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품질관리사 1차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03)

농산물품질관리사 1차
(2017-06-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관계 법령

1.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의 지리적 표시 등록거절 사유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해당 품목이 지리적표시 대상지역에서만 생산된 것이 아닌 경우
  2. 해당 품목이 지리적표시 대상지역에서 생산된 역사가 깊지 않은 경우
  3. 해당 품목의 우수성이 국내에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국외에는 알려지지 아니한 경우
  4. 「상표법」에 따라 먼저 출원되었거나 등록된 타인의 상표와 같거나 비슷한 경우
(정답률: 73%)
  • 해당 품목의 우수성이 국내에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국외에는 알려지지 않은 경우는 지리적 표시 등록거절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해당 품목이 생산되는 지역의 특성과 우수성이 국내에서 인정되어 있으나, 국외에서는 인식되지 않았을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리적 표시 등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의 이력추적관리 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력추적관리 표시정지 명령을 위반하여 계속 표시한 경우는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
  2. 이력추적관리 등록 유효기간의 연장기간은 해당 품목의 이력추적관리 등록의 유효기간을 초과할 수 없다.
  3. 이력추적관리 등록 대상품목은 농산물(축산물은 제외) 중 식용을 목적으로 생산하는 농산물로 한다.
  4. 이력추적관리 등록을 하려는 자는 이상이 있는 농산물에 대한 위해요소관리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48%)
  • "이력추적관리 등록 대상품목은 농산물(축산물은 제외) 중 식용을 목적으로 생산하는 농산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력추적관리 등록 대상품목은 농산물과 축산물 모두 포함된다.

    이상이 있는 농산물에 대한 위해요소관리계획서를 제출하는 이유는 해당 농산물이 안전하게 생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위해요소가 발견되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안전한 식품섭취를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위반행위를 한 자는?

  1. 우수표시품이 아닌 농산물에 우수표시품의 표시를 하거나 이와 비슷한 표시를 한 자
  2. 유전자변형농산물 표시의 이행ㆍ변경ㆍ삭제 등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
  3. 검사를 받아야 하는 농산물에 대하여 검사를 받지 아니한 자
  4. 다른 사람에게 농산물품질관리사의 명의를 사용하게 하거나 그 자격증을 빌려준 자
(정답률: 42%)
  • "우수표시품이 아닌 농산물에 우수표시품의 표시를 하거나 이와 비슷한 표시를 한 자"는 위반행위로서, 우수표시품은 품질이 우수한 농산물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우수표시품이 아닌 농산물에 부적절하게 사용하거나 비슷한 표시를 하는 것은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고 농산물의 품질을 가장한 속임수에 해당하기 때문에 처벌 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의 등급규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정답률: 34%)
  • 농산물의 등급규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농산물의 특성에 따라 등급을 구분해야 한다. 둘째, 농산물의 외형, 크기, 색상, 무게 등을 고려하여 등급을 결정해야 한다. 셋째, 농산물의 식품안전성과 건강에 대한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등급을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ㄱ, ㄹ"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안전성조사 결과 생산단계 안전기준을 위반한 농산물 또는 농지에 대한 조치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 농산물의 몰수
  2. 해당 농산물의 출하 연기
  3. 해당 농지의 개량
  4. 해당 농지의 이용 금지
(정답률: 67%)
  • "해당 농산물의 몰수"가 옳지 않은 이유는, 몰수는 해당 농산물이 안전기준을 위반하여 생산되었을 경우에만 적용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출하 연기, 개량, 이용 금지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농산물이 안전기준을 위반하지 않았다면 몰수는 적절한 조치가 아닐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유전자변형농산물의 표시 위반에 대한 처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표시의 변경 명령
  2. 표시의 삭제 명령
  3. 위반품의 용도전환 명령
  4. 위반품의 거래행위 금지 처분
(정답률: 65%)
  • 위반품의 용도전환 명령은 유전자변형농산물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도록 명령하는 것이다. 이는 위반품을 폐기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따라서 이는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유전자변형농산물의 표시 위반에 대한 처분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의 안전성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안전한 농축산물의 생산ㆍ공급을 위한 안전관리계획을 5년마다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2.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농산물의 생산에 이용ㆍ사용하는 농지ㆍ용수(用水)ㆍ자재 등에 대하여 안전성조사를 하여야 한다.
  3.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농산물의 생산단계 안전기준을 정할 때에는 관계 시ㆍ도지사와 합의하여야 한다.
  4.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유해물질 잔류조사를 위하여 필요하면 관계 공무원에게 무상으로 시료 수거를 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54%)
  •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유해물질 잔류조사를 위하여 필요하면 관계 공무원에게 무상으로 시료 수거를 하게 할 수 있다. - 이유: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의 안전성조사를 위해 필요한 시료 수집을 위해서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 등 관계 공무원에게 시료 수집을 요청해야 하지만, 이는 농가 등에게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무상으로 시료 수집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 지리적표시의 등록을 취소하였을 때 공고하여야 하는 사항은?

  1. 등록일 및 등록번호
  2. 지리적표시 등록 대상품목 및 등록명칭
  3. 지리적표시품의 품질 특성과 지리적 요인의 관계
  4. 지리적표시 대상지역의 범위
(정답률: 38%)
  • 농산물 지리적표시 등록이 취소되면, 해당 지리적표시 등록 대상품목 및 등록명칭을 공고해야 합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해당 농산물의 지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품질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등록일 및 등록번호, 지리적표시품의 품질 특성과 지리적 요인의 관계, 지리적표시 대상지역의 범위도 중요하지만, 이들은 등록 취소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정부가 수매하는 농산물로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겉보리
  2. 쌀보리
  3. 누에씨
  4. 땅콩
(정답률: 77%)
  • 누에씨는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정부가 수매하는 농산물로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검사를 받아야 하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의 검사판정 취소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검사 유효기간이 지나고, 검사 결과의 표시가 없어지거나 명확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
  2.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검사를 받은 사실이 확인된 경우
  3. 검사 또는 재검사 결과의 표시 또는 검사증명서를 위조하거나 변조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
  4. 검사 또는 재검사를 받은 농산물의 포장이나 내용물을 바꾼 사실이 확인된 경우
(정답률: 73%)
  •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검사 유효기간이 지나고, 검사 결과의 표시가 없어지거나 명확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검사 결과의 유효기간이 지나거나 표시가 없어진 경우에는 농산물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검사판정을 취소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품질관리사의 업무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농산물의 표시사항 준수에 관한 지도
  2. 농산물의 생산 및 수확 후의 품질관리기술 지도
  3. 농산물 및 농산가공품의 품위ㆍ성분 등에 대한 검정
  4. 농산물의 선별ㆍ저장 및 포장 시설 등의 운용ㆍ관리
(정답률: 57%)
  • 농산물 및 농산가공품의 품위ㆍ성분 등에 대한 검정은 농산물품질관리사의 업무로 옳지 않습니다. 이는 검사원이나 인증기관 등의 전문가가 수행하는 업무이기 때문입니다. 농산물품질관리사는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의 품질관리, 포장농산물의 표시사항 준수, 농산물의 선별, 저장 및 포장 시설 등의 운용 및 관리에 대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우수관리인증을 신청할 수 있는 자는?

  1. 우수표시품이 아닌 농산물에 우수표시품의 표시를 하거나 이와 비슷한 표시를 하여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후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2. 이력추적관리의 표시를 한 농산물에 이력추적관리의 등록을 하지 아니한 농산물 또는 농산가공품을 혼합판매하여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후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3. 농산물에 대한 검사 및 검정 결과의 표시, 검사증명서 및 검정증명서를 위조하여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후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유전자변형농산물의 표시를 거짓으로 하거나 이를 혼동하게 할 우려가 있는 표시를 하여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후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정답률: 36%)
  •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우수관리인증을 신청할 수 있는 자는 법령상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는 생산자, 가공자, 유통업자 등이다.

    유전자변형농산물의 표시를 거짓으로 하거나 이를 혼동하게 할 우려가 있는 표시를 하여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후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농산물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령상의 규정을 위반한 경우이며, 이러한 행위는 농산물의 소비자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농산물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농산물우수관리인증을 신청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우수관리인증기관의 업무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우수관리인증 업무와 관련하여 우수관리인증기관의 장 등 임원ㆍ직원에 대하여 벌금 이상의 형이 확정된 경우
  2. 우수관리인증의 기준을 잘못 적용하는 등 우수관리인증 업무를 잘못한 경우
  3. 정당한 사유없이 1년 이상 우수관리인증 실적이 없는 경우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우수관리인증기관 지정을 받은 경우
(정답률: 24%)
  • 정답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우수관리인증기관 지정을 받은 경우"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우수관리인증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하는 반면, 이 보기는 우수관리인증기관 자체가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되었을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업무정지를 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우수관리인증의 취소 및 표시정지에 해당하는 다음의 위반사항 중 1차 위반만으로는 인증취소가 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ㄷ, ㅁ
  3. ㄴ, ㄷ, ㄹ
  4. ㄴ, ㄹ, ㅁ
(정답률: 82%)
  • 1차 위반사항 중 "ㄱ, ㄷ, ㅁ"은 모두 경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경미한 위반사항이기 때문에 인증취소가 되지 않습니다. "ㄴ, ㄷ, ㄹ"은 중간 단계의 위반사항으로 인증취소가 될 가능성이 있고, "ㄴ, ㄹ, ㅁ"은 심각한 위반사항으로 인증취소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령상 개별기준에 의한 위반금액별 과징금의 부과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00만원 초과 500만원 이하: 위반금액 × 0.5
  2. 500만원 초과 1,000만원 이하: 위반금액 × 1.0
  3. 1,000만원 초과 2,000만원 이하: 위반금액 × 1.5
  4. 2,000만원 초과 3,000만원 이하: 위반금액 × 2.0
(정답률: 25%)
  • "100만원 초과 500만원 이하: 위반금액 × 0.5"이 옳지 않은 이유는, 법령상 개별기준에 따라 위반금액별 과징금이 부과되는데, 이 기준에서 100만원 이하의 위반금액은 과징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0만원 초과 500만원 이하"의 범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령상 일반음식점 영업을 하는 자가 농산물을 조리하여 판매하는 경우 원산지 표시 대상이 아닌 것은?

  1. 누룽지에 사용하는 쌀
  2. 깍두기에 사용하는 무
  3. 콩국수에 사용하는 콩
  4. 육회에 사용하는 쇠고기
(정답률: 62%)
  • 깍두기에 사용하는 무는 원산지 표시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령에서 "가공된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는 해당 가공물의 원재료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원재료의 원산지를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깍두기의 경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원재료는 배추이므로 배추의 원산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전자거래를 촉진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에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업무가 아닌 것은?

  1. 대금결제 지원을 위한 인터넷 은행의 설립
  2. 농산물 전자거래 분쟁조정위원회에 대한 운영 지원
  3. 농산물 전자거래 참여 판매자 및 구매자의 등록ㆍ심사 및 관리
  4. 농산물 전자거래에 관한 유통정보 서비스 제공
(정답률: 72%)
  • "대금결제 지원을 위한 인터넷 은행의 설립"은 법령상 전자거래를 촉진하기 위한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에서 명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에 수행하게 할 수 없는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도매시장 개설자로부터 중도매업의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자는?

  1.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사람이나 피성년후견인
  2. 절도죄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종료 된지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3. 중도매업 허가증을 타인에게 대여하여 허가가 취소된 날부터 1년이 지난 자
  4. 도매시장법인의 주주가 해당 도매시장법인의 업무와 경합되는 중도매업을 하려는 자
(정답률: 48%)
  • 중도매업은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도매시장 개설자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절도죄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종료 된지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중도매업 허가를 받을 수 없습니다. 이는 법령상 중도매업자로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산물가격안정기금으로 출하를 약정하는 생산자에게 그 대금의 일부를 미리 지급할 수 있는 대상 농산물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50%)
  • 정답은 "ㄱ, ㄴ, ㄹ" 입니다. 농산물가격안정기금은 출하를 약정하는 생산자에게 그 대금의 일부를 미리 지급할 수 있는 대상 농산물을 선정하는데, 이는 농산물의 생산량과 수요를 고려하여 선정됩니다. 따라서 모든 고른 것이 대상이 될 수 없으며, "ㄱ, ㄴ, ㄹ"은 생산량과 수요가 적절하게 맞아 농산물가격안정기금의 대상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도매시장거래 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는 사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률: 78%)
  •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도매시장거래 분쟁조정위원회는 농수산물의 유통과 가격안정을 위해 설치된 기관으로, 도매시장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원으로 위촉될 수 있는 사람은 농수산물 유통과 관련된 지식과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제한됩니다. 이에 따라 "ㄱ, ㄴ, ㄷ, ㄹ" 모두 농수산물 유통과 관련된 분야에서 경력과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위원으로 위촉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산물의 비축사업 등을 위탁하기 위하여 정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상 농산물의 품목 및 수량
  2. 대상 농산물의 수출에 관한 사항
  3. 대상 농산물의 판매 방법ㆍ수매에 필요한 사항
  4. 대상 농산물의 품질ㆍ규격 및 가격
(정답률: 56%)
  • 법령상 농산물의 비축사업 등을 위탁하기 위해 정하는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대상 농산물의 수출에 관한 사항"입니다. 이는 농산물의 수출에 대한 규정이 아니라, 농산물의 비축사업 등을 위탁하기 위한 사항에 대한 규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대상 농산물의 수출에 관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산물 수탁판매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장도매인은 해당 도매시장의 도매시장 법인ㆍ중도매인에게 농산물을 판매하지 못한다.
  2. 중도매인이 전자 거래소에서 농산물을 거래하는 경우에도 도매시장으로 반입하여야 한다.
  3. 중도매인 간 거래액은 최저거래금액 산정 시에 포함한다.
  4. 상장되지 아니한 농산물의 거래는 도매시장 법인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48%)
  • "시장도매인은 해당 도매시장의 도매시장 법인ㆍ중도매인에게 농산물을 판매하지 못한다."는 농산물 수탁판매의 원칙 중 하나로, 시장도매인은 농산물을 직접 구매하지 않고 도매시장 법인이나 중도매인에게 수탁하여 판매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농산물의 가격안정과 유통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시장도매인이 직접 구매하면 농산물 가격이 불안정해지고, 중간 유통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자에게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장도매인은 해당 도매시장의 도매시장 법인이나 중도매인에게 농산물을 판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시(市)가 지방도매시장 개설허가를 받을 경우에 갖추어야할 요건이 아닌 것은?

  1. 개설하려는 장소가 농수산물 거래의 중심지로서 적절한 위치에 있을 것
  2. 도매시장이 보유하여야 하는 시설의 기준은 부류별로 그 지역의 인구 및 거래 물량 등을 고려하여 정할 것
  3. 농산물집하장의 설치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할 것
  4. 운영관리 계획서의 내용이 충실하고 그 실현이 확실하다고 인정되는 것일 것
(정답률: 59%)
  • 농산물집하장의 설치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할 것은 시가 지방도매시장 개설허가를 받을 경우에 갖추어야할 요건이 아닌 것이다. 이는 농산물집하장은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운영하는 시설로, 시장과는 별도의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가 지방도매시장 개설을 위해서는 개설하려는 장소가 적절한 위치에 있을 것, 도매시장이 보유하여야 하는 시설의 기준은 부류별로 그 지역의 인구 및 거래 물량 등을 고려하여 정할 것, 운영관리 계획서의 내용이 충실하고 그 실현이 확실하다고 인정되는 것 등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주산지의 지정 및 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요 농산물의 재배면적이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고시하는 면적 이상이어야 한다.
  2. 주요 농산물의 출하량이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고시하는 수량 이상이어야 한다.
  3. 주요 농산물의 생산지역의 지정은 읍ㆍ면ㆍ동 또는 시ㆍ군ㆍ구 단위로 한다.
  4.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주산지가 지정요건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되었을 때에는 그 지정을 변경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정답률: 53%)
  • "주요 농산물의 출하량이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고시하는 수량 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에서는 주요 농산물의 생산지역을 읍ㆍ면ㆍ동 또는 시ㆍ군ㆍ구 단위로 지정하며, 이를 주산지라고 합니다. 이때, 주요 농산물의 재배면적이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고시하는 면적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농산물의 생산량, 수출량, 수입량 등을 고려하여 주산지를 지정합니다. 그리고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주산지가 지정요건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되었을 때에는 그 지정을 변경하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도매시장법인이 과도한 겸영사업으로 인하여 도매업무가 약화될 우려가 있는 경우 겸영사업 제한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완명령
  2. 6개월 금지
  3. 1년 금지
  4. 2년 금지
(정답률: 27%)
  •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도매시장법인이 과도한 겸영사업으로 인하여 도매업무가 약화될 우려가 있는 경우 겸영사업 제한으로 옳지 않은 것은 "2년 금지"입니다. 이는 겸영사업을 금지하는 기간 중 가장 긴 기간으로, 도매시장법인이 겸영사업을 중단하고 도매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원예작물학

26. 채소작물과 주요 기능성물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양파 – 케르세틴(quercetin)
  2. 상추 – 락투신(lactucin)
  3. 딸기 - 엘라그산(ellagic acid)
  4. 생강 - 알리인(alliin)
(정답률: 77%)
  • 생강은 알리인이 아닌 징글레본(zingiberene)과 생강올레오레진(gingerol) 등의 기능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알리인은 양파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채소작물 중 조미채소는?

  1. 마늘, 배추
  2. 마늘, 양파
  3. 배추, 호박
  4. 호박, 양파
(정답률: 91%)
  • 조미채소는 음식에 맛을 내는데 사용되는 채소로, 마늘과 양파는 대표적인 조미채소입니다. 반면에 배추와 호박은 음식에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밑반찬이나 국물 요리 등에서 식재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늘, 양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작업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양액재배 베드를 허리 높이로 설치하여 NFT 방식 또는 점적관수 방식으로 딸기를 재배하는 방법은?

  1. 고설 재배
  2. 아칭 재배
  3. 매트 재배
  4. 홈통 재배
(정답률: 84%)
  • 고설 재배는 딸기를 겨울철에 재배하는 방법으로, 딸기가 겨울철에 잘 자라기 위해서는 낮과 밤의 온도차가 커야하고, 습도와 일조량이 적당해야 합니다. 양액재배 베드를 허리 높이로 설치하여 딸기를 재배하면, 딸기의 뿌리가 자연스럽게 공기 중에 노출되어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할 수 있어서 딸기의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NFT 방식이나 점적관수 방식으로 딸기를 재배하면 물과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딸기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설 재배가 양액재배 베드와 NFT 방식 또는 점적관수 방식을 활용하여 딸기를 재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채소종자 중 장명(長命)종자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정답률: 75%)
  • 장명(長命)은 긴 수명을 뜻하는데, 이를 상징하는 채소는 무와 당근입니다. 따라서 무와 당근의 종자를 고르면 됩니다. 보기에서 무와 당근의 종자는 "ㄷ, ㄹ"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채소류의 추대와 개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추는 저온단일 조건에서 추대가 촉진된다.
  2. 배추는 고온장일 조건에서 추대가 촉진된다.
  3. 오이는 저온단일 조건에서 암꽃의 수가 증가한다.
  4. 당근은 녹식물 상태에서 저온에 감응하여 꽃눈이 분화된다.
(정답률: 43%)
  • "당근은 녹식물 상태에서 저온에 감응하여 꽃눈이 분화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상추는 저온단일 조건에서 추대가 촉진되는 이유는, 추대는 식물이 생장하는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데, 상추는 저온에서 생장하는 것이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온 조건에서 상추는 추대가 촉진됩니다.

    배추는 고온장일 조건에서 추대가 촉진되는 이유는, 배추는 봄과 가을에 재배되는데, 봄에는 낮과 밤의 온도 차가 크기 때문에 추대가 발생하지 않지만, 가을에는 낮과 밤의 온도 차가 적어져 추대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오이는 저온단일 조건에서 암꽃의 수가 증가하는 이유는, 오이는 저온에서 생장하는 것이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온 조건에서 오이는 암꽃의 수가 증가합니다.

    당근은 녹식물 상태에서는 꽃눈이 분화되지 않습니다. 당근은 일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생장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 때 꽃눈이 분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채소작물 재배 시 병해충의 경종적(耕種的) 방제법에 속하는 것은?

  1. 윤작
  2. 천적 방사
  3. 농약 살포
  4. 페로몬 트랩
(정답률: 69%)
  • 윤작은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경작하는 방법으로, 토양을 깊게 갈아서 병해충의 알과 유충을 파괴하고, 토양속의 산소와 물을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병해충의 경종적 방제법에 속합니다. 천적 방사는 천적을 이용하여 병해충을 제어하는 방법, 농약 살포는 화학적인 농약을 사용하여 병해충을 제어하는 방법, 페로몬 트랩은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페로몬을 이용하여 병해충의 번식을 방해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채소작물의 과실 착과와 발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마토는 위과이며 자방이 비대하여 과실이 된다.
  2. 딸기는 진과이고 화탁이 발달하여 과실이 된다.
  3. 멜론은 시설재배 시 인공 수분이나 착과제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4. 오이는 단위결과성이 약하여 인공수분이나 착과제 처리가 필요하다.
(정답률: 77%)
  • 멜론은 시설재배 시 인공 수분이나 착과제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이는 멜론이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며, 착과제 처리를 함으로써 과실의 품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식물체 내에서 수분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합성의 원료가 된다.
  2. 세포 팽압 조절에 관여한다.
  3. 식물에 필요한 영양원소를 이동시킨다.
  4. 증산작용을 통해 잎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정답률: 84%)
  • 증산작용은 수분이 증발함으로써 열을 흡수하는 과정이므로, 수분이 증산작용을 통해 잎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화훼작물 중 화목류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74%)
  • 화목류는 나무와 관련된 식물을 말하며, 보기에서 "ㄱ"에 해당하는 꽃들은 모두 나무와 관련이 있고, "ㄷ"와 "ㄹ"에 해당하는 꽃들도 나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답은 "ㄱ, ㄷ, ㄹ"입니다. "ㄴ"에 해당하는 꽃들은 나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화훼작물과 주된 영양번식 방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국화 – 삽목
  2. 백합 – 취목
  3. 베고니아 – 엽삽
  4. 무궁화 - 경삽
(정답률: 65%)
  • 백합은 취목보다는 비단모종으로 번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백합 - 취목"은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1경1화 형태로 출하하기 때문에 개화 전에 측뢰, 측지를 따 주어야 상품성이 높은 절화용 화훼작물은?

  1. 능소화
  2. 시클라멘
  3. 스탠다드국화
  4. 글라디올러스
(정답률: 82%)
  • 스탠다드국화는 1경1화 형태로 출하하기 때문에 개화 전에 측뢰, 측지를 따 주어야 상품성이 높은 절화용 화훼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절화류 취급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국은 수명을 유지하고 수분흡수를 높이기 위해 워터튜브에 꽂아 유통되고 있다.
  2. 국화는 저장 시 암흑상태가 지속되면 잎이 황변되어 상품성이 떨어진다.
  3. 안수리움은 저장 시 4℃ 이하의 저온에 두어야 수명이 길어진다.
  4. 줄기 끝을 비스듬히 잘라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물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69%)
  • "안수리움은 저장 시 4℃ 이하의 저온에 두어야 수명이 길어진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안수리움은 다른 절화류와 마찬가지로 저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절화류는 원래 서식지가 습한 지역이기 때문에 건조에 약하고, 높은 온도에서는 빠르게 시들어서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수리움을 저장할 때에는 4℃ 이하의 저온에 두어야 수명이 길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조량의 부족, 낮은 야간온도 및 엽수 부족으로 인하여 장미 꽃눈이 꽃으로 발육하지 못하는 현상은?

  1. 수침 현상
  2. 블라인드 현상
  3. 일소 현상
  4. 로제트 현상
(정답률: 77%)
  • 장미 꽃눈이 꽃으로 발육하지 못하는 현상은 블라인드 현상이다. 이는 일조량의 부족, 낮은 야간온도 및 엽수 부족으로 인해 꽃눈이 발육하지 못하고 꽃잎이 직접 발달하여 꽃봉오리가 열리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절화 유통 과정에서 눕혀 수송하면 화서 선단부가 중력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보이는 화훼작물은?

  1. 장미, 백합
  2. 칼라, 튤립
  3. 거베라, 스토크
  4. 글라디올러스, 금어초
(정답률: 73%)
  • 절화 유통 과정에서 눕혀 수송하면 화서 선단부가 중력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은 화서 선단부가 무거워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무게가 가벼운 화훼작물일수록 이 현상이 적게 발생하게 됩니다. 글라디올러스와 금어초는 그 중에서도 비교적 가벼운 화훼작물로, 이러한 이유로 절화 유통 과정에서 눕혀 수송해도 선단부가 휘어지는 현상이 적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 )안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육묘, 가식
  2. 가식, 육묘
  3. 육묘, 정식
  4. 재배, 정식
(정답률: 8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육묘와 가식이며, 육묘는 식물을 기르는 것을 의미하고 가식은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육묘, 가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절화보존용액 구성성분 중 에틸렌 생성 및 작용을 억제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황산알루미늄
  2. STS
  3. AOA
  4. AVG
(정답률: 47%)
  • 황산알루미늄은 절화보존용액 구성성분 중 에틸렌 생성 및 작용을 억제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 아닙니다. 황산알루미늄은 pH 조절제로 사용되며, 절화보존용액에서는 미생물 성장 억제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산알루미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야파(夜破, night break) 처리를 하면 개화시기가 늦춰지는 화훼작물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84%)
  • 야파 처리는 작물의 꽃봉오리를 제거하여 개화를 늦추는 방법이다. 따라서 개화시기가 늦춰지는 작물을 고르면 된다. "ㄱ, ㄹ"은 모두 개화가 늦은 작물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핵과류(核果類, stone fruit)에 해당하는 과실은?

  1. 사과
  2. 호두
  3. 복숭아
(정답률: 79%)
  • 핵과류는 과실 안에 딱딱한 씨앗이 있는 과일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씨앗이 없는 과일은 씨과류라고 합니다. 따라서, "배", "사과", "호두"는 씨과류에 해당하고, "복숭아"는 핵과류에 해당합니다. 복숭아는 과실 안에 딱딱한 씨앗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과수의 번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주, 조직배양은 영양번식에 해당한다.
  2. 취목은 실생번식에 비해 많은 개체를 얻을 수 있다.
  3. 접목은 대목과 접수를 조직적으로 유합ㆍ접착시키는 번식법이다.
  4. 발아가 어려운 종자의 파종전 처리방법에는 침지법, 약제처리법이 있다.
(정답률: 83%)
  • "취목은 실생번식에 비해 많은 개체를 얻을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이 아니다. 취목은 실생번식과 같은 방식으로 번식하는 것이 아니라, 뿌리를 자르거나 줄기를 쪼개어 번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취목은 영양번식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과수의 병해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과 근두암종병은 진균에 의한 병이다.
  2. 바이러스는 테트라사이클린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3.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병이다.
  4. 과수류를 가해하는 응애에는 점박이응애, 긴털이리응애가 있다.
(정답률: 84%)
  •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병이다. 이는 진균이나 바이러스와는 달리 세균에 의한 병으로, 치료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과원의 토양관리 방법 중 초생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양침식이 촉진된다.
  2. 토양의 입단화가 억제된다.
  3. 지온의 변화가 심해 유기물의 분해가 촉진된다.
  4. 과수와 풀 사이에 양ㆍ수분 쟁탈이 일어날 수 있다.
(정답률: 82%)
  • 초생법은 토양의 유기물 분해를 촉진시키는 선식물로, 과수와 풀 사이에 양ㆍ수분 쟁탈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은 초생법이 풀과 과수 사이에서 양분과 수분을 경쟁하여 더 많은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수와 풀을 함께 심는 경우 초생법이 과수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재배에 적합한 토양 산도가 가장 낮은 과수는?

  1. 포도
  2. 참다래
  3. 블루베리
(정답률: 56%)
  • 블루베리는 산성 토양을 선호하며, 적은 양의 질소와 높은 양의 칼륨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적합한 토양 산도가 가장 낮은 과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과원의 시비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칼슘은 산성 토양을 중화시키는 토양개량제로 이용되고 있다.
  2. 질소는 과다시비하면 식물체가 도장하고 꽃눈형성이 불량하게 된다.
  3. 망간은 과다시비하면 착색이 늦어지고 과육에 내부갈변이 나타난다.
  4. 마그네슘은 엽록소의 필수 구성 성분으로 부족 시 엽맥 사이의 황화현상을 일으킨다.
(정답률: 53%)
  • 정답은 "망간은 과다시비하면 착색이 늦어지고 과육에 내부갈변이 나타난다." 이다. 이유는 설명이 부족하다. 망간은 과다시비하면 과육의 내부갈변뿐만 아니라 잎이 검게 변하거나 잎이 말리는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복숭아 재배 시 봉지씌우기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무기질 함량을 높인다.
  2. 병해충으로부터 과실을 보호한다.
  3. 열과를 방지한다.
  4. 농약이 과실에 직접 묻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5%)
  • 복숭아 재배 시 봉지씌우기의 목적은 병해충으로부터 과실을 보호하고 열과를 방지하며 농약이 과실에 직접 묻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무기질 함량을 높인다."는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자발휴면 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도가 가장 낮은 과수는?

  1. 사과
  2. 살구
  3. 무화과
  4. 동양배
(정답률: 50%)
  • 무화과는 겨울철에도 열매가 잘 익어서 자발휴면에 빠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과수들보다 저온요구도가 낮아 자발휴면 타파에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확 후 품질관리론

51. 다음 원예작물의 수확기 판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근은 뿌리가 오렌지색이고 심부는 녹색일 때 수확한다.
  2. 감자는 괴경의 전분이 축적되고 표피가 코르크화 되었을 때 수확한다.
  3. 양파는 부패율 감소를 위해 잎이 90% 정도 도복되었을 때 수확한다.
  4. 마늘은 잎이 30% 정도 황화되면서부터 경엽이 1/2~1/3 정도 건조되었을 때 수확한다.
(정답률: 39%)
  • "양파는 부패율 감소를 위해 잎이 90% 정도 도복되었을 때 수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양파는 잎이 50% 정도 노랗게 변하면 수확해야 한다. 잎이 90% 정도 도복되면 이미 지나쳐서 수확하면 부패가 빨리 일어날 수 있다.

    "당근은 뿌리가 오렌지색이고 심부는 녹색일 때 수확한다."는 당근의 수확기 판정 기준 중 하나이다. 당근의 뿌리가 오렌지색이면 당근의 당분 함량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심부가 녹색이면 아직 성장이 덜 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확하기 적절한 시기가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겉포장재와 속포장재의 기본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겉포장재는 수송 및 취급이 편리하여야 한다.
  2. 겉포장재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상품을 보호해야 한다.
  3. 속포장재는 상품 간 압상, 마찰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4. 속포장재는 기능성보다는 심미성을 우선으로 한 재질을 선택해야 한다.
(정답률: 80%)
  • "속포장재는 기능성보다는 심미성을 우선으로 한 재질을 선택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속포장재는 기능성이 우선되어야 하며, 상품을 보호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원예산물의 MA 포장용 필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강도가 높아야 한다.
  2. 결로현상을 막을 수 있어야 한다.
  3. 외부로부터의 가스차단성이 높아야 한다.
  4. 접착작업과 상업적 취급이 용이해야 한다.
(정답률: 69%)
  • "외부로부터의 가스차단성이 높아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원예산물이 숨을 쉬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원예산물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해야 하므로 가스가 통과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가스차단성이 높으면 원예산물이 숨쉬지 못하고 썩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저온유통수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예냉한 농산물을 일반트럭이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운송한다.
  2. 저장고를 구비하여 출하 전까지 저온저장을 해야 한다.
  3. 상온유통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낮은 포장상자를 사용한다.
  4. 다품목 운송 시 수송온도를 동일하게 적용하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58%)
  • 저온유통수송은 농산물 등의 식품을 저온으로 유지하여 신선도를 유지하고 품질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출하 전까지 저장고를 구비하여 저온저장을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농산물 등의 식품이 출하 전까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품질관리측면에서 일반 청과물과 비교했을 때 신선편이 농산물이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출된 표면적이 크다.
  2. 물리적인 상처가 많다.
  3. 호흡속도가 느리다.
  4.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62%)
  • 답: "호흡속도가 느리다."는 농산물이 갖는 특징으로 옳은 것이다. 이는 농산물이 일반 청과물보다 오래 보관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농산물은 일반적으로 노출된 표면적이 크고 물리적인 상처가 많아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예산물과 저온장해 증상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참외 – 발효촉진
  2. 토마토 – 후숙억제
  3. 사과 – 탈피증상
  4. 복숭아 - 막공현상
(정답률: 69%)
  • 원예산물 중 토마토는 저온장해에 취약하며, 특히 후숙억제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토마토를 보관할 때는 저온장해를 예방하고 후숙억제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계적 장해를 회피하기 위한 수확 후 관리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80%)
  • ㄱ. 수확 후 작물을 빠르게 건조시켜 노후를 방지하고, 작물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여 부패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옳다.
    ㄴ. 작물을 보관할 때는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여 작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옳다.
    ㄷ. 작물을 보관할 때는 작물의 종류와 보관 기간에 따라 적절한 보관 방법을 선택하여 작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옳다.
    ㄹ. 작물을 보관할 때는 작물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부패나 변질이 있는 경우 즉시 처리하여 전파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확 후 손실경감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나나는 수확 후 후숙억제를 위해 5℃에서 저장한다.
  2. 배, 감귤은 수확 후 7~10일 정도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예건한다.
  3. 단감은 갈변을 예방하기 위해 수확 후 0℃에서 3~4주간 저온저장한 후 MA 포장을 실시한다.
  4. 조생종 사과는 수확 직후에 호흡이 가장 왕성하기 때문에 예냉을 통해 5℃까지 낮춘다.
(정답률: 42%)
  • "바나나는 수확 후 후숙억제를 위해 5℃에서 저장한다." 이유는 바나나는 에틸렌 가스를 발생시켜 후숙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5℃에서 저장하여 에틸렌 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손실을 줄이기 위함이다.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해당 작물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방법으로 손실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경과 화채류의 호흡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원예산물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무, 배추
  2. 당근, 콜리플라워
  3. 양파, 브로콜리
  4. 마늘, 아스파라거스
(정답률: 58%)
  • 인경과 화채류는 호흡시에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이때 인경과 화채류는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함께 영양분을 이용하여 호흡을 한다. 따라서 호흡에 필요한 영양분이 많이 포함된 원예산물이 먼저 나열되어야 한다. "양파, 브로콜리"는 호흡에 필요한 영양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에틸렌이 원예산물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마토의 착색
  2. 아스파라거스 줄기의 연화
  3. 떫은 감의 탈삽
  4. 브로콜리의 황화
(정답률: 48%)
  • 에틸렌은 식물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스이다. 따라서 에틸렌이 원예산물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다. 그러나 "아스파라거스 줄기의 연화"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아스파라거스는 에틸렌에 민감한 작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틸렌이 아스파라거스 줄기의 연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원예산물의 성숙 과정에서 착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추는 캡사이신 색소의 합성으로 일어난다.
  2. 사과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합성으로 일어난다.
  3. 토마토는 카로티노이드 색소의 합성으로 일어난다.
  4. 바나나는 가려져 있던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엽록소의 분해로 전면에 나타난다.
(정답률: 45%)
  • "고추는 캡사이신 색소의 합성으로 일어난다."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고추는 캡사이신이라는 화합물이 존재하며, 이것이 고추의 매운 맛과 색을 결정한다. 캡사이신은 고추의 성장과 성숙 과정에서 합성되며, 이 과정에서 고추의 색이 변화한다. 따라서 "고추는 캡사이신 색소의 합성으로 일어난다."는 설명은 옳다.

    사과는 안토시아닌, 토마토는 카로티노이드, 바나나는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존재한다는 것도 맞다.

    하지만 "바나나는 가려져 있던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엽록소의 분해로 전면에 나타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바나나는 엽록소가 거의 없는 식물이기 때문에, 엽록소의 분해로 인해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바나나의 색은 대부분 열매의 성장과 성숙 과정에서 합성되는 카로티노이드 색소에 의해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감자 수확 후 큐어링이 저장 중 수분 손실을 줄이고 부패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주된 이유는?

  1. 슈베린 축적
  2. 큐틴 축적
  3. 펙틴질 축적
  4. 왁스질 축적
(정답률: 35%)
  • 감자 수확 후 큐어링 과정에서 슈베린 축적이 일어나면서 감자 표면에 얇은 막이 형성되어 수분 손실을 줄이고 부패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슈베린은 감자 표면에 존재하는 당분과 단백질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물질로, 이것이 감자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슈베린 축적이 충분하지 않으면 감자는 수분을 빠르게 잃고 부패하기 쉬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원예산물의 풍미를 결정짓는 인자는?

  1. 크기, 모양
  2. 색도, 경도
  3. 당도, 산도
  4. 염도, 밀도
(정답률: 80%)
  • 원예산물의 풍미를 결정짓는 인자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당도와 산도입니다. 당도는 과일이나 채소 안에 포함된 당의 양을 나타내며, 당이 많을수록 달콤한 맛이 나타납니다. 산도는 과일이나 채소 안에 포함된 산의 양을 나타내며, 산이 많을수록 신맛이 강해지고 산미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당도와 산도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면 좋은 풍미를 가진 원예산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Hunter L, a, b 값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피색을 수치화하는데 이용한다.
  2. L 값이 클수록 밝음을 의미한다.
  3. 양(+)의 a 값은 적색도를 나타낸다.
  4. 양(+)의 b 값은 녹색도를 나타낸다.
(정답률: 45%)
  • 정답: "양(+)의 b 값은 녹색도를 나타낸다."이 옳지 않다.

    Hunter L, a, b 값은 색의 밝기(L), 적색/녹색 정도(a), 청색/황색 정도(b)를 나타내는 색 공간이다. L 값이 클수록 밝음을 나타내며, a 값이 양(+)이면 적색, 음(-)이면 녹색을 나타낸다. b 값이 양(+)이면 녹색, 음(-)이면 황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양(+)의 b 값은 녹색도를 나타낸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사과의 비파괴 품질 측정법으로서 근적외선(NIR) 분광법의 주요 용도는?

  1. 당도 선별
  2. 무게 선별
  3. 모양 선별
  4. 색도 선별
(정답률: 53%)
  • 근적외선(NIR) 분광법은 사과의 당도를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사과의 내부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당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과의 당도를 판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도 선별"이 정답입니다. 무게, 모양, 색도는 다른 측정법이나 기술을 사용하여 판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원예산물의 경도와 연관성이 큰 품질 구성 요소는?

  1. 조직감
  2. 착색도
  3. 안전성
  4. 기능성
(정답률: 85%)
  • 원예산물의 경도는 해당 작물의 조직 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감은 원예산물의 경도와 연관성이 큰 품질 구성 요소입니다. 조직감이 좋은 원예산물은 신선하고 탄력이 있으며, 맛과 향이 좋습니다. 또한 조리나 가공 시에도 유용하며, 소비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저장 중인 원예산물의 증산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를 낮추면 증산이 감소한다.
  2. 기압을 낮추면 증산이 증가한다.
  3. CO2 농도를 높이면 증산이 감소한다.
  4. 키위나 복숭아처럼 표피에 털이 많으면 증산이 증가한다.
(정답률: 60%)
  • "키위나 복숭아처럼 표피에 털이 많으면 증산이 증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털이 많은 식물은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증산이 증가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인 규칙이 아니며 식물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

    키위나 복숭아처럼 털이 많은 식물은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증산이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농산물의 안전성에 위협이 되는 곰팡이 독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플라톡신(aflatoxin) B1
  2. 오크라톡신(ochratoxin) A
  3. 보툴리늄 톡신(botulinum toxin)
  4. 제랄레논(zearalenone)
(정답률: 44%)
  • 보툴리늄 톡신은 곰팡이 독소가 아니라 박테리아 독소이기 때문에 농산물의 안전성에 위협이 되는 곰팡이 독소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과실의 성숙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분이 당으로 변한다.
  2. 유기산이 증가하여 신맛이 증가한다.
  3. 엽록소가 감소하여 녹색이 감소한다.
  4. 펙틴질이 분해되어 조직이 연화된다.
(정답률: 71%)
  • "유기산이 증가하여 신맛이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과일의 성숙 과정에서 유기산은 감소하고, 당의 함량이 증가하여 달콤한 맛이 강해진다. 따라서, 옳은 답은 "유기산이 감소하여 달콤한 맛이 강해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농산물 포장재 중 기계적 강도가 높고 산소투과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 폴리에스테르(PET)
  3. 폴리스티렌(PS)
  4.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정답률: 42%)
  • 폴리에스테르(PET)는 기계적 강도가 높아서 내구성이 뛰어나며, 산소투과도가 낮아서 식품 등의 산소 침입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산물 등의 식품 포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HACCP 7원칙 중 다음 4단계의 실시 순서가 옳은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ㄱ → ㄷ → ㄴ → ㄹ
  3. ㄴ → ㄱ → ㄹ → ㄷ
  4. ㄴ → ㄹ → ㄷ → ㄱ
(정답률: 36%)
  • 정답은 "ㄱ → ㄷ → ㄴ → ㄹ" 입니다. 이는 HACCP 7원칙 중 4단계인 위험분석, 위험요소의 중요도 평가, CCP 설정, CCP 모니터링 절차 개발 및 검증의 순서를 따른 것입니다. 먼저 위험분석을 통해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그 중요도를 평가한 후 CCP를 설정하고, 해당 CCP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저장 과정에서 과도하게 증산되어 사과의 과피가 쭈글쭈글해지는 수확 후 장해는?

  1. 고두병
  2. 밀증상
  3. 껍질덴병
  4. 위조증상
(정답률: 57%)
  • 위조증상은 저장 중에 과도한 증산으로 인해 사과의 과피가 쭈글쭈글해지는 증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원예산물의 수확 후 가스장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숭아의 섬유질화가 대표적이다.
  2. 저농도 산소 조건에서는 이취가 발생한다.
  3. 고농도 이산화탄소 조건에서는 과육갈변이 발생한다.
  4. 에틸렌에 의해서 포도의 연화(노화) 현상이 발생한다.
(정답률: 48%)
  • "복숭아의 섬유질화가 대표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복숭아는 섬유질화보다는 과육갈변이 발생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섬유질화는 사과나 배 등의 과일에서 주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강제통풍식 예냉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공식 예냉 방법에 비하여 시설비가 적게 든다.
  2. 냉풍냉각 방법에 비하여 적재 위치에 따른 온도 편차가 적다.
  3. 차압통풍 방법에 비하여 냉각속도가 빨라 급속 냉각이 요구되는 작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4. 예냉고 내의 공기를 송풍기로 강제적으로 교반시키거나 예냉 산물에 직접 냉기를 불어 넣는 방법이다.
(정답률: 53%)
  • "차압통풍 방법에 비하여 냉각속도가 빨라 급속 냉각이 요구되는 작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강제통풍식 예냉 방법은 차압통풍 방법과 비교하여 냉각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급속 냉각이 요구되는 작물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저온 저장고의 벽면 시공에 사용되는 재료 중에서 단열 효과가 우수한 것은?

  1. 합판
  2. 시멘트 블록
  3. 폴리우레탄 패널
  4. 콘크리트
(정답률: 80%)
  • 폴리우레탄 패널은 공기 중의 열 전달을 막아주는 단열재로 구성되어 있어, 저온 저장고의 벽면 시공에 적합합니다. 합판, 시멘트 블록, 콘크리트는 단열 효과가 미미하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산물유통론

76.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정책 과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자 지향적 유통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2. 우리나라 유통 상황에 적합한 수확 후 관리기술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3. 기존 유통관련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4. 유통조성사업 규모는 감축시키고 유통시설투자는 확충해야 한다.
(정답률: 77%)
  • "유통조성사업 규모는 감축시키고 유통시설투자는 확충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유통시설의 부족과 불편한 유통환경을 해결하기 위해 유통조성사업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 옳은 정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최근 산지직거래 확대에 따른 유통경로 다양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매시장 외 거래가 위축되고 있다.
  2. 대형유통업체는 구입가격을 조정할 수 있다.
  3. 종합유통센터를 경유하면 유통단계가 축소된다.
  4. 수직적 유통경로의 특성을 보인다.
(정답률: 67%)
  • "도매시장 외 거래가 위축되고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실제로 최근 산지직거래가 확대되면서 도매시장 외에서의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거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농산물 유통경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매단계, 소매단계는 유통단계에 포함된다.
  2. 유통경로는 단계와 길이로 구분한다.
  3. 중간상이 늘어날수록 유통비용은 증가한다.
  4.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전체 유통경로의 길이는 짧아진다.
(정답률: 85%)
  •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전체 유통경로의 길이는 짧아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유통단계가 많을수록 중간상이 많아지고 유통비용이 증가하므로 전체 유통경로의 길이는 오히려 더 길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동계산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단위, 월단위 등 일정기간의 평균가격을 적용한다.
  2. 출하자별로 출하물량과 등급을 구분하지 않는다.
  3. 다품목에 대해 서로 독립된 공동계산을 형성할 수 있다.
  4. 신선채소와 같이 수확량의 변동이 큰 품목의 경우 가격변동 위험을 축소하는 효과가 더 크다.
(정답률: 41%)
  • 공동계산제도에서는 출하자별로 출하물량과 등급을 구분하여 계산하지 않습니다. 대신 일정기간의 평균가격을 적용하고, 다품목에 대해 서로 독립된 공동계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신선채소와 같이 수확량의 변동이 큰 품목의 경우 가격변동 위험을 축소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농산물을 구매하기 위하여 설립한 소비자협동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가수취가격과 소비자 구매가격의 인하를 유도하고 있다.
  2. 자연을 지키는 사회 참여 활동을 하기도 한다.
  3. 가격보다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품질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4. 생산자와 농산물의 직거래를 꾀하고 있다.
(정답률: 60%)
  • "생산자와 농산물의 직거래를 꾀하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농가수취가격과 소비자 구매가격의 인하를 유도하는 이유는 중간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고,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거래를 통해 가격을 조정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생산자는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소비자는 더 저렴한 가격으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협동조합은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품질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연을 지키는 사회 참여 활동을 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농산물 선물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건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률: 70%)
  • 농산물 선물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농산물의 공급과 수요를 매칭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거래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ㄱ"인 농산물의 품질관리, "ㄴ"인 농산물의 안전성 보장, "ㄷ"인 거래의 투명성과 안정성 확보, 그리고 "ㄹ"인 다양한 농산물의 공급과 수요 매칭이 모두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농산물의 소매단계 유통조직이 아닌 것은?

  1. 인터넷 판매
  2. 체인스토어 물류센터
  3. 전통시장
  4. 대형마트(할인점)
(정답률: 59%)
  • 체인스토어 물류센터는 농산물을 직접 판매하지 않는 유통조직으로, 농산물을 대량으로 수입하고 보관, 분류, 배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물류센터이기 때문에 소매단계 유통조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계약자가 생산농가에게 종자, 비료, 농약 등을 제공하고 생산된 물량을 전량 구매 하는 조건의 계약형태는?

  1. 유통협약계약
  2. 판매특정계약
  3. 경영소득보장계약
  4. 자원공급계약
(정답률: 60%)
  • 자원공급계약은 생산자에게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산된 물량을 전량 구매하는 계약 형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 계약자가 생산농가에게 종자, 비료, 농약 등을 제공하고 생산된 물량을 전량 구매하는 조건이 부합하므로 자원공급계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과 같은 매매방법은?

  1. 상장경매
  2. 비상장거래
  3. 정가ㆍ수의매매
  4. 시장도매인 거래
(정답률: 75%)
  • 이 매매방법은 "정가ㆍ수의매매"이다. 이유는 가격이 이미 정해져 있고, 수량만 매매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즉, 매도자와 매수자가 미리 합의한 가격에 따라 일정 수량의 상품을 매매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현재 우리나라 농산물종합유통센터의 발전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센터간 통합ㆍ조정기능 강화
  2. 실질적 예약상대거래 체계 구축
  3. 첨단 유통정보시스템 구축
  4. 수입농산물 취급 추진
(정답률: 78%)
  • 수입농산물 취급 추진은 우리나라 농산물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국내 농산물 생산자들의 이익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산지에서 이루어지는 밭떼기, 입도선매(立稻先賣) 농산물 거래방식은?

  1. 정전거래
  2. 포전거래
  3. 문전거래
  4. 창고거래
(정답률: 73%)
  • 산지에서 이루어지는 밭떼기, 입도선매 농산물 거래방식은 농작물을 수확하기 전에 미리 가격을 약속하고 거래하는 방식으로, 이를 포전거래라고 합니다. 이 방식은 농민들이 농작물을 수확하기 전에 미리 가격을 알 수 있어 안정적인 수익을 예측할 수 있고, 수확 후에는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농산물을 중간상인이나 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판매하기 때문에 농민들이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농산물 등급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급의 수를 증가시킬수록 유통의 효율성 중 가격의 효율성이 낮아진다.
  2. 등급기준은 생산자보다 최종소비자의 입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3. 등급화가 정착되면 농산물 거래가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4. 농산물은 무게, 크기, 모양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등급화가 어렵다.
(정답률: 65%)
  • "등급의 수를 증가시킬수록 유통의 효율성 중 가격의 효율성이 낮아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등급의 수가 적으면 농산물의 품질을 구분하기 어렵고, 등급의 수가 많으면 농산물의 품질을 더욱 세분화하여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다만, 등급의 수가 많아질수록 가격의 효율성은 낮아지는데, 이는 등급이 세분화됨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지 않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유통조성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다.
  2. 유통정보, 표준화, 등급화가 포함된다.
  3. 상적(商的) 유통기능을 의미한다.
  4. 유통금융과 위험부담 기능이 포함된다.
(정답률: 50%)
  • 상적(商的) 유통기능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유통조성기능은 제품의 생산부터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유통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기능에는 유통정보, 표준화, 등급화, 유통금융, 위험부담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농산물의 공급량 변동이 가격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측하는 수치는?

  1. 가격신축성
  2. 가격변동률
  3. 가격탄력성
  4. 공급탄력성
(정답률: 7%)
  • 가격신축성은 농산물의 공급량 변동이 가격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측하는 수치입니다. 이는 가격이 변동할 때 수요나 공급의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하고 공급이 증가하며,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가격신축성이 높을수록 가격 변동에 대한 수요나 공급의 반응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농산물 가격의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계약재배사업 확대
  2. 자조금제도 시행
  3. 출하약정사업 실시
  4. 공동판매사업 제한
(정답률: 53%)
  • 농산물 가격의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으로는 계약재배사업 확대, 자조금제도 시행, 출하약정사업 실시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공동판매사업 제한은 농산물 가격의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공동판매사업은 농가들이 함께 농산물을 판매하여 가격을 안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공동판매사업을 제한하는 것은 농산물 가격의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생산자, 유통인, 소비자 등의 대표가 농산물 수급조절과 품질향상을 위해 도모하는 사업은?

  1. 수매비축
  2. 자조금
  3. 유통협약
  4. 농업관측
(정답률: 72%)
  • 유통협약은 생산자와 유통인, 소비자 등이 함께 협력하여 농산물의 생산, 유통, 소비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농산물의 수급조절과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유통협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최근 솔로 이코노미(solo economy)의 사회현상에서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농식품 소비 트렌드로 옳지 않은 것은?

  1. 쌀 소비량 감소
  2. HMR(간편가정식) 구매량 감소
  3. 소분포장 제품 선호 및 외식 증가
  4. 편의점 도시락 판매량 증가
(정답률: 77%)
  • HMR(간편가정식) 구매량 감소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개인 소비 패턴이 변화하면서, 식사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HMR보다는 소분포장 제품이나 외식을 선호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HMR 제조업체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시장 세분화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만족의 극대화
  2. 핵심역량을 집중할 시장의 결정
  3. 광고와 마케팅 비용의 절감
  4. 자사 제품 간의 경쟁 방지
(정답률: 57%)
  • 시장 세분화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와 선호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광고와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목적이 아니다. 오히려 각각의 시장에 맞는 광고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효율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정보의 탐색 →필요의 인식 →구매의사결정 → 대안의 평가 → 구매 후 평가
  2. 정보의 탐색 →필요의 인식 →대안의 평가→ 구매의사결정 → 구매 후 평가
  3. 필요의 인식 →정보의 탐색 →대안의 평가→ 구매의사결정 → 구매 후 평가
  4. 필요의 인식 →구매의사결정 → 정보의 탐색 → 대안의 평가 → 구매 후 평가
(정답률: 85%)
  • 소비자는 먼저 필요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탐색합니다. 그 다음으로 가능한 대안들을 평가하고, 구매의사결정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구매 후에는 구매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필요의 인식 →정보의 탐색 →대안의 평가→ 구매의사결정 → 구매 후 평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제품수명주기(PLC)상 매출액은 증가하는 반면 매출 증가율이 감소하는 시기는?

  1. 성숙기
  2. 성장기
  3. 쇠퇴기
  4. 도입기
(정답률: 70%)
  • 제품수명주기에서 성장기는 제품이 새롭게 출시되어 매출액이 급증하는 시기이고, 도입기는 제품이 처음 출시되어서 매출액이 적은 시기입니다. 쇠퇴기는 제품이 시장에서 더 이상 인기를 끌지 못하고 매출액이 감소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성숙기는 제품이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판매되어 매출액은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감소하는 시기입니다. 이는 시장에서 경쟁 제품이 많아지고, 시장의 포화상태로 인해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농산물의 브랜드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ㄷ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정답률: 78%)
  • - "ㄴ, ㄷ": 농산물의 브랜드 전략에서 중요한 것은 농산물의 특징과 가치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농산물의 원산지, 생산자, 생산과정 등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농산물의 브랜드 전략에서는 "지역 브랜드"와 "생산자 브랜드"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ㄴ, ㄷ"가 정답입니다.
    - "ㄷ, ㄹ": 농산물의 브랜드 전략에서는 농산물의 특징과 가치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농산물의 원산지, 생산자, 생산과정 등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ㄷ, ㄹ"이 정답입니다.
    - "ㄱ, ㄴ, ㄷ": 농산물의 브랜드 전략에서는 농산물의 특징과 가치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농산물의 원산지, 생산자, 생산과정 등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ㄱ, ㄴ,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마케팅믹스 중 가격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경쟁이 치열할수록 개별기업은 독자적으로 가격을 결정하기 어렵다.
  2. 기업들은 혁신소비자층에 대해 초기 저가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3. 제품가격의 숫자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적인 반응에 따라 가격을 변화시키는 단수(홀수)가격결정 전략이 있다.
  4. 일반적으로 농산물의 품질은 가격과 직ㆍ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정답률: 63%)
  • "기업들은 혁신소비자층에 대해 초기 저가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을 도입한 제품에 대해 초기에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저가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서비스마케팅에서 서비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형성
  2. 획일성
  3. 소멸성
  4. 변동성
(정답률: 50%)
  • 서비스마케팅에서 서비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획일성"이다. 서비스는 개별적이며 다양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획일성이 없다. 서비스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맞춤화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개별적이며, 서비스의 특성은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변동성이 있다. 또한 서비스는 물리적인 존재가 없기 때문에 무형성과 소멸성의 특성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신설 영농조합법인이 PC 및 모바일로 친환경 파프리카를 건강식품 제조회사에 판매하는 인터넷마케팅의 유형으로 옳은 것은?

  1. B2B
  2. C2C
  3. B2G
  4. B2C
(정답률: 60%)
  • 정답은 "B2B"입니다. 이유는 건강식품 제조회사는 다른 기업이므로, 영농조합법인과의 거래는 "Business to Business" 즉, 기업 간 거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즉각적이고 단기적인 매출이나 이익 증대를 달성하기 위한 촉진수단은?

  1. PR
  2. 광고
  3. 판촉
  4. 인적판매
(정답률: 48%)
  • 판촉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즉각적으로 홍보하고 판매를 촉진하는 마케팅 수단으로, 할인, 쿠폰, 이벤트 등을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과 구매욕구를 자극하여 단기적인 매출이나 이익 증대를 달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즉각적이고 단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촉진수단으로 판촉이 선택됩니다. PR은 장기적인 이미지 개선이나 브랜드 인지도 증대를 위한 활동이며, 광고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데 사용되지만, 효과가 즉각적이지는 않습니다. 인적판매는 개인적인 접촉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으로, 판촉과 유사하지만 대규모로 진행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