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조율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피아노조율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피아노 현 15번 선의 인장강도(kgf/mm2)는 어느 정도인가?

  1. 221 ∼ 239
  2. 241 ∼ 259
  3. 261 ∼ 279
  4. 281 ∼ 299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 현 15번은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은 철사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보통 200 kgf/mm2 이상입니다. 보기에서는 241 ∼ 259 사이에 정답이 있다고 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피아노 현의 강도 범위 내에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아노조율과 관련하여 토르크(Torque)란?

  1. 조율핀과 핀판과의 굳기의 관계로 그 가늠 측정에 사용되는 단어
  2. 조율핀의 재질의 강도
  3. 조율핀의 휘는 정도
  4. 조율핀이 점프(jump)하는 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의 조율핀과 핀판은 서로 굳게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연결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가 토르크입니다. 따라서 "조율핀과 핀판과의 굳기의 관계로 그 가늠 측정에 사용되는 단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최초로 그랜드피아노의 레피티숀 액션은 누가 완성하였는가?

  1. 19세기초 미국의 허킨스
  2. 1809년경 프랑스의 에라르
  3. 1840년경 미국의 칙카링
  4. 19세기초 프랑스 메르센느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피아노의 레피티숀 액션은 1809년경 프랑스의 에라르가 완성하였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그랜드피아노와 관련된 인물이지만, 레피티숀 액션을 최초로 완성한 것은 에라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열쇠봉 상면에서 백건 상면까지의 높이를 20±1mm로 설정하였을 때 백건 상면에서 흑건 상면까지의 높이는 몇 mm로 설정되어야 하는가?

  1. 12±0.5mm
  2. 14±0.5mm
  3. 16±0.5mm
  4. 9±0.5mm
(정답률: 알수없음)
  • 열쇠봉 상면에서 백건 상면까지의 높이가 20±1mm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범위에서 최소값인 19mm에서 최대값인 21mm까지의 범위를 가집니다. 따라서, 백건 상면에서 흑건 상면까지의 높이는 19-21mm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때, 보기 중에서 12±0.5mm가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백건 상면에서 흑건 상면까지의 높이는 20mm에서 12mm를 빼면 8mm가 됩니다. 이때, 8mm는 9±0.5mm 범위 내에 속하므로, 흑건 상면의 높이를 12±0.5mm로 설정하면 백건 상면에서 흑건 상면까지의 높이가 20±1mm, 흑건 상면에서 백건 상면까지의 높이가 12±0.5mm가 되어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번 현의 굵기는?

  1. 0.825±0.010mm
  2. 0.850±0.010mm
  3. 0.875±0.010mm
  4. 0.900±0.010mm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번 현의 굵기를 측정하기 위해 선명도가 높은 부분을 선택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값은 "0.850±0.010mm" 이다. 즉, 번 현의 굵기는 0.850mm이며, 이 값의 오차 범위는 ±0.010mm이다. 따라서, 정답은 "0.850±0.01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현의 진동을 향판에 전해주는 브릿지에 사용되는 나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스푸르스, 참나무
  2. 고로쇠, 나도박
  3. 단풍나무, 스푸르스
  4. 오동나무, 단풍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고로쇠와 나도박은 진동이 잘 전달되는 밀도가 높은 나무이기 때문에 현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스푸르스와 참나무는 밀도가 낮아 진동 전달에 적합하지 않고, 단풍나무와 오동나무는 나무의 특성상 진동이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로쇠와 나도박이 가장 적합한 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바닥면에서 페달의 앞끝 윗면까지의 높이는(mm)?

  1. 20 ∼ 30
  2. 45 ∼ 75
  3. 30 ∼ 45
  4. 80 ∼ 95
(정답률: 알수없음)
  • 자전거 페달의 높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페달의 앞끝 윗면까지의 높이는 45mm에서 75mm 사이로 조절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범위 안에서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편안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45 ∼ 75" 인 이유는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향판의 특성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진동의 지속
  2. 음의 확대
  3. 음의 합성
  4. 조율핀의 조율상태 유지
(정답률: 알수없음)
  • 조율핀의 조율상태 유지는 향판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향판의 특성은 음의 진동을 전달하고 확대하며 합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율핀의 조율상태 유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에서 ②번의 명칭은?

  1. 페달
  2. 페달봉
  3. 페달대
  4. 페달박스
(정답률: 알수없음)
  • ②번의 명칭은 "페달대"입니다.

    페달은 자동차나 자전거 등에서 발로 밟아 동작시키는 부분을 말하며, 이를 고정하는 부분이 페달대입니다. 페달대는 자동차에서는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자전거에서는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페달대가 페달을 고정하는 부분이므로 정답은 "페달대"입니다. "페달봉"은 페달을 지지하는 막대를 말하며, "페달박스"는 자동차에서 엔진과 변속기를 연결하는 부분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현의 굵기(thickness) 및 길이(length)와 진동수와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

  1. 현의 굵기가 굵으면 낮은 진동수를, 현의 굵기가 가늘면 높은 진동수를 얻을 수 있다.
  2. 현의 굵기가 굵으면 높은 진동수를, 현의 굵기가 가늘면 낮은 진동수를 얻을 수 있다.
  3. 현의 굵기와 진동수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4. 현의 길이가 길면 높은 진동수를, 현의 길이가 짧으면 낮은 진동수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의 굵기가 굵으면 낮은 진동수를, 현의 굵기가 가늘면 높은 진동수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현의 굵기가 굵을수록, 현이 진동할 때 필요한 에너지가 많아지기 때문에 더 느리게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굵은 현은 낮은 진동수를 가지게 된다.

    반대로, 현의 굵기가 가늘어질수록, 현이 진동할 때 필요한 에너지가 적어지기 때문에 더 빠르게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늘고 가벼운 현은 높은 진동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현의 굵기와 진동수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굵기가 낮은 현일수록 높은 진동수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똑같은 세기로 타현한다고 가정 했을 때 타현점이 현중앙에 가까이 가면 해머의 접현시간은 어떻게 되는가?

  1. 현중앙에 가까이 갈수록 길어진다.
  2. 현중앙에 가까이 갈수록 짧아진다.
  3. 접현 시간은 일정하다.
  4. 현중앙에 가까이 갈수록 급속하게 짧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 중앙에 가까이 갈수록 해머가 떨어지는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접현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는 해머가 떨어지는 거리와 접현 시간이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 중앙에 가까이 갈수록 해머의 접현 시간은 길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강한 사람의 가청 주파수 범위는?

  1. 16㎐∼1,000㎐
  2. 16㎐∼20,000㎐
  3. 25㎐∼30,000㎐
  4. 16㎐∼4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사람의 청각은 대략 20Hz에서 20kHz까지 인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사람의 가청 주파수 범위는 16Hz에서 20kHz까지입니다. 이 범위를 넘어가면 청력 손실이나 청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6㎐∼20,000㎐"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매스킹효과(masking effect)란 어떤 상태인가?

  1. 어떤 소리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상태
  2. 어떤 소리가 다른 소리 때문에 더 두드러지는 상태
  3. 두개의 소리에서 비트 현상이 나는 상태
  4. 어떤 소리가 또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매스킹효과는 어떤 소리가 또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현상입니다. 즉, 한 소리가 다른 소리를 가리는 현상으로, 더 큰 소리가 작은 소리를 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변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음악이나 대화를 듣는 경우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음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옳게 설명한 것은?

  1. 순음은 강약 고저의 성질을 가지며 음색의 차이를 감별할 수 있다.
  2. 악음(樂音)은 규칙적인 진동에 의해서 일어나고 강약, 고저의 성질만 가지고 음색의 차이는 감별할 수 없다.
  3. 악음(樂音)은 진동수 측정이 가능하다.
  4. 소음은 시끄러운 음이지만 진동수 측정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악음(樂音)은 진동수 측정이 가능하다." 이다. 악음은 규칙적인 진동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진동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순음은 강약 고저의 성질을 가지며 음색의 차이를 감별할 수 있지만, 진동수 측정은 불가능하다. 소음은 시끄러운 음이지만 진동수 측정은 가능하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악음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진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진폭은 소리의 세기와 관계가 있다.
  2. 진폭은 진동수와 관계가 있다.
  3. 진폭이 크면 클수록 소리의 에너지가 커진다.?
  4. 진동하기 전의 위치에서 진동하고 있는 마루꼭대기까지의 길이를 진폭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폭은 진동수와 관계가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진폭은 진동의 크기나 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진동수와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관계는 아니다. 진동수는 단위 시간당 진동의 횟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진폭이 크면 클수록 소리의 에너지가 커지고, 진동하기 전의 위치에서 진동하고 있는 마루꼭대기까지의 길이를 진폭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회절 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동이 장해물의 뒷부분에도 전파되어 가는 현상이다.
  2. 호이겐스(Huygens)가 빛의 입자설로 1788년에 발표하였다.
  3. 일반적으로 위상회절이 큰 고주파수의 음파는 벽면의 뒤에 들어가면 급격히 음압이 작아진다.
  4. 회절은 물질의 성질이나 형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호이겐스(Huygens)가 빛의 입자설로 1788년에 발표하였다." 이다. 이유는 회절 현상은 빛이 파동으로 전파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호이겐스는 빛의 파동이 장해물의 뒷부분에도 전파되어 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호이겐스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빛의 입자설은 빛이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론으로, 회절 현상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소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리의 세기는 소리의 압력에 관계되는 양(量)으로서 감정의 변화를 표현한다.
  2.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압력의 변화가 있으면 낮은 소리로 들린다.
  3. 소리의 높이는 기본주파수 또는 파장에 의해 정해진다.
  4. 파장이 짧은 소리는 낮은 소리의 음정으로 표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장이 짧은 소리는 낮은 소리의 음정으로 표현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파장이 짧은 소리는 높은 주파수를 가지므로 높은 음정으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소리의 세기(intensity)는 음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단위 면적을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에너지로 표시할 수 있는데 그 단위는?

  1. Watt/m2
  2. Hz
  3. cycle/second
  4. m/sec2
(정답률: 알수없음)
  • 소리의 세기는 에너지의 단위인 와트(Watt)를 면적의 단위인 제곱미터(m2)로 나눈 것이므로 단위는 "Watt/m2"이 된다. 이는 단위면적당 초당 흐르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며, 소리의 세기가 높을수록 단위면적당 에너지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 값이 커진다. 따라서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Watt/m2"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발음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생기는 공기의 파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음파
  2. 주파
  3. 진폭
  4. 파장
(정답률: 알수없음)
  • 발음체의 진동은 공기 분자들을 압축하고 이완시키는데, 이러한 압축과 이완이 일어나면서 공기 분자들 사이에 파동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파동을 음파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3화음이 구성되는 음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장3화음 장3도+완전5도
  2. 단3화음 단3도+완전5도
  3. 증3화음 장3도+증5도
  4. 버금3화음 증3도+감3도+단2도
(정답률: 알수없음)
  • 버금3화음은 장3도와 완전5도로 구성되며, 증3도와 감3도, 그리고 단2도가 추가로 포함됩니다. 따라서, 3화음이 구성되는 음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2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일반적으로 실내음향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내부요소와 관련없는 것은?

  1. 음원과 내부의 소음원
  2. 청중의 수와 위치
  3. 방의 크기 및 형상
  4. 조명의 영향 및 벽과 구조물의 전송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조명의 영향 및 벽과 구조물의 전송 특성은 실내음향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에서 내부요소와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는 음원과 내부의 소음원, 청중의 수와 위치, 방의 크기 및 형상과 같은 내부요소와는 달리 외부적인 요소로서, 방의 구조와 재료, 벽면의 특성, 조명의 위치와 방향 등이 실내음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스타키오관으로 목과 연결되어 있어 고막 안팎의 기압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귀바퀴
  2. 고실
  3. 달팽이관
  4. 림프관
(정답률: 알수없음)
  • 고실은 유스타키오관과 연결되어 있어 고막 안팎의 기압을 유지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는 귀에 들어오는 소리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온음 5개와 반음 2개로 구성 되어진 음정은?

  1. 장3도
  2. 완전8도
  3. 감4도
  4. 단3도
(정답률: 알수없음)
  • 온음 5개와 반음 2개로 이루어진 음정은 완전8도입니다. 완전8도는 12개의 음계 중 8개의 음계를 포함하며, 이 중 온음 5개와 반음 2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음정은 완전8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음에 앞서서 선행되어야 될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최소한의 액숀 조정이 되어 있어야 한다.
  2. 댐퍼 작동이 원활해야 한다.
  3. 동음은 약간 틀려도 된다.
  4. 해머의 타현 각도는 정확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음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액숀 조정과 댐퍼 작동이 원활해야 합니다. 이는 소리의 진동을 조절하고 제어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동음은 약간 틀려도 된다는 것은, 발음이 완벽하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해머의 타현 각도는 정확해야 하는데, 이는 정확한 음높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머를 니들링하고 화일링을 한 후에 해머 표면에 일어난 펠트의 기모를 안정시키고 해머 펠트의 습도를 줄이는데 필요한 도구는?

  1. 키플라이어
  2. 생크아이롱
  3. 튜닝해머
  4. 해머아이롱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아이롱은 해머 표면의 기모를 안정시키고 습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키플라이어는 키를 조절하는 도구, 생크아이롱은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절단하는 도구, 튜닝해머는 악기 조율에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조바꿈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한 때 다른 조로 옮겨진다.
  2. 연주자의 음역에 맞도록 악곡 전체를 높이거나 낮춘다.
  3. 악곡 어느 부분을 다른 조로 구성한다.
  4. 조를 아주 바꾸어 버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어떤 소리가 0의 수준에서 100배 커졌으면 몇 데시벨(dB)이 되겠는가?

  1. 10dB
  2. 20dB
  3. 30dB
  4. 40dB
(정답률: 알수없음)
  • 데시벨(dB)은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0dB는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소리 크기를 나타냅니다. 소리가 0의 수준에서 100배 커졌다는 것은 10배의 로그 스케일로 표현하면 20dB 증가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반음의 음정 비율은 얼마인가?

  1. 8 : 9
  2. 9 : 10
  3. 15 : 16
  4. 5 : 6
(정답률: 알수없음)
  • 반음의 음정 비율은 15:16이다. 이는 반음이 음정 비율로 1.067배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와 C# 사이의 음정 비율은 15:16이다. C의 주파수를 1이라고 할 때, C#의 주파수는 1.06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아노의 현은 2배음부터 18배음을 가지고 있을 때 기음을 기준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배음은?

  1. 2배음
  2. 3배음
  3. 4배음
  4. 5배음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의 기음은 27개이며, 각 배음마다 기음의 개수가 다릅니다. 따라서, 각 배음이 가지고 있는 기음의 개수를 계산하여 비교해야 합니다.

    - 2배음: 10개의 기음을 가지고 있음
    - 3배음: 11개의 기음을 가지고 있음
    - 4배음: 9개의 기음을 가지고 있음
    - 5배음: 7개의 기음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피아노의 현이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배음은 3배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배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 상음의 진동수가 기음의 진동수의 정수배가 되는 것
  2. 진동수가 약간 다른 두 개의 현을 동시에 울릴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간섭에 의해 일어난다.
  3. 100Hz의 음을 내면 200, 300, 400Hz...등의 음이된다.
  4. 배수에 따라서 제2배음, 제3배음... 등으로 부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100Hz의 음을 내면 200, 300, 400Hz...등의 음이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배음은 각 상음의 진동수가 기음의 진동수의 정수배가 되는 것으로, 기음의 진동수가 100Hz일 때, 첫 번째 상음은 200Hz, 두 번째 상음은 300Hz, 세 번째 상음은 400Hz... 등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배음 중에서도 제2배음, 제3배음... 등으로 부르는 것이 있습니다.

    하지만 진동수가 약간 다른 두 개의 현을 동시에 울릴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것은 배음이 아니라, 비음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두 개의 현이 만드는 파동이 서로 상쇄되거나 강화되어서 새로운 파동이 만들어지는데, 이 때 만들어지는 파동의 주파수는 두 현의 주파수 차이에 비례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음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28에서 위로 장3도 E32의 맥놀이수는? (단, C28의 진동수:130.813Hz, E32의 진동수:164.814Hz)

  1. 3.191
  2. 4.191
  3. 5.191
  4. 6.191
(정답률: 알수없음)
  • 맥놀이수는 주파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맥놀이수는 log₂(164.814/130.813) ≈ 5.191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19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해머의 접현시간이 가장 짧아질 수 있는 조건은?

  1. 빠르고 강하게 타건했을 때
  2. 느리고 약하게 타건했을 때
  3.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게 타건했을 때
  4. 빠르고 강하게 타건하거나 느리고 약하게 타건하거나 접현시간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의 접현시간은 해머가 충격을 받아서 튕기는 시간이므로, 빠르고 강하게 타건했을 때 충격이 가장 강하게 전달되어 해머가 빠르게 튕기기 때문에 접현시간이 가장 짧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순정음율에서 C1을 으뜸음으로 하고 그 진동수를 1로 하면 이때 C1과 D음간의 진동수비는? ( 제1음 C1은 1:1, 제2음 D는 8:9)

  1. 10/9
  2. 9/8
  3. 7/8
  4. 7/10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음율에서 C1과 D의 진동수비는 8:9이다. 이를 C1을 1로 놓고 비율을 맞추면, D의 진동수는 9/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평균율에서 A49가 10센트 높다고 하면 몇 Hz가 되는가? A49 : 440 Hz, =1.0594631)

  1. 441.308
  2. 442.616
  3. 443.401
  4. 444.447
(정답률: 알수없음)
  • A49가 10센트 높다는 것은 A49의 주파수에 10%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A49의 주파수에 10%를 곱해준 후 더해주면 된다.

    A49의 주파수 = 440 Hz

    10% 증가한 값 = 440 Hz × 1.1 = 484 Hz

    A50의 주파수는 A49의 주파수에서 반음(1/12) 올라간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50의 주파수 = 440 Hz × 21/12 ≈ 466.164 Hz

    따라서 A49가 10센트 높을 때 A50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A50의 주파수 = 484 Hz × 21/12 ≈ 511.305 Hz

    이제 A49와 A50의 평균 주파수를 구하면 된다.

    (440 Hz + 511.305 Hz) ÷ 2 ≈ 475.653 Hz

    하지만 이 값은 소수점 이하가 너무 많으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42.6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중간전음계는 누구에 의해 발표되었는가?

  1. 피타고라스
  2. 피에트로 아론
  3. 메르센느
  4. 아리스토텔레스
(정답률: 알수없음)
  • 중간전음계는 피에트로 아론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는 그가 음악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중 하나이며, 음악의 조화와 음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완전4도 조율에서 A37(220Hz)과 D42(293.665Hz)의 비트(beat)수는?

  1. 0.7
  2. 0.82
  3. 0.99
  4. 1.05
(정답률: 알수없음)
  • 비트(beat)수는 두 음의 주파수 차이를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A37의 주파수는 220Hz이고, D42의 주파수는 293.665Hz입니다.

    따라서, 비트(beat)수는 (293.665 - 220) / 220 = 0.336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완전4도 조율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비트(beat)수는 0.336에 4를 곱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인 비트(beat)수는 0.336 x 4 = 1.344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1.344를 반올림하여 1.34가 아닌 0.99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아노 음역 A1 ∼ C88의 진동수 범위는?

  1. 23.5Hz ∼ 3,760.000Hz
  2. 25.5Hz ∼ 4,018.009Hz
  3. 27.5Hz ∼ 4,186.009Hz
  4. 29.5Hz ∼ 4,384.009Hz
(정답률: 알수없음)
  • 피아노 음역은 A1부터 시작하며, 각 음마다 정해진 진동수가 있습니다. A1의 진동수는 27.5Hz이며, 이후 각 음마다 2의 1/12승씩 증가합니다. C88의 진동수는 4,186.009Hz이며, 이 범위 내 모든 음의 진동수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7.5Hz ∼ 4,186.009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평균율에 있어 5도 음정의 경우 낮은 쪽이 1Hz변했을 때와 높은 쪽이 1Hz변했을 때 나타나는 맥놀이수는?

  1. 낮은 쪽이 1Hz변했을 때의 맥놀이수가 많이 나타난다.
  2. 높은 쪽이 1Hz변했을 때의 맥놀이수가 2배 많이 나타난다.
  3. 양쪽 똑같은 수의 맥놀이가 생긴다.
  4. 맥놀이가 생기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5도 음정은 주파수 비율이 3:2이므로, 낮은 쪽이 1Hz 변했을 때 주파수는 3/2 Hz 증가하고, 높은 쪽이 1Hz 변했을 때 주파수는 2/3 Hz 증가합니다. 이 때, 맥놀이수는 주파수 비율의 역수인 2:3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낮은 쪽이 1Hz 변했을 때의 맥놀이수가 높은 쪽이 1Hz 변했을 때의 맥놀이수보다 많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A49의 5도 위 E56의 진동수를 구하려고 한다. 다음 중 맞는 계산 방법은?

  1. 440 Hz ÷ (반음정비)7
  2. 440 Hz × (반음정비)5
  3. 440 Hz × (반음정비)7
  4. 440 Hz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440 Hz × (반음정비)7"이다.

    음계에서 한 옥타브는 2배의 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A4의 주파수는 440 Hz이고, A5는 880 Hz이다.

    반음정비는 한 음에서 반음 올라갈 때마다 주파수를 21/12배 만큼 올리는 것이다.

    따라서 A4에서 5도 위인 E5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A4에서 5도 위인 E5까지의 거리는 7반음이다. (A4 → A#4 → B4 → C5 → C#5 → D5 → D#5 → E5)
    2. 따라서 주파수는 440 Hz × 27/12 ≈ 659.26 Hz이다.

    따라서 "440 Hz × (반음정비)7"이 맞는 계산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단음정과 완전음정을 구성하는 음정 중 그 음에서의 위의 음이 반음 낮추어지든지, 아래음이 반음 올려지든지 해서 음폭이 반음 좁아진 음정은?

  1. 감음정
  2. 증음정
  3. 불완전음정
  4. 반음정
(정답률: 알수없음)
  • 감음정은 단음정과 완전음정을 구성하는 음정 중에서, 그 음에서의 위의 음이 반음 낮추어지든지, 아래음이 반음 올려지든지 해서 음폭이 반음 좁아진 음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감음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부분음과 기음과의 음정관계 중 옳은 것은?

  1. 제 3부분음은 기음의 1옥타브 위의 장2도 음정
  2. 제 4부분음은 기음의 1옥타브 위의 장3도 음정
  3. 제 5부분음은 기음의 2옥타브 위의 장3도 음정
  4. 제 6부분음은 기음의 2옥타브 위의 단6도 음정
(정답률: 알수없음)
  • 부분음은 음계에서 한 음정을 줄이거나 늘리는 기호이며, 기음은 음계에서 기준이 되는 음을 말합니다. 따라서 부분음과 기음 간의 음정관계는 기음에서 일정한 음정을 이동한 위치에 부분음이 위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제 5부분음은 기음에서 2옥타브 위의 장3도 음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기음의 장3도에서 2옥타브 위로 이동한 위치에 부분음이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부분음과 기음 간의 음정관계는 기음에서 일정한 음정을 이동한 위치에 부분음이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순정음율에서 장6도의 음정비는?

  1. 2 : 3
  2. 3 : 4
  3. 3 : 5
  4. 5 : 6
(정답률: 알수없음)
  • 순정음율에서 장6도는 5개의 온음과 2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간단하게 나타내면 5:2입니다. 그리고 장6도의 음정비는 순정음율에서의 5:3과 비교하여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5:3에서 3:2를 나누어 계산하면 됩니다. 이렇게 계산하면 3:5가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진동수가 비슷하거나 배음렬이 같은 차의 진동에서 일어나는 주기적인 파동 현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기도 하여 울림을 형성하는데 매초당 일어나는 이 현상은 무엇인가?

  1. 거짓비트
  2. 맥놀이
  3. 음정비
  4. 보족음정
(정답률: 알수없음)
  • 맥놀이는 진동수가 비슷하거나 배음렬이 같은 차의 진동에서 일어나는 주기적인 파동 현상으로, 차의 엔진이나 바퀴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도로와 같은 공간에서 반사되어 다시 차량으로 돌아와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매초당 일어나며, 커지거나 작아지기도 하여 울림을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A37 음이 220Hz 일때 단3도 위의 C40 음과의 맥놀이는 매초 당 몇회인가?

  1. 5.9
  2. 8.7
  3. 11.9
  4. 13.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순정율에 있어서 음정의 진동비 중 틀린 것은?

  1. 완전5도 - 2:3
  2. 단6도 - 5:8
  3. 장3도 - 4:5
  4. 단3도 - 3:5
(정답률: 알수없음)
  • 음정의 진동비란 음계에서 두 음 사이의 주파수 비율을 말합니다. 순정율은 음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음들의 진동비를 말합니다.

    단3도 - 3:5이 틀린 이유는, 순정율에서는 단3도의 진동비가 6:5입니다. 3:5는 다른 음정에 해당하는 진동비입니다. 따라서 단3도 - 3:5은 순정율에서는 올바르지 않은 진동비입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순정율에서 올바른 진동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완전5도는 2:3, 단6도는 5:8, 장3도는 4:5의 진동비를 가지며, 이들은 순정율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된 음들의 진동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사이드 베어링(side bearing)에 대한 가장 올바른 설명은?

  1. 저음부 베어링과 고음부 베어링의 높이 차이를 말한다.
  2. 브릿지 핀에서 현을 좌우로 굴절시키는 것을 말한다.
  3. 프레임 고음부의 베어링 높이를 말한다.
  4. 저음과 중음의 높이 차이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이드 베어링은 브릿지 핀에서 현을 좌우로 굴절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현의 진동을 조절하여 음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피아노 조율시 딥블럭(dip block)의 주된 용도는?

  1. 건반의 깊이를 재는 자
  2. 흑건반의 넓이를 재는 자
  3. 건반의 무게를 재는 저울
  4. 백건반의 높이 및 넓이를 재는 자
(정답률: 알수없음)
  • 딥블럭은 건반의 깊이를 재는 도구입니다. 딥블럭을 건반에 대고 누르면 건반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아노를 조율할 때 건반의 깊이를 맞추기 위해 딥블럭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랜드 피아노의 급속 반복 타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가장 관련있는 것은?

  1. 레피티숀 레버 스프링
  2. 백첵
  3. 해머드롭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 피아노에서 급속 반복 타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레피티숀 레버 스프링입니다. 이 스프링은 레피티숀 레버를 누르면 해머드롭이 빠르게 되돌아오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연주자는 빠르게 반복적인 타현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다른 보기인 백첵, 해머드롭, 잭은 모두 그랜드 피아노의 다른 부분과 관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랜드 피아노에서 소프트 페달(soft pedal)의 이동한계 조정은?

  1. 우측 건반목 옆에 펠트를 붙여 조정한다.
  2. 우측 우드블럭에 있는 레규레이팅 스크류로 조정한다.
  3. 소프트 페달 밑에 펠트를 고여 조정한다.
  4. 소프트 페달봉 헤드로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프트 페달은 우측 우드블럭에 있는 레규레이팅 스크류로 조정하는 이유는 소프트 페달이 작동할 때 페달과 피아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이 간격을 조절하여 소프트 페달의 이동한계를 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체 튜닝핀 수리 작업을 할 경우 주의해야 할 사항 중 옳은 것은?

  1. 튜닝핀은 현재 핀보다 1mm 정도 굵은 것을 사용한다.
  2. 튜닝핀을 풀 때는 저음쪽부터 한음씩 건너서 조금씩 푼 다음 전체적으로 풀어 나간다.
  3. 업라이트일 경우는 프레샤바를 해체하고 작업하면 쉬우나 프레샤바의 높이와는 상관없다.
  4. 장현 후 조율은 1회 정도면 충분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튜닝핀을 풀 때는 저음쪽부터 한음씩 건너서 조금씩 푼 다음 전체적으로 풀어 나간다." 이다. 이유는 튜닝핀을 한 번에 모두 푸는 경우에는 음정이 크게 바뀌어서 다시 조정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저음쪽부터 조금씩 푸는 것이 안정적이고 정확한 조율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조율할 때 조율핀이 점핑하는 것을 수리하는 방법 중 옳은 것은?

  1. 튜닝핀을 더 깊게 박아준다.
  2. 튜닝핀을 아래 위로 흔들어 준다.
  3. 튜닝핀에 오일유를 발라 준다.
  4. 튜닝핀을 빼낸 후 튜닝핀에 백묵을 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튜닝핀이 점프하는 것은 핀과 구멍 사이의 마찰력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튜닝핀을 빼내고 핀에 백묵을 칠해 마찰력을 높여주면 점프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선택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잭의 깊이는 레피티션레버 상단으로부터 몇 mm 정도가 가장 이상적인가?

  1. 0.8mm
  2. 0.2mm
  3. 0.5mm
  4. 2mm
(정답률: 알수없음)
  • 잭의 깊이는 0.2mm가 가장 이상적이다. 이는 레피티션레버 상단과 잭의 접촉면이 가장 적절한 깊이이기 때문이다. 너무 깊게 들어가면 레버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고, 너무 얕으면 레버가 움직일 때 충분한 힘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0.2mm가 가장 적절한 깊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랜드 피아노의 렛오프는 해머가 현에 몇 mm까지 접근했을 때 이루어져야 하는가? (단, 저음부에서)

  1. 2.5∼3 mm
  2. 3.5∼4 mm
  3. 4.5∼5 mm
  4. 0.5∼1 mm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 피아노의 렛오프는 해머가 현에 충분한 힘을 전달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하지만 너무 강한 힘으로 인해 현이 손상을 입거나, 너무 약한 힘으로 인해 음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렛오프는 해머가 현에 2.5∼3 mm 정도 접근했을 때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 범위는 충분한 힘을 전달하면서도 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5∼3 m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댐퍼펠트가 오래되어 굳어서 지음이 잘 되지 않을 때의 가장 올바른 수리 방법은?

  1. 댐퍼펠트를 현쪽으로 손으로 늘려 준다.
  2. 피커로 펠트를 침질하여 부드럽게 해 준다.
  3. 댐퍼펠트에 흑연을 칠하여 매끄럽게 해 준다.
  4. 댐퍼펠트에 백묵가루를 뿌려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댐퍼펠트가 오래되어 굳어서 지음이 잘 되지 않을 때, 피커로 펠트를 침질하여 부드럽게 해 주는 것이 가장 올바른 수리 방법이다. 이는 피커로 펠트를 빠르게 뚫어주면서 펠트 안에 있는 섬유를 풀어주기 때문에 부드러워지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수리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랜드 피아노의 로라스킨을 교환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1. 스킨 두께에 관계없이 접착제를 전면 칠해서 붙인다.
  2.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접착제를 전면 칠해서 붙인다.
  3.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느슨하게 붙인다.
  4.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양단만 접착제를 칠해 팽팽하게 붙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랜드 피아노의 로라스킨을 교환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양단만 접착제를 칠해 팽팽하게 붙인다." 이다. 이유는 스킨 두께가 다른 경우에는 접착제를 전면에 칠하면 스킨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피아노의 음색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킨 두께가 같은 것으로 양단만 접착제를 칠해 팽팽하게 붙이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건반 좌우 흔들림은 몇 mm가 가장 적당한가?

  1. 0.9 mm
  2. 0.3 mm
  3. 0.5 mm
  4. 0.7 mm
(정답률: 알수없음)
  • 건반 좌우 흔들림이 적을수록 연주의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장 적당한 건반 좌우 흔들림은 0.3mm이다. 0.9mm는 너무 크고, 0.5mm와 0.7mm는 적당하지만 0.3mm이 더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현을 교환하려면 좌로 몇 회전해서 탈현하는가?

  1. 5 ∼ 7 회전
(정답률: 알수없음)
  • 현을 교환하려면 좌로 3회전해서 탈현해야 한다. 이유는 ""이 현의 탈착 방법을 보여주는데, 이 방법은 현을 좌로 3회전한 후에 탈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건반후론트 홀 크로스가 낡아서 교환해야 한다. 어떤 방법이 가장 좋겠는가?

  1. 부싱에 접착제를 바른 후 5mm 길이로 접착시킨다.
  2. 후론트 홀에 접착제를 바른 후 5mm 길이로 접착시킨다.
  3. 부싱에 접착제를 바른 후 3mm 길이로 접착시킨다.
  4. 후론트 홀에 접착제를 바른 후 3mm 길이로 접착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싱은 건반과 후론트 홀 사이에 위치하며, 크로스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싱에 접착제를 바르고 3mm 길이로 접착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후론트 홀에 직접 접착제를 바르면 크로스가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5mm 길이로 접착시키면 부싱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랜드 피아노 백첵검사와 해머스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백첵와이어의 구부리는 위치는 백첵와이어의 상단만 구부려 조정한다.
  2. 해머스톱을 돕기위해 해머우드 부분에 요철을 만들어 준다.
  3. 백첵과 해머우드는 수직으로 좌우면이 일치하도록 한다.
  4. 백첵스킨과 해머우드 마찰면이 좌우가 평행되도록 백첵우드를 돌려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첵와이어의 구부리는 위치는 백첵와이어의 상단만 구부려 조정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백첵와이어의 구부리는 위치는 상단 뿐만 아니라 중간과 하단도 모두 구부려 조정해야 한다. 이는 백첵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음색과 음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중음 부분의 경우 해머접근 및 해머드롭(선에서 측정)의 거리는?

  1. 해머접근 2.5mm, 해머드롭 5mm
  2. 해머접근 4mm, 해머드롭 2mm
  3. 해머접근 3mm, 해머드롭 2mm
  4. 해머접근 2mm, 해머드롭 2.5mm
(정답률: 알수없음)
  • 중음 부분은 발성기관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며, 정확한 측정이 필요합니다. 해머접근은 중음 부분에서 선에서 2.5m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하며, 이는 중음 부분의 진동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해머드롭은 중음 부분에서 선에서 5m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하며, 이는 중음 부분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머접근 2.5mm, 해머드롭 5m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