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조율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피아노조율기능사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피아노 내구성 시험을 할 때의 온도 및 습도로 가장 적접한 것은?

  1. 20±5℃, 55±5%
  2. 25±5℃, 60±5%
  3. 35±5℃, 55±5%
  4. 45±5℃, 60±5%
(정답률: 64%)
  • 피아노 내구성 시험을 할 때는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피아노의 목재나 금속 부품 등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온도와 습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피아노의 내구성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25±5℃, 60±5%가 가장 적절한 온습도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피아노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온습도 범위이기도 합니다. 25℃는 피아노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에 적절한 온도이며, 60%의 습도는 목재 부품의 수분 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에 적절한 습도입니다. 따라서 이 온습도 범위에서 시험을 진행하면 피아노의 내구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아노선 1종(PW-1)의 적용 선지름(mm)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0.06 이상, 8.0 이하
  2. 0.08 이상, 10.0 이하
  3. 0.10 이상, 12.0 이하
  4. 1.00 이상, 14.0 이하
(정답률: 46%)
  • 피아노선 1종(PW-1)은 직경이 0.08mm 이상이어야 충분한 음량과 풍부한 음색을 내기 때문에 0.08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너무 두꺼워도 소리가 나지 않고, 너무 얇으면 소리가 약해지기 때문에 10.0 이하의 선지름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0.08 이상, 10.0 이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업라이트 피아노 외장(case)의 일부분이다. ①번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밑판(bottom board)
  2. 옆판 보조목(side lower strip)
  3. 반달목(upper sill)
  4. 토대목(bottom rail)
(정답률: 55%)
  • 그림에서 ①번은 업라이트 피아노의 하단 부분에 위치한 가로 방향의 목재이다. 이 목재는 다른 목재들을 지탱하고 있으며, 특히 피아노의 다리와 연결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구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목재는 토대목(bottom rail)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흑건의 길이와 폭(윗면)은 원칙적으로 몇 mm 이어야 하는가?

  1. 길이 : 85mm, 폭(윗면) : 8.5 ~ 9.0mm
  2. 길이 : 95mm, 폭(윗면) : 9.0 ~ 10.5mm
  3. 길이 : 98mm, 폭(윗면) : 9.0 ~ 10.5mm
  4. 길이 : 98mm, 폭(윗면) : 8.5 ~ 9.0mm
(정답률: 31%)
  • 흑건은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길이와 폭(윗면)이 정해져 있습니다. 길이는 95mm이어야 하며, 폭(윗면)은 9.0 ~ 10.5mm이어야 합니다. 이는 흑건의 특성과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길이 : 95mm, 폭(윗면) : 9.0 ~ 10.5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소프트 페달의 역할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해머와 현의 타현 거리를 줄여서 여린음(soft music)을 연주할 수 있게 한다.
  2. 해머의 타현 거리를 길게 하여 타현력을 강하게 하므로 강한 음을 연주할 수 있게 한다.
  3. 해머와 현 사이에 펠트를 가로막게 하여 소프트한 소리가 나도록 한다.
  4. 해머가 현의 3선 중 2선만 타현하게 하여 소프트한 소리를 내게 한다.
(정답률: 62%)
  • 소프트 페달은 해머와 현의 타현 거리를 줄여서 여린음(soft music)을 연주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페달을 밟으면 해머가 현과 더 가까워져서 현을 덜 진동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리가 더 부드럽고 조용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피아노의 구조 및 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장은 강도와 내구도를 충분히 유지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2. 건반 뚜껑은 개폐가 원활하고, 탈착이 되지 않아야 하며 여는 각도는 45° 이내이어야 한다.
  3. 다리부에는 원칙적으로 캐스터를 장착하여야 한다.
  4. 핀판은 현의 장력을 견디기 위하여 복수 종횡으로 붙인 판을 사용한다.
(정답률: 40%)
  • "건반 뚜껑은 개폐가 원활하고, 탈착이 되지 않아야 하며 여는 각도는 45° 이내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건반 뚜껑의 여는 각도는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90°까지 열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아노 선의 굵기가 0.925mm 일 때, 몇 번선에 해당되는가?

  1. 15번
  2. 16번
  3. 17번
  4. 18번
(정답률: 42%)
  • 일반적으로 피아노 선의 굵기는 0.9mm ~ 1.0mm 사이입니다. 따라서 0.925mm는 보통 16번선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피아노 선의 인장시험시 물림간격은 선지름이 1.00mm 이상일 경우 원칙적으로 약 몇 mm 로 하여야 하는가?

  1. 100mm
  2. 200mm
  3. 300mm
  4. 400mm
(정답률: 58%)
  • 피아노 선의 인장시험시 물림간격은 선지름이 1.00mm 이상일 경우 원칙적으로 200mm로 하여야 합니다. 이는 국제표준 ISO 3108에 따른 것으로, 선지름이 1.00mm 이상인 경우에는 물림간격을 200mm로 설정하여 인장시험을 진행합니다. 이는 선의 직경이 클수록 물림간격을 넓혀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반의 운동을 액션에 전달하는 부품의 명칭은?

  1. 레큐레이팅버튼
  2. 캡스터버튼
  3. 버트
(정답률: 30%)
  • 건반의 운동을 액션에 전달하는 부품은 캡스터버튼이라고 합니다. 이는 건반을 누르면 캡스터버튼이 움직여서 플랜지(액션)를 작동시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레큐레이팅버튼은 피아노의 톤을 조절하는 부품이며, 잭은 건반과 플랜지를 연결하는 부품, 버트는 건반의 높이를 조절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피아노 선의 비틀림시험시 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비틀림 횟수
  2. 굽힘각도
  3. 파단면의 상태
  4. 비틀림의 상태
(정답률: 53%)
  • 굽힘각도는 피아노 선의 비틀림시험과는 관련이 없는 조사 항목입니다. 비틀림시험은 선의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검사하는 것이며, 비틀림 횟수와 비틀림의 상태, 그리고 파단면의 상태를 조사합니다. 굽힘각도는 선의 굽힘에 대한 내구성을 검사하는 다른 시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단3화음을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단3도 + 장3도
  2. 단3도 + 단3도
  3. 장3도 + 장3도
  4. 장2도 + 단2도
(정답률: 60%)
  • 단3화음은 기본적으로 1도, 3도, 5도를 사용하여 구성됩니다. 따라서 "단3도 + 단3도"와 "장2도 + 단2도"는 1도와 5도가 중복되어 사용되므로 옳지 않습니다. "장3도 + 장3도"는 1도와 5도가 모두 장3도로 구성되어 있어서 단3화음이 아닙니다. 따라서 "단3도 + 장3도"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평균율 완전4도, 완전5도는 순정율 완전4도, 완전5도에 비해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는가?

  1. 완전4도는 4센트 넓고, 완전5도는 5센트 좁다.
  2. 완전4도는 2센트 좁고, 완전5도는 2센트 넓다.
  3. 완전4도는 5센트 넓고, 완전5도는 5센트 좁다.
  4. 완전4도는 2센트 넓고, 완전5도는 2센트 좁다.
(정답률: 55%)
  • 완전4도와 완전5도는 음악에서 중요한 음정입니다. 평균율은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정을 근사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이며, 순정율은 정확한 음정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평균율 완전4도는 순정율 완전4도보다 2센트 넓습니다. 이는 평균율 완전4도가 순정율 완전4도보다 조금 높은 음정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평균율 완전5도는 순정율 완전5도보다 2센트 좁습니다. 이는 평균율 완전5도가 순정율 완전5도보다 조금 낮은 음정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균율 완전4도와 완전5도는 순정율 완전4도와 완전5도에 비해 각각 2센트의 오차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온이 20℃ 일 때 음속(m/s)은 얼마인가? (단, 0℃ 일 때 음속은 331.5m/s 이며, 온도 1℃ 마다 음속변화는 0.61m/s 이다.)

  1. 330.60
  2. 336.90
  3. 343.70
  4. 349.50
(정답률: 50%)
  • 음속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1℃ 증가할 때마다 0.61m/s 증가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20℃에서의 음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 - 0℃ = 20
    20 x 0.61m/s = 12.2m/s

    따라서, 0℃에서의 음속인 331.5m/s에 12.2m/s를 더한 값이 20℃에서의 음속입니다.

    331.5m/s + 12.2m/s = 343.7m/s

    따라서, 정답은 "343.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보이싱(voicing)에 속하지 않는 직업은?

  1. 니들링(needling)
  2. 파일링(filing)
  3. 클리닝(cleaning)
  4. 다림질(ironing)
(정답률: 54%)
  • 보이싱은 음성을 내는 것을 의미하며, 나머지 세 직업은 모두 소리를 내는 작업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클리닝은 소리를 내는 작업과는 관련이 없으며, 주로 청소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클리닝(clean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49의 진동수가 440Hz 일 때 F33-D42 의 진동에서 맥놀이(b/s) 수는 약 얼마인가?

  1. 6.9
  2. 7.9
  3. 8.9
  4. 9.9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배음에 대한 계산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완전5도와 옥타브를 더할 경우 (옥타브 완전5도)
  2. 옥타브에서 완전4도를 뺄 경우 (완전5도)
  3. 두 개의 완전5도를 더하고 옥타브를 뺄 경우 (장2도)
  4. 완전4도와 장3도를 더할 경우 (단2도)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소리의 3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1. 세기, 높이, 음색
  2. 리듬, 멜로디, 하모니
  3. 반사, 흡수, 회절
  4. 주파수, 파장, 공기압
(정답률: 55%)
  • 정답은 "세기, 높이, 음색" 입니다.

    - 세기: 소리의 크기나 강도를 나타냅니다. 소리의 세기는 소리의 진폭(amplitude)과 관련이 있습니다.
    - 높이: 소리의 높낮이를 나타냅니다. 높은 음은 빠른 진동수(high frequency)를 가지고, 낮은 음은 느린 진동수(low frequency)를 가집니다.
    - 음색: 소리의 특징적인 속성으로, 같은 높이와 세기를 가진 소리라도 발생원인이나 고유한 특성에 따라 구별됩니다. 예를 들어, 피아노와 기타에서 같은 음을 연주해도 각기 다른 음색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보족음정 중 맥놀이(beat)가 같은 것은?

  1. 단3도와 장6도
  2. 증5도와 감4도
  3. 장3도와 단3도
  4. 옥타브와 완전5도
(정답률: 알수없음)
  • 맥놀이(beat)는 일정한 리듬을 유지하며 발생하는 소리의 연속이므로, 음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족음정 중 맥놀이(beat)가 같은 것은 모두 같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움직이는 음원이 관찰자 쪽으로 다가와 다시 멀어져 가는 동안 진동수는 높이 들리다가 낮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플러 현상
  2. 음의 선행효과
  3. 매스킹 효과
  4. 음의 방향감각
(정답률: 62%)
  • 움직이는 음원이 관찰자 쪽으로 다가오면 음파의 밀도가 증가하여 진동수가 높아지고, 멀어져 가면 음파의 밀도가 감소하여 진동수가 낮아지는 현상을 도플러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음의 성질 중 진폭의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진동 방향과의 거리, 주위의 상황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것과 가장 관계있는 것은?

  1. 음의 셈여림
  2. 멜로디
  3. 음색
  4. 음의 길이
(정답률: 46%)
  • 진폭은 소리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이며, 이는 음의 세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음의 성질 중 진폭의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은 "음의 세기"입니다. "음의 셈여림"은 음의 세기가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진폭이 작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의 셈여림"입니다. 멜로디, 음색, 음의 길이는 진폭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다른 음의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사람 귀의 구조 중 가운데 귀(중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망치뼈
  2. 모루뼈
  3. 등자뼈
  4. 뼈미로
(정답률: 55%)
  • 뼈미로는 사람 귀의 구조 중 외이(외이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와는 다른 위치에 있습니다. 따라서 뼈미로가 가운데 귀(중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A(라)와 D(레)는 완전4도 음정인데 D(레)에 올림표(#)가 붙는다면 어떤 음정이 되는가?

  1. 증4도
  2. 장4도
  3. 증5도
  4. 완전5도
(정답률: 55%)
  • D(레)에 올림표(#)가 붙으면 F(파)가 된다. A(라)와 F(파) 사이의 음정은 증4도이다. 이는 A(라)에서 시작해서 F(파)까지 4도를 증가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여러 개의 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미적, 시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하모니
  2. 멜로디
  3. 음정
  4. 리듬
(정답률: 50%)
  • 보기 중에서 멜로디는 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미적, 시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을 의미합니다. 하모니는 음의 조화를 말하며, 음정은 음의 높이와 관련된 것이고, 리듬은 음의 길이와 강약의 패턴을 말합니다. 따라서 멜로디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완전4도, 완전5도 음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완전5도의 음정비는 2:3 이다.
  2. 완전4도의 음정비는 3:4 이다.
  3. 순정조에서 완전4도, 완전5도는 맥놀이가 없다.
  4. 완전5도 음정의 검사법은 아래로 장3도 위로 단3도 취했을 때 맥놀이가 같아야 한다.
(정답률: 59%)
  • "순정조에서 완전4도, 완전5도는 맥놀이가 없다."가 틀린 것입니다. 순정조에서도 완전4도와 완전5도는 맥놀이가 있습니다.

    완전5도 음정의 검사법은 아래로 장3도 위로 단3도 취했을 때 맥놀이가 같아야 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도-솔 사이의 완전5도를 검사할 때, 도-미-솔과 도-라-파-솔의 맥놀이가 같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2:3의 비율로 구성된 완전5도 음정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70폰(phon)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등감곡선에서 100Hz 순음의 음압레벨이 70dB
  2. 등감곡선에서 1000Hz 순음의 음압레벨이 70dB
  3. 등감곡선에서 100kHz 순음의 음압레벨이 70dB
  4. 등감곡선에서 1000kHz 순음의 음압레벨이 70dB
(정답률: 50%)
  • 정답은 "등감곡선에서 1000Hz 순음의 음압레벨이 70dB"입니다.

    70폰(phon)은 소리의 청취감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소리의 주파수와 음압레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등감곡선은 인간의 청각감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청각감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등감곡선에서 1000Hz 순음의 음압레벨이 70dB라는 것은, 인간의 청각감도가 가장 높은 주파수인 1000Hz에서 소리의 음압이 70dB일 때, 인간이 가장 민감하게 청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기음과 협화가 가장 잘 되는 배음은?

  1. 6배음
  2. 7배음
  3. 9배음
  4. 11배음
(정답률: 알수없음)
  • 기음과 협화가 가장 잘 되는 배음은 6배음입니다. 이는 기음과 협화하는 배음 중에서 가장 가까운 음정이기 때문입니다. 6배음은 기음과의 거리가 3도이며, 이는 음악에서 가장 안정적인 거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6배음은 협화하는 배음 중에서도 가장 자연스러운 소리를 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현과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의 장력이 커지면 주파수는 증가한다.
  2. 현의 질량이 커지면 주파수는 증가한다.
  3. 현의 길이가 증가하면 주파수는 감소한다.
  4. 현의 길이에 따라 주파수는 변한다.
(정답률: 24%)
  • "현의 질량이 커지면 주파수는 증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현의 질량이 커지면 주파수는 감소합니다. 이는 현의 질량이 증가하면서 현의 탄성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탄성력이 감소하면 주파수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초옥타브 작성시 D42와 G35 의 음정을 조율한다면 초당 맥놀이수는 얼마인가? (단, D42는 293.665 Hz 이고, G35는 195.998Hz 이다.)

  1. 협음정 0.664
  2. 광음정 0.664
  3. 협음정 0.614
  4. 광음정 0.614
(정답률: 34%)
  • 먼저, 두 음정의 주파수 비율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G35 / D42 = 195.998 / 293.665 ≈ 0.666

    이 비율은 정확히 2/3에 가깝다. 따라서, 이 음정들은 협음정에 해당한다.

    협음정은 반음 12개를 2의 12승(약 1.059)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두 음정의 주파수 비율에 로그를 취한 후 12로 나누면 협음정 값이 된다.

    log2(0.666) ≈ -0.585

    -0.585 / 12 ≈ -0.049

    즉, 두 음정의 협음정 값은 약 -0.049이다. 이 값을 2의 12승으로 거듭제곱하면 협음정 비율이 된다.

    2-0.049 ≈ 0.664

    따라서, 정답은 "협음정 0.6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중간음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전음과 소전음의 차이가 없다.
  2. 장3도가 순정에 가깝다.
  3. 축소된 5도를 사용한다.
  4. 피타고라스 음률의 기초가 되었다.
(정답률: 50%)
  • "축소된 5도를 사용한다."는 중간음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입니다.

    피타고라스 음률은 음계를 구성하는 각 음의 주파수 비율을 2:1, 3:2, 4:3 등의 간단한 정수 비율로 나타내는 음률입니다. 이러한 피타고라스 음률의 기초가 되어 중간음률이 발전하였습니다. 중간음률은 음계를 12개의 동일한 반음으로 나누어 각 반음의 주파수 비율을 2^(1/12)로 정의한 음률입니다. 이러한 중간음률은 대전음과 소전음의 차이가 없으며, 장3도가 순정에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잔향시간에 대하여 옳게 나타낸 것은?

  1. 방의 용적에 비례하고, 전 흡음량에 반비례한다.
  2. 방의 용적에 반비례하고, 전 흡음량에 비례한다.
  3. 방의 용적과 전 흡음량에 비례한다.
  4. 방의 용적과 전 흡음량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8%)
  • 잔향시간은 소리가 감쇠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방의 용적이 클수록 소리가 퍼지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잔향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전 흡음량이 높을수록 소리가 방에서 나가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잔향시간이 짧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방의 용적에 비례하고, 전 흡음량에 반비례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평균율에서 A37가 220Hz일 때, A37와 D42 와의 맥놀이(beat)수는 매 초당 얼마인가?

  1. 0.875 b/s
  2. 0.995 b/s
  3. 1.120 b/s
  4. 1.140 b/s
(정답률: 40%)
  • A37와 D42의 주파수 차이는 5 반음이므로, 맥놀이 주파수는 5Hz이다.

    따라서, A37와 D42의 맥놀이 수는 220Hz/5Hz = 44번이다.

    초당 맥놀이 수는 44번/초 이므로, 0.995 b/s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음압의 단위인 1Pa 은 몇 N/m2 인가?

  1. 0.1
  2. 1
  3. 10
  4. 100
(정답률: 59%)
  • 1Pa는 1N/m2이다. 이는 압력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1N의 힘이 1m2의 면적에 작용할 때 발생하는 압력이 1Pa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순정율에서 장3도와 단6도의 음정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장3도 2:3, 단6도 3:5
  2. 장3도 3:2, 단6도 2:3
  3. 장3도 4:5, 단6도 5:8
  4. 장3도 5:4, 단6도 4:5
(정답률: 34%)
  • 정답은 "장3도 4:5, 단6도 5:8" 입니다.

    장3도는 2음의 간격으로 3음과 5음 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이 간격은 2:3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단6도는 8음의 간격으로 5음과 8음 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이 간격은 5:8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3도 4:5, 단6도 5:8"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피타고라스 음률과 피타고라스 콤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피타고라스 콤마는 완전5도를 12번 쌓아올려, 7옥타브를 내려서 완전4도를 구한 피타고라스 완전4도와 순정율 완전4도의 차이를 말한다.
  2. 피타고라스 콤마를 계산하면 = 1.0136 이다.
  3. 피타고라스 콤마를 음악적 음정으로 환산하면 약 32센트이다.
  4. 피타고라스 음률의 반음을 림마(limma)라고 한다.
(정답률: 30%)
  • "피타고라스 콤마를 계산하면 = 1.0136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피타고라스 콤마를 계산하면 1.0136이 아니라 1.0136... (무한소수)입니다. 이는 유리수가 아니기 때문에 음악적으로 정확한 음정으로 환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약 32센트로 근사하여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펠트 피커(picker)는 주로 어디에 사용하는 공구인가?

  1. 해머를 다려주는 공구
  2. 해머를 깎아주는 공구
  3. 해머의 강도가 높을 때 강도를 약하게 하여 음색을 조정하는 공구
  4. 해머의 강도가 약할 때 강하게 해 주는 공구
(정답률: 72%)
  • 펠트 피커는 악기에서 사용되는 공구로, 해머의 강도가 높을 때 강도를 약하게 하여 음색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해머의 강도가 높을 때 강도를 약하게 하여 음색을 조정하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댐퍼 펠트가 굳어서 현과 접촉할 때 잡음이 난다. 이 때 적절한 수리 방법은?

  1. 펠트에 물을 발라준다.
  2. 펠트를 인두로 다려준다.
  3. 펠트에 실리콘을 발라준다.
  4. 피커(picker)로 굳은 부분을 찔러준다.
(정답률: 54%)
  • 댐퍼 펠트가 굳어서 현과 접촉할 때 잡음이 나는 이유는 댐퍼 펠트가 현과 밀착되지 않고 일부분이 들려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 피커(picker)로 굳은 부분을 찔러주면 댐퍼 펠트가 현과 밀착되어 잡음이 줄어들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댐퍼 펠트와 관련이 없거나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리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튜닝핀 교체시 현재 핀과 교체 핀과의 오버 사이즈(over size)의 굵기 차이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0.15 ~ 0.25mm
  2. 0.5 ~ 1.0mm
  3. 1.25 ~ 1.50mm
  4. 2.15 ~ 2.35mm
(정답률: 50%)
  • 튜닝핀 교체시 오버 사이즈의 굵기 차이는 0.15 ~ 0.25mm가 가장 적당하다. 이는 너무 작아서 핀이 빠져나가거나 너무 커서 핀이 갇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범위 내에서는 적당한 압착력을 유지하면서도 핀과 구멍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오버 사이즈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건반깊이 조정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건반깊이가 깊을 때에는 클로스 펀칭 위에 종이 펀칭을 고인다.
  2. 건반깊이는 딥 블록을 사용하여 점검한다.
  3. 딥 블록은 적당한 세기로 눌러서 옆 건반과 비교한다.
  4. 건반깊이가 얕을 때에는 종이 펀칭을 빼서 조정한다.
(정답률: 55%)
  • "건반깊이가 깊을 때에는 클로스 펀칭 위에 종이 펀칭을 고인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건반깊이를 조정할 때에는 종이 펀칭을 빼서 조정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페달 운동거리가 많을 때 처리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클로스를 페달 밑판에 알맞게 붙여 조정한다.
  2. 클로스를 페달 천장에 알맞게 붙여 조정한다.
  3. 클로스를 토대목 측면 페달 닿는 곳에 알맞게 붙여 조정한다.
  4. 클로스를 페달 중앙 상단에 알맞게 붙여 조정한다.
(정답률: 47%)
  • 페달 운동거리가 많을 때는 페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클로스를 페달 밑판에 알맞게 붙여 조정해야 합니다. 이는 페달의 중심에 무게 중심을 더 잘 분산시켜 안정적인 주행을 돕기 때문입니다. 클로스를 페달 천장이나 토대목 측면, 페달 중앙 상단에 붙이면 페달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주행 중에 발이 미끄러져 다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점핑 핀(Jumping pin)의 수리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핀에 실리콘유를 칠한 후 끼운다.
  2. 핀 구멍에 소량의 물을 붓는다.
  3. 핀의 나사면에 백묵을 칠한 후 끼운다.
  4. 핀의 나사면을 연마한 후 끼운다.
(정답률: 47%)
  • 핀의 나사면에 백묵을 칠한 후 끼우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핀이 끼워지는 부분이 나사면이기 때문에 백묵을 칠하면 마찰력이 증가하여 핀이 더 잘 끼워지게 됩니다. 또한 백묵은 오랫동안 사용해도 변질되지 않기 때문에 수리 후에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건반 캡스턴이 헐거어 쉽게 로스트모션이 생길 때 조치방법은?

  1. 캡스턴 스크류가 박힌 부분에 나무쐐기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구멍을 좁혀준다.
  2. 캡스턴 스크류가 박힌 부분에 물을 넣어 부풀린다.
  3. 캡스턴 스크류가 박힌 부분에 기름을 넣는다.
  4. 캡스턴의 나사를 망치로 일그러뜨려 박는다.
(정답률: 40%)
  • 캡스턴 스크류가 박힌 부분에 나무쐐기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구멍을 좁혀준다는 이유는, 나무쐐기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구멍을 좁혀주면 캡스턴 스크류가 더 이상 헐거워지지 않고 고정되어 로스트모션이 생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업라이트 피아노 조정 시 건반깊이가 전체적으로 얕을 때 조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밸런스 펀칭을 골고루 고여서 조정한다.
  2. 밸런스 레일 밑에 종이 패킹을 고여서 조정한다.
  3. 백레일 클로스를 깎아서 낮춘다.
  4. 프론트 펀칭을 빼내어 조정한다.
(정답률: 55%)
  • 업라이트 피아노의 건반깊이가 전체적으로 얕을 때는 밸런스 레일 밑에 종이 패킹을 고여서 조정하는 것이 옳다. 이는 밸런스 레일과 백레일 사이의 거리를 늘리기 위해 종이를 넣어주는 것으로, 이를 통해 건반의 높이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체적인 건반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셀룰로이드 건반을 붙일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셀룰로이드를 석유 속에 넣어 녹인 다음 붙인다.
  2. 아세톤을 셀룰로이드 건반에 칠한 후 붙인다.
  3. 셀룰로이드를 아세톤에 용해한 후 액을 뭍혀 붙인다.
  4. 셀룰로이드를 아세톤에 씻은 후 강력 접착제로 붙인다.
(정답률: 30%)
  • 셀룰로이드는 아세톤에 용해되기 때문에, 셀룰로이드를 아세톤에 용해한 후 액을 뭍혀 붙이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셀룰로이드를 부드럽게 만들어서 건반에 부착하기 쉽게 만들어주며, 강력한 접착력을 제공합니다. 또한, 다른 방법들에 비해 더욱 안정적이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높이가 131cm인 피아노의 건반 깊이를 9~10mm로 했을 때 해머스톱 거리는 얼마가 가장 적당한가?

  1. 5~8mm
  2. 9~10mm
  3. 13~15mm
  4. 18~21mm
(정답률: 50%)
  • 해머스톱 거리는 건반을 눌렀을 때 해머가 줄어드는 거리를 말합니다. 이 거리가 너무 짧으면 소리가 작아지고, 너무 길면 소리가 느리게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적당한 거리를 찾아야 합니다.

    피아노의 건반 깊이가 9~10mm이므로, 해머스톱 거리는 이보다 조금 더 길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해머스톱 거리는 13~15mm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3~1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댐퍼스푼 조정은 건반을 눌러서 해머가 몇 mm 정도 진행했을 때 댐퍼가 뜨기 시작해야 하는가?

  1. 7 ± 2mm
  2. 20 ± 2mm
  3. 27 ± 2mm
  4. 34 ± 2mm
(정답률: 50%)
  •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댐퍼스푼 조정은 건반을 눌러서 해머가 몇 mm 정도 진행했을 때 댐퍼가 뜨기 시작해야 합니다. 이는 건반을 놓았을 때, 댐퍼가 준비된 상태에서 시작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댐퍼스푼 조정은 댐퍼가 건반을 눌렀을 때, 댐퍼스푼이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이도록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 거리는 일반적으로 20 ± 2mm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유는, 이 거리가 적당하면서도 댐퍼가 건반을 눌렀을 때 바로 뜨도록 설정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거리가 너무 짧으면 댐퍼가 늦게 뜨거나 누르는 도중에 뜨지 않을 수 있고, 거리가 너무 길면 댐퍼가 먼저 뜨거나 누르는 도중에 뜨면서 소리가 더욱 부드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 ± 2mm 정도의 거리가 적당하다고 판단되어 이와 같이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댐퍼로드와 페달봉의 간격은 몇 mm 정도가 가장 적합한가?

  1. 1.5mm
  2. 3mm
  3. 5mm
  4. 10mm
(정답률: 37%)
  • 댐퍼로드와 페달봉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브레이크가 항상 작동되어 브레이크 패드가 빠르게 마모되고, 반대로 간격이 너무 멀면 브레이크 페달이 느슨해져 브레이크 조작이 어려워집니다. 이에 따라 댐퍼로드와 페달봉의 간격은 보통 1.5mm 정도가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간격은 브레이크 조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건반동작 검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론트홀과 밸런스홀이 뻑뻑할 경우는 키플라이어로 약간 넓혀준다.
  2. 밸러스홀이 약간 넓을 때는 물방울을 떨어뜨려 좁혀준다.
  3. 건반을 5~10mm정도 들었다가 놓았을 때 건반이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4. 페달을 밟아 댐퍼의 압력을 분리한 상태에서 건반을 눌렀을 때 건반은 신속히 올라와야 한다.
(정답률: 42%)
  • "건반을 5~10mm정도 들었다가 놓았을 때 건반이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건반의 밸런스를 조절하는 방법 중 하나로, 건반을 들었다가 놓았을 때 건반이 움직이지 않으면 밸런스가 적절하게 조절된 것입니다. 이 방법은 건반의 무게중심과 밸런스홀의 위치를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오래 사용한 페달이 좌우로 흔들릴 때 가장 적합한 수리 방법은?

  1. 페달 구멍 좌우에 펠트를 고여 준다.
  2. 페달 센터핀을 굵은 것으로 교체한다.
  3. 페달 브래킷의 플라스틱 또는 플랜지 클로스를 교체한다.
  4. 페달 브래킷이나 플랜지 나사못을 조여 준다.
(정답률: 20%)
  • 페달이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 페달 브래킷의 플라스틱 또는 플랜지 클로스가 마모되어서 페달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교체해주면 페달이 다시 안정적으로 고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업라이트 피아노의 해머 샹크가 부러졌을 때 가장 올바른 교환 순서는?

  1. 부러진 샹크를 뽑은 다음 버트에 샹크를 끼우고, 나중에 해머헤드를 끼운다.
  2. 부러진 샹크를 뽑고, 샹크 길이를 맞춘 다음 샹크를 버트에 끼우고 해머헤드를 끼운다.
  3. 부러진 샹크를 뽑고 해머헤드에 샹크를 끼운 후 샹크길이에 맞춘 다음 버트에 샹크를 끼운다.
  4. 부러진 샹크를 뽑고 동시에 버트와 헤머헤드에 샹크를 끼운다.
(정답률: 34%)
  • 업라이트 피아노의 해머 샹크가 부러졌을 때 가장 올바른 교환 순서는 "부러진 샹크를 뽑고 해머헤드에 샹크를 끼운 후 샹크길이에 맞춘 다음 버트에 샹크를 끼운다." 이다. 이유는 해머헤드와 버트에 샹크를 끼우기 전에 부러진 샹크를 먼저 뽑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해머헤드에 샹크를 끼운 후 샹크길이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버트에 샹크를 끼우는 것은 마지막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해머에 현 자국이 깊어져서 음색이 악화되었을 때 해머의 모양을 둥글게 다듬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일링(filing)
  2. 니들링(needing)
  3. 아이론잉(ironing)
  4. 도우핑(doping)
(정답률: 37%)
  • 해머에 현 자국이 깊어져서 음색이 악화되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머의 모양을 둥글게 다듬는 작업을 "파일링(filing)"이라고 합니다. 파일링은 파일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부드러운 곡선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머의 모양을 둥글게 다듬는 작업도 파일을 사용하여 부드러운 곡선을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파일링(filing)"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댐퍼 스프링이 부러졌을 때 교체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센터핀을 빼고 플랜지에 있는 무명실 대신 못으로 교체한다.
  2. 플랜지에 있는 구멍에 스프링이 흔들리도록 센터핀으로 교체한다.
  3. 센터핀을 빼고 스프링을 그 센터핀에 걸리도록 교체한다.
  4. 플랜지에 있는 구멍에 무명실을 여러 겹으로 합쳐서 교체한다.
(정답률: 37%)
  • 댐퍼 스프링이 부러졌을 때 교체하는 방법 중 가장 적절한 것은 "플랜지에 있는 구멍에 무명실을 여러 겹으로 합쳐서 교체한다."입니다. 이유는 무명실이 스프링과 비슷한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명실을 여러 겹으로 쌓으면 더욱 효과적인 충격 흡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댐퍼 레버 클로스가 마모되어 교체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클로스 전체에 접착제를 칠한 다음 부착한다.
  2. 클로스 한 쪽면만 아교를 칠한 다음 부착한다.
  3. 클로스 양단에 접착제를 칠한 다음 부착한다.
  4. 클로스 중심부에 아교를 칠한 다음 부착한다.
(정답률: 46%)
  • 클로스 양단에 접착제를 칠한 다음 부착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댐퍼 레버 클로스가 마모되어 교체할 때, 클로스 양단에 접착제를 칠하면 댐퍼 레버와 클로스가 더 견고하게 부착되기 때문입니다. 클로스 전체에 접착제를 칠하면 불필요한 접착제가 남아있을 수 있고, 한 쪽면만 아교를 칠하면 부착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클로스 중심부에 아교를 칠하면 레버와 클로스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향판의 크라운 정도는 향판 중앙부분에서 약 몇 mm 가 표준인가?

  1. 1
  2. 3.5
  3. 5
  4. 10
(정답률: 29%)
  • 향판의 크라운은 중앙부분에서 약 10mm 정도가 표준입니다. 이는 악기의 진동판이 충분한 공명을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높이이기 때문입니다. 높이가 낮으면 진동판의 공명이 충분하지 않아 소리가 작아지고, 높이가 높으면 진동판이 무거워져 소리가 둔해집니다. 따라서 10mm가 적당한 크기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업라이트 피아노의 댐퍼 페달은 어느 정도로 조정하는가?

  1. 댐퍼가 현에서 2mm 정도 떨어지게 조정한다.
  2. 건반을 눌렀을 때 댐퍼가 떨어지는 거리와 같게 조정한다.
  3. 댐퍼가 현에서 지음만 되게 조정한다.
  4. 댐퍼가 현에서 많이 뜨도록 조정한다.
(정답률: 37%)
  • 업라이트 피아노의 댐퍼 페달은 건반을 눌렀을 때 댐퍼가 현에서 떨어지는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연주자가 연주하는 음이 끝나고 소리가 사라지는 속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만약 댐퍼가 현에서 너무 높게 떨어지면 음이 길게 지속되어 연주가 끝난 후에도 소리가 남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댐퍼가 현에서 너무 낮게 떨어지면 음이 너무 빨리 사라져서 연주가 부자연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반을 눌렀을 때 댐퍼가 떨어지는 거리와 같게 조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저음에서의 이론적인 타현점(striking point) 위치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합한가?

  1. 현 길이의 1/8
  2. 현 길이의 1/12
  3. 현 길이의 1/14
  4. 현 길이의 1/16
(정답률: 46%)
  • 저음에서의 이론적인 타현점 위치는 "현 길이의 1/8"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저음에서는 파장이 길어서 진동이 느리기 때문에 타현점을 멀리 두어야 한다는 원리에 따라 결정된다. 타현점을 멀리 두면 파장이 긴 진동이 더욱 잘 표현되기 때문에 저음에서는 타현점을 멀리 두어야 한다. 이론적으로는 현 길이의 1/8이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업라이트 피아노의 캡스턴 조정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캡스턴은 위펜 힐 클로스의 중앙에 있어야 한다.
  2. 잭과 버트(Butt) 사이는 0.1 ~ 0.2mm 정도 로스트모션이 있어도 좋다.
  3. 해머 샹크가 레일에서 떠 있을 경우 타현 거리에 맞게 조정한다.
  4. 캡스턴 와이어를 구부려 맞출 때에는 맨 윗부분과 중앙부분을 구부려 작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캡스턴은 위펜 힐 클로스의 중앙에 있어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캡스턴은 위펜 힐 클로스의 중앙이 아닌, 해머 샹크와 레일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백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백첵 조정은 터치와 관계가 있다.
  2. 백첵 조정은 해머 스톱거리 조정에 영향을 준다.
  3. 백첵 조정은 해머 스톱거리와는 관계가 없고 무게에는 영향을 준다.
  4. 백첵은 건반을 누르면 캐처를 안전하게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53%)
  • "백첵 조정은 해머 스톱거리 조정에 영향을 준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백첵 조정은 해머의 높이와 관련이 있으며, 해머 스톱거리는 해머의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백첵 조정과 해머 스톱거리 조정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서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무게는 백첵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건반을 눌렀을 때 더 안정적인 소리를 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백첵은 건반을 누르면 해머를 안전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피아노 외장(case)에서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 곳은?

  1. 지주
  2. 위 뚜껑
  3. 경첩
  4. 상판
(정답률: 40%)
  • 지주는 피아노 내부에 위치한 부품으로, 외부에서는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외장에서 잡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흑건 밑면의 폭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9.0mm
  2. 11.0mm
  3. 15.0mm
  4. 18.0mm
(정답률: 47%)
  • 흑건 밑면의 폭은 일반적으로 발의 가장 넓은 부분인 중간부분을 측정합니다. 이 때, 흑건의 밑면 폭은 보통 11.0mm 정도입니다. 이는 인체 공학적인 측면에서 발의 안정성과 편안함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댐퍼 와이어와 댐퍼 스톱 레일과의 거리를 너무 적게 조정하였을 때 피아노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렛오프가 많아진다.
  2. 건반깊이가 얕아진다.
  3. 댐퍼의 개방량이 적어진다.
  4. 터치가 나빠진다.
(정답률: 43%)
  • 정답은 "터치가 나빠진다."입니다.

    댐퍼 와이어와 댐퍼 스톱 레일과의 거리를 너무 적게 조정하면 댐퍼가 제대로 닫히지 않아 렛오프가 많아지게 됩니다. 이는 건반을 놓을 때 소리가 끊기지 않고 지속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또한, 댐퍼의 개방량이 적어지므로 건반깊이가 얕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터치가 나빠지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