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조율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피아노조율산업기사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그랜드형 피아노 전체의 길이가 대략 275cm 이상일 때 부르는 명칭은?

  1. 업라이트형(UPRIGHT)
  2. 스피넷형(SPINET)
  3. 그랜드형(GRAND)
  4. 콘서트 그랜드형(FULL CONCERT GRAND)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형 피아노는 일반적으로 150cm에서 275cm까지의 길이를 가지며, 이 중에서 275cm 이상의 길이를 가진 피아노를 콘서트 그랜드형(FULL CONCERT GRAND)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그랜드형 피아노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품질이 높은 모델로서, 대규모 콘서트나 공연장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향판(sound boar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볍고 탄성이 강한 활엽수가 좋다.
  2. 현의 미세한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3. 진동하기 쉬운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4. 공명현상을 위해 고음부가 저음부보다 더 두껍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볍고 탄성이 강한 활엽수가 좋다."가 틀린 설명이다. 향판은 현의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진동하기 쉬운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공명현상을 위해 고음부가 저음부보다 더 두껍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향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향판의 나무결(grain) 방향과 거의 90° 가 되도록 접착한다.
  2. 현의 진동을 향판 전체에 고르게 전달한다.
  3. 향판의 배불림 현상(Crown)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중이 큰 소재를 사용한다.
  4. 향봉의 양끝을 깎는 것은 Crown 작업과 향판의 진동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향판의 배불림 현상(Crown)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중이 큰 소재를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향봉은 현의 진동을 향판 전체에 고르게 전달하기 위해 향판의 나무결(grain) 방향과 거의 90° 가 되도록 접착하며, 향봉의 양끝을 깎는 것은 Crown 작업과 향판의 진동을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향판의 배불림 현상(Crown)을 유지하기 위해 비중이 큰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향봉의 무게를 줄이고, 손목 부상 등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튜닝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보통 쓰이는 튜닝핀의 직경은 7.65mm 이다.
  2. 튜닝핀의 길이는 60-64mm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3. 튜닝핀의 머리부분에서 아래로 현을 넣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다.
  4. 튜닝핀의 머리부분은 4각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통 쓰이는 튜닝핀의 직경은 7.65mm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보통 쓰이는 튜닝핀의 직경은 6mm에서 7.5mm 사이입니다. 7.65mm는 특정 브랜드나 모델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리콧트 브리지(Aliquot bridge)란?

  1. 상부 브리지에 청동제 아그라프를 사용한 것
  2. 브리지와 힛치핀 사이에 천을 끼워 놓은 것
  3. 향판의 크라운된 상태의 브리지를 보호하기 위한 것
  4. 브리지와 힛치핀 사이의 브리지로 배음효과를 이용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아리콧트 브리지는 브리지와 힛치핀 사이의 브리지로 배음효과를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주용 그랜드 피아노(Full concert)의 동선구조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동선은 한음당 1개, 2개, 3개 짜리가 있다.
  2. 제일 낮은음은 업라이트 피아노 동선보다 굵다.
  3. 최저음쪽 몇개는 2중으로 감겨져 있다.
  4. 최저음의 경우 현이 짧아져 주파수가 작은 피아노보다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선은 한 음당 1개, 2개, 3개 짜리가 있다는 이유는, 각 음에 따라 필요한 거리와 키의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높은 음일수록 거리가 짧고, 낮은 음일수록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필요한 키의 수도 달라진다. 따라서, 동선은 음의 높낮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아노의 역사에 대한 설명 중 연대가 가장 빠른 것은?

  1. 호킨스 업라이트 특허 획득
  2. 에라르 아그라프 발명
  3. 스타인웨이 2중권선 특허
  4. 브로드우드 페달 완성
(정답률: 알수없음)
  • "브로드우드 페달 완성"은 1783년으로, 다른 보기들보다 연대가 가장 빠릅니다. 이는 피아노의 발전에 있어서 페달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기 때문입니다. 브로드우드는 이전의 페달들과는 달리 피아노의 소리를 더욱 부드럽고 섬세하게 만들어주는 페달을 발명하여 피아노의 연주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의 명칭은?

  1. 페달대(LYRE POST)
  2. 페달박스(LYRE BOX)
  3. 페달상목(LYRE BLOCK)
  4. 페달박스 밑판(LYRE BOX BOTTOM)
(정답률: 알수없음)
  •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은 "페달상목(LYRE BLOCK)"이다. 이는 피아노의 페달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페달대와 페달박스 사이에 위치하며, 페달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보기들은 페달과 관련된 부분이지만,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피아노 건반의 규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백건반 1개의 폭은 22.8mm∼23.5mm이다.
  2. 백건반 7개 1옥타브의 폭은 164.5-165.5mm정도이다.
  3. 흑건 아랫면의 폭은 15mm, 윗면의 폭은 12mm정도이다.
  4. 흑건 높이는 전면이 12mm, 후면이 10mm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흑건 아랫면의 폭은 15mm, 윗면의 폭은 12mm정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흑건 아랫면의 폭이 12mm, 윗면의 폭이 9mm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랜드피아노의 저음부 아그라프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업라이트 부품 이름은?

  1. 힛지핀
  2. 베어링핀
  3. 튜닝핀
  4. 브릿지핀
(정답률: 알수없음)
  • 베어링핀은 그랜드피아노의 업라이트 부품으로, 저음부 아그라프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부품은 피아노의 하모닉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피아노의 소리를 더욱 깊고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베어링핀은 피아노의 브릿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피아노의 준비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머가 진동의 마디 근처를 타현하면 부분음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 그 부분음은 오히려 강하게 나타난다.
  2. 그 부분음은 없어진다.
  3. 그 부분음은 약하게 나타난다.
  4. 그 부분음은 약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강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가 진동의 마디 근처를 타현하면 그 부분음은 마디의 공명에 의해 증폭되기 때문에 오히려 강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마디의 공명 현상이 음파의 진폭을 증폭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소리의 3요소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높이
  2. 세기
  3. 배음
  4. 맵시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이"와 "세기"는 소리의 주요한 특성이며, "맵시"는 소리의 성질 중 하나인 반향에 관련된 것입니다. 하지만 "배음"은 소리의 특성이 아니라 음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음계에서 각 음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배음"은 소리의 3요소라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에서 음속(m/s)이 가장 빠른 것은?

  1. 공기(20℃, 1.18[kg/m3])
  2. 증류수(20℃, 1.00x103[kg/m3])
  3. 수소(20℃, 0.0837[kg/m3])
  4. 헬륨(20℃, 0.166[kg/m3])
(정답률: 알수없음)
  • 음속은 밀도와 열팽창계수에 비례하고, 압력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밀도가 가장 높은 증류수의 음속이 가장 빠르다. 즉, 정답은 "증류수(20℃, 1.00x103[kg/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8도의 음정사이에 두 개의 반음과 다섯 개의 온음이 포함된 음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5음계
  2. 온음계
  3. 부분음계
  4. 반음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온음계"이다. 8도의 음정에는 12개의 음이 포함되며, 이 중 두 개의 반음과 다섯 개의 온음이 포함된 음계를 온음계라고 한다. 따라서, "5음계"는 음계의 구성 음이 5개인 것을 의미하며, "부분음계"와 "반음계"는 음계의 구성 음의 간격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저주파음은 고주파음을 마스크하기 어렵다.
  2. 마스크하는 음이 약할 때는 모든 주파수의 음이 마스크된다.
  3. 마스크하는 음이 강할 때는 그것보다도 높은 음까지도 마스크한다.
  4. 어떤 소리가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최대한으로 증폭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스킹 효과란 어떤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듣기 어렵게 만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마스크하는 음이 강할 때는 그것보다 높은 음까지도 마스크하는 이유는, 강한 소리는 주변 소리를 가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스크하는 음이 강할수록 그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음까지 마스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타건의 세기는 해머의 접촉시간을 좌우한다. 옳은 것은?

  1. 강한 타건을 하면 접촉시간이 짧아진다.
  2. 약한 타건을 하면 접촉시간이 짧아진다.
  3. 강한 타건을 하면 접촉시간이 길어지며 배음은 적게 발생한다.
  4. 강한 타건이건 약한 타건이건 접촉시간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한 타건을 하면 해머가 물체에 부딪히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접촉시간이 짧아진다. 이는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해머의 운동량이 증가하면 물체의 운동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 때 물체의 운동량 변화량은 시간에 반비례하므로 접촉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강한 타건을 하면 접촉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음의 파장이 10cm 이면 주파수는 몇 Hz 인가? (단, 음속 340m/s)

  1. 340 Hz
  2. 3400 Hz
  3. 34000 Hz
  4. 34 Hz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파장이 10cm 이면, 파동의 길이는 0.1m 이다. 음속은 340m/s 이므로, 주파수는 파동의 길이를 음속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주파수는 340/0.1 = 3400 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하모니
  2. 멜로디
  3. 리듬
  4. 음률
(정답률: 알수없음)
  • 하모니는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멜로디와는 다르게 여러 음이 함께 울리면서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듬은 음악의 박자나 리듬 패턴을 말하며, 음률은 음악의 속도나 템포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에서 흡음율이 가장 좋은 재료는?

  1. 나무
  2. 콘크리트
  3. 스폰지
  4. 철판
(정답률: 알수없음)
  • 스폰지는 구멍이 많아서 공기를 많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흡음율이 가장 좋은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현이 브리지에 밀착되지 않으면 안되는 주된 이유는?

  1. 음이 일정하게 울리기 때문
  2. 잡음이 나기 때문
  3. 조율을 할 수 없기 때문
  4. 음량이 작아지기 때문
(정답률: 알수없음)
  • 현이 브리지에 밀착되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는 잡음이 나기 때문입니다. 현이 브리지에 밀착되면 진동이 원활하게 전달되어 음이 깨끗하게 울리지만, 그렇지 않으면 진동이 방해되어 불규칙한 소리인 잡음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음압의 단위는?

  1. Pc
  2. Pa
  3. SPW
  4. Hz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의 단위는 파스칼(Pa)이다. 이는 압력의 단위로서, 공기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음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의미하며, 이는 음파나 소음 등의 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비트(Beat)에 의해 임의로 소리가 커지는 이유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용어는?

  1. 정제파(Standing wave)
  2. 진폭의 증가
  3. 주파수
  4. 위상반전
(정답률: 알수없음)
  • 비트에 의해 임의로 소리가 커지는 이유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용어는 "위상반전"입니다. 이는 두 개의 파가 만나서 서로 상쇄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겹쳐져서 파의 진폭이 강화되는 현상입니다. 이때 파의 위상이 반전되어서 파가 겹치는 지점에서 진폭이 강화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원음과 제3배음과의 진동수 비는 얼마인가?

  1. 1:2
  2. 1:3
  3. 1:6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3"이다. 이유는 제3배음은 원음의 주파수를 3배한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원음이 100Hz일 때, 제3배음은 300Hz가 된다. 따라서, 원음과 제3배음의 진동수 비는 1: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여러 개의 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미적, 시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은?

  1. 리듬
  2. 하모니
  3. 멜로디
  4. 음률
(정답률: 알수없음)
  • 여러 개의 음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미적, 시간적으로 연속 배열한 것은 멜로디입니다. 리듬은 음악의 박자와 관련된 것이고, 하모니는 음악의 화음과 관련된 것입니다. 음률은 음악의 속도와 관련된 것입니다. 따라서 멜로디는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머헤드 정음법 중에서 중· 고음부의 소리를 조금 강하게 하기 위하여 경화제를 투여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일링(Filing)
  2. 도우핑(Doping)
  3. 니들링(Needling)
  4. 보이싱(Voicing)
(정답률: 알수없음)
  • 도우핑은 경화제를 사용하여 피아노의 중·고음부의 소리를 강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스포츠에서 선수들이 경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금지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귀에 있어서 고실안의 공기의 압력과 바깥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이관
  2. 외이
  3. 고막
  4. 속귀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 이관은 중이와 외이를 연결하는 파이프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중이 안의 공기 압력과 바깥의 공기 압력을 균형있게 유지시켜줍니다. 따라서 이관은 귀에 있어서 고실안의 공기의 압력과 바깥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간의 가청역은 나이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다음 중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단위:Hz, 최고 가청역)

  1. 20세 19000, 35세 15000, 47세 13000
  2. 20세 18000, 35세 17000, 47세 20000
  3. 20세 30000, 35세 18000, 47세 16000
  4. 20세 19000, 35세 20000, 47세 3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의 청각기관은 나이가 들면서 노화되어 점점 미세한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고주파음을 인식하는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나이가 많아질수록 최고 가청역이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20세 19000, 35세 15000, 47세 13000"이 가장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간의 가청역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대략 최저 20㎐, 최고 20,000㎐ 정도 들을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청력은 나이가 들수록 떨어진다.
  3. 가장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최저 12㎐까지도 들을 수 있다.
  4. 1760-2400Hz는 남자가 청력이 좋고 그보다 낮거나 높은 곳에서는 여자가 청력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1760-2400Hz는 남자가 청력이 좋고 그보다 낮거나 높은 곳에서는 여자가 청력이 좋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성별에 따라 청력이 다르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청력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순음일 경우 음압 진폭(P)은?

  1. P=√2 ×음압 실효치
  2. P=√3 ×음압 실효치
  3. P=(√2 ×음압 실효치)2
  4. P=(√3 ×음압 실효치)2
(정답률: 알수없음)
  • 순음일 경우, 음파의 압력 변화는 사인파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때 압력의 최대값은 음파의 정점에서 나타나며, 이 값은 음압 진폭(P)으로 정의됩니다.

    음압 실효치는 압력의 평균값을 나타내는데, 사인파의 경우 압력이 양/음의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나타나므로 평균값은 0이 됩니다. 따라서 음압 진폭과 음압 실효치는 다른 개념입니다.

    하지만, 순음일 경우 음파의 진폭이 매우 작아서(약 0.0002 Pa) 압력의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음압 진폭과 음압 실효치가 거의 같은 값이 됩니다.

    이때, 음압 진폭(P)과 음압 실효치(RMS)의 관계식은 P=√2 × RSM 입니다. 이는 사인파의 경우 최대값과 평균값의 비율이 √2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P=√2 ×음압 실효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배음이란?

  1. 현 진동음이 높았다 낮았다 하며 들리는 것
  2. 현 기본음의 한 옥타브 윗 음이 나는 것
  3. 현 기본음의 한 옥타브 아래 음이 나는 것
  4. 현 기본음의 반음정 높게 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2배음은 현 기본음의 한 옥타브 윗 음이 나는 것입니다. 즉, 현 기본음의 높은 음을 두 번 연주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현 기본음이 라(라#)일 때, 2배음은 라#(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음에 대하여 절대협화하는 배음이 아닌 것은?

  1. 2배음
  2. 8배음
  3. 11배음
  4. 16배음
(정답률: 알수없음)
  • 기음은 음악에서 기준이 되는 음으로, 다른 음들의 높이나 낮이를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이 때, 기음과 다른 음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배음입니다.

    2배음은 기음의 옥타브 위나 아래에 위치한 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음입니다.

    8배음은 기음의 12도 위나 아래에 위치한 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음입니다.

    11배음은 기음의 17도 위나 아래에 위치한 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음입니다.

    16배음은 기음의 24도 위나 아래에 위치한 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음입니다.

    따라서, 기음에 대하여 절대협화하는 배음이 아닌 것은 11배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1:2, 5:6, 8:15의 진동수비가 맞는 것은?

  1. 1:2 - 옥타브, 5:6 - 단3도, 8:15 - 장7도
  2. 1:2 - 8도, 5:6 - 장3도, 8:15 - 옥타브
  3. 1:2 - 4도, 5:6 - 옥타브, 8:15 - 단3도
  4. 1:2 - 장3도, 5:6 - 단3도, 8:15 - 장3도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수비란 두 음의 진동수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2의 진동수비는 첫 번째 음의 진동수가 두 번째 음의 진동수의 절반인 경우를 말합니다.

    1:2 - 옥타브: 첫 번째 음의 진동수가 두 번째 음의 진동수의 절반이므로 옥타브입니다.
    5:6 - 단3도: 첫 번째 음의 진동수가 두 번째 음의 진동수의 5/6이므로 단3도입니다.
    8:15 - 장7도: 첫 번째 음의 진동수가 두 번째 음의 진동수의 8/15이므로 장7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 - 옥타브, 5:6 - 단3도, 8:15 - 장7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장3도, 장6도, 완전4도, 완전5도 등은 조금씩 어긋나고 옥타브 동음만이 완전히 맞으며 12음의 간격이 일정하고 흑건 1개로 #과 b을 모두 겸할 수 있는 조율법은?

  1. 피타고라스 음율
  2. 중간가감률
  3. 순정률
  4. 12평균률
(정답률: 알수없음)
  • 12평균률은 12개의 음을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어 조율하는 방법으로, 옥타브 동음을 제외한 모든 음이 조금씩 어긋나는 다른 조율법과 달리 모든 음이 일정한 간격으로 조율되어 옥타브 내에서 모든 음이 매우 균형있게 배치됩니다. 또한, 흑건 1개로 #과 b을 모두 겸할 수 있어 음악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2평균률은 현대 음악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조율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 음정 중에서 순정율에 비해 평균율이 좁은 것은?

  1. 완전4도
  2. 완전5도
  3. 장3도
  4. 장6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완전5도"이다. 완전5도는 순정율과 평균율이 모두 700센트로 같기 때문에 평균율이 좁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음정들은 순정율과 평균율이 다르기 때문에 평균율이 더 넓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두음 C28와 E32의 공통배음이 되는 음의 건반명은?

  1. C52
  2. D54
  3. E56
  4. G59
(정답률: 알수없음)
  • C28와 E32의 공통배음을 찾기 위해서는 두 음의 차이를 구해야 한다.

    E32 - C28 = 4

    따라서, 이 음의 건반에서 4 건반 위에 있는 음이 공통배음이 된다.

    E32에서 4 건반 위에 있는 음은 E56이다.

    따라서, 정답은 "E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평균율에 있어서 1옥타브 내에는 2개의 화음이 합하여 1옥타브가 되는 화음이 있다. 이 중 서로 보족하는 화음은?

  1. 장3도와 단3도, 4도와 단3도, 5도와 단6도
  2. 장3도와 장6도, 4도와 3도, 5도와 장3도
  3. 4도와 5도, 단3도와 장6도, 단6도와 장3도
  4. 4도와 장3도, 5도와 장6도, 장3도와 장6도
(정답률: 알수없음)
  • 서로 보족하는 화음은 주음과 다섯 번째 위음의 화음과, 주음과 네 번째 위음의 화음입니다. 이는 각각 4도와 5도, 단3도와 장6도, 단6도와 장3도입니다. 이는 각각 보족한 음정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평균율에 있어서 A#38의 진동수는 얼마인가? (단, A49 : 440Hz, : 1.0594631)

  1. 235.237Hz
  2. 242.192Hz
  3. 233.082Hz
  4. 230.484Hz
(정답률: 알수없음)
  • A#38은 A49에서 11개의 반음 낮은 음이므로, A#38의 진동수는 A49의 진동수에서 11번의 반음 올리는 것과 같다.

    즉, A#38의 진동수 = 440Hz × (1.0594631)11 ≈ 233.082Hz

    따라서 정답은 "233.082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순정율에서 완전5도는 몇 센트인가?

  1. 502
  2. 602
  3. 702
  4. 802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율에서 완전5도는 702 센트이다. 완전5도는 7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반음은 100 센트씩 차이가 난다. 따라서 7개의 반음은 700 센트이며, 완전5도는 이보다 조금 더 높은 702 센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4도, 5도를 이용한 옥타브검사법에서 서로 일치하는 배음은? (C40 - C52를 조율할 때)

  1. C40의 3배음, F45의 4배음, C52의 2배음이 일치
  2. C40의 4배음, F45의 3배음, C52의 2배음이 일치
  3. C40의 5배음, F45의 4배음, C52의 2배음이 일치
  4. C40의 6배음, F45의 3배음, C52의 2배음이 일치
(정답률: 알수없음)
  • 4도, 5도를 이용한 옥타브검사법에서는 4도는 3배음, 5도는 2배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C40에서 4도 상에 위치한 F45은 C52에서 5도 하에 위치한 배음입니다. 이때 C40의 4배음은 C52의 2배음과 일치하므로, "C40의 4배음, F45의 3배음, C52의 2배음이 일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옥타브 검사법이 아닌 것은?

  1. 보족음정 검사
  2. 장3도와 장10도의 검사
  3. 이중 옥타브 검사
  4. 옥타브 연장한 단3도 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옥타브 연장한 단3도 검사는 옥타브 검사법이 아닌 것이다. 이는 옥타브 내에서 3음정 간격으로 연장한 음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옥타브 검사법과는 다른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옥타브 검사법의 일종으로, 음의 높이와 간격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순정율의 5도 화음에는 몇개의 대전음, 소전음, 반음이 포함 되는가?

  1. 대전음 2개, 소전음 2개, 반음 1개
  2. 대전음 2개, 소전음 1개, 반음 1개
  3. 대전음 2개, 소전음 2개, 반음 2개
  4. 대전음 1개, 소전음 2개, 반음 2개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율의 5도 화음은 루트음과 5도 위의 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두 음 사이의 간격은 7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간격을 대전음과 소전음으로 나누면 대전음 2개와 소전음 1개가 됩니다. 또한, 이 화음에는 루트음과 5도 위의 음 사이에 반음이 1개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전음 2개, 소전음 1개, 반음 1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순정율에서 큰 온음과 작은 온음의 차이는 얼마인가?

  1. 16/15
  2. 256/243
  3. 10/9
  4. 81/80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율은 2개의 음의 주파수 비율을 나타내는데, 큰 온음과 작은 온음의 비율은 9/8입니다. 따라서 큰 온음과 작은 온음의 차이는 9/8 - 1 = 1/8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81/80"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피타고라스 율에서 유래한 값으로, 9/8을 12번 곱한 후 2로 나누면 얻어지는 값입니다. 즉, (9/8)^12 / 2 = 19683/16384 = 81/80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큰 온음과 작은 온음의 차이가 81/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평균율에서 A37과 A#38과의 진동수 차는 얼마인가? (단, A37 : 220Hz, : 1.0594631)

  1. 130.810
  2. 31.082
  3. 13.0818
  4. 310.82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A#38의 진동수를 구해보자.

    A#38은 A37의 반음 위에 있으므로, A37의 진동수에 21/12를 곱해주면 된다.

    A#38의 진동수 = 220 × 21/12 ≈ 233.0818 Hz

    따라서, 평균율에서 A37과 A#38과의 진동수 차는 233.0818 - 220 = 13.0818 Hz 이다.

    정답은 "13.081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조율곡선의 원리에 따라 고음부와 저음부를 어느 정도 넓혀야 적당한가? (U-131기준)

  1. A1 35센트 C88 20센트 정도
  2. A1 20센트 C88 30센트 정도
  3. A1 15센트 C88 15센트 정도
  4. A1 30센트 C88 30센트 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조율곡선의 원리에 따르면, 음정이 높아질수록 조율 간격을 좁게하고, 음정이 낮아질수록 조율 간격을 넓혀야 한다. 따라서 고음부인 A1에서는 20센트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저음부인 C88에서는 30센트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는 고음부에서는 조율 간격을 좁게하고, 저음부에서는 조율 간격을 넓혀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주용 피아노 조율시 유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정이 허락되면 연주전날 조율,조정을 해 둔다.
  2. 핏치변경은 적어도 연주전날 행한다.
  3. 연주 직전 조정, 정음은 피한다.
  4. 음정이 변할 수 있으니 테스트 블로우(test blow)는 약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테스트 블로우는 피아노 내부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약하게 해야 피아노 내부에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레피티숀 레버 스프링이 약할 때 주로 나타나는 사항은?

  1. 렛오프가 잘 이루어진다.
  2. 해머드롭이 잘 된다.
  3. 연타가 잘 안된다.
  4. 해머스톱이 강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버 스프링이 약할 때는 레버를 눌러도 충분한 힘이 전달되지 않아 연타가 잘 안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잭 상하 조정 작업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신품 피아노의 경우는 레버상면보다 0.1-0.2 mm정도 낮게 조정한다.
  2. 오래 사용한 피아노의 경우 잭이 레버보다 조금 높을 수 있다.
  3. 레피티숀 레버 상하 조정나사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잭이 내려간다.
  4. 약간 낮게 조정할 때는 눈보다는 손으로 만지는 것이 정확할 수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피티숀 레버 상하 조정나사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잭이 내려간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 문장은 올바르다. 레피티숀 레버 상하 조정나사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나사가 내려가면서 잭이 내려가게 된다. 이는 레버와 잭 사이의 연결 부분에 있는 나사를 조정하여 레버와 잭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신품인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 연타가 잘 안된다. 그 이유 중 맞지 않는 것은?

  1. 레피티숀 레버보다 잭이 높다.
  2. 레피티숀 레버 스프링이 약하다.
  3. 잭이 뻑뻑하다.
  4. 건반 무게가 무겁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무게가 무겁다는 이유는 연타 시 건반을 누르는 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잭 전후 조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잭 레규레이팅 스크류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해머쪽으로 진행한다.
  2. 잭 전후를 검사할 때는 옆의 해머생크를 들어 올린 다음 조정할 레피티숀 레버를 눌러 확인한다.
  3. 잭의 중앙이 레피티숀 레버의 금에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4. 로라우드 해머쪽면과 잭의 해머쪽면이 일직선 상에 있도록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잭 레일의 거리 조정 방법은?

  1. 건반을 누르고 잭과 레일 간격은 4.5-5mm를 두고 조정한다.
  2. 건반을 누르고 잭과 레일 간격은 1.5-2mm를 두고 조정한다.
  3. 건반을 누르고 잭과 레일 간격은 2.5-3mm를 두고 조정한다.
  4. 건반을 누르고 잭과 레일 간격은 3-4mm를 두고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잭 레일은 건반을 누르면 움직이는 부분이므로, 건반을 누르고 그 간격을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 중 "건반을 누르고 잭과 레일 간격은 1.5-2mm를 두고 조정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댐퍼 페달 작동은 어떤 상태가 가장 좋은가?

  1. 페달을 밟았을 때 바로 작동하도록 조정한다.
  2. 페달을 1/2정도 밟았을 때 댐퍼가 들리도록 조정한다
  3. 아무렇게나 해도 댐퍼만 들리면 상관 없다.
  4. 페달을 1-2 mm정도 밟았을 때 댐퍼가 들리도록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댐퍼 페달 작동은 페달을 너무 많이 밟으면 브레이크가 끼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적게 밟으면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페달을 1-2 mm정도 밟았을 때 댐퍼가 들리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상태이다. 이렇게 조정하면 브레이크 작동이 부드럽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시스템의 수명도 늘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랜드 피아노의 소스테누토 페달에 관한 사항 중 맞는 것은?

  1. 탭과 날의 접촉면적(걸리는 깊이)은 0.1 mm이다.
  2. 탭과 날의 접촉면적(걸리는 깊이)은 1.5 mm이다.
  3. 탭과 날의 접촉면적(걸리는 깊이)은 2.5 mm이다.
  4. 탭과 날의 접촉면적(걸리는 깊이)은 3.5 mm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탭과 날의 접촉면적(걸리는 깊이)은 1.5 mm이다."

    소스테누토 페달은 피아노의 페달 중 하나로, 피아노의 음색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페달은 피아노의 하단 부분에 위치하며, 피아노의 소리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페달의 탭과 날의 접촉면적(걸리는 깊이)은 1.5 mm이라고 합니다. 이는 페달을 밟았을 때 탭과 날이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1.5 mm라는 뜻입니다. 이 면적이 작으면 작을수록 페달을 밟았을 때 소리의 변화가 미세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접촉면적은 피아노의 음색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오래 사용한 그랜드 피아노의 해머생크 및 해머헤드를 전체적으로 교환할 경우 주의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해머 헤드의 구멍에 생크가 알맞게 들어가야 한다.
  2. 해머 스톱을 감안해서 접착한다.
  3. 해머 접착전에 생크의 사진행을 먼저 검사해야 한다.
  4. 해머 라인을 맞추기 위해서는 사용하던 해머를 기준으로 삼아 작업해도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 스톱을 감안해서 접착한다는 이유는 해머 스톱이 해머헤드와 해머생크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머헤드와 해머생크를 교환할 때는 해머 스톱의 위치를 고려하여 접착해야 정확한 위치에 해머헤드가 고정됩니다. 이를 감안하지 않으면 해머헤드와 해머생크의 정확한 맞춤이 어렵고 연주 시 불안정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백첵 스킨이 해머 우드의 동작에 의해 매끄럽게 되어 해머가 잡히지 않을 때의 수리 방법은?

  1. 실리콘오일을 발라서 잘 움직이도록 해 준다.
  2. 스킨을 떼어서 뒤집어 바꾸어 준다.
  3. 거친 페퍼로 해머 우드를 샌딩해 준다.
  4. 스킨을 면도칼로 칼자국을 내어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 우드가 매끄럽게 되어 백첵 스킨이 잘 움직이지 않을 때, 거친 페퍼로 해머 우드를 샌딩해 주면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어 백첵 스킨이 잘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건반이 밸런스 핀 구멍부위에서 부러졌을 때의 가장 적합한 수리 방법은?

  1. 건반 양면에 두꺼운 종이를 발라 놓는다.
  2. 건반 양면에 양철을 대서 못을 박는다.
  3. 부러진 부위 좌,우 측면에 홈을 판다음 얇은 나무판으로 접착시킨다.
  4. 건반 양면에 구부린 철사를 얽어 박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이 밸런스 핀 구멍 부위에서 부러졌을 때, 부러진 부위 좌우 측면에 홈을 판 다음 얇은 나무판으로 접착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한 수리 방법이다. 이유는 부러진 부위를 홈으로 판 후 나무판으로 접착시키면 강력한 고정력을 가지며, 건반의 움직임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얇은 나무판을 사용하면 건반의 무게를 적게 느끼며, 소리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오래 사용한 페달이 좌우로 흔들릴 때 가장 올바른 수리 방법은?

  1. 페달 구멍 좌우에 펠트를 고여 준다.
  2. 페달 센터핀을 굵은 것으로 바꿔 준다.
  3. 페달 브래킷의 플라스틱 또는 플랜지 클로스를 바꿔준다.
  4. 페달 브래킷이나 플랜지 나사못을 조여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페달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은 페달 브래킷이나 플랜지 클로스가 마모되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를 바꿔주면 페달이 다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습니다. 페달 구멍에 펠트를 고여 주는 것은 일시적인 해결책이며, 페달 센터핀을 바꾸는 것은 페달의 높이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이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페달 브래킷이나 플랜지 나사못을 조여주는 것은 페달의 고정력을 높일 수는 있지만, 플라스틱이나 플랜지 클로스가 마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페달 브래킷의 플라스틱 또는 플랜지 클로스를 바꿔준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강선교환 후 롤러로 미는 가장 큰 이유는?

  1. 곱게 정리하기 위해서
  2. 선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3. 조율 후 피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4. 선을 똑바로 펴기 위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강선교환 후 롤러로 미는 가장 큰 이유는 조율 후 피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강선교환을 하면 선의 길이가 변하게 되는데, 롤러로 미는 것은 이러한 길이 변화를 보상하여 선의 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정확도와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반적으로 타건시 공명체가 될 수 없는 것은?

  1. 전등, 전기스토브
  2. 유리창, 옷장, 인형상자
  3. 벽에 걸어 놓은 옷
  4. 커튼 고리
(정답률: 알수없음)
  • 공명체는 일정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물체로, 주변의 소리나 진동에 반응하여 진동하는 것입니다. 벽에 걸어 놓은 옷은 일정한 주파수로 진동하지 않기 때문에 공명체가 될 수 없습니다. 반면에 전등, 전기스토브, 유리창, 옷장, 인형상자, 커튼 고리는 일정한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기 때문에 공명체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갈라진 음향판 수리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1. 갈라진 부분에 종이를 땜질하여 갈라진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2. 갈라진 부분에 단단한 잡목을 깎아 접착제를 칠한 후 박아 준다.
  3. 갈라진 틈에 동일한 나무를 깎아 접착제를 칠한 후 때워 준다.
  4. 갈라진 부분에 접착제를 칠하여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갈라진 음향판을 수리할 때는 갈라진 틈에 동일한 나무를 깎아 접착제를 칠한 후 때워 주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이다. 이유는 이 방법이 가장 튼튼하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들은 갈라진 부분을 가리는 것이나 임시적인 방법이므로 오랜 시간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그랜드 피아노 댐퍼리프팅레일 클로스와 댐퍼 레버 사이의 유격은 몇 mm가 적당한가?

  1. 2mm
  2. 5mm
  3. 7mm
  4. 맞닿아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mm"이다. 그랜드 피아노에서 댐퍼리프팅레일 클로스와 댐퍼 레버 사이의 유격은 2mm가 적당하다. 이는 댐퍼가 키를 놓았을 때 적절한 위치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격이 너무 크면 댐퍼가 키를 놓았을 때 적절한 위치에 머무르지 못하고 키를 누르는 동안 계속 떨리게 되어 음색이 불안정해지고, 유격이 너무 작으면 댐퍼가 키를 놓았을 때 충분한 공간이 없어서 댐퍼가 키를 놓지 못하고 계속 눌러져 있게 되어 음색이 소리가 더 길게 유지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2mm가 적당한 유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