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철도토목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철도 및 궤도일반

1. 인력 보통침목교환작업시 신침목의 삽입은 몇 인이 시행하는가?

  1. 2
  2. 3
  3. 5
  4. 1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 보통침목교환작업시 신침목의 삽입은 2인이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보통침목의 구조상 신침목을 삽입하는 작업이 두 단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신침목을 보통침목의 구멍에 삽입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신침목을 고정하기 위해 보통침목의 나사를 조이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작업을 수행하는 인력은 보통 2인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침목교환작업시 자갈을 긁어낸후 헌 침목을 떨어뜨릴 때 사용되는 기구는?

  1. 스파이크 햄머
  2. 구로바
  3. 곡괭이(비타)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교환작업시 자갈을 긁어낸 후 헌 침목을 떨어뜨릴 때는 땅을 파서 침목을 떨어뜨리는 곡괭이(비타)가 사용됩니다. 삽은 땅을 파는데 적합하지만 침목을 떨어뜨리기에는 부적합하며, 스파이크 햄머는 침목을 떨어뜨리기에는 너무 강하고 구로바는 침목을 떨어뜨리기에는 너무 둔합니다. 따라서 침목교환작업시에는 곡괭이(비타)가 가장 적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력도상다지기 작업시 도상다짐은 특별한 때를 제외하고는 한 개의 침목에 대하여 몇개소 다짐으로 하는가?

  1. 4개소 다짐
  2. 6개소 다짐
  3. 8개소 다짐
  4. 10개소 다짐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도상다지기 작업시 도상다짐은 한 개의 침목에 대하여 8개소 다짐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침목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다짐 개수이며, 더 적은 다짐으로는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고, 더 많은 다짐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8개소 다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레일밀림 방지 작업중 말뚝박기 시행상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목이동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레일 앵카를 붙이지 않는다.
  2. 선로내에 말뚝을 박을때에는 선로차단공사 절차에 의한다.
  3. 말뚝박기는 미리 침목상면으로부터 30cm정도로 파고 침목에 밀착하도록 박는다.
  4. 말뚝박기 후에는 말뚝의 이완에 유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이동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레일 앵카를 붙이지 않는다."는 옳은 주의사항입니다. 이유는 침목이동 방지장치는 침목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레일 앵카와 함께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레일 앵카는 레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말뚝박기 시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년간 레일 밀림량이 얼마를 초과하는 개소에는 밀림방지장치를 하는가?

  1. 15mm
  2. 25mm
  3. 35mm
  4. 40mm
(정답률: 알수없음)
  • 년간 레일 밀림량이 25mm를 초과하는 개소에는 밀림방지장치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조치로, 레일 밀림이 일정 수준 이상 발생하면 기차의 안전 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림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력 줄맞춤 정정 작업에서 기준 말뚝의 높이는 침목 표면 보다 몇 cm 정도 높게 하는가?

  1. 5
  2. 9
  3. 12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 줄맞춤 정정 작업에서 기준 말뚝의 높이는 침목 표면보다 5cm 정도 높게 설정합니다. 이는 침목 표면이 땅 위에 노출되어 있을 때, 바람이나 눈으로 인해 침목 표면이 변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준 말뚝을 침목 표면보다 높게 설정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본선궤도 줄마춤의 허용 한도는 직선인 경우 레일 길이 10m에 대하여 몇 mm인가?

  1. 11 mm
  2. 9 mm
  3. 7 mm
  4. 5 mm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궤도 줄마춤의 허용 한도는 레일 길이의 1/150 이내여야 합니다. 따라서 10m의 레일 길이에서 허용되는 한계치는 10m/150 = 66.67mm 입니다. 그러나 이 값은 레일의 전체 길이에 대한 한계치이므로, 실제로는 레일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계치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 경우, 레일의 폭이 보통 50mm 정도이므로, 중심선에서 한쪽으로 25mm 만큼 허용 범위가 더 넓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실제 허용 범위는 66.67mm + 25mm = 91.67mm 입니다. 이를 다시 레일 길이에 대한 비율로 환산하면, 10m/91.67 = 0.1092 이 됩니다. 이 값에 10m의 레일 길이를 곱하면, 약 1.092m가 됩니다. 이 값을 다시 mm 단위로 환산하면, 1.092m x 1000 = 1092mm 입니다. 따라서, 레일 중심선에서의 허용 한도는 1092mm/2 = 546mm 입니다. 이를 다시 레일 길이에 대한 비율로 환산하면, 546mm/10000mm = 0.0546 이 됩니다. 이 값을 다시 1/150으로 나누면, 약 0.364mm가 됩니다. 따라서, 레일 중심선에서의 허용 한도는 약 0.364mm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은 "7 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상 자갈치기 시행의 기준은 토사 혼입율(오염율)이 몇 %이상일 때 인가?

  1. 25% 이상
  2. 28% 이상
  3. 30% 이상
  4. 35%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 자갈치기 시행의 기준은 토사 혼입율(오염율)이 25% 이상일 때 인가됩니다. 이는 국내 건설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내 토사의 오염율이 대략 25% 이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5% 이상의 오염율을 가진 자갈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이를 제한하기 위해 도상 자갈치기 시행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중 선로순회원의 임무가 아닌 것은?

  1. 본선로 및 건조물의 이상유무 확인
  2. 스파이크의 부상 또는 탈락개소 보수
  3. 이음매 볼트의 풀림개소 보수
  4. 부패침목의 교환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순회원의 주요 임무는 철도선로와 관련된 안전 및 정비 작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패침목의 교환"은 선로순회원의 임무가 아닙니다. 이는 나무 구조물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와 보수가 필요한 작업으로, 전문적인 나무관리 업체나 기술자가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레일유간정리작업중 대정리 작업의 경우 준비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작업은?

  1. 침목의 삭정
  2. 레일의 이동
  3. 이음매판볼트 풀었다가 조이기
  4. 레일밀림방지장치 철거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의 이동은 대정리 작업의 준비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작업입니다. 이는 이미 설치된 레일을 이동시켜서 다른 위치에 재배치하는 작업으로, 대정리 작업을 위한 준비작업이 아니라 직접적인 대정리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장대레일을 재설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대기 온도법
  2. 레일 절단법
  3. 레일 가열법
  4. 레일 인장법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 절단법은 장대레일을 재설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레일 절단법은 레일을 필요한 길이로 자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레일 절단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인력도상다지기 작업시 작업인원은 통상 몇 명을 표준으로 하는가?

  1. 단독
  2. 2∼3명
  3. 3∼5명
  4. 5∼8명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도상다지기 작업은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여 충분한 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작업장의 크기와 작업 대상물의 무게 등에 따라 작업 인원이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3∼5명의 작업 인원이 필요합니다. 이는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작업 인원이 적으면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인원이 많으면 협조와 조율이 어려워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5명의 작업 인원이 적당한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살포한 자갈을 자주(自走)하면서 고르게 밀어 도상 단면을 정리하는 기계는?

  1. 바라스트 크리너
  2. 바라스트 레규레이터
  3. 바라스트 콤팩터
  4. 스위치 타이탬퍼
(정답률: 알수없음)
  • 바라스트 레규레이터는 살포한 자갈을 자주(自走)하면서 고르게 밀어 도상 단면을 정리하는 기계로, 바라스트 크리너는 바다에서 선박의 바닥에 묻은 자갈을 청소하는 기계, 바라스트 콤팩터는 바다에서 선박의 바닥에 묻은 자갈을 압축하여 운반하기 쉽게 만드는 기계, 스위치 타이탬퍼는 철도의 스위치 부분을 고정시키는 기계입니다. 따라서, 살포한 자갈을 정리하는 기계는 바라스트 레규레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종 기계작업시 장비간 거리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작업중 또는 대기중인 장비간 거리 5m이상
  2. 작업중 또는 대기중인 장비간 거리 10m이상
  3. 작업중 또는 대기중인 장비간 거리 20m이상
  4. 작업중 또는 대기중인 장비간 거리 25m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1종 기계작업은 대형 기계를 다루는 작업으로, 작업 중인 기계나 대기 중인 기계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중 또는 대기중인 장비간 거리를 최소 10m 이상 유지해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PC침목을 인력으로 교환 할 경우 궤광들기의 높이는?

  1. 10mm
  2. 30mm
  3. 50mm
  4. 70mm
(정답률: 알수없음)
  • PC침목을 인력으로 교환할 경우, 궤광들기의 높이는 인력의 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인력으로 교환할 때는 30mm 정도의 궤광들기가 발생합니다. 이는 인력이 충분히 강하지만, 너무 강하지 않아서 침목이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궤광들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적절한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최소 곡선반경을 정할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열차속도
  2. 고정축거
  3. 궤간
  4. 열차중량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 곡선반경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열차속도, 고정축거, 궤간입니다. 이는 열차가 곡선을 돌 때 발생하는 반력과 중심력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열차중량은 곡선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광궤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고속도를 낼 수 있다.
  2. 수송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3. 곡선저항을 줄일 수 있다.
  4. 차륜의 마모를 경감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궤의 장점 중 "곡선저항을 줄일 수 있다."는 아닙니다. 광궤는 곡선에서도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지만, 이는 차량의 구조나 기술적인 요소와 관련된 것이며, 광궤 자체의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송 대상물에 의하여 철도를 분류할 때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여객전용철도
  2. 화물전용철도
  3. 사유철도
  4. 일반철도
(정답률: 알수없음)
  • 사유철도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철도로, 일반인이 이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수송 대상물에 따라 철도를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레일의 휨시험시 사용되는 지간(Span)의 길이는?

  1. 87.5㎝
  2. 90.7㎝
  3. 91.4㎝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의 휨시험은 레일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중 하나입니다. 이 시험에서는 레일을 일정한 지간(Span) 간격으로 놓고 중앙에 하중을 가해 굴절이 일어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이 때, 지간의 길이가 짧으면 레일이 굴절되는 정도가 작아져서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지나치게 길면 레일이 휘어지는 정도가 커져서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휨시험에서 사용되는 지간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100cm 정도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침목 두께가 15cm인 목침목에 사용할 개못의 적당한 길이는?

  1. 100mm
  2. 120mm
  3. 135mm
  4. 1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 두께가 15cm이므로, 개못의 길이는 15cm보다 짧아야 합니다. 따라서 100mm과 120mm는 너무 짧고, 150mm은 너무 깁니다. 따라서 적당한 길이는 13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훅크볼트(Hook Bolt)의 사용개소로서 옳은 것은?

  1. 교량
  2. 터널
  3. 분기부
  4. 신호기
(정답률: 알수없음)
  • 훅크볼트는 교량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교량의 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훅크볼트는 강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어서 교량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은 크로싱은 무슨 크로싱인가?

  1. 가동 K크로싱
  2. 가동노스 크로싱
  3. 가동둔단 크로싱
  4. 다이아몬드 크로싱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보이는 크로싱은 기차가 교차하는 모양이 "K"자로 보이기 때문에 "가동 K크로싱"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관차와 기타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한선에서 다른 선으로 전선(轉線)하는 설비가 아닌 것은?

  1. 전차대(turn table)
  2. 천차대(traverser)
  3. 크레인(crane)과 콘베이어(conveyor)
  4. 델타선(delta track)과 루우프선(loop track)
(정답률: 알수없음)
  • 크레인과 콘베이어는 기관차와 기타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한선에서 다른 선으로 전선하는 설비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크레인은 화물을 옮기는 용도로 사용되며, 콘베이어는 물건을 운반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들은 기차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전선하는 설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장대 레일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곡선저항 감소
  2. 승차감 향상
  3. 열차진동 감소
  4. 궤도보수 노력 절감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 레일의 장점 중에서 "곡선저항 감소"는 아닙니다. 이는 곡선 구간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장대 레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장대 레일의 장점은 승차감 향상, 열차 진동 감소, 궤도 보수 노력 절감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기철도에서 전동기 용량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것은?

  1. 전차의 중량
  2. 기동시의 가속도
  3. 제동 감속도
  4. 차륜직경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기 용량은 전차의 중량, 기동시의 가속도, 제동 감속도와 관련이 있어서 이들은 전동기 용량 결정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차륜직경은 전동기 용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차륜직경은 전차의 주행 안정성과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전동기 용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차륜직경은 전동기 용량 결정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곡선표에 기록하지 않는 것은?

  1. 곡선반경
  2. 캔트
  3. 슬랙
  4. 시점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표는 곡선의 기하학적 특성을 기록하는데, 곡선의 시점은 기하학적인 특성이 아닌 시간적인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록하지 않습니다. 시점은 곡선이 어떤 시간에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곡선표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열차에 교행 또는 대피를 위하여 시설한 장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조차장
  2. 신호장
  3. 신호소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장은 열차의 운행을 조절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시설된 장소입니다. 열차가 교행하거나 대피할 때는 신호장에서 운행을 조절하여 안전한 이동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호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인 국철의 건축한계 확대 공식은? (단, W는 확대할 치수(mm), R은 곡선반경(m)를 의미함)

  1. W = 500/R
  2. W = 4,500/R
  3. W = 5,000/R
  4. W = 50,000/R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국철의 건축한계 확대 공식은 W = 50,000/R 입니다. 이는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확대할 수 있는 치수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곡률이 크기 때문에, 확대할 치수를 크게 하면 곡선을 따라 가지 못하고 벗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확대할 수 있는 치수가 작아지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곡선반경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확대할 수 있는 치수를 결정하는 공식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곡선반경이 작은 구간에서도 국철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특수분기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승월분기기
  2. 천이분기기
  3. 탈선분기기
  4. 편개분기기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개분기기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특수분기기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장대레일의 용접방법중 용접할 2개의 레일단부를 약 2mm 띄어 전류를 통하게 한 후 양단부를 접촉과 분리를 반복하여 전류회로를 단락시켜 발생되는 전기저항으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는 용접 방법은?

  1. 테르밋트용접
  2. 가스압접
  3. 후레쉬벗트용접
  4. 전호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의 용접 방법 중 후레쉬벗트용접은 전류를 통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할 2개의 레일단부를 약 2mm 띄어놓고 전류를 통하게 한 후 양단부를 접촉과 분리를 반복하여 전류회로를 단락시켜 발생되는 전기저항으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후레쉬벗트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에서 = 86m, = 42m일 때 의 길이는? (단, ∠ABC, ∠ACD는 직각임)

  1. 126m
  2. 160m
  3. 176m
  4. 190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제4상한의 방위각 349° 56′ 을 방위로 표시한 것은?

  1. N 10° 04′ W
  2. W 10° 04′ N
  3. N 349° 56′ W
  4. W 349° 56′ N
(정답률: 알수없음)
  • 제4상한의 방위각 349° 56′은 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349도 56분 만큼 돌아간 방향을 나타냅니다. 이를 북쪽(N)에서부터 서쪽(W)으로 돌아간 각도로 표시하면 됩니다. 따라서 "N 10° 04′ W"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A, B점의 좌표가 (XA=53.668m, YA=76.325m), (XB=54.999m, YB=78.500m)일 때 거리는?

  1. 1.55m
  2. 2.55m
  3. 3.55m
  4. 4.55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점 A에서 시작하여 여러 측점을 지나 점 B까지 수준측량을 한 결과, Σ BS=21.366m, Σ FS=20.875이었다. A점의 지반고가 50m이면 B점의 지반고는?

  1. 50.336m
  2. 50.491m
  3. 51.875m
  4. 51.563m
(정답률: 알수없음)
  • Σ BS - Σ FS = 0.491m 이므로, A점에서 B점으로 가는 방향으로 0.491m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 50m에 0.491m를 더한 50.491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준측량 측정값의 경중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중률은 오차에 비례한다.
  2. 경중률은 측량 노선거리에 반비례한다.
  3. 경중률은 오차에 반비례한다.
  4. 경중률은 측량 노선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중률은 측량 노선거리에 반비례한다. 이는 측량 노선거리가 길수록 오차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같은 거리를 측량할 때, 더 긴 거리에서는 측정 오차가 더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경중률이 작아진다. 따라서, 측량 노선거리가 길수록 경중률은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1대회 관측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정의 관측을 말한다.
  2. 부의 관측을 말한다.
  3. 정위로 2번 측정한 것을 말한다.
  4. 정.반위 관측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반위 관측을 말한다. - 정.반위 관측은 천체의 위치를 측정할 때, 정위와 반위를 모두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수준측량의 야장기입 방법에서 종단 측량과 같이 많은 중간점의 지반고를 구할 때 편리한 것은?

  1. 고차식
  2. 기고식
  3. 승강식
  4. 교호식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그림에서 측선 DC의 방위각은?

  1. 35° 10'
  2. 55° 30'
  3. 215° 10'
  4. 235° 30'
(정답률: 알수없음)
  • 측선 DC는 동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235° 30'의 방위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유는 측선이 동쪽에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측정하면서, 북쪽으로 55° 30'만큼 회전하고, 다시 서쪽으로 180° 회전하여 도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선 DC의 방위각은 235°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폐합오차가 0.0258m이며 총 측선거리가 216.256m일 때 폐합비를 계산하면?

  1. 1/8382
  2. 1/7265
  3. 1/6362
  4. 1/5578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비는 폐합오차와 총 측선거리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폐합비 = 폐합오차 / 총 측선거리 = 0.0258 / 216.256 = 0.0001193입니다. 이 값을 기약분수로 표현하면 1/838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38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진법에 의한 폐합트래버스 A,B,C,D,E를 측정하였더니 폐합오차가 5cm 발생하였다. 각 측선의 길이가 AB=20m, BC=25m, CD=35m, DE=30m, EA=40m일 때 C점에서의 폐합오차 조정량은?

  1. 7mm
  2. 9mm
  3. 15mm
  4. 18mm
(정답률: 알수없음)
  • 전진법에서 폐합오차는 측정한 모든 측선의 길이의 합에서 실제 거리의 합을 뺀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측정한 모든 측선의 길이의 합 = AB + BC + CD + DE + EA = 20m + 25m + 35m + 30m + 40m = 150m
    실제 거리의 합 = AC + CD + DE + EA = 20m + 60m + 30m + 40m = 150m

    따라서 폐합오차는 150m - 150m = 0m 이다. 이제 C점에서의 폐합오차 조정량을 구하기 위해, C점을 중심으로 각 측선의 방향을 바꾸어 측정한 후 다시 폐합을 계산한다. 이때, C점에서의 폐합오차 조정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점에서의 폐합오차 조정량 = (변화한 폐합오차) / (측선의 개수) = (5cm) / (4개) = 1.25cm = 12.5m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5mm" 인 이유는, 조정량이 12.5mm 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5mm이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로보수

41. 국유철도에서 승강장의 높이는 전동차 운행구간 등 승강장을 높이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레일윗면에서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0 cm
  2. 50 cm
  3. 90 cm
  4. 115 cm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차의 바닥과 승강장의 높이 차이가 작을수록 승강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전동차 운행구간 등 승강장을 높이 설치해야 할 경우 레일윗면에서 115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동차의 바닥과 승강장의 높이 차이가 대략 115cm 정도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선로의 등급에 따른 자갈도상의 두께는 침목하면으로부터 시공기면까지 일정 치수 이상이라야 한다. 그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급선 30cm
  2. 2급선 27cm
  3. 3급선 25cm
  4. 4급선 18cm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의 등급이 높을수록 전기적인 부하가 크기 때문에 자갈도상의 두께도 더 두껍게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1급선은 가장 높은 등급이며, 그에 따라 자갈도상의 두께도 가장 두껍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유는 1급선은 전기적인 부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자갈도상의 두께도 30cm 이상이어야 안전하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본선궤도에 있어서 직선부와 곡선부의 면마춤 허용한도에 해당되는 것은? (단, 직선부: 10m당, 곡선부: 2m당)

  1. 직선 7mm, 곡선 7mm
  2. 직선 9mm, 곡선 4mm
  3. 직선 5mm, 곡선 7mm
  4. 직선 7mm, 곡선 3mm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궤도에서는 직선부와 곡선부의 면마춤 허용한도가 각각 10m당 1mm, 2m당 1mm이다. 따라서, 직선부에서 10m당 1mm을 7mm로 환산하면 70mm이 되고, 곡선부에서 2m당 1mm을 3mm로 환산하면 6mm이 된다. 따라서, "직선 7mm, 곡선 3m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레일의 높이와 넓이에 차이가 있는 것을 연속시킬 경우에 사용하는 레일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중계레일
  2. 가드레일
  3. 단척레일
  4. 완충레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중계레일"입니다. 중계레일은 레일의 높이와 넓이가 다른 두 개의 레일을 연속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높이와 넓이가 다른 레일을 연속시킬 때, 차량이 레일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가드레일은 도로나 다리 등에서 차량이 벗어나지 않도록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단척레일은 기차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데 사용됩니다. 완충레일은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선로작업 중 작업원의 열차 대피는 어디로 하는가?

  1. 노반바깥
  2. 시공기면
  3. 용지경계부근
  4. 되도록 멀리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작업 중에는 열차가 다가올 수 있으므로 작업원은 대피할 장소를 정해야 합니다. 이때, 시공기면은 열차와 작업원 사이의 안전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대피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공기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패킹제작 삽입작업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패킹삽입은 가로패킹 횡삽입에 의하여야 한다.
  2. 패킹의 두께가 15mm미만의 경우에는 세로패킹 종삽법에 의할수 있다.
  3. 세로패킹을 사용할 경우 타이플레이트를 부설한 곳에는 레일과 타이플레이트 사이에 넣는다.
  4. 세로패킹의 경우 두께 10mm이상의 것은 되도록 연속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로패킹의 경우 두께 10mm이상의 것은 되도록 연속하여 사용한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패킹이 연속해서 사용될 경우, 불균일한 하중이 발생하여 타이플레이트나 레일에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패킹은 일정 간격을 두고 균등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적표는 열차진행 방향으로 몇 m 이상 전방좌측에 세워야 하는가?

  1. 300m
  2. 400m
  3. 500m
  4. 600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적표는 열차가 지나가기 전에 미리 열차 운행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기적표는 열차가 도착하는 역의 전방좌측에 세워져야 합니다. 이때, 열차의 속도와 길이를 고려하여 충분한 시간을 미리 알려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열차의 속도는 80km/h 이상이므로, 기적표는 열차가 지나가기 전에 최소 400m 이상 전방좌측에 세워져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곡선부의 줄마춤 검사를 시행하는데 사용하는 실의 길이는?

  1. 2m
  2. 5m
  3. 10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부의 줄마춤 검사는 기차의 곡선주행 능력을 검사하는 것으로, 기차가 곡선을 지나갈 때 차량 간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반경을 가지는 곡선을 통과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검사에서 사용되는 실은 기차의 길이와 곡선의 반경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기차의 길이의 10배 이상인 10m 길이의 실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선로의 절단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는?

  1. 분기기 설치 및 철거의 경우
  2. 교량공사 또는 교량침목을 바꾸는 경우
  3. 선로내에 긴 말뚝을 박을 경우
  4. 에어섹션 및 조인트의 신설 또는 철거의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내에 긴 말뚝을 박는 경우는 선로의 구조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절단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분기기 설치, 교량공사, 에어섹션 및 조인트의 신설 또는 철거는 선로의 구조나 안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절단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130km/h 이상인 선구에서 선로작업시에 선로작업표는 열차진행방향 대향으로 몇 m이상의 거리에 세워야 하는가?

  1. 600m
  2. 400m
  3. 300m
  4. 200m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작업표는 열차가 다가올 때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해 열차가 도달하기 전에 세워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선로작업표는 열차진행방향 대향으로 400m 이상의 거리에 세워집니다. 이는 열차가 최고속도인 130km/h로 달리는 경우, 400m 거리에서는 약 11초의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시간은 충분히 선로작업을 수행하고 작업표를 제거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레일 이음매를 상호식으로 부설할 경우 이음매 위치는 상대측 레일의 중앙으로 부터 레일 길이의 얼마이내에 있도록 부설하여야 하는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 이음매를 상호식으로 부설할 경우 이음매 위치는 상대측 레일의 중앙으로 부터 레일 길이의 1/4 이내에 있도록 부설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레일 이음매가 상호식으로 부설될 경우, 두 레일이 하나의 연속된 레일처럼 작동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두 레일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음매 위치가 두 레일의 중앙에 가까워야 합니다.

    따라서, 이음매 위치는 레일 길이의 1/4 이내에 있어야 하며, 이것이 가장 균형적인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교상가드레일의 후렌지웨이 간격은 얼마인가?

  1. 300∼350mm
  2. 250∼300mm
  3. 150∼200mm
  4. 200∼250mm
(정답률: 알수없음)
  • 교상가드레일의 후렌지웨이 간격은 보통 200∼250mm 정도이다. 이는 보행자나 차량이 가드레일과 충돌했을 때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는 간격으로, 국내 도로안전공단에서도 이 간격을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200∼25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모타카, 자주식 장비 및 트로리 취급자의 휴대품이 아닌 것은?

  1. 시계
  2. 열차운전시각표
  3. 수신호기
(정답률: 알수없음)
  • 모타카, 자주식 장비 및 트로리 취급자들이 사용하는 휴대품은 대부분 작업에 필요한 도구나 안전장비 등이며, 시계, 열차운전시각표, 수신호기는 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일상용품이기 때문에 휴대품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삽은 작업에 필요한 도구 중 하나이기 때문에 휴대품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선로 차단작업 시행책임자의 휴대품에 속하지 아니하는 것은?

  1. 시계
  2. 열차운전시각표
  3. 수신호기
  4. 호르라기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 차단작업 시행책임자는 시간을 체크하기 위해 시계를 필요로 하고, 열차운전시각표는 열차 운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며, 수신호기는 차단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호르라기는 선로 차단작업 시행책임자의 휴대품에 속하지 않습니다. 호르라기는 기차의 경적 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폭풍우 또는 안개 및 기타 사유로 앞을 내다보기 곤란 할 때 모타카(궤도자동차 포함)및 자주식 보선장비의 운전속도로 맞는 것은?

  1. 10 km/h 이내
  2. 15 km/h 이내
  3. 20 km/h 이내
  4. 25 km/h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폭풍우나 안개 등으로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운전을 위해 속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모타카나 자주식 보선장비는 고속도로나 대규모 도로에서 주로 사용되는 차량이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10 km/h 이내로 속도를 낮추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속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는 급정거나 급가속을 하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속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연장 100m이상의 교량이나 투시가 곤란한 교량에 설치하여야 하는 교측보판의 폭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m 이상
  2. 1.2m 이상
  3. 1.5m 이상
  4. 2.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교측보판은 교량의 안전을 위해 차량 운전자가 교량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교측보판의 폭은 차량의 폭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교측보판의 폭은 차량의 폭보다 약간 넓게 설치됩니다.

    하지만 연장 100m 이상의 교량이나 투시가 곤란한 교량의 경우, 교측보판의 폭은 최소 1.2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교량의 길이나 특수한 조건으로 인해 차량 운전자가 교량을 안전하게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m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곡선반경 600m에서 조정치(s')가 0일 경우 붙일 수 있는 슬랙량은?

  1. 0mm
  2. 2mm
  3. 4mm
  4. 6mm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슬랙량이 적어야 하므로, 슬랙량이 0일 때 가장 작은 곡선반경인 600m에서도 붙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한쪽레일의 레일길이 방향에 대한 레일면 고저차란?

  1. 면마춤
  2. 줄마춤
  3. 수평
  4. 합성
(정답률: 알수없음)
  • 한쪽 레일의 레일길이 방향에 대한 레일면 고저차란, 레일면이 수직이 아닌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때 레일면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마춤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면마춤"은 레일면이 기울어져 있어 마춤이 생긴 상태를 의미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국유철도건설규칙에서 정하는 선로의 설계속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급선 - 150 (㎞/h) 이하
  2. 2급선 - 120 (㎞/h) 이하
  3. 3급선 - 100 (㎞/h) 이하
  4. 4급선 - 70 (㎞/h)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국유철도건설규칙에서 정하는 선로의 설계속도 기준은 해당 선로의 운행 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1급선은 고속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150㎞/h 이하, 2급선은 고속열차와 일반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120㎞/h 이하, 3급선은 일반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100㎞/h 이하로 설계됩니다. 4급선은 지방선로나 지방간선로로서 일반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70㎞/h 이하로 설계됩니다. 따라서 4급선은 다른 등급의 선로에 비해 운행 속도가 낮기 때문에 설계속도도 낮게 결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작업책임자와 작업원의 도상자갈 살포금지 구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기부
  2. 건널목
  3. 곡선반경 400m 이하의 곡선
  4. 보안장치 장애 우려 개소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책임자와 작업원의 도상자갈 살포금지 구간은 보통 교통안전법상 분기부, 건널목, 곡선반경 400m 이하의 곡선, 보안장치 장애 우려 개소 등 위험한 구간에 설정됩니다. 따라서, "곡선반경 400m 이하의 곡선"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차량의 운전이 어렵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책임자와 작업원의 안전을 위해 곡선반경 400m 이하의 곡선 구간에는 도상자갈 살포금지 구간이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