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철도토목기능사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철도 및 궤도일반

1. 침목의 도상다지기에서 이음매부 첫째 침목을 제1침목, 그 다음 침목을 제2침목, 그 다음을 순차적으로 제3침목이라 할 때 각 침목에 대한 증대 비율로 맞는 것은?

  1. 제3침목 1.0, 제2침목 1.2, 제1침목 1.5
  2. 제3침목 1.0, 제2침목 1.5, 제1침목 2.0
  3. 제3침목 1.0, 제2침목 2.0, 제1침목 3.0
  4. 모두 동일하게 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목의 도상다지기에서는 각 침목마다 증대 비율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는 각 침목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3침목은 증대 비율이 1.0으로 가장 작고, 제2침목은 1.2로 제3침목보다 크며, 제1침목은 1.5로 가장 큽니다. 이러한 이유로 "제3침목 1.0, 제2침목 1.2, 제1침목 1.5"가 맞는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레일유간 정리작업 중 소정리 작업을 할 때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레일 밀림의 방향
  2. 레일 신축량
  3. 소구간으로 구분하여 유간의 과부족 가감
  4. 부설시 설정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소정리 작업은 레일의 밀림과 신축량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기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때, 소구간으로 구분하여 유간의 과부족 가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각 구간마다 레일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작업입니다. 그리고 레일 밀림의 방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부설시 설정온도입니다. 이는 레일의 온도에 따라 레일의 길이가 변화하기 때문에, 레일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온도입니다. 이 온도를 설정하지 않으면 레일의 길이가 변화하여 안정적인 기착상태를 유지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력 도상자갈치기 작업상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혹서기를 피한다.
  2. 도상보충의 시기를 감안한다.
  3. 되도록 잡초 번성기에 시행하여 제초를 동시에 시행한다.
  4. 기구류 등은 건축한계를 지장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되도록 잡초 번성기에 시행하여 제초를 동시에 시행한다."는 옳은 주의사항입니다. 이유는 잡초 번성기에 제초를 시행하면, 잡초가 더욱 빠르게 자라서 제초 효과가 더욱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도상자갈치기 작업은 일반적으로 봄과 가을에 시행하는데, 이때 잡초 번성기가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이 시기에 제초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순회원이 순회중 열차 안전운행이 우려되는 사항을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관련 운전취급규정에 따라 적정한 열차 방호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때 가장 우선적으로 긴급 통보하여야 할 대상은?

  1. 보선장
  2. 보선분소장
  3. 인접역 운전계원
  4. 기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순회원이 발견한 열차 안전운행 우려사항은 열차 운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즉시 대처할 수 있는 기관사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통보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기관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력 도상다지기작업의 시작과 완료 위치는?

  1. 레일밑 부분
  2. 침목끝 부분
  3. 레일중심에서 400mm지점
  4. 침목 중앙부
(정답률: 알수없음)
  • 인력 도상다지기 작업은 레일과 침목 사이의 공간에 있는 돌, 모래,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시작과 완료 위치는 레일과 침목 사이인 "레일밑 부분"이 적합합니다. 침목끝 부분이나 레일중심에서 400mm 지점, 침목 중앙부는 작업 대상이 아닌 위치이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PC침목을 인력으로 교환할 경우 체결장치 해체철거 순서로 옳은 것은?

  1. 우측레일 외측 - 좌측레일 내측 - 우측레일 내측
  2. 좌측레일 외측 - 우측레일 내측 - 좌측레일 내측
  3. 우측레일 내측 - 좌측레일 외측 - 우측레일 외측
  4. 좌측레일 내측 - 우측레일 외측 - 좌측레일 외측
(정답률: 알수없음)
  • PC침목을 인력으로 교환할 경우 체결장치 해체철거 순서는 "좌측레일 외측 - 우측레일 내측 - 좌측레일 내측" 입니다. 이유는 좌측레일 외측을 먼저 해체하면 PC침목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던 부분이 해제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측레일 내측을 해체하면 PC침목이 더 이상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쉽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좌측레일 내측을 해체하면 PC침목이 완전히 분리되어 철거가 완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인력 PC침목 교환의 본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체결장치 해체철거
  2. 침목위치 바닥 고르기
  3. 신 침목의 삽입
  4. 철거침목 운반 및 정리
(정답률: 알수없음)
  • 철거침목 운반 및 정리는 인력 PC침목 교환의 본 작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 작업은 이미 침목이 철거된 후에 이루어지는 작업으로, 인력 PC침목 교환 작업과는 별개의 작업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철거침목 운반 및 정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레일교환의 본작업 완료 후에 하여야 할 뒷작업은?

  1. 침목의 위치정정
  2. 침목의 삭정
  3. 레일체결장치의 해체
  4. 매목 박기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교환 작업 시 침목의 위치가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레일교환 후에는 침목의 위치를 정확히 조정해야 안전한 운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레일교환의 본작업 완료 후에는 침목의 위치정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레일앵카에 의한 레일밀림방지작업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레일앵카의 부설시기는 가급적 유간정리 직후에 시행한다.
  2. 레일앵카의 부설은 레일 밀림이 많은 혹서, 엄동시기에 시행한다.
  3. 레일앵카의 부설 및 철거는 스파이크햄머, 핸드햄머를 사용한다.
  4. 레일앵카의 부설 작업은 보통 2인 또는 3인 협동으로 시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레일앵카의 부설 및 철거는 스파이크햄머, 핸드햄머를 사용한다."

    해설: 레일앵카의 부설은 레일 밀림이 많은 혹서, 엄동시기에 시행됩니다. 이유는 이 시기에는 기온이 낮아서 레일이 수축하고, 레일과 나사의 접합부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레일앵카를 이용하여 레일을 정확하게 배치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레일앵카의 부설 작업은 보통 2인 또는 3인 협동으로 시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인력에 의한 줄맞춤 정정작업에서 곡선 정정법중 교차법으로 종거를 계산할 때 종거도의 면적 변화는?

  1. 측점을 이동할수록 종거도의 면적은 줄어든다.
  2. 측점을 이동할수록 종거도의 면적은 늘어난다.
  3. 종거수정에 따라 종거도의 면적이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다.
  4. 종거도의 면적은 항상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거는 곡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곡선의 모양에 따라 변화합니다. 하지만 종거도의 면적은 종거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곡선의 면적에만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측점을 이동하더라도 곡선의 면적은 변하지 않으므로 종거도의 면적도 항상 일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장대레일 재설정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는 시기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대레일의 설정온도가 중위온도와 차이가 클 때
  2. 장대레일 구간에 레일 밀림이 없을 때
  3. 장대레일의 중간에 레일을 절단 교환하였을 때
  4. 장대레일 구간에 연속적으로 침목교환을 하였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은 레일 밀림이 발생할 때 재설정 작업을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장대레일 구간에 레일 밀림이 없을 때"가 옳지 않은 시기입니다. 즉, 레일 밀림이 발생한 경우에는 장대레일을 재설정하여 안전한 운행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교량침목 교환작업에서 코일스프링 크립을 철거할 때와 설치할 때 필요한 기구는?

  1. 게이지
  2. 팬풀러
  3. 스패너
(정답률: 알수없음)
  • 코일스프링 크립 철거 및 설치 작업에서는 팬풀러가 필요합니다. 이는 팬풀러가 크립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게이지는 크립의 교환 작업 시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삽과 스패너는 교환 작업 시 필요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종 기계 작업시 다지기 작업에 지장있는 개소에 대하여는 침목 몇개 전방에 지장물 표시를 하여야 하는가?

  1. 2개정도
  2. 5개정도
  3. 8개정도
  4. 10개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1종 기계 작업시 다지기 작업은 대개 큰 나무를 작은 조각으로 만드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하다보면 침목과 같은 장애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소는 작업 중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개소를 미리 파악하고 표시해야 합니다. 이때, 침목 몇개 전방에 표시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5개정도로 약속되어 있습니다. 이는 작업자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개소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레일을 대이동하고 상당한 연장에 걸쳐 근본적인 유간 정리를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간이정리
  2. 소정리
  3. 대정리
  4. 밀림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을 대이동하고 상당한 연장에 걸쳐 근본적인 유간 정리를 하는 것을 "대정리"라고 합니다. 이는 유지보수 및 안전성을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레일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예방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정리는 간이정리나 소정리와는 달리 근본적인 유지보수 작업으로, 더욱 광범위하고 철저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콩자갈 채우기 작업에서 사용하는 콩자갈 입경의 크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5∼15mm
  2. 25∼40mm
  3. 50∼60mm
  4. 70∼80mm
(정답률: 알수없음)
  • 콩자갈 채우기 작업에서는 콩자갈 입경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이는 콩자갈이 서로 빈틈없이 밀착되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5∼15mm 범위 내의 콩자갈이 가장 알맞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경이 너무 크거나 작아서 밀착성이 떨어지거나 채우기 작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궤도의 구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차의 충격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차량의 동요와 진동이 적어야 한다.
  3. 보수가 용이하고 재료갱환이 복잡해야 한다.
  4. 승차기분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수가 용이하고 재료갱환이 복잡해야 한다는 조건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반대의 조건이어야 합니다. 궤도는 주기적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간단하고 저렴한 재료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보수가 용이하고 재료갱환이 간단한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게이지 타이(Gauge tie or Gauge Rod)의 역할은?

  1. 레일을 상호 긴결 시킨다.
  2. 레일과 침목을 긴결 시킨다.
  3. 궤간확보를 위하여 설치 하는 장치이다.
  4. 분기부 입구에 설치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지 타이는 레일과 레일 사이의 간격인 게이지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궤간확보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가장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레일은?

  1. 37kg 레일
  2. 40kg 레일
  3. 50kg 레일
  4. 60kg 레일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레일은 "60kg 레일"입니다. 이는 다른 레일들보다 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레일 10m 당 16개의 침목이 부설되었다. 침목 1개의 저항력이 700㎏ 이었다면 도상 종저항력은 얼마인가?

  1. 160 kg/m
  2. 560 kg/m
  3. 860 kg/m
  4. 1120 kg/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도상다지기 기구 및 장비가 아닌 것은?

  1. 비터
  2. 멀티플 타이 탬퍼
  3. 4두 타이 탬퍼
  4. 바라스트 크리너
(정답률: 알수없음)
  • 바라스트 크리너는 도상다지기 기구나 장비가 아니라 선박의 바닥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용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다음 중 선로제표가 아닌 것은?

  1. 거리표
  2. 차량접촉한계표
  3. 차륜막이
  4. 낙석주의표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제표는 철도나 지하철 등의 선로에서 운행되는 차량이나 보행자들에게 안전한 운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판입니다.

    거리표는 선로에서의 거리를 표시하는 표지판이며, 차량접촉한계표는 선로와 차량 사이의 최소 안전거리를 표시하는 표지판입니다.

    낙석주의표는 산악 등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구간에서 주의를 당부하는 표지판입니다.

    하지만 차륜막이는 선로에서 차량이나 보행자가 선로를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장치이므로, 선로제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레일의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인장시험
  2. 휨시험
  3. 피로시험
  4. 훼손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시험, 휨시험, 피로시험은 레일의 강도와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지만, 훼손시험은 레일의 표면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4급 일반철도에서 캔트는 몇mm를 초과할 수 없는가?

  1. 100
  2. 160
  3. 180
  4. 200
(정답률: 알수없음)
  • 4급 일반철도에서 캔트는 160mm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이는 안전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결과로, 캔트가 너무 크면 기차가 비틀리거나 레일에서 떨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60mm가 최대치로 정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그림은 8# 크로싱이다. 크로싱각(θ)은 약 얼마인가? (단, ℓ : S = 8 : 1)

  1. 4°05′
  2. 7°09′
  3. 8°43′
  4. 12°46′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로싱각(θ)은 S자 모양의 도로에서 두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이루는 각이다. 이 그림에서는 크로싱의 중심점에서 왼쪽 도로와 오른쪽 도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각을 구해야 한다.

    먼저, S자 모양 도로의 길이 비율인 8:1을 이용하여 왼쪽 도로와 오른쪽 도로의 길이를 구한다. 왼쪽 도로의 길이는 8x, 오른쪽 도로의 길이는 x이다.

    그리고 나서, 크로싱의 중심점에서 왼쪽 도로와 오른쪽 도로가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구한다. 이 거리는 왼쪽 도로의 길이인 8x와 오른쪽 도로의 길이인 x를 이용하여 9x이다.

    마지막으로, 크로싱각(θ)을 구하기 위해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한다. 크로싱의 중심점에서 왼쪽 도로와 오른쪽 도로가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 9x를 왼쪽 도로와 오른쪽 도로의 길이 차이인 7x로 나누어 아크탄젠트 함수를 적용하면 된다.

    θ = arctan(9x/7x) = arctan(9/7) ≈ 7°09′

    따라서, 정답은 "7°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평면성 틀림(twist)이란?

  1. 궤도의 길이 방향의 높이차
  2. 좌우레일 답면의 수평틀림
  3. 궤도 5m 간격에 있어서의 수평틀림 변화량
  4. 한쪽 레일의 좌우방향의 들락 날락한 방향의 틀림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성 틀림(twist)은 궤도의 5m 간격에 있어서의 수평틀림 변화량을 의미합니다. 즉, 궤도의 일정 간격마다 수평면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틀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기차의 안정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중 A.T.S 를 바르게 표시 한 것은 ?

  1. 열차 집중제어 장치
  2. 자동열차정지 장치
  3. 자동열차 속도제어 장치
  4. 차내 신호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동열차정지 장치"입니다. A.T.S는 Automatic Train Stop의 약자로, 열차가 일정한 구간에 진입할 때 자동으로 열차를 정지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T.S는 자동열차정지 장치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열차운전 계획상 정차장 사이마다 조정된 구배로서 역간에 임의 지점간의 거리 1㎞의 연장 중 가장 급한 기울기로 조정되는 기울기는?

  1. 가상기울기
  2. 타력기울기
  3. 표준기울기
  4. 제한기울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차장 사이의 구배는 열차가 움직이는 경사를 의미합니다. 이 구배는 역간 거리 1km의 연장 중 가장 급한 기울기로 조정됩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울기는 표준기울기입니다. 이유는 표준기울기는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는 최대 기울기로, 이를 초과하면 열차가 미끄러지거나 추락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차운전 계획상 정차장 사이에서는 표준기울기를 사용하여 안전한 운행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거장을 선로망상(線路網上)의 위치에 의하여 분류한 것 중 옳지 않는 것은?

  1. 종단 정거장
  2. 절선식 정거장
  3. 중간 정거장
  4. 연락 정거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절선식 정거장은 선로망상에서 분기점이나 회전교차로 등에서 분기되는 선로의 끝에 위치한 정거장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T.C는 열차 집중제어법이다. 이에 대한 다음 사항중 옳지 못한 것은?

  1. 한곳에서 제어구역내에 산재해 있는 신호설비를 원격제어한다.
  2. 담당선로의 모든 열차의 운행 상태를 알 수 있다.
  3. 속도의 향상과 열차회수가 증대되나 보안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4. 운전비, 인건비 등의 경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의 향상과 열차회수가 증대되나 보안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C.T.C는 열차 운행을 자동화하고, 신호설비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운행 안전성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보안도가 떨어지는 단점은 없다. 다만, 속도의 향상과 열차회수가 증대되는 것은 맞지만, 이는 단점이 아니라 장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도상 재료의 구비 조건으로서 틀린 것은?

  1. 충격과 마찰에 강할 것
  2. 단위중량이 크고 입도가 좋을 것
  3. 입자간의 마찰이 적고 입자의 모서리가 없을 것
  4. 불순물의 혼입이 없고 재료가 풍부하고 저렴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입자간의 마찰이 적고 입자의 모서리가 없는 것은 구비 조건이 아니라 올바른 재료의 특징입니다. 이는 입자간의 마찰이 적고 입자의 모서리가 없을수록 재료의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입자간의 마찰이 적고 입자의 모서리가 없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1등 삼각 측량에 주로 이용하는 관측법은?

  1. 단각법
  2. 조합각 관측법
  3. 배각법
  4. 복각 관측법
(정답률: 알수없음)
  • 조합각 관측법은 삼각형의 각도를 측정할 때, 두 개의 각도를 조합하여 나머지 한 각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보다 측정 오차가 적고, 삼각형의 크기와 모양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어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1등 삼각 측량에서 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삼각형에서 ∠A=37° 54′ 16″, ∠B=100° 26′ 39″, ∠C=41° 39′ 05″일 때 AC=159.45m이다. AB의 길이는?

  1. 89.16m
  2. 107.76m
  3. 154.76m
  4. 235.95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이므로, ∠A와 ∠B의 합을 빼면 ∠C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C = 180° - (∠A + ∠B)
    = 180° - (37° 54′ 16″ + 100° 26′ 39″)
    = 41° 39′ 05″

    이제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각도를 알고 있으므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AB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cos A = (b² + c² - a²) / 2bc

    여기서 a, b, c는 각각 ∠A, ∠B, ∠C에 대한 대변의 길이입니다. 따라서,

    cos A = (AB² + AC² - BC²) / 2AB·AC

    cos 37° 54′ 16″ = (AB² + 159.45² - BC²) / (2·AB·159.45)

    AB² = (159.45² + BC² - 2·159.45·BC·cos 37° 54′ 16″)

    cos 37° 54′ 16″는 계산기를 이용하여 약 0.798로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항상 양수이므로 BC²는 AC² - AB²로 구할 수 있습니다.

    BC² = AC² - AB²
    = 159.45² - AB²

    따라서,

    AB² = (159.45² + (159.45² - AB²) - 2·159.45·√(1 - 0.798²))
    = 2·159.45² - 2·159.45·0.601
    = 107.76²

    따라서, AB의 길이는 약 107.7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1대회 관측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한 각을 2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얻는 방법이다.
  2. 2개의 버어니어로 눈금을 읽어 평균하는 방법이다.
  3.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한 번씩 측정하는 방법이다.
  4. 초독을 수평분도원에 90°, 360°로 하여 평균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한 번씩 측정하는 방법은 망원경을 이용하여 천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정위는 천체의 수직 방향 각도를 측정하고, 반위는 수평 방향 각도를 측정합니다. 이 두 각도를 측정하여 평균을 내면 천체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삼각측량의 내업 계산과정에서 각도의 차 1"에 대한 로그사인(log sin)의 값은?

  1. 오차
  2. 편차
  3. 표차
  4. 변조건 조정량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 내업 계산과정에서 각도의 차 1"에 대한 로그사인(log sin)의 값은 표차입니다. 이는 각도의 차이가 작을 때, 로그사인 값이 일정하게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에서 발생하는 작은 오차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표차를 사용합니다. 변조건 조정량은 다른 개념으로, 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준측량에서 후시(B.S)의 정의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측량진행 방향에서 기계뒤에 있는 표척의 읽음 값
  2. 높이를 구하고자 하는 점의 표척의 읽음 값
  3. 높이를 알고 있는 점의 표척의 읽음 값
  4. 그 점의 높이만 구하고자 하는 점의 표척의 읽음 값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측량에서 후시(B.S)는 높이를 알고 있는 점의 표척의 읽음 값입니다. 이는 수평면과 수직선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높이를 알고 있는 점에서 수평선과 수직선을 만들어 수평면과 수직선 사이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높이를 알고 있는 점의 표척의 읽음 값이 후시(B.S)의 정의로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변의 수가 12인 폐합트래버어스 내각의 총 합은?

  1. 1620°
  2. 1800°
  3. 1980°
  4. 2160°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트래버어스의 내각의 합은 (변의 수 - 2) × 180° 이므로, (12 - 2) × 180° = 1800°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에서 BC 측선의 위거와 경거는? (단, BC 측선의 거리는 10m 임)

  1. 위거 : 7.07m, 경거 : 7.07m
  2. 위거 : 2.59m, 경거 : 9.66m
  3. 위거 : 5.00m, 경거 : 8.66m
  4. 위거 : 8.66m, 경거 : 5.00m
(정답률: 알수없음)
  • BC 측선은 삼각형 ABC의 밑변이므로, 삼각형 ABC의 높이와 밑변의 길이를 알면 위거와 경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삼각형 ABC는 이등변 삼각형이므로, AB = AC 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높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B^2 = AC^2 + BC^2
    AB^2 - AC^2 = BC^2
    (10m)^2 - (7m)^2 = BC^2
    BC = 5m

    따라서, 위거는 7m에서 5m를 뺀 2m이고, 경거는 BC의 길이인 5m에 루트 3을 곱한 8.66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거 : 5.00m, 경거 : 8.6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반고 9.55m인 A점에 레벨을 세우고 10m의 등고선 위치 B를 구하고자 한다. 표척 몇 m를 시준하면 되는가? (단, 레벨의 시준선까지의 높이는 1.55m 임)

  1. 1.00m
  2. 1.10m
  3. 1.50m
  4. 2.00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의 높이는 9.55m이고, B점의 높이는 10m이므로 A점에서 B점으로 갈수록 높이가 0.45m 증가한다. 따라서 B점의 높이를 A점의 시준선까지 올리기 위해서는 0.45m만큼의 표준을 더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A점의 시준선까지의 높이가 1.55m이므로, 이를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45m - 1.55m = -1.10m 이지만, 표준은 항상 양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하여 1.1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도상에서 제도의 허용 오차를 0.2mm로 하는 평판측량에서 중심맞추기 오차를 0.2m까지 허용한다면 이에 알맞은 축척은?

  1. 1/1000
  2. 1/2000
  3. 1/3000
  4. 1/4000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맞추기 오차는 평면상에서의 오차이므로, 이를 지면상으로 환산하여 계산해야 한다.

    허용 오차가 0.2mm이므로, 1m(=1000mm) 당 허용 오차는 0.2/1000 = 0.0002mm이다.

    중심맞추기 오차가 0.2m까지 허용되므로, 1m(=1000mm) 당 중심맞추기 오차는 0.2/1000 = 0.0002m이다.

    따라서, 평면상에서 1mm 당 지면상에서의 거리는 0.0002m/0.0002mm = 1m이다.

    이를 축척으로 나타내면, 1mm : 1m = 1/1000 : 1이 된다.

    하지만, 이 축척은 평면상에서의 오차만 고려한 것이므로, 제도의 허용 오차도 고려해야 한다.

    제도의 허용 오차가 0.2mm이므로, 1mm 당 제도상에서의 거리는 0.2/1 = 0.2mm이다.

    따라서, 평면상에서 1mm 당 지면상에서의 거리는 1m이지만, 제도상에서 1mm 당 지면상에서의 거리는 0.2mm이므로, 축척은 1/2000이 된다.

    즉, 평면상에서 1mm를 지면상에서 1m로 나타내는 축척은 1/1000이지만, 제도의 허용 오차를 고려하여 축척을 다시 계산하면 1/2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정한 경사지에서 A, B 간의 사거리를 잰 결과 150m였다. AB간의 고저차가 20m일 때 수평거리는?

  1. 147.3m
  2. 148.2m
  3. 147.8m
  4. 148.7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차가 20m이므로, AB간의 기울기는 20/150 = 0.1333이다. 이때, 수평거리를 x라고 하면, tan(기울기) = 20/x 이므로, x = 20/tan(기울기) = 148.7m이다. 따라서 정답은 "148.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선로보수

41. 1, 2급선에 대한 시공기면의 폭으로 옳은 것은?

  1. 3.0m
  2. 3.5m
  3. 4.0m
  4. 4.5m
(정답률: 알수없음)
  • 1, 2급선은 교통량이 많은 도로이므로 시공 중에도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공기면의 폭은 최소 3.5m 이상이어야 하며, 1, 2급선에서는 보통 4.0m 이상의 폭을 확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곡선반경 600m의 원곡선에서 10m 실로 종거를 측정한 결과 30mm였다. 방향틀림량은 얼마인가?

  1. +21mm
  2. -21mm
  3. +9mm
  4. -9mm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에서의 종거 측정값은 실제 거리보다 작게 나타납니다. 이는 종거의 길이가 직선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곡선에 따라 측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향틀림량은 종거 측정값에 보정값을 더해야 합니다.

    보정값은 종거 측정값에 대한 보정계수와 곡선반경에 대한 보정계수를 곱한 값입니다. 종거 측정값에 대한 보정계수는 일반적으로 0.999 이하의 값이며, 곡선반경에 대한 보정계수는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작아지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보정계수를 생략하고, 곡선반경에 대한 보정계수만을 고려합니다. 곡선반경이 600m이고 종거 측정값이 30mm이므로, 방향틀림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방향틀림량 = (종거 측정값 / 곡선반경) x 1000
    = (30 / 600) x 1000
    = 50mm

    하지만 이 값은 보정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실제 방향틀림량은 이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9mm"인 이유는, 보정계수를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에서 9mm를 더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크로싱의 노스레일과 가드레일의 후렌지 웨이간의 간격을 말하며 노스레일 선단의 원호부와 답면의 접점에서 측정하는 것은?

  1. 분기거리
  2. 크로싱게이지
  3. 노스게이지
  4. 백게이지
(정답률: 알수없음)
  • 백게이지는 크로싱의 노스레일과 가드레일의 후렌지 웨이간의 간격을 말합니다. 이는 노스레일 선단의 원호부와 답면의 접점에서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백게이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열차의 조성 및 차량입환을 위하여 설치한 장소는?

  1. 신호소
  2. 신호장
  3. 조차장
(정답률: 알수없음)
  • 조차장은 열차의 조성 및 차량입환을 위한 시설이며, 열차를 조립하고 분해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소입니다. 따라서 조차장은 열차 운행에 필수적인 시설이며, 다른 보기인 신호소, 신호장, 역은 열차 운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있지만, 조차장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본선의 도상보충기준으로 침목노출 한도로 옳은 것은?

  1. 40mm
  2. 30mm
  3. 20mm
  4. 10mm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의 도상보충기준에서는 침목노출 한도를 10mm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침목이 노출되면 안전상 위험하고, 노출된 부분이 많아질수록 구조물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mm 이하로 유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차선의 높이는 레일면 위의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1. 5.4m
  2. 5.2m
  3. 5.0m
  4. 4.8m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의 높이는 국제철도연맹에서 제정한 기준에 따라 레일면 위 5.2m를 표준으로 합니다. 이는 전 세계의 철도에서 사용되는 표준 높이이며, 이를 기준으로 전차의 높이와 다리, 터널 등의 구조물의 높이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반철도의 2급선 선로의 본선 노반 부담력 계산에 사용되는 표준활하중은?

  1. L - 22
  2. LS - 22
  3. S - 22
  4. KS - 2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 - 22"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L은 노면의 수평적인 최대 허용하중을 나타내는 등급입니다.
    - 22는 일반철도의 2급선의 경우, 본선과 노반의 간격이 2.2m 이하일 때의 표준활하중을 나타냅니다.
    - 따라서, 본선과 노반의 간격이 2.2m 이하인 2급선의 경우, 노면의 수평적인 최대 허용하중은 L - 22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부설된 장대레일의 체결장치를 풀어서 응력을 제거한 후 다시 체결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장대레일 설정
  2. 중위온도 설정
  3. 신축량 설정
  4. 재설정
(정답률: 알수없음)
  • 부설된 장대레일의 체결장치를 풀어서 응력을 제거한 후 다시 체결하는 것을 "재설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이미 설정되어 있던 장대레일의 위치나 상태를 다시 조정하여 새로운 상황에 맞게 맞추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의 교량 중 교상가드레일을 부설치 않아도 좋은 곳은?

  1. 18m 미만의 교량
  2. 곡선반경 400m 미만의 곡선 중에 있는 교량
  3. 1000분의 10보다 급한 구배 중에 있는 교량
  4. 트러스교량
(정답률: 알수없음)
  • 18m 미만의 교량은 교량의 길이가 짧아서 차량이나 보행자가 교량에서 큰 속도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교상가드레일을 부설치 않아도 안전성이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본선에서 50kg N 레일을 교환하여야 하는 레일두부의 최대 마모높이 기준은?

  1. 15mm
  2. 13mm
  3. 12mm
  4. 9mm
(정답률: 알수없음)
  • 50kg N 레일은 1m 길이당 50kg의 하중을 지원할 수 있는 레일입니다. 따라서, 레일두부의 마모높이가 클수록 레일이 지지하는 하중이 줄어들게 되어 안전성이 감소합니다. 이에 따라, 레일두부의 최대 마모높이는 가능한 낮아야 합니다.

    50kg N 레일의 경우, 레일두부의 최대 마모높이는 12mm 이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12mm 이하의 마모높이에서는 레일이 안전하게 하중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마모높이가 15mm 이상이라면, 레일이 지지하는 하중이 감소하여 안전성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12m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장대레일 부설시 구배변환점에는 어떠한 조치를 하여야 하는가?

  1. 환산구배 설치
  2. 반경 3000m이상의 종곡선 삽입
  3. 신축 이음매 설치
  4. 완충레일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장대레일 부설시 구배변환점에서는 기차의 속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해 반경 3000m 이상의 종곡선을 삽입해야 합니다. 이는 기차가 곡선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켜서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하고 원활한 운행을 위해 반드시 이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본선부설 PC침목에 대하여는 년 몇 회이상 검사하여야 하는가?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알수없음)
  • 본선부설 PC침목은 건축물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중요한 부분이므로,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해당 법규에서는 검사 주기를 명시하지 않고, "적절한 주기로 검사하여야 한다"는 내용만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주기는 건축물의 상태와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최소 1회 이상 검사하여야 한다는 것이 법적으로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레일의 복진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중 방지 효과가 크고, 복선과 밀림이 심한 구간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1. 말뚝 박기식
  2. 계재식
  3. 침목 버팀식
  4. 레일앵카식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일앵카식은 레일과 카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레일과 카가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레일의 복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선과 밀림이 심한 구간에서 사용되는 이유는, 레일과 카가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카가 레일을 지지하면서 레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모타카가 추진운전을 할 때 운전 최고 속도는 얼마인가?

  1. 25km/h 이하
  2. 45km/h 이하
  3. 60km/h 이하
  4. 70km/h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모타카는 전기 스쿠터로서, 대부분의 전기 스쿠터와 마찬가지로 도로 교통법규상 최고 속도가 25km/h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모타카가 추진운전을 할 때 운전 최고 속도는 25km/h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노반의 배수 방법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곁도랑 깊이 파기 및 준설
  2. 도상과 노반 중에 맹하수 설치
  3. 도상과 노반 중에 유공관을 매설
  4. 도상의 일부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노반의 배수 방법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도상의 일부제거"입니다. 이는 도로의 안전성을 해치며, 도로의 경사도를 변화시켜 교통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인 "곁도랑 깊이 파기 및 준설", "도상과 노반 중에 맹하수 설치", "도상과 노반 중에 유공관을 매설" 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력 궤도틀림검사 시행방법중 줄맞춤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선부는 우측레일을 측정한다.
  2. 곡선부는 내측레일궤간을 측정한다.
  3. 측정 실길이는 20m로 한다.
  4. 궤간외방 틀림량을(+), 곡선내방 틀림량을(-)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궤간외방 틀림량은 기준선(중앙선)으로부터 우측레일과 좌측레일의 거리 차이를 의미하며, 이 값이 양수일 경우 레일이 바깥쪽으로 틀어져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궤간외방 틀림량을 (+)로 하는 것입니다.

    반면, 곡선내방 틀림량은 곡선부에서 레일이 중앙선보다 내측으로 틀어져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이 값이 음수일 경우 레일이 안쪽으로 틀어져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곡선내방 틀림량을 (-)로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궤간외방 틀림량은 (+), 곡선내방 틀림량은 (-)로 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트로리 취급자는 열차가 트로리 사용개소를 통과할 시간의 몇분 전까지 트로리를 궤도에서 철거해야 하는가?

  1. 3분
  2. 5분
  3. 10분
  4. 15분
(정답률: 알수없음)
  • 트로리 취급자는 열차가 트로리 사용개소를 통과할 시간의 5분 전까지 트로리를 궤도에서 철거해야 합니다. 이는 열차가 트로리 사용개소에 도달하기 전에 트로리를 철거하면 안전하게 열차를 통과시킬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열차가 트로리 사용개소를 지나간 후에는 트로리를 철거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5분 전까지 철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C침목의 10m당 배치 정수로 틀린 것은?

  1. 1급선 - 17
  2. 2급선 - 17
  3. 3급선 - 16
  4. 4급선 - 15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4급선 - 15"입니다. PC침목은 10m 간격으로 배치되며, 등급이 높을수록 더 많은 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등급이 높을수록 선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4급선은 15개가 아닌 16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선로보수용 보선장비중 바라스트 크리너, 바라스트 레규레터 등에 의하여 시행하는 자갈치기 및 정리 등의 선로 보수 작업은?

  1. 제1종 보선장비작업
  2. 제2종 보선장비작업
  3. 제3종 보선장비작업
  4. 제4종 보선장비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바라스트 크리너와 바라스트 레규레터는 선박의 바라스트 탱크 내부를 청소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보선장비이며, 이는 선로 보수 작업 중 하나입니다. 이 작업은 보선장비 중에서도 제2종 보선장비작업에 해당합니다. 제2종 보선장비작업은 선로 보수 작업 중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보선장비 작업으로, 선박의 안전과 선로 유지보수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궤도정비 기준으로 레일길이 10m에 대한 궤도줄맞춤의 허용한도로 옳은 것은?

  1. 본선 7mm , 측선 8mm
  2. 본선 7mm , 측선 9mm
  3. 본선 8mm , 측선 9mm
  4. 본선 8mm , 측선 10mm
(정답률: 알수없음)
  • 궤도정비 기준으로 레일길이 10m에 대한 궤도줄맞춤의 허용한도는 본선과 측선의 합이 16mm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본선이 7mm이고 측선이 9mm인 것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본선과 측선의 합이 16mm 이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본선과 측선의 합이 16mm을 초과하므로 허용한도를 벗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