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로표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항로표지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로표지일반

1. 해역의 조건에 따라 좌ㆍ우측한계선에 설치하여야 할 부표간의 평균거리중 틀린것은?

  1. 외해에서는 3마일 이내
  2. 준외해에서는 1마일 내외
  3. 내해 또는 시계불량한 지역은 1.5마일 정도
  4. 내해 또는 시계불량한 지역은 0.5마일 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내해 또는 시계불량한 지역은 1.5마일 정도"가 틀린 것이다. 내해나 시계불량한 지역은 부표간의 평균거리를 더 가깝게 설치해야 하므로, "내해 또는 시계불량한 지역은 0.5마일 정도"가 맞는다. 이유는 내해나 시계불량한 지역에서는 해류나 파도 등의 영향으로 선박의 위치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부표간의 거리를 더 가깝게 설정하여 선박의 위치 파악을 돕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립장애표지의 등질은 어느 것인가?

  1. 매10초 2섬광 또는 매5초 2섬광
  2. 매10초 1섬광 또는 매5초 1섬광
  3. 매15초 2섬광 또는 매10초 2섬광
  4. 매15초 1섬광 또는 매5초 1섬광
(정답률: 알수없음)
  • 고립장애표지는 해상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표지로, 밤에는 빛을 내어 선박이나 다른 수상 장비들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등질은 가능한 한 빛이 밝고 눈에 잘 띄어야 합니다.

    "매10초 2섬광 또는 매5초 2섬광"이 정답인 이유는, 10초에 한 번씩 2번의 섬광을 내거나, 5초에 한 번씩 2번의 섬광을 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빛이 자주 깜빡이기 때문에 더욱 눈에 띄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매10초 1섬광 또는 매5초 1섬광", "매15초 2섬광 또는 매10초 2섬광", "매15초 1섬광 또는 매5초 1섬광"으로, 빛이 자주 나오지 않거나, 섬광이 한 번만 나오기 때문에 덜 눈에 띄게 됩니다. 따라서 고립장애표지의 등질로는 "매10초 2섬광 또는 매5초 2섬광"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정선을 평면위에 직선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고안된 도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평면도법
  2. 점장도법
  3. 중분위도법
  4. 항정선도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항정선을 평면위에 직선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점장도법을 사용한다. 이는 항해에서 사용되는 항로도를 그리는 데에도 이용되는데, 항로도에서는 항로를 나타내는 선을 항로선이라고 하며, 이 항로선을 평면위에 나타내기 위해서도 점장도법을 사용한다. 점장도법은 항로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점을 찍고, 이 점들을 연결하여 항로선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안개, 눈, 비 등으로 인하여 시계가 나쁠 때 음향을 발하여 그 위치를 표시하는 항로표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파표지
  2. 형상표지
  3. 음파표지
  4. 광파표지
(정답률: 알수없음)
  • 안개, 눈, 비 등으로 인해 시계가 나쁠 때는 시각적인 항로표지가 제대로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음파표지를 사용하여 항로를 안내합니다. 음파표지는 소리를 발생시켜 그 위치를 알리는 것으로, 안개 등 시각적인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도 항로 안내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파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해양수산부장관은 항로표지법에 의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상교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항로표지개발에관한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는데 이 기본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하는가?

  1. 3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수산부장관이 수립시행하는 항로표지개발에 관한 기본계획은 10년 단위로 수립됩니다. 이는 항로표지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개선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양환경의 변화나 해양교통의 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일정한 주기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0년 단위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컴퍼스의 남북선과 선수미선이 이루는 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진침로
  2. 시침로
  3. 나침로
  4. 자침로
(정답률: 알수없음)
  • 컴퍼스의 남북선과 선수미선이 이루는 각을 나침로라고 부릅니다. 이는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서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북쪽을 0도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360도까지 표시됩니다. 따라서 컴퍼스의 남북선과 선수미선이 이루는 각을 나타내는 것이 나침로입니다. "진침로"나 "시침로"는 나침반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나침로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자침로"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항로표지 종류 중 특수항로 표지 분류에 속하는 것은?

  1. 등대, 등표, 도등, 조사등, 지향등, 등주
  2. 조류 신호 표지, 선박 통항 신호 표지(VTS), 기상 신호 표지
  3. 입표, 도표, 부표
  4. 라디오 비콘, 레이더 비콘, 레이마크 비콘
(정답률: 알수없음)
  • 특수항로 표지 분류는 항로 안전을 위해 특별히 설치된 표지들을 말합니다. 조류 신호 표지는 조류의 위치와 이동 방향을 알려주는 표지이며, 선박 통항 신호 표지(VTS)는 선박의 통행을 안전하게 지원하기 위한 표지입니다. 기상 신호 표지는 날씨 정보를 제공하여 선박 운항에 도움을 주는 표지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특수항로 표지 분류에 속하는 것은 조류 신호 표지, 선박 통항 신호 표지(VTS), 기상 신호 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항로표지의 설치· 관리의 권한은?

  1. 건설교통부장관
  2. 해양수산부장관
  3. 행정자치부장관
  4. 산업자원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항로표지는 해양안전과 관련된 중요한 시설이므로, 해당 권한은 해양수산부장관에게 있습니다. 다른 부장관들도 해양안전과 관련된 역할을 맡고 있지만, 항로표지의 설치와 관리는 해양수산분야의 전문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부장관이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부표의 위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조위가 기본 수준면 일 때 측정한 위치
  2. 조위가 평균수면 일 때 측정한 위치
  3. 부표 사슬의 위치
  4. 부표의 침추가 정치된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부표의 위치는 부표의 침추가 정치된 위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부표가 바다나 호수 등의 수면에 떠 있는 상태에서 부표의 침추가 수면 아래로 얼마나 침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해양 및 수산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점멸광의 등질주기가 15초를 초과하지 않도록 권고한 등질은?

  1. 복합군섬광
  2. 단섬광
  3. 장섬광
  4. 모르스부호광
(정답률: 알수없음)
  • 점멸광의 등질주기가 15초를 초과하지 않도록 권고한 이유는 안전을 위해서입니다. 만약 등질주기가 15초를 초과하면, 다른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서 점멸광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등질주기가 15초 이하인 광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 중에서도 단섬광은 등질주기가 일정하고 규칙적이어서 인식하기 쉽기 때문에 권고되는 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암초나 침선 등 위험물의 발견, 수심의 변화, 항로표지의 신설· 폐지 등과 같이 직접 항해 및 정박에 영향을 주는 사항들을 항해자에게 통보하는 항행통보의 우리나라 발행 관서는?

  1. 국립지리원
  2. 해양경찰청
  3. 국립해양조사원
  4. 한국해양연구원
(정답률: 알수없음)
  • 국립해양조사원은 해양과 관련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항해자들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항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항해통보를 발행하는 관서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선박이 항행중 과실로 항로표지를 손상시키고 그 사실을 신고하지 않았을 때 당해 선장에게 처해지는 벌칙은?

  1.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법 제69조에 따르면, 선박이 항행중 과실로 항로표지를 손상시키고 그 사실을 신고하지 않았을 때 선장에게 부과되는 벌칙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입니다. 이는 해당 법률에서 정한 벌칙 중 가장 경도한 것으로, 선박 운항 중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항로표지를 손상시키면 반드시 신고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항로표지위탁관리업의 등록기준 중 보유해야 하는 자본금 또는 재산평가액은 얼마인가?

  1. 2억원 이상
  2. 3억원 이상
  3. 4억원 이상
  4. 5억원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항로표지위탁관리업은 해양안전법에 따라 등록되어야 하며, 등록기준 중 하나인 보유해야 하는 자본금 또는 재산평가액은 3억원 이상이다. 이는 항로표지위탁관리업이 안정적인 경영을 유지하고, 위탁받은 항로표지 등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 충분한 자금력을 보유해야 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ALA 해상부표식 규칙에서 방위표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위표지는 연해의 위험물 또는 장애물을 표시하는데 유효하다.
  2. 방위표지는 부표의 방향을 정하기 어려운 수역의 항로를 표시하는 데에 유용하다.
  3. 방위표지의 부표와 상부구조물은 표지의 안전성과 조화시켜서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한다.
  4. 방위표지를 실용화할 수 있는 곳에서는 초급섬광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위표지를 실용화할 수 있는 곳에서는 초급섬광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방위표지는 연해의 위험물이나 장애물을 표시하거나, 부표의 방향을 정하기 어려운 수역의 항로를 표시하는 데에 유용하다. 또한, 방위표지의 부표와 상부구조물은 표지의 안전성과 조화시켜서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한다. 초급섬광은 부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방위표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항로표지의 해도상 표기 및 등대표 등의 정기적인 간행 및 개정과 보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은?

  1. 해양연구소
  2. 국립해양조사원
  3. 선박검사기술협회
  4. 한국선급
(정답률: 알수없음)
  • 국립해양조사원은 해양 관련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 항로표지의 해도상 표기 및 등대표 등의 정기적인 간행 및 개정과 보정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기관이 정답입니다. 해양연구소는 연구를 주된 업무로 하며, 선박검사기술협회와 한국선급은 선박 검사와 인증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야간표지의 등질 중 등색이나 광력이 바뀌지 않고 일정하게 계속 빛을 내는 등은?

  1. 명암등
  2. 군명암등
  3. 섬광등
  4. 부동등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동등은 등색이나 광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등으로, 빛의 세기나 색상이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야간표지 등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보행자나 운전자들이 안전하게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로표지의 설계 및 배치 기획중 등대 및 등부표의 설계시 설계조건으로 해당하지 않는것은?

  1. 하중
  2. 외력
  3. 조위
  4. 저항
(정답률: 알수없음)
  • 설계조건으로는 하중, 외력, 조위가 포함되어야 하지만, 저항은 설계조건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저항은 등대나 등부표의 설계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야간에 등화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그 표체 자체로 주간표지로도 사용하는 항로표지는?

  1. 광파표지
  2. 형상표지
  3. 음파표지
  4. 특수표지
(정답률: 알수없음)
  • 광파표지는 등화를 이용하여 밤에 위치를 표시하고, 주간에는 그 표체 자체로도 사용되는 항로표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IALA 해상부표식에서 측방 표지로 사용되는 수로중에서 방위표지의 사용에 관한 권고사항 중 틀린 것은?

  1. 수로의 분기점, 합류점 표시
  2. 변침점 표시
  3. 수로내의 중요점 표시
  4. 야간에 항해자가 먼거리에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녹광으로 서비스 하고자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수로의 분기점, 합류점 표시", "변침점 표시", "수로내의 중요점 표시"는 모두 방위표지로 사용될 수 있는 권고사항이지만, "야간에 항해자가 먼거리에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녹광으로 서비스 하고자할 때"는 측방 표지로 사용되는 권고사항입니다. 이유는 야간에는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에 녹광으로 표시하여 항해자가 더욱 먼 거리에서도 해당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등명기에 설치하여 주 동작 전구가 단선되었을 때, 일광 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예비전구로 자동전환하는 장치는?

  1. 섬광기
  2. 지지금구
  3. 일광제어기
  4. 전구교환기
(정답률: 알수없음)
  • 등명기에 설치된 일광제어기는 주 동작 전구가 단선되었을 때, 일광 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예비전구로 자동전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전구교환기입니다. 전구교환기는 일광제어기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주 전구와 예비전구를 교환하여 등명기의 조명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구교환기가 등명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 전자기초

21.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할 때 코일내의 자속이 변화하고 코일 자신의 자속의 변화에 의해서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기유도
  2. 상호유도
  3. 전자유도
  4. 정전유도
(정답률: 알수없음)
  •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코일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자기장이 변화하면 코일 내부에서 전기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전기장이 코일 자체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자기유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논리식 중 틀린 것은?

  1. A+A=A
  2. A+1=A
  3. A+0=A
  4. A+A=1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A+A=1"이다. 이유는 두 개의 A를 더해도 1이 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A+1=A"는 A에 1을 더하면 A 자신이 되기 때문에 맞는 식이다.

    "A+A=A"는 두 개의 A를 더하면 그 값은 여전히 A이기 때문에 맞는 식이다.

    "A+0=A"는 어떤 수를 0으로 더해도 그 값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맞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25[Ω], 15[Ω], 10[Ω]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 100[V]를 가하였다. 25[Ω] 저항에 걸리는 전압 [V]은?

  1. 10
  2. 20
  3. 3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직렬 연결된 회로에서 전압은 각 저항에 비례하여 분배된다. 따라서 전체 전압 100[V] 중 25[Ω]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25[Ω] / (25[Ω] + 15[Ω] + 10[Ω])) x 100[V] = 50[V]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전 용량이 같은 콘덴서 10개가 있다.이것을 병렬 접속할 때 의 값은 직렬접속할 때의 값의 몇 배가 되는가?

  1. 100
  2. 20
  3. 10
  4. 0.1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 접속할 때의 용량은 각 콘덴서의 용량을 모두 더한 값이므로, 10배가 된다. 반면에 직렬 접속할 때는 각 콘덴서의 용량의 역수를 모두 더한 값의 역수가 전체 용량이므로, 10개의 콘덴서를 직렬 접속하면 전체 용량은 1/10이 된다. 따라서 병렬 접속할 때의 값은 직렬 접속할 때의 값의 100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0[㎌] 및 30[㎌]의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하여 100[V]의 전압을 가하였을 때 전 전하량은 얼마인가?

  1. 5 × 10-3[C]
  2. 6 × 10-3[C]
  3. 2 × 10-3[C]
  4. 3 × 10-3[C]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의 전하량은 Q = CV 이다. 여기서 C는 콘덴서의 용량, V는 전압이다.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의 총 용량은 C = C1 + C2 이다. 따라서 병렬로 접속된 20[㎌] 및 30[㎌]의 콘덴서의 총 용량은 50[㎌]이 된다.

    전압이 100[V]이므로 각 콘덴서의 전하량은 Q1 = 20 × 10-6 × 100 = 2 × 10-3[C], Q2 = 30 × 10-6 × 100 = 3 × 10-3[C] 이다. 따라서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의 전하량은 Q = Q1 + Q2 = 5 × 10-3[C] 이다.

    따라서 정답은 "5 × 10-3[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기자 반작용이 보상되지 않는 것은?

  1. 계자 기자력 증대
  2. 보극 권선 설치
  3. 보상 권선 설치
  4. 전기자 전류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자 반작용이 보상되지 않는 것은 "전기자 전류 감소"이다. 이는 전기자 반작용이 발생할 때 전류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보상 권선이나 계자 기자력 증대 등의 조치로 보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기 계측기에서 허용 오차가 ± 0.5[%]일때의 등급은?

  1. 정밀급
  2. 준 정밀급
  3. 보통급
  4. 준 보통급
(정답률: 알수없음)
  • 허용 오차가 ± 0.5[%]는 매우 작은 값이므로,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측정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 범위를 가지는 계측기는 "정밀급"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전압 장치의 특성을 이용한 회로를 구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소자는?

  1. 제너 다이오드
  2. 트랜지스터
  3. IC 7805
  4. 플립플롭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압 장치는 입력 전압의 변화에도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할 때는 입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소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플립플롭은 입력 전압이 변화하면 출력도 변화하기 때문에 정전압 장치를 이용한 회로를 구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방향을 알 수 있는 법칙은?

  1. 앙페르의 오른나사의 법칙
  2. 플레밍의 왼손법칙
  3. 렌쯔의 법칙
  4. 패러데이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앙페르의 오른나사의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전선을 오른손으로 감싸면 엄지손가락이 전류의 방향을 가리키는 법칙입니다. 이는 전류가 생성하는 자기장의 방향이 전선을 중심으로 오른손의 엄지손가락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법칙을 이용하면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자기장의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현재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태양 전지는?

  1. 셀렌 광전지
  2. 실리콘 태양전지
  3. 바륨 태양전지
  4. 니켈 태양전지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리콘 태양전지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태양전지이다. 이는 실리콘이 안정적이고 싼 재료이며, 태양광을 흡수하고 전기로 변환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콘 태양전지는 내구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차전지와 2차전지의 차이점은?

  1. 용량의 차이
  2. 전해액의 차이
  3. 재충전이 가능한가 불가능한가의 차이
  4. 소형이냐 대형이냐의 차이
(정답률: 알수없음)
  • 1차전지는 일회용으로 사용되며, 사용 후 폐기해야 하지만 2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재충전이 가능한가 불가능한가의 차이가 1차전지와 2차전지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태양으로 부터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에 의해 직접 전력으로 바꾸는 것은?

  1. 태양열 발전
  2. 태양광 발전
  3. MHD 발전
  4. 플라스마 발전
(정답률: 알수없음)
  • 태양전지는 태양으로부터 직접 받은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태양광 발전이다. 따라서 정답은 "태양광 발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란?

  1.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이다.
  2. 출력은 반드시 직류를 공급한다.
  3. 용량이 큰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한다.
  4. 대용량이 필요한 경우는, 여러 대의 병렬 운전이 불가하므로 그 용량 이상의 UPS를 한 대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UPS는 전기가 끊겨도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하여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용량이 큰 축전지로부터 직류를 공급합니다. 따라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이다."가 정답입니다. 대용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여러 대의 병렬 운전이 불가능하므로, 그 용량 이상의 UPS를 한 대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원설비용 축전지에 사용되는 충전방식이 아닌 것은?

  1. 정전류 충전방식
  2. 균등 충전방식
  3. 전자동 충전방식
  4. 부동 충전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류 충전방식은 충전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충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전원설비용 축전지는 대부분 균등 충전방식, 전자동 충전방식, 부동 충전방식 등을 사용한다. 이는 충전 시간을 단축하고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전류 충전방식은 전원설비용 축전지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층 구조의 양방향성 다이오드이고, 2단자의 교류 스위칭 소자로서, 교류 전원으로부터 직접 트리거 펄스를 얻는 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의 명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CR
  2. 트라이액
  3. 다이액
  4. UJ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다이액"이다. 다이액은 3층 구조의 양방향성 다이오드이며, 2단자의 교류 스위칭 소자로서, 교류 전원으로부터 직접 트리거 펄스를 얻는 회로에 사용된다. 다이액은 SCR과 유사하지만, SCR은 양방향 전류만 흐르지만 다이액은 양방향 전류와 양방향 전압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다이액은 SCR보다 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상용 주파수 60[Hz]인 교류의 주기[sec]는?

  1. 0.016
  2. 0.02
  3. 0.04
  4. 0.08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는 주파수의 역수이므로, 주기 = 1/주파수 이다. 따라서, 60Hz의 주기는 1/60 = 0.016[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반도체를 결정구조에 따라 분류했을 때 진성반도체의 종류로 맞는 것은?

  1. 실리콘, N형 반도체
  2. 실리콘, P형 반도체
  3. 실리콘, 게르마늄
  4. 게르마늄, N형 반도체
(정답률: 알수없음)
  • 진성반도체는 결정구조에서 전자와 양공이 모두 존재하는 반도체를 말한다. 이에 따라 실리콘과 게르마늄이 진성반도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알칼리 축전지 1셀(cell)의 공칭전압[V]은?

  1. 1.0
  2. 1.2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 축전지의 전극에는 아마모늄염이 들어있는데, 이 아마모늄염이 전극과 반응하여 전자를 방출합니다. 이때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전류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전자의 전기적인 힘을 나타내는 것이 전압입니다. 알칼리 축전지 1셀의 공칭전압은 1.5V이지만, 실제로 사용할 때는 전극과 전해질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전압이 조금씩 감소하게 됩니다. 이 감소된 전압이 1.2V가 되어, 알칼리 축전지 1셀의 공칭전압은 1.2V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직류기의 자기회로의 구성으로 잘못된 것은?

  1. 계자
  2. 공극
  3. 철심
  4. 계자권선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기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요소는 계자, 공극, 철심, 계자권선이다. 그러나 계자권선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요소이다. 따라서 "계자권선"이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접지저항 측정시 접지저항을 직독할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방법은?

  1. 코올라우시 브리지
  2. 메거
  3. 접지저항계
  4. 비이헤르트 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접지저항을 직접 측정하기 위해서는 접지저항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코올라우시 브리지나 비이헤르트 법은 접지저항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들 방법은 복잡하고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지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접지저항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메거는 전기적인 파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이므로, 접지저항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지저항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광파, 음파 표지

41. 다음 중 광파표지의 등질 가운데 하나인 섬광의 리듬을 만드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광원 주위에 섬광렌즈를 회전시킨다.
  2. 전원 공급을 단속하여 광원을 점멸시킨다.
  3. 광원 주위에 개구가 있는 스크린을 회전시킨다.
  4. 색 필터(Color Filter)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 필터는 섬광의 리듬을 만드는 방법이 아니다. 이유는 색 필터는 광원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섬광의 리듬을 만들 수는 없다. 섬광의 리듬을 만드는 방법은 광원 주위에 섬광렌즈를 회전시키거나 전원 공급을 단속하여 광원을 점멸시키거나 광원 주위에 개구가 있는 스크린을 회전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면하의 암초, 수면위의 암초, 방파제 끝단 등을 조사하여 통항선박에 그들 장애물의 소재를 알리기 위하여 설치하는 등은?

  1. 지향등
  2. 도등
  3. 조사등
  4. 교량등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 조사등은 해상에서 장애물을 조사하고 발견한 정보를 통항선박에 알리기 위해 설치하는 등 안전항해를 위한 조치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지향등, 도등, 교량등은 해상 안전항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거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우리나라는 국제항로표지(IALA)해상부표식중 어느방식에 해당되는가?

  1. A 방식
  2. B 방식
  3. C 방식
  4. D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는 B 방식에 해당된다. 이는 IALA에서 제시한 해양안전에 관한 국제규정 중 하나로, 빨강색 부호표는 좌측에 두고, 초록색 부호표는 우측에 두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소리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소리의 높이
  2. 소리의 속도
  3. 소리의 맵시
  4. 소리의 세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소리의 속도는 소리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니라, 소리가 전파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소리의 높이는 주파수, 소리의 맵시는 음색, 소리의 세기는 진폭과 관련된 소리의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야간표지의 일반적인 점등시간은?

  1. 일몰시부터 일출시까지이다.
  2. 현지시각으로 16시부터 06시까지이다.
  3. 현지시각으로 19시부터 07시까지이다.
  4. 상황에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야간표지의 점등시간은 일몰시부터 일출시까지이다. 이는 밤에 운전자들이 도로 상황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일몰시부터 일출시까지가 야간표지의 일반적인 점등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IALA해상부표식에서 측방표지의 방향을 정할 때 취하는 방법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관습적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현의 의미를 부여한다.
  2. 수원(水源)의 방향을 기준으로 정한다.
  3. 육지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관계 당국의 편의에 따라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IALA해상부표식에서 측방표지의 방향을 정하는 방법은 보통 육지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관계 당국의 편의에 따라 다르게 정할 수도 있다. 이는 지역적인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광도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우리나라의 항로표지에서는 광도를 계산하는데 보수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2. 광파표지의 광달거리는 사용하고 있는 광학계의 광도에 따라서 계산된다.
  3. 사용하는 광원을 장착한 광학계로써 정해진 시험방법에 의해, 높은 정도로 측정하여 광도를 구한다.
  4. 광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고려할 변수가 많으나, 섬광하는 등화의 경우 섬광시간에 따른 실효광도를 계산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고려할 변수가 많으나, 섬광하는 등화의 경우 섬광시간에 따른 실효광도를 계산할 필요가 없다." 이 설명이 알맞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광파표지의 기본요건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요구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볼 수 있을 것
  2. 등광에 개성을 주어 관측자가 명료하게 구분할 수 있을 것
  3. 섬광과 암간의 간격은 가능한한 빠르게 할 것
  4. 지리학적 입장에서 항로표지의 용도, 목적을 만족시키며, 충분한 안정성을 가질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섬광과 암간의 간격은 가능한한 빠르게 할 것은 광파표지의 기본요건으로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광파표지의 목적은 항로 안전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섬광과 암간의 간격이 빠를수록 선박 운항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중 음향전파에 관한 생리학적 고찰 대상이 아닌 것은?

  1. 소리의 높이
  2. 소리의 지속시간
  3. 방향감
  4. 바람의 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람의 방향은 음향전파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생리학적 고찰 대상이 아니다. 소리의 높이, 지속시간, 방향감은 모두 음향전파와 관련된 생리학적 고찰 대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굴절률이 1.2인 물체내에서 광속도는?

  1. 3.5×108 m/s
  2. 3.0×108 m/s
  3. 2.5×108 m/s
  4. 2.0×108 m/s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 내에서 광속도는 빛이 굴절되기 때문에 빠르지 않아집니다. 굴절률이 1.2인 물체 내에서 광속도는 빛이 진행하는 속도인 3.0×108 m/s를 1.2로 나눈 값인 2.5×108 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108 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광파표지가 아닌 것은?

  1. 등대
  2. 부표
  3. 등표
  4. 조사등
(정답률: 알수없음)
  • 광파표지는 해상에서 선박이나 비행기 등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지판으로, 광선을 발산하여 식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표"는 해상에서 선박의 항로를 안내하기 위한 표지판으로, 광선을 발산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부표"가 광파표지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등부표 콘크리트 침추(Sinkers)의 제작시 m3당시멘트량은 얼마로 권고하는가?

  1. 200kg
  2. 400kg
  3. 600kg
  4. 800kg
(정답률: 알수없음)
  • 등부표 콘크리트 침추는 물속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로서, 높은 밀도와 강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시멘트의 함량이 높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등부표 콘크리트 침추 제작시 m3당 시멘트량은 400kg으로 권고된다. 이는 높은 강도와 밀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IALA 해상부표식의 각 표지의 두표 모양이 아닌 것은?

  1. 고립장애표지는 삼각형
  2. 우현표지는 원추형
  3. 좌현표지는 원통형
  4. 안전수역표지는 원형
(정답률: 알수없음)
  • IALA 해상부표식에서 각 표지는 그 모양에 따라 특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립장애표지는 해상에서 고립된 장애물을 나타내는데, 이를 삼각형 모양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삼각형이 주의를 끄는 도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립장애표지는 삼각형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등표 건설상의 각종 문제점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필요한 위치는 유동적이며, 위치 선택의 자유가 많으나 항상 최악의 파랑을 받는다.
  2. 육상에 비하여 해상의 풍력은 보다 강하고, 등탑에서 받는 풍압은 아주 크다.
  3. 강력한 최고파가 등표 전체에 충돌한다.
  4. 부분적 재해는 등표의 항로표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필요한 위치는 유동적이며, 위치 선택의 자유가 많으나 항상 최악의 파랑을 받는다."가 알맞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등표의 위치는 항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항로 안전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등표의 위치 선택에는 자유도가 높다. 그러나 등표가 항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항상 최악의 파랑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등표의 설치 위치와 방향, 크기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파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로표지에서 이용하는 높은 광도의 빔(Beam)을 얻기 위해서 이용하는 빛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반사(Reflection)
  2. 굴절(Refraction)
  3. 반사와 굴절의 조합
  4. 회절
(정답률: 알수없음)
  • 항로표지에서 이용하는 높은 광도의 빔을 얻기 위해서는 빛의 진행 방향을 일직선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반사와 굴절의 조합을 이용하여 빛을 직진시키는 기술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회절은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로표지에서 이용하는 빔을 얻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회절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등색을 이용할 때 사용하는 색 필터의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
  2. 색필터의 색상은 위험 표시로서 항상 적색으로 해야한다.
  3. 자외선에 의하여 색필터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해야한다.
  4. 색필터의 하단부를 지지대로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 필터의 색상은 위험 표시로서 항상 적색으로 해야하는 이유는 적색은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가장 긴 파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색상에 비해 더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색 필터를 사용하면 더 멀리 있는 물체도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빛의 성질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빛의 속도는 전파의 2배에 해당한다.
  2. 빛은 물체에 반사될 때 경로가 바뀌지 않는다.
  3. 빛은 직진성, 반사성, 굴절성을 가진다.
  4. 빛은 거리에 관계없이 밝기가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은 직진성, 반사성, 굴절성을 가진다."가 옳다. 빛은 직진하다가 다른 매질로 들어가면 굴절되고, 물체에 닿아 반사되면서 경로가 바뀌지 않는다. 이러한 성질은 빛의 광학적 특성으로, 빛의 전파 특성과는 다른 개념이다. 또한, 빛의 밝기는 거리에 따라 감소하므로 "빛은 거리에 관계없이 밝기가 일정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광달 거리 내에서도 등대의 등광을 볼 수 없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계가 불량한 경우
  2. 광력이 약한 등광일 경우
  3. 선박이 분호 내에 있는 경우
  4. 안고가 5m보다 낮을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이 분호 내에 있는 경우는 옳지 않은 것이다. 분호는 등대 주변에 위치한 안전 구역으로, 선박이 분호 내에 있으면 등대의 등광을 볼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등대의 등광을 볼 수 없다. 시계가 불량한 경우나 광력이 약한 등광일 경우에는 등대의 등광을 볼 수 있지만, 정확한 시간이나 밝기를 파악하기 어렵다. 안고가 5m보다 낮을 경우에는 등대의 등광을 볼 수 있지만, 안전을 위해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항로표지의 등화에 이용되는 색이 아닌 것은?

  1. 황색
  2. 청색
  3. 녹색
  4. 백색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항로표지의 등화에 이용되는 색은 황색, 녹색, 백색이다. 청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색으로, 바다에서는 파란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색은 항로표지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빛의 성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빛은 때때로 입자로 작용하기도 하고 파동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2. 매질에 의하여 빛은 흡수되기도 하고 흡수된 빛의 일부를 재방출하기도 한다.
  3. 빛은 굴절율이 큰 매질에서 작은 매질로 이동할 때 빛의 파장은 감소한다.
  4. 빛은 직진하다가 장애물을 만났을 때 가장자리 쪽으로 돌아서 진행하는 성질도 지니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은 직진하다가 장애물을 만났을 때 가장자리 쪽으로 돌아서 진행하는 성질도 지니고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빛은 굴절율이 큰 매질에서 작은 매질로 이동할 때 빛의 파장은 감소한다."는 스넬의 법칙에 따라 빛이 매질을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파장이 감소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명료한 설명: 빛이 매질을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파장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파표지 및 시스템 이용

61. GPS 신호의 반송파의 편파성분은?

  1. 우선회 원편파
  2. 좌선회 원편파
  3. 타원편파
  4. 직선편파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신호는 우선회 원편파이다. 이는 GPS 위성에서 발신된 신호가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잡음과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택된 모드이다. 이 모드는 신호의 반송파가 원형으로 진동하며, 이는 수신기에서 신호를 정확하게 추적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데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무선방향 탐지국에서 통보하는 오차등급부호 중 틀린 것은?

  1. A: ± 2° 내외
  2. B: ± 5° 내외
  3. C: ± 10° 내외
  4. D: 측정방위의문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방향 탐지국에서 통보하는 오차등급부호는 측정된 방위와 실제 방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A, B, C 등급으로 구분되며, 등급이 높을수록 오차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 측정방위의문은 오차등급부호가 아니며,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우리나라의 위성항법보정장치(DGPS)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해상 중파비콘(283.5∼325㎑)을 이용한다.
  2. DGPS 보정치는 주방송파로 MSK 변조하여 방송한다.
  3. 전송속도는 200bps 로 한다.
  4. DGPS의 정확성 확보를 위하여 50m 이내의 오차 범위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DGPS의 정확성 확보를 위하여 50m 이내의 오차 범위로 하는 것은 올바른 설명이 아니다. DGPS는 보통 1m 이내의 정확도를 가지며, 이는 해양항만에서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필요한 수준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레이더의 방위분해능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펄스폭
  2. 수평빔폭
  3. 수직빔폭
  4. 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더의 방위분해능은 레이더가 방출한 전파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분석하여 측정하는데, 이때 수평빔폭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평빔폭이란 레이더에서 방출되는 전파의 수평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하며, 이 값이 작을수록 더 정확한 방위분해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빔폭이 방위분해능과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중 전파표지는 전파의 어떤 특성을 이용한 것인가?

  1. 직진성
  2. 굴절성
  3. 회절성
  4. 간섭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표지는 전파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전파의 방향을 나타내는데, 전파는 일직선으로 직진하며 방향을 바꾸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파표지는 전파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전파를 안내하거나 전파의 위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파표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1. 전파의 제반 성질을 활용한 장치이다.
  2. 레이더 항법을 원조하는 시설이다.
  3. 위성항법시스템도 전파표지의 일종이다.
  4. 전파표지는 초단파일수록 멀리 전달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표지는 초단파일수록 멀리 전달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실제로는 장애물의 유무, 지형 등의 영향을 받아 전파의 전달 거리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파표지의 전달 거리는 단순히 주파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미국의 NAVSTAR/GPS에 대응하는 24개의 위성으로 구성되는 현재 운영중인 러시아의 위성측위시스템은?

  1. GLONASS
  2. GALILEO
  3. GNSS
  4. EURO FIX
(정답률: 알수없음)
  • GLONASS는 러시아의 위성측위시스템으로, NAVSTAR/GPS와 마찬가지로 전 세계적인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4개의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중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무한정, 무공해 전기에너지이다.
  2.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이다.
  3. CO2방출에 의한 온실효과에 대처할 새로운 미래의 에너지이다.
  4. 계절과 기후에 관계없는 항구적인 에너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계절과 기후에 관계없는 항구적인 에너지이다." 이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이 있으면 언제든지 발전이 가능하므로 계절과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항구적인 에너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Loran-C의 전파가 전파(傳播)하는 과정에서 이온층에 부딪쳐 반사되어 전달되는 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지표파
  2. 지상파
  3. 산란파
  4. 공간파
(정답률: 알수없음)
  • Loran-C의 전파는 이온층에 부딪쳐 반사되어 전달되는 파를 공간파라고 한다. 이는 이온층에서 반사되어 지표나 지상을 통해 전달되는 지표파나 지상파와는 달리, 직선적으로 공간을 통해 전파되는 파이기 때문이다. 산란파는 전파가 물체에 부딪혀 흩어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Loran-C의 전파는 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중 Loran-C에서 이용되는 지표파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표파는 유전율이 적고 전도율이 적을수록 잘 전달된다.
  2. 전도율은 바다와 건조지대에서 약 2,000배 정도의 차이가 있다.
  3. 지표파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감쇠가 적다.
  4. 지표파는 지구표면을 따라 전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파는 유전율이 적고 전도율이 적을수록 잘 전달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지표파는 전파의 종류 중 하나로, 지구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지표파는 전파의 주파수가 낮을수록 감쇠가 적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표파는 전도율이 적고 유전율이 적을수록 잘 전달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전도율이 낮은 바다나 건조지대에서 전파가 잘 전달되는 이유이다. 따라서, 모든 설명이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부표, 등표, 방파제등대 등에 설치하여 레이더파의 반사 능률를 높여 주기 위하여 경금속의 반사판으로 조립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Radar Reflector
  2. Racon
  3. Decca
  4. Talking Beacon
(정답률: 알수없음)
  • "Radar Reflector"는 레이더파의 반사 능률을 높여주는 경금속 반사판으로 만들어진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부표, 등표, 방파제등대 등에 설치되어 레이더파의 반사를 증가시켜 안전한 항해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로란 C에서는 여러개의 송신국 중에서, 항상 그 중의 하나가 주국이 되어 먼저 전파를 발사한다. 이와 같이 주국과 종국 사이 발생하는 간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코딩지연
  2. 코딩변환
  3. 전파지연
  4. 전파변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파지연"이다.

    "코딩지연"은 프로그래밍에서 코드 작성이나 디버깅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을 의미한다.

    "코딩변환"은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파변조"는 전파를 일부러 변조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전파지연"은 전파가 발사된 후 수신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로란 C에서는 항상 주국이 먼저 전파를 발사하기 때문에, 다른 송신국들은 주국의 전파를 수신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자신의 전파를 발사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시간적 간격을 "전파지연"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조류신호 시스템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조류의 유향과 유속을 계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식 도플러의 다층 유속계로도 불리며 음파의 전파속도와 왕복시간을 계산하여 설정수심마다 유속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맞는 것은?

  1. GEK(Geomagnetic Electro-Kinematograph)
  2. EM Log (Electromagnetic Log)
  3. 전자자유속계(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4. 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신호 시스템에서는 조류의 유향과 유속을 계측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초음파식 도플러의 다층 유속계를 사용한다. 이 중에서 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는 음파의 전파속도와 왕복시간을 계산하여 설정수심마다 유속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조류신호 시스템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파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전파는 직진, 회절 등의 현상이 있다.
  2. 전파는 종파의 일종이다.
  3. 전파의 파장과 주파수는 비례관계가 있다.
  4. 전파는 진동방향과 진행방향이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는 직진하는 경향이 있지만, 매질에 따라 회절이나 굴절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파가 매질 내에서 진행하면서 매질의 밀도나 굴절률 등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파는 직진, 회절 등의 현상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전파는 종파의 일종이며, 전파의 파장과 주파수는 비례관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전파의 진동방향과 진행방향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의 전파표지 중 90-110㎑의 송신주파수로 펄스파의 시간차를 측정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은 어느 것인가?

  1. LORAN-C
  2. 라디오 비콘
  3. GPS
  4. GLONAS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ORAN-C"입니다. LORAN-C는 90-110㎑의 송신주파수로 펄스파의 시간차를 측정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입니다. 라디오 비콘은 위치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장치이며, GPS와 GLONASS는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GPS 운용위성의 궤도 경사각은?

  1. 45°
  2. 55°
  3. 65°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운용위성의 궤도 경사각은 55°이다. 이는 지구의 적도면과 수직으로 위치한 궤도인 중근궤도(중심궤도)의 경사각이기 때문이다. 이 경사각은 GPS 위성이 지구의 모든 지역을 균일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파표지에 사용하는 각 장비의 측정방식 중 쌍곡선을 이용한 측정방식이 아닌 것은?

  1. LORAN-C
  2. 데카
  3. 오메가
  4. GPS
(정답률: 알수없음)
  • GPS는 쌍곡선을 이용한 측정방식이 아니라 위성 신호를 이용한 삼각측량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LORAN-C, 데카, 오메가는 모두 쌍곡선을 이용한 측정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파의 편성에 의한 분류 중 다른 하나는?

  1. 직선편파
  2. 타원편파
  3. 원편파
  4. 회전편파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의 편성에 의한 분류 중 다른 하나는 광대역과 좁은 대역으로 나뉩니다. 이 중에서 "회전편파"는 전파의 진행 방향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편파를 말합니다. 이러한 회전편파는 주로 위성 통신에서 사용되며, 전파의 안테나 크기를 줄이면서도 높은 대역폭을 유지할 수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마이크로파 표지국(Micro Wave Beacon)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오차가 적고 방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2. 중파에 비해 이용범위가 좁다.
  3. 레이마크 비콘, 레이더 비콘 등이 있다.
  4. 285 - 325kHz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파 표지국은 285-325kHz의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라디오 주파수 대역인 GHz 범위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조류신호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

  1. 조류의 방향표시
  2. 조류의 속도표시
  3. 조류의 양표시
  4. 조류의 예측에 관한 정보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조류신호소는 항공기 운항 안전을 위해 조류의 위치, 방향, 속도 등을 알리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조류의 양표시"는 조류신호소의 업무가 아닌 것이다. 조류의 양표시는 일반적으로 조류 관찰자들이 수행하는 업무이며, 조류신호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