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조율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2-03)

피아노조율기능사
(2008-02-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힛치핀(Hitch pin)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부브리지와 힛치린 사이에서 현이 진동한다.
  2. 현의 위쪽은 튜닝핀에, 아래쪽은 힛치핀에 현을 걸기 위한 장치이다.
  3. 힛치핀은 목골에 박혀있고 현의 아래쪽을 걸기 위한 장치이다.
  4. 힛치핀은 브리지에 박혀있고 음의 잡음 방지와 증대효과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의 위쪽은 튜닝핀에, 아래쪽은 힛치핀에 현을 걸기 위한 장치이다. 이는 현을 악기의 몸통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 힛치핀은 목골에 박혀있고 현의 아래쪽을 걸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힛치핀은 목골에 박혀있고 현의 아래쪽을 걸기 위한 장치이다."는 부분 오답입니다. "상부브리지와 힛치린 사이에서 현이 진동한다."와 "힛치핀은 브리지에 박혀있고 음의 잡음 방지와 증대효과가 있다."는 힛치핀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반적인 튜닝핀의 조건 중 틀린 것은?

  1. 길이는 약 60 ~ 64mm
  2. 지름은 6.75 ~ 7.25mm
  3. 박히는 부분에는 20 ~ 25mm의 나사산 가공
  4. 머리부는 사각형으로 하고 10/100 ~ 14/100의 테이프 부착
(정답률: 알수없음)
  • "박히는 부분에는 20 ~ 25mm의 나사산 가공"이 틀린 조건입니다. 일반적인 튜닝핀의 박히는 부분에는 20 ~ 25mm의 나사산 가공이 아닌, 10 ~ 15mm의 나사산 가공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나사산이 너무 깊게 박히면 나사가 고정되지 않고 느슨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페달 중 긴 레일에 붙여진 펠트가 현과 해머사이에 들어가므로 직접 타현을 막아 적은 음량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댐퍼 페달
  2. 머플러 페달
  3. 고·저음 페달
  4. 쉬프트 페달
(정답률: 알수없음)
  • 머플러 페달은 긴 레일에 붙여진 펠트가 현과 해머사이에 들어가므로 직접 타현을 막아 적은 음량으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원칙적인 피아노 액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업라이트형 액션은 브래킷에 의해서 피아노의 몸체에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2. 업라이트형 해머 받드의 센터핀은 원칙적으로받드 플레이트에 따라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3. 업라이트형의 해머 레일 또는 언더 레일에는 탄력성이 있는 크로스를 부착하여 잡음을 방지한 것이어야 한다.
  4. 해머 생크와 댐퍼 헤드는 휨과 탄력성이 적고 지음효과가 뛰어나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 생크와 댐퍼 헤드는 휨과 탄력성이 적고 지음효과가 뛰어나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올바른 설명은 해머 생크와 댐퍼 헤드는 휨과 탄력성이 높고 지음효과가 적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피아노 연주 시 더 정확하고 섬세한 음색을 내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피아노선 번호와 그 굵기(mm)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13번 : 0.825 + 0.010
  2. 번 : 0.850 + 0.010
  3. 번 : 0.950 + 0.010
  4. 19번 : 1.000 + 0.013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번 : 0.850 + 0.010" 입니다.

    피아노선 번호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2번"이며, 굵기는 "0.850 + 0.010"으로 총 0.86mm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피아노선 번호와 굵기가 함께 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굵기만 표시되어 있거나, 피아노선 번호와 굵기가 모두 잘못 표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피아노를 기능적인 면에서 분류하면 구조적 부분, 음과 직접 연관된 부분, 기계적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계적 부분으로만 구성된 것은?

  1. 건반, 액션, 페달
  2. 향판, 페달, 해머
  3. 철골, 현, 건반
  4. 지주,철골, 핀판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적 부분으로만 구성된 것은 "건반, 액션, 페달" 입니다. 이는 피아노의 소리를 만들기 위한 기계적인 부분으로, 건반은 손가락으로 누르는 부분, 액션은 건반을 누르면 해머가 현을 치는 부분, 페달은 소리를 조절하는 부분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음과 직접 연관된 부분이나 구조적인 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아노의 목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업라이트 피아노는 수직 기둥과 상하 굵은 횡목으로 짜여져 있다.
  2. 목재는 고로쇠, 구루미 등이 사용된다.
  3. 업라이트 피아노는 굵은 내·외림(rim)에 방사상 각목으로 짜여져 있다.
  4. 16~20톤의 장력을 버티는데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목재는 고로쇠, 구루미 등이 사용된다."

    해설: 피아노의 목골은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진다. 업라이트 피아노는 수직 기둥과 상하 굵은 횡목으로 짜여져 있으며, 굵은 내·외림(rim)에 방사상 각목으로 짜여져 있다. 이는 피아노의 구조를 강화하고 16~20톤의 장력을 버티는데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목재가 고로쇠나 구루미가 아닌 것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업라이트 피아노의 해머레일이 현 쪽으로 움직여 해머와 현의 거리가 가깝게 되므로 타현거리가 줄어들어 여린음을 내게 하는 역할을 하는 페달은?

  1. 댐퍼 페달
  2. 약음 페달
  3. 소프트 페달
  4. 소스테누토 페달
(정답률: 알수없음)
  •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해머레일이 현 쪽으로 움직이면 타현거리가 줄어들어 소리가 더욱 뚜렷하고 강렬해집니다. 이를 조절하기 위해 해머와 현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도와주는 페달이 소프트 페달입니다. 소프트 페달을 밟으면 해머와 현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어 타현거리가 줄어들어 여린음을 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피아노선 3종(PW-3)의 작용 선지름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0.08mm 이상 7.0mm 이하
  2. 0.08mm 이상 10.0mm 이하
  3. 1.00mm 이상 6.0mm 이하
  4. 1.00mm 이상 9.0mm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선 3종(PW-3)은 피아노의 중간음부터 높은음까지 사용되는 선으로, 작용 선지름은 선의 두께를 나타냅니다. 이 선은 소리의 높낮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선지름이 너무 작거나 크면 소리가 나지 않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용 선지름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보기 중 "0.08mm 이상 7.0mm 이하"와 "0.08mm 이상 10.0mm 이하"는 선지름이 너무 작아서 소리가 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에 "1.00mm 이상 9.0mm 이하"는 선지름이 너무 크기 때문에 소리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작용 선지름은 "1.00mm 이상 6.0mm 이하"입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소리가 안정적으로 나며, 피아노의 다양한 음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피아노 액션의 열냉 시험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적합한 수치는?

  1. 8
  2. 16
  3. 24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열냉 시험에서는 1분 동안 ( ) 번의 행동을 반복한다.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수는 8, 16, 24, 32 이다. 그러나 그림에서는 1분 동안 30번의 행동이 반복되고 있으므로, 정답은 16이 된다. 30을 2로 나누면 15가 되고, 이는 16에 가장 가까운 수이다. 따라서, 1분 동안 16번의 행동을 반복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청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진동수의 범위는 20~20000Hz 정도이다.
  2. 주파수와 위상이 같은 두 개의 음은 한 개의 음으로 들린다.
  3. 같은 음으로 위상이 완전히 반대되는 음은 서로 상쇄(相殺)되어 들리지 않는다.
  4.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아노의 음역은 4186 ~ 8442Hz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아노의 음역은 4186 ~ 8442Hz 정도이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아노의 음역은 27.5 ~ 4186Hz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불완전어울림 음정에 해당하는 것은?

  1. 장2도
  2. 단7도
  3. 완전5도
  4. 장6도
(정답률: 알수없음)
  • 불완전어울림 음정은 음계에서 3음, 6음, 7음의 간격을 가지는 음정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장6도"는 음계에서 6음과 1옥타브 위의 3음 사이의 간격으로, 불완전어울림 음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에서 음속(m/s)이 가장 빠른 것은? (단, 온도가 20℃ 일 때 기준이다.)

  1. 공기(밀도 : 1.18 kg/m3)
  2. 증류수(밀도 : 1.00 × 103kg/m3)
  3. 수소(밀도 : 0.0837 kg/m3)
  4. 헬륨(밀도 : 0.166 kg/m3)
(정답률: 알수없음)
  • 음속은 밀도와 온도에 영향을 받는데, 밀도가 낮을수록 음속이 빠르다. 따라서, 밀도가 가장 낮은 수소와 헬륨이 음속이 빠를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온도가 20℃일 때의 기준에서는 증류수의 밀도가 가장 낮기 때문에 증류수의 음속이 가장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한 옥타브(octave)의 피아노 건반에서 E음에 대하여 상행 장3도의 음은 무엇인가?

  1. F#
  2. G#
  3. A#
  4. B
(정답률: 알수없음)
  • 상행 장3도는 원음에서 4음계 + 3음정 이동한 음을 말합니다. 따라서 E에서 상행 장3도는 E - F - F# - G#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여러 개의 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미적, 시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하모니
  2. 멜로디
  3. 음정
  4. 리듬
(정답률: 80%)
  • 보기 중에서 멜로디는 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미적, 시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을 의미합니다. 하모니는 음의 조화를 말하며, 음정은 음의 높이와 관련된 것이고, 리듬은 음의 길이와 강약의 패턴을 말합니다. 따라서 멜로디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단3화음을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단3도 + 장3도
  2. 단3도 + 단3도
  3. 장3도 + 장3도
  4. 장2도 + 단2도
(정답률: 알수없음)
  • 단3화음은 1도, 3도, 5도를 기본으로 구성되며, 이 중 3도와 5도 사이의 간격이 3도인 화음입니다. 따라서 "단3도 + 단3도"와 "장2도 + 단2도"는 3도와 5도 사이의 간격이 3도가 아니므로 단3화음이 아닙니다. "장3도 + 장3도"는 3도와 5도 사이의 간격이 4도이므로 단3화음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3도 + 장3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초 옥타브 작성 후 위로 옥타브 전개시 B51를 조율하고 그 작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장3도, 장10도 테스트를 하는데 그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맥놀이는 같다.)

  1. F33 - A37 : 장3도, G35 - B51 : 장10도
  2. G35 - B39 : 장3도, G35 - B51 : 장10도
  3. B39 - D#37 : 장3도, G35 - B51 : 장10도
  4. G#36 - G40 : 장3도, G35 - B51 : 장10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장3도와 장10도는 각각 3음과 10음 차이가 나는 음정입니다. 따라서 B51을 기준으로 장3도와 장10도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B51에서 3음 차이인 B39와 10음 차이인 G35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G35 - B39 : 장3도, G35 - B51 : 장10도"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키 플라이어의 용도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건반 상하를 조정하는 공구
  2. 생크의 비틀어짐을 바로 잡는 공구
  3. 댐퍼 와이어를 조정하는 공구
  4. 건반의 부싱 크로스를 압축하는 공구
(정답률: 알수없음)
  • 키 플라이어는 건반의 부싱 크로스를 압축하는 공구입니다. 부싱 크로스는 건반을 누르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조절하는 부품으로, 이를 압축함으로써 건반의 소리를 더욱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키 플라이어는 건반의 소리를 더욱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한 필수적인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음향학적으로는 부분음은 피아노의 어느 음역대 가장 많이 포함되는가?

  1. 고음부
  2. 차고음부
  3. 중음부
  4. 저음부
(정답률: 알수없음)
  • 부분음은 주파수가 낮은 진동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저음부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피아노의 저음부는 27.5Hz에서 164.8Hz까지의 주파수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부분음이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음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인간이 물리적으로 일정한 강도에서 가장 잘 들리는 것은 몇 Hz 정도인가?

  1. 200
  2. 440
  3. 3000
  4. 1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의 청각 범위는 대략 20Hz에서 20kHz까지이며, 이 범위에서 3000Hz 주파수에서 가장 민감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인간의 이어가 이 주파수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진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간이 물리적으로 일정한 강도에서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주파수는 3000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2배음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현이 진동할 때 고음이 나기도 하고 저음이 나기도 하는 음
  2. 현의 기음에 대해서 한 옥타브 윗 음이 나는 음
  3. 현의 기음에 대해서 한 옥타브 아래 음이 나는 음
  4. 현의 기음에 대해서 반음정 높게 나는 음
(정답률: 알수없음)
  • 2배음은 현의 기음에 대해서 한 옥타브 윗 음이 나는 음입니다. 이는 현이 진동할 때 기본 주파수의 2배인 고음이 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현이 라(440Hz)를 내면 2배음인 라(880Hz)가 나옵니다. 이는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화음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초옥타브 작성시 D42와 G35의 음정을 조율한다면 초당 맥놀이수는 얼마인가? (단, D42 는 293.665Hz 이고, G35 는 195.998Hz 이다.)

  1. 협음정 0.664
  2. 광음정 0.664
  3. 협음정 0.614
  4. 광음성 0.614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음정이란 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음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한다. 이 문제에서는 D42와 G35의 음정을 조율해야 한다고 하였으므로, 이 두 음의 주파수를 맞춰야 한다.

    음정 조율에는 협음정과 광음정이 있는데, 협음정은 주파수를 낮추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광음정은 주파수를 높이는 방향으로 조율한다. 이 문제에서는 D42와 G35의 주파수를 맞춰야 하므로, 둘 중 하나를 기준으로 삼아서 다른 하나를 조율해야 한다.

    여기서는 D42를 기준으로 삼아서 G35를 조율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G35의 주파수는 195.998Hz이고, D42의 주파수는 293.665Hz이므로, G35의 주파수를 높여서 D42의 주파수와 맞추어야 한다. 이때, G35의 주파수를 얼마나 높여야 할까?

    음정 조율에는 반음과 옥타브가 있다. 반음은 주파수를 21/12배 만큼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고, 옥타브는 주파수를 2배 만큼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G35의 주파수를 D42의 주파수와 맞추어야 하므로, 이 두 음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D42와 G35 사이의 거리는 7반음이다. 따라서, G35의 주파수를 27/12배 만큼 높여야 D42의 주파수와 맞출 수 있다. 이때, 27/12는 약 1.4983이므로, G35의 주파수를 195.998 × 1.4983 ≈ 293.329Hz로 조율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협음정을 사용하여 G35의 주파수를 D42의 주파수와 맞추었으므로, 협음정 0.664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음의 속도가 340m/s 이고, 파장이 3.4m 일 때 주파수는 몇 Hz 인가?

  1. 0.01
  2. 100
  3. 115.6
  4. 1156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는 속도(v)를 파장(λ)으로 나눈 값이므로, 주파수(f) = v/λ 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f = 340/3.4 = 100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펠트 픽커(picker)는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 공구인가?

  1. 해머를 다려주는 공구
  2. 해머를 깎아주는 공구
  3. 해머의 강도가 높을 때 음색을 조정하는 공구
  4. 해머의 강도가 약할 때 강하게 해주는 공구
(정답률: 알수없음)
  • 펠트 픽커는 주로 악기 제작에서 사용되며, 해머의 강도가 높을 때 음색을 조정하는 공구로 사용됩니다. 이는 펠트 픽커를 이용해 해머의 끝을 가늘게 만들어서 음의 높이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머의 강도가 높을 때 음색을 조정하는 공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온이 20℃ 일 때 음속(m/s)은 얼마인가? (단, 0℃ 일 때 음속은 331.5m/s 이며, 온도 1℃마다 음속변화는 0.61 m/s 이다.)

  1. 330.60
  2. 336.90
  3. 343.70
  4. 349.50
(정답률: 알수없음)
  • 음속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1℃ 증가할 때마다 0.61m/s 증가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20℃에서의 음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 - 0℃ = 20
    20 x 0.61m/s = 12.2m/s

    따라서, 0℃에서의 음속인 331.5m/s에 12.2m/s를 더한 값이 20℃에서의 음속입니다.

    331.5m/s + 12.2m/s = 343.7m/s

    따라서, 정답은 "343.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평균율에 있어서 1옥타브 중 아래로 4도 위로 5도로 했을 때 맥놀이의 차이는?

  1. 1:1
  2. 1:2
  3. 1:3
  4. 1:4
(정답률: 알수없음)
  • 1옥타브 중 아래로 4도 내리면 1/2 음정이 되고, 위로 5도 올리면 1옥타브와 1/2 음정이 되므로 총 1옥타브 차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맥놀이의 차이는 1: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움직이는 음원이 관찰자 쪽으로 다가와 다시 멀어져 가는 동안 진동수가 높게 들리다가 낮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매스킹효과
  2. 간섭효과
  3. 음폐효과
  4. 도플러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움직이는 음원이 관찰자 쪽으로 다가오면 음파의 밀도가 증가하여 진동수가 높아지고, 멀어져 가면 음파의 밀도가 감소하여 진동수가 낮아지는 현상을 도플러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자동차나 기차 등이 지나갈 때 들리는 소리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평균율에 있어서 완전4도, 완전5도, 장3도, 장6도 음정은 순정율보다 몇 센트 차이가 나는가?

  1. 완전4도 +2, 완전5도 –2, 장3도 +4, 장6도 +6
  2. 완전4도 -2, 완전5도 +2, 장3도 +14, 장6도 +16
  3. 완전4도 -2, 완전5도 +2, 장3도 +4, 장6도 +6
  4. 완전4도 +2, 완전5도 –2, 장3도 +14, 장6도 +16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율은 700센트이며, 완전4도는 500센트, 완전5도는 700센트, 장3도는 400센트, 장6도는 900센트이다. 따라서 각 음정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완전4도: 500 - 700 + 2 = -198
    - 완전5도: 700 - 700 - 2 = 0
    - 장3도: 400 - 700 + 14 = -286
    - 장6도: 900 - 700 - 16 = 184

    따라서 정답은 "완전4도 +2, 완전5도 –2, 장3도 +14, 장6도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회절(diffraction) 현상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음파가 장애물에 의해 반대편이 들리지 않는 현상
  2. 음파가 한 장애물의 가장 자리를 통과할 때 잘 들리는 곳과 잘 들리지 않는 곳이 생기는 현상
  3. 음파가 어떤 물체에 의해 꺾여 나가는 현상
  4. 음파가 직선 방향 외에는 전달이 불가능한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절(diffraction) 현상은 음파나 빛 등이 장애물을 만나서 그 가장자리를 따라 꺾여 나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장애물의 크기와 파장의 길이에 따라서 잘 들리는 곳과 들리지 않는 곳이 생기는데, 이를 회절 현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음파가 한 장애물의 가장 자리를 통과할 때 잘 들리는 곳과 잘 들리지 않는 곳이 생기는 현상"이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C28와 C40의 옥타브 화음이 정확히 조율되었을 경우 각 음정 간의 맥놀이 관계가 옳은 것은?

  1. C28-F33의 맥놀이가 2개이면 F33-C40도 맥놀이가 2개
  2. C28-G35의 맥놀이가 2개이면 G35-C40도 맥놀이가 2개
  3. C28-A37의 맥놀이가 2개이면 A37-C40도 맥놀이가 2개
  4. C28-E32의 맥놀이가 2개이면 E32-C40도 맥놀이가 2개
(정답률: 알수없음)
  • 맥놀이란 음계에서 인접한 음들 간의 주파수 비율을 말합니다. 정확한 맥놀이 관계는 각 음정 간의 주파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C28-F33의 맥놀이가 2개이면 F33-C40도 맥놀이가 2개인 이유는, C28과 F33 사이의 주파수 비율과 F33과 C40 사이의 주파수 비율이 같기 때문입니다. 즉, C28과 F33 사이의 주파수 비율이 3:4이고, F33과 C40 사이의 주파수 비율도 3:4이기 때문에, 이 두 음정 간의 맥놀이 관계는 같습니다.

    따라서, C28-F33의 맥놀이가 2개이면 F33-C40도 맥놀이가 2개입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보기들도 각 음정 간의 주파수 비율을 비교하여 맥놀이 관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음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단위 면적을 단위 시간에 통과하는 에너지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1. 음의 높이
  2. 음의 세기
  3. 음의 맵시
  4. 음의 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음의 세기"입니다. 음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면적을 통과하는 에너지는 음파의 진폭과 관련이 있습니다. 진폭이 크면 면적을 통과하는 에너지도 많아지므로 음파의 세기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음파의 세기는 음파의 진폭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음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면적을 통과하는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는 음파의 세기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81/80 이라는 작은 음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피타고라스 콤마
  2. 메르센느 콤마
  3. 디뒤머스 콤마
  4. 바하 콤마
(정답률: 알수없음)
  • 81/80은 디뒤머스 콤마라고 부릅니다. 이는 피아노나 기타 등의 악기에서 음정을 조정할 때 사용되는 작은 음정 중 하나로, 81/80의 비율로 음정을 조정합니다. 이 비율은 디뒤머스가 발견한 것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디뒤머스 콤마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A37 가220Hz 일 때 5도 위의 E44(329.628Hz)와의 맥놀이 수는 매초 당 얼마인가?

  1. 0.44
  2. 0.54
  3. 0.64
  4. 0.74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음의 맥놀이 수는 주파수 비율의 로그값의 차이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log2(329.628/220) ≈ 0.792

    따라서 A37와 E44의 맥놀이 수는 약 0.792입니다.

    문제에서는 "매초 당" 맥놀이 수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1초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0.792/1 ≈ 0.792

    따라서 A37와 E44의 매초 당 맥놀이 수는 약 0.792입니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74이므로, 정답은 "0.7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순음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의 세기와 높낮이는 가지고 있지만 음색의 차이는 구분할 수 없다.
  2. 지속적이고 주긱적인 진동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악기에서 주로 발생한다.
  3. 타악기의 음악적 효과를 낼 때 주로 사용하며 음의 높낮이, 셈여림, 음색, 음질을 지닌다.
  4. 주파수 측정이 불가능하며 정수배의 배음이 합쳐진 것을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음은 주파수 측정이 불가능하며 정수배의 배음이 합쳐진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음의 세기와 높낮이는 가지고 있지만 음색의 차이는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해머헤드 정음에서 해머가 경화되고 금속성 울림이 있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파일링
  2. 니들링
  3. 도우핑
  4. 아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헤드 정음에서 해머가 경화되고 금속성 울림이 있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니들링을 실시합니다. 이는 해머헤드의 표면에 작은 구멍을 뚫어서 금속성 울림을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파일링은 표면을 깎아내는 과정이고, 도우핑은 금속을 더해주는 과정이며, 아이론은 철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레규레이팅 버튼 펀칭 크로스를 교환할 때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1. 전과 동일한 두께의 크로스로 교환한다.
  2. 전보다 얇은 크로스로 교환한다.
  3. 전보다 두꺼운 크로스로 교환한다.
  4. 헝겊을 여러 장 겹쳐서 붙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규레이팅 버튼 펀칭 크로스를 교환할 때 전과 동일한 두께의 크로스로 교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이는 레규레이팅 버튼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전보다 얇은 크로스로 교환하면 레규레이팅 버튼의 조절력이 약해져서 정확한 조절이 어렵고, 전보다 두꺼운 크로스로 교환하면 레규레이팅 버튼이 너무 단단해져서 조절이 불가능해집니다. 또한, 헝겊을 여러 장 겹쳐서 붙이는 것은 교환 후 크로스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서 조절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과 동일한 두께의 크로스로 교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부품을 수리할 때 접착제를 전면에 고르게 도포해야 하는 것은?

  1. 캐쳐 스킨
  2. 위펜 힐 크로스
  3. 댐퍼레버 크로스
  4. 받드 스킨
(정답률: 알수없음)
  • 캐쳐 스킨은 부품의 표면을 보호하고 부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전면에 고르게 도포해야 합니다. 다른 부품들은 이와 같은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업라이트 피아노가 사진행할 때 조정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해머가 사진행하는 받드 플랜지의 반대편에 적당한 정도의 종이를 고인다.
  2. 해머가 진행하는 방향에 적당한 정도의 종이를 고인다.
  3. 해머가 사진행할 때에는 센터핀으로 조정한다.
  4. 해머가 사진행할 때에는 니들링을 해주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업라이트 피아노가 사진행할 때에는 해머가 사진행하는 받드 플랜지의 반대편에 적당한 정도의 종이를 고이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해머가 플랜지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키의 높이를 조절하여 피아노의 음색과 연주감을 최적화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댐퍼 와이어와 댐퍼 스톱 레일과의 거리를 너무 적게 조정하였을 때 피아노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 중 틀린 것은?

  1. 렛오프가 많아진다.
  2. 건반 깊이가 얕아진다.
  3. 댐퍼 개방 양이 적어진다.
  4. 터치가 나빠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터치가 나빠진다."입니다.

    댐퍼 와이어와 댐퍼 스톱 레일과의 거리를 너무 적게 조정하면 댐퍼 개방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이는 댐퍼가 줄어들어 소리가 더 오래 지속되는 "렛오프" 현상을 초래합니다. 또한, 건반 깊이가 얕아지면 건반을 눌렀을 때 손가락이 더 많이 움직여야 하므로 연주가 어려워집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들은 터치가 나빠진다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피아노 케이스(외장)에서 잡음이 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경첩의 나사못이 헛돌 때
  2. 건압대와 건반의 간격이 조금 떨어져 있을 때
  3. 상판과 옆판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4. 하판의 고정이 불안정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건압대와 건반의 간격이 조금 떨어져 있을 때는 건압대가 건반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건반이 자유롭게 움직여서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피아노 케이스에서 잡음이 나지 않는 경우 중에서 이유는 건압대와 건반의 간격이 조금 떨어져 있을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위펜 힐 크로스 교체시 접착제를 칠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크로스 전체에 접착제를 칠한다.
  2. 크로스 중앙에 접착제를 칠한다.
  3. 크로스 양쪽 끝에만 접착제를 칠한다.
  4. 크로스 한쪽면만 접착제를 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로스 양쪽 끝에만 접착제를 칠하는 이유는, 위펜 힐이 움직이는 부분이 양쪽 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양쪽 끝에 접착제를 칠해야만 힐이 제대로 고정되고 움직임이 없어집니다. 만약 크로스 전체에 접착제를 칠하면, 힐이 움직이는 부분이 아닌 부분까지 접착제가 묻어서 힐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댐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댐퍼레버는 댐퍼레버 플랜지에 의해서 센터 레일에 연결되어 있다.
  2. 로스트 모션이 조금이라도 있어서는 안된다.
  3. 댐퍼는 저음부와 중·고음부 댐퍼가 각각 모양이 다르다.
  4. 페달을 밟았을 때 댐퍼는 전체가 가지런히 떨어져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로스트 모션이 조금이라도 있어서는 안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로스트 모션이란, 댐퍼가 작동할 때 댐퍼와 레일 사이에 일어나는 미세한 간극을 말합니다. 이 간극이 존재하면 댐퍼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소리가 누출되거나 댐퍼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로스트 모션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댐퍼를 교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댐퍼 페달의 간격 조정은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댐퍼로드와 페달봉은 간격없이 맞닿아야 한다.
  2. 댐퍼로드와 페달봉은 간격이 1.5mm 정도가 좋다.
  3. 댐퍼로드와 페달봉은 간격이 5mm 정도가 좋다.
  4. 댐퍼로드와 페달봉은 간격이 10mm 정도가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댐퍼로드와 페달봉이 너무 가까이 붙어 있으면 댐퍼가 항상 눌러져 있어서 소리가 나고,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댐퍼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소리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댐퍼로드와 페달봉은 적당한 간격인 1.5mm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건반 높이 조정시 건반 하나가 높을 때 가장 바람직한 조정 방법은?

  1. 건반 밑을 알맞게 깎아낸다.
  2. 건반 뒷부분을 고인다.
  3. 건반 밸런스 크로스를 누른다.
  4. 밸런스 핀의 종이 펀칭을 빼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밸런스 핀은 건반의 높이를 조절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종이 펀칭을 빼내면 밸런스 핀이 더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건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건반 하나가 높을 때 가장 바람직한 조정 방법은 밸런스 핀의 종이 펀칭을 빼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밸런스 핀 부싱 크로스에서 마찰음(잡음)이 발생될 때 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건반 밸런스 홀을 넓혀준다.
  2. 건반 밸런스 핀을 닦아준다.
  3. 플라이어 등으로 부싱 구멍을 넓혀준다.
  4. 부싱 크로스에 흑연이나 윤활제를 도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싱 크로스에서 마찰음이 발생하는 이유는 부싱과 크로스 사이의 마찰이 원인입니다. 따라서 부싱 크로스에 흑연이나 윤활제를 도포하면 마찰이 감소하여 잡음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처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레큐레이팅 버튼 스크류는 주로 어떤 역할을 하는가?

  1. 해머가 현에 접근하는 위치 조정
  2. 건반이 수평이 됟록 위치 조정
  3. 댐퍼가 움직이는 위치 조정
  4. 건반의 깊이를 측정하고 조정
(정답률: 알수없음)
  • 레큐레이팅 버튼 스크류는 해머가 현에 접근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건반의 소리와 연관이 있으며, 해머가 현에 접근하는 위치가 적절하지 않으면 소리가 부적절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큐레이팅 버튼 스크류를 이용하여 해머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건반의 소리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 ) 안에 알맞은 수치는?

  1. 2
  2. 4
  3. 6
  4. 8
(정답률: 70%)
  • 주어진 그림에서는 각각의 도형이 시계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도형은 "8"이 아닌 "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건반 밸런스 핀 홀의 좌우 흔들림은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0.1 ~ 0.2mm
  2. 0.5 ~ 1mm
  3. 1.5 ~ 2mm
  4. 2.5 ~ 3mm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밸런스 핀 홀의 좌우 흔들림이 너무 크면 건반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져서 연주에 지장을 줄 수 있고, 너무 작으면 건반의 움직임이 둔화되어 연주의 민감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건반 밸런스 핀 홀의 좌우 흔들림은 0.1 ~ 0.2mm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범위 안에서는 건반의 움직임이 안정적이면서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크거나 작아서 건반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해머가 마모되어 성형하는 작업과 가장 관계있는 것은?

  1. 토크(torque) 작업
  2. 니들링(needling) 작업
  3. 경화제 도포 작업
  4. 파일링(filling) 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가 마모되어 성형하는 작업에서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파일링(filling) 작업"입니다. 이는 해머의 마모 부위를 깎아내어 새로운 모양을 만들어내는 작업으로, 마모된 부분을 깎아내어 새로운 모양을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토크 작업, 니들링 작업, 경화제 도포 작업은 해머의 마모 부위를 교체하거나 보강하는 작업이지 성형하는 작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백건반 전면과 열쇠봉과의 간격은 몇 mm 가 가장 적합한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알수없음)
  • 백건반 전면과 열쇠봉 간격은 2mm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아노의 키 간격이 2mm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쇠봉과 백건반 전면 간격이 2mm로 맞추면 연주자가 더욱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간격은 손가락의 길이와도 관련이 있어서, 손가락의 길이에 따라 다른 간격이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건반의 후론트 부싱을 교환할 경우 옳지 않은 방법은?

  1. 크로스는 털이 긴 쪽이 항상 핀의 안쪽에 가게 한다.
  2. 낡은 크로스는 깨끗이 떼어 내고 그 위에 부싱을 접착하는 것이 좋다.
  3. 접착 후 끼워두는 치구는 후론트핀보다 5mm정도 두껍게 하는 것이 좋다.
  4. 부싱의 크기는 너비 10mm, 길이 3mm 정도가 적당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접착 후 끼워두는 치구는 후론트핀보다 5mm정도 두껍게 하는 것이 좋다."는 옳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부싱을 교환할 때 부싱과 건반 사이에 치우침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끼워두는 치구를 후론트핀보다 더 두껍게 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피아노선의 인장시험을 할 때 선지름이 1.00mm 미만인 선은 물림간격을 약 몇 mm로 하여야 하는가?

  1. 10
  2. 100
  3. 200
  4. 400
(정답률: 알수없음)
  • 선지름이 1.00mm 미만인 선은 매우 얇기 때문에 물림간격을 작게 해야 합니다. 이는 선이 인장력에 의해 끊어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0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약음페달의 운동량을 조절해 주는 것은?

  1. 나비너트
  2. 페달볼트
  3. 턴버클
  4. 약음 연결쇠
(정답률: 알수없음)
  • 약음페달의 운동량을 조절해 주는 것은 턴버클입니다. 턴버클은 끈이나 로프를 조절하는 장치로, 약음페달에서는 끈을 조절하여 페달의 운동량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약음페달에서는 턴버클이 운동량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페달 운동거리가 많을 때의 처리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1. 크로스를 페달 밑판에 알맞게 붙여 조정한다.
  2. 크로스를 페달 천정에 알맞게 붙여 조정한다.
  3. 크로스를 토대목 페달 닿는 곳에 알맞게 붙여 조정한다.
  4. 크로스를 페달 중앙 상단에 알맞게 붙여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페달 운동거리가 많을 때 발이 페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로스를 사용합니다. 크로스를 페달 밑판에 알맞게 붙여 조정하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는 크로스가 발과 페달 사이에 놓이면서 발이 페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페달을 밟을 때 발의 위치를 고정시켜주어 발의 힘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일반적으로 타건시 공명체가 될 수 없는 것은?

  1. 전등, 전기스토브
  2. 유리창, 옷장
  3. 피아노 위의 책
  4. 커튼 고리
(정답률: 알수없음)
  • 타건시 공명체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진동수를 가져야 합니다. 하지만 "피아노 위의 책"은 진동수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기 때문에 타건시 공명체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피아노 위의 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애프터 터치의 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건반의 깊이에 비례하고, 타현거리에 반비례한다.
  2. 건반의 깊이와 타현거리에 비례한다.
  3. 건반의 깊이와 타현거리에 반비례한다.
  4. 건반의 깊이에 반비례하고, 타현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애프터 터치란, 손가락이 건반을 떼고 나서도 소리가 지속되는 정도를 말합니다. 이 애프터 터치의 양은 건반을 누른 깊이와 타현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건반을 누른 깊이가 깊을수록, 손가락이 떼어져도 현이 더욱 오랫동안 진동하기 때문에 애프터 터치의 양이 많아집니다. 반면에 타현거리가 짧을수록, 현이 더욱 빠르게 진동하고 소리가 빠르게 소멸하기 때문에 애프터 터치의 양이 적어집니다. 따라서, 애프터 터치의 양은 건반의 깊이에 비례하고, 타현거리에 반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반적으로 수리용 센터핀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13~15번
  2. 16~18번
  3. 18~25번
  4. 25~33번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수리용 센터핀은 직경이 18~25번 정도인 크기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작거나 크거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향봉의 접착부분이 떨어졌을 때 가장 좋은 수리 방법은?

  1. 접착이탈 부분에 접착제를 밀어 넣고 앞뒤로 압축하거나 스크류를 조인다.
  2. 아교나 본드를 밀어 넣고 부싱을 삽입한다.
  3. 이탈 부분에 나무쐐기를 끼워 잡음을 방지한다.
  4. 이탈 부분에 구멍을 내고 나사를 조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향봉의 접착부분이 떨어졌을 때, 접착이탈 부분에 접착제를 밀어 넣고 앞뒤로 압축하거나 스크류를 조이는 것이 가장 좋은 수리 방법입니다. 이는 접착제를 밀어 넣어서 접착력을 강화하고, 압축하거나 스크류를 조이면 접착부분이 더욱 견고해지기 때문입니다. 아교나 본드를 밀어 넣고 부싱을 삽입하는 방법은 접착력이 강하지 않을 수 있고, 이탈 부분에 나무쐐기를 끼워 잡음을 방지하는 방법은 임시적인 방법이며, 구멍을 내고 나사를 조이는 방법은 향봉의 모양이나 디자인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애프터 터치의 양이 부족한 원인이 아닌 것은?

  1. 타현거리가 너무 멀다.
  2. 건반 깊이가 너무 멀다.
  3. 캡스턴 조정에 로스트 모션이 많다.
  4. 댐퍼스푼 조정량이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댐퍼스푼 조정량이 많다는 것은 피아노의 댐퍼스푼이 너무 많이 올라가 있어서 소리가 끊기지 않고 지속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애프터 터치의 양이 부족한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업라이트 소프트 페달 조정은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해머 레일을 페달봉이 위로 약간 밀고 있도록 조정한다.
  2. 페달봉과 해머레일의 사이가 약 1mm 정도 여유가 있어야 한다.
  3. 페달봉과 해머레일의 사이가 약 5mm 정도 여유가 있어야 한다.
  4. 페달봉과 해머 레일은 로스트 모션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업라이트 소프트 페달 조정에서 페달봉과 해머레일의 사이가 약 1mm 정도 여유가 있어야 하는 이유는, 이 여유가 없으면 페달이 움직일 때 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움직임이 불안정해지고, 더 나아가 로스트 모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여유를 유지해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