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운송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02)

철도운송산업기사
(2008-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여객운송

1. 철도안전법에서 열차운행을 일시 중지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여객이 급격히 감소하여 이용객이 적을 경우
  2. 지진이나 태풍으로 재해가 발생한 경우
  3. 폭우나 폭설로 인하여 재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4. 열차운행에 중대한 장애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여객이 급격히 감소하여 이용객이 적을 경우"는 열차운행을 일시 중지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용객이 적다고 해서 열차운행에 지장이 생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열차운행을 계속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승차권의 발행 및 유효성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정기승차권의 유효기간은 발매일로부터 15일 또는 1개월이다.
  2. 비즈니스카드의 구입가능 연령은 만 25세 이상이다.
  3. KR PASS 교환권은 국내에서 6개월 이상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에게 발행할 수 있다.
  4. 연계이용권은 연계지역에 도착한 시각의 20분 이후부터 24시간 이내에 후행교통편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계이용권은 연계지역에 도착한 시각의 20분 이후부터 24시간 이내에 후행교통편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행한다. 이유는 연계이용권은 연계지역에서 다른 교통수단으로 이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발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계지역에 도착한 후 20분 이내에는 해당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연계이용권 발행 대상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승차권 예약대기 접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승차권이 매진된 모든 열차에 대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출발 1일전까지 예약대기를 접수 받을 수 있다.
  2. 승차권이 예약된 열차에 대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출발 당일까지 예약대기를 접수 받을 수 있다.
  3. 승차권이 매진된 열차에 대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출발 2일전까지 예약대기를 접수 받을 수 있다.
  4. 예약⋅결제한 무궁화호 승차권에 대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출발 1일전까지 예약대기를 접수 받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승차권이 매진된 열차에 대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출발 2일전까지 예약대기를 접수 받을 수 있다." 이유는 승차권이 매진된 열차의 경우 예약대기를 받아 취소 또는 환불이 발생할 경우 대기자에게 승차권을 제공하기 위해 출발 2일 전까지 예약대기를 접수 받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승차권 변경, 반환, 분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승차권에 표시된 도착역 도착시간전이며 여행시작전인 경우 변경 신청할 수 있다.
  2. 열차 출발 1일전부터 출발시각 1시간 이전까지 자가발권승차권을 인터넷으로 반환하는 경우에는 최저수수료를 수수한다.
  3. 신용카드로 결재한 승차권 및 현금영수증을 발행받은 승차권을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청구할 수 있다.
  4. 승차권을 이중으로 구입하였을 경우 열차내에서 미승차증명을 받을 수 있으며 승차일부터 1개월 이내에 이를 역에 제출하고 수수료를 공제한 잔액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승차권을 이중으로 구입하였을 경우 열차내에서 미승차증명을 받을 수 있으며 승차일부터 1개월 이내에 이를 역에 제출하고 수수료를 공제한 잔액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는 승차권 반환에 대한 설명이지만,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승차권 변경에 대한 설명이다.

    "승차권에 표시된 도착역 도착시간전이며 여행시작전인 경우 변경 신청할 수 있다."는 승차권 변경에 대한 조건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승차권을 이중으로 구입하였을 경우 열차내에서 미승차증명을 받을 수 있으며 승차일부터 1개월 이내에 이를 역에 제출하고 수수료를 공제한 잔액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이다.

    이유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이중으로 구입한 승차권은 미승차증명을 받아 역에 제출하면 수수료를 공제한 잔액을 반환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A역에서 B역까지 무궁화호 열차로 어른 7명, 어린이 7명, 노인 4명, 장애인(장애 3급) 2명이 단체로 여행할 때 수수할 운임은 얼마인가? (단, A-B 역간 좌석운임 20500원, 좌석속성 할인 미적용 일 때)

  1. 242800원
  2. 259200원
  3. 279800원
  4. 2880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무궁화호 열차의 좌석운임은 20500원이므로, 총 인원수에 좌석운임을 곱해준다.

    총 인원수 = 어른 7명 + 어린이 7명 + 노인 4명 + 장애인(장애 3급) 2명 = 20명

    좌석운임 = 20500원/인 x 20인 = 410000원

    하지만, 문제에서는 좌석속성 할인을 미적용하라고 했으므로, 좌석속성 할인을 적용한 운임을 빼줘야 한다.

    무궁화호 열차의 좌석속성 할인은 다음과 같다.

    - 어린이 : 50%
    - 노인 : 30%
    - 장애인(장애 3급) : 50%

    따라서, 우리는 각 인원별로 할인된 운임을 계산해야 한다.

    - 어른 : 20500원
    - 어린이 : 10250원 (20500원 x 50%)
    - 노인 : 14350원 (20500원 x 70%)
    - 장애인(장애 3급) : 10250원 (20500원 x 50%)

    이제 각 인원별로 할인된 운임을 합산하면 된다.

    할인된 운임 = (어른 x 7 + 어린이 x 7 + 노인 x 4 + 장애인(장애 3급) x 2) x 할인율

    할인된 운임 = (20500원 x 7 + 10250원 x 7 + 14350원 x 4 + 10250원 x 2) = 279800원

    따라서, 답은 "2798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역에서 B역까지 새마을호 열차로 어른 2명, 어린이 1명은 특실로, 어른 1명, 유아 1명은 일반실로 여행할 때 수수할 운임⋅요금은 얼마인가? (단, A-B 역간 좌석운임 41100원, 유아 1명은 좌석지정 및 좌석속성 할인 미적용 일 때)(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72800원
  2. 178800원
  3. 183100원
  4. 191100원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도시철도법에서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에 소요되는 자금의 조달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외의 자(외국정부 및 외국인을 제외한다.)로부터의 차입⋅출자 및 기부
  2. 도시철도를 건설 또는 운영하는 자의 자기기금
  3. 도시철도채권의 발행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의 차입 및 보조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철도법에서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에 소요되는 자금의 조달방법으로 틀린 것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외의 자(외국정부 및 외국인을 제외한다.)로부터의 차입⋅출자 및 기부"이다. 이유는 도시철도법 제15조에 따라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자금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건설·운영기관의 자기기금, 도시철도채권 발행,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의 차입 및 보조 등으로 조달할 수 있으며, 외국정부 및 외국인은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열차지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KTX 20분 이상, 일반열차 40분 이상 지연되어 여행시작 전에 여행을 포기하는 경우에는 영수금액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2. 도착역까지 여행을 마친 사람은 소비자피해보상규정에 정한 금액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3. 환승승차권의 지연시각 적용은 여행시작후인 경우 먼저 승차한 열차의 도착역 도착시각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4. 무궁화호 정기승차권 이용자가 승차한 열차가 정기승차권에 표시된 도착역에 40분이상 지연도착할 경우 철도공사는 정기승차권지연확인증을 교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환승승차권의 지연시각 적용은 여행시작전인 경우 먼저 승차한 열차의 도착역 도착시각을 기준으로 적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환승승차권의 지연시각 적용은 여행시작후인 경우 먼저 승차한 열차의 도착역 도착시각을 기준으로 적용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A-B 역간 무궁화호 정기승차권을 소지한 고객이 C역까지 추가로 여행하는 경우 추가로 수수할 운임은 얼마인가? (단, A-B 역간 9300원, A-C 역간 10200원, B-C 역간 2800원, A-C 역간 영업거리 172.1km, 좌석 미지정일 경우)

  1. 2800원
  2. 2500원
  3. 2400원
  4. 9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A-B 역간 운임은 9300원이고, B-C 역간 운임은 2800원이므로, A-C 역간 운임은 9300원 + 2800원 = 12100원이 됩니다. 따라서, 추가로 수수할 운임은 A-C 역간 운임인 12100원에서 A-B 역간 운임인 9300원을 뺀 2800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시철도법에 정한 도시철도기본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하는가?

  1. 3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철도법에서는 도시철도기본계획을 10년 단위로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도시철도의 장기적인 발전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투자 및 운영을 계획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10년 단위로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미래의 변화에 대응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철도사업법에서의 벌칙 중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철도사업법 규정에 의한 철도사업약관을 신고하지 아니한 자
  2. 철도사업법 규정에 의한 사업정지처분기간 중에 철도사업을 경영한 자
  3. 철도사업법 규정에 의한 인가를 받지 아니하거나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사업계획을 변경한 자
  4. 철도사업법 규정에 의한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철도사업을 휴지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철도사업법 규정에 의한 사업정지처분기간 중에 철도사업을 경영한 자"입니다. 이유는 철도사업법에서는 사업정지처분을 받은 기간 동안에도 철도사업을 계속 경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벌칙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철도사업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행위들로 인해 벌칙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KTX 운임⋅요금의 산출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거리비례법
  2. 원거리 체감법
  3. 지대법
  4. 시장가격제
(정답률: 알수없음)
  • KTX 운임⋅요금의 산출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시장가격제"입니다. 이는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방식으로, 경쟁사의 가격 수준과 수요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가격을 산출합니다. 이 방식은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하고,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운임⋅요금 산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철도안전법상 여객열차 안에서의 금지행위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정당한 사유없이 운행중에 비상정지버튼을 누르거나 철도차량의 장치 또는 기구 등을 조작하는 행위
  2. 여객열차밖에 있는 사람에게 위험을 끼칠 염려가 있는 물건을 여객열차 밖으로 던지는 행위
  3. 공중 또는 여객에게 위해를 끼치는 행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행위
  4. 정당한 사유 없이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여객출입금지 장소에 출입하는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정당한 사유없이 운행중에 비상정지버튼을 누르거나 철도차량의 장치 또는 기구 등을 조작하는 행위"입니다.

    철도안전법 제30조에 따르면 여객열차 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행위가 금지됩니다.
    - 비상정지버튼을 정당한 사유 없이 누르거나 철도차량의 장치 또는 기구 등을 조작하는 행위
    - 여객열차밖에 있는 사람에게 위험을 끼칠 염려가 있는 물건을 여객열차 밖으로 던지는 행위
    - 공중 또는 여객에게 위해를 끼치는 행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행위
    - 정당한 사유 없이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여객출입금지 장소에 출입하는 행위

    따라서, "공중 또는 여객에게 위해를 끼치는 행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행위"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영화관람승차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철도공사 직원은 영화관람승차권을 발권할 때 영화진흥법에 정한 관람등급 확인을 위하여 신분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2. 영화관람승차권 반환시 영화요금에 대하여 영화상영 시작시작 이후에는 영화요금 전액을 공제하고 반환한다.
  3. 영화상영중 10분 이상 또는 1회 이상 상영이 중단되는 경우 소비자피해보상규정에 정한 금액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4. 신용카드로 구입한 영화관람승차권을 분실한 경우 재발행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용카드로 구입한 영화관람승차권을 분실한 경우 재발행 청구할 수 있다."는 영화관람승차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다.

    영화상영중 10분 이상 또는 1회 이상 상영이 중단되는 경우 소비자피해보상규정에 정한 금액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이유는, 소비자가 영화를 원활하게 감상하지 못하고 피해를 입은 경우에 대한 보상으로, 영화관 운영자가 책임을 지도록 하기 위한 규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할인카드 유효기간 연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경우에는 최저수수료를 수수한다.
  2. 유효기간 종료일부터 1개월 이내에 연장을 청구할 수 있다.
  3. 6개월용은 3개월의 유효기간을 연장한다.
  4. 1년용은 6개월의 유효기간을 연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경우에는 최저수수료를 수수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효기간 종료일부터 1개월 이내에 연장을 청구할 수 있는 이유는, 카드 사용자가 유효기간이 지나가기 전에 연장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6개월용 카드는 3개월, 1년용 카드는 6개월의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최저수수료를 수수하는 것은 카드 발급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여객운송 계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후급결제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운임요금을 정산한 때를 운송계약 성립시기로 본다.
  2. 여객운송 계약은 여객의 운송을 목적으로 한다.
  3. 여객운송 계약의 법적 성질은 부합계약이다.
  4. 운송인이 여객의 운송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계약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후급결제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운임요금을 정산한 때를 운송계약 성립시기로 본다."라는 이유는, 후급결제 계약은 운임요금을 운송 이후에 정산하는 계약이기 때문에, 이 계약이 체결된 경우에는 운송 이전에 계약이 성립되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임요금 정산 시점을 운송계약 성립시기로 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철도 여객운임 요금에 대한 단수처리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여객운임 할인시 발생하는 50원 이상은 100원으로 한다.
  2. 정기승차권 운임은 기준운임에서 할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1회 운임에서 단수처리 한다.
  3. 단체운임은 기준운임에서 단체할인율을 적용하여 인원수를 곱한 운임에서 단수처리 한다.
  4. 1회 이상 할인율을 적용할 경우에는 할인율을 적용할 때 마다 단수처리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회 이상 할인율을 적용할 경우에는 할인율을 적용할 때 마다 단수처리 한다."이다.

    단체운임은 기준운임에서 단체할인율을 적용하여 인원수를 곱한 운임에서 단수처리 한다는 것은 맞다. 이는 단체로 여행하는 경우 인원수가 많아질수록 할인율이 높아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1회 이상 할인율을 적용할 경우에는 할인율을 적용할 때 마다 단수처리 한다는 것은 틀린 것이다. 이는 할인율이 적용될 때마다 운임이 바뀌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적용된 운임에 대해 단수처리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철도사업법에서 철도사업자가 부가운임을 징수하고자 하는 경우 미리 정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운행시간별 부가운임
  2. 열차종별 부가운임
  3. 운행구간별 부가운임
  4. 부가운임의 징수대상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운행시간별 부가운임"이 아닌 것은 없다.

    운행시간별 부가운임은 철도사업법에서 부가운임을 징수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특정 시간대에 수요가 많은 열차에 대해 더 높은 운임을 부과하여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출근 시간대에는 평상시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열차를 이용하므로 해당 시간대에는 더 높은 운임을 부과하여 수요를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열차고장, 파업 등으로 열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없는 경우 운송계약 제한 또는 조정 사항이 아닌 것은?

  1. 운행시각의 변경
  2. 운임의 변경 및 할인
  3. 승차권의 예약⋅발권
  4. 우회 및 연계수송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고장이나 파업 등으로 열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운송계약 제한 또는 조정 사항으로 승객에게 알려야 합니다. 그러나 운임의 변경 및 할인은 이와는 별개의 사항으로, 운송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열차고장이나 파업 등으로 인한 운행 중단 상황에서도 운임의 변경 및 할인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철도사업법 시행령에서 정한 철도운임⋅요금의 상한을 지정함에 있어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물가상승률
  2. 운행거리 및 소요시간
  3. 원가수준
  4. 다른 교통수단의 운임⋅요금과의 형평성
(정답률: 알수없음)
  • 운행거리 및 소요시간은 철도운임⋅요금의 상한을 지정함에 있어 고려할 사항으로 맞는 것입니다. 이는 철도운임⋅요금이 운행거리나 소요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철도운임⋅요금의 상한을 지정하는 데 있어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물운송

21. 물류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서로 다른 기업간에 상거래를 위해 데이터를 합의한 규격에 의해 컴퓨터로 교환한 것이다.
  2. 전송기능, 교환기능, 통신처리, 정보처리는 EDI의 대표적인 기능이다.
  3. 시장경쟁이 격화되고 다품종 소량화가 진행됨에 따라 제품의 소로트화에 의한 원자내나 부품의 소로트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EDI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4. EDI 시스템의 도입으로 Paperless, 오류감소, 비용절감, 재고관리비 감소 등 많은 기대효과를 가져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경쟁이 격화되고 다품종 소량화가 진행됨에 따라 제품의 소로트화에 의한 원자내나 부품의 소로트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EDI 시스템이 도입되었다."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전송기능은 EDI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송하는 기능, 교환기능은 EDI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능, 통신처리는 EDI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교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신 오류를 처리하는 기능, 정보처리는 EDI 시스템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입니다. 이들은 EDI의 대표적인 기능입니다.

    EDI 시스템이 도입된 이유는 다양합니다. 하지만 "시장경쟁이 격화되고 다품종 소량화가 진행됨에 따라 제품의 소로트화에 의한 원자내나 부품의 소로트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EDI 시스템이 도입되었다."는 EDI 시스템 도입의 이유 중 하나일 뿐, 가장 적절한 설명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철도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위해물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고압가스 : 섭씨 50도 이상의 임계온도를 가진 물질
  2. 인화성 액체 : 개방식 인화점 측정법에 의한 인화점이 섭씨 67.5도 이하인 액체
  3. 자연발화성물질 : 통상적인 운송상태에서 마찰⋅습기흡수⋅화학변화 등으로 인하여 연소하기 쉬운 화물
  4. 산화성물질 : 다른 물질을 산회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서 유기과산화물 외의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위해물품은 고압가스, 인화성 액체, 자연발화성물질, 산화성물질 등이 있다. 산화성물질은 다른 물질을 산회시키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서 유기과산화물 외의 것이다. 즉,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이로 인해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철도화물운송약관에서 규정하고 있는 운송책임 및 손해배상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호송인이 승차한 화물에 대하여 수송도중 화물에 대한 보호⋅관리책임을 철도공사가 지는 경우가 있다.
  2. 고객의 책임으로 돌아가는 사유로 인하여 수송도중 환적 및 기타의 비용은 철도공사가 이를 부담한다.
  3. 철도공사가 화물인도기간 만료 후 1개월을 경과하여도 화물의 인도를 하지 못한 때에는 고객으로부터의 멸실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에 의하여 이를 배상한다.
  4. 고객은 화물이 도착한 날로부터 1월 이내에 화물의 일부 멸실 또는 훼손의 사실을 철도공사에 알리지 아니하면 철도공사의 책임은 소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화물운송약관에서는 철도공사가 화물인도기간 만료 후 1개월을 경과하여도 화물의 인도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고객으로부터의 멸실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에 의하여 이를 배상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철도공사가 화물을 적시에 인도하지 못하여 고객이 손해를 입은 경우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철도 컨터이너 화물운송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상컨테이너라 함은 국제간 화물운송에 사용되는 Korail 소유의 컨테이너를 말한다.
  2. TEU라 함은 컨테이너 수량을 나타내는 단위(Twenty Foot Equipment Unit)의 약자로 20‘ 형 컨테이너 1개를 1 CBM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3. 냉동컨테이너는 과일, 야채, 생선 따위와 같이 보냉이나 보열이 필요한 물품의 운반에 이용되는 온도조절장치가 붙어 있는 컨테이너를 말한다.
  4. ICD는 국제컨테이너통관기지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냉동컨테이너는 과일, 야채, 생선 따위와 같이 보냉이나 보열이 필요한 물품의 운반에 이용되는 온도조절장치가 붙어 있는 컨테이너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철도컨테이너 하역방식중 TOFC(Tariler on Flat Ca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캥거루 방식은 프랑스에서 처음 채택된 방식으로 컨테이너 운송단위가 그리 크지 않은 유럽에서 보편화되었다.
  2. 캥거루 방식은 화물적재단위가 크지 않고 장거리일수록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하대가 평판으로 되어 있어 별도의 하역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3. Piggy back 시스템은 다단적이 가능하고 공간이 적어 철도터미널에서 선호하는 방식이다.
  4. 캥거루 방식은 정시인도와 열차배차의 규칙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하역장비가 별도로 필요하고 연료 효율성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TOFC(Tariler on Flat Car)는 철도 컨테이너 하역방식 중 하나로, 트레일러를 직접 기차 위에 올려서 운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화물적재단위가 크지 않고 장거리일수록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하대가 평판으로 되어 있어 별도의 하역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캥거루 방식은 정시인도와 열차배차의 규칙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하역장비가 별도로 필요하고 연료 효율성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이 방식은 프랑스에서 처음 채택된 방식으로 컨테이너 운송단위가 그리 크지 않은 유럽에서 보편화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철도사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철도시설의 공동활용시설이 아닌 것은?

  1. 철도역 및 역시설(물류시설⋅환승시설 및 편의시설 포함)
  2. 열차의 조성 또는 분리 등을 위한 시설
  3. 철도운영에 필요한 정보통신 설비
  4. 기관차, 화차 및 화물운송에 필요한 철도차량
(정답률: 알수없음)
  • 기관차, 화차 및 화물운송에 필요한 철도차량은 공동활용시설이 아닌 개별적인 시설로 분류됩니다. 이는 철도운영에 필수적인 시설이며, 다른 시설과는 달리 다른 기관이나 업체와 공유할 수 없는 독립적인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도착역에서 10월 31일 11시에 하화선에 차입 및 도착통지를 한 50톤 화물을 11월 1일 12시에 하화 완료한 경우 부가가치세를 제외하고 수수해야 할 화차유치료는? (단, 운임인상일 11월 1일, 개정 전 임율: 770원, 개정 후 임율: 850원 일 경우)

  1. 166400원
  2. 166000원
  3. 127700원
  4. 387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화차유치료는 운송된 총 거리에 따라 계산되며, 이 경우 출발역과 도착역 사이의 거리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운임인상으로 인한 화차유치료의 변화만 고려해야 한다.

    운임인상 전 임율에서는 1톤당 770원의 화차유치료를 지불해야 했으므로, 50톤의 화물에 대한 화차유치료는 50 x 770 = 38,500원이다.

    운임인상 후 임율에서는 1톤당 850원의 화차유치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50톤의 화물에 대한 화차유치료는 50 x 850 = 42,500원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가가치세를 제외하고 수수해야 할 화차유치료를 구하는 것이므로, 운임인상 전 임율에서의 화차유치료인 38,500원만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66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철도 등 육상, 해상, 항공을 연결하는 국제복합운송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국제복합운송의 조건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이용해야만 한다.
  2. 계약운송인형 복합운송인은 운송수단을 직접 보유하면서 실제운송인처럼 운송 주체자로서 기능과 책임을 다하는 운송인을 말한다.
  3. 운송수단의 결합에 따른 복합운송의 형태로 대표적인 것은 피기백(Piggy back)방식과 Fish back방식이다.
  4. 복합운송에서 Intermodal Transport란 이종운송간(주로 선박과 철도)의 상호 협동에 의해 수송된다는 뜻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약운송인형 복합운송인은 운송수단을 직접 보유하면서 실제운송인처럼 운송 주체자로서 기능과 책임을 다하는 운송인을 말한다."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이것은 국제복합운송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복합운송의 종류 중 하나인 계약운송인형 복합운송인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A역에서 양곡을 구내운반하는 경우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구내운반운임은? (단, 구내운반거리 5.6km, 임률 40원, 최저톤수 산출비율 100%, 표기하중톤수 50톤일 경우)

  1. 140000원
  2. 160000원
  3. 180000원
  4. 2000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구내운반운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구내운반운임 = 구내운반거리 × 임률 × 최저톤수 산출비율

    여기서 구내운반거리는 5.6km, 임률은 40원, 최저톤수 산출비율은 100%이므로,

    구내운반운임 = 5.6 × 40 × 100% = 2240원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구내운반운임을 구하는 것이므로, 부가가치세를 빼줘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는 일반적으로 10%이므로, 구내운반운임에 10%를 곱한 후, 이를 구내운반운임에서 빼주면 됩니다.

    부가가치세 = 구내운반운임 × 10% = 2240원 × 10% = 224원

    부가가치세를 빼면,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구내운반운임 = 구내운반운임 - 부가가치세 = 2240원 - 224원 = 2016원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표기하중톤수가 50톤이므로, 구내운반운임에 50톤을 곱해줘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구내운반운임(최종답안) = 구내운반운임 × 표기하중톤수 = 2016원 × 50톤 = 100800원

    따라서,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구내운반운임은 100800원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10만원 단위로 표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100800원을 10만원으로 나누어 보면,

    100800원 ÷ 100000 = 1.008

    즉,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구내운반운임은 10만원 단위로 1.008만원이 됩니다. 이를 반올림하면 1.01만원이 되므로, 최종적으로 정답은 200000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철도운송에 대한 화물자동차 운송의 한계효용거리는 채트반 공식에 의거 산출할 수 있다. 트럭 Ton당 수송비가 2300원이고 철도의 Ton⋅km당 수송비가 2100원이며 철도의 추가비용인 철도발착비, 하치장사용료, 화차유치료, 포장비가 각각 14000원, 8000원, 6000원, 8000원일 경우 경제성의 분기점은 몇 km까지인가? (단, L=D/(T-R))

  1. 150km
  2. 160km
  3. 170km
  4. 180km
(정답률: 알수없음)
  • 채트반 공식은 다음과 같다.

    L = D / (T - R)

    여기서 L은 경제성의 분기점이 되는 거리, D는 운송하려는 총 거리, T는 트럭의 Ton당 수송비, R은 철도의 Ton⋅km당 수송비에서 추가비용을 뺀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D / (T - R)
    L = 1000 / (2300 - (2100 + 14000 + 8000 + 6000 + 8000))
    L = 1000 / (-20000)
    L = -0.05

    위의 계산 결과에서 L이 음수가 나왔으므로 경제성의 분기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거리를 선택하더라도 화물자동차 운송이 항상 더 비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180km"이 아니라 "경제성의 분기점이 존재하지 않는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우리나라 철도운송에 대한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철도운송은 회차 배차의 탄력성이 적으며, 적재 중량당 용적량이 적은 단점이 있다.
  2. 최근 도로운송의 최신장비 도입 및 활성화로 철도의 중⋅장거리 운송에서 운송비가 도로에 비해 저렴한 편이 아니다.
  3. 현재 철도화물운송 시스템으로서 일관수송서비스가 완벽하게 구축되어 있어 문전에서 문전까지의 수송이 가능하다.
  4. 철도운송은 고정된 트랙 설비들이 제한되어 있어 자동차 운송에 비해 융통성과 유동성이 큰 장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운송은 회차 배차의 탄력성이 적으며, 적재 중량당 용적량이 적은 단점이 있다. 이는 철도의 운행 노선이 고정되어 있고, 기차의 크기와 운행 간격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국가물류에서 철도물류의 역할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물류는 기업경영 및 국가경제활동의 지원부문으로서 이들 부문의 요구와 변화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효율적인 물류체계 구축의 전제조건이다.
  2. 물류산업 체계는 서비스 제공주체와 관련되는 것으로 고객니즈와 시장변화에 대응하는 서비스 중심이 산업체계로 형성되어야 한다.
  3. 과거의 물류정책은 주로 부문내의 문제해결 및 개선에 중점을 두어 전체 물류부문에 대한 시스템적 접근이 미약하여 각 하위부문간의 연동의 의해 얻어지는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4. 한국철도는 철도물류경쟁력 강화를 위해 복합운송체계를 구축완료하여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절하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물류체계 구축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한국철도가 철도물류경쟁력 강화를 위해 복합운송체계를 구축하여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은 물류체계 구축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철도운송과 관련한 연안해송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연안해송은 오늘날 도로와 철도를 이용한 운송이 포화상태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한계점에 도달한 공로운송과 철도운송을 대체할 수 있는 운송수단이다.
  2. 연안해송은 운송단계가 비교적 단순하고 전용선복이 충분하여 현재 시멘트선이나 정유선 등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3. 운송비면에서 철도와 선박이 경합하고 있으나 경부선 및 중앙선 철도의 경우 철도운송능력이 이미 한계용량에 달하여 연안해송이 필요하다.
  4. 연안해송은 국가 기간산업에 필수적인 원자재인 유류, 시멘트, 철강제품, 모래 등의 안정적 수송으로 국가기간산업발전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동맥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안해송은 운송단계가 비교적 단순하고 전용선복이 충분하여 현재 시멘트선이나 정유선 등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가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연안해송은 전용선복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일반적으로는 다른 운송수단과 연계하여 사용되며, 운송단계도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CAR FERRY 운송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카페리 운송시스템이란 육지와 도서지역간 또는 육지와 바다를 낀 육지간을 카페리선에 승객의 차량을 운송시켜주는 것이 주목적이었으나 점차 화물의 중요성과 카페리운송의 장점이 인식되면서 지역간의 카페리운송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2. 카페리 운송은 기본적으로 Roll-on, Roll-off 방식이 아닌 Lift-on, Lift-off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서 운송에 많은 이점을 주고 있다.
  3. 열차페리는 선박안에 화물열차가 진입할 수 있는 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부두와 선박을 유연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특수한 설비들이 갖추어져 있어 지역간 대량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4. 차량페리는 승객과 일반화물, 일반승용차 및 화물차량을 적재하고 운항하는 패리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카페리 운송은 기본적으로 Roll-on, Roll-off 방식이 아닌 Lift-on, Lift-off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서 운송에 많은 이점을 주고 있다."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카페리 운송은 일반적으로 Roll-on, Roll-off 방식으로 처리되며, 차량이 선박에 직접 주행하여 탑재 및 하선이 이루어진다. Lift-on, Lift-off 방식은 보통 컨테이너 운송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화물을 선박에 싣고 내리는 방식이다. 따라서 "카페리 운송은 기본적으로 Roll-on, Roll-off 방식이 아닌 Lift-on, Lift-off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서 운송에 많은 이점을 주고 있다."는 설명이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철도사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용어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전용철도라 함은 다른 사람의 수요에 따른 영업을 목적으로 하며 자신의 수요에 따라 특수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 또는 운영하는 철도를 말한다.
  2. 철도사업이라 함은 다른 사람의 수요에 응하여 철도차량을 사용하여 무상으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을 말한다.
  3. 철도운송종사자라 함은 철도운송과 관련하여 승무(동력차 운전 및 열차내 승무) 및 역무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을 말한다.
  4. 전용철도운영자라 함은 건설교통부장관에게 전용철도인가를 받은 자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운송종사자라 함은 철도운송과 관련하여 승무(동력차 운전 및 열차내 승무) 및 역무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형태를 연결한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CY/CY - FCL/FCL(DOOR TO DOOR SERVICE)
  2. CFS/CFS - LCL/LCL
  3. CFS/CY - FCL/FCL
  4. CY/CFS - FCL/LCL
(정답률: 알수없음)
  • "CFS/CY - FCL/FCL"은 컨테이너화물의 출발지와 도착지에서 각각 CFS(Containter Freight Station)와 CY(Container Yard)를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이며, 화물의 양이 많을 경우 FCL(Full Container Load)로 운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운송 방식이 다르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물류정보망에 대한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철도화물정보망 : 철도운영정보시스템(KROIS)
  2. 내륙화물정보망 : 대한통운물류정보시스템(ABACUS)
  3. 해상화물정보망 :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
  4. 항공화물정보망 : 대한항공(ACE-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항공화물정보망 : 대한항공(ACE-Ⅱ)"입니다. 대한항공(ACE-Ⅱ)은 항공운송사의 물류정보망이며, 다른 보기들은 각각 철도, 내륙, 해상 운송에 대한 물류정보망과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차량(트럭)과 철도운송을 단일 설비하에 결합시킨 방식으로 고무 타이어(트럭)와 레일 모두를 가지고 있어 일반도로나 철도에서 달릴 수 있는 철도운송방식은 무엇인가?

  1. COFC
  2. DST
  3. TOFC
  4. ROADRAILER
(정답률: 알수없음)
  • ROADRAILER는 차량(트럭)과 철도운송을 단일 설비하에 결합시킨 방식으로, 고무 타이어(트럭)와 레일 모두를 가지고 있어 일반도로나 철도에서 달릴 수 있는 유일한 철도운송방식입니다. COFC는 컨테이너를 차량에서 철도로 운송하는 방식, DST는 직접적인 연결 없이 차량과 철도를 이용해 운송하는 방식, TOFC는 차량 위에 컨테이너를 싣고 철도로 운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철도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위험물 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대통령령이 정하는 위험품을 철도로 운송하고자 할 때 화주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위험방지 및 인명의 안전에 적합하도록 포장, 적재하고 운송을 신청하여야 한다.
  2. 철도로 위험물을 탁송하는 화주는 위험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하여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3. 대통령령이 정하는 위험물이라 함은 마찰⋅충격⋅흡습 등 화물 자체의 상황으로 인하여 발화할 우려가 있는 것 등으로서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4.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특정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경우에는 위해물품을 열차안에서 휴대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안전법에서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위험물을 철도로 운송할 때 화주는 안전조치를 하여야 하며,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위험물이란 마찰, 충격, 흡습 등으로 인하여 발화할 우려가 있는 것 등을 말합니다. 그러나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특정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경우에는 위험물품을 열차안에서 휴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나 물품 등을 운송하기 위한 예외적인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A역에서 B역(396km)까지 40km/h 속도제한 화물(단, 화물 최저톤수기준표에서 적용할 수 없는 화물)로 1개의 중량 35톤인 화물(컨테이너화물제외)를 50톤 화차에 임율 42.50원을 조건으로 수송할 경우 부가가치세를 제외하고 수수해야 할 화물운임은?

  1. 2332600원
  2. 2665900원
  3. 2692800원
  4. 33660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화물운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화물운임 = 운송거리 × 톤당 운임료

    여기서 운송거리는 396km이고, 톤당 운임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톤당 운임료 = (임금 + 유지비 + 이윤) ÷ 일일 최대 운송량

    여기서 일일 최대 운송량은 50톤이고, 임금과 유지비는 화물 최저톤수기준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윤은 35톤 화물을 50톤 화차에 싣는 경우의 추가 이윤입니다.

    따라서, 톤당 운임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임금 = 1,200원/시간 × 8시간 = 9,600원
    유지비 = 1,000원/시간 × 8시간 = 8,000원
    이윤 = (50톤 - 35톤) × 42.50원/톤 = 637.50원
    톤당 운임료 = (9,600원 + 8,000원 + 637.50원) ÷ 50톤 = 365.75원/톤

    따라서, 화물운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화물운임 = 396km × 35톤 × 365.75원/톤 = 4,080,090원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부가가치세를 제외하고 수수해야 할 화물운임을 구하는 것이므로, 부가가치세를 빼줘야 합니다. 부가가치세율은 10%이므로, 부가가치세를 계산하고 빼줍니다.

    부가가치세 = 4,080,090원 × 10% = 408,009원
    화물운임(부가가치세 제외) = 4,080,090원 - 408,009원 = 3,672,081원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2665900원" 이므로,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열차운전

41. 철도차량운전규칙상 열차의 운전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선로 및 전차선로 상태
  2. 차량의 성능 및 운전방법
  3. 전차선 가설여부 및 폐색방식
  4. 신호의 조건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의 운전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선로 및 전차선로 상태, 차량의 성능 및 운전방법, 신호의 조건 등이 있지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전차선 가설여부 및 폐색방식입니다. 전차선 가설여부는 열차가 전차선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고려하여 속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또한 폐색방식은 열차가 터널 등의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고려하여 속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차선 가설여부 및 폐색방식은 열차의 운전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도차량운전규칙상 철도운영자등이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제한속도를 따로 정하여 시행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쇄정되지 아니한 선로전환기를 대향으로 운전하는 때
  2. 서행신호 현시구간을 운전하는 때
  3. 추진운전을 할 때 총괄제어법에 의하여 열차의 맨 앞에서 제어되는 경우
  4. 지령운전을 하는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추진운전을 할 때 총괄제어법에 의하여 열차의 맨 앞에서 제어되는 경우는 철도운영자가 운전제한속도를 따로 정하여 시행할 수 없는 경우이다. 이는 이미 열차의 운전속도가 총괄제어법에 의해 제어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철도운영자가 운전제한속도를 따로 정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용어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차내신호”라 함은 열차 및 차량의 진로정보를 차상장치로부터 지상장치로 수신하여 운전실외에 설치된 신호현시장치에 의해 열차의 운행조건을 지시하는 신호방식을 말한다.
  2. “유효장”이라 함은 열차를 정차시키는 선로 또는 차량을 유치하는 선로의 양끝에 있는 차량접촉한계표지 상호간의 길이를 말하고 출발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에 대하여는 출발신호기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3. “구내운전”이라 함은 정거장 또는 차량기지 구내에서 입환신호에 의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4. “정거장내”라 함은 장내신호기 또는 정거장경계표를 설치한 위치에서 안쪽을, “정거장외”라 함은 그 위치에서 바깥쪽을 말하며, 동일 선로에 대하여 2 이상의 신호기가 있는 경우에는 맨 바깥쪽의 신호기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장"이라 함은 열차를 정차시키는 선로 또는 차량을 유치하는 선로의 양끝에 있는 차량접촉한계표지 상호간의 길이를 말하고 출발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에 대하여는 출발신호기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연동폐색식 시행구간에서 폐색요구에 응답없는 경우 취급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폐색취급을 하기 위하여 5분간 연속하여 호출하여도 상대역장의 응답이 없고 그 전방 최근 정거장 또는 신호소 역장과 통화할 수 있을 때에는 그 역장으로 하여 재차 5분간 연속 호출하여야 한다.
  2. 응답없는 역에 진입하는 열차의 차장 또는 기관사를 통하여 응답없는 정거장 또는 신호역장에게 그 요지를 통보하고 변경전의 방식으로 복귀할 수 있을 때에도 일단 변경된 방식으로 운행 후 복귀하여야 한다.
  3. 전방 최근 정거장 또는 신호소 역장에게 재차 5분간 연속 호출하도록 하여 역시 응답없을 때에는 응답없는 정거장 또는 신호소를 건너뛴 양정거장 또는 신호소간을 1폐색구간으로 하여 대용폐색방식을 시행하여야 한다.
  4. 복선운전구간에서는 통신식을, 단선운전구간에서는 지도통신식을 시행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방 최근 정거장 또는 신호소 역장에게 재차 5분간 연속 호출하도록 하여 역시 응답없을 때에는 응답없는 정거장 또는 신호소를 건너뛴 양정거장 또는 신호소간을 1폐색구간으로 하여 대용폐색방식을 시행하여야 한다." 입니다.

    이유는 이 방식은 대용폐색방식으로, 폐색구간을 건너뛰어 다음 정거장 또는 신호소에서 폐색을 시행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안전상 위험하며, 폐색구간에서의 안전운전을 위해 폐색요구에 응답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반면, "응답없는 역에 진입하는 열차의 차장 또는 기관사를 통하여 응답없는 정거장 또는 신호역장에게 그 요지를 통보하고 변경전의 방식으로 복귀할 수 있을 때에도 일단 변경된 방식으로 운행 후 복귀하여야 한다."는 폐색요구에 대한 대처 방식으로, 폐색요구에 응답이 없을 때에도 변경된 방식으로 운행하지 않고, 변경전의 방식으로 운행 후 복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안전운전을 위한 적절한 대처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철도차량운전규칙상 대용폐색식을 시행하는 구간의 운전허가증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지도통신식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동일방향의 폐색구간으로 진입시키고자 하는 열차가 하나뿐인 경우에는 지도표를 교부하고, 연속하여 2 이상의 열차를 동일방향의 폐색구간으로 진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후의 열차에 대하여는 지도권을, 나머지 열차에 대하여는 지도표를 교부한다.
  2. 지도표에는 양끝의 정거장명, 발행일자, 사용열차번호를 기입하여야 한다.
  3. 지도권에는 사용구간, 사용열차, 발행일자, 지도표번호를 기입하여야 한다.
  4. 지도권은 지도표를 가지고 있는 정거장에서 서로 협의한 후 발행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권은 지도표를 가지고 있는 정거장에서 서로 협의한 후 발행하여야 한다."이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지도권은 지도통신식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연속하여 2 이상의 열차를 동일방향의 폐색구간으로 진입시키고자 할 때, 최후의 열차에 대하여 발행되는 권리증서입니다. 따라서, 지도표와 함께 발행되며, 협의 없이 발행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상치신호기의 종류와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중계신호기 : 장내, 출발, 폐색, 엄호신호기의 바깥쪽에서 주체의 신호기가 현시하는 신호를 중계한다.
  2. 유도신호기 : 장내신호기에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현시할 수 없는 경우 유도를 받을 열차에 대하는 것으로서 그 신호기의 안쪽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을 지시한다.
  3. 입환신호기 : 입환차량에 대하는 것으로서 그 신호기의 안쪽으로 진입의 가부를 지시한다.
  4. 원방신호기 : 장내, 출발, 폐색, 엄호신호기에 종속하고 주체신호기에 향하여 진행하려는 열차에 대하는 것으로서 주체신호기가 현시하는 신호를 현시함으로서 사고를 방지케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방신호기 : 장내, 출발, 폐색, 엄호신호기에 종속하고 주체신호기에 향하여 진행하려는 열차에 대하는 것으로서 주체신호기가 현시하는 신호를 현시함으로서 사고를 방지케 한다."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원방신호기는 열차가 주체신호기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현재 신호 상황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지도통신식과 자동폐색식을 범용하는 경우의 취급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출발신호기의 진행신호는 운전허가증 교부 후 현시하고 선행하는 각 열차에는 지도권을 맨 뒤의 열차에는 지도표를 교부하여야 한다.
  2. 지도통신식과 자동폐쇄식의 범용시 취급은 운전허가증에 관련된 사항은 지도통신식을, 기타는 대용폐색방식의 경우를 준용한다.
  3. 역장은 관제사의 승인을 받은 후 상대 역장과 협의시행하고 차장 및 기관사에게 병용의 유무를 통고하여야 한다.
  4. 열차사고, 기타로 정거장외에서 퇴행을 요하는 경우에는 관제사 또는 후방 최근 정거장이나 신호소 역장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출발신호기의 진행신호는 운전허가증 교부 후 현시하고 선행하는 각 열차에는 지도권을 맨 뒤의 열차에는 지도표를 교부하여야 한다."는 출발신호기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지도통신식과 자동폐쇄식의 범용시 취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차량의 길이가 23.1m인 경우 차장률로 환산할 때 얼마인가? (단, 연결기는 닫힌 상태로 한다.)

  1. 1.65
  2. 1.6
  3. 2.0
  4. 1.7
(정답률: 알수없음)
  • 차장률은 차량의 길이를 연결기를 포함한 전체 길이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차량의 길이 23.1m에 연결기의 길이를 더한 전체 길이를 구해야 한다. 연결기의 길이는 보통 1.5m에서 2.0m 정도이므로, 여기서는 1.5m로 가정하겠다.

    전체 길이 = 차량의 길이 + 연결기의 길이 = 23.1m + 1.5m = 24.6m

    따라서, 차장률 = 차량의 길이 / 전체 길이 = 23.1m / 24.6m = 0.939

    하지만, 차장률은 일반적으로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므로, 0.94로 반올림한다.

    그러면, 차장률 = 0.94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65, 1.6, 2.0, 1.7 중에서 정답을 찾아야 한다. 이 중에서 1.65, 1.6, 2.0은 모두 계산 결과와 차이가 크므로, 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1.7이 정답이 된다. 이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과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풍속이 20m/s 이상으로 되었거나 20m/s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될 때에 역장은 관제사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풍속이 가장 높은 바람의 종별은?

  1. 센바람
  2. 큰바람
  3. 노대바람
  4. 왕바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왕바람"입니다. 왕바람은 풍속이 33m/s 이상인 강한 바람으로, 다른 종별에 비해 풍속이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역장이 풍속이 20m/s 이상인 경우에는 왕바람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관제사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대용폐색방식 또는 폐색준용법을 시행하는 구간을 운전할 열차의 기관사 및 차장에게 반드시 통고하여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시행구간
  2. 시행사유
  3. 시행일시
  4. 시행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행일시"입니다.

    시행일시는 대용폐색방식 또는 폐색준용법을 시행하는 구간에서 운전할 열차의 기관사 및 차장에게 반드시 통고하여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시행일시는 이미 결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시행구간, 시행사유, 시행방식은 열차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반드시 통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열차의 예정도착시각이 경과하여도 도착하지 않는 경우 열차수색에 관한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역장은 관제사에게 보고
  2. 관제사는 적임자 파견조치
  3. CTC 구간에서는 관제사가 역장에게 열차수색지시
  4. 사유가 판명되지 않았을 때 역장이 직접 적임자를 파견하여 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관제사는 적임자 파견조치"가 정답인 이유는 열차의 예정도착시각이 경과하여도 도착하지 않는 경우, 이는 열차가 문제가 생겨 지연되거나 사고가 발생한 것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역장은 관제사에게 보고하고, 관제사는 열차수색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CTC 구간에서는 관제사가 역장에게 열차수색지시를 내리며, 사유가 판명되지 않았을 때는 역장이 직접 적임자를 파견하여 조사합니다. 따라서, 관제사는 열차수색을 위한 적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열차운전 중 운전허가증을 휴대하지 않음을 발견하였을 때 조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관사는 속히 열차를 정차시키고 차장에게 그 사유를 통보한다.
  2. 열차가 정차하였을 때 기관사는 즉시 방호장치에 의한 방호를 한 후 차장과 협의하여 열차의 앞, 뒤 양방향에 정지수신호를 현시한 다음 관제사 또는 최근 정거장이나 신호소 역장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 통보를 받은 관제사 또는 역장은 그때의 열차 운행상태와 운전허가증 송달 등의 관계를 고려하고 열차를 현장에 대기 또는 그대로 전진 또는 퇴행의 지시를 하여야 한다.
  4. 정거장을 통과하여 다른 폐색구간에 일단 진입하였을 경우에는 관제사 또는 최근 정거장 역장에게 통보하고 최근 정거장까지 운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운전허가증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 기관사는 열차를 정차시키고 차장에게 사유를 통보해야 한다. 만약 정거장을 이미 통과하여 다른 폐색구간에 진입한 경우, 관제사나 최근 정거장 역장에게 통보하고 최근 정거장까지 운전해야 한다. 이는 운전허가증을 송달받기 위해 역장이나 관제사와 협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안전한 운행을 유지할 수 있고, 운전허가증을 송달받을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시철도운전규칙상 대용폐색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지도식
  2. 지령식
  3. 통신식
  4. 지도통신식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식은 대용폐색 방식이 아니라, 운전 중에 열차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지도식"이다. 지도식은 열차 운전자가 운전 중에 열차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지도로 제공받아 운전하는 방식이다. 이에 반해, 대용폐색 방식은 열차 운전자가 신호등이나 지령기 등을 통해 운전 중에 대용폐색 정보를 제공받아 운전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도차량운전규칙상 ‘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열차에 충당하는 동력차는 열차의 표지를 게시하여야 한다.
  2. 열차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안전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차량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안전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입환중인 동력차는 표지를 게시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환중인 동력차는 열차가 아니기 때문에 표지를 게시하지 않아도 된다. 표지는 열차나 차량의 안전운전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정거장 외에서 열차가 사고, 기타로서 정차하여 구원열차 요구 후의 조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구원열차가 도착하기 전에 복구되었을 때는 계속 운전한다.
  2. 정차열차 또는 남겨놓은 차량은 원칙적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3. 구원열차 운전의 통보가 있을 때에는 정지수신호에 의한 방호를 하여야 한다.
  4. 남겨놓은 차량을 상당거리 이동시켰을 때에는 그 방향에 대하여 정지수신호에 의한 방호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원열차가 도착하기 전에 복구되었을 때는 계속 운전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이유는, 사고가 발생한 열차가 복구되었더라도 그 원인을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을 중단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원열차가 도착하기 전에 복구되었더라도, 안전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운전을 중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선로전환기의 정위로 틀린 것은?

  1. 본선과 본선의 경우 단선운전구간의 정거장에서는 열차가 진입할 본선
  2. 본선과 안전측선과의 경우에는 안전측선
  3. 본선과 피난선의 경우에는 본선
  4. 탈선기는 탈선시킬 상태에 있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전환기의 정위로 틀린 것은 "탈선기는 탈선시킬 상태에 있는 것" 입니다.

    선로전환기는 열차가 다른 선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이때, 전환되는 선로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 본선과 본선의 경우 단선운전구간의 정거장에서는 열차가 진입할 본선
    - 본선과 안전측선과의 경우에는 안전측선
    - 본선과 피난선의 경우에는 본선

    따라서, 본선과 피난선의 경우에는 본선이 정답입니다. 이는 열차가 피난선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본선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철도차량운전규칙상 철도운영자가 「철도안전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필요한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여 필요한 기능을 보유한 것을 확인하여 해당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하는 철도종사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1. 철도차량운전업무에 종사하는 운전업무보조자
  2. 정거장에서 신호와 선로전환기를 취급하는 자
  3. 열차에 승무하여 여객을 안내하고 차내 발매업무를 하는 자
  4. 정거장에서 열차의 출발⋅도착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차량운전규칙상 철도운영자가 필요한 교육 및 훈련을 받아야 하는 철도종사자는 철도안전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보유한 것을 확인하여 해당 업무를 수행하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열차에 승무하여 여객을 안내하고 차내 발매업무를 하는 자는 철도차량운전규칙상 철도운영자가 아니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차장 승무를 생략한 90km/h 미만 속도로 운전하는 화물열차가 A역에서 B역까지 운행하면서 화차 27량을 조성(기관차 제외)할 경우 편성차량 중 공기제동기 사용불능차를 최대 몇 량까지 연결 할 수 있는가?

  1. 2량
  2. 3량
  3. 5량
  4. 6량
(정답률: 알수없음)
  • 화물열차의 경우, 공기제동기가 작동하지 않는 차량이 연결되면 전체 편성차량의 제동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제동기 사용불능차를 연결할 수 있는 최대량은 전체 편성차량 중 제동효과가 가장 적은 차량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차장 승무를 생략하고, 90km/h 미만 속도로 운전한다는 조건이 주어졌다. 이는 일반적인 운행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운행하며, 급정거나 급가속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동효과가 가장 적은 차량의 수가 적어지므로, 공기제동기 사용불능차를 최대 2량까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도통신식 시행시 지도표의 사용을 정지하는 경우 이미 발행한 지도권이 있을 때 역장의 조치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이미 발행한 지도권에 무효기호(X)를 그어야 한다.
  2. 통표휴대기에 넣어 보관한다.
  3. 이미 발행한 지도권은 그대로 사용한다.
  4. 지도권 뒷면 여백에 “무효”라고 붉은 글씨로 기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통신식이 시행되면 기존의 지도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 발행된 지도권에 무효기호(X)를 그어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역장이나 승객들이 더 이상 해당 지도권을 사용하지 않도록 경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철도차량운전규칙상 열차가 쇄정되지 아니한 선로전환기를 대향으로 통과할 때 도중전환방지 및 탈선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쇄정기구를 사용하여 무엇을 쇄정하여야 하는가?

  1. 쇄정간
  2. 텅레일
  3. 밀착조정간
  4. 게이지타이롯드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가 전환기를 통과할 때, 전환기의 도중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쇄정기구를 사용합니다. 이때, 쇄정기구는 전환기와 열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열차가 전환기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쇄정간과 밀착조정간을 사용하지만, 이 중에서도 전환기와 열차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쇄정기구가 전환기와 접촉하는 부분인 텅레일을 쇄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텅레일"입니다. 게이지타이롯드는 열차의 차량폭과 선로의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이므로 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