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조율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1-28)

피아노조율기능사
(2007-01-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일반적인 피아노 해머의 중량은 어느 정도인가?

  1. 저음 10g, 최고음 6g
  2. 저음 12g, 최고음 8g
  3. 저음 14g, 최고음 10g
  4. 저음 16g, 최고음 12g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피아노 해머의 중량은 "저음 10g, 최고음 6g" 입니다. 이는 저음일수록 해머의 질량이 무거워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고음일수록 해머의 속도가 빨라져야 하기 때문에 더 가벼운 중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저음은 무거운 중량을, 최고음은 가벼운 중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안에서 크라우닝(crowning)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브리지의 높이를 말한다.
  2. 프레임의 휜 정도를 말한다.
  3. 향판의 음향 전달 정도를 말한다.
  4. 향판의 배부름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에서 크라우닝(crowning)은 향판의 배부름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향판의 표면이 너무 많이 갈려서 평평해지면서 음향 전달이 약해지는 현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향판의 표면을 다듬어서 곡률을 조절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 "향판의 배부름 현상을 말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피아노 건반의 상승하중(N)은 어느 정도인가?

  1. 0.010 ~ 0.084
  2. 0.098 ~ 0.39
  3. 0.39 ~ 074
  4. 0.76 ~ 0.92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 건반의 상승하중은 약 0.098 ~ 0.39 N이다. 이는 피아노 건반의 무게와 손가락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피아노 건반의 무게는 45 ~ 60g 정도이며, 손가락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2 ~ 10N 정도이다. 따라서 상승하중은 이 두 가지 요소의 곱으로 결정되며, 이 범위 내에서 변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링브리지(ring bridge)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중고음부와 저음부의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2. 중고음부의 둥근 브리지를 말한다.
  3. 급속연속 타현장치를 말한다.
  4. 저음부와 중고음부의 연결된 브리지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링브리지는 저음부와 중고음부의 연결된 브리지를 말합니다. 이는 기타나 우쿨렐레 등의 현악기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저음부와 중고음부의 연결을 통해 음의 전달과 공명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피아노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향판은 활모양으로 성형되어야 하며 주변은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2. 향봉은 원칙적으로 향판의 나뭇결 방향과 같도록 접착되어야 한다.
  3. 브리지는 향판 면에 확실히 접착되어야 한다.
  4. 브리지핀은 현이 브리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져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향봉은 원칙적으로 향판의 나뭇결 방향과 같도록 접착되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향봉은 향판과 수직으로 위치하며, 나뭇결 방향과 일치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목골(Wood fram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철골과 상관없이 5~10톤의 장력 대부분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며, 그랜드와 업라이트의 목골구조는 거의 같다.
  2. 일반적으로 업라이트피아노의 몪로은 상횡목, 하횡목 지주로 구성되어 있다.
  3. 업라이트피아노의 경우 상횡목은 핀판과 접착되어 있다.
  4. 목골은 피아노의 틀을 유지하는 기본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철골과 상관없이 5~10톤의 장력 대부분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며, 그랜드와 업라이트의 목골구조는 거의 같다."이다. 이유는 목골은 철골과 상관없이 피아노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랜드와 업라이트의 목골구조는 다르다. 그랜드피아노의 목골구조는 크게 플랜지와 캐비닛으로 나뉘며, 업라이트피아노의 목골구조는 상횡목, 하횡목, 지주로 구성된다. 또한 업라이트피아노의 경우 상횡목은 핀판과 접착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아노 16번 선의 지름(mm)과 인장강도(N/mm2)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지름 : 0.850 + 0.010, 인장강도 : 2340 ~ 2500
  2. 지름 : 0.925 + 0.010, 인장강도 : 2340 ~ 2500
  3. 지름 : 0.850 + 0.010, 인장강도 : 2370 ~ 2550
  4. 지름 : 0.925 + 0.010, 인장강도 : 2370 ~ 255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지름 : 0.925 + 0.010, 인장강도 : 2340 ~ 2500" 입니다.

    피아노 16번 선은 지름이 0.925mm이며, 이 값에 0.010mm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지름은 0.915mm에서 0.935mm 사이의 값일 수 있습니다.

    인장강도는 2340 ~ 2500 N/mm2 범위 내에서 측정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름 값이나 인장강도 값이 잘못 기재되어 있거나 범위가 다르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피아노 선 1종(PW-1)의 적용 선지름(mm)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0.06 이상, 8.0 이하
  2. 0.08 이상, 10.0 이하
  3. 0.10 이상, 12.0 이하
  4. 1.00 이상, 14.0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 선 1종(PW-1)은 전선의 직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기적으로 안전한 범위 내에서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류의 양이 많을수록 더 두꺼운 전선이 필요하며, PW-1의 적용 선지름은 0.08 이상, 10.0 이하인 것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전기적으로 안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선이 과부하되어 손상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피아노에서 트랩워크(trap work)란 무엇인가?

  1. 페달의 운동이 페달레버와 페달봉을 통해 액션으로 옮겨지는데 페달부터 액션에 이르는 장치
  2. 라우드 페달과 쉬프트 페달을 동시에 사용할 때 두 페달 간의 상하 이동거리
  3. 라우드 페달을 밟았을 때 댐퍼의 전체 동작거리
  4. 쉬프트 페달을 밟았을 때 액션의 이동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페달의 운동이 페달레버와 페달봉을 통해 액션으로 옮겨지는데 페달부터 액션에 이르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피아노 구조 중 25번의 명칭은 무엇인가?

  1. 저음 브리지
  2. 좌판 발
  3. 베어링 받침
  4. 뒤판
(정답률: 알수없음)
  • 25번은 "좌판 발" 입니다. 이는 피아노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 발판으로, 피아노 연주자가 왼쪽 발로 밟아서 피아노의 톤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흡음처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에코를 방지하기 위해 꼭 흡음처리를 해야 할 경우 흡음율을 미리 정한다.
  2. 확성장치 때문에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그 주변을 되도록 흡음성이로 한다.
  3.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는 흡음율이 크고 고음역에서는 흡음율이 작다.
  4. 같은 재질일 경우 흡음재료가 두꺼워질수록 음의 흡수가 잘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는 흡음율이 크고 고음역에서는 흡음율이 작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오히려 고주파수에서는 흡음재료의 흡음성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고주파수음파가 진폭이 작아 파장이 짧기 때문에 흡음재료의 구조적인 불규칙성에 더 쉽게 부딪혀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음재료를 선택할 때는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 범위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소리의 3요소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순음, 소음, 복합음
  2. 세기, 높이, 맵시
  3. 음량, 음향, 음색
  4. 리듬, 멜로디, 하모니
(정답률: 알수없음)
  • 세기, 높이, 맵시는 모두 소리의 주파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세기는 소리의 진폭, 즉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높이는 소리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높은 음이 나오며, 맵시는 소리의 주파수가 낮을수록 저음이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세기, 높이, 맵시는 소리의 주파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어울림 음정이 아닌 것은?

  1. 단3도
  2. 장3도
  3. 장7도
  4. 완전5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장7도는 다른 음정들과 어울리지 않는 음정입니다. 이는 장7도가 다른 음정들과의 관계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장3도와 단3도는 서로 어울리며, 완전5도는 다른 음정들과도 어울리지만, 장7도는 다른 음정들과 어울리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리의 주파수가 4186Hz 일 때 파장은? (단, 음속은 340m/s 이다.)

  1. 6.73 cm
  2. 8.12 cm
  3. 10.51 cm
  4. 12.31 cm
(정답률: 알수없음)
  • 파장은 음속과 주파수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장 = 음속 / 주파수 = 340 / 4186 ≈ 0.0812m = 8.12c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12 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일정한 음의 강도에서 사람이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주파수(Hz)는?

  1. 30
  2. 300
  3. 3000
  4. 30000
(정답률: 100%)
  • 인간의 청각은 주파수가 20Hz에서 20,000Hz까지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주파수는 2,000Hz에서 5,000Hz 사이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음의 강도에서 사람이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주파수는 3,000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바이올린(Violin)가 피아노(Piano)의 음을 듣고 두 악기를 구별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1. 음 셈여림의 차이
  2. 음 높낮이의 차이
  3. 음색의 차이
  4. 음 장단(길고 짧음)의 차이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이올린과 피아노는 음 높낮이나 음 장단이 같을 수 있지만, 그들의 음색은 매우 다릅니다. 바이올린은 목재로 만들어진 고유한 음색을 가지고 있으며, 피아노는 금속과 나무로 만들어진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음색 차이를 듣고 두 악기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파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주파수는 현의 길이에 비례한다.
  2. 주파수는 현의 지름에 비례한다.
  3. 주파수는 현의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주파수는 현의 장력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0%)
  • 주파수는 단위 시간당 진동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현의 밀도가 높을수록 분자가 커져서 주파수는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주파수는 현의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완전4도와 완전5도에 대한 센트를 비교할 때, 순정율과 비교하여 평균율은 어떠한가?

  1. 4도는 넓고, 5도는 좁다.
  2. 4도, 5도 모두 넓다.
  3. 4도는 좁고, 5도는 넓다.
  4. 4도, 5도 모두 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4도와 완전5도는 모두 1옥타브를 12등분한 음계에서 각각 4번째와 5번째 음에 해당하는데, 완전5도는 완전4도보다 조금 더 좁은 간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센트로 비교할 때 완전5도는 완전4도보다 조금 더 높은 음으로 인식됩니다. 이에 따라, 평균율에서는 완전5도가 조금 더 높은 음으로 인식되어, 완전4도는 넓고, 완전5도는 좁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도는 넓고, 5도는 좁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장3도와 장6도에 대한 각각의 음정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장3도 2 : 1, 장6도 1 : 1
  2. 장3도 3 : 2, 장6도 2 : 1
  3. 장3도 4 : 5, 장6도 3 : 5
  4. 장3도 5 : 4, 장6도 4 : 5
(정답률: 알수없음)
  • 장3도는 3음을 건반에서 누르고 4음을 누르면 되므로, 4 : 3의 비율을 가집니다. 이를 간단하게 하면 16 : 12가 됩니다. 따라서, 장3도의 음정비는 16/12 또는 4/3입니다.

    장6도는 6음을 건반에서 누르고 5음을 누르면 되므로, 5 : 6의 비율을 가집니다. 이를 간단하게 하면 15 : 18이 됩니다. 따라서, 장6도의 음정비는 15/18 또는 5/6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장3도 4 : 5, 장6도 3 : 5" 인 이유는 장3도의 음정비가 4/3이고, 장6도의 음정비가 5/6이므로, 각각을 역수로 취한 3/4와 6/5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간단하게 하면 4 : 5와 3 : 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A37가 220Hz 일 경우 장3도 위의 C#41(277.183Hz)와의 맥놀이는 매 초당 몇 회인가?

  1. 5.9
  2. 6.5
  3. 7.8
  4. 8.7
(정답률: 알수없음)
  • A37와 C#41 사이의 음정 간격은 4 반음이며, 이는 2의 4승인 16배 주파수 차이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A37와 C#41 사이의 맥놀이는 A37의 주파수에 16을 곱한 값이 됩니다.

    220Hz * 16 = 3520Hz

    따라서 A37와 C#41 사이의 맥놀이는 3520회/분 = 58.67회/초가 됩니다. 이를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58.7회/초가 되며,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 "8.7"과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두 음 간의 맥놀이는 매 초당 몇 회인가?

  1. 0.071
  2. 0.71
  3. 7.10
  4. 71.0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음의 주파수 차이는 100Hz 이므로, 매 초당 100회의 맥놀이가 일어납니다. 이를 주파수 비율로 나타내면 100/140.8 = 0.71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7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순정5도를 12번 겹쳐서 만들어지는 양과 기음에서 직접 취한 7옥타브의 양과의 사이에 생기는 근소한 차를 말하는 것으로 피타고라스 콤마(comma)라고도 하는게 그 차는 어느 정도인가?

  1. 약 24센트
  2. 약 29센트
  3. 약 34센트
  4. 약 39센트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5도는 7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12번 겹쳐서 만들어지는 양과 기음은 12*7=84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7옥타브의 양은 12*7=84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양과 기음은 서로 다른 조화법을 따르기 때문에, 같은 음정에 있어도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를 피타고라스 콤마라고 합니다.

    피타고라스 콤마는 약 1.955센트입니다. 따라서 84개의 반음과 84개의 반음에서 직접 취한 7옥타브의 양 사이에는 84*1.955=164.22센트의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근소한 차"를 묻고 있으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약 24센트로 답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순정율에서 완전5도는 대전음, 소전음, 반음이 몇 개로 이루어지는가?

  1. 대전음 1개, 소전음 2개, 반음 1개
  2. 대전음 2개, 소전음 1개, 반음 1개
  3. 대전음 1개, 소전음 1개, 반음 2개
  4. 대전음 2개, 소전음 2개, 반음 1개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음계에서 완전5도는 7개 음계 중 5개의 음계를 건너뛰어 이루어지는데, 이때 대전음 2개와 반음 1개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도에서 솔로 이동할 때는 미, 파, 레, 시를 건너뛰어야 하므로 대전음 2개와 반음 1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전음 2개, 소전음 1개, 반음 1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 미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하모니
  2. 가청역
  3. 복합음
  4. 멜로디
(정답률: 알수없음)
  • 멜로디는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 미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멜로디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인 것들이지만, 멜로디 자체를 정의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모니는 멜로디와 함께 연주되는 음들의 조화를 말하며, 가청역은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복합음은 여러 개의 음이 함께 울리는 소리를 말하며, 멜로디와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주용 피아노 조율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치 변경은 적어도 연주 전날 행한다.
  2. 연주 직전 조정, 정음은 피한다.
  3. 당일 조율은 특별히 정성들여 행하고 테스트블로우는 평소보다 약하게 해야 한다.
  4. 가능한 연주 전날 조율을 미리 해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당일 조율은 특별히 정성들여 행하고 테스트블로우는 평소보다 약하게 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당일 조율을 특별히 정성들여 해야 한다는 것은 맞지만, 테스트블로우를 평소보다 약하게 해야 한다는 것은 오히려 잘못된 정보입니다. 테스트블로우는 연주 전날과 동일한 세기로 해야 하며, 이는 피아노의 음색과 음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단7도 검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음역은?

  1. 최고음부
  2. 차고음부에서 최고음부까지
  3. 최저음부
  4. 중음부에서 최저음부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단7도 검사는 보통 남성의 음역인 바리톤과 테너, 여성의 음역인 메조소프라노와 소프라노에서 실시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낮은 음역인 최저음부에서 검사를 시작하여 음역을 확장해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최저음부가 단7도 검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음역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순전율에서 장6도는 몇 센트인가?

  1. 386 센트
  2. 400 센트
  3. 884 센트
  4. 900 센트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전율은 전체 경기에서 승리한 경기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장6도가 이긴 경기 수를 전체 경기 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하면 순전율이 됩니다.

    장6도는 31승 3패로, 전체 경기 수인 34로 나누면 0.9117이 됩니다. 이를 100을 곱하면 91.17이 됩니다. 따라서, 장6도의 순전율은 91.17%입니다.

    보기에서는 884 센트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순전율을 센트로 환산한 값입니다. 순전율을 센트로 환산할 때는 소수점을 없애고 100을 곱한 후 1000을 곱합니다. 따라서, 91.17을 센트로 환산하면 9117이 되고, 이를 1000으로 나누면 9.117이 됩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884 센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불안전 협화음정이 아닌 것은?

  1. 장3도
  2. 완전1도
  3. 장6도
  4. 단6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완전1도"입니다. 완전1도는 음악에서 가장 안정적인 협화음으로, 어떤 다른 화음과도 충돌하지 않고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불안전 협화음정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요 3화음을 구성하는 음이름이 아닌 것은? (단, 다장조 음계 기준이다.)

  1. 도, 미, 솔
  2. 미, 솔, 시
  3. 파, 라, 도
  4. 솔, 시, 레
(정답률: 알수없음)
  • 다장조 음계에서 주요 3화음은 "도-미-솔"과 "미-솔-시"입니다. 따라서 "미-솔-시"는 주요 3화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등감곡선에서 1000Hz 순음의 음압 레벨이 65dB 일 때 몇 폰에 해당되는가?

  1. 0.065
  2. 65
  3. 650
  4. 65000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감곡선은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곡선으로, 주파수에 따라 음압 레벨의 청각적 크기를 조절합니다. 폰은 청각적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1000Hz에서 1kHz의 순음이 40 폰일 때의 음압 레벨이 40dB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1000Hz에서 65dB의 순음은 40 폰에서 얼마나 더 큰지 계산하여 폰으로 나타내면 됩니다.

    65dB - 40dB = 25dB

    25dB는 청각적 크기가 10 폰씩 증가할 때마다 10dB씩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2.5 폰씩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40 폰에서 2.5 폰씩 증가하여 65 폰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사람의 귀의 구조 중 마이크로폰의 진동핀과 같은 역할을 하며 음파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바꿔주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세반고리관
  2. 청소골
  3. 고막
  4. 달펭이관
(정답률: 알수없음)
  • 고막은 음파가 들어오면 진동핀과 같은 역할을 하여 기계적인 진동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핀과 같은 역할을 하며 음파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바꿔주는 기능을 하는 것은 고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피타고라스 온음과 림마와의 차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메르센느
  2. 디뒤머스콤마
  3. 신토닉콤마
  4. 아포토메
(정답률: 알수없음)
  • 피타고라스 온음과 림마와의 차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음악에서의 인토네이션(음정)이다. 이 중에서 "아포토메"는 피타고라스 온음과 림마와의 차가 218.49 센트인 인토네이션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피치가 많이 내려간 피아노를 조율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1. 440 Hz로 한 번에 조율한다.
  2. 10 ~ 20센트 높여서 1, 2차 조율한다.
  3. 440 Hz 로 반드시 두 번 조율한다.
  4. 10센트 낮춰서 조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피치가 많이 내려간 피아노를 조율할 때는 일반적으로 10 ~ 20센트 높여서 1, 2차 조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피아노의 현이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거나,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피치가 내려간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는 바로 440 Hz로 조율하면 현이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먼저 10 ~ 20센트 정도 높여서 조율한 후에 1, 2차 조율을 통해 정확한 피치를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평행한 벽면사이를 음파가 여러 차례 왕복하여 거의 같은 크기의 반향이 다수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잔향(reverberation)
  2.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
  3. 양이 효과(binaural effect)
  4. 영룡(flutter echo)
(정답률: 알수없음)
  • 영룡은 평행한 벽면 사이에서 음파가 반사되어 연속적인 반향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벽면 사이의 공간에서 음파가 왕복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반향이 서로 겹쳐서 발생하므로 음질이 왜곡되고 불규칙한 소리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음원에서 소리의 발생이 중지된 뒤에도 소리가 남아있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음의 양이효과
  2. 음의 반사
  3. 음의 흡수
  4. 음의 잔향
(정답률: 알수없음)
  • 음원에서 소리의 발생이 중지되었음에도 소리가 남아있는 현상을 "음의 잔향"이라고 합니다. 이는 소리가 발생한 후 주변 공간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소리 파동이 서서히 소멸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음파가 공간에서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어 다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음의 잔향은 공간의 크기, 형태, 재질 등에 따라 크기와 지속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건반 동작검사를 할 때 건반을 10mm 정도 들었다가 놓아 주면 어떤 상태가 될 때 가장 정상인가?

  1. 건반이 자체 중량으로 부드럽게 내려가야 한다.
  2. 건반이 자체 중량으로 아주 빠른 속도로 내려가야 한다.
  3. 거반이 내려가지 말아야 한다.
  4. 건반을 손으로 살며시 눌러 주었을 때만 내려가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건반이 자체 중량으로 부드럽게 내려가야 한다."입니다.

    건반이 자체 중량으로 부드럽게 내려가는 것은 건반의 메커니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건반은 피아노의 소리를 만들기 위해 햄머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햄머가 건반을 누르면서 소리를 만듭니다. 따라서 건반이 자체 중량으로 부드럽게 내려가는 것은 햄머와 건반이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고, 햄머가 건반을 누르는 데 필요한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만약 건반이 자체 중량으로 내려가지 않거나 아주 빠른 속도로 내려간다면, 이는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므로 조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아노에 사용하는 목재의 함수율은 몇 %가 가장 적합한가?

  1. 1 ~ 2%
  2. 3 ~ 14%
  3. 15 ~ 30%
  4. 31 ~ 50%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는 목재의 함수율이 너무 높으면 습기 변화에 따라 음정이 바뀌거나 목재가 변형될 수 있고, 너무 낮으면 목재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함수율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3 ~ 14%의 함수율이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목재가 충분히 건조하여 안정성이 높지만, 너무 건조하지 않아서 파손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아노 제작 시에는 이 범위 내에서 목재를 선택하고, 적절한 조건에서 보관 및 유지보수를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건반 수평고르기를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건반 무게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2. 균일한 터치를 만드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3. 건반이 고르지 않으면 건반이 휘어지기 때문이다.
  4. 건반 수평고르기를 해야 해머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무게가 달라지면 연주할 때 각 건반마다 눌리는 강도가 다르게 되어 균일한 소리를 내기 어렵기 때문에 건반 수평고르기를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반 고르기 중 높이를 전체적으로 높이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바란스레일 밑에 종이를 알맞게 고인다.
  2. 후론트레일 밑에 종이를 알맞게 고인다.
  3. 백레일 밑에 종이를 알맞게 고인다.
  4. 종이 펀칭을 건반 하나하나마다 고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반과 레일 사이의 간격을 줄여야 합니다. 이때 바란스레일은 건반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바란스레일 밑에 종이를 알맞게 고이면 건반 전체적으로 높아지게 됩니다. 후론트레일이나 백레일 밑에 종이를 고이면 건반의 일부만 높아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높이 조절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건반 하나하나마다 종이를 고이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에서 건반동작 검사를 할 때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1. 건압대를 눌러서 검사한다.
  2. 건반을 눌러서 들어가는 깊이를 보고 검사한다.
  3.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건반을 살며시 눌렀다 놓으면서 검사한다.
  4. 열쇠봉이 앞건반에 닿게 검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건반을 살며시 눌렀다 놓으면서 검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이 방법으로 검사하면 페달을 밟았을 때 건반의 움직임과 소리, 그리고 페달을 놓았을 때 건반의 움직임과 소리를 모두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건반의 움직임이나 소리만을 확인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건반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위펜힐 클로스가 마모되었을 때 수리하는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1. 클로스 전면에 묽은 접착제를 충분히 도포하여 붙여준다.
  2. 위펜힐에는 클로스가 아닌 펠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업라이트 위펜힐에는 스킨이나 가죽을 사용한다.
  4. 클로스 양단에 접착제를 칠하여 붙여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펜힐 클로스가 마모되었을 때 수리하는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클로스 양단에 접착제를 칠하여 붙여 준다."입니다. 이유는 클로스가 마모되었을 때는 클로스 전면에 묽은 접착제를 도포하면 접착력이 부족하여 붙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클로스 양단에 접착제를 칠하여 붙여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타현거리 조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타현거리는 28~38mm가 표준이다.
  2. 타현거리는 액션볼트의 길이를 변경하여도 변하지 않는다.
  3. 타현거리는 해머레일의 전후를 조정하더라도 변하지 않으며, 주로 앞브리지를 기준으로 잰다.
  4. 타현거리를 재는 방법은 현의 타현점 중앙과 해머헤드의 타현점 중앙을 잰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현거리는 현과 해머의 연주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위해 측정하는 거리이기 때문에, 현의 타현점 중앙과 해머헤드의 타현점 중앙을 재는 것이 옳다. 이렇게 하면 연주 시 현과 해머가 정확히 맞닿아 소리가 깔끔하게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피아노의 내구성 시험을 할 때의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5±5℃
  2. 25±5℃
  3. 35±5℃
  4. 45±5℃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는 대부분 실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구성 시험을 할 때도 실내와 비슷한 온도인 25±5℃가 가장 적합합니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재료의 노화가 느려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재료의 노화가 빨라지거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5±5℃가 가장 적절한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브라이들 테이프와 백첵 와이어의 간격은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1.5mm
  2. 3mm
  3. 4.5mm
  4. 6mm
(정답률: 알수없음)
  • 브라이들 테이프와 백첵 와이어의 간격은 1.5mm가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말의 입을 닫았을 때 브라이들 테이프와 백첵 와이어 사이에 손톱이 딱 맞게 들어갈 수 있는 간격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면 말이 불편함 없이 입을 움직일 수 있고, 브라이들이 잘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에프터 터치의 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건반 깊이와 타현거리에 비례한다.
  2. 건반 깊이와 타현거리에 반비례한다.
  3. 건반 깊이에 반비례하고 타현거리에 비례한다.
  4. 건반 깊이에 비례하고 타현거리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건반 깊이에 반비례하고 타현거리에 비례한다."입니다.

    에프터 터치는 건반을 누르고 나서 손가락을 떼었을 때 발생하는 음향적 변화를 말합니다. 이 때, 건반을 누른 깊이가 깊을수록 에프터 터치의 양은 작아지고, 타현거리가 길수록 에프터 터치의 양은 커집니다. 이는 건반을 누르는 압력이 강할수록 타현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반 깊이에 반비례하고 타현거리에 비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댐퍼수준 조정은 건반을 눌러서 해머가 몇 mm 정도 진행했을 때 댐퍼가 뜨기 시작해야 하는가? (단, 중형 피아노인 경우이다.)

  1. 7 ± 2mm
  2. 20 ± 2mm
  3. 27 ± 2mm
  4. 34 ± 2mm
(정답률: 알수없음)
  • 댐퍼는 해머가 줄어들 때 함께 움직여서 줄어든 음을 끊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댐퍼가 뜨는 시점은 해머가 일정한 거리 이하로 내려갔을 때여야 합니다. 중형 피아노의 경우, 댐퍼가 뜨는 시점은 해머가 20 ± 2mm 정도 내려갔을 때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댐퍼가 너무 일찍 뜨거나 늦게 뜨게 되어 음색이 올바르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댐퍼페달의 로스트 모션(lost motion) 조정은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페달봉과 댐퍼로드가 맞닿는 간격을 2mm를 둔다.
  2. 페달봉과 댐퍼로드가 맞닿는 간격을 6mm를 둔다.
  3. 페달봉과 댐퍼로드가 맞닿는 간격을 8mm를 둔다.
  4. 페달봉과 댐퍼로드가 맞닿는 간격을 10mm를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댐퍼페달의 로스트 모션 조정은 페달을 밟았을 때 댐퍼가 바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페달봉과 댐퍼로드가 맞닿는 간격이 작을수록 로스트 모션이 적어지고, 더욱 빠른 반응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페달봉과 댐퍼로드가 맞닿는 간격을 2mm를 둔다."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연타가 되지 않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건반 깊이가 얕아서
  2. 잭 동작이 둔해서
  3. 받드 센터핀이 빡빡해서
  4. 위펜 센터핀이 빡빡해서
(정답률: 80%)
  •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연타가 되지 않는 원인은 건반 깊이가 얕아서입니다. 건반 깊이가 얕으면 손가락이 건반을 누르는 깊이가 얕아져서, 연타를 하기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건반 깊이가 깊은 피아노에서는 연타가 더 쉽게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업라이트 피아노 해머헤드가 사진행 할 때 가장 바람직한 수리방법은?

  1. 플랜지가 레일에 접착하는 반대쪽을 깎는다.
  2. 사진행하는 반대쪽에 적당한 종이를 고인다.
  3. 받드 플랜지 스크류를 약간 늦추어 놓는다.
  4. 받드 플랜지 옆을 깎아 놓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업라이트 피아노 해머헤드가 사진행 할 때는 사진행하는 반대쪽에 적당한 종이를 고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는 해머헤드가 레일에 부딪혀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해머헤드와 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줌으로써 사진행 시 발생하는 소리와 진동을 최소화시켜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타현점이 많이 마모된 해머헤드의 파일링(filing)하는 방법 중 옳은 것은?

  1. 고음부분은 둥글게 저음부분은 뽀족하게 깎아야 한다.
  2. 페이퍼의 진행방향은 중심점으로부터 위에서 아래로 진행한다.
  3. 해머헤드의 양면을 계란형으로 연마하고 마지막에 헤드의 앞부분을 연마한다.
  4. 타현점의 자국을 완전히 없앤 후 옆부분을 연마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헤드의 양면을 계란형으로 연마하고 마지막에 헤드의 앞부분을 연마해야 하는 이유는, 계란형으로 연마하면 고음부분과 저음부분을 모두 균일하게 연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헤드의 앞부분은 타현점이 가장 많이 생기는 부분이므로 마지막에 연마하여 최종적으로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피아노 액션의 열냉 시험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20±5, ② -50±5
  2. ① -20±5, ② 50±5
  3. ① 20±5, ② 50±5
  4. ① 20±5, ② -50±5
(정답률: 알수없음)
  • 열냉 시험에서는 피아노 액션의 소재인 나무가 수분을 잃어서 수축하게 되면서 액션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액션의 길이를 보정하기 위해 액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나사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나사를 조절하여 액션의 길이를 조절할 때, 온도에 따라서 액션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변화에 대한 보정을 위해 온도에 따른 액션의 길이 변화량을 미리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 바로 "±5" 이다. 따라서, "① -20±5, ② 50±5" 는 온도가 -20℃ 일 때 액션의 길이가 -25℃ ~ -15℃ 범위 내에서 변화하고, 온도가 50℃ 일 때 액션의 길이가 45℃ ~ 55℃ 범위 내에서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액션 해머펠트의 경도가 높을 때의 처리 방법은?

  1. 해머펠트에 물을 묻혀 부풀린다.
  2. 픽커(picker)로 해머펠트를 알맞게 찔러준다.
  3. 해머펠트에 샌드페이퍼로 알맞게 문지른다.
  4. 해머펠트에 경화제를 알맞게 바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션 해머펠트의 경도가 높을 때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픽커(picker)로 해머펠트를 알맞게 찔러줘야 합니다. 이는 해머펠트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머펠트를 처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튜닝핀 교체시 현재 핀과 교체 핀과의 오버사이즈(over size)의 굵기의 차이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0.01 ~ 0.05mm
  2. 0.15 ~ 0.25mm
  3. 0.50 ~ 1.00mm
  4. 1.50 ~ 2.00mm
(정답률: 알수없음)
  • 튜닝핀 교체시 오버사이즈의 굵기 차이가 너무 작으면 교체한 의미가 없어지고, 너무 크면 핀과 구멍 사이에 간격이 생겨서 연주 시 불안정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굵기 차이는 0.15 ~ 0.25mm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오버사이즈의 굵기 차이가 적당하게 유지되며, 연주 시 안정적인 소리를 내면서도 향상된 음질을 느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프트 페달을 밟았을 때 해머 전체가 진행하게 되는데 해머가 타현거리의 어느 정도 가도록 조정하여야 하는가?

  1. 1/2
  2. 1/3
  3. 1/5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가 타현거리의 1/3 정도 가도록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해머가 너무 멀리 가지 않도록 하여 소리가 더욱 깨끗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해머가 타현거리의 1/2 이상 가게 된다면, 소리가 더욱 둔화되어 전달되어 음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1/3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갈라진 향판 수리시 가장 적당한 수리재료는?

  1. 대나무
  2. 스프루스
  3. 잡목류
  4. 종이나 펠트류
(정답률: 알수없음)
  • 갈라진 향판을 수리할 때는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은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스프루스는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아서 가장 적합한 수리재료입니다. 대나무는 강도가 낮아서 수리에 적합하지 않고, 잡목류는 내구성이 낮아서 오래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종이나 펠트류는 강도와 내구성이 모두 낮아서 수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업라이트 피아노의 잭 스톱 레일은 주로 어떤 역할을 하는가?

  1. 잭의 지나친 이탈 방지
  2. 스프링의 강도 조정
  3. 해머 스톱거리 조정
  4. 건반 깊이의 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업라이트 피아노의 잭 스톱 레일은 잭이 건반에서 지나치게 높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연주의 정확성을 유지하고, 잭의 지나친 이탈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페달기구 수리에 관한 사항 중 옳은 것은?

  1. 페달 스프링에서 잡음이 날 경우는 스프링을 빼어 버린다.
  2. 페달이 토대목 옆면에 닿을 때는 페달을 옆으로 휘어 놓는다.
  3. 페달봉에 페달로드 펀칭을 고일 때에는 페달운동거리를 감안하여 적당한 두께로 고인다.
  4. 페달봉과 프레임이 닿아 잡음이 날 경우에는 페달봉을 휘어 놓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페달운동거리란 페달을 밟았을 때 발이 움직이는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페달봉에 페달로드 펀칭을 고일 때에는 페달운동거리를 고려하여 적당한 두께로 고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두께가 너무 얇으면 페달운동거리가 짧아지고, 두께가 너무 두껍다면 페달운동거리가 길어져서 사용자의 발에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두께로 고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피아노 주변에서 잡음이 가장 많이 날 수 있는 조건은?

  1. 피아노 옆의 책
  2. 느슨해진 쇠창틀
  3. 단추가 많은 옷
  4. 피아노 위의 천으로 된 인형
(정답률: 알수없음)
  • 느슨해진 쇠창틀은 피아노 주변에서 가장 많은 잡음을 일으키는 조건입니다. 이는 쇠창틀이 느슨해져서 흔들리거나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피아노 주변에서 잡음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쇠창틀의 경우에는 특히나 큰 소리를 일으키므로 가장 많은 잡음을 일으키는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반 후론트 부싱클로스를 교환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부싱클로스가 마모된 부위에 실리콘을 발라준다.
  2. 낡은 클로스를 떼어낸 후 2.5~3mm 정도의 깊이로 접착한다.
  3. 클로스를 떼어낸 후 6~8mm 정도의 깊으로 접착한다.
  4. 교환할 필요가 없어 클로스를 떼어 반대로 접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후론트 부싱클로스를 교환할 때는 낡은 클로스를 떼어내고 새로운 클로스를 깊이 2.5~3mm 정도로 접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클로스가 건반과 연결되는 부분이므로 깊이가 너무 얕으면 클로스가 떨어질 수 있고, 깊이가 너무 깊으면 건반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리콘을 발라주는 방법은 부싱클로스와 건반의 연결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교환할 때는 클로스를 깊이 접착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피아노선의 인장시험시 물림간격은 선지름이 1.00mm 이상일 경우 원칙적으로 약 몇 mm로 하여야 하는가?

  1. 100 mm
  2. 200 mm
  3. 300 mm
  4. 400 mm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선의 인장시험시 물림간격은 선지름이 1.00mm 이상일 경우 원칙적으로 200mm로 하여야 합니다. 이는 국제표준 ISO 17065에서 규정된 내용으로, 선지름이 1.00mm 이상인 경우에는 물림간격을 200mm로 설정하여 인장시험을 진행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