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체건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선체건조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선공학일반

1.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톤수 중 중량(重量)톤인 것은?

  1. 총톤수(gross tonnage)
  2. 배수량(displacement)
  3. 순톤수(net tonnage)
  4. 운하톤수(canal tonnage)
(정답률: 알수없음)
  • 배수량은 배가 물에 배치되었을 때, 물을 밀어내는 무게를 말합니다. 따라서 배의 크기와 무게를 나타내는 톤수 중 중량(重量)톤은 배수량입니다. 총톤수는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순톤수는 선박의 운송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운하톤수는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선수루, 선교루, 선미루의 3개의 선루를 갖는 선박은?

  1. 웰갑판선
  2. 차랑갑판선
  3. 트렁크(trunk)선
  4. 삼도형선(三島型船)
(정답률: 알수없음)
  • 삼도형선은 선수루, 선교루, 선미루가 각각 앞, 중간, 뒤에 위치한 형태의 선박으로, 이름은 일본의 삼도(三島) 지방에서 개발되었다는 것에서 유래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선박의 안정성을 높이고, 항해 중에도 안정적인 선박 운항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선수루, 선교루, 선미루를 갖는 선박은 삼도형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고속 항주에 적합하고 수중익을 가지고 있는 선박은?

  1. 공중 프로펠러선
  2. 하이드로포일선
  3. 호버 크라프트선
  4. 보이드 슈나이더선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이드로포일선은 수면 위를 떠다니는 것이 아니라, 물속을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물의 저항이 적어 고속 항주에 적합합니다. 또한 하이드로포일이라는 날개 모양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중익을 가지고 있어 물속에서도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심프슨 법칙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배의 중심
  2. 배의 복원력
  3. 배의 배수량
  4. 배의 구획
(정답률: 알수없음)
  • 심프슨 법칙은 적분을 근사하는 방법 중 하나로, 면적을 구할 때 사용됩니다. 배의 배수량은 배가 얼마나 많은 물을 담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배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배의 배수량이 크면 더 많은 물을 담을 수 있으므로, 면적을 구할 때 더 정확한 근사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심프슨 법칙과 배의 배수량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길이 130 m, 폭 18 m, 길이 10 m, 흘수 5 m, 방형계수(CB) 0.6인 배가 바다물에 떠있다면 배수량은? (단, 해수의 비중은 1.025 이다.)

  1. 약 7020 톤
  2. 약 23400 톤
  3. 약 7200 톤
  4. 약 14040 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수량은 배의 잠금선 아래 부분의 체적과 해수의 비중을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배의 체적을 계산해야 한다.

    배의 체적 = 길이 x 폭 x 흘수 x 방형계수(CB)
    = 130m x 18m x 5m x 0.6
    = 7020 m^3

    해수의 비중은 1.025 이므로, 배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배수량 = 배의 체적 x 해수의 비중
    = 7020 m^3 x 1.025
    ≈ 7200 톤

    따라서 정답은 "약 7200 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스터빈 기관의 특징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열효율이 좋지 못하다.
  2. 여러가지 보조장치가 필요하다.
  3. 기관 중량이 가볍다.
  4. 역전장치가 필요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터빈 기관은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만들어내는 기관으로, 역전장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소가스가 회전운동으로 바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전장치가 필요없다."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철강 재료에 내식성을 부여하는 대표적인 원소는?

  1. Mn
  2. Cr
  3. Si
  4. W
(정답률: 알수없음)
  • Cr은 내식성을 부여하는 대표적인 원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Cr이 철과 결합하여 생성되는 크롬산화물이 철의 표면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Cr은 철과 합금을 이루어 강도와 내식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철강 재료에 내식성을 부여하기 위해 Cr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강재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전해부식 방지용 보호판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1. 주석(Sn)
  2. 인(P)
  3. 납(Pb)
  4. 아연(Zn)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재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전해부식 방지용 보호판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아연(Zn)입니다. 이는 아연이 전기음성도가 높아서 강재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보다 더 쉽게 전자를 내어주기 때문에, 전해부식이 발생할 때 아연이 먼저 부식되어 보호판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연은 부식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물이 물에 용해되어 쉽게 제거될 수 있어서 부식방지 효과가 더욱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F.R.P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2. 비중은 강철보다 작다.
  3. 결합 부분이 없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4. 강도는 연강보다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강도는 연강보다 작다."입니다. F.R.P는 강철보다 가벼우며, 결합 부분이 없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하지만 강도는 연강보다 낮기 때문에 적절한 설계와 제조 공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조선용 강재가 가져야 하는 성질은?

  1. 냉간가공이 가능하고, 선상가열해도 좋은 것
  2. 냉간가공이 가능하고, 선상가열을 못하는 것
  3. 극저온(極低溫)에서 파괴되지 않는 것
  4. 용접할 수 없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조선용 강재는 냉간가공이 가능하고, 선상가열해도 좋은 이유는 강재의 내구성과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냉간가공은 강재를 냉각한 상태에서 가공하는 것으로, 강재의 내부 구조를 보존하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선상가열은 강재를 가열한 상태에서 가공하는 것으로, 강재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조선용 강재는 냉간가공이 가능하고, 선상가열해도 좋은 것이 이상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앵커(anchor)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좁은수역에서의 선회
  2. 선박의 항해 중 급정지
  3. 계선
  4. 타선박의 예인
(정답률: 알수없음)
  • 앵커는 선박이나 배가 바다나 강 등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타선박의 예인"은 앵커의 사용 목적이 아닙니다. 앵커는 선박이나 배가 바다나 강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타선박의 예인은 다른 선박이나 배를 안전하게 접근하거나 물건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앵커 대빗이나 앵커 베드(anchor bed)의 설치가 필요없고 격납이 간단하며 항해 중 묘쇄공에 격납되어 있는 앵커는?

  1. 스톡 앵커
  2. 스톡리스 앵커
  3. 버섯형 앵커
  4. 시 앵커(sea anchor)
(정답률: 알수없음)
  • 스톡리스 앵커는 대빗이나 베드가 필요없고 격납이 간단하며 항해 중 묘쇄공에 격납되어 있는 앵커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스톡리스 앵커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일반적으로 가로 메타센타 높이가 가장 큰 선박은?

  1. 화물선
  2. 어선
  3. 범선
  4. 여객선
(정답률: 알수없음)
  • 범선은 일반적으로 가로 메타센타 높이가 가장 큰 선박입니다. 이는 범선이 대부분의 경우 물 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높은 선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범선은 대형화물 운송이나 건설 작업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높은 선체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선체의 마찰저항을 나타내는 프루드(Froude)의 공식에서 마찰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배의 길이
  2. 배의 나비
  3. 배의 흘수
  4. 배의 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프루드의 공식에서 마찰계수는 배의 길이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배의 길이가 길수록 배의 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물과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의 길이가 길수록 마찰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선체의 운항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떤 선박의 수선면의 중심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중심
  2. 형심
  3. 부면심
  4. 부심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수선면은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선면의 중심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중심을 부면심이라고 부르며, 이는 수선면의 면적과 중심축 사이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부면심은 수선면의 대칭성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선형계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속도계수
  2. 주형계수
  3. 중앙횡단면계수
  4. 수선면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계수는 선형적인 크기가 아니라 속도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계수이기 때문에 선형계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선형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선박의 운동성능에서 선박의 안전 및 승선감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전후동요
  2. 상하동요
  3. 횡요(rolling)
  4. 종요(pitching)
(정답률: 알수없음)
  • 횡요(rolling)는 선박이 좌우로 기울어지는 운동으로, 선박 안에서 승객이나 화물이 좌우로 흔들리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횡요는 선박의 안전과 승선감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박은 일반적으로 선미트림인 경우가 많은데 선미트림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조파저항 감소
  2. 파랑피해 완화
  3. 키의 효과 양호
  4. 공기 저항의 증대
(정답률: 알수없음)
  • 선미트림은 선박의 조파저항을 감소시켜 연료소모를 줄이고, 파랑피해를 완화시키며, 키의 효과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선미트림은 선박의 전면부가 뾰족하게 되어 공기 저항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선박의 속도를 높일수록 더욱 큰 문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박의 침수부분의 체적 중심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무게중심
  2. 부력중심
  3. 메타센터
  4. 회전중심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침수부분의 체적 중심을 부력중심이라고 합니다. 이는 선박이 물에 떠 있는 상태에서 물의 밀도와 부력이 작용하여 선박을 지지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부력중심은 선박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으며, 선박이 기울어졌을 때 부력이 작용하는 지점이 이동하면서 선박의 안정성이 변화합니다. 따라서 부력중심의 위치는 선박의 설계 및 운항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선속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가장 급격히 증가하는 저항은?

  1. 마찰 저항
  2. 조파 저항
  3. 조와 저항
  4. 공기 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선속이 증가하면 전자가 흐르는 속도도 증가하게 되어 전자와 원자간 충돌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열로 변하게 되는데, 이 열은 전기 에너지의 손실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선속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가장 급격히 증가하는 저항은 조파 저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선박건조

21. 산소-아세틸렌 가스 절단이 가장 잘 될 수 있는 재료는?

  1. 강판
  2. 알루미늄판
  3. 동판
  4. 주철
(정답률: 알수없음)
  • 강판은 다른 재료에 비해 높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산소-아세틸렌 가스 절단 시에도 잘 유지되며 깨어짐이나 변형이 적어 가장 잘 절단됩니다. 반면, 알루미늄판과 동판은 부식성이 높아 가스 절단 시에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주철은 연소성이 높아 가스 절단 시에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강판이 가장 적합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공공사를 보통 무슨 공사라고 하는가?

  1. 외업 공사
  2. 내업 공사
  3. 조립 공사
  4. 선대 공사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공사는 원자재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드는 공정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내부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을 내업 공사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내업 공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선체 곡외판 제작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선상가열후 프레스 성형
  2. 플랜징 머신으로 성형
  3. 프레스로 1차 성형후 선상가열 성형
  4. 시어링 머신으로 성형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곡외판은 크기가 크고 복잡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선상가열 후 프레스로 1차 성형을 한 후에 다시 선상가열 성형을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선상가열로 인해 재료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성형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1차 성형으로 인해 재료의 불균일한 응력이 해소되어 선상가열 성형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레스로 1차 성형 후 선상가열 성형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그림에서 A로 지시된 부품의 명칭은?

  1. 도그 피스(dog piece)
  2. 플로팅 스트롱 백(floating strong back)
  3. 턴 버클 피스(turnbuckle piece)
  4. 브레이스(brace)
(정답률: 알수없음)
  • A로 지시된 부품은 "브레이스(brace)"입니다. 이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품으로, 수평이나 수직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며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구조물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이지만, 브레이스는 특히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판의 맞대기 용접 시에 사용되지 않는 지그는?

  1. 쐐기(웨지)
  2. 꺽임방지 브래킷
  3. 스트롱 백
  4. 눈틀림 고치기 피스
(정답률: 알수없음)
  • 판의 맞대기 용접 시에는 두 개의 판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지그를 사용합니다. 이때 꺽임방지 브래킷은 판이 용접 과정에서 꺾이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쐐기, 스트롱 백, 눈틀림 고치기 피스는 판의 맞대기 용접 시에 사용되는 지그 중 하나가 될 수 있지만, 꺽임방지 브래킷은 사용되지 않는 지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블록 중 입체 블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관실 블록
  2. 이중저 블록
  3. 선수미 블록
  4. 격벽 블록
(정답률: 알수없음)
  • 격벽 블록은 입체적인 형태가 아니라 평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블록들은 모두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박의 세로 진수시 선미부터 진수를 시키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빨리 부력을 얻을 수 있다.
  2. 타 및 프로펠러를 보호할 수 있다.
  3. 선수부가 피보팅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다.
  4. 평행상태를 유지하며 진수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이 평행상태를 유지하면 선수부와 선미부의 무게 분포가 균형을 이루어 안정적으로 진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력 효과, 타 및 프로펠러 보호, 피보팅 하중 견딜 수 있는 능력 등과 같은 다른 이유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산소-아세틸렌 가스절단기 및 토치를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으로서 틀린 것은?

  1. 팁의 점화는 용접용 라이터를 사용한다.
  2. 토치에 기름이나 그리이스를 바르지 않는다.
  3. 팁을 소재할 때에는 반드시 팁 클리이너를 사용한다.
  4. 토치가 가열되었을 때는 먼저 산소밸브를 잠근 후 물에 식힌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치가 가열되었을 때는 먼저 산소밸브를 잠근 후 물에 식힌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산소밸브를 먼저 잠그면 불꽃이 꺼지지 않고 계속해서 연소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먼저 가스밸브를 닫고, 불꽃을 끄고 나서 산소밸브를 닫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선소의 입지 조건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하천 또는 바다에 접한 넓은 장소를 가져야 한다.
  2.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많아야 한다.
  3. 조류가 완만하고, 간만의 차가 작아야 한다.
  4. 주요 항구 또는 항구에 인접한 곳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소에서는 대량의 철강재료와 기계장비 등을 운반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바다와 인접한 곳이어야 합니다. 또한 조선소에서는 대부분의 작업이 실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많은 지역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많아야 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선도 작업시 불규칙한 선을 매끈한 곡선으로 수정작업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페어링
  2. 리킹
  3. 템플링
  4. 랜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페어링"입니다.

    페어링은 선도 작업에서 불규칙한 선을 매끈한 곡선으로 수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는 불필요한 선을 제거하고, 선의 흐름을 조절하여 디자인의 일관성과 조화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페어링이 정답이 됩니다.

    리킹은 인쇄물에서 잉크가 찍히지 않는 부분을 말하며, 템플링은 인쇄물에서 색상이 일정하지 않은 부분을 말합니다. 랜딩은 비행기가 착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선박 건조기간의 단축을 위하여 선각 공사기간 중에 의장 공사를 동시에 하는 선행의장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선대 위의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2. 의장품의 부착이 쉬우며, 공수가 절감될 수 있다.
  3.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4. 공사 장소가 분산되어 관리하기가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사 장소가 분산되어 관리하기가 쉽다는 것은 선행의장 작업과 선각 공사 작업이 별도의 장소에서 동시에 진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공사 현장에서의 혼잡도를 줄이고, 작업자들의 이동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는 선대 위의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는 것과 의장품 부착 및 안전 작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탑재할 블록을 크레인으로 옮기거나 들어올릴 때 편리하도록 블록에 임시로 붙이는 것은?

  1. 아이 플레이트(eye plate)
  2. 링 볼트(ring bolt)
  3. 링 플레이트(ring plate)
  4. 아이 볼트(eye bolt)
(정답률: 알수없음)
  • 아이 플레이트는 블록에 임시로 붙이기 쉽고 간편하며, 크레인으로 블록을 옮길 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링 볼트나 링 플레이트는 블록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아이 볼트는 블록을 들어올리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플럭스 속에 심선이 공급되면서 모재와 와이어 심선 사이의 아크열에 의해 연속용접이 이행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아크가 플럭스 내부에서 일어나고 실드는 플럭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용접은?

  1. 이산화탄소 아크용접
  2.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3. 일렉트로 슬래그용접
  4. 불활성가스 아크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플럭스 속에 심선이 공급되면서 모재와 와이어 심선 사이의 아크열에 의해 연속용접이 이행되도록 하는 방법은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입니다. 이는 플럭스 내부에서 아크가 발생하고, 플럭스가 실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아크용접, 일렉트로 슬래그용접, 불활성가스 아크용접은 서브머지드 아크용접과는 다른 용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선체 도장작업에 있어서 안전 및 위생관리의 유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녹떨기 작업 시 방진안경, 방진마스크를 착용한다.
  2.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장소는 송기마스크를 착용한다.
  3. 도장 시 용제가 휘발하지 않도록 통풍구를 닫는다.
  4. 산이나 알칼리를 사용하는 작업은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도장 시 용제가 휘발하지 않도록 통풍구를 닫는다."

    설명: 도장 작업 시 용제가 휘발하면 인체에 유해한 기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통풍구를 닫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오히려 통풍이 잘 되도록 환기를 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우발적인 사고로 인하여 신체적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입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산업 안전
  2. 산업 재해
  3. 작업 안전
  4. 안전과 위생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 재해는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우발적인 사고로 인하여 신체적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입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산업 안전과 작업 안전은 산업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안전과 위생은 이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새깅(sagging)과 호깅(hogging)상태의 응력을 담당하는 부재가 아닌 것은?

  1. 늑판
  2. 중심선 거더
  3. 상갑판
  4. 용골
(정답률: 알수없음)
  • 늑판은 새깅과 호깅 상태의 응력을 담당하는 부재가 아니라,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부재이기 때문입니다. 새깅과 호깅 상태의 응력을 담당하는 부재는 중심선 거더, 상갑판, 용골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선박이 항행중에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제일 크게 받는 부분은? (단, L은 선체의 길이)

  1. 선수 부분
  2. 선수 또는 선미로 부터 L/4 되는 부분
  3. 선미 부분
  4. 선체의 중앙 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의 중앙 부분이 굽힘 모멘트를 제일 크게 받는 이유는, 선체의 중앙 부분이 가장 높은 힘을 받기 때문입니다. 선체의 중앙 부분은 선수 부분과 선미 부분에 비해 물의 저항이 적기 때문에, 선체가 물을 가르는 동안 가장 많은 힘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선체의 중앙 부분이 굽힘 모멘트를 제일 크게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선박 용어 중 선저구배(rise of floor)란?

  1. 갑판의 선수미에 있어 상하 방향의 기울기
  2. 선측의 상부가 하부보다 내측으로 만곡한 것
  3. 수평면과 선저가 이루는 경사
  4. 전부흘수와 후부흘수의 차
(정답률: 알수없음)
  • 선저구배는 선박의 바닥면이 수평면과 어떤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수평면과 선저가 이루는 경사"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갑판의 상하 방향 기울기, 선측의 만곡, 전후부흘수의 차 등과 관련된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비수밀 실체늑판(solid floor)에 뚫는 구멍 중 제일 큰 것은?

  1. 경감 구멍
  2. 맨홀
  3. 드레인 홀
  4. 공기 구멍
(정답률: 알수없음)
  • 비수밀 실체늑판에 뚫는 구멍 중에서 맨홀이 제일 큰 이유는 맨홀이 인간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맨홀은 보통 도로나 인도 위에 위치하며, 하수관이나 전기선 등을 점검하거나 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맨홀은 다른 구멍들보다 크기가 크고 인간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보의 치수 결정과 관계없는 것은?

  1. 보의 간격
  2. 늑골의 크기
  3. 갑판 하중의 무게
  4. 보의 지점간의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의 치수 결정은 보의 간격과 지점간의 거리, 갑판 하중의 무게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늑골의 크기는 보의 치수 결정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늑골은 보와는 별개의 부재물로, 선박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박구조 및 조선제도

41. 다음 중 평판 수밀격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창내 격벽은 건현갑판까지 달한다.
  2. 구조는 격벽판과 이의 보강재로 구성된다.
  3. 격벽판은 윗부분에 하중이 크게 작용하므로 윗부분을 두껍게 한다.
  4. 보강재의 끝단 고착 방법에는 브래킷, 러그(lug)고착, 스닙(snip)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격벽판은 윗부분을 두껍게 하는 이유는 하중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대형선에서 스톡리스 앵커의 앵커 생크(anchor shank)가 격납되는 곳은?

  1. 집시 휠(gypsy wheel)
  2. 선수 쵸크(bow chock)
  3. 묘쇄공(호즈 파이프, hawse pipe)
  4. 선수 피크 탱크(forepeak tank)
(정답률: 알수없음)
  • 스톡리스 앵커의 앵커 생크는 대형선의 전면에 위치한 앵커 체인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앵커 체인은 묘쇄공(호즈 파이프, hawse pipe)을 통해 격납되며, 묘쇄공은 선박의 전면 하부에 위치한 파이프로서 앵커 체인이 출입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묘쇄공(호즈 파이프, hawse pip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조선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기관실은 여러가지 이유로 선미에 위치한다.
  2. 화물유의 하역을 위한 펌프실은 보통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한다.
  3. 선수 격벽의 후방 구획은 일반 화물창으로 하며, 그 아래쪽에 밸러스트 탱크를 설치한다.
  4. 화물유 탱크의 전후 양끝에는 코퍼댐(cofferdam)을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화물유의 하역을 위한 펌프실은 보통 선체의 선수부에 위치한다."입니다. 이유는 펌프실은 보통 선체의 후방에 위치하여 화물유의 하역을 위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두 입체가 교차하는 곳에 나타나는 선은?

  1. 상관선
  2. 포물선
  3. 쌍곡선
  4. 절단선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입체가 교차하는 곳에서 나타나는 선은 상관선입니다. 상관선은 두 입체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수직이며, 이 지점에서 두 입체의 경사면이 만나는 곳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상관선은 입체의 교차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정투상도법 중 제 3각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면도는 정면도의 위쪽에 도시한다.
  2. 물체의 뒤쪽에 투상면을 설정한다.
  3. 좌측면도는 정면도의 좌측에 도시한다.
  4. 물체를 제 3각 안에 놓고 투상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의 뒤쪽에 투상면을 설정한다."는 제 3각법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제 2각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제 3각법에서는 물체를 제 3각 안에 놓고 투상하는 것이며, 이는 물체의 모든 면이 투상면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물체의 뒤쪽에 투상면을 설정한다."는 제 2각법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며, 제 3각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도면에 치수를 기입하기 위하여 외형선과 평행하게 그은 선의 명칭은?

  1. 지시선
  2. 치수 보조선
  3. 화살표
  4. 치수선
(정답률: 알수없음)
  • 치수를 나타내기 위해 그리는 선으로, 도면상에서 실제 부품의 크기와 위치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치수선"이라는 명칭이 붙는다. 지시선은 도면상에서 작업자에게 특정 작업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치수 보조선은 치수선을 그리기 위한 보조선으로 사용된다. 화살표는 일반적으로 도면상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선체의 각 횡단면의 진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은?

  1. 정면도
  2. 반폭도
  3. 측면도
  4. 평면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의 각 횡단면의 진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은 정면도입니다. 이는 선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그린 것으로, 선체의 전방에서 뒷쪽으로 향하는 면을 그린 것입니다. 다른 도면들은 선체의 다른 면을 그리는 것이지만, 정면도는 선체의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선체 선도(線圖)의 순정(順整)을 위한 수정작업은?

  1. 페어링(fairing)
  2. 마킹(marking)
  3. 현도
  4. 현호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선도의 순정을 위한 수정작업은 페어링(fairing)이다. 페어링은 선체의 외형을 부드럽고 곡선적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선체의 각 부분을 연결하여 부드러운 곡선을 만들어주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선체의 미적인 외형과 수준 높은 성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선박의 일반배치도에서 U DK 또는 UPP DK 로 표시된 것은?

  1. 선수수선
  2. 선미수선
  3. 선교루갑판
  4. 상갑판
(정답률: 알수없음)
  • U DK 또는 UPP DK는 선박의 상부 구조물 중에서도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 갑판을 의미합니다. 이 갑판은 선박의 상부 구조물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항해 중에는 선원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이며, 선박의 안전과 항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U DK 또는 UPP DK는 상갑판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선체 선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선체를 수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것은?

  1. 수선면
  2. 종단면
  3. 횡단면
  4. 경사면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선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선체의 형상을 평면에 투영해야 합니다. 이때, 수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것을 수선면이라고 합니다. 이는 선체의 길이와 너비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선체 선도를 작성할 때는 수선면을 사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선박 구조도의 정면 도시에 관한 약속으로 잘못된 것은?

  1. 선수를 향해 보고 도시한다.
  2. 각 늑골선에 배치된 부재를 도시한다.
  3. 양현의 구조가 다를 때는 '좌현만(P-ONLY)' 또는 '우현만(S-ONLY)'이라고 기입한다.
  4. 도면에 도시되는 면은 선수 쪽 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 구조도에서 정면 도시는 선수를 향해 보고 도시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선박이 전진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부분이 선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수 쪽 면을 도시하여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이중저 선박(doubel bottom vessel)의 이중저를 나타내는 약자는?

  1. R.B
  2. S.C
  3. F.B
  4. D.B
(정답률: 알수없음)
  • D.B는 "Double Bottom"의 약자입니다. 이중저 선박은 선체 하부에 두 개의 강화된 강철 바닥판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저는 선박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중저를 나타내는 약자로 D.B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선박의 일반배치도에 도시된 다음 약도가 뜻하는 것은?

  1. 볼라드(bollard)
  2. 양묘기(windlass)
  3. 캡스턴(capstan)
  4. 앵커 대빗(anchor davit)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약도는 선박의 앵커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라드(bollard)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볼라드는 선박이 부두나 선박용 케이블 등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장치로, 선박의 안전한 정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양묘기(windlass)는 앵커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기계, 캡스턴(capstan)은 선박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 앵커 대빗(anchor davit)은 앵커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선박의 일반배치도에 그림과 같이 나타낸 것은?

  1. 맨홀
  2. 통풍통
  3. 천창
  4. 양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일반배치도에서 그림으로 나타낸 것은 선박 내부의 구조물이며, 그 중에서도 맨홀은 선박 내부에 있는 배수구나 환기구를 뜻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맨홀"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타(rudder)를 회전시키는 장치로 타두(rudder head)의 윗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1. 틸러
  2. 러더 포스트
  3. 러더 핀틀
  4. 러더 스톡
(정답률: 알수없음)
  • 타(rudder)를 회전시키는 장치는 틸러(tiller)입니다. 틸러는 타두(rudder head)의 윗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선박의 운전자가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켜 타를 조종합니다. 다른 보기인 러더 포스트, 러더 핀틀, 러더 스톡은 모두 타를 조종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이지만, 타를 직접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틸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강재배치도(construction profile & deck pla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선체의 주요 강력 부재의 배치, 치수 및 그 변화 상태를 나타낸다.
  2. 선체 주요치수와 의장수, 닻, 닻줄 등 주요의장 치수가 기입된다.
  3. 선체의 종단면도, 각 갑판도, 선저 평면도 등으로 구성된다.
  4. 선체 각부의 상세도를 작성하는 기초 지침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주요치수와 의장수, 닻, 닻줄 등 주요의장 치수가 기입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강재배치도는 선체의 주요 강력 부재의 배치, 치수 및 그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주요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디프 탱크의 설비 중에서 탱크 내에 남아 있는 물이나 기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관을 설치하는데 이 관의 명칭은?

  1. 측심관
  2. 배수관
  3. 통기관
  4. 일수관
(정답률: 알수없음)
  • 디프 탱크 내부의 물이나 기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탱크 내부에 설치된 측심관을 사용합니다. 측심관은 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탱크 내부의 액체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는 액체의 높이를 측정하여 탱크 내부의 액체의 양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측심관은 디프 탱크 내부의 액체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선미기관선에서 기관실을 보호하고 능파성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조타장치 보호를 주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1. 선미루
  2. 선수루
  3. 선교루
  4. 저선루
(정답률: 알수없음)
  • 선미루는 선박 내부에서 기관실을 보호하고 능파성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조타장치 보호를 주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선박 내부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거나 설치되지 않는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선박구조도에 부재를 표시 할 때 굵은실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은?

  1. 강판의 절단면
  2. 강판의 뒷면에 있는 격벽
  3. 브래킷
  4. 거더(girder)의 단면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구조도에서 부재를 표시할 때 굵은실선은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거나 중요한 부재를 나타내는데, 강판의 뒷면에 있는 격벽은 구조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기 때문에 굵은실선으로 나타내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강판의 뒷면에 있는 격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이중저 구조에 설치되는 탱크로서 선박의 트림 조정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연료유 탱크
  2. 청수 탱크
  3. 밸러스트 탱크
  4. 윤활유 탱크
(정답률: 알수없음)
  • 밸러스트 탱크는 이중저 구조에 설치되어 있으며, 선박의 트림 조정에 사용됩니다. 이는 탱크 내부에 물을 채워서 배의 중심축을 변경함으로써 선박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항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밸러스트 탱크가 이중저 구조에 설치되는 탱크 중에서 선박의 트림 조정에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