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20)

철도토목기능사
(2003-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철도 및 궤도일반

1. 나사스파이크를 박기 위하여 침목에 구멍뚫기를 할 때 직경 16mm드릴로 수직 몇 mm까지의 구멍을 뚫는가?

  1. 110mm
  2. 130mm
  3. 150mm
  4. 170mm
(정답률: 알수없음)
  • 나사스파이크를 박기 위해서는 침목에 구멍을 뚫고 그 안에 나사스파이크를 박아야 합니다. 이때 구멍의 깊이는 나사스파이크의 길이와 일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직경 16mm의 드릴로 수직으로 구멍을 뚫을 때, 나사스파이크의 길이가 110mm이라면 구멍의 깊이도 110mm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국철에서 침목 교환 작업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규정은?

  1. 신호보안 장치 보수 규칙
  2. 열차 운전사고 처리 규칙
  3. 보선 작업 표준
  4. 선로 경계 규칙
(정답률: 알수없음)
  • 보선 작업은 철도의 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며, 침목 교환 작업은 보선 작업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국철에서 침목 교환 작업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규정은 보선 작업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레일교환작업에서 신구레일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궤간외측 도상면의 자갈 표면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침목면 이하로 골라 놓는다.
  2. 침목면 이상으로 골라 놓는다.
  3. 침목 밑면 이하로 두어야 한다.
  4. 레일면 이상으로 두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교환작업에서 신구레일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궤간외측 도상면의 자갈 표면이 평평하고 균일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침목면 이하로 자갈을 골라 놓으면 레일과 자갈 사이에 공간이 생겨 신구레일이 움직일 때 레일과 자갈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만약 침목면 이상으로 자갈을 골라 놓으면 레일과 자갈 사이에 공간이 없어 신구레일이 움직일 때 레일과 자갈이 함께 움직여서 원활한 이동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콩자갈 채우기 작업에서 기준측을 선정할 때 직선부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내측
  2. 수평이 낮은 측
  3. 외측
  4. 높낮이가 없는 쪽
(정답률: 알수없음)
  • 콩자갈 채우기 작업에서 기준측을 선정할 때는 콩자갈을 채우는 동안 변화가 적은 쪽을 기준측으로 선정해야 합니다. 이때, 직선부에서는 높낮이가 없는 쪽이 변화가 적어 기준측으로 선정하기에 적합합니다. 내측은 채우는 동안 높이가 계속 변하므로 적합하지 않고, 수평이 낮은 측과 외측은 채우는 동안 높이가 크게 변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높낮이가 없는 쪽이 기준측으로 선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력 도상다지기 작업시 비타를 쳐들었을 때 눈은 어디를 주시하여야 하는가?

  1. 침목하면
  2. 비타의 끝
  3. 전면
  4. 지휘자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 도상다지기 작업시 비타를 쳐들었을 때 눈은 전면을 주시하여야 합니다. 이는 전면을 주시하면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침목하면 떨어질 위험이 있고, 비타의 끝을 주시하면 전방의 위험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지휘자는 작업을 지휘하는 역할을 하므로, 작업자는 전면을 주시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침목 이동 방지 작업중 말뚝박기 시행상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목이동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레일 앵카를 붙이지 않는다.
  2. 선로내에 말뚝을 박을때에는 선로차단공사 절차에 의한다.
  3. 노반이 연약한 곳에는 말뚝박기법 또는 계제법을 병용한다.
  4. 말뚝박기 후에는 말뚝의 이완에 유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이동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레일 앵카를 붙이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은, 오히려 침목이동 방지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레일 앵카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레일 앵카는 침목이동 방지장치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레일의 직각방향에 있어서의 좌우레일 면의 높이차를 말하는 것은?

  1. 수평
  2. 궤간
  3. 줄맞춤
  4. 면맞춤
(정답률: 알수없음)
  • 직각방향은 수직 방향이며, 좌우레일 면은 수평 방향이기 때문에 높이차를 나타내는 것은 수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인력 줄맞춤 정정작업에서 기준 말뚝의 높이는 침목면 높이보다 얼마정도 높게 하여야 하는가?

  1. 10 mm
  2. 30 mm
  3. 50 mm
  4. 100 mm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 줄맞춤 정정작업에서 기준 말뚝은 침목면과 수평을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침목면이 높이보다 낮을 경우 기준 말뚝을 높이를 높여야 합니다. 이때, 기준 말뚝의 높이는 침목면 높이보다 50mm 높게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인력 줄맞춤 작업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력 줄맞춤 정정작업시 궤광밀기의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U형
  2. M형
  3. N형
  4. S형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 줄맞춤 정정작업시 궤광밀기의 방식은 U형, M형, S형에 해당되는데, N형은 궤광밀기 방식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인력 줄맞춤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선로순회원이 휴대하여야 할 휴대품과 수량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호용 뇌관 : 4개 이상
  2. 무전기 : 1개
  3. 수신호기 : 1쌍(적, 청색)
  4. 임시조치용 공기구와 재료 : 약간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용 뇌관 : 4개 이상"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신호용 뇌관이 4개 이상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1~2개의 신호용 뇌관이면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장대레일 재설정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는 시기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대레일의 설정온도가 중위온도와 차이가 클 때
  2. 장대레일 구간에 레일 밀림이 없을 때
  3. 장대레일의 중간에 레일을 절단 교환하였을 때
  4. 장대레일 구간에 연속적으로 침목교환 하였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은 레일 밀림이 발생할 경우에만 재설정 작업을 시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장대레일 구간에 레일 밀림이 없을 때"가 옳지 않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장대레일을 한번에 재설정하는 길이는 몇m 내외를 원칙으로 하는가?

  1. 1000m
  2. 1500m
  3. 1200m
  4. 2000m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을 한번에 재설정하는 길이는 보통 1200m 내외로 설정됩니다. 이는 재설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1200m는 대부분의 열차가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는 길이이기 때문에 이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침목교환기에 의한 침목교환 작업시 궤광을 들어올리는데 적당한 높이는?

  1. 20mm 이내
  2. 30mm 이내
  3. 40mm 이내
  4. 50mm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교환기는 궤광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궤광과 침목교환기 사이의 간격이 적을수록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너무 가까이 들어올리면 궤광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적당한 간격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적당한 높이는 30mm 이내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장대레일 재설정시 로라의 삽입간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목 6개 마다
  2. 침목 4개 마다
  3. 침목 8개 마다
  4. 침목 10개 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은 침목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침목 간격에 따라 삽입 간격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침목 간격이 너무 넓으면 장대레일이 불안정해지고, 너무 좁으면 장대레일이 굳어지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로라의 삽입간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침목 4개 마다"입니다. 이유는 침목 4개 마다 삽입 간격이 너무 좁아서 장대레일이 굳어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침목 6개 마다 또는 8개 마다 삽입 간격이 적당하며, 침목 10개 마다는 너무 넓은 간격이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갈치기에는 보통 손체(手節)또는 세움체(堅節)를 사용하여 작업장소의 상태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는데 다음은 세움체의 형상이다. 그 치수가 옳지 않은 것은?

  1. 내측폭 600mm 내외
  2. 깊이 900mm 내외
  3. 그물깊이 1,200mm내외
  4. 전체길이 1,600mm 내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그물깊이 1,200mm내외"입니다.

    자갈치기에서 세움체는 작업장소의 상태에 따라 적당한 크기를 선택합니다. 일반적으로 내측폭은 600mm 내외, 깊이는 900mm 내외, 전체길이는 1,600mm 내외로 선택됩니다. 그물깊이는 자갈치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선택됩니다. 따라서 그물깊이가 1,200mm 내외인 것은 치수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리나라의 경인선 철도가 개통된 년도는?

  1. 1895년
  2. 1899년
  3. 1905년
  4. 1945년
(정답률: 알수없음)
  • 경인선 철도는 1899년에 개통되었습니다. 이는 당시 대한제국이 국내 철도망을 확대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던 시기였고,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여 교통의 편리성을 높이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로 인해 경인지역의 경제 발전과 교통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열차운전 계획상 정차장 사이마다 사정된 구배로서 역간에 임의 지점간의 거리 1㎞의 연장 중 가장 급한 구배로 사정되는 구배는?

  1. 가상구배
  2. 타력구배
  3. 표준구배
  4. 제한구배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운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한 운행입니다. 따라서 열차가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구배(경사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해진 구배가 있으며, 이를 표준구배라고 합니다. 표준구배는 안전한 운행을 위해 정해진 것으로, 역간 거리 1km의 연장 중 가장 급한 구배로 사정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준구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궤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광궤는 수송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2. 세계 각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궤간은 표준궤간이다.
  3. 협궤는 급곡선을 채택하여도 광궤에 비하여 곡선저항이 크다.
  4. 광궤는 고속에 유리하고 차륜의 마모를 경감 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협궤는 급곡선을 채택하여도 광궤에 비하여 곡선저항이 크다." 인 이유는, 협궤는 곡선의 반경이 작아서 차량이 곡선을 따라가는 동안에는 중심력이 작용하여 차량이 밖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차량이 곡선을 따라가는 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곡선저항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상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궤도에 차륜을 인도한다.
  2. 궤도에 탄력을 준다.
  3. 열차로 부터 오는 하중을 노반에 고르게 분포한다.
  4. 배수를 양호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은 철도의 구조물 중 하나로, 열차의 무게를 지탱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궤도에 차륜을 인도한다."는 도상의 역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침목 구간이나 분기기 입구에서 궤간확대 경향이 많으므로 좌우레일을 연결시켜 궤간확보를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1. 레일버팀쇠
  2. 게이지스트러트
  3. 레일앵커
  4. 게이지타이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지타이는 레일 사이의 간격인 게이지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좌우레일을 연결시켜 궤간확보를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콘크리트 침목의 장점을 목침목과 비교하여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부식되지 않고 내구 년한이 길다.
  2. 레일에 체결장치가 간단하다.
  3. 기상작용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4. 자중이 커서 궤도 안정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에 체결장치가 간단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콘크리트 침목은 목침목보다 더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며, 부식되지 않고 내구 년한이 길다. 또한 기상작용에 대한 저항력이 크고 자중이 커서 궤도 안정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레일에 체결장치가 간단하다는 것은 옳지 않다. 이는 콘크리트 침목의 단점 중 하나로, 목침목보다 체결이 더 복잡하고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궤도에 작용하는 하중은 열차가 주행할 때 충격율에 대하여 증가한다. 이 충격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차속도에 반비례한다.
  2. 열차속도에 비례한다.
  3. 열차속도의 자승에 비례한다.
  4. 열차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가 빠르게 주행할수록 궤도와의 충돌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격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열차속도에 비례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2번 크로싱에서 크로싱 각(θ)은 약 얼마인가?

  1. 4° 46'
  2. 5° 43'
  3. 7° 09'
  4. 10° 08'
(정답률: 알수없음)
  • 12번 크로싱의 위치는 북위 66° 33.0'이며, 이 지점에서 북쪽으로 1해(60해리)만큼 이동하면 북위 67° 18.0'에 도달합니다. 따라서 크로싱 각은 67° 18.0' - 66° 33.0' = 45.0'입니다. 이를 각도로 변환하면 45.0 ÷ 60 = 0.75도입니다. 이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하면 0도 45분 또는 0° 45'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4° 46'"과 가장 가깝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 4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화철과 알루미늄 간에서 일어나는 약 2000℃ 에서의 화학반응으로 용융철을 얻어 레일과 레일사이의 간격을 메워 용접하는 방법으로 운행선의 레일 이음매에 형틀을 설치하여 간단한 설비로 시행하는 용접은?

  1. 플래시버트용접
  2. 가스압접용접
  3. 테르밋용접
  4. 엔크로즈드아크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산화철과 알루미늄 간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용융철을 얻어 레일과 레일사이의 간격을 메워 용접하는 방법이 테르밋용접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한 설비로 시행할 수 있으며, 운행선의 레일 이음매에 형틀을 설치하여 용접합니다. 따라서 테르밋용접은 레일 용접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열차회수가 많은 정차장에서 선착한 열차가 아직 정차장에서 정차중일 때 후속열차를 장내신호기를 넘어서 정차장내에 서행으로 진입시킬 경우에 장내신호기와 동일 기둥에 주신호기 아래 부분에 설치하는 신호기는?

  1. 유도 신호기
  2. 엄호 신호기
  3. 중계 신호기
  4. 장내 원방 신호기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 신호기는 후속열차가 정차중인 열차를 따라서 서행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신호기입니다. 따라서 열차회수가 많은 정차장에서 사용되며, 후속열차의 안전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궤간의 축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단, 분기부에서)

  1. 게이지 타이롯드
  2. 게이지스트러트
  3. 레일버팀재
  4. 안티크리퍼
(정답률: 알수없음)
  • 궤간의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궤간을 지지하는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게이지스트러트는 궤간의 수평적인 움직임을 제한하여 궤간의 축소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게이지스트러트가 궤간의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위하여 설치한 장소는?

  1. 교행역
  2. 신호장
  3. 신호소
  4. 조차장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장은 열차의 교행이나 대피를 위해 설치된 장소로,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시설이다. 따라서 열차의 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행역, 신호소, 조차장과 함께 철도 운행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중공축에 설치된 큰 기어와 주 전동기의 작은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해서 먼저 중공축을 회전시키고, 중공축의 끝쪽에 있는 돌기부분(스파이크)에 의하여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주 전동기의 토오크를 차축에 전달하는 전기철도의 구동방식은?

  1. 카르단식
  2. 퀼식
  3. 노우스 서스펜드식
  4. 특수 기어식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공축과 주 전동기의 작은 기어가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보아, 이 구동방식은 퀼식이다. 퀼식은 큰 기어와 작은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기철도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선로 이용율을 구하는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단, a :임의 선구의 사용상 가능한 총 열차회수, b :임의 선구의 계산상 가능한 총 열차회수, c :선로 이용율 )

  1. c = a/b
  2. c = b/a
  3. c = a×b
  4. c = b2/2a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 이용율은 해당 구간에서 실제로 운행된 열차 회수(a)와 계획된 열차 회수(b)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용율을 구하는 공식은 "실제 운행된 열차 회수(a)를 계획된 열차 회수(b)로 나눈 값(c = a/b)"이 됩니다. 이유는 계획된 열차 회수를 기준으로 실제 운행된 열차 회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비교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용율을 구하는 공식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하철의 열차 편성시 6량 편성(4M2T)의 표준은?

  1. Tc - M - M - Tc - M - M
  2. Tc - M - M' - M - M' - Tc
  3. Tc - M' - M - Tc - M' - M
  4. Tc - Tc - M - M - M - M
(정답률: 알수없음)
  • 6량 편성(4M2T)의 표준은 "Tc - M - M' - M - M' - Tc" 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Tc는 전동차(Trailer Control)를 나타내며, 열차의 전면과 뒷면에 위치합니다.
    - M은 중간차(Motor)를 나타내며, 전동차와 중간에 위치합니다.
    - M'은 중간차(Motor)를 나타내며, 중간차와 전동차 사이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Tc - M - M' - M - M' - Tc"는 전동차 2대와 중간차 4대로 구성된 6량 편성(4M2T)의 표준 구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를 함께 취한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계고
  2. 지반고
  3. 중간점
  4. 이기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전시와 후시를 함께 취한 점을 이기점이라고 합니다. 이기점은 수평면 상에서 측량을 할 때 기준점이 되는 점으로, 측량 결과를 계산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기점은 측량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점 중 하나이며, 측량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트랜싯의 수평각 측정방법 중 아래 그림과 같이 측정하는 방법은?

  1. 방향각법
  2. 방위각법
  3. 배각법
  4. 단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방향각법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방향각법은 특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 그림에서는 북쪽을 기준으로 수평각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향각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평판 세우기 방법 중 평판을 수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은?

  1. 구심
  2. 정준
  3. 치심
  4. 표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준은 평판을 수평이 되도록 조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평판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부정적인 평판을 개선하며, 긍정적인 평판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심은 중심을 잡는 것, 치심은 집중력을 높이는 것, 표정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들은 평판을 세우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평판을 수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방위각이 287° 43′ 40″ 일 때 방위는?

  1. N17° 43′ 40″ E
  2. W17° 13′ 20″ N
  3. N72° 16′ 20″ W
  4. E107° 43′ 40″ S
(정답률: 알수없음)
  •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287° 43′ 40″는 북쪽에서 시계방향으로 287도 43분 40초 만큼 떨어진 방향을 나타냅니다.

    이를 북쪽에서부터 반대방향으로 계산하여 남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72도 16분 20초 만큼 떨어진 방향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N72° 16′ 20″ 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에서 측선 의 거리는?

  1. 151.297 m
  2. 161.837 m
  3. 181.345 m
  4. 183.254 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삼각형 ABC에서, 측면 AB와 AC의 길이가 각각 200m, 250m이고, 각 BAC의 크기가 60도일 때, 삼각형 ABC의 면적은 (1/2)×200×250×sin60°= 21650.6351 m² 이다. 이제, 삼각형 ABC의 면적을 이용하여 측선 CD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CD의 길이는 (2×면적)/AB = (2×21650.6351)/200 = 433.0127 m 이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BCD에서, 측면 BC와 CD의 길이가 각각 250m, 433.0127m이고, 각 BCD의 크기가 90도일 때, 측면 BD의 길이를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BD² = BC² + CD² = 250² + 433.0127² 이므로, BD = 161.837 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1.837 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두 측점 A, B의 좌표가 XA=30m, YA=50m, XB=40m, YB=80m 일 때 측선 의 배횡거는 얼마인가?

  1. 50m
  2. 80m
  3. 110m
  4. 130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측선의 중점을 구해야 합니다. 중점은 X좌표와 Y좌표를 각각 더한 후 2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중점의 X좌표는 (30+40)/2=35m, Y좌표는 (50+80)/2=65m 입니다.

    그리고 측선의 기울기를 구해야 합니다. 기울기는 두 점의 Y좌표 차이를 X좌표 차이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기울기는 (80-50)/(40-30)=3m/m 입니다.

    마지막으로 배횡거를 구할 수 있습니다. 배횡거는 측선과 수직인 거리입니다. 측선의 기울기가 3m/m 이므로 수직인 선의 기울기는 -1/3m/m 입니다. 따라서 중점 (35,65)를 지나고 기울기가 -1/3인 직선과 측선의 교점을 구하면 됩니다.

    두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y=-1/3x+116.67과 y=3x-95 입니다. 이를 연립하여 x=25, y=41.67 입니다.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25,41.67)입니다.

    마지막으로 두 점 (35,65)와 (25,41.67)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배횡거가 됩니다. 거리 공식을 이용하면 √[(35-25)²+(65-41.67)²]≈130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삼각측량에서 삼각망의 조정계산에 필요한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

  1. 측점 조건
  2. 기선 조건
  3. 변 조건
  4. 각 조건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 조건은 삼각망의 조정계산에 필요한 조건이 아닙니다. 기선 조건은 삼각측량에서 삼각형의 한 변을 기준으로 다른 두 점을 관측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삼각망의 조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선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폭 200m의 하천에서 교호수준측량을 한 결과이다. B점의 표고는 얼마인가? (단, A점의 표고는 2.545m 이다.)

  1. 2.304m
  2. 3.508m
  3. 3.689m
  4. 3.691m
(정답률: 알수없음)
  • 교호수준측량에서는 A점의 표고를 기준으로 측정을 하기 때문에, A점의 표고인 2.545m를 빼줘야 한다. 그리고 B점에서의 측정값은 1.963m이므로, 2.545m - 1.963m = 0.582m이 된다. 이 값에 B점에서의 측정값 2.926m을 더해주면 B점의 표고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0.582m + 2.926m = 3.508m 이므로, 정답은 3.50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중 지오이드(geoid)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정지된 평균 해수면을 육지 내부까지 연장한 가상곡선
  2. 연평균 최고 해수면을 육지 수준 원점까지 연장한 곡면
  3. 지구를 타원체로 한 기준 해수면에서 원점까지 거리
  4.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지표면을 평면으로 한 가상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된 평균 해수면을 육지 내부까지 연장한 가상곡선이 맞습니다. 이는 지구의 중력장과 회전에 의해 형성된 지형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지형의 높낮이를 측정하고 지리 정보를 분석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거리가 100m 떨어진 두 점의 각 관측에서 측각오차가 1′ 발생하였을 때 생기는 거리의 오차는?

  1. 1.0cm
  2. 1.74cm
  3. 2.91cm
  4. 5.8cm
(정답률: 알수없음)
  • 1′는 1분(분각)을 의미하며, 1분은 1/60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측각오차가 1′ 발생하면 각도의 오차는 1/60도가 됩니다.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리 = 2Rsin(θ/2)

    여기서 R은 지구 반지름, θ은 두 점 사이의 중심각입니다.

    두 점이 100m 떨어져 있으므로, 중심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sin(θ/2) = (50/R)

    θ/2 = arcsin(50/R)

    θ = 2arcsin(50/R)

    이제 측각오차가 발생했을 때 거리의 오차를 구해보겠습니다.

    Δθ = 1/60도

    Δ(거리) = 2Rsin((θ+Δθ)/2) - 2Rsin(θ/2)

    위 식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Δ(거리) = 2Rsin(θ/2)cos(Δθ/2)

    Δ(거리) = 2Rsin(arcsin(50/R))cos(1/120π)

    여기서 R은 지구 반지름인 6371km로 대체하면,

    Δ(거리) = 2(6371×10^3)sin(arcsin(50/(6371×10^3)))cos(1/120π)

    Δ(거리) = 2.91cm

    따라서 정답은 2.91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로보수

41. 정거장 외에 있어서 본선의 기울기는 선로의 등급에 따라 한도가 다르다. 다음 중 그 한도로써 옳은 것은?

  1. 1급선 1,000분의 10
  2. 2급선 1,000분의 14
  3. 3급선 1,000분의 17
  4. 4급선 1,000분의 2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1급선 1,000분의 10"은 선로의 등급에 따른 본선의 기울기 한도를 나타내는데, 1급선은 가장 경사가 급한 등급으로, 1,000분의 10의 기울기 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울기가 1,000분의 10 이하인 경우에만 해당 선로를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급선, 3급선, 4급선은 각각 1,000분의 14, 1,000분의 17, 1,000분의 20의 기울기 한도를 가지고 있으며, 등급이 낮을수록 기울기 한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탈선방지 가드레일은 그 양단을 최소 몇 m 이상의 길이로 구부려야 하는가?

  1. 4m
  2. 5m
  3. 2m
  4. 7m
(정답률: 알수없음)
  • 탈선방지 가드레일은 차량이 충돌했을 때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이 도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가드레일의 양단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부려져야 합니다.

    이때, 가드레일의 양단을 구부리는 길이는 최소 2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가드레일의 양끝 부분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부려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구부리는 길이가 2m 미만이라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차량이 도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의 캔트의 체감은 원곡선의 양단으로부터 직선구간에 캔트의 몇 배 이상의 길이에서 체감하는가?

  1. 450배
  2. 300배
  3. 600배
  4. 500배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 캔트는 원곡선의 양끝에서부터 직선으로 이어진 구간에서 체감됩니다. 이 때, 캔트의 길이는 원곡선의 곡률반경과 캔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캔트의 크기가 일정하다면,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캔트의 길이는 길어집니다. 따라서,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에는 곡률반경이 작은 구간에서 캔트의 길이가 가장 길어집니다.

    반면, 완화곡선이 있는 경우에는 곡률반경이 작은 구간에서도 캔트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전체적으로 캔트의 길이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에는 캔트의 길이가 완화곡선이 있는 경우보다 매우 길어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캔트의 체감도 완화곡선이 있는 경우보다 더욱 강하게 느껴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완화곡선이 없는 경우에는 캔트의 체감이 원곡선의 양끝으로부터 직선구간에 캔트의 600배 이상에서 체감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속열차를 운전하는 본선에 있어서 분기기를 상대하여 부설하는 경우 그 열차가 분기곡선을 통과하는 배선에 있어서 양분기기의 포인트전단 사이에 확보하여야 하는 간격은 최소 몇 m이상인가?

  1. 5m
  2. 10m
  3. 20m
  4. 22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열차가 분기곡선을 통과할 때는 안전을 위해 충분한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때, 양분기기의 포인트전단 사이에 확보해야 하는 간격은 최소 10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열차의 길이와 속도, 그리고 분기기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국유 철도의 수준표 건식위치로 적당한 것은?

  1. 약 1km 마다 선로우측
  2. 약 2km 마다 선로좌측
  3. 약 4km 마다 선로우측
  4. 필요시마다 적당한 곳
(정답률: 알수없음)
  • 국유 철도의 수준표는 기차가 언제나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철도의 높이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이 때, 약 1km 마다 선로우측에 수준표를 건설하는 것이 적당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전성: 기차가 운행 중에도 수준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준표가 가능한 많은 구간에 걸쳐 있어야 합니다. 약 1km 마다 건설하면 기차가 운행 중에도 수시로 수준표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2. 유지보수: 수준표는 자연 요인이나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준표를 건설할 때에는 유지보수를 고려해야 합니다. 약 1km 마다 건설하면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3. 편의성: 수준표는 기차가 운행 중에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수준표를 건설할 때에는 기차가 운행하는 방향과 가까운 위치에 건설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약 1km 마다 선로우측에 건설하면 기차가 운행하는 방향과 가까운 위치에 수준표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간 정정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일시정리
  2. 간이정리
  3. 소정리
  4. 대정리
(정답률: 알수없음)
  • 유간 정정 방법은 문서나 계정과목의 잘못된 기재나 처리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일시정리, 간이정리, 소정리, 대정리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일시정리는 임시적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실제로는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유간 정정 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궤간
  2. 수평
  3. 면맞춤
  4. 줄맞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각각의 글자들이 서로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된 "줄맞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경 300m 미만의 곡선, 구배변화와 곡선이 중복되는 개소 또는 연속하구배 개소와 곡선이 중복되는 개소에 부설하는 가드레일은?

  1. 탈선방지 가드레일
  2. 교상 가드레일
  3. 건널목 가드레일
  4. 분기기 가드레일
(정답률: 알수없음)
  • 반경 300m 미만의 곡선에서는 차량이 곡선을 따라 운행하면서 중심축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차량이 가드레일과 부딪히면서 탈선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반경 300m 미만의 곡선, 구배변화와 곡선이 중복되는 개소 또는 연속하구배 개소와 곡선이 중복되는 개소에는 탈선방지 가드레일을 부설합니다. 이 가드레일은 차량이 가드레일과 부딪혀도 탈선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탈선방지 가드레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보선장비의 선로사용 중지 구간에 운전취급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출발역으로부터 작업현장까지 앞을 바라보며 45km/h 이하의 속도로 운전한다.
  2. 기상상태 또는 앞을 내다보기가 곤란할때는 25km/h 이하의 속도로 운전한다.
  3. 정거장과 작업현장간에는 각장비간 50m 이상 떨어져 운전한다.
  4. 작업시의 장비 상호간의 거리는 최소 10m 이상을 유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시에는 보선장비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최소한 1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종류가 서로 다른 레일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 계레일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중계레일을 본선에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소 몇 m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1. 5m
  2. 9m
  3. 10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계레일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선과의 연결이 안정적이고 신호의 감쇠가 적어야 합니다. 따라서, 중계레일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안정성과 신호 감쇠의 정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소 10m 이상의 중계레일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교량침목을 사용하는 교량으로 교상 가드레일을 부설하여야 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곡선중에 있는 교량
  2. 전장 18m 미만의 교량
  3. 10‰ 이상 구배중에 있는 교량
  4. 트러스교 및 프레이트 거더교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장 18m 미만의 교량은 교량침목을 사용하는 교량 중에서 가장 짧은 길이의 교량이기 때문에 교상 가드레일을 부설하지 않아도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열 압접 용접후 트리밍의 여유두께로 적절한 것은?

  1. 1mm 이내
  2. 1 - 1.5 mm
  3. 1.5 - 2.5 mm
  4. 2.5m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열 압접 용접 후 트리밍의 여유두께는 용접 부위의 열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열팽창과 수축은 용접 부위의 물성과 용접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1 - 1.5 mm의 여유두께가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용접 부위의 열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충분한 여유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를 벗어나면 용접 부위의 변형이나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열 압접 용접 후 트리밍의 여유두께는 1 - 1.5 mm가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분기기 정비한도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백게이지 1390 - 1396 mm
  2. 크로싱부의 궤간 +3, -2mm
  3. C.T.C 구간의 텅레일부 궤간 +3, -2mm
  4. 분기 가드레일 후렌지 웨이폭 45± 5mm
(정답률: 알수없음)
  • 분기 가드레일 후렌지 웨이폭 45± 5mm은 분기 부분에서 기차가 지나갈 때 가드레일과 궤간 사이의 간격을 의미합니다. 이 간격은 45± 5mm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는 기차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이 정비한도는 분기 부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레일 교환작업을 미리 계획을 세워서 시행하는 경우 미리 작업해야 할 사항은?

  1. 침목위치정정
  2. 침목교환
  3. 도상다지기
  4. 유간정정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 교환작업을 미리 계획을 세워서 시행하는 경우, 레일 교환 작업 전에 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유간정정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는 레일 교환 작업 후에 레일 사이의 간격이 맞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간정정 작업은 레일 교환 작업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할 사항입니다. 침목위치정정은 침목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이며, 침목교환은 침목을 교체하는 작업입니다. 도상다지기는 레일 아래의 도상을 다지는 작업으로, 레일 교환 작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레일 테르밋트 용접시 적정유간은 얼마인가?

  1. 20mm
  2. 25mm
  3. 30mm
  4. 35mm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 테르밋트 용접시 적정유간은 25mm입니다. 이는 레일 테르밋트 용접시에는 용접부위와 레일 사이에 25mm의 적정유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용접부위와 레일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용접부위가 제대로 녹아들어가고,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본선로 또는 열차운전에 관계있는 측선에 대한 선로 차단 작업은 작업 완료후 통과할 최초의 열차가 인접 정거장을 출발할 시각 얼마전까지 완료하여야 하는가?

  1. 5분
  2. 10분
  3. 15분
  4. 20분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 차단 작업은 작업 완료 후 최초의 열차가 인접 정거장을 출발할 때까지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인접 정거장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차단된 구간에 진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최초의 열차가 출발하는 시각까지 충분한 여유시간을 두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여유시간은 5분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본선에서 침목노출 허용한도는?

  1. 1cm
  2. 2cm
  3. 3cm
  4. 5cm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에서 침목노출 허용한도는 1cm입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침목이 너무 많이 노출되면 안전에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cm 이하로 제한하여 안전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궤간 및 슬랙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표준궤간은 1,435mm이다.
  2. 곡선반경 600m이하의 곡선에는 슬랙을 붙여야 한다.
  3. 완화곡선이 없을 경우에 슬랙은 캔트의 체감길이와 같은 길이에서 체감한다.
  4. 슬랙은 35mm를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랙은 35mm를 초과할 수 없다."가 틀린 것입니다. 슬랙은 궤간의 반경과 캔트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50mm 이하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슬랙이 35mm를 초과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정차중에 있어서 기관차의 최대 축중으로 올바른 것은?

  1. 12톤
  2. 15톤
  3. 22톤
  4. 25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관차의 최대 축중은 25톤입니다. 이는 국내 철도에서 사용되는 기관차의 최대 축중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차중인 기관차의 축중이 25톤을 초과하면 교통법규 위반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중 신설되는 건널목의 최소폭은?

  1. 2.5m
  2. 3.0m
  3. 5.0m
  4. 6.0m
(정답률: 알수없음)
  • 건널목은 차량이 서로 마주보고 지나갈 수 있는 도로의 좁은 부분을 말합니다. 이 때, 차량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폭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신설되는 건널목의 최소폭은 차량이 서로 마주보고 지나갈 수 있는 최소한의 폭인 3.0m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