, 중간이 측면도, 아래가 정면도
  3. 위쪽이 정면도, 중간이 측면도, 아래가 반폭도
  4. 위쪽이 반폭도, 중간이 정면도, 아래가 측면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선도의 배치 방법은 "위쪽이 정면도, 중간이 측면도, 아래가 반폭도" 입니다. 이유는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바라보는 시선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가장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정면도를 가장 위쪽에 배치합니다. 그리고 건축물의 형태와 구조를 가장 잘 보여주는 측면도를 중간에 배치하고, 건축물의 크기와 비율을 가장 잘 보여주는 반폭도를 가장 아래쪽에 배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블록 맞대기 이음의 용접 표시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표시는 블록 맞대기 이음에서 용접할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 표시는 블록의 맞대기 부분에 위치하며, 용접할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이 표시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어서, 다른 나라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중앙횡단면도를 작성하는 주목적이 아닌 것은?

  1. 선체 구조방식 표현
  2. 외판 용접선의 표시
  3. 주요부재의 치수 표시
  4. 부재 상호간의 결합 방법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횡단면도는 선체의 구조방식, 주요부재의 치수, 부재 상호간의 결합 방법 등을 표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외판 용접선의 표시는 중앙횡단면도를 작성하는 주요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배의 길이를 L(m)이라 할 때 늑골의 표준 간격은? (단, 횡늑골 방식임)

  1. 2L + 550(mm)
  2. L + 650(mm)
  3. L + 450(mm)
  4. 2L + 450(mm)
(정답률: 알수없음)
  • 횡늑골 방식에서는 배의 길이(L)에 대해 늑골 간격은 보통 2L에 400~500mm 정도를 더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2L에 450mm를 더한 "2L + 450(mm)"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부재의 끝처리 방법은?

  1. 브래킷
  2. 러그
  3. 플랜지
  4. 스닙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보이는 부재의 끝이 뾰족하게 끝나고 있으므로,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은 스닙(Snip)입니다. 스닙은 부재의 끝을 잘라내어 뾰족한 부분을 없애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래 그림은 무엇을 표시한 것인가?

  1. 페어 리더
  2. 촉(chock)
  3. 볼라드(bollard)
  4. 비트(bitt)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페어 리더"를 표시한 것입니다. "페어 리더"는 선박이나 배가 부두에 정박할 때 사용하는 장비로, 선박의 앞과 뒤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선박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페어 리더"가 정답입니다. "촉", "볼라드", "비트"는 모두 선박이나 배를 고정시키는 장비이지만, "촉"은 선박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볼라드"와 "비트"는 부두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닻의 오르내림, 부이 계류, 안벽 계류 등에 있어서 배를 잡아매기 위한 기계류나 의장 쇠붙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은?

  1. 양묘 장치도
  2. 계선 장치도
  3. 하역 장치도
  4. 제실 장치도
(정답률: 알수없음)
  • 닻의 오르내림, 부이 계류, 안벽 계류 등은 모두 배의 계선에 관련된 것이며, 이를 잡아매기 위한 기계류나 의장 쇠붙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을 계선 장치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계선 장치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키가 파랑 등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는?

  1. 키 핀틀
  2. 키 스토크
  3. 점핑 스토퍼
  4. 타심재
(정답률: 알수없음)
  • 점핑 스토퍼는 이름 그대로 키가 점프하거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찾는 문제이므로, 점핑 스토퍼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자동차, 기차 등의 차량이 선내에 직접 출입할 수 있도록 램프(ramp), 승강대 등을 설치한 전용선은?

  1. 롤온 롤오프 선
  2. 라이터 어보드 선(lighter aboard ship)
  3. 푸시 선(push boat)
  4. 기중기 선(floating crane)
(정답률: 알수없음)
  • 롤온 롤오프 선은 차량이 직접 선내에 출입할 수 있도록 램프나 승강대 등을 설치한 전용선으로, 차량이 선내로 직접 들어가고 나올 수 있어서 롤온(roll on) 롤오프(roll off)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차량이 직접 출입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