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품질관리사 1차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4-02)

농산물품질관리사 1차
(2022-04-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관계 법령

1.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동음이의어 지리적표시에 관한 정의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발음
  2. 유래
  3. 명성
  4. 품질
(정답률: 70%)
  • 정답은 "유래"입니다.

    지리적 표시란,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거나 가공된 농수산물에 대해 그 지역명을 명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특정한 기후, 토양, 수질 등의 조건이 농산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해당 지역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의 품질이 높다는 인식을 가지고 구매하게 됩니다.

    발음은 지리적 표시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유래는 지리적 표시의 기원과 관련된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명성은 해당 지역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이 얼마나 유명하고 평판이 좋은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품질은 농수산물의 품질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지리적 표시와 관련이 있지만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수산물품질관리심의회의에서 심의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농산물 품질인증에 관한 사항
  2. 농산물 이력추적관리에 관한 사항
  3. 유전자변형농산물의 표시에 관한 사항
  4. 농산물 표준규격 및 물류표준화에 관한 사항
(정답률: 19%)
  • 농산물 품질인증은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수산물품질관리심의회의에서 심의하는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농산물 품질인증은 농산물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로, 해당 농산물이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보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2022년 4월 1일 검사한 보리쌀의 농산물검사의 유효기간은?

  1. 40일
  2. 60일
  3. 90일
  4. 120일
(정답률: 알수없음)
  •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보리쌀의 농산물검사의 유효기간은 90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보리쌀이 검사된 후 90일 이내에는 해당 검사결과가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기간을 초과하면 다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다른 사람에게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을 빌려 주어 자격이 취소된 사람은 그 처분이 있은 날부터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없는 기간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사람에게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을 빌려 주어 자격이 취소된 사람은 농수산물품질관리법령상 '자격취소' 처분을 받게 됩니다. 이 경우, 해당 사람은 처분이 있은 날부터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없는 기간이 부여됩니다. 이 기간은 2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사람은 2년 동안은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우수관리시설의 지위를 승계한 경우 종전의 우수관리시설에 행한 행정제재처분의 효과는 그 지위를 승계한 자에게 승계된다. 처분사실을 인지한 승계자에게 그 처분이 있은 날부터 행정제재처분의 효과가 승계되는 기간은?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률: 60%)
  • 이는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시행령」 제23조(우수관리시설의 지위 승계)에 규정된 내용입니다. 해당 조항에 따르면, 우수관리시설의 지위를 승계한 경우 종전의 우수관리시설에 행한 행정제재처분의 효과는 그 지위를 승계한 자에게 승계됩니다. 그리고 처분사실을 인지한 승계자에게 그 처분이 있은 날부터 행정제재처분의 효과가 승계되는 기간은 1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우수관리인증농산물 표시의 제도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증번호는 표지도형 밑에 표시한다.
  2. 표지도형의 영문 글자는 고딕체로 한다.
  3. 표지도형 상단의 농림축산식품부와 MAFRA KOREA의 글자는 흰색으로 한다.
  4. 표지도형의 색상은 녹색을 기본색상으로 하고, 포장재의 색깔 등을 고려하여 빨간색으로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농산물의 이력추적관리 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이력추적관리의 등록을 한 자에 대하여 이력추적관리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2.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이력추적관리의 등록자로부터 등록사항의 변경신고를 받은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신고수리 여부를 신고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농산물을 생산하거나 유통 또는 판매하는 자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에게 이력추적관리의 등록을 하여야 한다.
  4. 이력추적관리의 등록을 한 자는 등록사항이 변경된 경우 변경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0%)
  •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이력추적관리의 등록자로부터 등록사항의 변경신고를 받은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신고수리 여부를 신고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 아닌 이유는, 이는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이력추적관리 등록자의 의무 사항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이력추적관리 등록자는 등록사항이 변경된 경우 변경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지리적표시 농산물의 특허법 준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원은 등록신청으로 본다.
  2. 특허권은 지리적표시권으로 본다.
  3. 심판장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으로 본다.
  4. 산업통상자원부령은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본다.
(정답률: 0%)
  • "특허권은 지리적표시권으로 본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지리적표시권은 특허권과는 별도의 권리로, 농산물의 원산지를 표시하는 권리를 말합니다.

    심판장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으로 본다는 이유는,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에서 지리적표시 등의 분쟁을 조정하기 위해 심판장을 농림축산식품부장관으로 지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농림축산식품부와의 협조를 통해 효율적인 분쟁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지리적표시품의 1차 위반행위에 따른 행정처분 기준이 가장 경미한 것은?

  1. 지리적표시품이 등록기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 경우
  2. 등록된 지리적표시품이 아닌 제품에 지리적표시를 한 경우
  3. 지리적표시품 생산계획의 이행이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지리적표시품에 정하는 바에 따른 지리적표시를 위반하여 내용물과 다르게 거짓표시를 한 경우
(정답률: 10%)
  • 지리적표시품에 정하는 바에 따른 지리적표시를 위반하여 내용물과 다르게 거짓표시를 한 경우가 가장 경미한 위반행위이다. 이는 다른 위반행위들과 달리 제품의 안전성이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거나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으므로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안전성조사 업무의 일부와 시험분석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안전성검사기관을 지정하고 안전성조사와 시험분석 업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는?

  1. 식품의약품안전처장
  2.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3. 농림축산식품부장관
  4. 농촌진흥청장
(정답률: 46%)
  •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안전성조사와 시험분석 업무를 대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입니다. 이는 농수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농수산물의 안전성 조사와 시험분석 업무를 대행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농수산물의 생산과 유통을 촉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안전성검사기관에 대해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는? (단, 경감사유는 고려하지 않음)

  1. 검사성적서를 거짓으로 내준 경우
  2. 거짓된 방법으로 안전성검사기관 지정을 받은 경우
  3. 부정한 방법으로 안전성검사기관 지정을 받은 경우
  4. 업무의 정지명령을 위반하여 계속 안전성조사 및 시험분석 업무를 한 경우
(정답률: 0%)
  • 검사성적서를 거짓으로 내준 경우는 농수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검사과정에서 부적절한 조작이나 조작 결과를 허위로 작성하여 검사성적서를 내주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로서,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유전자변형농산물의 표시기준 및 표시방법이 아닌 것은?

  1. '유전자변형농산물임'을 표시
  2. '유전자변형농산물이 포함되어 있음'을 표시
  3. '유전자변형농산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
  4. '유전자변형농산물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상 위반에 따른 벌칙의 기준이 다른 것은?

  1. 우수관리인증농산물이 우수관리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우수관리인증농산물의 유통업자에게 판매금지 조치를 명하였으나 판매금지 조치에 따르지 아니한 자
  2. 유전자변형농산물의 표시를 거짓으로 한 자에게 해당 처분을 받았다는 사실을 공표할 것을 명하였으나 공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
  3. 안전성조사를 한 결과 농산물의 생산단계 안전기준을 위반하여 출하 연기 조치를 명하였으나 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한 자
  4. 지리적표시품의 표시방법을 위반하여 표시방법에 대한 시정명령을 받았으나 시정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지리적표시품의 표시방법을 위반하여 표시방법에 대한 시정명령을 받았으나 시정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자의 경우, 다른 경우와 달리 벌칙의 기준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벌칙의 적용 여부는 해당 사안의 심각성과 상황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령상 프랑스에서 수입하여 국내에서 35일간 사육한 닭을 국내 일반음식점에서 삼계탕으로 조리하여 판매할 경우 원산지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삼계탕(닭고기: 국내산)
  2. 삼계탕(닭고기: 프랑스산)
  3. 삼계탕(닭고기: 국내산(출생국: 프랑스))
  4. 삼계탕(닭고기: 국내산과 프랑스산 혼합)
(정답률: 30%)
  • 정답은 "삼계탕(닭고기: 국내산(출생국: 프랑스))" 입니다. 이유는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령에서는 출생국과 사육국이 다른 경우 출생국을 함께 표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국내에서 35일간 사육한 닭이지만 출생국이 프랑스이므로 "국내산(출생국: 프랑스)"로 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령상 위반행위에 관한 내용이다. ( )에 해당하는 과태료 부과기준은?

  1. ㄱ: 500만원 이하, ㄴ: 500만원 이하
  2. ㄱ: 500만원 이하, ㄴ: 1,000만원 이하
  3. ㄱ: 1,000만원 이하, ㄴ: 500만원 이하
  4. ㄱ: 1,000만원 이하, ㄴ: 1,000만원 이하
(정답률: 30%)
  •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령상 위반행위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은 위반행위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이 경우, 위반행위의 종류는 "원산지 표시 등을 하지 않은 경우"이며, 경중은 "경미한 경우"와 "중대한 경우"로 나뉜다. 따라서, 위반행위의 경중에 따라 과태료 부과기준이 달라지며, 경미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 중대한 경우에는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500만원 이하, ㄴ: 1,000만원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령상 A씨가 판매가 35,000원 상당의 고사리에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아 원산지 표시의무를 위반한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는? (단, 감경사유는 고려하지 않음)

  1. 30,000원
  2. 35,000원
  3. 40,000원
  4. 50,000원
(정답률: 30%)
  • 원산지 표시의무를 위반한 경우,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8조에 따라 50,000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중앙도매시장은?

  1. 서울특별시 강서 농산물도매시장
  2. 부산광역시 반여 농산물도매시장
  3. 광주광역시 서부 농수산물도매시장
  4. 인천광역시 삼산 농산물도매시장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도매시장은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중앙도매시장으로 지정된 곳으로, 인천광역시 삼산 농산물도매시장이 그 중 하나이다. 이유는 인천광역시 삼산 농산물도매시장이 법령상 중앙도매시장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가격 예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예시가격을 결정할 때에는 미리 기획재정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2.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해당 농산물의 파종기 이후에 하한가격을 예시하여야 한다.
  3. 가격예시 대상 품목은 계약생산 또는 계약출하를 하는 농산물로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지정하는 품목으로 한다.
  4.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농림업관측 등 예시가격을 지지하기 위한 시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정답률: 47%)
  •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해당 농산물의 파종기 이후에 하한가격을 예시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해당 농산물의 생육기나 수확기 등 적절한 시기에 하한가격을 예시할 수 있습니다. 파종기 이후에만 예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생산자단체를 지정하여 수입ㆍ판매하게 할 수 있는 품목은?

  1. 오렌지
  2. 고추
  3. 마늘
  4. 생강
(정답률: 알수없음)
  •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생산자단체를 지정하여 수입ㆍ판매하게 할 수 있는 품목은 과일, 채소, 축산물 등 다양한 농수산물이 있지만, "오렌지"는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수입과일로서 가격안정을 위해 생산자단체를 지정하여 수입ㆍ판매할 수 있는 대표적인 품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산지유통인의 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수산물을 수집하여 도매시장에 출하하려는 자는 부류별로 도매시장 개설자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중도매인의 임직원은 해당 도매시장에서 산지유통인의 업무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3. 거래의 특례에 따라 시장도매인이 도매시장법인으로부터 매수하여 판매하는 경우 산지유통인 등록을 하여야 한다.
  4. 생산자단체가 구성원의 생산물을 출하하는 경우 산지유통인 등록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자단체가 구성원의 생산물을 출하하는 경우 산지유통인 등록을 하지 않아도 된다. (옳은 설명은 아니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므로 이것이 정답이 됨)

    거래의 특례에 따라 시장도매인이 도매시장법인으로부터 매수하여 판매하는 경우에도 산지유통인 등록을 해야 한다. 이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에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시장도매인이라 하더라도 거래의 특별한 경우에는 산지유통인으로 등록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산물가격안정기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금은 정부 출연금 등의 재원으로 조성한다.
  2. 기금은 농산물의 수출 촉진 사업에 융자 또는 대출할 수 있다.
  3. 기금은 도매시장 시설현대화 사업 지원 등을 위하여 지출한다.
  4. 기금은 국가회계원칙에 따라 기획재정부장관이 운용ㆍ관리한다.
(정답률: 20%)
  • "기금은 국가회계원칙에 따라 기획재정부장관이 운용ㆍ관리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농산물가격안정기금은 국가재정의 일부로서, 국가회계원칙에 따라 운용ㆍ관리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기금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 전자거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농수산물 전자거래소의 설치 및 운영ㆍ관리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2. 농수산물전자거래의 거래수수료는 거래액의 1천분의 30을 초과할 수 없다.
  3. 농수산물전자거래의 거래품목은 농림축산식품부령 또는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농수산물이다.
  4. 농수산물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최대 연임가능 임기는 6년이다.
(정답률: 10%)
  • "농수산물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최대 연임가능 임기는 6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유는 법령상 농수산물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최대 연임가능 임기는 4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전년도 연간 거래액이 8억원인 시장도매인이 해당 도매시장의 중도매인에게 농산물을 판매하여 시장도매인 영업규정위반으로 2차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 도매시장 개설자가 부과기준에 따라 시장도매인에게 부과하는 과징금은? (단, 과징금의 가감은 없음)

  1. 120,000원
  2. 180,000원
  3. 360,000원
  4. 540,000원
(정답률: 19%)
  • 해당 도매시장의 개설자는 시장도매인이 중도매인에게 농산물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시장도매인은 영업규정 위반으로 2차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 이 경우,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과징금 부과 기준은 해당 시장도매인의 전년도 연간 거래액의 1%이다. 따라서, 해당 시장도매인의 전년도 연간 거래액이 8억원이므로, 과징금은 8,000,000원의 1%인 80,000원이 된다. 그러나, 시장도매인이 중도매인에게 농산물을 판매한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과징금은 2배인 160,000원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18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도매시장법인의 겸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매시장법인이 해당 도매시장 외의 군소재지에서 겸영사업을 하려는 경우에는 겸영사업 개시 전에 겸영사업의 내용 및 계획을 겸영하려는 사업장 소재지의 군수에게도 알려야 한다.
  2. 도매시장 개설자는 도매시장법인의 과도한 겸영사업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농림축산식품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겸영사업을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다.
  3. 겸영사업을 하려는 도매시장법인의 유동비율은 100퍼센트 이상이어야 한다.
  4. 도매시장법인이 겸영사업으로 수출을 하는 경우 중도매인ㆍ매매참가인 외의 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정답률: 20%)
  • "겸영사업을 하려는 도매시장법인의 유동비율은 100퍼센트 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도매시장 개설자는 도매시장법인의 과도한 겸영사업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농림축산식품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겸영사업을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매시장법인이 해당 도매시장 외의 군소재지에서 겸영사업을 하려는 경우에는 겸영사업 개시 전에 겸영사업의 내용 및 계획을 겸영하려는 사업장 소재지의 군수에게도 알려야 합니다. 그리고 도매시장법인이 겸영사업으로 수출을 하는 경우 중도매인ㆍ매매참가인 외의 자에게 판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 공판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판장의 중도매인은 공판장의 개설자가 허가한다.
  2. 공판장 개설자가 업무규정을 변경한 경우에는 시ㆍ도지사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3. 농림수협등이 공판장을 개설하려면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도매시장공판장은 농림수협등의 유통자회사로 하여금 운영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40%)
  • "공판장의 중도매인은 공판장의 개설자가 허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공판장은 농수산물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립되는 시설로, 중도매인은 공판장에서 거래를 하는 주체입니다. 따라서 중도매인의 허가는 공판장의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공판장 개설자는 중도매인을 선발하고 허가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원예작물학

26. 원예작물별 주요 기능성 물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상추 – 시니그린(sinigrin)
  2. 고추 – 캡사이신(capsaicin)
  3. 마늘 – 알리인(alliin)
  4. 포도 -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정답률: 28%)
  • 상추에는 시니그린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시니그린은 브로콜리, 무, 레이디시 등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국내 육성 품종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30%)
  • 국내 육성 품종 중 "ㄱ"으로 시작하는 것은 거의 없고, "ㄹ"로 시작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ㄱ, ㄹ"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과(科, family)명과 원예작물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가지과 - 고추, 감자
  2. 국화과 - 당근, 미나리
  3. 생강과 - 양파, 마늘
  4. 장미과 - 석류, 무화과
(정답률: 20%)
  • 가지과는 고추와 감자와 연결됩니다. 이는 이들 식물들이 모두 가지과에 속하며, 과학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화과는 당근과 미나리와 연결됩니다. 생강과는 양파와 마늘과 연결됩니다. 장미과는 석류와 무화과와 연결됩니다. 이들 식물들은 모두 같은 과에 속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과에 속하기 때문에 연결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채소 수경재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정재배가 가능하다.
  2. 재배관리의 자동화와 생력화가 쉽다.
  3. 연작장해가 발생하기 쉽다.
  4. 생육이 빠르고 균일하다.
(정답률: 50%)
  • "연작장해가 발생하기 쉽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물과 영양분 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육이 빠르고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청정재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작장해가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 연작장해란 물과 영양분 공급이 지나치게 많아져 식물이 과다한 양의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게 되어 생육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수경재배 시스템에서는 적정한 물과 영양분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채소의 육묘재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기 수확이 가능하다.
  2. 본밭의 토지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직파에 비해 발아율이 향상된다.
  4. 유묘기의 병해충 관리가 어렵다.
(정답률: 20%)
  • 유묘기는 작은 화분에 씨앗을 심어 놓은 후에 발아시켜 묘목으로 기르는 방법이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조기 수확이 가능하며, 본밭의 토지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직파에 비해 발아율이 향상된다. 하지만 유묘기는 작은 화분에서 기르기 때문에 병해충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작은 화분에서 기르는 유묘기는 병해충의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병해충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양파의 인경비대를 촉진하는 재배환경 조건은?

  1. 저온, 다습
  2. 저온, 건조
  3. 고온, 장일
  4. 고온, 단일
(정답률: 30%)
  • 양파는 고온과 장일한 환경에서 인경비대를 촉진시키는데, 이는 이상적인 생장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저온과 다습한 환경에서는 생장이 둔화되고, 저온과 건조한 환경에서는 생장이 멈추기 때문에 인경비대를 촉진시키기 어렵습니다. 고온과 단일한 환경에서는 생장이 지나치게 촉진되어 양파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양의 염류집적에 관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기물을 시용한다.
  2. 객토를 한다.
  3. 시설로 강우를 차단한다.
  4. 흡비작물을 재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로 강우를 차단하는 것은 옳지 않은 대책입니다. 이는 지하수 충전을 방해하고 지하수 수위를 낮추어 토양의 염화물 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하수 충전을 방해하지 않는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우리나라에서 이용되는 해충별 천적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총채벌레 – 굴파리좀벌
  2. 온실가루이 – 칠레이리응애
  3. 점박이응애 – 애꽃노린재류
  4. 진딧물 - 콜레마니진디벌
(정답률: 알수없음)
  • 진딧물은 식물을 먹는 해충으로, 콜레마니진디벌은 진딧물을 천적으로 먹는 벌입니다. 따라서 진딧물과 콜레마니진디벌은 서로 천적-피식자 관계에 있으며, 이용되는 해충별 천적의 연결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장미 블라인드의 원인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30%)
  • 장미 블라인드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과 외부적인 요인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ㄱ, ㄷ"이 정답인 이유는 "ㄱ"은 유전적인 요인 중 하나인 유전자가 "G"로 표현되기 때문이고, "ㄷ"은 외부적인 요인 중 하나인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ㄱ, ㄷ"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해충의 피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총채벌레는 즙액을 빨아먹는다.
  2. 진딧물은 바이러스를 옮긴다.
  3. 온실가루이는 배설물로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4. 가루깍지벌레는 뿌리를 가해한다.
(정답률: 19%)
  • 가루깍지벌레는 뿌리를 가해하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가루깍지벌레는 나무의 줄기와 가지를 먹어 손상시키는 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화훼작물의 양액재배 시 양액조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전도도(EC)
  2. 이산화탄소 농도
  3. 산도(pH)
  4. 용존산소 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화탄소 농도는 화훼작물의 양액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산화탄소는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대기 중에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농도는 화훼작물의 양액조성에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반면에 전기전도도, 산도, 용존산소 농도는 화훼작물의 생장과 수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훼작물의 저온 춘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온에 의해 화아분화와 개화가 촉진되는 현상이다.
  2. 종자 춘화형은 일정기간 동안 생육한 후부터 저온에 감응한다.
  3. 녹색 식물체 춘화형에는 꽃양배추, 구근류 등이 있다.
  4. 탈춘화는 춘화처리의 자극이 고온으로 인해 소멸되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19%)
  • "종자 춘화형은 일정기간 동안 생육한 후부터 저온에 감응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종자 춘화형은 일정기간 동안 생육한 후가 아니라, 일정기간 동안 저온에 노출된 후에 감응한다. 이는 일정기간 동안 저온에 노출되어 생육한 후가 아니라, 일정기간 동안 저온에 노출되어 생육한 후에 감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분화류의 신장을 억제하여 콤팩트한 모양으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장조절제는?

  1. 2,4-D
  2. IBA
  3. IAA
  4. B-9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9"입니다. 이는 분화류의 신장을 억제하여 콤팩트한 모양으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생장조절제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인 "2,4-D", "IBA", "IAA"는 모두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분화류의 신장을 억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이 설명하는 재배법은?

  1. 매트재배
  2. 네트재배
  3. 아칭재배
  4. 고설재배
(정답률: 37%)
  • 이 재배법은 "고설재배"입니다. 이는 높은 산악 지대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높은 고도와 낮은 기온, 그리고 풍부한 자연적 조명을 활용하여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특히 차나무, 녹차 등의 차류 작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부(-)의 DIF에서 초장 생장의 억제효과가 가장 큰 원예작물은?

  1. 튤립
  2. 국화
  3. 수선화
  4. 히야신스
(정답률: 40%)
  • 국화는 부(-)의 DIF에 민감한 작물 중 하나로, 이 조건이 충족되면 초장 생장이 억제되어 꽃이 더욱 풍성하게 개화합니다. 따라서 국화가 부(-)의 DIF에서 초장 생장의 억제효과가 가장 큰 원예작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조직배양을 통한 무병주 생산이 산업화된 원예작물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28%)
  • 조직배양을 통한 무병주 생산은 원예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이 중에서도 "ㄱ, ㄷ"은 대표적인 원예작물인 꽃과 채소 등에서 적용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이 설명하는 병은?

  1. 궤양병
  2. 흑성병
  3. 화상병
  4. 축과병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병은 피부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피부에 물집이 생기고 터지면서 상처가 생기며 그 부위가 검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은 화상으로 인한 것과 유사하여 화상병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 해 자란 새가지에 과실이 달리는 과수는?

  1. 사과
  2. 포도
  3. 복숭아
(정답률: 55%)
  • 새가지는 봄에 자라기 때문에, 그 해에 열리는 과일 중에서는 가장 빨리 열리는 포도가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과수별 실생대목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사과 – 야광나무
  2. 배 – 아그배나무
  3. 감 – 고욤나무
  4. 감귤 - 탱자나무
(정답률: 10%)
  • 배는 아그배나무가 아니라 배나무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아그배나무는 다른 과일과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꽃받기가 발달하여 과육이 되고 씨방은 과심이 되는 과실은?

  1. 사과
  2. 복숭아
  3. 포도
  4. 단감
(정답률: 37%)
  • 사과는 꽃받기가 발달하여 과육이 되고, 씨방은 과심이 되는 과실이다. 다른 보기들은 꽃받기가 발달하여 과육이 되는 과일이지만, 씨방은 과심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과수에서 꽃눈분화나 과실발육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실시하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하기전정
  2. 환상박피
  3. 순지르기
  4. 강전정
(정답률: 31%)
  • 강전정은 과수에서 실시하는 작업 중 꽃눈분화나 과실발육을 촉진시키는 목적이 아닌 작업입니다. 하기전정은 가지치기를 하는 것이고, 환상박피는 꽃봉오리를 제거하는 것, 순지르기는 가지를 정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과수원 토양의 입단화 촉진 효과가 있는 재배방법이 아닌 것은?

  1. 석회 시비
  2. 유기물 시비
  3. 반사필름 피복
  4. 녹비작물 재배
(정답률: 30%)
  • 반사필름 피복은 과수원 토양의 입단화 촉진 효과와는 무관한 재배방법입니다. 반사필름은 햇빛을 반사시켜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토양의 입단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사필름 피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과수 재배 시 늦서리 피해 경감 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로(霜路)가 되는 경사면 재배를 피한다.
  2.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서 재배한다.
  3.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수상 살수를 실시한다.
  4. 송풍법으로 과수원 공기를 순환시켜 준다.
(정답률: 37%)
  •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서 재배한다."는 옳은 설명이며, 늦서리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이러한 지형을 선택하는 이유는 고지대에 위치하여 온도가 낮아 상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에서는 바람이 많이 불어 과수원 공기를 자연스럽게 순환시킬 수 있어 습도 조절에도 도움이 됩니다. 스프링클러나 송풍법은 수상 살수나 과수원 공기순환을 위한 대책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늦서리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주요 대책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엽록소의 구성성분으로 부족할 경우 잎의 황백화 원인이 되는 필수원소는?

  1. 칼슘
  2. 붕소
  3. 마그네슘
(정답률: 30%)
  • 엽록소는 마그네슘을 포함한 여러 가지 원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엽록소의 구성성분이 부족해져 잎의 황백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철, 칼슘, 붕소도 엽록소의 구성성분 중 하나이지만, 이들이 부족해도 황백화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경사지 과수원과 비교하였을 때 평탄지 과수원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배수가 양호하다.
  2. 토양 침식이 적다.
  3. 기계작업이 편리하다.
  4. 토지 이용률이 높다.
(정답률: 20%)
  • 평탄지 과수원의 장점은 "기계작업이 편리하다.", "토지 이용률이 높다.", "토양 침식이 적다."입니다. 따라서 "배수가 양호하다."는 평탄지 과수원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평탄지는 지형이 평평하여 물이 흐르지 않고 머무르기 때문에 지하수가 많은 지역이라면 물이 과수원에 머무르게 되어 과수나무의 뿌리가 썩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평탄지 과수원에서는 적절한 배수 시설을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확 후 품질관리론

51. 원예산물의 수확적기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후지 사과 - 요오드반응으로 과육의 착색면적이 최대일 때 수확한다.
  2. 저장용 마늘 - 추대가 되기 전에 수확한다.
  3. 신고 배 - 만개 후 90일 정도에 과피가 녹황색이 되면 수확한다.
  4. 가지 - 종자가 급속히 발달하기 직전인 열매의 비대최성기에 수확한다.
(정답률: 10%)
  • 가지는 종자가 급속히 발달하기 직전인 열매의 비대최성기에 수확하는 것이 옳다. 이는 가지가 성장하면서 씨앗이 발달하고 열매가 노화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확 시기를 놓치면 가지의 맛과 질이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과(후지)의 성숙 시 관련하는 주요 색소를 선택하고 그 변화로 옳은 것은?

  1. ㄱ: 증가, ㄴ: 감소
  2. ㄱ: 감소, ㄴ: 증가
  3. ㄱ: 감소, ㄴ: 감소, ㄷ: 증가
  4. ㄱ: 증가, ㄴ: 증가, ㄷ: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사과(후지)의 성숙 시 주요 색소는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입니다. 성장 초기에는 엽록소가 많이 존재하여 초록색을 띠지만, 성장과 함께 엽록소의 양은 감소하고 카로티노이드의 양이 증가하면서 빨간색이 강해집니다. 따라서 주요 색소 중에서는 "ㄱ: 증가, ㄴ: 감소"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호흡급등형 원예산물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28%)
  • 이미지에서 보이는 원예산물들은 모두 초목이며, 초목은 대개 뿌리가 얕고 흙을 덜 먹어 호흡이 어렵기 때문에 호흡급등형 식물이다. 따라서 "ㄱ, ㄹ"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포도의 성숙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분이 당으로 전환된다.
  2. 엽록소의 함량이 감소한다.
  3. 펙틴질이 분해된다.
  4. 유기산이 증가한다.
(정답률: 10%)
  • "유기산이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포도의 성숙 과정에서 유기산은 감소하고, 당의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포도가 달아지고 맛이 좋아지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오이에서 생성되는 쓴맛을 내는 수용성 알칼로이드 물질은?

  1. 아플라톡신
  2. 솔라닌
  3. 쿠쿠르비타신
  4. 아미그달린
(정답률: 34%)
  • 쿠쿠르비타신은 오이에서 생성되는 수용성 알칼로이드 물질 중 하나로, 쓴맛을 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예산물에서 에틸렌의 생합성 과정에 필요한 물질이 아닌 것은?

  1. ACC합성효소
  2. SAM합성효소
  3. ACC산화효소
  4. PLD분해효소
(정답률: 알수없음)
  • PLD분해효소는 에틸렌의 생합성 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물질이 아닙니다. ACC합성효소는 에틸렌 전구물질인 ACC를 합성하고, SAM합성효소는 ACC를 SAM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ACC산화효소는 ACC를 에틸렌으로 산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원예작물의 수확 후 증산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증산율이 낮은 작물일수록 저장성이 약하다.
  2. 공기 중의 상대습도가 높아질수록 증산이 활발해져 생체중량이 감소된다.
  3. 증산은 대기압에 정비례하므로 압력이 높을수록 증가한다.
  4. 원예산물로부터 수분이 수증기 형태로 대기중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정답률: 39%)
  • 정답은 "원예산물로부터 수분이 수증기 형태로 대기중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입니다. 이는 수분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어 대기 중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증산작용의 일부로, 증산율이 높은 작물일수록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켜 생체중이 감소하게 됩니다. 공기 중의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증산이 활발해지며, 대기압에 따라 증산량이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과실별 주요 유기산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도 – 주석산
  2. 감귤 – 구연산
  3. 사과 – 말산
  4. 자두 - 옥살산
(정답률: 20%)
  • 자두는 옥살산이 아닌 구연산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두 - 옥살산"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포도는 주석산, 감귤은 구연산, 사과는 말산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원예산물의 조직감과 관련성이 높은 품질구성 요소는?

  1. 산도
  2. 색도
  3. 수분함량
  4. 향기
(정답률: 40%)
  • 원예산물의 조직감은 수분 함량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적절한 수분 함량이 유지되면 원예산물은 촉촉하고 신선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수분 함량은 원예산물의 조직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품질 구성 요소 중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굴절당도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당도는 측정시 과실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영점을 보정할 때 증류수를 사용한다.
  3. 당도는 과실내의 불용성 펙틴의 함량을 기준으로 한다.
  4. 표준당도는 설탕물 10 % 용액의 당도를 1 % (°Brix)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굴절당도계는 과일 등의 액체 측정에 사용되며, 광선이 액체를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당도를 계산한다. 이 때 영점을 보정하는데, 영점은 굴절이 일어나지 않는 순수한 물의 굴절각을 말한다. 따라서 영점을 보정할 때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순수한 물의 굴절각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당도를 계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원예산물에서 카로티노이드 계통의 색소가 아닌 것은?

  1. α-카로틴
  2. 루테인
  3. 케라시아닌
  4. β-카로틴
(정답률: 10%)
  • 케라시아닌은 카로티노이드 계통의 색소가 아닙니다. 대신에 케라틴과 같은 단백질에 존재하는 색소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α-카로틴, 루테인, β-카로틴은 모두 카로티노이드 계통의 색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확 후 감자의 슈베린 축적을 유도하여 수분손실을 줄이고 미생물 침입을 예방하는 전처리는?

  1. 예냉
  2. 예건
  3. 치유
  4. 예조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 수확 후 슈베린 축적을 유도하는 전처리는 "치유"이다. 이는 감자가 수확 후 상처가 생기고 이로 인해 수분이 증발하고 미생물이 침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상처를 치유시켜 수분손실을 줄이고 미생물 침입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원예산물의 세척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ㄱ,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10%)
  • ㄱ은 물에 담가서 세척하는 방법으로, 물에 잠긴 상태에서 미생물이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ㄴ은 손으로 직접 세척하는 방법으로, 물로 세척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더러운 부분을 직접 손으로 문지르면서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ㄷ은 세제나 약품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방법으로, 물로만 세척하기 어려운 강력한 오염물질이나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ㄱ, ㄴ, ㄷ이 모두 포함된 ㄱ, ㄴ, ㄷ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을 위해 보존액의 pH를 산성으로 유도하는 물질은?

  1. 제1인산칼륨, 시트르산
  2. 카프릴산, 제2인산칼륨
  3. 시트르산, 수산화나트륨
  4. 탄산칼륨, 카프릴산
(정답률: 알수없음)
  •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을 위해 보존액의 pH를 산성으로 유도하는 것은 시트르산과 제1인산칼륨입니다. 이는 pH를 낮추어 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꽃을 오래 보존하기 위함입니다. 카프릴산, 제2인산칼륨, 시트르산, 수산화나트륨, 탄산칼륨은 보존액의 pH를 조절하는 물질 중 일부이지만,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산성으로 유도해야 하므로 시트르산과 제1인산칼륨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 )에 알맞은 용어는?

  1. ㄱ: 호흡열, ㄴ: 대류열
  2. ㄱ: 포장열, ㄴ: 비열
  3. ㄱ: 냉장열, ㄴ: 복사열
  4. ㄱ: 포장열, ㄴ: 장비열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물체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열 전달 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때 물체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포장열이라고 하며, 이는 물체의 온도 변화와는 무관합니다. 반면에 물체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비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물체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열이 포장열이고, 물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열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열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포장열, ㄴ: 비열"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확 후 후숙처리에 의해 상품성이 향상되는 원예산물은?

  1. 체리
  2. 포도
  3. 사과
  4. 바나나
(정답률: 알수없음)
  • 바나나는 수확 후에도 후숙처리를 통해 상품성이 향상되는 원예산물입니다. 바나나는 수확 후에도 노란색으로 익히기 위해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며, 이를 통해 당도와 향이 더욱 풍부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나나는 후숙처리를 통해 더 맛있고 상품성이 높은 제품으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원예산물의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장고 내부를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소독한다.
  2. CA저장고에는 냉각장치, 압력조절장치, 질소발생기를 설치한다.
  3. 저장고 내의 고습을 유지하기 위해 활성탄을 사용한다.
  4. 저장고 내의 온도는 저장중인 원예산물의 품온을 기준으로 조절한다.
(정답률: 40%)
  • "저장고 내의 고습을 유지하기 위해 활성탄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활성탄은 공기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데, 원예산물의 저장 과정에서는 고습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보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냉각장치나 압력조절장치, 질소발생기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원예산물의 MA필름저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위적 공기조성 효과를 낼 수 있다.
  2. 방담필름은 포장 내부의 응결현상을 억제한다.
  3. 필름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산소 투과도 보다 낮아야 한다.
  4. 필름은 인장강도가 높은 것이 좋다.
(정답률: 20%)
  • "필름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산소 투과도 보다 낮아야 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원예산물의 MA필름저장 시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투과도는 서로 비슷해야 합니다. 이유는 이산화탄소와 산소가 포장 내부의 공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필름의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투과도는 서로 비슷한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원예산물의 숙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10%)
  • 원예산물의 숙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 보기에서는 "ㄱ, ㄴ, ㄷ"이 모두 고른 것이다. 이유는 각각의 방법이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ㄱ"은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 숙성을 억제할 수 있고, "ㄴ"은 습도를 조절하여 숙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ㄷ"은 공기 순환을 유지하여 숙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숙성을 억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농민 H씨가 다음과 같은 배를 동일 조건에서 상온저장 할 경우 저장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신고
  2. 신수
  3. 추황배
  4. 영산배
(정답률: 알수없음)
  • 농민 H씨가 상온저장할 경우 저장성이 가장 낮은 배는 "신수"입니다. 이는 신수가 다른 배들에 비해 수분 함량이 높아서 빨리 상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원예산물을 저온저장 시 발생하는 냉해(chilling injury)의 증상이 아닌 것은?

  1. 표피의 함몰
  2. 수침현상
  3. 세포의 결빙
  4. 섬유질화
(정답률: 20%)
  • 세포의 결빙은 원예산물이 저온저장 시 겪는 냉해(chilling injury)의 증상 중 하나이다. 그러나 표피의 함몰, 수침현상, 섬유질화는 모두 냉해의 다른 증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3~7℃에서 저장할 경우 저온장해가 일어날 수 있는 원예산물은?

  1. 토마토
  2. 단감
  3. 사과
(정답률: 50%)
  • 토마토는 저온장해가 일어날 수 있는 원예산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토마토가 3~7℃에서 저장될 경우 내부 조직의 세포막이 파괴되어 식물이 부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마토는 10℃ 이상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단감, 사과, 배는 3~7℃에서 저장해도 저온장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원예산물의 적재 및 유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선채소류에는 수분흡수율이 높은 포장상자를 사용한다.
  2. 압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의 골판지상자로 포장해야 한다.
  3. 기계적 장해를 회피하기 위해 포장박스 내 적재물량을 조절한다.
  4. 골판지 상자의 적재방법에 따라 상자에 가해지는 압축강도는 달라진다.
(정답률: 10%)
  • "신선채소류에는 수분흡수율이 높은 포장상자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채소류는 수분이 많아서 포장상자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면서 상자가 부풀어 오르거나 녹을 수 있기 때문에 수분흡수율이 높은 포장상자를 사용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동일조건에서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가장 낮은 포장재는?

  1. 폴리프로필렌(PP)
  2.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 폴리스티렌(PS)
  4. 폴리에스테르(PET)
(정답률: 40%)
  •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포장재의 밀도와 결합력에 영향을 받는다. 폴리에스테르(PET)는 다른 보기들보다 밀도가 높고 결합력이 강하여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가장 낮다. 따라서 동일조건에서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가장 낮은 포장재는 폴리에스테르(PE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이 설명하는 원예산물관리제도는?

  1. HACCP
  2. PLS
  3. GAP
  4. APC
(정답률: 40%)
  • 이 원예산물관리제도는 PLS(Produce Traceability System)이다. PLS는 생산부터 유통까지의 모든 과정을 추적하여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HACCP는 식품안전관리시스템, GAP는 농작물생산관리기준, APC는 미생물학적위해요소관리시스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산물유통론

76. 농산물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절성ㆍ부패성
  2. 탄력적 수요와 공급
  3. 공산품 대비 표준화ㆍ등급화 어려움
  4. 가격 대비 큰 부피와 중량으로 보관ㆍ운반 시 고비용
(정답률: 30%)
  • 탄력적 수요와 공급은 농산물의 특성이 아니라 경제학적인 개념으로, 가격 변동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농산물의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 간의 간격해소를 위한 유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 간격해소 – 수집
  2. 수량 간격해소 – 소분
  3. 장소 간격해소 – 수송ㆍ분산
  4. 품질 간격해소 - 선별ㆍ등급화
(정답률: 37%)
  • 시간 간격해소 - 수집은 옳은 유통의 기능이 아니다. 시간 간격해소는 농산물 생산과 소비 간의 시간적 차이를 줄이는 것을 말하며, 수집은 농산물을 수집하는 것으로 생산과 소비 간의 시간적 차이를 줄이는 기능이 아니다. 따라서 시간 간격해소 - 수집은 옳지 않은 유통의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최근 식품 소비트렌드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품목 다변화
  2. 친환경식품 증가
  3. 간편가정식(HMR) 증가
  4. 편의점 도시락 판매량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편의점 도시락 판매량 감소는 최근 소비자들이 건강하고 영양가 있는 식사를 선호하며,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간편가정식(HMR)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편의점 도시락은 가격이 비싸고 식품첨가물이 많아 건강에 해로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더욱 주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농산물 유통정보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측정보 - 농업의 경제적 측면 예측자료
  2. 정보종류 - 거래정보, 관측정보, 전망정보
  3. 거래정보 - 산지 단계를 제외한 조사실행
  4. 전망정보 - 개별재배면적, 생산량, 수출입통계
(정답률: 알수없음)
  • 관측정보는 농업의 경제적 측면을 예측하는 자료로, 농산물 시장의 가격 변동, 수요와 공급 상황 등을 파악하여 농산물 유통에 대한 예측을 돕는 정보입니다. 거래정보는 산지 단계를 제외한 조사실행, 전망정보는 개별재배면적, 생산량, 수출입통계 등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농산물 유통기구의 종류와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크게 수집기구, 중개기구, 조성기구로 구성된다.
  2. 중개기구는 주로 도매시장이 역할을 담당한다.
  3. 수집기구는 산지의 생산물 구매역할을 담당한다.
  4. 생산물이 생산자부터 소비자까지 도달하는 과정에 있는 모든 조직을 의미한다.
(정답률: 28%)
  • "생산물이 생산자부터 소비자까지 도달하는 과정에 있는 모든 조직을 의미한다."는 농산물 유통기구의 종류와 역할에 관한 설명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농산물 유통기구는 크게 수집기구, 중개기구, 조성기구로 구성된다. 수집기구는 산지의 생산물 구매역할을 담당하고, 중개기구는 주로 도매시장이 역할을 담당한다. 조성기구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거래를 돕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농산물 도매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매를 통해 가격을 결정한다.
  2. 농산물 가격에 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3. 최근 직거래 등으로 거래비중이 감소되고 있다.
  4. 도매시장법인, 중도매인, 매매참가인 등이 활동한다.
(정답률: 46%)
  • 농산물 도매시장에서는 경매를 통해 가격을 결정하며, 도매시장법인, 중도매인, 매매참가인 등이 활동한다. 하지만 농산물 가격에 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도매시장에서는 가격이 경매를 통해 결정되기 때문에, 농산물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생산자는 산지 수집상에게 배추 1천 포기를 100만원에 판매하고 수집상은 포기당 유통비용 200원, 유통이윤 800원을 더해 도매상에게 판매했다. 수집상의 유통마진율(%)은?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집상이 배추 1포기당 유통비용과 유통이윤을 합쳐 1,000원을 추가로 받았으므로, 도매상이 배추 1포기당 1,000원 더 지불한 것이다. 따라서 수집상의 유통마진율은 (1,000/1,000,000) x 100 = 0.1% 이다.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0.1%에 해당하는 5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협동조합 유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협동조합 유통"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여 중간 유통과정을 생략하고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 따라서,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생산자는 높은 가격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어 상호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 "ㄱ, ㄷ"는 협동조합 유통의 장점으로, 중간 유통과정을 생략하여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제공할 수 있고, 생산자는 높은 가격으로 상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ㄴ, ㄹ"은 협동조합 유통의 단점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필요하기 때문에 규모가 작은 지역에서는 유통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ㄱ, ㄴ, ㄹ"은 협동조합 유통의 장단점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협동조합 유통이 지역사회와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유통 방식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공동판매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신속한 개별정산
  2. 유통비용의 절감
  3. 효율적인 수급조절
  4. 생산자의 소득안정
(정답률: 50%)
  • 공동판매의 장점 중 "신속한 개별정산"은 아닙니다. 공동판매는 유통비용의 절감, 효율적인 수급조절, 생산자의 소득안정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별정산은 각 판매자의 판매량과 수익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처리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소매상의 기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정답률: 20%)
  • 이미지를 보면 소매상이 가지는 기능으로는 "상품 판매"와 "고객 상담"이 있습니다. 이 중 "ㄱ, ㄹ"이 옳은 이유는 "ㄱ"은 상품 판매를 위한 능력, "ㄹ"은 고객 상담을 위한 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ㄴ"은 해당 이미지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으며, "ㄷ"는 소매상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농산물 산지유통의 기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46%)
  • 농산물 산지유통의 기능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거리를 줄여서 농산물의 유통비용을 절감하고,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며, 생산자의 수익을 증대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ㄱ"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거리를 줄여서 농산물의 유통비용을 절감하는 기능을 나타내고, "ㄷ"은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나타냅니다. "ㄹ"은 생산자의 수익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농산물의 물적유통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동차 운송은 접근성에 유리
  2. 상품의 물리적 변화 및 이동 관련 기능
  3. 수송기능은 생산과 소비의 시간격차 해결
  4. 가공, 포장, 저장, 수송, 상하역 등이 해당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차 운송은 접근성에 유리", "상품의 물리적 변화 및 이동 관련 기능", "가공, 포장, 저장, 수송, 상하역 등이 해당"은 모두 농산물의 물적유통기능으로 옳은 내용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수송기능은 생산과 소비의 시간격차 해결"이며, 이는 농산물의 물적유통기능이 아닙니다. 수송기능은 농산물을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운송하여 유통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농산물 무점포 전자상거래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고객정보 획득용이
  2. 오프라인 대비 저비용
  3. 낮은 시간ㆍ공간의 제약
  4. 해킹 등 보안사고에 안전
(정답률: 40%)
  • 해킹 등 보안사고에 안전한 것은 농산물 무점포 전자상거래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온라인 거래에서도 보안 위협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농산물의 등급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ㆍ중ㆍ하로 등급 구분
  2. 품위 및 운반ㆍ저장성 향상
  3. 등급에 따른 가격차이 결정
  4. 규모의 경제에 따른 가격 저렴화
(정답률: 50%)
  • 농산물의 등급화는 상품의 품질을 구분하여 소비자에게 더 나은 상품을 제공하고, 농가의 수익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등급에 따른 가격차이 결정은 상품의 등급이 높을수록 품질이 우수하므로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급화는 소비자와 농가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농산물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급품은 일반품 수요의 가격탄력성 보다 작다.
  2. 수요가 탄력적인 경우 가격인하 시 총수익은 증가한다.
  3. 수요의 가격탄력적 또는 비탄력적 여부는 출하량 조정과는 무관하다.
  4.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품목마다 다르며, 가격하락 시 수요량은 감소한다.
(정답률: 28%)
  • 수요가 탄력적인 경우 가격인하 시 총수익은 증가한다. 이유는 가격이 인하되면 수요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총 매출액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격탄력성이 높은 제품은 가격을 낮추어도 수익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소비자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일 차원적
  2. 목적의식 보유
  3. 선택대안의 비교구매
  4. 주권보유 및 행복추구
(정답률: 30%)
  • "단일 차원적"은 소비자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소비자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단일한 차원으로 분류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소비자의 특성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소비자의 특성은 다차원적이며, 단일 차원적으로 분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시장세분화 전략에서의 행위적 특성은?

  1. 소득
  2. 인구밀도
  3. 개성(personality)
  4. 브랜드충성도(loyalty)
(정답률: 30%)
  • 시장세분화 전략에서의 행위적 특성은 고객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때 보이는 행동이나 반응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브랜드충성도(loyalty)는 고객들이 특정 브랜드에 대해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어서 그 브랜드를 계속해서 선택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나 만족도가 높아서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해당 브랜드는 경쟁 업체들과 차별화를 이루고 고객들의 충성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세분화 전략에서는 이러한 브랜드충성도를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농산물 브랜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광고
  2. 수급조절
  3. 재산보호
  4. 품질보증
(정답률: 알수없음)
  • 농산물 브랜드의 기능 중 수급조절은 아닙니다. 농산물 브랜드는 주로 광고를 통해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재산보호를 위해 상표권을 등록하며, 품질보증을 통해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급조절은 농산물 생산량과 수요를 조절하는 정책적인 역할을 하며, 농산물 브랜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계란, 배추 등 필수 먹거리들을 미끼상품으로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가격전략은?

  1. 리더가격
  2. 단수가격
  3. 관습가격
  4. 개수가격
(정답률: 37%)
  • 이 가격전략은 "리더가격"이다. 리더가격은 시장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판매하여 고객들의 관심을 끌고, 이를 통해 다른 상품도 함께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다. 이 경우, 계란이나 배추와 같은 필수 먹거리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고객들의 관심을 끌고, 이를 통해 다른 상품도 함께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경품, 사은품, 쿠폰 등을 제공하는 판매촉진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상품홍보
  2. 잠재고객 확보
  3. 단기적 매출증가
  4. 타 업체의 모방 곤란
(정답률: 42%)
  • "타 업체의 모방 곤란"은 판매촉진의 효과가 아닌 것이다. 이는 다른 업체들이 해당 기술이나 전략을 쉽게 모방할 수 없어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판매촉진의 효과로서, 상품홍보, 잠재고객 확보, 단기적 매출증가 등은 모두 기업의 판매량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주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농산물의 유통조성기능이 아닌 것은?

  1. 정보제공
  2. 소유권 이전
  3. 표준화ㆍ등급화
  4. 유통금융ㆍ위험부담
(정답률: 30%)
  • 농산물의 유통조성기능 중에서 소유권 이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소유권 이전은 유통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으로, 물건이나 자산의 소유자가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농산물의 유통조성기능은 정보제공, 표준화ㆍ등급화, 유통금융ㆍ위험부담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생산부터 판매까지 유통경로의 모든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소비자의 가치를 창출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시스템은?

  1. POS(Point Of Sales)
  2. CS(Customer Satisfaction)
  3. SCM(Supply Chain Management)
  4.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정답률: 30%)
  • SCM은 생산부터 판매까지 유통경로의 모든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소비자의 가치를 창출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다른 보기인 POS는 판매 시점을 의미하며, CS는 고객 만족도를 의미한다. ERP는 기업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SCM이 유통경로 전체를 관리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종합적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농산물 가격변동의 위험회피 대책이 아닌 것은?

  1. 계약생산
  2. 분산판매
  3. 재해대비
  4. 선도거래
(정답률: 34%)
  • 재해대비는 농산물 가격변동의 위험회피 대책이 아닙니다. 재해대비는 재해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대비책을 미리 마련하는 것으로, 농산물 가격변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해대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단위화물적재시스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수단 이용 효율성 제고
  2. 시스템화로 하역ㆍ수송의 일관화
  3. 파렛트, 컨테이너 등을 이용한 단위화
  4. 국내표준 파렛트 T11형 규격은 1000mm×1000mm
(정답률: 46%)
  • 단위화물적재시스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국내표준 파렛트 T11형 규격은 1000mm×1000mm인 이유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화물차량의 적재공간이 2.4m×1.2m 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파렛트 크기가 결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크기는 국제적으로도 표준화되어 있어 국내외에서 효율적인 물류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농산물 유통시장의 거시환경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농산물 유통시장의 거시환경은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ㄴ, ㄷ, ㄹ"이 모두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ㄴ. 경제적 측면에서는 농산물 유통시장이 국내외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됩니다. 또한 농산물 생산과 유통에 대한 정책과 제도적 지원도 영향을 미칩니다.

    ㄷ. 정치적 측면에서는 정부의 농산물 유통에 대한 정책과 규제, 농업인의 권리와 이익 보호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ㄹ. 사회적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선호와 인식, 농업인의 생활환경과 사회적 지위, 지역사회의 발전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