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체건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선체건조기능사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선공학일반

1. 선체운동 중 만곡부 용골(bilge keel)과 가장 관계가 큰 운동은?

  1. 종요
  2. 슬래밍
  3. 횡요
  4. 피칭
(정답률: 알수없음)
  • 만곡부 용골은 선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는 선체의 횡운동(좌우로 흔들리는 운동)을 제어하여 선박의 기울기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만곡부 용골과 가장 관계가 큰 운동은 횡요입니다. 횡요는 선박이 좌우로 흔들리는 운동으로, 만곡부 용골은 이러한 운동을 제어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수선면계수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수선면적
  2. 수선간 길이
  3. 형폭
  4. 형흘수
(정답률: 알수없음)
  • 수선면적, 수선간 길이, 형폭은 모두 수선과 관련된 개념이지만, 형흘수는 수선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형흘수는 단면의 모양과 관련된 개념으로, 단면이 얼마나 휘어지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수선면계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배의 길이 방향의 횡단면적 분포상태를 가장 잘 나타내는 계수는?

  1. 주형계수
  2. 중앙횡단면계수
  3. 수직주형계수
  4. 방형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주형계수는 배의 길이 방향으로 나뉘어진 구획들의 횡단면적 분포를 나타내는 계수입니다. 이는 배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으며, 배의 길이 방향으로 구획을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구획 간의 안정성 차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의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한 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담금질한 강을 상온에서 방치하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성질이 서서히 변하게 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경화
  2. 취소
  3. 시효
  4. 불림
(정답률: 알수없음)
  • 담금질한 강을 상온에서 방치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강의 성질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일어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원래의 성질로 돌아갈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시효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방형계수(CB)가 0.7, 길이 50 m, 폭 9 m, 깊이 9 m, 흘수 5 m 인 선박의 배수량은? (단, 해수 비중은 1.025이다.)

  1. 1,575톤
  2. 1,614톤
  3. 2,845톤
  4. 2,921톤
(정답률: 알수없음)
  • 방형계수(CB)는 선박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선박의 형태가 둥글고 둥근 형태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B가 0.7인 선박은 상대적으로 둥근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배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배수량 = 길이 x 폭 x 깊이 x 흘수 x 해수 비중 x CB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배수량 = 50 x 9 x 9 x 5 x 1.025 x 0.7 = 1,614톤

    따라서 정답은 "1,614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선박 중 넓은 갑판을 가지며, 조파저항을 줄일 수 있고, 높은 안정성을 가진 선박은?

  1. 수중익선
  2. 와이저선
  3. 쌍동선
  4. 공기부양선
(정답률: 알수없음)
  • 쌍동선은 두 개의 선체를 가지고 있어서 안정성이 높고, 갑판이 넓어서 화물을 많이 실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물속에서의 저항을 줄여서 조파저항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박 추진축계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축계 자체의 진동이 작아야 한다.
  2. 선체 진동을 유발시키지 않아야 한다.
  3. 고속 운전에도 잘 견뎌야 한다.
  4. 주기관에 대한 반응이 느려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관에 대한 반응이 느려야 한다는 조건은 잘못된 것입니다. 선박 추진축계는 주기관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기관에 대한 반응이 빠를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조건은 "주기관에 대한 반응이 빠를수록 좋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박의 하역설비와 관계없는 것은?

  1. 데릭 붐
  2. 윈치
  3. 화물창구
  4. 윈드라스
(정답률: 알수없음)
  • 데릭 붐, 윈치, 화물창구는 모두 선박의 하역설비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윈드라스는 선박의 항해에 사용되는 장비로, 하역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윈드라스는 선박의 항해 중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측정하여 항로를 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닻의 사용 용도와 거리가 먼 것은?

  1. 배를 임의의 위치에서 계선 정박할 때
  2. 좁은 수역에서 배의 앞부분을 회전시키려고 할 때
  3. 하역시 선박의 동요를 방지하고자 할 때
  4. 좌초된 선박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닻은 선박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하역시에는 선박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하역시 선박의 동요를 방지하고자 할 때"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모양에 따른 배의 종류를 열거한 것이다. 겉모양이 가장 비슷한 것 끼리 짝지어진 것은?

  1. 평 갑판선 - 삼루형선
  2. 차랑 갑판선 - 복 갑판선
  3. 웰 갑판선 - 차랑 갑판선
  4. 복 갑판선 - 웰 갑판선
(정답률: 알수없음)
  • 차랑 갑판선과 복 갑판선은 모두 상부 구조물이 높게 솟아있어서 선체의 중심이 아래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안정성이 높은 형태이다. 따라서 겉모양이 가장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평 갑판선과 삼루형선은 선체의 중심이 높게 위치하고, 안정성이 낮은 형태이며, 웰 갑판선은 선체의 중심이 낮게 위치하고, 안정성이 높은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펠러의 공동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프로펠러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2. 러더(rudder)의 측면적을 크게 한다.
  3. 감속장치를 설치한다.
  4. 지름이 큰 프로펠러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러더의 측면적을 크게 하는 것은 프로펠러의 공동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러더는 선박의 방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으로, 프로펠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러더의 측면적을 크게 하는 것은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러더의 측면적이 크면 물에 가해지는 힘이 더욱 강해져서 선박의 방향을 더욱 빠르게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선박의 재화중량(載貨重量)을 나타내는 영문 약자는?

  1. LW
  2. WT
  3. DW
  4. NT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재화중량을 나타내는 영문 약자는 "DW"입니다. 이는 "Deadweight"의 약자로, 선박이 운반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나타냅니다. LW는 "Lightweight"의 약자로, 선박의 무게를 나타내며, WT는 "Weight"의 약자로, 선박이 현재 운반 중인 중량을 나타냅니다. NT는 "Net Tonnage"의 약자로, 선박의 운반 능력과 관련된 세금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선박 현호의 기능 설명 중 틀린 것은?

  1. 능파성을 증대시킨다.
  2. 선체의 예비부력을 증대시킨다.
  3. 침수시 선수의 횡경사를 좋게 한다.
  4. 배수를 원활히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 현호의 기능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침수시 선수의 횡경사를 좋게 한다는 것은 선박이 침수할 때 선수부분이 물에 잠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선수부분이 물에 잠기면서 선박이 기울어지는데, 이때 횡경사가 좋으면 선박이 덜 기울어지므로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선박 현호는 침수시 선수의 횡경사를 좋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떤 선박의 선수흘수가 1.02 m, 선미흘수가 1.90 m 일 경우 이 배의 트림은?

  1. 선미트림 0.88 m
  2. 선수트림 0.88 m
  3. 선미트림 0.44 m
  4. 선수트림 0.44 m
(정답률: 알수없음)
  • 선미트림은 선수흘수와 선미흘수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선미트림은 1.90 - 1.02 = 0.88 m 입니다. 선수흘수와 선미흘수의 차이가 양수이므로 선미트림은 양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미트림 0.88 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길이 100 m, 폭 14 m 의 배가 바다에 떠 있다. 이 배의 수선면적계수가 0.774 일 때 50 톤의 중량을 실었다면, 흘수의 일정한 증가량은?

  1. 2.5 cm
  2. 3.7 cm
  3. 4.6 cm
  4. 5.4 cm
(정답률: 알수없음)
  • 수선면적계수는 배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르며, 이 값이 클수록 배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이 문제에서는 수선면적계수가 0.774 이므로, 배의 안정성이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중량이 50 톤인 경우, 배의 흘수는 일정하게 증가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흘수는 배의 물면적과 수선면적, 그리고 중력가속도와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흘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배의 물면적과 수선면적을 알아야 한다.

    배의 물면적은 길이와 폭을 곱한 값인 100m x 14m = 1400m² 이다. 수선면적은 물면적과 수선면적계수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수선면적은 1400m² x 0.774 = 1083.6m² 이다.

    중력가속도는 9.8m/s², 밀도는 1000kg/m³ 이므로, 중량 50 톤은 50,000kg 이다. 이를 중력가속도와 밀도로 나누면 부피가 나오는데, 부피는 물에 배가 밀려서 차지하는 공간이므로, 이 값이 흘수와 같다. 따라서, 흘수는 50,000kg / (9.8m/s² x 1000kg/m³) = 5.102m³ 이다.

    흘수의 일정한 증가량은, 흘수와 배의 물면적의 비율에 비례한다. 즉, 흘수가 1m³ 증가할 때마다 물면적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구하면 된다. 이 값은 수선면적계수와 관련이 있다. 수선면적계수가 클수록 배의 모양이 둥글어지므로, 물면적이 증가하는 비율이 작아진다. 따라서, 수선면적계수가 작을수록 흘수의 증가량이 크다.

    이 문제에서는 수선면적계수가 0.774 이므로, 흘수의 증가량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작은 값인 "2.5 cm" 와 "3.7 cm" 는 너무 작고, "5.4 cm" 는 너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6 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체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특수강은?

  1. 고장력강
  2. 연강
  3. 반연강
  4. 탄소강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특수강은 고장력강입니다. 이는 고장력강이 높은 인장강도와 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선체 구조물은 큰 하중과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고장력강과 같은 강재를 사용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장력강은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해양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정수 중에 떠 있는 선박의 화물을 좌현에서 우현으로 이동하였을 때 나타나는 현상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중심 G가 수평 이동한다.
  2. 부심 B가 수평 이동한다.
  3. 배수 용적의 형태가 변화한다.
  4. 흘수의 변화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흘수의 변화가 없다."입니다. 좌현에서 우현으로 이동하더라도 선박의 형태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흘수의 변화가 없습니다. 흘수는 선박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형태가 변하지 않으면 흘수도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박용 재료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에 유리섬유를 함침시켜 경화시킨 것은?

  1. MRC
  2. 합판
  3. FRP
  4. 폴리우레탄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용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은 내구성과 경량성이 뛰어난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에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에 유리섬유를 함침시켜 경화시킨 FRP(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가 선박용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FRP는 내구성이 뛰어나며 경량성이 있어 선박의 속도와 연료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FRP는 부식에 강하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디자인적 자유도가 높아 선박의 외관을 꾸밀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비철금속 재료가 아닌 것은?

  1. 구리
  2. 알루미늄
  3. 아연
  4. 합금강
(정답률: 알수없음)
  • 합금강은 철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재료이므로 비철금속 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하학적으로 상사한 두 선박의 프루드수가 동일하게 되는 속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대응속도
  2. 전진속도
  3. 반류속도
  4. 실선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상사한 두 선박은 서로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고 받으며, 이 때 두 선박의 프루드수가 동일하게 되는 속도를 대응속도라고 합니다. 이는 두 선박이 서로의 파동에 대해 같은 주기로 반응하며, 파동의 상호작용이 최소화되는 속도입니다. 따라서 대응속도는 상호작용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항해를 할 수 있는 속도로,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항해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선박건조

21. 블록 기준선을 선정할 때 고려되지 않는 것은?

  1. 버톡 라인
  2. 워터 라인
  3. 프레임 라인
  4. 만재흘수선
(정답률: 알수없음)
  • 만재흘수선은 블록 기준선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버톡 라인은 글자의 윗부분, 워터 라인은 글자의 아랫부분, 프레임 라인은 글자의 외곽선을 기준으로 하여 블록 기준선을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선대 공사의 공정순서로 가장 옳은 것은?

  1.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블록탑재 → 끝손질 → 선형의 결정 → 검사
  2.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선형의 결정 → 블록탑재 → 끝손질 → 검사
  3.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블록탑재 → 선형의 결정 → 끝손질 → 검사
  4. 블록탑재 →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검사 → 끝손질 → 선형의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는 선체를 지지하고 안정시키는 작업이므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블록탑재를 진행하여 선체를 완성시키고, 끝손질을 통해 마무리 작업을 진행합니다. 그리고 선형의 결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체의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검사를 통해 완성도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체 지지와 반목 설치 → 블록탑재 → 선형의 결정 → 끝손질 → 검사"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강재를 도장작업 하기 전에 표면에 부착된 밀 스케일과 이 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은?

  1. 코킹
  2. 가우징
  3. 숏 블래스트
  4. 핸드 레일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재 표면에 부착된 밀 스케일과 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재 표면을 마모시키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빠른 방법은 숏 블래스트입니다. 숏 블래스트는 고속으로 물질을 강재 표면에 충돌시켜 부착된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강재 표면을 깨끗하게 만들어 도장작업에 적합한 상태로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숏 블래스트가 강재 표면을 청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탱크 내의 도장작업시 안전에 위배되는 사항은?

  1. 탱크 내부가 어두울 때는 일반조명등을 설치해야 한다.
  2. 탱크 내부에는 발화성 물질을 휴대하지 않는다.
  3. 방독 마스크를 착용한다.
  4. 환기장치를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탱크 내부가 어두울 경우 일반조명등을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장이 충분한 조명으로 밝혀져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어두운 상태에서 작업을 하면 작업자의 시력이 저하되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탱크 내부에서 작업을 할 때는 충분한 조명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조선소의 부재치장 면적을 포함한 조립정반 면적은 선대 면적의 어느 정도로 하는가?

  1. 선대면적의 100 - 150 %
  2. 선대면적의 70 - 80 %
  3. 선대면적의 80 - 100 %
  4. 선대면적의 50 - 70 %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소의 부재치장 면적과 조립정반 면적을 합한 것은 선대 면적의 100-150% 정도이다. 이는 조선소가 선박 건조를 위해 사용하는 면적이 선대 면적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립정반 면적을 포함한 조선소의 면적은 선대 면적보다 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관의 굽힘 작업에서 굽힘각도 60°, 곡률 반지름 30 ㎝ 일 때 굽힘부 길이는 몇 cm 인가?

  1. 30 ㎝
  2. 31.4 ㎝
  3. 62.8 ㎝
  4. 94.2 ㎝
(정답률: 알수없음)
  • 관의 굽힘각도가 60°이므로, 전체 원의 중심각이 60°인 부채꼴 모양으로 굽혀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부채꼴의 중심각이 60°이므로, 부채꼴의 둘레 길이는 전체 원의 둘레 길이의 1/6이 됩니다. 따라서, 전체 원의 둘레 길이는 2π × 30 = 60π (≈ 188.5) 이고, 부채꼴의 둘레 길이는 1/6 × 60π = 10π (≈ 31.4) 가 됩니다. 따라서, 굽힘부 길이는 31.4 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체를 지지하는 반목 중 반목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진수시 반목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지(地) 반목
  2. 콘크리이트 반목
  3. 강제 반목
  4. 모래 반목
(정답률: 알수없음)
  • 모래 반목은 선체를 지지하는 반목 중 가장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모래 반목이 부드러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진수시 반목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모래 반목이 물에 녹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원척현도 작업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형뜨기 작업
  2. 공사용 선체선도 작업
  3. 현도 전개작업
  4. 마킹 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원척현도 작업은 선박 설계 및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작업들을 의미합니다. 이 중 마킹 작업은 이미 설계된 도면에 따라 부품이나 구조물에 표시를 하는 작업으로, 설계나 제작 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킹 작업은 원척현도 작업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스절단(아세틸렌 - 산소불꽃)은 어떠한 현상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것인가?

  1. 철의 산화현상
  2. 철의 용융현상
  3. 산소의 조연성현상
  4. 산소와 아세틸렌의 결합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절단은 철의 산화현상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것입니다. 산소와 아세틸렌을 혼합하여 불꽃을 일으키면, 철이 산화되어 산화물이 생성됩니다. 이 산화물은 열에 의해 용융되고, 동시에 아세틸렌과 산소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해 용융된 부분이 절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작업장에서 안전사고 중 인사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가장 먼저 목격한 사람이 취해야 할 행동은?

  1. 즉시 사고원인을 조사분석하여 상급자에게 보고한다.
  2. 즉시 응급치료를 한 다음 가까운 파출소에 연락한다.
  3. 즉시 응급조치를 한 다음 소속 책임자에게 즉시 보고한다.
  4. 즉시 응급조치를 한 다음 가까운 소방서에 연락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사사고는 사고 발생 후 시간이 지나면 상황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즉시 응급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소속 책임자에게 즉시 보고하여 추가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즉시 응급조치를 한 다음 소속 책임자에게 즉시 보고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용접에 대한 일반적인 주의사항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용착량은 되도록 최소량으로 한다.
  2. 용착량의 과다 때문에 부재에 대하여 과대한 구속으로 본 용접에 나쁜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
  3. 이음의 끝 부분이나 용접이 끝나는 부분 등에 가접을 해야 한다.
  4. 본 용접 시공 중의 수축 변형에 의해 용착 부분의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음의 끝 부분이나 용접이 끝나는 부분 등에 가접을 해야 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음의 끝 부분이나 용접이 끝나는 부분 등에 가접을 하는 것은 용접 부위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용접 부위의 균열 방지와 연결 강도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공업용 고압가스 용기에 대한 법정 색상으로 옳은 것은?

  1. 수소 - 주황색
  2. 알곤 - 백색
  3. 산소 - 청색
  4. 액화탄산가스 - 황색
(정답률: 알수없음)
  • 공업용 고압가스 용기에 대한 법정 색상은 해당 가스의 특성에 따라 정해져 있습니다. 알곤은 무색, 무취의 기체로서 백색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알곤 가스 용기는 백색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조선소의 부재 또는 블록 운반 기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크레인
  2. 트랜스 포터
  3. 컨베이어
  4. 컴프레셔
(정답률: 알수없음)
  • 크레인, 트랜스 포터, 컨베이어는 모두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블록 운반 기구입니다. 하지만 컴프레셔는 압축기로,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부재나 블록을 운반하는 기구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컴프레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마모된 표면에 같은 재질의 용접봉으로 육성용접하여 본래 치수로 만드는 용접은?

  1. 빌트 업 용접(built up welding)
  2. 플러그 용접(plug welding)
  3. 랩 용접(lap welding)
  4. 필랫 용접(fillet welding)
(정답률: 알수없음)
  • 빌트 업 용접은 마모된 부분을 같은 재질의 용접봉으로 채워서 본래 치수로 만드는 용접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상황과 일치하며,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스톱 홀(stop hole)을 뚫어서 보수하여야 하는 용접 불량 부분은?

  1. 언더컷
  2. 오버랩
  3. 균열
  4. 용입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스톱 홀은 금속 구조물에서 부하를 받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용접 불량은 매우 치명적입니다. 따라서 스톱 홀 부분에서 발생한 용접 불량 중 가장 치명적인 것은 균열입니다. 균열은 용접 부위에서 금속이 끊어져서 생기는 틈으로, 부하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톱 홀 부분에서 발생한 균열은 반드시 보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반 배치도에 사용되는 약어 중 볼러드를 나타내는 것은?

  1. B
  2. F
  3. MR.P
  4. A.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입니다. 볼러드는 Building를 나타내는 약어로, 일반 배치도에서 건물을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나머지 보기는 각각 "F"는 Floor(층), "MR.P"는 Meeting Room(회의실), "A.D"는 Administration(행정실)을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선체 이중저의 구성 부재가 아닌 것은?

  1. 내저판
  2. 늑판
  3. 중심선 거더
  4. 특설 늑골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이중저는 선체의 하부에 위치한 구조물로, 선체의 강도를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중저는 일반적으로 내저판, 늑판, 중심선 거더 등으로 구성되지만, "특설 늑골"은 이중저의 구성 부재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특설 늑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선체 격벽 중 가장 견고한 구조로 해야 하는 것은?

  1. 선수 격벽
  2. 선미 격벽
  3. 기관실 격벽
  4. 축로 격벽
(정답률: 알수없음)
  • 선수 격벽은 선박의 전면에 위치하여 파도나 빙산 등의 충격을 가장 많이 받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가장 견고한 구조로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선수 격벽이 파괴되면 선박 전체가 침몰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이중저 구조와 비교하여 단저 구조가 좋은 점은?

  1. 공선시에 밸러스트용으로 이용된다.
  2. 재료가 적게 들고 공사가 용이하다.
  3. 선저의 강도가 증가된다.
  4. 좌초 등에 의한 외판의 손상때, 해수가 배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멈추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저 구조는 이중저 구조보다 재료가 적게 들고 공사가 용이한 이유는, 이중저 구조는 상부 저와 하부 저가 따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부 저와 하부 저를 연결하는 복잡한 구조물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단저 구조는 상부 저와 하부 저가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구성이 간단하고 재료 소요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컨테이너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창구덮게(hatch cover)형은?

  1. 폴딩식
  2. 폰툰형
  3. 싱글폴식
  4. 사이드 롤링식
(정답률: 알수없음)
  • 폰툰형 창구덮개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컨테이너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창구덮개가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놓이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열고 닫기가 쉽고, 유지보수 비용이 적어 경제적입니다. 또한, 창구덮개가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무거운 화물을 싣고 내릴 때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박구조 및 조선제도

41. 선체 선도에 나타나는 선의 종류 중 측면도와 반폭도에 곡선으로 나타나는 것은?

  1. 횡단면선
  2. 종단면선
  3. 수선
  4. 경사선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의 측면도와 반폭도는 선체의 형상을 곡선으로 나타내는데, 이때 곡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것이 경사선입니다. 경사선은 선체의 곡률을 나타내며, 선체의 형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체 선도에서는 경사선이 매우 중요한 선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선박구조도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보강재의 끝단 처리가 S로 표시된 것은?

  1. 스톱(stop)
  2. 브래킷(bracket)
  3. 스닙(snip)
  4. 스트랩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 구조에서 보강재의 끝단 처리는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보강재의 끝단을 절단하여 부드러운 모서리를 만들어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때 절단하는 방법 중 하나가 스닙(snip) 방법입니다. 스닙은 날카로운 가위로 잘라내듯이 보강재의 끝단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부드러운 모서리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닙(snip)"입니다. "스톱(stop)"은 보강재의 끝단을 갑자기 멈추는 방법, "브래킷(bracket)"은 보강재의 끝단을 지지하는 부품, "스트랩 용접"은 보강재를 고정하는 용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선체의 중앙횡단면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표적인 구조 단면도이다.
  2. 구조규칙에 따라 부재치수를 정한다.
  3. 화물창은 좌현, 기관실은 우현에 나타낸다
  4. 선미에서 선수쪽으로 본 모양을 작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물창은 좌현, 기관실은 우현에 나타낸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선체의 구조에 따라 화물창과 기관실의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일반적인 규칙이 아니며, 특정 선체에만 해당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그림에서 형깊이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①"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형깊이를 나타내는 것은 그림의 가장 아래에 있는 수평선입니다. 이 수평선은 모든 다른 수평선보다 더 깊이 있으며, 따라서 형깊이를 나타냅니다.

    ②는 수평선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고, ③은 수직선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④는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이므로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이 종방향으로 부재가 관통하는 경우의 기호로 옳은 것은? (단,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부재가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경우, "" 기호를 사용합니다. 이유는 부재가 관통하면서 끝 부분이 밖으로 나와있기 때문에,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경우 끝 부분이 더 크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와 ""는 부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며, ""는 부재가 관통하지만 끝 부분이 안으로 들어가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선박의 길이가 150 m 인 화물선의 선수현호가 1.2 m 이라면 선미현호는 대략 얼마인가?

  1. 2.4 m
  2. 1.2 m
  3. 1.0 m
  4. 0.6 m
(정답률: 알수없음)
  • 선수현호와 선미현호의 합은 선박의 길이와 같으므로 선미현호는 선박의 길이에서 선수현호를 뺀 값의 절반과 같습니다. 따라서, 선미현호는 (150 - 1.2) / 2 = 74.4 m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은 모두 단위가 미터이므로, 74.4 m를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0.6 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6 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선박에서 필러(pillar)를 설치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보를 떠받쳐서 갑판 위의 하중을 지지한다.
  2. 갑판 보의 지점간의 거리를 짧게 하여 강도를 높인다.
  3. 갑판과 선저를 연결하여 선체 가로 방향의 형상을 유지한다.
  4. 선체의 상하부를 일직선으로 배치하여 종강력을 증가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의 상하부를 일직선으로 배치하여 종강력을 증가 시키는 것은 필러의 설치 목적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필러의 설치 목적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선박 의장에서 버섯형 통풍통의 영어 약자는?

  1. V.L
  2. L.BT
  3. R.H
  4. M.V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 의장에서 버섯형 통풍통의 영어 약자는 "M.V"입니다. 이는 Mushroom Ventilation로, 버섯 모양의 통풍구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선박 부품들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K.S의 부문별 기호 중 조선 부문을 나타내는 기호는?

  1. KS A
  2. KS B
  3. KS D
  4. KS V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 부문을 나타내는 기호는 "KS V"입니다. 이는 "Vessel"의 약자로, 조선과 같은 선박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면에서 치수선, 치수보조선, 지시선 등에 사용되는 선은?

  1. 굵은실선
  2. 가는실선
  3. 가는파선
  4. 가는 일점쇄선
(정답률: 알수없음)
  • 치수선, 치수보조선, 지시선 등은 모두 도면에서 길이나 위치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이 중에서도 치수선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치수선은 제품의 크기나 형상 등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제작이나 조립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치수선은 다른 선들보다 더욱 두껍고 선명하게 그려져야 하며, 이를 위해 가는실선이 사용됩니다. 가는실선은 굵은실선보다 얇고 선명하며, 치수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의 선체 선저부 중 특별히 보강을 요하지 않는 곳은?

  1. 선수선저
  2. 선미선저
  3. 기관실선저
  4. 화물창선저
(정답률: 알수없음)
  • 화물창선저는 화물을 운반하는 창문을 가지고 있어서 선체 구조상 특별한 보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다른 선체 선저부들은 선체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선미구조의 설계시 특히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은?

  1. 타(舵) 및 프로펠러의 영향
  2. 충돌, 좌초 또는 파도의 충격
  3. 수압
  4. 기관실의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선미구조의 설계시 타(舵) 및 프로펠러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이들이 선박의 조종과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타는 선박의 방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프로펠러는 선박의 속도와 움직임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이들의 위치와 크기, 모양 등을 적절히 고려하여 설계해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선루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선루는 그 외벽이 현측에서 상당히 내측으로 들어가 있다.
  2. 선루의 구조는 상갑판 아래의 주구조물에 준하여 견고한 구조로 한다.
  3. 선루는 상갑판 위 제 1층의 상부 구조물이다.
  4. 선루는 예비 부력을 분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루는 그 외벽이 현측에서 상당히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선루가 파도에 강하게 버티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파도가 선루의 외벽을 직접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벽이 내측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선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와 그 역할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늑판(floor) - 선저외판 지지
  2. 늑골(frame) - 선측외판 지지
  3. 갑판보(deck beam) - 갑판 지지
  4. 갑판하 거더(deck girder) - 늑골 지지
(정답률: 알수없음)
  • 갑판하 거더는 늑골을 지지하는 부재이며, 갑판을 지지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갑판하 거더 - 늑골 지지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래 도면에서 지시선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니다.

    지시선은 도면에서 어떤 부분을 자르거나 접을 때 사용하는 선으로, 일반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됩니다. 이 도면에서도 점선으로 표시된 선이 지시선입니다.

    이유는 도면의 오른쪽에 있는 "접기" 표시를 보면, 지시선 위쪽에 있는 부분을 아래쪽으로 접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시선 위쪽에 있는 부분은 실제로는 아래쪽으로 접혀서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렇게 도면에서 지시선은 접히거나 자르는 등의 작업을 할 때 참고하는 중요한 선이므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강판의 뒷면에 있는 거더, 특설늑골 등의 구조 부재를 표시하는 선은?

  1. 굵은 실선
  2. 가는 실선
  3. 가는 일점쇄선
  4. 굵은 일점쇄선
(정답률: 알수없음)
  • 강판의 뒷면에 있는 거더, 특설늑골 등의 구조 부재는 보통 강도가 강한 부재이므로 강조하기 위해 굵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굵은 일점쇄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격벽(bulkhea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량창고 등은 비수밀 격벽으로 설치할 수 있다.
  2. 선수격벽은 반드시 파형격벽으로 하여야 한다.
  3. 디프 탱크 격벽은 수압을 받으므로 같은 위치의 격벽보다 견고한 구조로 한다.
  4. 보강재를 생략하고 격벽판을 굴곡시켜 강도를 갖게 한 격벽을 파형격벽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수격벽은 반드시 파형격벽으로 하여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선수격벽은 선박의 선수부에 위치한 격벽으로, 파도의 충격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파형격벽으로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모든 선수격벽이 반드시 파형격벽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선수격벽의 위치와 크기, 선박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격벽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수격벽은 반드시 파형격벽으로 하여야 한다"라는 설명은 부정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선체의 강재 배치도와 무관한 도면은?

  1. 갑판도
  2. 판 이음도
  3. 격벽 정면도
  4. 선체의 종단면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의 강재 배치와는 관련이 없는 도면은 판 이음도입니다. 판 이음도는 강재 배치와는 관련 없이 강재의 연결 부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강재의 두께, 길이, 폭, 이음 부위의 형태 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선체의 구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선루의 종류 중 선교류(bridge)의 역할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중앙 기관선에서 기관실을 보호한다.
  2. 예비부력을 갖게 한다.
  3. 파도를 이겨내는 능력을 갖게 한다.
  4. 선실을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교류(bridge)의 역할은 선박의 항해 및 조종을 담당하는 곳으로, 선박의 위치, 방향, 속도 등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파도를 이겨내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은 선교류의 역할과 관련이 없습니다. 파도를 이겨내는 능력은 선체 설계나 부력 등 다른 요소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도를 이겨내는 능력을 갖게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선박의 조파저항 감소 및 충돌시 수선 아래 부분 보호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선수 형상은?

  1. 경사형 선수
  2. 래킹 선수
  3. 클리퍼형 선수
  4. 구상 선수
(정답률: 알수없음)
  • 구상 선수는 선박의 조파저항을 감소시키고 충돌시 수선 아래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수 형상입니다. 이는 선수 부분이 뾰족한 형태가 아니라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물결과 충돌 시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고 선박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구상 선수가 다른 보기들보다 선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