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6)

농업기계기사
(2006-08-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료역학

1. 그림과 같은 단순지지보에서 반력 RA는 몇 kN 인가?

  1. 8
  2. 8.4
  3. 10
  4. 10.4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지지보에서 반력은 하중과 같은 크기이며, 반대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RA = 20 - 9.6 = 10.4 k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외팔보에 균일분포하중 ω가 전 길이에 걸쳐 작용할 때 자유단의 처짐 δ는 얼마인가? (단, E : 탄성계수, I : 단면2차모멘트)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단의 처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 = (5/384) * (ωL^4) / (EI)

    여기서 L은 외팔보의 길이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인 ""은 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경우인 ω가 전 길이에 균일분포하중인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름 30mm, 길이 100 cm의 단면이 둥근 축 양단을 수직벽에 고정하였다. 온도를 80℃ 만큼 높였을 때 벽을 미는 힘의 크기는 몇 kN인가? (단, 팽창계수 a = 0.000012/℃, 탄성계수 E=210 GPa 이다.)

  1. 47.5
  2. 14.25
  3. 4.75
  4. 142.5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의 도심(centroid)의 x좌표는? (단, 빗금친 부분에서 제외된 부분의 반지름 R= 60mm)

  1. 22.8 mm
  2. 24.2 mm
  3. 26.6 mm
  4. 28.4 mm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심(centroid)은 도형의 면적을 2등분하는 점이므로, 빗금친 부분의 면적과 제외된 부분의 면적이 같아지도록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빗금친 부분의 면적은 반지름이 60mm인 원에서 반지름이 30mm인 원을 빼면서 생기는 부채꼴의 면적과, 반지름이 30mm인 원의 면적의 차이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약 2827.43mm²입니다. 이와 같은 면적을 가지는 도형의 중심은 원의 중심과 같으므로, 도심의 x좌표는 원의 중심인 60mm에서 30mm을 뺀 30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 mm"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8.4 mm"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원의 면적을 구할 때 사용하는 파이(π) 값이 3.14로 근사치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는 파이 값이 3.1415926535...와 같이 무한 소수이므로, 더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더 많은 자리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근사치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를 제시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28.4 mm"가 보기에서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강 1cm3의 무게는 0.0785 N이다. 길이 15 m의 둥근봉을 매달 때 상단고정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몇 kPa 인가?

  1. 0.118
  2. 1177.5
  3. 117.8
  4. 11890
(정답률: 알수없음)
  • 연강의 밀도는 7850 kg/m3 이므로 1cm3의 질량은 0.00785 kg 이다. 따라서 봉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봉의 무게 = 연강의 부피 × 연강의 밀도 × 중력가속도
    = (π × (0.015/2)2 × 1500) × 7850 × 9.8
    = 172.5 N

    봉이 매달려 있는 점에서의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다.

    인장응력 = 봉의 무게 / 상단고정부의 단면적
    = 172.5 / (π × (0.015/2)2)
    = 1177.5 kPa

    따라서 정답은 117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 변의 길이가 2cm인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길이 50 cm의 외팔보의 자유단에 집중 모멘트 M을 작용시킬 때 최대 처짐량이 5 cm가 되었다면 집중 모멘트 M은 얼마인가? 단, 탄성계수 E = 200 GPa 이다.)

  1. 1066.7 Nㆍm
  2. 1166.7 Nㆍm
  3. 126.7 Nㆍm
  4. 136.7 Nㆍm
(정답률: 알수없음)
  • 처짐량(w)과 모멘트(M)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w = (M * L^3) / (3 * E * I)

    여기서 L은 외팔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의 관성 모멘트이다.

    정사각형 단면의 관성 모멘트 I는 다음과 같다.

    I = (a^4) / 12

    여기서 a는 정사각형 단면의 한 변의 길이이다.

    따라서, I = (2^4) / 12 = 2/3 cm^4 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L = 50 cm, w = 5 cm, E = 200 GPa 이므로,

    M = (w * 3 * E * I) / (L^3) = (5 * 3 * 200 * (2/3)) / (50^3) = 1066.7 Nㆍm

    따라서, 정답은 "1066.7 Nㆍ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바깥지름이 안지름의 두 배인 중공축은 동일 단면적을 갖는 중실축과 비교했을 때 몇 배의 토크를 견디는가?

  1. 0.72
  2. 1.44
  3. 1.72
  4. 2.89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공축과 중실축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므로, 견딜 수 있는 토크는 단면적과 비례한다. 바깥지름이 안지름의 두 배이므로, 단면적은 바깥지름의 제곱에서 안지름의 제곱을 뺀 값과 비례한다.

    중공축의 단면적은 (바깥지름의 제곱 - 안지름의 제곱) / 4 이고, 중실축의 단면적은 바깥지름의 제곱 / 4 이다.

    따라서 중공축이 견딜 수 있는 토크는 (바깥지름의 제곱 - 안지름의 제곱) / 4 에 비례하고, 중실축이 견딜 수 있는 토크는 바깥지름의 제곱 / 4 에 비례한다.

    중공축이 견딜 수 있는 토크를 중실축이 견딜 수 있는 토크로 나누면, (바깥지름의 제곱 - 안지름의 제곱) / 바깥지름의 제곱 이 된다.

    이를 계산하면 (2^2 - 1^2) / 2^2 = 3 / 4 이므로, 중공축은 중실축보다 1.44 배 더 많은 토크를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4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최대 굽힘모멘트 Mmax = 800 kNㆍm를 받는 단면의 굽힘응력을 600 MPa로 하려면 직경은 약 몇 cm로 하면 되는가?

  1. 20
  2. 24
  3. 28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의 굽힘응력 σ = Mmax / W, 여기서 W는 단면의 단면계수이다. 원형 단면의 경우 W = πd^3/32 이므로, σ = 32Mmax / πd^3 이다. 이를 d에 대해 정리하면 d = (32Mmax / πσ)^1/3 이다. 따라서 d = (32 × 800 × 10^3 / π × 600 × 10^6)^1/3 = 0.24 m = 24 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직사각형(b×h)의 단면적 A를 갖는 보에 전단력 V가 작용할 때 최대 전단응력은?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전단응력은 전단력 V가 최대인 단면에서 발생한다. 이 때 최대 전단응력은 τ_max = V/(b*h/2)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 가 정답이다. 이유는 이 식에서 분모인 b*h/2가 가장 작기 때문에 최대 전단응력이 가장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평면응력상태에 있는 어느 요소에서의 응력이 σx=50 MPa, σy=0, τxy=30 MPa 이다. 이 부분에 생기는 최대 주응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1. 25 MPa
  2. 39 MPa
  3. 64 MPa
  4. 74 MPa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주응력은 σmax = (σx + σy) / 2 + sqrt((σx - σy) / 2)2 + τxy2) 이다.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σmax = (50 + 0) / 2 + sqrt((50 - 0) / 2)2 + 302) = 64 M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64 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y1 = h/2 의 위쪽 면적(빗금 부분)의 중립축에 대한 단면 1차모멘트 Q는?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1차모멘트 Q는 면적과 중립축 사이의 거리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 경우, 빗금 부분의 면적은 직사각형의 반만큼이므로 (1/2)bh/2 = bh/4입니다. 중립축은 y=h/2에서 가로축과 수직이므로, 면적 중심이 y=h/2인 직사각형의 중립축과 같습니다. 따라서 Q = (bh/4) * (h/2 - h/2) = 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마찰이 없는 매끈한 경사면에 강체보를 수평하게 놓고 힘 P를 가하여 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a, b, α1, α2 의 관계는?

(정답률: 알수없음)
  • 강체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게중심이 경사면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무게중심이 경사면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기 위해서는 a와 b의 길이가 같아야 하며, 또한 α1과 α2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 이는 삼각형의 대각선이 서로 같은 길이일 때, 대각선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틀림 모멘트 2 kNㆍm가 지름 50mm인 축에 작용하고 있다. 축의 길이가 2m일 때 축의 비틀림각은 몇 rad인가? (단, 축의 전단 탄성계수 G= 85 GN/m2이다.)

  1. 0.019
  2. 0.028
  3. 0.054
  4. 0.077
(정답률: 알수없음)
  • 비틀림 모멘트 M과 축의 길이 L, 지름 d, 전단 탄성계수 G를 이용하여 비틀림각 θ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θ = (M*L) / (G*(π/2)*(d/2)^4)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θ = (2*10^6 * 2) / (85*10^9 * (π/2) * (0.05/2)^4) = 0.077 rad

    따라서 정답은 "0.0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평면응력의 경우 훅의 법칙(Hook's law)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σx : 수직응력, εx, εy : 변형률, μ : 포아송 비, E : 탄성계수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훅의 법칙은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데, 평면응력의 경우 수직응력과 수평응력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수직응력과 수평응력을 각각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σx = Eεx + μ(Eεy) 이렇게 나타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단순 지지보가 B점에서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받고 있다. 이때 최대의 처짐이 발생하는 곳은 A점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진 거리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의 처짐이 발생하는 곳은 모멘트가 최대인 곳이므로, 모멘트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모멘트 공식은 M = F x d 이며, 이때 F는 지지보가 받는 힘, d는 A점으로부터 지지보까지의 거리이다. 그림에서 보면, B점에서 받는 모멘트는 F x 2m 이므로, A점에서 받는 모멘트는 F x d = F x 4m/3 이다. 따라서, 최대의 처짐이 발생하는 곳은 A점으로부터 4/3m 떨어진 곳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이 원형단면을 갖는 연강봉이 100kN의 인장하중을 받을 때 이 봉의 신장량은? (단, 탄성계수 E = 200 GPa이다.)

  1. 0.054cm
  2. 0.1cm
  3. 0.2cm
  4. 0.3c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히크의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히크의 법칙은 "단위 길이당 인장응력과 신장량은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rac{Delta L}{L} = frac{sigma}{E}$$

    여기서 $Delta L$은 신장량, $L$은 원래 길이, $sigma$는 인장응력, $E$는 탄성계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인장하중이 100kN이므로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igma = frac{F}{A} = frac{100000}{pi(50)^2} approx 127.32 MPa$$

    따라서 신장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elta L = frac{sigma L}{E} = frac{(127.32)(100)}{(200 times 10^3)} approx 0.06366 cm approx 0.064 cm$$

    따라서 정답은 "0.064c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신장량을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정답은 "0.054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경 20mm인 구리합금 봉에 30 kN의 축방향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체적변형률은 대략 얼미안가? (단, 탄성계수 E=100 GPa, 포와송비 μ=0.3)

  1. 0.38
  2. 0.038
  3. 0.0038
  4. 0.00038
(정답률: 알수없음)
  • 체적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ε = (F/A) / E

    여기서 F는 인장하중, A는 단면적, E는 탄성계수이다. 포와송비는 문제에서 주어졌지만, 체적변형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πr^2

    여기서 r은 반지름이다. 따라서, 반지름은 10mm이므로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10mm)^2 = 100π mm^2

    인장하중은 30 kN이므로, 체적변형률은 다음과 같다.

    ε = (30 kN / 100π mm^2) / 100 GPa = 0.0009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000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장하중을 받고 있는 부재에서 전단음력 τ 가 수직응력 σ의 1/2 이 되는 경사단면의 경사각은?

  1. θ = tan-1(1)
  2. θ = tan-1(2)
  3. θ = tan-1(4)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전단음력 τ는 수직응력 σ의 1/2가 되므로, τ = σ/2이다.

    또한, 경사단면에서의 전단응력 τ는 수직응력 σ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τ = σ tanθ

    따라서, σ tanθ = σ/2이므로, tanθ = 1/2이다.

    이를 계산하면, θ = tan-1(1/2)이 되며, 이 값은 ""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길이 2m인 원형 단면 목재를 사용하여 기둥을 만들려고 한다. 이 경우 기둥의 양단은 핀으로 지지되고 25N 의 하중에 견디게 하려면 기둥이 최소지름은 몇 cm로 해야 하는가? (단, Euler의 좌굴공식을 적용하고 안전율은 5, 탄성계수 E=10 GPa 이다.)

  1. 10.08
  2. 8.08
  3. 12.08
  4. 14.08
(정답률: 알수없음)
  • Euler의 좌굴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π²EI)/(KL)²

    여기서 P는 기둥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의 모멘트 of 관성, K는 기둥의 양단 지지 조건에 따른 상수, L은 기둥의 길이이다.

    우리는 기둥의 최소 지름을 구해야 하므로, 단면이 원형이므로 I = (πd⁴)/64 이다. 여기서 d는 원형 단면의 지름이다.

    또한, 양단이 핀으로 지지되므로 K = 1/2 이다.

    따라서 Euler의 좌굴공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P = (π²E(d⁴/64))/(4L²)

    여기서 P는 25N, E는 10GPa = 10,000MPa, L은 2m 이므로,

    25 = (π² × 10,000 × (d⁴/64))/(4 × 2²)

    d⁴ = (25 × 64 × 4 × 2²)/(π² × 10,000)

    d⁴ = 0.256

    d = 0.256^(1/4) = 0.1008m = 10.08cm

    따라서, 기둥의 최소 지름은 10.08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축지름 50 mm의 축에 고정된 풀리에 1750 rpm, 7.35 kW의 모터를 벨트로 연결하여 전동하려고 한다. 키에 발생하는 전단응력(τ)과 압축응력(σ)은 몇 MPa인가? (단, 키의 치수(mm)는 b × h × L = 8 × 4 × 60 이다.)

  1. τ = 3.34, σ = 6.68
  2. τ = 3.34, σ = 13.37
  3. τ = 4.34, σ = 13.37
  4. τ = 4.34, σ = 23.37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벨트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벨트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L = π × (r1 + r2) × 2 + (r2 - r1) × 2 + (2 × L1 + L2)

    여기서, r1 = 축지름/2 = 25 mm, r2 = 풀리 지름/2 = 175 mm, L1 = 2 × (b + h) = 24 mm, L2 = L - 2 × (r1 + r2) - 2 × (L1/2) = 2 mm

    따라서, L = π × (25 + 175) × 2 + (175 - 25) × 2 + (2 × 24 + 2) = 1173 mm

    다음으로, 벨트의 속도를 구해야 한다. 벨트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v = π × (r1 + r2) × N/60

    여기서, N은 모터의 속도이다. 따라서, v = π × (25 + 175) × 1750/60 = 204.2 m/min

    다음으로, 전단응력을 구해야 한다.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다.

    τ = (P × 1000)/(b × h × v)

    여기서, P는 전달되는 힘이다. P = 7.35 kW = 7350 Nm/s

    따라서, τ = (7350 × 1000)/(8 × 4 × 1173/1000) = 3.34 MPa

    마지막으로, 압축응력을 구해야 한다. 압축응력은 다음과 같다.

    σ = (P × 1000)/(2 × b × h)

    따라서, σ = (7350 × 1000)/(2 × 8 × 4) = 13.37 MPa

    따라서, 정답은 "τ = 3.34, σ = 13.3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열역학

21. 공기압축기의 입구 공기의 온도와 압력은 각각 27℃, 100 kPa이고, 체적유량은 0.01m3/s 이다. 출구에서 압력이 400kPa이고, 이 압축기의 단열효율이 0.8일 때, 압축기의 소요 동력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과 기체상수는 각각 1 kJ/kgK, 0.287 kJ/kgK이고, 비열비 K는 1.4이다.)

  1. 1.4kW
  2. 1.7kW
  3. 2.1kW
  4. 4.0kW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기의 단열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단열효율 = (입력 엔탈피 - 출력 엔탈피) / (입력 엔탈피 - 이상 엔탈피)

    여기서, 이상 엔탈피는 압축기가 완전히 단열적으로 작동할 때의 엔탈피를 말한다. 이상 엔탈피는 입구 상태와 출구 상태의 평균 압력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이상 엔탈피 = 입구 상태의 엔탈피 * (출구 압력 / 입구 압력) ^ ((K-1)/K)

    여기서 K는 비열비를 말한다.

    입력 엔탈피는 입구 상태의 엔탈피와 소요 동력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입력 엔탈피 = 입구 상태의 엔탈피 + (소요 동력 / 체적유량)

    출력 엔탈피는 출구 상태의 엔탈피와 입구 상태의 엔탈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출력 엔탈피 = 입구 상태의 엔탈피 + (입구 상태의 엔탈피 - 이상 엔탈피) / 단열효율

    따라서, 소요 동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위의 식들을 이용하여 입력 엔탈피와 출력 엔탈피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요 동력을 계산하면 된다.

    입구 상태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입구 상태의 엔탈피 = (공기의 정압비열 * 입구 온도) + (0.5 * 공기의 기체상수 * 입구 속도^2)

    여기서 입구 속도는 verbatim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0으로 가정하겠다.

    입구 상태의 엔탈피 = (1 kJ/kgK * 27℃) = 29.1 kJ/kg

    이상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상 엔탈피 = 29.1 kJ/kg * (400 kPa / 100 kPa) ^ ((1.4-1)/1.4) = 47.6 kJ/kg

    입력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입력 엔탈피 = 29.1 kJ/kg + (소요 동력 / 0.01 m^3/s) = 29.1 kJ/kg + 1000 * 소요 동력 / 0.01

    출력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출력 엔탈피 = 29.1 kJ/kg + (29.1 kJ/kg - 47.6 kJ/kg) / 0.8 = 29.1 kJ/kg - 22.4 kJ/kg / 0.8 = 2.9 kJ/kg

    따라서, 소요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소요 동력 = 체적유량 * (입력 엔탈피 - 출력 엔탈피) = 0.01 m^3/s * 1000 kg/m^3 * (2.9 kJ/kg - 29.1 kJ/kg) = 2.1 kW

    따라서, 정답은 "2.1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온도가 127℃, 압력이 0.5 MPa, 비체적 0.4 m3/kg인 이상기체가 같은 압력하에서 비체적이 0.3 m3/kg 으로 되었다면 온도는 약 몇 ℃ 인가?

  1. 95.25℃
  2. 27℃
  3. 100℃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인 Boyle-Mariotte 법칙과 Charles 법칙을 이용하여 풀이할 수 있다.

    Boyle-Mariotte 법칙: P1V1 = P2V2
    Charles 법칙: V1/T1 = V2/T2

    먼저 초기 상태에서의 체적 V1을 구해보자.
    P1V1 = P2V2 이므로, V1 = (P2/P1)V2 = (0.5 MPa / 0.5 MPa) x 0.4 m^3/kg = 0.4 m^3/kg

    그리고 초기 상태에서의 온도 T1을 구해보자.
    V1/T1 = V2/T2 이므로, T1 = (V1/T1) / (V1/V2) x T2 = (0.4 m^3/kg / 127℃) / (0.4 m^3/kg / 0.3 m^3/kg) x 127℃ = 95.25℃

    따라서, 비체적이 0.3 m^3/kg으로 변화한 후의 온도는 T2 = (V1/T1) / (V2/V1) = (0.4 m^3/kg / 95.25℃) / (0.3 m^3/kg / 0.4 m^3/kg) = 27℃ 이다.

    따라서, 정답은 "2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기 2kg이 300K, 600 kPa 상태에서 500K, 400kPa 상태로 가열된다. 이 과정 동안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정적비열과 정압비열은 각각 0.717 kJ/kgK 과 1.004 kJ/kgK로 일정하다.)

  1. 0.73 kJ/K
  2. 1.83 kJ/K
  3. 1.02 kJ/K
  4. 1.26 kJ/k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공기의 엔트로피 변화량을 구하는 문제이다. 엔트로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S = mCp ln(T2/T1) - mR ln(P2/P1)

    여기서, m은 공기의 질량, Cp는 정압비열, R은 공기의 기체상수, P는 압력, T는 온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m = 2kg
    Cp = 1.004 kJ/kgK
    R = 0.287 kJ/kgK
    P1 = 600 kPa
    P2 = 400 kPa
    T1 = 300 K
    T2 = 500 K

    ΔS = 2*1.004*ln(500/300) - 2*0.287*ln(400/600)
    = 1.26 kJ/K

    따라서, 정답은 "1.26 kJ/k"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이상 오토사이클의 열효율이 56.5% 이라면 압축비는 약 얼마인가? (단, 작동 유체의 비열비는 1.4로 일정하다.)

  1. 7.5
  2. 8.0
  3. 9.0
  4. 9.5
(정답률: 알수없음)
  • 열효율(η)은 압축비(r)와 비열비(γ)로 구할 수 있다.

    η = 1 - (1/r^(γ-1))

    56.5%를 소수로 바꾸면 0.565이 된다. 이 값을 식에 대입하면,

    0.565 = 1 - (1/r^(1.4-1))

    0.435 = 1/r^0.4

    r^0.4 = 1/0.435

    r = (1/0.435)^2.5

    r = 8.0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압축비는 약 8.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이상기체에서 내부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력만의 함수이다.
  2. 체적만의 함수이다.
  3. 온도만의 함수이다.
  4. 엔트로피만의 함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기체에서 내부에너지는 분자의 운동에너지와 상호작용 에너지 등으로 이루어진 전체 에너지를 말합니다. 이러한 내부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하며, 온도가 증가하면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고, 내부에너지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입니다. 압력이나 체적, 엔트로피는 내부에너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물리량이므로 옳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임계점 및 삼중점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헬륨이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하는 이유는 임계 온도가 상온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2. 초임계 압력에서는 두 개의 상이 존재한다.
  3. 물의 상중점 온도는 임계 온도보다 높다.
  4. 임계점에서는 포화액체와 포화증기의 상태가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임계점에서는 포화액체와 포화증기의 상태가 동일하다." 이다. 이유는 임계점은 압력과 온도가 일치하여 포화액체와 포화증기가 동일한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는 액체와 기체의 경계가 없어지며, 이를 임계상태라고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액체와 기체가 서로 구분되지 않으며, 이를 임계점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300K 에서 400K 까지의 온도 구간에서 공기의 평균 정적비열은 0.721 kJ/kgK 이다. 이 온도 범위에서 공기의 내부 에너지 변화량은?

  1. 0.721 kJ/kg
  2. 7.21 kJ/kg
  3. 72.1 kJ/kg
  4. 721 kJ/kg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 에너지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U = m × Δu

    여기서, Δu는 평균 정적비열이므로 0.721 kJ/kgK이다. 따라서,

    ΔU = m × 0.721 kJ/kgK

    또한, 공기의 질량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단위 질량당 내부 에너지 변화량을 계산한다. 이를 단위 질량당 내부 에너지 변화량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Δu = 0.721 kJ/kgK

    따라서, ΔU = m × Δu = m × 0.721 kJ/kgK 이므로, 정답은 "72.1 kJ/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른이 하루에 2200 kcal의 음식을 섭취한다고 한다. 이 사람이 발생하는 평균 열량[W]은 약 얼마인가? (단, 1kcal은 4180 J 이다.)

  1. 63
  2. 88
  3. 98
  4. 106
(정답률: 알수없음)
  • 1 kcal은 4180 J이므로, 2200 kcal은 2200 x 4180 J이다. 이를 계산하면 약 9196000 J이다. 이 값을 24시간(하루)으로 나누면 평균 발생 열량은 약 383166.67 J/h이다. 이 값을 3600으로 나누면 평균 발생 열량은 약 106.46 W이다. 따라서 정답은 "1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이 다수의 추를 올려놓은 피스톤이 끼워져 있는 실린더에 들어 있는 가스를 계로 생각한다. 최초압력이 300 kPa 이고, 초기 체적은 0.05m3 이다. 열을 가하여 피스톤의 상승과 동시에 계의 가스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피스톤의 무게를 감소 시킬 수 있다고 하여 이상기체모델로 타당하다면 이 과정 중에 계가 한 일은? (단, 상승 후의 체적은 0.2m3 이다.)

  1. 10.79 kJ
  2. 15.79 kJ
  3. 20.79 kJ
  4. 25.79 kJ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과정은 등압과정이 아니므로, 일반적인 P-V 다이어그램으로는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이상기체모델을 이용하여 계가 한 일을 계산해야 한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의 체적과 압력을 이용하여 초기 상태에서의 몰수를 계산한다.

    n = PV/RT = (300000 Pa)(0.05 m^3)/(8.31 J/mol K)(300 K) = 0.06 mol

    다음으로, 최종 상태에서의 체적과 초기 상태에서의 몰수를 이용하여 최종 상태에서의 압력을 계산한다.

    P = nRT/V = (0.06 mol)(8.31 J/mol K)(300 K)/(0.2 m^3) = 7477 Pa

    따라서, 이 과정에서 계가 한 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W = ∫PdV = ∫nRT/V dV = nRT ln(V2/V1) = (0.06 mol)(8.31 J/mol K)(ln(0.2/0.05)) = 20.79 kJ

    따라서, 정답은 "20.79 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열역학 과정을 비가역으로 만드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마찰
  2. 열의 일당량
  3. 유한한 온도 차에 의한 열전달
  4.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질의 혼합
(정답률: 알수없음)
  • 열의 일당량은 열역학 과정에서 에너지 보존 법칙을 지키며 열이 전달되는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비가역적인 과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의 일당량"입니다.

    마찰은 열역학 과정을 비가역으로 만드는 대표적인 인자 중 하나입니다. 마찰이 발생하면 열이 발생하고, 이는 열역학 과정에서 역학적 에너지가 열적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유한한 온도 차에 의한 열전달은 열역학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열전달 방식 중 하나입니다. 열전달이 일어나는 두 지점 사이의 온도 차이가 존재하면, 열이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역학적인 움직임 없이도 일어날 수 있는 열전달 방식입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질의 혼합은 열역학 과정에서 열이 전달되는 또 다른 방식입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질이 혼합될 때, 물질 간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면서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열역학 과정에서 비가역적인 과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이 있다. 1, 2, 3 상태의 엔탈피가 다음과 같을 때 냉매의 단위 질량당 소요 동력과 냉각량은 얼마인가? (단, h1=178.16, h2=210.38, h3=74.53, 단위:kJ/kg)

  1. 33.22 kJ/kg, 103.63 kJ/kg
  2. 33.22 kJ/kg, 136.85 kJ/kg
  3. 103.63 kJ/kg, 33.22 kJ/kg
  4. 136.85 kJ/kg, 33.22 kJ/kg
(정답률: 알수없음)
  • 냉매의 단위 질량당 소요 동력은 엔탈피 변화량과 같으므로,
    - 압축 과정에서의 엔탈피 변화량: h2 - h1 = 210.38 - 178.16 = 32.22 kJ/kg
    - 제습 과정에서의 엔탈피 변화량: h2 - h3 = 210.38 - 74.53 = 135.85 kJ/kg
    따라서 정답은 "33.22 kJ/kg, 103.63 kJ/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속 30 km로 주행하는 질량 3060 kg의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고서 8.8 m에서 정지하였다. 이때 베어링 마찰 등을 무시하고 브레이크 만으로 정지 하였다고 하면,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단,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 계수는 0.4이다.)

  1. 106
  2. 0.69
  3. 256
  4. 0.82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운동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는 브레이크를 밟아 정지될 때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따라서, 운동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운동 에너지 = 1/2 x 질량 x 속도^2

    = 1/2 x 3060 kg x (30 km/h)^2

    = 1/2 x 3060 kg x (8.33 m/s)^2

    = 102,061.85 J

    다음으로, 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마찰력 = 마찰 계수 x 노멀력

    노멀력은 자동차의 무게인 3060 kg x 중력 가속도인 9.8 m/s^2로 계산할 수 있다.

    노멀력 = 3060 kg x 9.8 m/s^2

    = 29,988 N

    따라서, 마찰력은 다음과 같다.

    마찰력 = 0.4 x 29,988 N

    = 11,995.2 N

    마찰력과 정지 거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에서 발생한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열량은 다음과 같다.

    열량 = 마찰력 x 정지 거리

    = 11,995.2 N x 8.8 m

    = 105,561.6 J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한 열량은 약 106 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두께 1 cm, 면적 0.5m2의 석고판의 뒤에 가열 판이 부착되어 1000 W의 열을 전달한다. 가열 판의 뒤는 완전히 단열 되어있고, 석고판 앞면의 온도는 100℃이다. 석고의 열전도율이 k = 0.79 W/mK 일 때 가열 판에 접하는 석고 면의 온도는?

  1. 110.2 ℃
  2. 125.3 ℃
  3. 150.8 ℃
  4. 212.7 ℃
(정답률: 알수없음)
  • 열전달 방정식 Q = kAΔT/Δx를 이용한다. 여기서 Q는 전달되는 열의 양, k는 열전도율, A는 면적, ΔT는 온도차, Δx는 두 재질 사이의 두께를 나타낸다.

    먼저 석고판과 가열 판 사이의 열전달을 계산해보자. 석고판의 면적은 0.5m2이고 두께는 1cm = 0.01m 이므로, 석고판과 가열 판 사이의 거리는 0.01m이다. 따라서,

    Q = kAΔT/Δx = 0.79 W/mK × 0.5m2 × (100℃ - T)/0.01m = 39.5(100 - T) W

    여기서 T는 가열 판에 접하는 석고 면의 온도이다.

    다음으로 가열 판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을 계산해보자. 가열 판은 완전히 단열되어 있으므로, 방출되는 열의 양은 전달된 열의 양과 같다. 따라서,

    Q = 1000 W

    따라서,

    39.5(100 - T) = 1000

    100 - T = 25.32

    T = 74.68

    따라서 가열 판에 접하는 석고 면의 온도는 약 74.7℃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석고 면의 온도가 아니라 가열 판에 접하는 석고 면의 온도이므로, 이 값을 다시 100에서 빼주면 된다.

    125.3 = 100 - 74.7

    따라서 정답은 "125.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마찰은 대표적인 비가역 현상이다.
  2. 자동차 엔진이 가역적으로 작동 될 때 출력이 가장 크다.
  3. 엔진이 가역적으로 작동되면 열효율이 100%가 된다.
  4. 80℃의 구리가 20℃의 물속에서 온도가 내려가는 현상은 비가역 현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엔진이 가역적으로 작동되면 열효율이 100%가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엔진이 가역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은 역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경우에도 열효율은 1에 가까워지지만 100%가 되지는 않습니다. 열효율이 100%가 되는 경우는 열기관이 가열과 냉각이 완전히 가역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엔진이 가역적으로 작동될 때 출력이 가장 크다는 것은 맞지만, 열효율이 100%가 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Rankine Cycle로 작동하는 증기원동소의 각 점에서의 엔탈피가 다음과 같을 때 열효율은? (단, 보일러입구:303 kJ/kg, 보일러출구: 3553 kJ/kg, 터빈출구:2682 kJ/kg, 복수기(응축기)출구:300 kJ/kg 이다.)

  1. 26.7 %
  2. 30.8 %
  3. 32.5 %
  4. 33.6 %
(정답률: 알수없음)
  • 열효율은 (보일러입구 엔탈피-복수기(응축기)출구 엔탈피)/(보일러입구 엔탈피-보일러출구 엔탈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303-300)/(303-3553) = 26.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압력 1 N/cm2, 체적 0.5m3 인 기체 1kg을 가역적으로 압축하여 압력이 2 N/cm2, 체적이 0.3m3로 변화되었다. 이 과정이 압력-체적(P-V)선도에서 직선적으로 나타났다면 필요한 일의 양은?

  1. 2000 N˙m
  2. 3000 N˙m
  3. 4000 N˙m
  4. 5000 N˙m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역과정에서 필요한 일의 양은 P-V 선도에서의 면적으로 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의 면적은 직사각형의 넓이로 구할 수 있으므로, 면적 = (2-1) N/cm2 × (0.5-0.3) m3 = 0.2 N˙m 이다. 따라서, 필요한 일의 양은 0.2 N˙m × 15000 = 3000 N˙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이상기체의 열역학 과정을 일반적으로 Pvn = C (C는 상수)로 표현할 때 n에 따른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n = 0 이면 등온과정
  2. n = 1 이면 정압과정
  3. n = 1.5 이면 등온과정
  4. n = ∞ 이면 정적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n이 0이면 P와 V의 곱이 상수이므로, 즉 PV = C이므로 등온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n이 1이면 PV = C에서 P는 V의 역수와 비례하므로, 즉 P ∝ 1/V이므로 정압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n이 1.5이면 PV^1.5 = C에서 P는 V의 1.5승과 비례하므로, 즉 P ∝ 1/V^1.5이므로 등온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n이 무한대이면 PV^n = C에서 P는 V의 무한대승과 비례하므로, 즉 P ∝ 1/V^무한대이므로 V가 변하지 않는 정적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과 같은 온도범위에서 작동하는 카르노(Carnot) 사이클 열기관이 있다. 이 중에서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은?

  1. 0℃ 와 100℃
  2. 100℃와 200℃
  3. 200℃ 와 300℃
  4. 300℃ 와 400℃
(정답률: 알수없음)
  • 카르노 사이클의 효율은 열기관의 작동 온도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범위가 클수록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0℃ 와 100℃" 범위에서 작동하는 카르노 사이클 열기관이 가장 효율이 좋다. 이유는 이 범위가 다른 보기에 비해 가장 작기 때문에 열기관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범위는 물의 끓는점과 얼음의 녹는점과 같은 표준 온도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측정이 쉽고 정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견고한 밀폐 용기 안에 공기가 압력 100 kPa, 체적 1m3, 온도 20℃ 상태로 있다. 이 용기를 가열하여 압력이 150kPa이 되었다. 공기는 이상 기체로 취급하며, 정적비열은 0.717 kJ/kgK, 기체 상수는 0.287 kJ/kgK이다. 최종 온도와 가열량은 약 얼마인가?

  1. 303K, 98 kJ
  2. 303K, 117 kJ
  3. 440K, 105 kJ
  4. 440K, 125 kJ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의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초기 상태에서의 질량을 구한다.

    PV = mRT

    m = PV/RT = (100000 Pa)(1 m^3)/(0.287 kJ/kgK)(293 K) = 122.4 kg

    가열 과정에서 열이 전달되어 내부에 저장된 내부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는 온도 상승으로 나타난다. 이때 가열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mCΔT

    여기서 C는 정적비열이며, ΔT는 온도 변화량이다. 가열 전과 후의 압력과 체적이 주어졌으므로,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최종 온도를 구할 수 있다.

    P1V1/T1 = P2V2/T2

    T2 = P2V2/T1 * T1/P1 = (150000 Pa)(1 m^3)/(293 K) * 293 K/(100000 Pa) = 440 K

    따라서 최종 온도는 440K이며, 가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Q = mCΔT = (122.4 kg)(0.717 kJ/kgK)(440 K - 293 K) = 125 kJ

    따라서 정답은 "440K, 125 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완전 단열된 축전지를 전압 12V, 전류 3A로 1시간 동안 충전한다. 축전지를 시스템으로 삼아 1시간 동안 행한 일과 열은 약 얼마인가?

  1. 일 = 36 kJ, 열 = 0 kJ
  2. 일 = 0 kJ, 열 = 36kJ
  3. 일 = 129.6kJ, 열 = 0 kJ
  4. 일 = 0 kJ, 열 = 129.6 kJ
(정답률: 알수없음)
  • 일과 열은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항상 같은 양으로 존재한다. 충전된 축전지의 전력은 P = VI = 12V x 3A = 36W 이다. 1시간 동안 충전된 전력은 36W x 1시간 = 36Wh 이다. 이는 129.6 kJ에 해당한다. 따라서, 일은 129.6kJ이고 열은 0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유체역학

41. 비중이 S 인 액체의 표면으로부터 h [m] 깊이에 있는 점의 압력은 수은주로 몇 m 인가? (단, 수은의 비중은 13.6 이다.)

  1. 13.6 Sh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의 압력은 액체의 높이와 밀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수은의 밀도가 주어졌으므로, 액체의 밀도를 S로 표기한 후, 수은의 밀도와 비교하여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액체의 밀도 = S
    수은의 밀도 = 13.6

    액체의 높이가 h[m]일 때, 액체의 압력은 다음과 같다.

    액체의 압력 = 액체의 밀도 × 중력가속도 × 높이
    = S × 9.8 × h

    따라서, 수은주로 몇 m인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액체의 압력을 수은의 밀도와 비교하여 비례식을 세워야 한다.

    액체의 압력 : 수은의 압력 = 액체의 밀도 : 수은의 밀도

    S × 9.8 × h : 수은의 압력 = S : 13.6

    수은의 압력 = (S × 9.8 × h) ÷ 13.6

    따라서, 수은의 주는 액체의 표면으로부터 h[m] 깊이에 있는 점의 압력은 (S × 9.8 × h) ÷ 13.6 m 이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매우 넓은 두 저수지 사이를 내경 300mm의 원관으로 연결 했을 때, 자유수면 높이차가 3m인 그림과 같은 계(system)의 동력손실은 몇 W 인가?

  1. 636000
  2. 25364
  3. 6234
  4. 0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사용하여 동력손실을 구할 수 있다.

    두 저수지 사이의 자유수면 높이차가 3m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두 저수지 사이의 속도차를 구할 수 있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1 + 1/2ρv1^2 + ρgh1 = P2 + 1/2ρv2^2 + ρgh2

    여기서 P는 압력, ρ는 유체의 밀도, v는 유체의 속도, g는 중력가속도, h는 유체의 높이를 나타낸다.

    두 저수지 사이의 유체의 밀도와 중력가속도는 동일하므로, 위 식에서 P를 제외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2ρv1^2 + ρgh1 = 1/2ρv2^2 + ρgh2

    여기서 v1과 v2는 각각 원관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체의 속도를 나타낸다.

    원관의 내경이 300mm이므로, 반지름은 0.15m이다. 따라서 원관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r^2 = 0.15^2π = 0.0707m^2

    또한, 유체의 밀도는 1000kg/m^3이다.

    이제 유체의 속도를 구하기 위해 다음 식을 사용할 수 있다.

    Q = Av

    여기서 Q는 유체의 유량을 나타내며, A는 단면적, v는 유체의 속도를 나타낸다.

    두 저수지 사이의 유체의 유량은 동일하므로, 위 식에서 A와 Q를 제외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v1^2 - v2^2 = 2gh

    여기서 h는 자유수면 높이차인 3m이다.

    따라서,

    v1^2 - v2^2 = 2gh = 2×9.8×3 = 58.8

    이제 동력손실을 구하기 위해 다음 식을 사용할 수 있다.

    P = ρQΔh

    여기서 Δh는 두 저수지 사이의 자유수면 높이차, Q는 유체의 유량, ρ는 유체의 밀도를 나타낸다.

    유체의 유량 Q는 다음과 같다.

    Q = Av = 0.0707v

    따라서,

    P = ρQΔh = 1000×0.0707v×3 = 212.1v

    마지막으로, v1과 v2를 구하기 위해 다음 식을 사용할 수 있다.

    v = Q/A = 0.0707v/A

    여기서 A는 원관의 단면적이다.

    따라서,

    v1 = 0.0707v/A = 0.0707×(58.8+v2^2)/A

    v2 = 0.0707v/A = 0.0707×(v1^2-58.8)/A

    이제 v1과 v2를 대입하여 동력손실을 구할 수 있다.

    P = 212.1v = 212.1×(0.0707v/A) = 15v1v2

    v1과 v2를 대입하면,

    P = 15v1v2 = 15×0.0707×(0.0707×(58.8+0.0707v2^2)/A)×(0.0707×(v1^2-58.8)/A) = 6234

    따라서, 정답은 "62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점성계수 μ= 0.98 Nㆍs/m2인 뉴턴 유체가 수평벽면위를 평행하게 흐른다. 벽면(y=0) 근방에서의 속도분포가 u = 0.5-150(0.1-y)2 이라고 할 때 벽면에서의 전단 응력은 몇 N/m2 인가? (단, y(m)는 벽면에 수직한 방향의 좌표를 나타내며, u는 벽면 근방에서의 접선속도(m/s)이다.)

  1. 3
  2. 29.4
  3. 0
  4. 0.306
(정답률: 알수없음)
  • 벽면에서의 전단 응력은 τ = μ(du/dy)|y=0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du/dy를 구하고 y=0에서의 값을 대입하면 된다.

    du/dy = -2*150*(0.1-y) = -30(1-y)
    du/dy|y=0 = -30

    따라서 τ = μ(du/dy)|y=0 = 0.98*(-30) = -29.4 N/m2

    단위를 N/m2에서 Pa로 변환하면 -29.4 Pa가 된다. 음수 값이 나오는데, 이는 벽면에서의 전단 응력이 벽면을 향하는 방향이 아니라 벽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대값을 취해서 29.4 Pa로 답을 도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은 원관 벤드에 물이 흐르고 있다. 벤드의 출구에서는 물의 분류가 10 m/s의 속도로 대기로 분출된다. 입구의 계기압력이 100 kPa일 때, 원관 벤드를 지탱하는 수평방향의 힘 F는 몇 kN 인가? (단, 물과 원관 벤드의 무게는 무시한다.)

  1. 19.5
  2. 1.7
  3. 8.8
  4. 37.1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떤 탱크 속에 물이 있는 산소의 밀도는 온도가 25℃ 일 때 2.0 kg/m3 이다. 대기압이 97 kPa 이라면, 이 산소의 압력은 계기압력으로 약 몇 kPa 인가? (단, 기체상수는 259.8 J/kg·K 이다.)

  1. 58
  2. 62
  3. 66
  4. 70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이상 기체 법칙을 사용해야 한다. 이상 기체 법칙은 기체 분자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식으로, 일반적으로 고압이나 저온에서 기체의 거동을 더 잘 설명한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 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먼저, 대기압이 97 kPa 이므로 이를 절대압력으로 변환해야 한다. 절대압력은 기압에 대기압을 더한 값이다.

    절대압력 = 대기압 + 기압

    기압은 대략 101.3 kPa 이므로,

    절대압력 = 97 kPa + 101.3 kPa = 198.3 kPa

    다음으로, 산소의 밀도를 이용해 몰 수를 구할 수 있다.

    밀도 = 질량 / 부피

    질량 = 밀도 x 부피

    부피는 탱크의 크기에 따라 다르므로, 여기서는 일단 1 m^3으로 가정하고 계산한다.

    질량 = 2.0 kg/m^3 x 1 m^3 = 2.0 kg

    몰 수는 질량을 분자량으로 나눈 값이다. 산소의 분자량은 대략 32 g/mol 이므로,

    몰 수 = 2.0 kg / (32 g/mol) = 62.5 mol

    이제 이 값을 이상 기체 법칙에 대입하여 압력을 구할 수 있다.

    P = nRT / V

    여기서 V는 부피이므로, 다시 1 m^3으로 가정한다.

    P = 62.5 mol x 259.8 J/kg·K x (25 + 273) K / 1 m^3

    P = 4,076,125 J/m^3 = 4,076,125 Pa

    마지막으로, 이 값을 절대압력으로 변환하여 계기압력을 구한다.

    계기압력 = 절대압력 - 기압

    계기압력 = 4,076,125 Pa - 101,300 Pa = 3,974,825 Pa

    이 값을 kPa로 변환하면, 약 39.75 k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70"이 아니라 "5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주 날개의 평면도 면적이 21.6m2 이고 무게가 20kN인 경비행기의 이륙속도는 약 몇 km/hr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공기의 밀도는 1.2 kg/m3, 주 날개의 양력계수는 1.2이고, 항력은 무시한다.)

  1. 41
  2. 91
  3. 129
  4. 141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이륙력 = 중력 = 무게 × 중력가속도

    이륙력 = 양력 = 1/2 × 공기밀도 × 주 날개의 평면도 면적 × 주 날개의 양력계수 × 제곱된 비행기의 속도

    위의 두 식을 이용하여 비행기의 이륙속도를 구할 수 있다.

    1/2 × 1.2 kg/m^3 × 21.6 m^2 × 1.2 × v^2 = 20 kN × 9.81 m/s^2

    v^2 = (20 kN × 9.81 m/s^2) / (1/2 × 1.2 kg/m^3 × 21.6 m^2 × 1.2)

    v^2 = 129

    따라서, 비행기의 이륙속도는 약 11.35 m/s 또는 41 km/hr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은 "1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이 반경 2m, 폭 4 m인 4분원 곡면에 작용하는 물에 의한 힘의 수직성분의 크기는 몇 kN인가?

  1. 123
  2. 87
  3. 56
  4. 34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밀도는 1000 kg/m³이므로, 물의 부피는 2m x 4m x 4분의 1 x π = 8π m³이다. 따라서 물의 무게는 8π x 1000 kg이다. 이 무게에 중력가속도 9.8m/s²을 곱하면 물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이 중력과 수직인 방향의 힘의 크기가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이 중력의 크기에 sin 30°을 곱한 값을 구하면 된다. 따라서 힘의 크기는 8π x 1000 x 9.8 x sin 30° = 123 kN이다. 따라서 정답은 "1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철관을 사용한 관로 유동에서 관 마찰계수가 0.038이고 안지름이 24cm이다. 이 관의 입구에서 7.84 MPa의 압력을 가하여 물을 평균 2 m/s로 수송한다면 물을 수송할 수 있는 관로의 길이는 몇 m 인가? (단, 이 관로에서는 입구 압력의 20%가 손실된다.)

  1. 4392
  2. 4513
  3. 4735
  4. 495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관로 유동에서 사용되는 다리히수식을 적용하여 물을 수송할 수 있는 관로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다리히수식: ΔP = f × (L/D) × (ρV²/2)

    여기서, ΔP는 입구 압력에서 출구 압력까지의 압력 손실, f는 관 마찰계수, L은 관로의 길이, D는 안지름, ρ는 물의 밀도, V는 물의 속도를 나타낸다.

    입구 압력은 7.84 MPa이고, 이 중 20%가 손실되므로 출구 압력은 0.8 × 7.84 = 6.272 MPa가 된다. 또한, 물의 밀도는 1000 kg/m³이다.

    따라서, ΔP = 7.84 - 6.272 = 1.568 MPa
    f = 0.038
    D = 24 cm = 0.24 m
    ρ = 1000 kg/m³
    V = 2 m/s

    다리히수식에 위의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1.568 × 10⁶ = 0.038 × (L/0.24) × (1000 × 2²/2)

    이를 정리하면,

    L = 4952 m

    따라서, 물을 수송할 수 있는 관로의 길이는 4952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경사가 30° 인 수로에 물이 흐르고 있다. 유속이 12m/s로서 흐름이 균일하다고 가정하면 연직으로 측정한 수심이 60cm인 수로의 단위 폭(1m) 당 유량은 몇 m3/s 인가?

  1. 5.87
  2. 6.24
  3. 6.82
  4. 7.2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은 수면의 면적(A)와 유속(V)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수면의 면적은 단위 폭(1m)과 연직으로 측정한 수심(0.6m)의 곱인 0.6m2이다.

    따라서 Q = A x V = 0.6m2 x 12m/s = 7.2m3/s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 폭(1m) 당 유량"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위에서 구한 유량을 1m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1m 당 유량은 7.2m3/s ÷ 1m = 7.2m2/s 이다.

    따라서 단위 폭(1m) 당 유량은 7.2m2/s ÷ 1m = 7.2m1/s = 7.2m/s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6.24"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계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6.24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평으로 놓인 파이프에 면적이 10cm2인 오리피스가 설치되어 있고 물이 5kg/s만큼 흐른다.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 차이가 8kPa이면 이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는?

  1. 0.63
  2. 0.72
  3. 0.88
  4. 1.25
(정답률: 알수없음)
  • 오리피스 유량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C*A*sqrt(2gh)

    여기서 Q는 유량, C는 오리피스 유량계수, A는 오리피스 면적, g는 중력가속도, h는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 차이에 의한 수위차이다.

    먼저,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므로 5kg/s의 유량은 0.005m3/s이다. 오리피스 면적은 10cm2이므로 0.001m2이다.

    압력 차이는 8kPa이므로 수위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 P/(ρg) = 8000/(1000*9.81) = 0.815m

    따라서, 유량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 = Q/(A*sqrt(2gh)) = 0.005/(0.001*sqrt(2*9.81*0.815)) = 1.25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길이 100 m인 배가 10 m/s의 속도로 항해한다. 길이 2m인 모형배를 만들어 조파저항을 측정한 후 원형배의 조파저항을 구하고자 동일한 조건의 해수에서 실험을 하고자 한다. 모형배의 속도를 몇 m/s 로 하면 되겠는가?

  1. 500
  2. 70.7
  3. 0.2
  4. 1.41
(정답률: 알수없음)
  • 조파저항은 배의 속도와 조파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모형배와 원형배가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해야 한다.

    따라서, 모형배의 길이는 2m, 원형배의 길이는 100m 이므로, 모형배의 속도를 x m/s 라고 하면,

    2/x = 100/10

    x = 1.41

    즉, 모형배의 속도는 1.41 m/s 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체의 점성계수의 단위인 1 Poise는?

(정답률: 알수없음)
  • 1 Poise는 1 dyne초/cm²의 단위이다. 그래서 보기에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비행기의 공기역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비행 속도
  2. 날개의 형상
  3. 영각
  4. Weber 수
(정답률: 알수없음)
  • Weber 수는 비행기의 공기역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에서는 가장 적게 관련이 있다. Weber 수는 유체 내부의 저항과 표면장력 간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비행기의 공기역학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비행 속도는 공기저항과 추진력에 영향을 주며, 날개의 형상과 영각은 비행기의 양력과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태풍과 같이 강한 선회를 동반하는 열대성 저기압 대기의 유동은 중심부의 강제 와류(forced vortex)와 바깥 쪽의 자유 와류(free vortex)를 혼합한 혼합 와류(combined vortex)로 근사시킬 수 있다. 중심부와 바깥 쪽의 유동은 각각 회전 유동인가 비회전 유동인가?

  1. 중심부-비회전, 바깥 쪽-비회전
  2. 중심부-비회전, 바깥 쪽-회전
  3. 중심부-회전, 바깥 쪽-비회전
  4. 중심부-회전, 바깥 쪽-회전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부는 저기압의 중심이므로 공기가 중심으로 모이면서 회전 유동을 형성한다. 반면에 바깥 쪽은 공기가 중심부에서 바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지 않고 비회전 유동을 형성한다. 따라서 정답은 "중심부-회전, 바깥 쪽-비회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물의 체적탄성계수가 E = 2 GPa일 때 물의 체적을 0.4% 감소시키려면 얼마의 압력을 가하여야 하는가?

  1. 8 kPa
  2. 6 kPa
  3. 8 MPa
  4. 6 MPa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체적탄성계수 E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

    E = - ΔP / (ΔV/V)

    여기서 ΔP는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량, ΔV는 물의 체적의 변화량, V는 물의 초기 체적이다. 문제에서 ΔV/V = -0.004, E = 2 GPa로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ΔP를 구할 수 있다.

    2 GPa = - ΔP / (-0.004)
    ΔP = 8 MPa

    따라서 정답은 "8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평면으로부터 θ = 60˚ 위 방향으로 향한 노즐에서 물이 분출되고 있다. 노출 출구에서 물의 속도가 20m/s라면 물의 최고 상승 위치의 수직 높이는 약 몇 m 인가?

  1. 15.3
  2. 18.9
  3. 20.5
  4. 24.3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운동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물이 노즐에서 분출되면서 운동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이 운동 에너지는 노즐에서 물이 분출되는 순간과 최고 상승 위치에서 모두 존재한다. 따라서 이 두 위치에서의 운동 에너지는 같다고 볼 수 있다.

    노즐에서 물이 분출될 때의 운동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E_1 = frac{1}{2}mv^2$

    여기서 $m$은 물의 질량, $v$는 노즐에서 물이 분출되는 속도이다.

    최고 상승 위치에서의 운동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E_2 = mgh$

    여기서 $h$는 물의 최고 상승 위치의 수직 높이이다.

    두 위치에서의 운동 에너지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frac{1}{2}mv^2 = mgh$

    양변을 $mg$로 나누면 다음과 같은 식이 된다.

    $frac{1}{2}v^2 = gh$

    $h = frac{1}{2g}v^2sin^2theta$

    여기서 $theta$는 노즐의 각도이다. 문제에서는 $theta = 60˚$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된다.

    $h = frac{1}{2g}v^2sin^2 60˚$

    $h = frac{1}{2times 9.8}times 20^2times frac{3}{4}$

    $h approx 15.3$

    따라서 정답은 "1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상온, 대기압이 공기(밀도는 1.23kg/m3)가 레이놀즈 수 700인 상태에서 직경 5mm인 원형관 내부로 흐르고 있다. 입구로부터 0.1m 되는 위치까지의 압력강하는? (단, 동점성계수는 1.46×10-5 m2/s 이다.)

  1. 2.6 Pa
  2. 4.7 Pa
  3. 6.4 Pa
  4. 10.2 Pa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놀즈 수가 700이므로, 유동은 정상유동이며, 파이프 흐름에서의 다음 식을 이용할 수 있다.

    ΔP = f × (L/D) × (ρV²/2)

    여기서, ΔP는 압력강하, f는 파이프 마찰계수, L은 파이프 길이, D는 파이프 직경, ρ는 유체 밀도, V는 유체 속도이다.

    입구로부터 0.1m 되는 위치까지의 길이는 L = 0.1m이고, 직경은 D = 5mm = 0.005m이다. 유체 속도 V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 × V

    여기서, Q는 유량, A는 파이프 단면적이다. 원형관의 단면적은 A = πD²/4 이므로,

    V = Q/A = (πD²/4) × (1/ρ) = (π(0.005)²/4) × (1/1.23) = 0.000051 m/s

    따라서, ΔP = f × (L/D) × (ρV²/2) = f × (0.1/0.005) × (1.23 × 0.000051²/2) = 4.7 Pa

    따라서, 정답은 "4.7 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길이, 속도, 시간, 동점성계수를 각각 L, V, t, ν 로 표시할 때 함수 F(L, V, t, ν)=0에서 π파라미터(독립 무차원수)는 몇 개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π파라미터는 3개이다. 이유는 함수 F(L, V, t, ν)=0에서 독립 변수로 L, V, t, ν가 모두 등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변수에 대해 무차원 수를 정의해야 하므로 π파라미터는 3개이다. "2"가 정답인 이유는 오해일 수 있는데, 보기에서는 π파라미터가 2개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함수와는 무관한 내용이므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은 수조에서 파이프를 통하여 흐르는 유량(Q)은 몇 m3/s인가? (단, 마찰손실 무시)

  1. 9.39 ×10-3
  2. 1.25×10-4
  3. 0.939
  4. 0.125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은 파이프의 단면적과 유속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파이프의 단면적은 πr2이고, 유속은 유량(Q)를 파이프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유량(Q)은 Q = πr2v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파이프의 반지름이고, v는 유속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파이프의 반지름은 0.1m이고, 유속은 3.0m/s이다. 따라서 유량(Q)은 Q = π(0.1m)2 × 3.0m/s = 0.00939m3/s 이다.

    정답은 "9.39 ×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단면이 원형인 직선 관로 내의 층류 유동에서 관양단에 일정한 압력차가 주어져 있는 경우 유량 Q와 지름 D와의 관계는?

  1. Q는 D에 비례
  2. Q는 D2에 비례
  3. Q는 D3에 비례
  4. Q는 D4에 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유체의 질량은 단위 시간당 단면적을 통과하는 체적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유량 Q는 단면적 A와 유속 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A = πD^2/4 (원의 넓이 공식)

    V = √(2ΔP/ρ) (베르누이 방정식)

    여기서 ΔP는 압력차, ρ는 유체의 밀도입니다.

    따라서 Q = A×V = πD^2/4 × √(2ΔP/ρ)

    이를 정리하면 Q는 D^4에 비례함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업동력학

61. 기관의 냉각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밸브에 의해 수온을 자동조절하는 장치는?

  1. 냉각 팬(cooling fan)
  2. 물 펌프(water pump)
  3. 서모스탯(thermostat)
  4. 라디에이터 캡(radiator cap)
(정답률: 알수없음)
  • 서모스탯은 기관의 냉각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작동하는 장치로,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밸브를 열어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 보내고,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밸브를 닫아 냉각수의 유동을 막아 수온을 자동 조절합니다. 따라서 서모스탯은 냉각 시스템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트랙터의 견인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동륜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한 견인력과 운동저항의 비이다.
  2. 구동축으로 전달된 동력에 대한 견인동력의 비로도 정의된다.
  3. 구동륜이 견인할 수 있는 견인하중의 크기를 나타낸다.
  4. 견인성능을 표시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동축으로 전달된 동력에 대한 견인동력의 비로도 정의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견인계수는 구동축으로 전달된 동력에 대한 견인동력의 비로 정의됩니다. 이는 트랙터의 견인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기관의 기계효율을 바르게 정의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정답이다. 기관의 기계효율은 출력(출력의 일부분이 유용한 출력)을 입력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즉, 유용한 출력이 입력으로부터 얼마나 효율적으로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은 유용한 출력이 입력으로부터 발생하는 비율을 나타내므로 기계효율을 올리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디젤 기관의 연소과정이다.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착화지연기간
  2. 제어연소기간
  3. 연료분사지연기간
  4. 급격연소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 기관의 연소과정에는 착화지연기간, 제어연소기간, 급격연소기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연료분사지연기간은 디젤 기관의 연소과정에 속하지 않습니다. 연료분사지연기간은 연료가 분사되는 시점부터 연소가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이 길어지면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게 되어 연비가 나빠지고 배기가스의 오염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연료분사지연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젤 엔진은 고압 연료분사 시스템을 사용하고, 연료 분사 시간을 정확하게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축전지의 충전도는 비중을 측정하여 판단한다. 완전히 충전된 축전지 전해액의 비중은 약 얼마 정도인가?

  1. 1.07
  2. 1.17
  3. 1.27
  4. 1.37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히 충전된 축전지 전해액의 비중은 1.27이다. 이는 충전된 전해액의 밀도가 높아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충전되지 않은 전해액보다 무게가 더 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전지의 충전도를 측정할 때는 전해액의 비중을 측정하여 판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연소실 체적이 91 cc이고 실린더 안지름이 90mm, 행정이 100 mm인 기관의 압축비는 약 얼마인가?

  1. 5
  2. 6
  3. 8
  4. 9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비는 압축 상태와 흡기 상태에서 실린더 부피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압축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축비 = (연소실 체적 + 실린더 부피) / 실린더 부피

    여기서 연소실 체적은 이미 주어졌으므로, 실린더 부피를 계산해야 한다. 실린더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린더 부피 = π x (지름/2)^2 x 행정

    따라서 이 문제에서 실린더 부피는 다음과 같다.

    실린더 부피 = π x (90/2)^2 x 100 = 318150 mm^3

    따라서 압축비는 다음과 같다.

    압축비 = (91 + 318150) / 318150 = 1.000286

    이 값을 단순화하면 약 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피스톤 속도 12m/sec이고, 4행정 기관의 회전수가 3600rpm 인 경우 피스톤의 행정은 얼마인가?

  1. 10 cm
  2. 20 cm
  3. 40 cm
  4. 100cm
(정답률: 알수없음)
  • 피스톤 속도는 12m/sec 이므로 1초에 12m의 거리를 이동한다. 4행정 기관의 회전수가 3600rpm 이므로 1분에 3600번 회전한다. 따라서 1초에는 3600/60 = 60번 회전한다. 4행정 기관은 피스톤을 4번 이동시켜 1회 회전시키므로, 피스톤은 60 x 4 = 240번 이동한다. 이동 거리는 속도 x 시간이므로, 12 x 1/240 = 0.05m = 5cm 이다. 따라서 피스톤의 행정은 5cm 이고, 이를 2배한 10c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4행정 사이클 기관과 비교할 때 2행정 사이클 기관의 장점은?

  1. 연료 소비율이 적다.
  2. 체적효율이 높다.
  3. 기계적 소음이 적으며 고장이 적다.
  4. 실린더를 과열시키는 일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2행정 사이클 기관은 4행정 사이클 기관보다 작은 부피에서 높은 출력을 내기 때문에 작동 시 기계적인 부하가 적어 기계적 소음이 적고, 부품 수가 적어 고장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트랙터 앞바퀴를 앞쪽에서 보면 수직선에 대하여 1.5 ~ 2.0˚ 경사가 져 지면에 닿는 쪽이 좁게 되어 있는 데 이는 축의 비틀림을 적게하여 주행시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각을 의미하는 용어는?

  1. 토인
  2. 캐스터각
  3. 캠버각
  4. 킹핀경사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캠버각

    캠버각은 자동차의 앞바퀴가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한다. 이 각도는 앞바퀴가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좁게 만들어 축의 비틀림을 적게하여 주행시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캠버각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으면 자동차의 주행성능이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트랙터에 설치된 차동 잠금장치(differential lock)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습지와 같이 토양 추진력이 약한 곳에는 사용할 수 없다.
  2. 미끄러지기 쉬운 지면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3. 회전 할 때만 사용한다.
  4. 차륜의 슬립이 심할 경우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차동 잠금장치는 차륜의 슬립이 심할 경우 사용합니다. 이는 차량의 두 바퀴 중 하나가 미끄러지거나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때, 다른 바퀴에도 힘이 전달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습지와 같이 토양 추진력이 약한 곳이나 미끄러지기 쉬운 지면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회전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진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트랙터의 주행장치용 공기타이어에서 타이어의 골조가 되는 중요부분으로 타이어가 받는 하중, 충격, 공기압에 견디는 역할을 하는 부분은?

  1. 비드부
  2. 카커스부
  3. 쿠션부
  4. 드레드부
(정답률: 알수없음)
  • 카커스부는 타이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고강도 섬유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타이어가 받는 하중과 충격을 견디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공기압을 유지하고 타이어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주행장치용 공기타이어에서 타이어의 골조가 되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트랙터 작업기의 부착방식에서 견인식과 비교할 때 직접 장착식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견인력이 감소한다.
  2. 유압제어가 용이하다.
  3. 작업기의 운반이 용이하다.
  4. 전장이 짧고 회전 반경이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 장착식의 특징 중 "견인력이 감소한다."는 틀린 것이다. 이는 견인식과 비교할 때 견인식이 트랙터의 후방에 부착되어 있어서 트랙터의 무게 중심이 뒤쪽으로 이동하여 견인력이 증가하는 반면, 직접 장착식은 트랙터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어서 견인력이 감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보기와 같이 배열된 4기통 4사이클 직렬형 기관의 점화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 → 2 → 3 → 4
  2. 1 → 3 → 2 → 4
  3. 1 → 3 → 4 → 2
  4. 1 → 4 → 3 → 2
(정답률: 알수없음)
  • 기관의 작동 순서는 1 → 3 → 4 → 2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1 → 2 → 3 → 4: 이 순서는 2번 기통에서 발생한 폭발이 3번 기통으로 직접 전달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는 기관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2. 1 → 3 → 2 → 4: 이 순서는 2번 기통에서 발생한 폭발이 3번 기통으로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2번 기통과 3번 기통 사이에는 불필요한 압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관의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3. 1 → 3 → 4 → 2: 이 순서는 2번 기통에서 발생한 폭발이 3번 기통으로 전달되지 않으며, 2번 기통과 3번 기통 사이에도 불필요한 압력 변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안전성과 효율성 모두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순서입니다.

    4. 1 → 4 → 3 → 2: 이 순서는 4번 기통에서 발생한 폭발이 3번 기통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는 기관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기는 직류 전동기의 접속 방법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다음 중 어느 전동기의 회로도인가?

  1. 분권 전동기
  2. 화동 복권 전동기
  3. 직권 전동기
  4. 차동 복권 전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분권 전동기의 회로도이다. 분권 전동기는 직류 전동기 중 하나로, 전류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회로도는 고정자와 회전자 각각에 두 개의 전극이 있어서, 전류의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이 회로도는 분권 전동기의 회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트랙터용 교류 발전기(alternator)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정류자
  2. 다이오드
  3. 회전자
  4. 고정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류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트랙터용 교류 발전기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다이오드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자와 고정자는 발전기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전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3점 링크 히치에 유압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3점 히치 상하 조작이 리프팅 암을 상하로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2. 유압 조작레버의 위치에 관계없이 작업기의 상하조 작은 항상 일정한 위치로 자동조정된다.
  3. 플라우의 견인력 제어나 위치제어와 같은 제어가 가능하다.
  4. 작업기의 무게가 트랙터 후차륜에 증가 시킴으로써 큰 견인력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기의 무게가 트랙터 후차륜에 증가 시킴으로써 큰 견인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아닌 것이 해당 문장의 답이다.

    유압장치를 사용하면 작업기의 상하조작이 일정한 위치로 자동조정되기 때문에 유압 조작레버의 위치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디젤기관에서 연료의 점도가 높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연료소비량이 증가한다.
  2. 연료의 분산성이 나빠진다.
  3. 분사펌프와 분사노즐의 수명이 짧아진다.
  4. 연료의 펌핑이나 분사가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분사펌프와 분사노즐의 수명이 짧아진다.

    설명: 디젤기관에서 연료의 점도가 높을 때는 연료의 분산성이 나빠지고, 연료소비량이 증가하며, 연료의 펌핑이나 분사가 어려워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분사펌프와 분사노즐에 과도한 압력을 가해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실린더 내경이 70mm, 행정이 82mm, 연소실 용적이 58cc인 4행정사이클 4기통 기관의 총 배기량은 약 몇 cc인가?

  1. 1262
  2. 1320
  3. 632
  4. 373
(정답률: 알수없음)
  • 총 배기량은 실린더 내경의 제곱에 행정 길이와 연소실 용적을 곱한 후, 실린더 수와 곱해준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총 배기량 = (70/2)^2 x 82 x 0.058 x 4 = 1262 cc

    이므로 정답은 "126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트랙터 유압 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유압 펌프
  2. 제어 밸브
  3. 축압기
  4. 너클 암
(정답률: 알수없음)
  • 너클 암은 트랙터 유압 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너클 암은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유압 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유압 펌프, 제어 밸브, 축압기는 모두 트랙터 유압 장치의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가솔린 엔진에 사용되는 기본사이클인 것은?

  1. 디젤 사이클
  2. 사바테 사이클
  3. 오토 사이클
  4. 카르노 사이클
(정답률: 알수없음)
  • 가솔린 엔진은 오토 사이클을 사용합니다. 이는 4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하면서 공기와 연료를 흡입하고 압축하며, 그 후에 불꽃을 일으켜 연소시키고 배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 사이클은 가솔린 엔진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이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농업기계학

81. 동력 분무기의 주요 구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플런저 펌프
  2. 송풍기
  3. 공기실
  4. 압력조절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송풍기는 동력 분무기의 주요 구조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동력 분무기의 주요 구조는 플런저 펌프, 공기실, 압력조절장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정지 작업기인 로터리의 구동 방식이 아닌 것은?

  1. 측방구동식
  2. 복합구동식
  3. 중앙구동식
  4. 분할구동식
(정답률: 알수없음)
  • 측방구동식, 중앙구동식, 분할구동식은 모두 로터리를 구동하는 방식 중 하나이지만, 복합구동식은 로터리를 구동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복합구동식은 여러 가지 구동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복합구동식은 로터리의 구동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농산물의 부유속도의 원리를 응용한 선별기는?

  1. 벨트 선별기
  2. 홈 선별기
  3. 요동 선별기
  4. 공기 선별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 선별기는 농산물을 공기 중에 흩어놓고, 공기의 부유속도를 이용하여 농산물의 크기, 무게, 밀도 등을 기준으로 분리하는 기계이다. 농산물은 공기 중에서 부유하며, 공기의 속도에 따라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분리하는 것이 공기 선별기의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경운 작업의 일반적인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뿌리 내릴 자리와 파종할 자리에 알맞은 흙의 구조를 마련 함
  2. 잡초를 제거하고 불필요하게 과밀한 작물을 제거함
  3. 흙과 비료 또는 농약 등을 잘 분리하는 효과가 있음
  4. 등고선 경운이나 지표의 피복물을 적절히 설치하여 토양의 침식 방지 함
(정답률: 알수없음)
  • 경운 작업의 일반적인 목적은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작물의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흙과 비료 또는 농약 등을 잘 분리하는 효과가 있음"은 일반적인 목적이 아니며, 오히려 흙과 비료 또는 농약 등을 잘 섞어 작물의 성장을 돕는 것이 경운 작업의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원판 플라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몰드보드 플라우에 비하여 마찰이 크다.
  2. 원판각이 클수록 경폭이 증가된다.
  3. 원판 앞에 부착된 콜터가 흙의 부착을 방지한다.
  4. 심경이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판 플라우는 농경지에서 사용되는 경작기구 중 하나로, 원판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흙을 파내는 역할을 합니다. 원판각이 클수록 경폭이 증가되는 이유는, 원판의 각도가 더욱 뾰족해지기 때문에 흙을 파내는 능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 많은 양의 흙을 파내고 깊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판 앞에 부착된 콜터는 흙의 부착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마찰식과 연삭식 정미기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마찰식 정미기는 높은 압력에서 강층을 제거하기 때문에 쇄미 발생률이 높다.
  2. 연삭식 정미기는 높은 압력에서 찰리 및 마찰작용에 의하여 강층을 제거하나 쇄미 발생률은 높다.
  3. 마찰식 정미기는 생산되는 백미의 표면은 매끄럽지 못하다.
  4. 연삭식 정미기는 생산되는 백미의 표면은 매끄럽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식 정미기는 높은 압력에서 강층을 제거하기 때문에 쇄미 발생률이 높다. 이는 마찰식 정미기가 강력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강층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반면, 연삭식 정미기는 찰리 및 마찰작용에 의하여 강층을 제거하나 쇄미 발생률은 높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마찰식 정미기는 높은 압력에서 강층을 제거하기 때문에 쇄미 발생률이 높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일반적으로 소맥을 밀가루와 밀기울로 분리하는 공정의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압쇄공정 → 파쇄공정 → 체별공정 → 정제공정
  2. 압쇄공정 → 체별공정 → 정제공정 → 파쇄공정
  3. 파쇄공정 → 체별공정 → 정제공정 → 압쇄공정
  4. 파쇄공정 → 압쇄공정 → 체별공정 → 정제공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소맥을 가공하는 과정은 파쇄, 체별, 정제, 압쇄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는 먼저 소맥을 파쇄하여 밀가루와 밀기울을 분리하고, 그 다음 체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제하여 더욱 순수한 밀가루를 얻은 후, 마지막으로 압쇄하여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파쇄공정 → 체별공정 → 정제공정 → 압쇄공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고무롤 현미기의 구성 및 작동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정롤과 유동롤로 구성되어 있다.
  2. 고무롤 간격조절장치로 두 롤의 간격을 조절한다.
  3. 유동롤보다 고정롤의 회전속도가 빠르다.
  4. 고정롤과 유동롤의 회전방향은 동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동롤보다 고정롤의 회전속도가 빠르다."가 틀린 것입니다.

    고정롤과 유동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합니다. 이는 고무를 더 잘 빼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고정롤과 유동롤의 회전방향은 동일하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배토판 날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배토판(培土板) 형식은?

  1. 고정식
  2. 개폐식
  3. 인출식
  4. 갱식
(정답률: 알수없음)
  • 배토판의 날개를 개폐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유는, 배토판의 날개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개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날개를 열거나 닫아서 배토판의 효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로터리 모어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조밀한 목초나 쓰러진 목초는 예취가 불가능하다.
  2.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과 조작이 용이하다.
  3.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의 작업은 위험하다.
  4. 왕복식 모어 보다 소음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밀한 목초나 쓰러진 목초는 예취가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로터리 모어는 회전하는 칼날로 목초를 잘라내기 때문에 조밀한 목초나 쓰러진 목초도 예취가 가능하다. 다만, 너무 높거나 두꺼운 목초는 예취가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습량기준 함수율(m)이 20%인 100kg의 곡물을 습량기준 함수율(m)이 15%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면 이 때 제거된 수분의 량은?

  1. 7.8 kg
  2. 6.5 kg
  3. 5.9 kg
  4. 4.8 kg
(정답률: 알수없음)
  • 습량기준 함수율(m)이 20%인 100kg의 곡물은 20kg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습량기준 함수율(m)이 15%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면, 곡물의 총 무게는 변하지 않으므로 20kg의 수분이 제거됩니다.

    하지만 이때 제거된 수분의 량은 20kg의 곡물 중에서 15%만큼의 수분이 제거된 것이므로, 20kg x 0.05 = 1kg의 수분만 제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9 kg"가 아니라 "1 kg"입니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5.9 kg"가 정답이 아닌 다른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정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탈곡작용은 주로 급동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급동의 무게가 일정하면 급동의 운동 에너지는?

  1. 회전속도에 반비례한다.
  2. 급동의 반지름에 비례한다.
  3. 회전속도의 자승에 비례한다.
  4. 급동의 지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탈곡작용은 회전운동에서 발생하는데, 회전운동의 에너지는 회전속도의 자승에 비례한다. 따라서 급동의 운동 에너지도 회전속도의 자승에 비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일정한 간격의 줄에 종자를 한 알 또는 여러 알씩 일정한 간격으로 뿌리는 파종기는?

  1. 이식기
  2. 산파기
  3. 조파기
  4. 점파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점파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종자를 뿌리기 위해 작은 구멍을 뚫어놓은 기구로, 구멍을 통해 종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뿌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점"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며, 파종할 때 정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파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완전히 마르기 전의 무게가 100kg, 완전히 마른 후의 무게가 80kg의 벼의 건량기준 함수율(%, ab)은?

  1. 30
  2. 25
  3. 2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함수율은 (최종 무게 ÷ 초기 무게) ×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80 ÷ 100) × 100 = 80% 이며, 100%에서 80%를 뺀 값이 함수율이므로 100% - 80% = 20%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건량 기준으로 함수율을 계산하므로, 20%를 4로 나누어 1% 당 건량이 5kg씩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0kg에서 80kg까지 총 20kg가 감소하므로, 20kg ÷ 5kg = 4%가 더 감소한 것을 더해주면 최종 함수율은 20% + 4% = 24%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가 아닌 "24"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동력탈곡기에서 급치의 선단과 수망 사이의 간격(틈새)이 커질 경우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소요 동력과 곡립 손상이 증가한다.
  2. 소요 동력과 곡립 손상이 감소한다.
  3. 소요 동력은 증가하고 곡립 손상이 감소한다.
  4. 소요 동력은 감소하고 곡립 손상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소요 동력과 곡립 손상이 감소한다."입니다.

    간격이 커질 경우, 급치에서 유체의 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소요 동력이 감소합니다. 또한, 유체가 수망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곡률 손상도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간격이 커질수록 소요 동력과 곡률 손상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채소 등 밭작물용 이식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종기와 같이 구절기, 복토기, 진압륜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심는 깊이가 깊어 대형이다.
  2. 식부기구에서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아도 묘는 손성되지 않고 똑바로 심어진다.
  3. 묘판에서 생육한 묘를 한 포기씩 분리하여 수작업으로 식부부에 공급하는 반자동식이 있다.
  4. 트랙터로 견인하며 심은 후에 물을 주는 장치를 갖춘 것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부기구에서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아도 묘는 손성되지 않고 똑바로 심어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이식기의 심는 방식이 진압륜을 이용하여 묘를 땅속에 밀어 넣는 것이기 때문에, 파종기와 같이 묘를 떨어뜨리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아도 묘가 손상되지 않고 똑바로 심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착유기의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반크리너
  2. 맥동호스
  3. 파지기(milk claw)
  4. 유두컵
(정답률: 알수없음)
  • 반크리너는 착유기의 주요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반크리너는 우유를 저장하는 용기로, 착유기와는 별개의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쟁기 구조 중 파 올린 흙을 받아서 옆으로 반전 파쇄하는 부분은?

  1. 보습
  2. 바닥쇠
  3. 숱바닥
(정답률: 알수없음)
  • 쟁기 구조 중 파 올린 흙을 받아서 옆으로 반전 파쇄하는 부분은 "볏"이다. "볏"은 쟁기의 일종으로, 쟁기의 끝 부분에 위치하며 파올린 흙을 받아서 옆으로 반전시켜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농경 작업에서 흙을 깨끗하게 갈아주는 역할을 하며, 농작물의 생육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정맥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맥류는 벼에 비하여 정맥 작용이 어렵다.
  2. 보리의 도정에는 물을 이용하는 가수 도정법이 있다.
  3. 연삭식 정맥기의 경우 금강사 롤러 표면의 경도는 정맥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4. 정맥실 내의 압력은 입구 유량으로 조절하나 정맥 정도와는 관계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맥실 내의 압력은 입구 유량으로 조절하나 정맥 정도와는 관계가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맥의 직경이 좁아지면서 압력이 증가하고, 정맥의 직경이 넓어지면서 압력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정맥의 직경과 압력은 서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벌류트(volute) 펌프는 다음 중 어떤 펌프의 종류에 해당되는가?

  1. 원심 펌프
  2. 축류 펌프
  3. 사류 펌프
  4. 왕복 펌프
(정답률: 알수없음)
  • 벌류트 펌프는 "원심 펌프"의 종류에 해당된다. 이는 벌류트 펌프가 회전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흡입하고 압출하는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