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체건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20)

선체건조기능사
(2003-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선공학일반

1. 선형에 따라 분류한 선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준설선
  2. 3도형선
  3. 평갑판선
  4. 트렁크선
(정답률: 알수없음)
  • 준설선은 선박의 형태 중 하나로, 선박의 아래 부분이 얇아져서 물에 잠기기 쉬운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선형에 따라 분류한 선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화물을 차에 실은 채로 운반하는 선박은?

  1. 컨테이너선
  2. 롤 온 롤 오프(roll on roll off)선
  3. 리프트 온 리프트 오프(lift on lift off)선
  4. 바지선
(정답률: 알수없음)
  • 롤 온 롤 오프(roll on roll off)선은 차량이나 화물을 차에 실은 채로 선박에 직접 주행하여 실을 수 있는 선박입니다. 따라서 화물을 차에서 내리거나 싣는 과정이 간편하고 빠르며, 대형화물이나 건설장비 등을 운반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이며, 리프트 온 리프트 오프(lift on lift off)선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을 싣고 내리는 선박입니다. 바지선은 여객선이나 화물선을 통틀어 일컫는 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중앙횡단면계수(midship section coefficient)와 직접 관계 없는 것은?

  1. 형 배수량
  2. 최대 횡단면적
  3. 형 폭
  4. 형 흘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형 배수량"입니다.

    중앙횡단면계수는 배의 중앙부분의 횡단면적과 배의 전체 횡단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중앙횡단면계수는 배의 형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형 배수량은 배의 무게를 나타내는 값으로, 배의 형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형 배수량은 중앙횡단면계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선박의 건현표에서 하기만재흘수선을 나타내는 것은?

  1. T
  2. S
  3. W
  4. TF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건현표에서 "S"는 하기만재흘수선을 나타냅니다. 이는 선박이 수면 아래로 침몰할 때, 수면 위로 나타나는 최초의 접촉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선박의 안전을 위해 이 접촉선을 고려하여 선박의 구조물을 설계하고 건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배의 무게중심(G)과 메타센터(M)가 동일점에 있을 때의 평형은?

  1. 안정평형
  2. 중립평형
  3. 불안정평형
  4. 안정비김
(정답률: 알수없음)
  • 배의 무게중심(G)과 메타센터(M)가 동일점에 있을 때, 배가 기울어져도 메타센터(M)는 항상 배의 중심(G) 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는 메타센터(M)가 배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가 중심(G)을 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가 기울어져도 메타센터(M)가 중심(G) 위에 위치하므로, 배는 안정적인 중립평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선박의 길이 160 m, 선속 12 노트(knot) 의 실선에 대한 모형 시험시 모형선의 길이를 10 m 로 하면 모형선의 대응 속도는?

  1. 1 노트
  2. 2 노트
  3. 3 노트
  4. 4 노트
(정답률: 알수없음)
  • 실제 선박과 모형선의 길이 비율은 160:10 = 16:1 이므로, 모형선의 속도도 1/16 로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실제 선속 12 노트에 해당하는 모형선의 속도는 12/16 = 0.75 노트가 됩니다. 이를 가장 가까운 보기와 비교하면, 0.75 노트는 1 노트와 2 노트 사이에 위치하므로, 정답은 "3 노트"가 아닌 "2 노트"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멘트에 강망을 넣어 보강한 것으로 강도가 크고 가격이 싼 선각용 재료는?

  1. FRP
  2. 주강재
  3. M RC
  4. 단강재
(정답률: 알수없음)
  • M RC는 시멘트에 강망을 넣어 보강한 것으로 강도가 크고 가격이 비교적 싼 선각용 재료입니다. FRP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강도는 높지만 가격이 비싸고, 주강재는 철강으로 강도는 높지만 가격이 비싸며 부식에 취약합니다. 단강재는 강철로 만들어진 단조된 구조물로 강도는 높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고 제작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박구조 재료로서 사용되는 고장력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일반 강보다 강도가 크다.
  2. 인장강도가 50 kg/mm2 이상이다.
  3. 선박의 선루, 횡강도 부재 등에 주로 사용된다.
  4. 연강보다 용접성이 좋지 못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강보다 용접성이 좋지 못하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고장력강은 일반 강보다 강도가 크고 인장강도가 50 kg/mm2 이상이며, 선박의 선루, 횡강도 부재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연강보다는 용접성이 좋지 않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선체 선각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강재는?

  1. 단강재
  2. 압연강재
  3. 주강재
  4. 주철재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선각에는 강철의 강도와 내식성이 중요한데, 압연강재는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선체 선각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압연강재는 가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재료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선체 선각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강재는 압연강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담금질한 강을 상온에서 방치하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성질이 서서히 변하게 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경화
  2. 취소
  3. 시효
  4. 불림
(정답률: 알수없음)
  • 담금질한 강을 상온에서 방치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강의 성질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일어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원래의 성질로 돌아갈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시효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선박의 안벽 계류와 관계가 없는 설비는?

  1. 페어 리더(fair leader)
  2. 발럿(bollard)
  3. 무어링 파이프(mooring pipe)
  4. 호져 파이프(hawse pipe)
(정답률: 알수없음)
  • 호져 파이프는 선박의 안벽 계류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설비입니다. 호져 파이프는 선박의 앵커 체인이나 로프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지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벽 계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선체의 동요 중 회전운동에 해당되는 것은?

  1. 상하동요(heaving)
  2. 좌우동요(swaying)
  3. 전후동요(surging)
  4. 선수동요(yawing)
(정답률: 알수없음)
  • 선수동요는 선체가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상하동요, 좌우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좌우동요, 그리고 전후와 좌우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전후동요와는 구분됩니다. 따라서 회전운동에 해당하는 것은 선수동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기관 중 내연기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증기터빈 기관
  2. 가솔린 기관
  3. 가스터빈 기관
  4. 디젤 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증기터빈 기관은 내연기관이 아닌 외연기관에 속합니다. 증기터빈 기관은 연료를 태우지 않고, 대신에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만들어 이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증기터빈 기관은 내연기관과는 다른 원리로 작동하므로 내연기관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선박안에 설치한 펌프로 선수에서 물을 흡입하여 선미쪽으로 분출시켜 그 반동력으로 배를 추진시키는 프로펠러는?

  1. 제트 프로펠러
  2. 가변 피치 프로펠러
  3. 스크루 프로펠러
  4. 호이드 슈나이더 프로펠러
(정답률: 알수없음)
  • 제트 프로펠러는 펌프로 물을 흡입하여 선미쪽으로 분출시켜 그 반동력으로 배를 추진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제트 프로펠러"가 정답입니다. 스크루 프로펠러는 회전하는 나선형 날개로 물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가변 피치 프로펠러는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인 추진력을 발휘하는 방식입니다. 호이드 슈나이더 프로펠러는 고속 선박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유형의 스크루 프로펠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갑판상의 신속한 배수 및 선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갑판 보의 모양을 위쪽으로 볼록하게 한 것은?

  1. 기울기
  2. 건현
  3. 캠버(camber)
  4. 시어(sheer)
(정답률: 알수없음)
  • 캠버는 갑판 보를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들어 물이 빠르게 흐르도록 하고, 선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입니다. 즉, 갑판상의 물이 빠르게 배출되어 안정성을 높이고, 선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캠버 구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형계수에서 방형계수 값이 작을 때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속력이 빠르다.
  2. 선수미가 뾰족한 편이다.
  3. 선체가 뚱뚱한 편이다.
  4. 선저 기울기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형계수에서 방형계수 값이 작을 때, 선체가 뚱뚱한 편이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방형계수는 선체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며, 선체가 뚱뚱한 경우에는 오히려 방형계수 값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체가 뚱뚱한 편이다"라는 설명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타장치에서 타가 소요의 각도로 회전하였을 때 그 위치에 고정시키는 장치는?

  1. 원동기
  2. 조종장치
  3. 전동장치
  4. 추종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추종장치는 원하는 위치나 각도로 이동한 후에 그 위치나 각도에 고정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조타장치에서 타가 소요의 각도로 회전하였을 때 그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은 추종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화물의 이동 없이 외력에 의하여 선체가 경사하였을 경우에 변하는 것은?

  1. 중심
  2. 부심
  3. 배수량
  4. 배수용적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가 경사하면 중심이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러나 부심은 선체의 경사각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하는 것은 부심입니다. 배수량과 배수용적은 선체의 경사와는 무관하며, 이동이 없는 상황에서는 변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박의 조종 및 화물 적재량 산출에 필요하며, 배에서 보통 흘수라고 부르는 것은?

  1. 형 흘수
  2. 등 흘수
  3. 용골 흘수
  4. 선수 흘수
(정답률: 알수없음)
  • 용골 흘수는 선박의 중심축인 용골을 기준으로 선박이 좌우로 기울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선박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조종사가 선박을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해 반드시 파악해야 하는 값입니다. 따라서 선박의 조종 및 화물 적재량 산출에 필요한 정보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선미흘수와 선수흘수가 같은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만재흘수
  2. 등흘수
  3. 트림
  4. 현호
(정답률: 알수없음)
  • 선미흘수와 선수흘수가 같은 상태를 등흘수라고 합니다. 이는 선박이 물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선미흘수와 선수흘수가 같아져서 선박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와 반대로 선미흘수와 선수흘수가 다른 상태를 만재흘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선박건조

21. 강판 자동절단장치 중, 축척된 현도의 음화 필름을 확대하여 여러가지 형상으로 강판을 절단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모노폴
  2. 플레임 플레이너
  3. 시코메트
  4. 유니그래프
(정답률: 알수없음)
  • 플레임 플레이너는 강판을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강판 표면을 열처리하여 부식 방지 및 표면 경화를 위한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선체 공작도에서 다음 그림과 같은 표시가 뜻하는 것은?

  1. 치수의 표시
  2. 절곡의 표시
  3. 개선의 표시
  4. 절단의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공작도에서 절곡의 표시는 선체를 자르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선체를 자르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답은 "절곡의 표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는 표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용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조립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착 피스가 아닌 것은?

  1. 스트롱 백(strong back)
  2. 브레이싱(bracing)
  3. 강판용 훅(hook)
  4. 도그 피스(dog piece)
(정답률: 알수없음)
  • 강판용 훅은 부품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강판에 걸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지 못하므로 조립 정밀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가접시 주의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용착량은 필요로 하는 최대량으로 한다.
  2. 맞대기 이음에 있어서는 가급적 스트롱 백 등의 지그를 사용한다.
  3. 과대한 구속은 피하여야 한다.
  4. 이음의 끝부분, 용접의 종점 등에는 가접을 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착량은 필요로 하는 최대량으로 한다."가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이유는 용착량이 부족하면 용접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용착량이 과다하면 용접부위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져서 강도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용착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게 용접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리벳이음과 비교한 용접이음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중량의 경감
  2. 공수의 경감
  3. 유수밀의 확실
  4. 변형 및 응력 발생 경감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이음은 리벳이음에 비해 중량과 공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유수밀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변형 및 응력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금속을 녹여서 결합시키는 것으로, 리벳이음과 달리 부분적인 응력 집중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이음은 더욱 강한 연결력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관속의 유체가 저압이거나 강관의 지름이 작을 경우 널리 사용되는 밸브로 조작이 간단하고 유체의 통로만 여닫는 것은?

  1. 콕(cock)
  2. 앵글 밸브
  3. 첵 밸브
  4. 슬루스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콕(cock)은 영어로 "수탉"을 뜻하는데, 이 밸브가 수탉의 부리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이렇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콕은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저압이거나 작은 지름의 파이프에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대 전면의 해면 넓이가 좁든지 하천지역에서 진수를 할 때 채용되는 진수 방식은?

  1. 가로(橫) 진수
  2. 세로(從) 진수
  3. 볼(ball) 진수
  4. 롤러(roller)식 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선대 전면의 해면 넓이가 좁든지 하천지역에서 진수를 할 때는 가로(橫) 진수 방식이 채용됩니다. 이는 선박이 수평적으로 진수하여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가로 진수 방식은 선박의 중심을 유지하기 쉽고, 진수 시 선박의 전면과 후면이 동시에 떨어지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가로 진수 방식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진수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스 용접시 토치에 연결되는 아세틸렌 호스의 색깔은?

  1. 흑색
  2. 녹색
  3. 적색
  4. 백색
(정답률: 알수없음)
  • 아세틸렌 호스는 적색입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색상 부여 규정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적색은 가스 호스 중 아세틸렌 호스를 나타내는 색상입니다. 이는 작업자들이 호스를 구분하고 적절한 가스를 사용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화상을 당했을 때의 응급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잉크를 바른다.
  2. 찬물에 담구었다가 아연화 연고를 바른다.
  3. 옥도정기를 바른다.
  4. 붕대를 감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상을 당한 부위를 찬물에 담그는 것은 열을 식히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후 아연화 연고를 바르는 것은 상처 치료와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응급조치입니다. 잉크를 바르거나 옥도정기를 바르는 것은 오히려 상처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올바르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붕대를 감는 것은 상처가 있는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지만, 화상 부위에는 붕대를 감기보다는 바로 아연화 연고를 바르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공장에서 안전을 위하여 가장 좋은 출입문의 형태는?

  1. 셔터
  2. 밖 여닫이
  3. 안 여닫이
  4. 미닫이
(정답률: 알수없음)
  • 밖 여닫이 출입문은 비상시에도 쉽게 열리며, 내부에서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어서 대처가 빠르고 쉽습니다. 또한, 셔터나 미닫이 출입문은 위험한 상황에서 열리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공장에서 안전을 위해서는 밖 여닫이 출입문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판의 밀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는 장비는?

  1. 쇼트 블라스트
  2. 공기 해머
  3. 스카핑 머신
  4. 플레임 플레이너
(정답률: 알수없음)
  • 강판의 밀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는 장비는 쇼트 블라스트입니다. 이는 고속으로 압축된 공기나 미세한 고체 입자를 사용하여 강판 표면을 강하게 충격시켜 밀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강판의 표면처리에 사용되지만, 쇼트 블라스트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블록 분할 건조의 잇점이 아닌 것은?

  1. 탑재 기간을 단축하여 건조독의 회전율을 증가시킨다.
  2. 공작 기술을 고도화시킨다.
  3. 용접시에 발생하는 잔류응력 제거가 용이하다.
  4. 옥외작업이 많으므로 가스의 배기가 잘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블록 분할 건조는 건조 시간을 단축시켜 탑재 기간을 줄이고 건조독의 회전율을 증가시키는 것과 공작 기술을 고도화시키는 것, 그리고 용접시 발생하는 잔류응력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옥외작업이 많아서 가스의 배기가 잘 된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가스 배출량이 많다는 것은 환경오염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마킹, 절단, 굽힘 작업 등이 주된 작업이며, 강재를 부재로 만드는 공장은?

  1. 현도 공장
  2. 가공 공장
  3. 조립 공장
  4. 의장 공장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 공장은 강재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여 부재로 만드는 공장입니다. 마킹, 절단, 굽힘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강재를 필요한 크기와 모양으로 가공하고, 이를 다른 공장에서 조립하여 최종 제품을 만듭니다. 따라서 강재를 부재로 만드는 공장으로 가공 공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선소에서 강재의 흐름 순서로 옳은 것은?

  1. 가공공장 ⇒ 강재저장소 ⇒ 조립공장 ⇒ 선대
  2. 강재저장소 ⇒ 조립공장 ⇒ 가공공장 ⇒ 선대
  3. 강재저장소 ⇒ 선대 ⇒ 조립공장 ⇒ 가공공장
  4. 강재저장소 ⇒ 가공공장 ⇒ 조립공장 ⇒ 선대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재는 먼저 강재저장소에서 저장되고, 그 후 가공공장에서 가공되어 조립공장으로 이동합니다. 조립공장에서는 가공된 강재를 조립하여 선대로 이동시킵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강재저장소 ⇒ 가공공장 ⇒ 조립공장 ⇒ 선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선체 블록(block)을 만드는 조선소의 공정은?

  1. 현도
  2. 가공
  3. 조립
  4. 탑재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블록은 여러 개의 작은 조각들을 조립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조립이 필요합니다. 다른 공정인 현도는 각 부품을 제작하는 과정이고, 가공은 부품을 가공하는 과정, 탑재는 다른 부품을 올리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선체의 얇은 갑판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주름이 생기는 현상은 무엇 때문인가?

  1. 팬팅
  2. 비틀림
  3. 래킹
  4. 호깅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의 얇은 갑판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주름이 생기는 현상은 비틀림 때문입니다. 비틀림은 선체가 물속에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는 선체의 앞과 뒤가 서로 다른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비틀림은 선체의 강성이 낮을수록 더욱 심해지며, 얇은 갑판에서는 특히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횡늑골 구조 양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선수미 공작이 간편하다.
  2. 창내를 넓게 사용할 수 있다.
  3. 화물선에 많이 채용된다.
  4. 중량이 경감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횡늑골 구조 양식은 창내를 넓게 사용할 수 있고, 화물선에 많이 채용되어 운반 능력이 뛰어나며, 선수미 공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중량이 경감된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횡늑골 구조 양식은 기존의 세로늑골 구조 양식보다 더 많은 양의 강철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량이 경감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배의 종단면과 각 갑판면에서의 구조부재 배치 및 치수를 나타낸 도면은?

  1. 외판 전개도
  2. 중앙 횡단면도
  3. 일반 배치도
  4. 강재 배치도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재 배치도는 배의 종단면과 각 갑판면에서의 구조부재 배치 및 치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외판 전개도, 중앙 횡단면도, 일반 배치도는 구조부재의 배치와 치수를 나타내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강재 배치도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조립늑판의 구조부재가 아닌 것은?

  1. 주늑골
  2. 거더
  3. 부늑골
  4. 받침대
(정답률: 알수없음)
  • 조립늑판의 구조부재는 "주늑골", "부늑골", "받침대"입니다. "거더"는 조립늑판의 구조부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방현재(fender)가 설치되는 곳은?

  1. 선저외판
  2. 선측외판
  3. 빌지외판
  4. 선수루
(정답률: 알수없음)
  • 방현재는 선체의 옆면인 선측외판에 설치됩니다. 이는 선측외판이 파도나 바람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선체를 보호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박구조 및 조선제도

41. 기관실 후단 격벽과 선미 격벽을 겸용해도 좋은 선박은?

  1. 중앙 기관선
  2. 선수 기관선
  3. 선미 기관선
  4. 반 선미 기관선
(정답률: 알수없음)
  • 선미 기관선은 기관실 후단과 선미 격벽을 겸용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선박의 운항 안전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며, 특히 파도나 바람에 노출되는 선미 부분에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미 기관선은 안전성이 중요한 해양 환경에서 운항하는 선박에 적합한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선체 격벽 중 수밀격벽이 아닌 것은?

  1. 기관실 전단 격벽
  2. 선미 격벽
  3. 선수 격벽
  4. 석탄고 격벽
(정답률: 알수없음)
  • 석탄고 격벽은 선체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석탄 등의 화물을 보관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수밀격벽이 아닌 것입니다. 기관실 전단 격벽은 엔진실과 연결되어 있고, 선미 격벽은 선체의 앞쪽에 위치하며 파도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선수 격벽은 선체의 뒤쪽에 위치하며, 선수부의 안전을 위해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파도를 이겨내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것이 최대 목적인 선루는?

  1. 선수루
  2. 선교루
  3. 선미루
  4. 낮은 선루
(정답률: 알수없음)
  • 선루는 파도를 이겨내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것이 최대 목적인데, "선수루"는 선수들이 연습하고 경기를 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수루"가 정답입니다. "선교루"는 선교사들이 사용하는 공간, "선미루"는 선미(선박의 미)를 측정하는 공간, "낮은 선루"는 파도가 낮은 지역에 위치한 선루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갑판 통행시의 안전과 갑판위로 파랑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은?

  1. 불워크
  2. 페어 리더
  3. 핸드레일
  4. 바우 쵸크
(정답률: 알수없음)
  • 불워크는 갑판 통행시 발을 디딘 곳으로, 안전을 위해 설치됩니다. 불워크는 갑판의 경사를 완만하게 만들어주고,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전한 통행을 돕습니다. 또한 파랑이 갑판 위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불워크가 설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불워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팽창 연결(expansion joint)이 필요한 경우는?

  1. 상부 구조물이 선체 후단에 있을 때
  2. 불워크(bulwark)의 길이가 어느 정도 이상 길 때
  3. 중심선 거더(center girder)가 길 때
  4. 용골의 길이가 폭에 비해 길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불워크(bulwark)는 선박의 옆면을 보호하는 벽으로, 일정 길이 이상이 되면 온도 변화나 파도 등으로 인해 길이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팽창 연결(expansion joint)을 설치하여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워크의 길이가 어느 정도 이상 길어질 때 팽창 연결이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조선의 선수, 선미 부분은 일반적으로 어떤 구조양식인가?

  1. 종식구조
  2. 혼식구조
  3. 횡식구조
  4. 복합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유조선의 선수, 선미 부분은 일반적으로 횡식구조를 취합니다. 이는 선수, 선미가 선체의 가로 방향으로 놓여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선체의 안정성을 높이고, 파도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선수, 선미 부분에는 보통 강화된 강철재가 사용되어 충돌 시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용접 보조기호 중 현장 용접기호는?

(정답률: 알수없음)
  • 현장에서 용접을 할 때 사용하는 기호는 "" 입니다. 이는 현장에서 용접을 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호들은 보조적인 정보를 담고 있을 뿐,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래 도면에서 ①로 지시된 투상도의 명칭은?

  1. 국부투상도
  2. 보조투상도
  3. 회전투상도
  4. 전개투상도
(정답률: 알수없음)
  • ①로 지시된 투상도는 "보조투상도"입니다. 이는 원본 도형의 일부분만을 투영하여 그린 투상도로, 전체적인 모양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특정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선체 선도의 평면도 상에 직선으로 표시되는 선은?

  1. 수선
  2. 상갑판 현측선
  3. 종절선
  4. 사절선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선도의 평면도 상에서 직선으로 표시되는 선은 종절선입니다. 이는 선체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을 연결하는 선으로, 선체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체 설계 및 제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약자와 우리말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C.O.T - 청수창
  2. - 선미루 갑판
  3. A.T - 통풍 트렁크
  4. L.BT - 구명 보트
(정답률: 알수없음)
  • "C.O.T - 청수창"은 약자와 우리말이 틀리게 연결된 것입니다. C.O.T는 영어로 "Canvas Oilskin Tarpaulin"을 뜻하는데, 이는 청수창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약자와 우리말이 맞지 않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으로 중앙횡단면도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1. 외판
  2. 종격벽
  3. 센터 거더
  4. 횡격벽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횡단면도는 도로의 가로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도로의 세로단면에 해당하는 것들은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횡격벽은 도로의 세로단면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중앙횡단면도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강판 뒷면에 부착된 특설늑골을 나타내는 선은?

  1. 2점쇄선
  2. 굵은 점선
  3. 굵은 1점쇄선
  4. 가는 1점쇄선
(정답률: 알수없음)
  • 강판 뒷면에 부착된 특설늑골은 제조 과정에서 강판에 부착된 것이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해 강판의 표면에 선을 그어 구분합니다. 이때, 굵은 1점쇄선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뚜렷하게 구분되는 선으로, 특설늑골을 가장 명확하게 나타내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굵은 1점쇄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밸브의 도시 기호 중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하는 체크밸브 기호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의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화살표가 하나만 있고, 그 방향이 유체의 흐름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선박의 일반배치도 등에 사용되는 약호 중 볼라드를 나타내는 약호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볼라드는 선박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선박이 얼마나 큰 파도를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볼라드 약호는 선박의 일반배치도 등에서 파란색 원 안에 숫자로 표시되며, 이 숫자는 선박의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는 볼라드를 나타내는 약호 중 하나로, 선박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물체를 투상면의 뒤쪽에 놓고 투상하는 투상법은?

  1. 제 3각법
  2. 제 1각법
  3. 등각투상법
  4. 표고투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제 3각법은 물체를 투상면의 뒤쪽에 놓고 투상하는 방법으로, 물체와 투상면 사이에 직각이 만들어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다른 투상법에 비해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물체를 투상면의 뒤쪽에 놓고 투상하는 방법이 제 3각법이므로 정답은 "제 3각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선도에 기재되는 약자 중 늑골 간격을 뜻하는 것은?

  1. A.S
  2. F.S
  3. F.P
  4. B.L
(정답률: 알수없음)
  • F.S는 Frontal Sinus를 뜻합니다. 늑골 간격을 나타내는 약자는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F.S가 가장 적절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선체선도에 사용되는 용어와 약자의 연결 중 틀린 것은?

  1. 중심선 - C.L
  2. 선수수선 - A.P
  3. 수선 - W.L
  4. 기선 - B.L
(정답률: 알수없음)
  • 선수수선 - A.P가 틀린 것입니다.

    선수수선은 선체의 전후 중심선과 수평선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A.P는 선체의 앞뒤 끝점인 어퍼 포인트(Anchor Point)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선수수선과 A.P는 서로 다른 개념이므로 연결이 잘못되었습니다.

    중심선은 선체의 중심을 나타내는 선이며, 수선은 선체의 수직선을 의미합니다. 기선은 선체의 가장 아래 부분을 나타내는 기준선이며, 이러한 용어와 약자들은 선체선도 작성 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선체구조 끝단이 그림과 같이 처리된 경우 구조도면에 옳게 표시한 것은? (단, 앵글 끝단에 스닙은 하지 않음.)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구조의 끝단이 그림과 같이 처리된 경우, 구조도면에서는 ""와 같이 표시해야 합니다. 이는 앵글 끝단에 스닙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스닙이란, 각도를 둥글게 깎아내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앵글 끝단에 스닙을 하지 않고, 직각으로 처리해야 옳은 구조도면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선체 중앙횡단면의 현측에서 상갑판보의 상면부터 기선까지의 수직거리는?

  1. 등록 깊이
  2. 형깊이
  3. 건현용 깊이
  4. 형흘수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중앙횡단면에서 상갑판보의 상면부터 기선까지의 수직거리는 형깊이입니다. 이는 선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선박의 안정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형깊이는 선박 설계 및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외판이 도달하는 최상층의 갑판으로 최대 응력이 발생하는 갑판은?

  1. 노출 갑판
  2. 대갑판
  3. 유효 갑판
  4. 강력 갑판
(정답률: 알수없음)
  • 외판이 도달하는 최상층의 갑판은 파도, 바람, 해류 등의 자연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위치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갑판은 다른 갑판들보다 더 많은 응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상층 갑판은 강력 갑판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