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제품디자인산업기사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제품디자인론

1. 다음 중 그린 디자인(Green Design)과 관계 없는 것은?

  1. 내구력 개선
  2. 사전 오염방지
  3. 체계적 공정관리
  4. 원자재 투입확대
(정답률: 알수없음)
  • 원자재 투입확대는 자원 소모를 증가시키고 환경 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그린 디자인과 관계가 없다. 이는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그린 디자인의 핵심 원칙과는 상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대칭적 양식과 미술의 실용화를 주장하였으나, 사치스럽고 환상적이며 곡선적 과잉장식의 운동은?

  1. 아트앤드크라프트
  2. 아르누보
  3. 독일공작연맹
  4. 바우하우스
(정답률: 91%)
  • 아르누보는 비대칭적 양식과 미술의 실용화를 주장하였지만, 그들의 운동은 사치스럽고 환상적이며 곡선적 과잉장식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유는 아르누보가 주장한 이념과 실제 운동의 모습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아트앤드크라프트, 독일공작연맹, 바우하우스로, 이들은 각각 다른 이념과 방식으로 예술과 디자인을 추구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미적 형식 원리인 율동(rhythm)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 부분이 동일하며 간격이 일정할 때는 리듬이 단조롭다.
  2. 간격이 기하급수학적으로 변하고 있으면 강한 리듬이 생긴다.
  3.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형이나 색을 대비라고 하며 일종의 리듬을 나타낸다.
  4. 너무 변화하면 리듬은 혼란되어 잃어버리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형이나 색을 대비라고 하며 일종의 리듬을 나타낸다."가 틀린 설명이다. 대비는 미적 형식 원리 중 대조(contrast)에 해당하며, 리듬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아르키메데스의 입체(archimedean Solids)에서 입방형 8면체(Cuboctahedron)의 면들은 어떤 기하형태들로 구성되었는가?

  1. 정3각형과 정4각형
  2. 정3각형과 정6각형
  3. 정4각형과 정5각형
  4. 정4각형과 정6각형
(정답률: 알수없음)
  • 입방형 8면체는 6개의 정사각형과 8개의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각 정사각형의 모서리에 정삼각형이 붙어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면들은 "정3각형과 정4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과거의 합리적인 모랄(moral)에 대한 전적인 거절을 위해 1981년 밀라노에서 새로운 그룹의 기반을 조성하였으며, 역사적 디자인 모티브를 추출하여 재해석하거나 다양한 양식과 혼용, 복합적인 형태를 추구한 운동은?

  1. 멤피스(memphis)
  2.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3. 아르누보(Art Nouveau)
  4. 합리주의(Rationalism)
(정답률: 알수없음)
  • 멤피스는 1980년대에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 운동으로, 과거의 합리적인 모랄을 거절하고 역사적 디자인 모티브를 재해석하거나 다양한 양식과 혼용, 복합적인 형태를 추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멤피스는 합리주의와는 대조적인 디자인 운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능을 개량함으로써 미는 생겨난다.」라는 근본이념을 추구하였고 산업디자인의 영역을 '입술 연지에서 기관차까지'라고 표현한 사람은?

  1. 헨리 반데 벨데(Henry van de velde)
  2. 레이몬드 로위(Raymond Loewy)
  3. 모서(K.Mosere)
  4. 월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몬드 로위는 기능성과 디자인의 조화를 추구하는 산업디자인의 대표적인 인물로, "기능을 개량함으로써 미는 생겨난다"는 근본이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산업디자인의 영역을 '입술 연지에서 기관차까지'라고 표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이몬드 로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물체의 표면상 특징을 시각을 통해서 느낄 수 있는 성질은?

  1. 텍스츄어
  2. 농담
  3. 매스
  4. 동세
(정답률: 91%)
  • 텍스츄어는 물체의 표면상 특징을 시각을 통해서 느낄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즉, 물체의 질감, 무늬, 조직 등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텍스츄어"가 정답입니다. "농담", "매스", "동세"는 이와 관련이 없는 단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업디자인에 있어 제품의 완성 예상도를 뜻하는 것은?

  1. 스타일 스켓치(style sketch)
  2. 렌더링(rendering)
  3. 모델링(modeling)
  4. 모크업(mock up)
(정답률: 알수없음)
  • 렌더링은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품의 완성 예상도를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조명, 재질, 그림자 등을 추가하여 실제 제품과 유사한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제품 디자인의 시각화를 위해 가장 적합한 용어는 렌더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타인의 가치관 보다 자신의 가치를 우선하여 구매결정을 하는 생활유형(Life style)은?

  1. 내부지향적 소비유형
  2. 욕구지향적 소비유형
  3. 외부지향적 소비유형
  4. 모방지향적 소비유형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지향적 소비유형"은 자신의 가치관과 욕구를 중심으로 구매결정을 내리는 생활유형이다. 따라서 타인의 가치관이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중심으로 소비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강한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은?

  1. 화면중앙을 통과하는 대각선
  2. 화면하부의 수평선
  3. 화면상부의 수평선
  4. 화면중앙의 수직선
(정답률: 93%)
  • "화면중앙을 통과하는 대각선"은 시선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어 강한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각선은 일반적으로 정적인 수평선보다 더욱 동적이고 활기찬 느낌을 줍니다. 또한, 화면 중앙을 통과하는 대각선은 화면을 균형있게 분할하여 시각적인 조화를 이루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루이스설리반이 주장한 기능주의 미학의 구호가 맞는 것은?

  1. 기능은 순리다.
  2.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3. 심미성은 곧 기능이다.
  4. 좋은 기능은 심미성을 창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구호는 물건의 디자인이나 조형물의 형태는 그것이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물건이나 조형물의 기능이 무엇인지를 먼저 고려하고 그에 맞는 형태를 디자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기능주의 미학의 핵심 원칙 중 하나로, 물건이나 조형물의 기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도 동시에 심미적인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신제품 개발의 유형 중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창조'하는 것은?

  1. 적응 디자인(adaptation design)
  2. 혁신 디자인(innovation design)
  3. 수정 디자인(modification design)
  4. 발명 디자인(invention design)
(정답률: 알수없음)
  • 혁신 디자인은 기존 제품과는 다른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창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신제품 개발의 유형 중에서는 혁신 디자인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정확한 마감처리, 광택이 있는 표면, 명확하고 장식이 배제된 재료의 직접적인 표현, 자유로움이 특징인 1930년대를 주도했던 조형 양식은?

  1. 아르데코 스타일
  2. 유선형 스타일
  3. 키치 스타일
  4. 유기적 모더니즘 스타일
(정답률: 알수없음)
  • 유선형 스타일은 1930년대에 주로 사용되었던 조형 양식으로, 정확한 마감처리와 광택이 있는 표면, 명확하고 장식이 배제된 재료의 직접적인 표현, 그리고 자유로움이 특징인 스타일입니다. 이 양식은 곡선적인 라인과 유연한 형태를 중시하며, 기하학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자연스러운 곡선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유선형 스타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휴대용 손전등에 라디오의 기능을 복합시킨 제품의 아이디어 발상법은?

  1. 전환법
  2. 확대법
  3. 대체법
  4. 전도법
(정답률: 알수없음)
  • 휴대용 손전등과 라디오는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이 두 가지 기능을 하나의 제품으로 복합시키면 소비자들이 휴대성과 편의성을 더욱 높게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발상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의 기능을 확대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내는 확대법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확대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기적 건축이론을 주장한 20세기의 미국을 대표하는 기능주의 건축가는?

  1. 존러스킨
  2. 루이스설리반
  3. 프랭크로이드라이트
  4. 찰스레니맥킨토시
(정답률: 알수없음)
  • 프랭크로이드라이트는 기능주의 건축을 대표하는 건축가로, 유기적 건축이론을 주장하며 자연과 건축물을 조화롭게 결합시키는 건축을 추구했습니다. 그의 대표작인 "폴리네시안"과 "가우기 하우스" 등은 자연스러운 곡선과 유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축물 내부와 외부를 융합시키는 공간구성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아르누보 조형 운동의 대표적 인물은?

  1. 반 데 벨데(Van de Velde, Henry)
  2. 그로피우스(Gropius, Walter)
  3. 모리스(Morris, William)
  4. 빌(Bill, Max)
(정답률: 알수없음)
  • 아르누보 조형 운동은 기능성과 형태의 조화를 추구하는 운동으로, 반 데 벨데는 이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는 디자인, 건축,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기능성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고려한 작품을 만들어냈습니다. 특히 그는 미술과 공예를 결합한 작품을 만들어내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디자인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정형화된 복제의 계획
  2. 아이디어를 중시한 평면적인 패턴
  3. 실용적, 미적 조형성을 계획한 가시적 표시
  4. 심미성을 강조한 주관적 관념의 조형적 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디자인은 실용적이면서도 미적인 형태를 계획하여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실용적, 미적 조형성을 계획한 가시적 표시"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도구의 개념으로서 물건을 창조하는 디자인 분야는?

  1. 환경디자인
  2. 시각디자인
  3. 건축디자인
  4. 제품디자인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디자인은 물건을 창조하는 디자인 분야로, 제품의 형태, 기능, 재료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따라서 도구의 개념으로서 물건을 창조하는 디자인 분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제품 수명주기에서 수요의 지속 정도에 따른 유행 형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클래식(Classic)은 상당히 오랫동안 널리 고객에 의해 수용되는 유행으로, 미니스커트가 전형적 예이다.
  2. 플로프(Flop)는 수용기는 없이 도입기만으로 끝나는 유행을 말한다.
  3. 패드(Fad)는 도입기와 수용기는 있으나 쇠퇴기가 없어 수용지속기간이 긴 유행을 말한다.
  4. 포드(Ford)는 수용 정도는 높으나 지속 기간이 짧은 유행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로프(Flop)는 수용기는 없이 도입기만으로 끝나는 유행을 말한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지 못하고, 금방 사라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제품 수명주기에서 도입기 단계에서 실패하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아트 앤드 크라프트 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은 누구에 의하여 실천되었는가?

  1. 사무엘 빙(Samuel Bing)
  2. 헤르만 무테지우스(Hermann Muthesius)
  3.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4. 헨리 반데 벨데(Henry Van de Velde)
(정답률: 알수없음)
  • 아트 앤드 크라프트 운동은 윌리엄 모리스가 주도하여 실천되었습니다. 모리스는 공예, 디자인,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름다움과 기능성을 결합한 제품을 만들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공예가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량생산과 기계화에 반대했습니다. 이러한 모리스의 이념과 움직임이 아트 앤드 크라프트 운동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간공학

21. 삼색계에서 표준색이란 등량을 서로 섞으면(가색혼합)백색이 나오는 색들을 말한다. 이 기본색들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적, 황, 녹
  2. 적, 황, 청
  3. 적, 청, 녹
  4. 적, 녹, 흑
(정답률: 알수없음)
  • 삼색계에서 표준색은 적, 청, 녹이다. 이유는 이 세 가지 색을 가장 잘 섞어야 백색이 나오기 때문이다. 적색은 빨간색, 황색은 노란색, 청색은 파란색, 녹색은 초록색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 황, 녹"은 백색이 나오지 않으므로 표준색이 아니다. "적, 황, 청"도 마찬가지로 백색이 나오지 않는다. "적, 녹, 흑"은 백색 대신 검은색이 나오므로 표준색이 아니다. 따라서 "적, 청, 녹"이 삼색계에서의 표준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국지적인 근육의 동작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1. 근전도 계측
  2. 안정피로 계측
  3. 소음 계측
  4. 조도 계측
(정답률: 알수없음)
  • 국지적인 근육의 동작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근전도 계측입니다. 이는 근육 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근육의 활동성과 강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근육 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계측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인간공학이 본격적인 종합 학문으로서 대두되기 시작한 시기는?

  1. 산업혁명 이후
  2. 제1차 세계대전 이후
  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4. 월남전 이후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공학은 인간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 시스템, 환경 등을 설계하는 학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산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제품과 기술의 다양성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성과 안전성 등이 중요시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인간공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제어/반응비(control/response ratio)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표시장치에 있어서 지침이 움직이는 총량에 대한 제어장치 움직임의 총량을 뜻한다.
  2. 민감도와 같은 의미이다.
  3. 민감한 제어일수록 제어/반응비가 높다.
  4. 제어/반응비가 감소함에 따라 이동시간은 급격히 감소하다가 안정되며, 조정시간은 이와 반대의 형태를 갖는다.
(정답률: 34%)
  • "민감한 제어일수록 제어/반응비가 높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제어/반응비는 제어장치의 움직임과 표시장치의 움직임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어장치의 민감도와는 관련이 없다. 오히려 제어장치의 민감도가 높을수록 제어/반응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제어장치의 작은 움직임이 표시장치에 큰 움직임으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람이 거주하는 방안에서의 탄산가스 농도는 몇 % 이하여야 하는가?

  1. 0.01 %
  2. 0.2 %
  3. 0.25 %
  4. 0.5 %
(정답률: 알수없음)
  • 사람이 거주하는 방안에서의 탄산가스 농도는 0.5%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인체에 유해한 농도를 초과하지 않기 위함입니다. 높은 농도의 탄산가스는 호흡곤란, 두통,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과 안전을 위해 0.5%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색각 결핍자(색맹)들의 기능 결함 부위는?

  1. 원추체(cone)
  2. 간상체(node)
  3. 망막(retina)
  4. 홍체(iris)
(정답률: 알수없음)
  • 색각 결핍자들은 원추체(cone)의 기능 결함으로 인해 생기는 것입니다. 원추체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색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색각 결핍자들은 원추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색을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색각 결핍자들은 일반적으로 빨강, 초록, 파랑 등의 색을 혼동하거나 구별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표준형 키보드의 경사도 중 최적 유지의 각도는?

  1. 2° - 5°
  2. 7° - 10°
  3. 15° - 25°
  4. 30° - 35°
(정답률: 알수없음)
  • 최적의 유지 각도는 손목과 팔의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인 15° - 25°이다. 너무 낮은 각도는 손목에 부담을 줄 수 있고, 너무 높은 각도는 팔과 어깨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안하고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작범위(Range of Motion) 중 머리가 좌우로 회전되는 정상적(Normal) 동작범위는?

  1. 좌우 60°
  2. 좌우 120°
  3. 좌우 180°
  4. 좌우 360°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의 머리는 목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목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관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관절은 좌우로 최대한 180도까지 회전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인체의 구조상으로 인해 120도 정도까지만 회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머리가 좌우로 회전하는 정상적인 동작범위는 약 120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진전(tremor)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운동은?

  1. 전후운동
  2. 좌우운동
  3. 반복운동
  4. 수직운동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운동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동으로, 지면에 충격을 주는 운동이기 때문에 진전이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직운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하위 백분위수를 기준으로 디자인해야 하는 것은?

  1. 문의 넓이
  2. 사다리의 강도
  3. 선반의 높이
  4. 탈출구
(정답률: 80%)
  • 선반의 높이는 사용자의 키와 관련이 있으며, 하위 백분위수를 기준으로 디자인해야 합니다. 즉, 키가 작은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위 백분위수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눈의 조직 중 상(像)의 초점을 맞추는 곳은?

  1. 망막
  2. 동공
  3. 원추체
  4. 수정체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체는 눈의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눈의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상(像)의 초점을 맞추는 곳은 수정체입니다. 망막은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동공은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원추체는 색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의 그림은 손조작시의 형상에 의한 코딩(cording)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회전 이상의 연속제어용
  2. 1회전 미만의 연속제어용으로 방향무관
  3. 단계적 제어용으로 방향 중요
  4. 움직임을 주지않은 고정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단계적 제어용으로 방향이 중요한 형상이다. 즉, 한 단계씩 움직여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방향을 잘못 설정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1회전 이상의 연속제어용이나 1회전 미만의 연속제어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움직임을 주지 않은 고정형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자동차나 비행기의 조종간을 설계할 때 가장 적절하게 응용되는 양립성은?

  1. 공간적 양립성(spatial compatibility)
  2. 운동 양립성(movement compatibility)
  3. 개념적 양립성(conceptual compatibility)
  4. 형식 양립성(modality compatibility)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 양립성은 조종자의 움직임과 기기의 움직임이 일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자동차나 비행기와 같은 운송수단의 조종간에 가장 적절하게 응용됩니다. 이는 조종자가 자연스럽게 조종기를 다룰 수 있도록 하며, 조작 오류를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핸들을 돌리면 자동차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과 같이, 조종자의 움직임과 기기의 움직임이 일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운동 양립성의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의 설계시 비상 탈출구의 크기를 정할 때 인체 측정자료 중 어떤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1. 남성의 제 5백분위수
  2. 여성의 제 5백분위수
  3. 남성의 제 50백분위수
  4. 남성의 제 95백분위수
(정답률: 알수없음)
  • 비상 탈출구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가장 큰 인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남성의 제 95백분위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타당합니다. 이는 남성 중 가장 큰 5%의 체형을 고려한 것으로, 이를 기준으로 설계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탈출구를 통과할 수 있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같은 중량의 경우 어떤 방법으로 짐을 나르는 에너지가 (산소소비량) 값은 수행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 중에 에너지가의 값이 가장 큰 것은?

  1. 배낭을 등에 진다.
  2. 양손으로 들고 간다.
  3. 쌀자루를 어깨에 맨다.
  4. 목도(나무)를 이용 어깨로 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손으로 들고 간다는 방법이 가장 에너지가 큰 이유는 바로 상체와 하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근육을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들은 대부분 상체나 하체 중 하나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근육을 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양손으로 들고 간다는 방법이 가장 에너지가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피부감각 중 가장 감수성이 높은 것은?

  1. 압각
  2. 통각
  3. 냉각
  4. 온각
(정답률: 알수없음)
  • 통각은 우리가 느끼는 대부분의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 중 하나로,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 진동, 손길 등을 느끼게 해줍니다. 따라서 통각은 다른 감각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고, 더 높은 감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간의 청각을 고려한 신호 표현을 구상할 때 다음 중 틀린 것은?

  1. 지나치게 고강도의 신호를 피한다.
  2. 주변 소음 수준에 상대적인 세기로 설정한다.
  3. 청각으로 과부하 되지 않게 한다.
  4. 지속적인 신호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나치게 고강도의 신호를 피한다."는 인간의 청각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다른 보기들과는 관련이 없다. "주변 소음 수준에 상대적인 세기로 설정한다."와 "청각으로 과부하 되지 않게 한다."는 인간의 청각을 고려한 신호 표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지속적인 신호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는 인간의 청각이 지속적인 신호를 더 잘 인지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음악에서도 지속적인 리듬이 듣기 쉽고 인기가 많은 이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오독율(誤讀率)이 가장 적은 계기의 모양은?

  1. 수직형
  2. 수평형
  3. 반원형
  4. 개창형
(정답률: 알수없음)
  • 개창형은 글자의 각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어 오독율이 가장 적습니다. 수직형과 수평형은 글자의 일부가 겹쳐져 있어 오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반원형은 글자의 일부가 둥그렇게 구부러져 있어 오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개창형이 오독율이 가장 적은 계기의 모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인간공학적 사고와 가장 관련이 먼 것은?

  1. 인간의 특성에 알맞는 기계나 도구의 설계
  2. 인간과 기계와의 사이에 합리성 유지
  3. 인간의 적성과 훈련의 문제
  4. 작업설계시 인간 중심의 수작업화 설계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설계시 인간 중심의 수작업화 설계는 인간공학적 사고와 가장 관련이 높은 것이다. 이는 작업을 수행하는 인간의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기계나 도구를 설계하고,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건강과 안녕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 중심의 수작업화 설계는 인간공학적 사고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소음(음향)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위로 맞는 것은?

  1. Lux
  2. fc
  3. dB
  4. Hz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dB

    이유: dB는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로, 소리의 진폭에 대한 로그 스케일로 표시됩니다. 다른 단위들은 빛의 강도(lux, fc), 주파수(Hz)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업재료 및 모형제작론

41. 다음 중 포장용지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1. 본드지(bond paper)
  2. 크라프트지(kraft paper)
  3. 아트지(art paper)
  4. 그라비아용지(gravure paper)
(정답률: 알수없음)
  • 크라프트지는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아서 포장용지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인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쇄잉크가 나타내는 유동성의 크기는?

  1. 연신율
  2. 탄성계수
  3. 점도
  4. 인성
(정답률: 75%)
  • 인쇄잉크가 나타내는 유동성의 크기는 점도이다. 점도란 액체의 내부 저항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액체의 점성과 관련이 있다. 인쇄잉크는 점도가 적당해야 인쇄 과정에서 원활하게 흐를 수 있으며, 너무 높은 점도는 인쇄물 표면에 불균일한 색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인쇄잉크의 점도는 인쇄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에서 러프 목업(rough mock-up)제작시 가장 손쉬운 재료는?

  1. 종이
  2. 목재
  3. 유리
  4. 금속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이는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필요한 크기와 모양에 맞게 잘라서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러프 목업 제작시 가장 손쉬운 재료입니다. 또한, 수정이나 보완이 필요할 때도 쉽게 수정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투상도에서 경사축의 경사각으로 보통 쓰이지 않는 각은?

  1. 15°
  2. 30°
  3. 45°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사투상도에서 경사축의 경사각은 일반적으로 30°, 45°, 60°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삼각함수 값이 간단하고 계산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5°는 삼각함수 값이 복잡하고 계산이 어려워서 보통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럼버코어(Lumber Core)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크래프트지에 요소수지를 침윤시킨 샌드위치 구조판이다.
  2. 보통 합판의 표면에 슬라이스드 베니어를 올려 붙인 것이다.
  3. 목판을 작은 각재 단면으로 이어 붙여 첨심판을 앞뒤로 붙인 것이다.
  4. 압형에 모양을 조각하여 가열 로울러 사이에 합판을 통하게 하여 눌러 찍은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목판을 작은 각재 단면으로 이어 붙여 첨심판을 앞뒤로 붙인 것이다."입니다. 이는 Lumber Core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목재를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여 이어붙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강도와 안정성이 뛰어나며, 가격도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사출성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살두께 최소 0.05m/m도 성형이 가능하다.
  2. 고속, 대량,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다.
  3. 아름다운 외관을 만들 수 있다.
  4. 원료의 낭비와 마무리 손질이 극히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출성형은 살두께가 얇은 제품도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살두께 최소 0.05m/m도 성형이 가능하다." 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사출성형 기계에서 원료를 녹여 압력으로 금형에 주입하여 제품을 만들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실의 단위에서 번수는 굵기를 나타내는 것인데, 면사·마사와 같이 짧은 방적사에 사용하는 표시법은?

  1. 항원식
  2. 항중식
  3. 항장식
  4. 항상식
(정답률: 알수없음)
  • 면사나 마사와 같이 짧은 방적사에서는 번수 대신에 항을 사용하여 굵기를 나타냅니다. 이때 항중식은 항의 개수와 중량을 함께 표시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3항 2중"은 세 개의 항 중에서 두 개의 항이 두껍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면사나 마사와 같은 짧은 방적사에서 사용하는 표시법이 무엇인지 묻고 있으며, 그 답은 항중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맑고 투명한 유리 화병을 제조할 때 용융유리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청정제로 사용되는 부재료는?

  1. 염화나트륨
  2. 질산나트륨
  3. 황산카드뮴
  4. 황산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용융유리를 제조할 때, 유리 내부에 기포가 생기면 화병의 투명도와 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청정제로 황산나트륨을 사용합니다. 황산나트륨은 기포를 제거하고 유리를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금속모형제작에 필요한 관굽힘 작업 방법 중 맞는 것은?

  1. 가볍고 가는 관에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두꺼운 관에는 쇠구슬을 사용한다.
  2. 형에 홈을 내어 관과의 접촉을 많게 하면 안된다.
  3. 송지나 납을 넣고는 구부릴 수 없다.
  4. 모래를 관속에 넣을 때는 틈새를 많이 주어 상온에서 구부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볍고 가는 관은 스프링을 사용하는 이유는 스프링이 가벼우면서도 유연하기 때문에 관이 구부러지면 스프링이 관의 내부에 들어가면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시켜줍니다. 반면, 두꺼운 관은 쇠구슬을 사용하는 이유는 쇠구슬이 무거우면서도 단단하기 때문에 관이 구부러지면 쇠구슬이 관의 내부에 머무르면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시켜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접착면을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키면서 강하게 조여주는 역할을 하는 작업도구는?

  1. 바이스
  2. 크램프
  3. 바이스 프라이어
  4. 선반
(정답률: 알수없음)
  • 크램프는 접착면을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키면서 강하게 조여주는 작업도구입니다. 다른 보기인 바이스, 바이스 프라이어, 선반은 이와 같은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양극 산화법으로서 다양한 착색과 발색을 얻는 아노다이징법에 사용되는 주재료는?

  1. 알루미늄
  2. 플라스틱
  3. 게르마늄
  4. 마그네슘
(정답률: 59%)
  • 양극 산화법으로서 아노다이징을 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활성한 금속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알루미늄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금속 중 하나이며, 안정성이 높고 경제적인 재료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이 아노다이징법에 사용되는 주재료로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점토제품 중 소성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도기
  2. 토기
  3. 석기
  4. 자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점토제품 중 소성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토기"입니다. 이는 토기가 다른 점토제품들보다 더 많은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기물은 소성시에 분해되면서 가스를 방출하므로, 토기는 다른 점토제품들보다 더 적은 온도에서도 소성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의 설명 중 맞는 것은?

  1. 불투명하여 착상이 좋고, 내수성이 우수하다.
  2. 도료의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알키드 수지로 변성시켜 사용한다.
  3. 질이 견고하고 강도가 크나, 내마모성이 약하다.
  4. 항공기, 선박, 차량 등의 구조재나 건축의 루버(Louver)에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도료의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알키드 수지로 변성시켜 사용한다." 이다. 멜라민수지는 도료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알키드 수지와 함께 사용되며, 불투명하고 내수성이 우수하며 강도가 크지만 내마모성이 약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항공기, 선박, 차량 등의 구조재나 건축의 루버(Louver)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렌더링시 윤곽선 기입에 관한 내용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눈에 가까운 것은 가늘게 하고, 멀어질수록 굵게 한다.
  2. 어두운 곳은 부드럽게, 밝은 곳은 날카롭게 한다.
  3. R(radius)부는 한가운데를 분명히 하도록 처리한다.
  4. R(radius)부와 직선이 맞닿은 부분은 약하고 부드럽게 연결하거나 약간 떨어지게 하여 표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R(radius)부와 직선이 맞닿은 부분은 약하고 부드럽게 연결하거나 약간 떨어지게 하여 표현한다."는 윤곽선 기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눈에 가까운 것은 가늘게 하고, 멀어질수록 굵게 한다."는 원근법에 따라 물체가 멀어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다. 눈에 가까운 것은 시야에서 크게 보이기 때문에 선을 가늘게 그리면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고, 멀어질수록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선을 굵게 그리면 물체의 거리감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모형 중 가장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모형은?

  1. 스터디 모형(study model)
  2. 어피어런스 모형(Appearance Model)
  3. 프로토타입 모형(Prototype Model)
  4. 더미 모형(dummy model)
(정답률: 70%)
  • 프로토타입 모형은 실제 제품과 유사한 모형을 만들어 기능이나 디자인 등을 검증하는 모형으로, 제품 개발 초기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장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모형입니다. 스터디 모형은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한 모형, 어피어런스 모형은 외관을 중심으로 검증하는 모형, 더미 모형은 단순한 형태의 모형으로, 이들에 비해 프로토타입 모형은 더욱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렌더링의 배경처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품의 성격을 잘 나타낼 수 있다.
  2. 표현기법에 따라서 쉽게 처리해도 된다.
  3. 디자이너의 컨셉을 강하게 표현할 수 있다.
  4. 제품디자인 개념을 이해하는데 혼란을 가져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디자인 개념을 이해하는데 혼란을 가져온다."는 렌더링의 배경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이유는 렌더링은 제품의 성격을 잘 나타내고, 표현기법에 따라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의 컨셉을 강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료의 용제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은폐성
  2. 용해성
  3. 휘발성
  4. 위생성
(정답률: 알수없음)
  • 도료의 용제가 갖추어야 할 성질 중 "은폐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도료가 표면을 완전히 덮어 숨기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도료의 색상과 광택을 결정하는 중요한 성질이다. 반면에 "용해성", "휘발성", "위생성"은 도료의 용도와 사용 환경에 따라 중요한 성질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금속의 표면이나 비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사용하여 피막을 만드는 처리방법은?

  1. 도금
  2. 화성처리
  3. 라이닝
  4. 도장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은 금속이나 비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사용하여 피막을 만드는 처리방법입니다. 이는 보호, 장식, 전기전자적 기능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화성처리, 라이닝, 도장은 각각 다른 처리방법을 의미하며, 도금과는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농담효과를 풍부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진인쇄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그라비어 인쇄
  2. 실크 스크린
  3. 플록 인쇄
  4. 활판 인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그라비어 인쇄"입니다. 그라비어 인쇄는 인쇄판에 새겨진 홈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방식으로, 인쇄물의 질감과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어 농담효과를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라비어 인쇄는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인쇄 방식으로도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구리 95%와 아연 5%를 함유한 합금으로 화폐나 메달에 사용되는 구리합금은?

  1. 톰백(Tombac)
  2. 커머셜 브론즈(Commercial bronze)
  3. 길딩 메탈(Gilding metal)
  4. 로우 브라스(low brass)
(정답률: 알수없음)
  • 길딩 메탈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화폐나 메달에 사용되는 구리합금 중 가장 일반적인 종류입니다. 이는 구리와 아연의 비율이 95:5로, 구리의 비중이 높은 합금으로, 황색에서 붉은 갈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폐나 메달 등의 제작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학

61. 다음 중 먼셀(Munsell)의 기본 5원색은?

  1. R, Y, G, B, P
  2. R, O, Y, B, P
  3. R, Y, B, C, P
  4. PB, YR, GY, BG, RP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의 기본 5원색은 "R, Y, G, B, P" 이다. 이는 먼셀이 색을 표현할 때 채도와 명도를 고려하여 색을 분류하는데, 이 과정에서 빨강(Red), 노랑(Yellow), 초록(Green), 파랑(Blue), 보라(Purple)를 기본 5원색으로 선정했기 때문이다. 이 5원색은 색상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업색채의 계획방법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눈에 잘 띄고 독특한 색으로만 계획하여야 한다.
  2. 기업체에 관련된 사람들이 좋아하는 색으로 계획한다.
  3. 기업과 상품 이미지, 기호 이미지가 통합된 이미지를 나타내어야 한다.
  4. 동색 계열의 색채로 계획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업과 상품 이미지, 기호 이미지가 통합된 이미지를 나타내어야 한다는 것은 기업의 색채 계획은 단순히 눈에 잘 띄고 독특한 색으로만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와 상품 이미지, 기호 이미지와 일관성을 유지하며 통합된 이미지를 나타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기업의 이미지와 상품 이미지, 기호 이미지를 쉽게 인지하고 기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문.스펜서 색채조화론의 균형점에서 색상 YR, 채도가 5보다 클 때 심리적 효과는?

  1. 자극적, 서늘함
  2. 안정감, 온도감
  3. 안정감, 중성감
  4. 자극적, 따뜻함
(정답률: 알수없음)
  • 답: 자극적, 따뜻함

    YR은 노란색과 주황색의 혼합색으로,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상입니다. 채도가 5보다 클 경우 더욱 강렬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자극적인 느낌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이 색상 조합은 자극적이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무채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주로 어두운 색을 말한다.
  2. 탁한 색을 말한다.
  3. 유채색 중에서 어두운 색을 말한다.
  4. 색상과 채도는 없고 명도만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채색은 색상과 채도가 없고, 오직 명도만 있는 색을 말한다. 이는 주로 어두운 색을 말하며, 탁한 색을 의미하기도 한다. 유채색 중에서도 어두운 색을 말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선명한 빨강의 감성에 적합한 것은?

  1. 따뜻하게 느껴진다.
  2. 차분하다.
  3. 후퇴되어 보인다.
  4. 가볍게 느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따뜻하게 느껴진다."는 선명한 빨강의 감성에 적합한 것이다. 빨강은 열정과 에너지를 상징하는 색상으로, 따뜻하고 활기찬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색의 3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색의 3속성에는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가 있다.
  2. 감각으로 구별되는 색의 속성을 색상이라고 한다.
  3. 색의 밝음의 감각을 척도화한 것을 명도라고 한다.
  4. 채도가 0일 때 가장 순수한 색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채도가 0일 때 가장 순수한 색이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채도가 0이라는 것은 해당 색상에 회색이나 백색이 섞여 있어서 순수한 색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채도가 0일 때는 가장 창조적인 색이 아니라, 가장 희미한 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보색대비의 효과를 주기에 가장 적절한 배색은?

  1. 빨강-초록
  2. 빨강-노랑
  3. 빨강-검정
  4. 빨강-보라
(정답률: 알수없음)
  • 빨강과 초록은 보색 관계에 있으며, 이는 색상환에서 서로 정확히 반대편에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보색 대비는 두 색상이 함께 사용될 때 더욱 선명하고 강렬한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시각적인 대비를 높여 시선을 끌어냅니다. 따라서 "빨강-초록"이 보색대비의 효과를 주기에 가장 적절한 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무채색의 명도단계를 축으로 하여 색상, 명도, 채도를 단계적으로 배열한 기구는?

  1. 색상환 도표
  2. 동일색상면 도표
  3. 명도 및 채도 단계 도표
  4. 색입체
(정답률: 50%)
  • 무채색의 명도단계를 축으로 하여 색상, 명도, 채도를 단계적으로 배열한 기구는 "색입체"이다. 색입체는 색의 성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색상, 명도, 채도를 각각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에 색을 배치하여 표현한다. 이를 통해 색의 성질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색의 조합을 예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난색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대체로 진출색과 일치한다.
  2. 같은 정도의 색조일 때 한색보다 자극이 약하다.
  3. 한색보다는 사람에게 친근감을 덜 준다.
  4. 한색보다 사람을 차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체로 진출색과 일치한다."는 난색이 다른 색상과 혼합되어 만들어진 색상들 중에서도 주로 진출색과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진출색은 빛의 파장이 짧아서 눈에 더 밝게 보이는 색상으로, 난색도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색상과 혼합되어 만들어진 색상들 중에서도 비교적 눈에 더 잘 띄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헤링(E.Hering)의 반대색설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혼색과 색각이상을 잘 설명할 수 있다.
  2. 4원색과 무채색광을 가정하고 있다.
  3. 이화작용, 동화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분해, 합성이 동시에 일어날 때 그 정도에 따라 회색의 감각이 생긴다.
(정답률: 50%)
  • "4원색과 무채색광을 가정하고 있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Hering의 반대색설은 3원색 (빨강, 녹색, 파랑)과 그것들의 보색 (시안, 자홍, 노랑)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론은 이화작용과 동화작용으로 설명되며, 분해와 합성이 동시에 일어날 때 회색의 감각이 생긴다는 것도 포함됩니다. 그러나 4원색과 무채색광은 이론과 관련이 없습니다. "혼색과 색각이상을 잘 설명할 수 있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유채색과 무채색의 배색 효과는?

  1. 경쾌하고 강한 대립
  2. 침착하고 정적
  3. 온화한 느낌
  4. 무겁고 침착
(정답률: 알수없음)
  • 유채색과 무채색은 색상의 대비가 크기 때문에 "경쾌하고 강한 대립" 효과를 줍니다. 이는 시각적으로 매우 활기차고 눈에 띄기 때문에 경쾌하고 강한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색채조절의 일반적인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1. 눈의 피로와 긴장이 감소된다.
  2. 사고나 재해를 감소시킨다.
  3. 능률이 향상되어 생산력이 높아진다.
  4. 쾌적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조절은 시각적인 효과를 주로 가져오는 반면, 쾌적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환경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우울, 무기력을 연상시키는 색은?

  1. 흰색
  2. 회색
  3. 청색
  4. 자주색
(정답률: 70%)
  • 회색은 어두운 색이면서도 흰색과 검은색의 중간색으로서, 중립적이고 무감각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우울하고 무기력한 느낌을 연상시키는 색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서로 다른 두 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밝은 색은 더 밝게, 어두운 색은 더 어둡게 나타나는 대비 현상은?

  1. 명도대비
  2. 색상대비
  3. 채도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서로 다른 두 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밝은 색은 더 밝게, 어두운 색은 더 어둡게 나타나는 대비 현상은 "명도대비"이다. 이는 색의 밝기 차이에 따라 인식되는 대비로, 색상이나 채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예를 들어, 밝은 노란색과 어두운 파란색을 함께 사용하면 노란색은 더 밝게, 파란색은 더 어둡게 인식되어 명도대비가 생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갑자기 들어갔을 때 시간이 조금 지난 후에야 주위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명순응
  2. 색순응
  3. 암순응
  4. 무채순응
(정답률: 알수없음)
  • 이것은 "암순응"이라고 불린다. 암순응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갑자기 들어갔을 때 눈이 적응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눈의 망막에 있는 막세포들이 빛에 노출되면서 적응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간이 조금 걸리기 때문에 처음에는 주위의 물체를 식별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백색량(W) + 흑색량(B) + 순색량(C) = 100% 이다.
  2. 무채색일 경우 W + B = 100% 가 된다.
  3. 완전 백색, 완전 흑색, 순색을 각각 꼭지점으로 하는 정3각형을 구성한다.
  4. 기본 8 색상을 각각 4 색상으로 세분하여 32색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하지만 "기본 8 색상을 각각 4 색상으로 세분하여 32색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라는 설명은 조금 부정확하다. 오스트발트 표색계는 기본 8 색상을 각각 10 색상으로 세분하여 80색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에 이를 다시 4 색상씩 묶어서 20색상, 40색상, 80색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색채환경 분석에서 경쟁업체의 관용색채 분석 대상으로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1. 기업색
  2. 상품색
  3. 포장색
  4. 기호색
(정답률: 46%)
  • 정답은 "기호색"입니다.

    경쟁 업체의 관용색채 분석은 해당 업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채를 파악하여 자사의 색채 전략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이때, 기업색, 상품색, 포장색은 해당 업체의 브랜드 이미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경쟁 업체의 관용색채 분석 대상으로 적합합니다.

    하지만 기호색은 해당 업체에서만 사용되는 특정한 색상으로, 경쟁 업체의 관용색채 분석 대상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교적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색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과는 빨간색, 바나나는 노랑색이라고 구체적 대상과 관련하여 기억하는 색을 기억색이라 한다.
  2. 황색은 시감도가 높은 색이다.
  3. 고명도의 색채는 가볍게 느껴진다.
  4. 중명도 이하의 채도가 높은 색채는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정답률: 37%)
  • 중명도 이하의 채도가 높은 색채는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중명도 이하의 채도가 높은 색채는 오히려 강렬하고 선명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명도 이하의 높은 채도를 가진 빨간색은 화려하고 강렬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유는 중명도 이하의 채도가 높은 색채는 색의 순수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명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순색에 검정을 혼합하면 암색(暗色)이 된다.
  2. 순색에 흰색을 혼합하면 명색(明色)이 된다.
  3. 모든 순색은 명도가 서로 같고 무채색에서만 명도차이가 있다.
  4. 무채색의 명도 단계표(value scale)는 명도 판단의 기준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순색에 검정을 혼합하면 암색(暗色)이 된다."입니다. 검정은 무채색이 아니며, 명도가 낮은 색상이므로 암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정을 혼합한 순색은 암색이 아니라 차색(差色)이 됩니다.

    모든 순색은 명도가 서로 같고 무채색에서만 명도차이가 있다는 것은, 색상의 명도는 색상의 채도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같은 명도를 가진 두 색상은 서로 다른 채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색상 조합을 다양하게 할 수 있습니다.

    무채색의 명도 단계표(value scale)는 명도 판단의 기준이 됩니다. 이는 색상의 명도를 일정한 단계로 분류하여 표현한 것으로, 색상 조합을 할 때 적절한 명도 차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색의 진출, 후퇴의 일반적인 성질 중 틀린 것은?

  1. 배경색과의 명도차가 큰 밝은 색은 진출되어 보인다.
  2. 채도가 낮은 배경색에 대한 높은 채도의 색은 진출되어 보인다.
  3. 난색계는 한색계보다 진출되어 보인다.
  4. 배경색의 채도가 높은 것에 대한 낮은 색은 진출되어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경색의 채도가 높은 것에 대한 낮은 색은 진출되어 보인다."가 틀린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경색과 대비되는 색이 진출되어 보이는데, 채도가 높은 배경색에 대한 낮은 색은 오히려 배경색에 묻혀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밝은 노란색 배경 위에 연한 녹색 글씨를 쓰면 글씨가 배경에 묻혀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어두운 파란색 배경 위에 연한 녹색 글씨를 쓰면 글씨가 더욱 두드러져서 진출되어 보인다. 이는 대비도와 명도차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