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철도토목기능사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철도 및 궤도일반

1. 다음 유간정리 작업 중 소정리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레일을 너무 이동하지 않고 유간을 균등하게 배분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맹유간 및 과대유간을 정리하는 정도의 경우로 수시로 시행한다.
  3. 유간을 근본적으로 정리하는 경우로 시행구간 전반을 표준유간으로 정리한다.
  4. 밀림이 있는 구간에서는 밀림의 기점쪽은 크게, 종점쪽은 작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을 너무 이동하지 않고 유간을 균등하게 배분함을 원칙으로 한 이유는, 기존에 구축된 철도 노선에서 레일을 크게 이동시키면 기존의 구조를 파괴하고 안정성을 해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간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최소한의 레일 이동으로도 안정적인 철도 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력에 의한 보통침목 교환 작업을 위하여 스파이크 뽑기의 작업 요령으로 옳은 것은?

  1. 전부 1인이 뽑는다.
  2. 여러명이 각자 자기 앞의 것을 동시에 뽑는다.
  3. 2인이 양쪽에서 교대로 뽑는다.
  4. 특별히 정해진 규칙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에 의한 보통침목 교환 작업에서는 스파이크 뽑기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 전부 1인이 뽑는 것이 옳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전성: 스파이크 뽑기 작업은 침목이 무거우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여러 명이 함께 뽑는 경우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전부 1인이 뽑는 것이 안전합니다.

    2. 정확성: 스파이크 뽑기 작업은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뽑아야 합니다. 여러 명이 함께 뽑는 경우 위치와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작업의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전부 1인이 뽑는 것이 정확성을 보장합니다.

    3. 효율성: 스파이크 뽑기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입니다. 여러 명이 함께 뽑는 경우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전부 1인이 뽑는 것이 작업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력에 의한 줄맞춤 정정작업을 할 때 곡선의 전연장이 120m일 경우 기준말뚝의 소요 수는 몇 개인가? (단, 열차운전이 빈번한 개소는 아님.)

  1. 5~10
  2. 11~15
  3. 17~19
  4. 23~26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에 의한 줄맞춤 정정작업에서는 기준말뚝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곡선의 전연장을 나누어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간격은 일반적으로 20m에서 30m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곡선의 전연장이 120m일 경우, 기준말뚝의 수는 4개에서 6개 정도가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선택지가 4개밖에 없으므로,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답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준말뚝의 수가 17~19개인 경우와 다른 경우의 차이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기준말뚝의 수가 17~19개인 경우, 각 말뚝 사이의 거리는 약 6m 정도가 됩니다. 이는 인력에 의한 줄맞춤 정정작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간격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에 기준말뚝의 수가 5~10개인 경우, 각 말뚝 사이의 거리는 12m 이상이 됩니다. 이는 작업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기준말뚝의 수가 11~15개인 경우에도 각 말뚝 사이의 거리가 8m 이상이 되므로 작업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준말뚝의 수가 23~26개인 경우, 각 말뚝 사이의 거리는 약 4m 정도가 됩니다. 이는 인력에 의한 줄맞춤 정정작업에서 사용되는 간격보다 짧아서 작업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곡선의 전연장이 120m일 경우 기준말뚝의 소요 수는 17~19개가 가장 적절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레일유간 정리 작업중 대정리 작업시 가격법으로 시행할 경우 헌 레일을 부설레일 위로 로라에 태워 가격하는데 이때 어느 곳을 가격하는가?

  1. 로울러
  2. 받침쇠
  3. 유간정정기
  4. 레일
(정답률: 알수없음)
  • 가격법으로 시행할 경우 헌 레일을 부설레일 위로 로라에 태워 가격하는데, 이때 가격하는 것은 받침쇠입니다. 받침쇠는 레일을 지지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기 때문에, 레일의 안전성과 유지보수를 위해 가격하는 것입니다. 로울러는 레일을 움직이는 역할을 하고, 유간정정기는 레일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이음매부 첫째 침목을 제1침목, 그 다음 침목을 제2침목, 그 다음을 순차적으로 제3침목이라 할 때, 끝닳음의 도상다지기에 의한 정정시 침목의 다지기 순서로 옳은 것은?

  1. 제3침목 - 제2침목 - 제1침목
  2. 제3침목 - 제1침목 - 제2침목
  3. 제1침목 - 제3침목 - 제2침목
  4. 제1침목 - 제2침목 - 제3침목
(정답률: 알수없음)
  • 끝닳음의 도상다지기는 끝닳음 부분에서 시작하여 첫째 침목부터 차례대로 다지기를 하면서 나아가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끝닳음에서 시작하여 다음 침목인 제3침목을 먼저 다지고, 그 다음으로 제2침목을 다지고, 마지막으로 제1침목을 다지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3침목 - 제2침목 - 제1침목"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장대레일을 한번에 재설정하는 길이는 몇 m 내외를 원칙으로 하는가?

  1. 1,000m
  2. 1,200m
  3. 1,500m
  4. 2,000m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을 한번에 재설정하는 길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1,200m 내외를 원칙으로 합니다. 이는 장대레일을 한번에 긴 거리로 이어서 설치하면, 레일의 휘어짐이나 불균형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200m 내외로 적절히 분할하여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인력에 의한 도상 자갈치기의 오염기준으로 도상내에 토사혼입율(오염율)이 최소 몇 % 이상일 경우 자갈치기를 하여야 하는가?

  1. 20%
  2. 15%
  3. 25%
  4. 30%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 자갈치기는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력의 노동력과 비용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오염율 이상일 때만 시행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오염율이 25% 이상일 경우에 도상 자갈치기를 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25% 이상의 오염율은 자갈치기를 하지 않으면 도상 내 오염물질이 증가하여 환경오염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20% 이하의 오염율은 자갈치기를 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5% 이상의 오염율을 기준으로 도상 자갈치기를 시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침목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목침목
  2. PC침목
  3. 터널침목
  4. 교량침목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침목은 지하철, 철도 등의 터널 내에서 발생하는 침목으로,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형태의 침목이기 때문에 목침목, PC침목, 교량침목과는 분류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레일밀림방지법으로 말뚝을 박을 때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선로차단공사 절차에 따른다.
  2. 침목상면 보다 30cm 높게 박는다.
  3. 침목끝과 일치되지 않도록 한다.
  4. 레일앵카를 붙이기 전에 시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밀림방지법으로 말뚝을 박을 때는 선로차단공사 절차에 따라야 합니다. 이는 안전한 차단공사를 위해 필요한 절차이며, 이를 따르지 않으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침목상면 보다 30cm 높게 박아야 하는 이유는 레일밀림방지법에서 정한 규정이며, 침목끝과 일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말뚝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레일앵카를 붙이기 전에 시행하는 것은 말뚝이 고정된 후 레일앵카를 붙이면 레일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침목교환기를 사용하여 침목교환작업을 시행할 때 일반적으로 레일 밀림이 있는 장소의 교환작업 방향으로 옳은 것은?

  1. 기점쪽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2. 밀림이 오는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3. 종점쪽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4. 밀림이 가는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밀림이 오는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침목교환기는 레일을 밀어서 교환하는 기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밀림이 오는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하면 레일이 자연스럽게 밀려서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반대로 밀림이 가는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하면 레일이 밀리지 않고 오히려 더욱 밀림이 심해져서 교환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종 기계작업단의 편성장비 중 자갈정리, 자갈소운반 보충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장비는?

  1. 밸러스트 레귤레이터
  2. 멀티플 타이탬퍼
  3. 밸러스트 콤팩터
  4. 모타카
(정답률: 알수없음)
  • 밸러스트 레귤레이터는 자갈정리와 자갈소운반을 위한 장비로, 자갈을 정리하고 소운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들이므로 정답은 "밸러스트 레귤레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척레일을 인력에 의하여 레일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넘겨 교환하는 경우의 작업에서 다음 중 가장 마지막으로 시행하는 작업은?

  1. 이음매판 해체 정돈
  2. 작업후 전반적인 궤도상태 점검
  3. 구레일 밀어내기
  4. 신레일 밀어넣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척레일을 인력에 의하여 레일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넘겨 교환하는 작업은 궤도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후 전반적인 궤도상태를 점검하여 안전한 운행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 마지막으로 시행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선로 순회원이 휴대하여야 하는 기본장구가 아닌 것은?

  1. 수신호기(야간에는 신호등)
  2. 임시조치용 공기구와 재료
  3. 무전기
  4. 비타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 순회원이 휴대하여야 하는 기본장구는 수신호기, 임시조치용 공기구와 재료, 무전기입니다. 그러나 "비타"는 선로 순회원이 휴대해야 하는 기본장구가 아닙니다. "비타"는 어떤 물건이나 장비를 가리키는 용어가 아니며, 잘못된 보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인력 도상다지기에서 궤간 내 다지기의 넓이는 레일중심에서 좌우 각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10cm∼20cm
  2. 20cm∼30cm
  3. 30cm∼40cm
  4. 40cm∼50cm
(정답률: 알수없음)
  • 궤간 내 다지기의 넓이가 너무 좁으면 인력 도상다지기가 움직일 때 궤간 벽면과 마찰이 발생하여 움직임이 둔화되고, 너무 넓으면 인력 도상다지기가 궤간 내에서 흔들리며 움직이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궤간 내 다지기의 넓이는 적절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으로는 레일중심에서 좌우 각 30cm∼40cm 정도가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콩자갈 채우기 작업의 기준은 자갈도상으로서 깬자갈, 친자갈, 또는 막자갈을 사용하는 선로에서 정정량이 몇 mm 이하일 때 인가?

  1. 10mm
  2. 15mm
  3. 20mm
  4. 25mm
(정답률: 알수없음)
  • 콩자갈 채우기 작업의 기준은 선로에서 사용하는 자갈의 정정량이 몇 mm 이하일 때 인가하는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이 기준은 깬자갈, 친자갈, 또는 막자갈을 사용하는 선로에서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정답은 "15mm"입니다. 이유는 콩자갈 채우기 작업은 선로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자갈의 정정량이 일정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기준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구와 경험에 기반하여 수립된 것으로, 15mm 이하의 자갈은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콩자갈 채우기 작업을 수행할 때는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낙석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시멘트 모르타르에 의한 암석의 고정
  2. 낙석방지 옹벽 설치
  3. 낙석 덮개 설치
  4. 경계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낙석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 중에서 "경계 설치"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경계 설치는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낙석방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낙석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로는 시멘트 모르타르에 의한 암석의 고정, 낙석방지 옹벽 설치, 낙석 덮개 설치가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레일 이음매 부설 방법 중 현접법(suspended j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음매 바로 아래에 침목을 배치하여 이음매부를 지지하는 방법
  2. 2개 침목 위에 이음매를 두는 것
  3. 침목과 침목사이에 설치한 침목 위에 이음매를 두는 것
  4. 이음매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띄어 침목을 배치하여 이음매부를 지지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현접법은 이음매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띄어 침목을 배치하여 이음매부를 지지하는 방법입니다. 즉, 이음매 아래에 침목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음매를 중심으로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띄어 침목을 배치하여 이음매부를 지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반경 600m의 곡선을 열차가 110km/h로 주행할 때 소요 캔트량(mm)은 약 얼마인가? (단, 조정치 C' = 90)

  1. 240
  2. 190
  3. 150
  4. 140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량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캔트량 = (v^2) / (127R + C')

    여기서 v는 열차의 속도, R은 곡선의 반경, C'은 조정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캔트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캔트량 = (110^2) / (127 x 600 + 90) = 150 (소수점 이하 버림)

    따라서, 정답은 "1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침목배치수가 20m에 32개이고 1개의 침목 저항력이 600kg이라면 도상횡저항력은 얼마인가?

  1. 400kg/m
  2. 480kg/m
  3. 640kg/m
  4. 1,200kg/m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배치수가 20m에 32개이므로, 1m당 침목의 개수는 1.6개이다. 따라서, 1m당 침목의 저항력은 600kg/1.6개 = 375kg/개 이다.

    도상횡저항력은 침목의 개수와 침목의 저항력을 곱한 값이므로, 1m당 도상횡저항력은 1.6개 x 375kg/개 = 600kg 이다.

    따라서, 전체 도상횡저항력은 600kg/m x 20m = 12,000kg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1m당 도상횡저항력이므로, 전체 도상횡저항력을 침목배치수로 나누어준다.

    전체 도상횡저항력 / 침목배치수 = 12,000kg / 32개 = 375kg/개 x 1.6개 = 600kg/m

    따라서, 정답은 "480kg/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완화곡선의 삽입위치에 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직선과 곡선 사이에 삽입한다.
  2. 직선과 직선 사이에 삽입한다.
  3. 종곡선과 곡선 사이에 삽입한다.
  4. 복심 곡선에 삽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직선과 곡선의 연결점에서 시작하여 곡선과 직선의 연결점에서 끝나는 곡선이다. 따라서 완화곡선의 삽입위치는 직선과 곡선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옳다. 이는 곡선과 직선의 연결점에서 삽입하면 곡선과 직선의 각도가 급격하게 변하게 되어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직선과 직선 사이에 삽입하면 완화곡선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종곡선과 곡선 사이에 삽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특수한 경우에 한정되며 일반적으로는 직선과 곡선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복심 곡선에 삽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건널목 경보기와 건널목 교통안전표지만 설치한 건널목은 몇 종 건널목인가?

  1. 1종
  2. 2종
  3. 3종
  4. 4종
(정답률: 알수없음)
  • 건널목 경보기와 건널목 교통안전표지는 모두 건널목의 교통안전을 위한 시설이므로, 둘 다 설치되어 있는 건널목은 최소한 2종류 이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50kgN, 60kg 레일은 다음 중 어느 종류의 레일에 해당 되는가?

  1. 쌍두레일
  2. 우두레일
  3. 어복레일
  4. 평저레일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50kgN, 60kg 레일은 "평저레일"에 해당됩니다. 이는 레일의 하부가 평평하게 되어 있어서 지지력이 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평저레일은 경사가 크지 않은 구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우리나라의 철도 인프라 구축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목침목과 비교할 때 콘크리트 침목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레일의 제결(縡結)이 용이하다.
  2. 하중에 의한 기계적 훼손을 받기 쉽다.
  3. 보수와 갱환 작업이 쉽다.
  4. 자중이 커서 안정이 좋기 때문에 궤도 틀림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침목은 목침목보다 자중이 더 크기 때문에 궤도 틀림이 적습니다. 자중이 크면 침목이 더 안정적으로 궤도를 지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본선과 측선으로 구분할 때 본선으로 구분되는 선로는?

  1. 대피선
  2. 유치선
  3. 인상선
  4. 입환선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은 전력을 공급하는 주요한 선로를 말하며, 대피선은 비상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선로를 말합니다. 따라서 대피선은 전력 공급의 중요성이 높아 비상시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본선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멀티플 타이탬퍼(multiple tie tamper)가 하는 궤도보수의 주 작업은?

  1. 자갈치기
  2. 자갈고르기
  3. 도상다지기
  4. 침목갱환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플 타이탬퍼는 궤도의 수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궤도의 밑바닥인 도상을 다지는 작업을 주로 수행합니다. 이는 궤도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상다지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위한 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신호소
  2. 신호장
  3. 조차장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위한 장소를 신호장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열차의 운행을 조절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신호사가 위치한 장소이기 때문입니다. 신호장은 열차의 운행을 감시하고, 신호기를 조작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합니다. 또한, 신호장은 열차가 비상 상황이나 사고 발생 시 대피를 지시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용접 방법 중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용접부에 고열을 발생시켜 고압으로 레일을 압착시키는 방법은?

  1. 가스 압접법
  2. 테르밋트 용접법
  3. 플래시버트 용접법
  4. 엔크로즈드 아크 용접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용접부에 고열을 발생시켜 고압으로 레일을 압착시키는 방법은 "플래시버트 용접법"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용접부에서 고열이 발생하면서 레일을 녹여 압착시키는 방식으로, 빠르고 강력한 용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분기기의 크로싱부에서 궤간의 축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게이지 타이
  2. 게이지 스트러트
  3. 레일 버팀쇠
  4. 레일 앵커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지 스트러트는 분기기의 크로싱부에서 궤간의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분기기에서 레일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켜 궤간의 변형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게이지 스트러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장대레일의 보수작업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좌굴방지
  2. 과대신축 및 복진방지
  3. 재료의 부분적 마모 및 손상방지
  4. 장대레일의 용접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의 보수작업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장대레일의 용접방법"입니다. 이는 보수작업시에는 기존의 용접방법과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용접방법으로는 장대레일의 부분적인 마모나 손상을 보수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용접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장대레일의 용접방법은 보수작업시에 가장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포인트가 상시 개통 되어 있는 방향을 정위(定位)라 하고 반대로 개통되어 있는 것을 반위(反位)라 할 때 정위의 기준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탈선포인트가 있는 선은 차륜탈선이 안되는 방향
  2. 측선 상호간에서는 중요한 방향
  3. 본선, 측선, 안전측선 등의 상호간에서는 안전측선의 방향
  4. 본선과 측선에서는 본선의 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정위의 기준에서 옳지 않은 것은 "본선과 측선에서는 본선의 방향"입니다.

    탈선포인트는 기차나 전차 등의 차량이 곡선 구간에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탈선포인트가 없는 구간에서는 차륜탈선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탈선포인트가 있는 선은 차륜탈선이 안되는 방향이 됩니다.

    측선 상호간에서는 중요한 방향은 측선의 방향이며, 이는 측정을 위한 기준이 되는 방향입니다. 또한, 본선, 측선, 안전측선 등의 상호간에서는 안전측선의 방향이 중요합니다. 안전측선은 차량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 방향을 따라야 안전한 운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삼각측량에서 하천조사를 위한 골조측량에 가장 적합한 삼각망은?

  1. 유심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단열 삼각망
  4. 단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조사를 위한 골조측량에서는 지형의 변화가 크고 불규칙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삼각망의 안정성과 정확성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단열 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모두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어 안정성이 높고 측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천조사를 위한 골조측량에는 단열 삼각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상에서 제도의 오차를 0.2mm까지 허용할 때 축척 1:500로 평판측량을 할 때 중심맞추기 오차(편심 거리)는 몇 cm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

  1. 2㎝
  2. 5㎝
  3. 7㎝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맞추기 오차는 제도 오차와 축척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제도 오차가 0.2mm까지 허용되고, 축척이 1:500이므로 중심맞추기 오차는 0.2mm × 500 = 100mm = 10cm까지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0㎝"이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5㎝"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축척이 1:500일 때 중심맞추기 오차가 일반적으로 5cm 이내로 허용되기 때문이다. 이는 산업계에서의 일반적인 규칙이며, 이를 따르면 축척 1:500에서 중심맞추기 오차를 5cm 이내로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삼각망의 배열중 가장 정밀도가 높은것은?

  1. 단삼각망
  2. 단열 삼각망
  3. 사변형 삼각망
  4. 유심 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망의 한 종류로, 네 개의 코너 포인트를 가지고 있어서 가장 정밀도가 높은 배열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코너 포인트가 많을수록 물체의 모양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변형 삼각망은 단삼각망이나 단열 삼각망보다 더욱 안정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에서 AC, AD, CE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AB의 거리는? (단, AC=30m, AD=40m, CE=62.5m, AD와 CE는 평행하다.)

  1. 57.7m
  2. 55.3m
  3. 56.6m
  4. 53.3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CD와 CEB는 대각선 AC에 의해 등분되므로, 각각의 넓이는 같다. 따라서 AD와 CE의 길이의 비율은 삼각형 ACD와 CEB의 밑변 길이의 비율과 같다. 즉, AD:CE = AC:EB 이므로, EB = AC × CE ÷ AD = 30 × 62.5 ÷ 40 = 46.875m 이다. 이제 삼각형 ABE에서 AB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AB² = AE² - EB² = 50² - 46.875² ≈ 533.33, 따라서 AB ≈ √533.33 ≈ 23.1m 이다. 마지막으로 AB와 BC의 길이를 더하면 AB + BC ≈ 30 + 23.1 ≈ 53.3m 이므로, 정답은 "53.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트랜싯으로 수평각을 측정할 때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배각법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2. 시계와 반시계방향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3. 양쪽 버어니어에서 읽은 값의 평균을 취한다.
  4. 망원경의 정.반위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싯으로 수평각을 측정할 때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시준축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해야 합니다. 이때 망원경의 정.반위 위치는 시준축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위치 중 하나이므로, 망원경의 정.반위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저차를 구할 때 전후 측량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시와 후시가 모두 취해지는 점을 뜻하는 용어는?

  1. 지반점
  2. 기계점
  3. 중간점
  4. 이기점
(정답률: 알수없음)
  • 이기점은 전시와 후시가 모두 취해지는 지점을 뜻합니다. 즉, 전후 측량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기점은 고저차 측량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삼각 측량의 작업 순서로 옳은 것은?

  1. 답사 및 선점 - 조표 - 관측 - 계산 - 성과표 작성
  2. 성과표 작성 - 답사 및 선점 - 관측 - 계산 - 전개
  3. 성과표 작성 - 관측 - 조표 - 답사 및 선점 - 계산
  4. 답사 및 선점 - 관측 - 조표 - 계산 - 성과표 작성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 측량 작업의 첫 번째 단계는 답사 및 선점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측량 대상 지역을 방문하여 지형을 조사하고, 측량에 필요한 기준선과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그 다음 조표를 작성하여 관측에 필요한 준비를 합니다. 그리고 관측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과표를 작성합니다. 따라서 옳은 작업 순서는 "답사 및 선점 - 조표 - 관측 - 계산 - 성과표 작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폐합트래버스를 측량하여 폐합오차가 36cm 생겼다. 트래버스 전체의 길이가 720m일 때 폐합비는?

  1. 1/1000
  2. 1/1500
  3. 1/2000
  4. 1/2500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오차는 폐합비와 전체 길이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합비는 폐합오차를 전체 길이로 나눈 값입니다.

    폐합오차 = 폐합비 × 전체 길이
    36 = 폐합비 × 720

    폐합비 = 36 ÷ 720
    폐합비 = 1/20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폐합비가 아니라 폐합비의 역수인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00이 됩니다.

    1/20 = 0.05
    1/0.05 = 20
    20 × 100 = 2000

    즉, 폐합비가 1/20이면 폐합비의 역수는 20이 되고, 이를 100으로 곱하면 20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이 교호수준측량을 한 결과, B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는 100.000m임.)

  1. 101.892m
  2. 102.892m
  3. 101.982m
  4. 102.982m
(정답률: 알수없음)
  • 교호수준측량에서는 두 점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여 지반고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100.000m)에 B점과 A점 사이의 차이(1.892m)를 더한 값인 101.892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트래버스 측량에서 각 오차가 허용범위 내에 생겼을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1. 재측한다.
  2. 각의 크기에 비례해서 배분한다.
  3.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각의 수(數)대로 나누어 배분한다.
  4. 허용범위 내이므로 그냥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각의 수(數)대로 나누어 배분하는 이유는 모든 각이 동등한 가치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각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모든 각은 동일한 중요도를 가지며, 따라서 각의 수(數)대로 나누어 배분하는 것이 공정한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각이 동등하게 고려되며, 각의 크기에 따라 불필요한 혼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로보수

41. 본선에 있는 완화곡선의 길이는 3급선에서 캔트의 최소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1. 600배
  2. 700배
  3. 1,000배
  4. 1,300배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곡률이 일정하게 변하는 곡선으로, 고속도로 등에서 곡선의 반경을 크게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완화곡선의 길이는 곡선의 반경과 곡률의 변화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캔트는 고속도로 등에서 차량이 곡선을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입니다. 캔트를 적용하면 차량이 곡선을 지날 때 중심선에서 바깥쪽 바퀴가 더 멀리 위치하게 되어, 차량의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완화곡선의 길이를 결정할 때는 캔트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완화곡선의 길이는 3급선에서 캔트의 최소 1,000배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캔트를 적용하면 차량의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곡선을 지날 때 더 긴 거리를 지나도록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장대레일을 재설정시 체결구를 체결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료할 때까지의 장대레일 전체에 대한 평균온도를 의미하는 것은?

  1. 중위온도
  2. 설정온도
  3. 레일온도
  4. 대기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을 재설정할 때는 체결구를 체결하기 전에 먼저 설정온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 설정온도는 장대레일 전체에 대한 평균온도를 의미하며, 체결구를 체결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료할 때까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설정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탈선방지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후렌지 웨이의 폭은 80‾00mm로 부설한다.
  2. 가드레일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선레일과 같은 종류의 것을 부설한다.
  3. 가드레일 양단은 깔대기형으로 구부려서 부설한다.
  4. 위험이 큰 쪽의 레일에 부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이 큰 쪽의 레일에 부설하는 것이 올바른 설치 방법이다. 이유는 탈선이 발생할 경우, 차량이 가장 위험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드레일을 위험이 큰 쪽에 부착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곡선구간에 슬랙을 구하는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S:슬랙[mm], R:곡선반경[m], S':조정치[mm])

  1. S= 2400/R - S'
  2. S= 2400/S' - R
  3. S= 360/R - S'
  4. S= 360/S' - R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구간에서의 슬랙은 곡선반경과 조정치에 영향을 받습니다. 곡선반경이 클수록 슬랙은 작아지고, 조정치가 클수록 슬랙은 커집니다. 따라서, 곡선반경이 클수록 조정치를 더 많이 할 수 있으므로 슬랙이 작아집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S = 2400/R - 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선로조건 중 구배변환점에는 어느 것이나 반경 몇 m 이상의 종곡선을 삽입하여야 하는가?

  1. 500m
  2. 1,000m
  3. 2,000m
  4. 3,000m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선로조건 중 구배변환점에는 반경이 일정 이상의 종곡선을 삽입하여야 합니다. 이는 기차가 곡선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반력을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이 중에서도 구배변환점은 기차의 방향이 바뀌는 지점으로, 곡선의 반경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따라서 구배변환점에는 반경이 3,000m 이상의 종곡선을 삽입하여야 합니다. 이는 기차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패킹 삽입 작업 설명중 맞지 않은 것은?

  1. 패킹 삽입은 원칙적으로 가로팩킹 횡삽법에 의한다.
  2. 패킹의 두께가 25mm미만일 때는 세로 팩킹 종삽법에 의할 수 있다.
  3. 패킹은 되도록 견질 강인한 목재를 사용한다.
  4. 패킹은 겹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패킹의 두께가 25mm미만일 때는 세로 팩킹 종삽법에 의할 수 있다."

    해설: 패킹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세로 팩킹 종삽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본선의 등급과 곡선반경의 크기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1급선 - 2,000m 이상
  2. 2급선 - 1,200m 이상
  3. 3급선 - 800m 이상
  4. 4급선 - 30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의 등급은 곡선반경의 크기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등급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4급선은 곡선반경이 300m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반적인 레일의 절단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레일절단기로 직각되게 수직으로 절단한다.
  2. 산소절단기로 절단한다.
  3. 레일절단은 달구어 절단한다.
  4. 레일절단은 마모진행 방향으로 절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은 기차가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에 맞춰서 설치되기 때문에, 레일의 끝 부분은 수직으로 절단하여 기차가 부딪혔을 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레일절단기로 직각되게 수직으로 절단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본선 중 레일앵카를 원칙상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1. 복선구간
  2. 단선의 연간 밀림량 25mm 이상 되는 구간
  3. 목침목 체결구간
  4. 밀림이 심한 구간
(정답률: 알수없음)
  • 목침목 체결구간은 기차가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레일과 기반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구간입니다. 하지만 목침목 체결구간은 이미 지형이나 지반상태가 안정적이어서 레일이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므로 레일앵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C 침목을 쌓아 놓을 때에는 지반침하가 없는 장소를 선택하여 몇 단 이상 쌓아서는 안되는가?

  1. 5단
  2. 7단
  3. 10단
  4. 15단
(정답률: 알수없음)
  • PC 침목은 무게가 매우 무거우므로 지반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반이 튼튼한 곳에서 쌓아야 합니다. 또한, 침목을 쌓을 때에는 아래쪽부터 차곡차곡 쌓아나가야 합니다. 이때, 쌓는 단수가 많아질수록 아래쪽에 있는 침목들은 더욱 큰 무게를 지게 되므로 지반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PC 침목을 쌓을 때에는 최대 15단까지만 쌓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크로싱의 노스레일과 가드레일간의 간격을 말하며 차륜내면간 거리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궤도의 치수는?

  1. 슬랙
  2. 캔트
  3. 백게이지
  4. 구배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로싱의 노스레일과 가드레일 간격은 차량의 크기와 속도에 따라 다르지만, 이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바로 백게이지입니다. 백게이지는 궤도와 차량의 차륜 내면간 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크로싱에서 안전한 운행을 위해 중요한 치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백게이지"입니다. 슬랙은 차량의 연결부위에서 생기는 여유, 캔트는 궤도의 경사각, 구배는 궤도의 곡률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선로구조물의 정기점검은 년간 몇 회이상 실시하여야 하는가?

  1. 1회
  2. 2회
  3. 4회
  4. 12회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구조물의 정기점검은 연간 2회 이상 실시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한 철도 운행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 빈도이며, 국내외 철도 안전 규정에서도 이와 같은 빈도가 권장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레일이음매를 상호식으로 부설할 경우 이음매 위치로 가장 정확한 것은?

  1. 상대측 레일의 중앙으로부터 레일 길이의 1/4 이내 있도록 부설한다.
  2. 상대측 레일의 중앙으로부터 레일 길이의 1/2 이내 있도록 부설한다.
  3. 상대측 레일의 중앙으로부터 레일 길이의 3/4 이내 있도록 부설한다.
  4. 상대측 레일과 같게 부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측 레일의 중앙으로부터 레일 길이의 1/4 이내에 이음매를 부설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위치이다. 이는 레일의 길이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레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위치에서는 레일의 연결점이 중앙에 가까워져서 레일의 굴곡이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 이음매를 부설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정확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장척레일 부설구간의 도상저항력에 대한 기준은 몇 kgf/m이상 되어야 하는가?

  1. 300kgf/m
  2. 400kgf/m
  3. 500kgf/m
  4. 600kgf/m
(정답률: 알수없음)
  • 장척레일 부설구간의 도상저항력은 레일과 지반 사이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레일이 지반에서 움직이게 되어 안전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준에서는 장척레일 부설구간의 도상저항력이 400kgf/m 이상 되어야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kgf/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궤간 및 슬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준궤간은 1,435mm이다.
  2. 곡선반경 600m이하의 곡선에는 슬랙을 붙여야 한다.
  3. 완화곡선이 없을 경우에 슬랙의 체감길이는 캔트의 체감길이와 같게 한다.
  4. 슬랙은 35mm를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랙은 35mm를 초과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슬랙은 궤간의 곡률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곡률이 작을수록 슬랙의 크기가 작아집니다. 따라서 곡률이 큰 곳에서는 35mm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모터카 추진 운전의 경우 최고 속도는 몇 km/h 이하인가?

  1. 15km/h
  2. 25km/h
  3. 35km/h
  4. 60km/h
(정답률: 알수없음)
  • 모터카 추진 운전은 보통 보행자와 동일한 도로에서 운행되며, 보행자 보호를 위해 최고 속도가 25km/h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5km/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PC침목 부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C침목을 운송할 때에는 철재받침을 사용 손상이 없도록 한다.
  2. 반드시 T볼트를 사용하여 침목을 거더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3. PC침목을 운송, 취급할 때는 파손 및 응력이완에 주의하여야 한다.
  4. PC침목은 반경 1,000m 미만의 곡선에는 부설하지 않은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PC침목은 길이가 길고 무거우며, 강철선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져 있어 파손 및 응력이완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운송, 취급할 때에는 이러한 점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궤도검측차 점검의 본 점검 주기는 일반적으로 전 본선을 1년에 몇 회 시행하는가?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검측차는 철도의 안전을 위해 궤도 상태를 점검하는 차량입니다. 이 차량은 일반적으로 1년에 4회 정기적으로 전 본선을 점검합니다. 이는 궤도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안전한 운행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장대레일의 궤도 구조로 틀린 것은?

  1. 곡선상에 부설할 때에는 양쪽 신축이음매의 위치는 가능한 곡선 시종점부근의 직선상에 둔다.
  2. 침목의 도상종저항력은 500kgf/m이상 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3. 레일은 35kg 또는 45kg의 신품을 사용한다.
  4. 도상은 깬자갈로 하고 적정한 도상저항력이 되도록 도상폭 및 두께를 확보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레일은 35kg 또는 45kg의 신품을 사용한다."

    이유: 장대레일의 궤도 구조에서 레일의 무게는 궤도의 안정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35kg 또는 45kg의 무게를 가진 신품을 사용한다. 이는 레일의 무게가 적절하게 분산되어 궤도의 안정성을 높이고, 레일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2종 기계 보선 작업시 이동중 장비간의 거리는 얼마 이상 유지 하여야 하는가?

  1. 10m
  2. 25m
  3. 50m
  4. 200m
(정답률: 알수없음)
  • 2종 기계 보선 작업시 이동중 장비간의 거리는 200m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규정으로, 작업 중인 기계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작업 중인 기계들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도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20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고 적절한 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