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도시가스가 공급되는 지역에서 굴착공사를 하기전에 도로 부분의 지하에 가스배관의 매설여부는 누구에게 조회하여야 하는가?

  1. 시장
  2. 도지사
  3. 해당 도시가스 사업자
  4. 경찰서장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배관은 해당 도시가스 사업자가 설치하고 유지보수하기 때문에 굴착공사를 하기 전에 가스배관의 매설여부를 조회할 때에도 해당 도시가스 사업자에게 문의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스배관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스배관의 위치 표시용으로 설치하는 표시깃발의 색상으로 적합한 것은?

  1. 깃발글씨 : 적색, 깃발색 : 백색
  2. 깃발글씨 : 흑색, 깃발색 : 백색
  3. 깃발글씨 : 적색, 깃발색 : 황색
  4. 깃발글씨 : 황색, 깃발색 : 적색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는 화재와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스배관의 위치를 표시하는 깃발은 적색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또한, 황색은 위험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가스의 위험성을 강조하기 위해 깃발색으로 황색을 선택합니다. 따라서, "깃발글씨 : 적색, 깃발색 : 황색"이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력케이블이 매설돼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표지 시트는 차도에서 지표면 아래 몇 ㎝ 깊이에 설치되어 있는가?

  1. 30
  2. 10
  3. 5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케이블이 매설된 깊이는 보통 50cm ~ 100cm 정도이며, 이에 따라 전력케이블이 매설돼 있음을 표시하는 표지 시트도 같은 깊이에 설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 또는 "100"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지방에서는 차도와 인도 사이의 지표면 깊이가 30cm 정도인 경우가 있어, 이 경우에는 표지 시트도 30cm 깊이에 설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무로 피복된 코드를 여러겹 겹친 층에 해당되며, 타이 어에서 타이어 골격을 이루는 부분은?

  1. 숄더(shoulder)부
  2. 비드(bead)부
  3. 카커스(carcass)부
  4. 트레드(tread)부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어의 카커스 부분은 고무로 피복된 코드를 여러 겹 겹친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부분은 타이어의 구조적인 강도와 유연성을 제공하며, 타이어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은 카커스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토크 변환기에서 오일의 과다한 압력을 방지하는 밸브는 ?

  1. 압력조정밸브
  2. 매뉴얼 밸브
  3. 스로틀밸브
  4. 첵크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조정밸브는 오일의 과다한 압력을 제어하여 토크 변환기 내부의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는 압력조정밸브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오일이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고, 압력이 낮아지면 다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열림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조정밸브가 토크 변환기 내부의 오일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반적으로 굴삭기가 할 수 없는 작업은?

  1. 경사면 굴토
  2. 리핑 작업
  3. 차량토사 적재
  4. 땅고르기 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굴삭기는 일반적으로 지면을 파내거나 굴착하는 작업에 사용되는데, 리핑 작업은 굴삭기로는 할 수 없는 작업입니다. 리핑 작업은 땅속에 깊이 파인 뿌리나 돌을 제거하기 위해 특수한 장비인 리퍼를 사용하는 작업으로, 굴삭기로는 파내기 어려운 깊은 뿌리나 돌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핑 작업은 굴삭기로는 할 수 없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굴삭 작업시 작업 능력이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1. 탱크 용량 부족
  2. 오일의 냉각
  3. 채터링 현상
  4. 릴리프 밸브 조정 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릴리프 밸브는 굴삭기 내부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 조정이 불량하면 굴삭기 내부의 압력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아 작업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핸들이 흔들리는 이유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타이어의 공기압 과다
  2. 앞바퀴 얼라이먼트의 틀림
  3. 웜과 섹터의 백래시 과소
  4. 킹핀의 마멸
(정답률: 알수없음)
  • 웜과 섹터의 백래시 과소는 핸들이 흔들리는 이유로 적당하지 못한 것입니다. 이는 핸들과 바퀴를 연결하는 웜과 섹터의 백래시가 너무 작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로 인해 핸들이 흔들리고 조향이 정확하지 않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게차에서 자동차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많은 하중을 받기 때문이다.
  2. 롤링이 생기면 적하물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3. 앞차축이 구동축이기 때문이다.
  4. 현가장치가 있으면 조향이 어렵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게차는 적하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데,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롤링이 생기면 적하물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즉, 스프링이 없으면 지게차가 움직이는 동안 적하물이 흔들리고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게차로 가파른 경사지에서 적재물을 운반할 때에는 어떤 방법이 좋겠는가 ?

  1. 적재물을 앞으로 하여 천천히 내려온다.
  2. 기어의 변속을 중립에 놓고 내려온다.
  3. 지그재그로 회전하여 내려온다.
  4. 기어의 변속을 저속상태로 놓고 후진으로 내려 온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파른 경사지에서 적재물을 앞으로 하여 내려오면, 차체의 중심이 앞쪽으로 치우쳐져서 전방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중립에 놓고 내려오면 차체가 미끄러워서 제어하기 어렵고, 지그재그로 회전하여 내려오면 차체가 불안정해져서 위험합니다. 따라서, 기어의 변속을 저속상태로 놓고 후진으로 내려오면 차체의 중심이 뒤쪽으로 치우쳐져서 안정적으로 내려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중기에서 붐을 교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

  1. 붐 교환대를 이용한다.
  2. 트레일러를 이용한다.
  3. 굴삭기를 이용한다.
  4. 기중기를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중기는 붐 교환대, 트레일러, 굴삭기와 달리 붐을 직접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또한 기중기는 다양한 작업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중 송전선로의 가공 송전선로에 대한 장점이 아닌것은?

  1. 지역 환경과의 조화를 이룰수 있다.
  2. 사고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3. 시설 보안상 유리하다.
  4. 인축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 송전선로는 지중에 설치되어 지역 환경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고, 시설 보안상 유리하며, 인축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 발생 시 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지중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견과 접근이 어렵고, 복구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연소실에서 윤활유가 연소할 때 가장 가까운 배기가스 색은?

  1. 자색
  2. 흑색
  3. 백색
  4. 무색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소실에서 윤활유가 연소하면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연기는 주로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연기는 고온에서 연소하면서 산화되어 배기가스가 되는데, 이때 생성된 배기가스는 백색입니다. 따라서 연소실에서 윤활유가 연소할 때 가장 가까운 배기가스 색은 백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팬벨트의 장력이 너무 강할 경우에 발생되는 현상은?

  1. 발전기의 스테이터가 손상된다.
  2. 기관이 과열된다.
  3. 발전기 베어링이 손상된다.
  4. 충전부족 현상이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팬벨트의 장력이 너무 강할 경우, 발전기 베어링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베어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는 발전기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결국 발전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디젤기관이 시동되지 않는 원인과 관계 없는 것은?

  1. 기관의 압축압력이 높다.
  2. 연료 계통에 공기가 혼입되어 있다.
  3. 연료가 부족하다.
  4. 연료 공급 펌프가 불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 엔진은 공기를 압축하여 연료와 함께 폭발시켜서 움직입니다. 따라서 기관의 압축압력이 높을수록 연소가 원활하게 일어나고, 디젤 엔진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관의 압축압력이 높다."는 디젤기관이 시동되지 않는 원인과 관계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디젤기관을 작동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기관 시동은 각종 조작레버가 중립위치에 있는가를 확인 후 행한다.
  2. 엔진이 시동되면 적어도 1분 정도는 스타트 스위치에서 손을 떼지 않아야 한다.
  3. 기온이 낮을 때는 예열 경고등이 소등되면 시동한다.
  4. 공회전을 필요 이상 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엔진이 시동되면 적어도 1분 정도는 스타트 스위치에서 손을 떼지 않아야 한다."

    설명: 디젤 엔진은 가동 시간이 짧을 경우에는 충분한 기름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엔진 내부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엔진을 시동한 후에는 적어도 1분 정도는 스타트 스위치에서 손을 떼지 않고 기름 공급이 안정화될 때까지 대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관 시동전에 점검할 사항과 관계가 먼 것은?

  1. 엔진 오일의 압력
  2. 냉각수량
  3. 윤활계통의 누설여부
  4. 엔진 오일량
(정답률: 알수없음)
  • 기관 시동전에는 엔진 오일의 압력을 점검할 필요가 없습니다. 엔진 오일의 압력은 엔진이 가동되면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동전에는 냉각수량, 윤활계통의 누설여부, 엔진 오일량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냉각계통으로 배기가스가 누설되는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

  1. 워터펌프의 불량
  2. 냉각팬의 벨트 유격 과대
  3. 실린더 헤드 가스켓 불량
  4. 매니폴더의 가스켓 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린더 헤드 가스켓은 엔진 내부에서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를 연결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이 가스켓이 불량하면 냉각수와 기름이 섞이거나, 냉각수가 실린더로 유입되어 엔진 내부에서 불필요한 압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냉각계통으로 배기가스가 누설되어 엔진의 성능 저하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디젤엔진은 연소실에 연료를 어떤 상태로 공급하는가?

  1. 노즐로 연료를 안개와 같이 분사한다.
  2. 기화기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연료를 공급한다.
  3. 액체 상태로 공급한다.
  4. 가솔린 엔진과 같은 연료 공급펌프로 공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엔진은 연료를 노즐로 안개와 같이 분사합니다. 이는 디젤엔진의 연소실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와 함께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연료는 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어 작은 입자로 분해되어 연소실 내에서 빠르게 연소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젤엔진은 높은 연비와 효율적인 연소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디젤기관을 예방정비 하는데 고압파이프 연결부에서 연료가 샐 때 어떤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복스렌치
  2. 옵셋렌치
  3. 오픈렌치
  4. 조정렌치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픈렌치는 연결부를 더 강력하게 조임할 수 있어서 연료가 샐 때 가장 효과적으로 누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복스렌치나 옵셋렌치는 각도나 공간에 따라 사용이 제한될 수 있고, 조정렌치는 조임력이 부족하여 연료 누출을 막을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디젤기관에서 압축압력이 저하되는 가장 큰 원인은?

  1. 피스톤링의 마모
  2. 기어오일의 열화
  3. 엔진오일 과다
  4. 냉각수 부족
(정답률: 알수없음)
  • 피스톤링은 실린더 벽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압축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피스톤링의 마모가 발생하여 실린더 벽면과의 마찰이 감소하게 되어 압축압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피스톤링의 마모는 디젤기관에서 압축압력이 저하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터보차저는 무엇에 의해서 구동되는가?

  1. 엔진의 배기가스에 의해서 구동된다.
  2. 엔진의 흡입가스에 의해서 구동된다.
  3. 엔진의 열에 의해서 구동된다.
  4.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터보차저는 엔진의 배기가스에 의해서 구동된다. 엔진에서 연소된 연료와 공기는 배기가스로 방출되는데, 이 배기가스의 압력과 유속을 이용하여 터보차저의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공기를 압축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터보차저는 엔진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윤활유의 점도가 기준보다 높은 것을 사용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은?

  1. 동절기에 사용하면 기관 시동이 용이하다.
  2. 점차 묽어짐으로 경제적이다.
  3. 윤활유가 좁은 공간에 잘 스며들어 충분한 주유가 된다.
  4. 윤활유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윤활유의 점도가 기준보다 높은 것을 사용하면 윤활유가 움직이기 어렵고, 기계 부품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기계 부품의 마모가 더욱 심해지기 때문에 윤활유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동전동기의 회전이 안될 경우 점검할 사항이 아닌 것은 ?

  1. 배터리 단자의 접촉 여부
  2. 축전지의 방전 여부
  3. 배선의 단선 여부
  4. 팬벨트의 이완 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팬벨트의 이완 여부는 시동전동기의 회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시동전동기의 회전이 안될 경우에는 배터리 단자의 접촉 여부, 축전지의 방전 여부, 배선의 단선 여부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부동액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침전물의 발생이 없을 것
  2. 물과 쉽게 혼합될 것
  3. 부식성이 없을 것
  4. 비등점이 물보다 낮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비등점이 물보다 낮을 것은 부동액이 물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어서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따라서 부동액이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비등점이 물보다 낮을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축전지 케이스와 커버 세척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솔벤트와 물
  2. 가솔린과 물
  3. 소다와 물
  4. 소금과 물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전지 케이스와 커버는 전기를 전달하는 부분이므로 물에 노출되면 안 됩니다. 따라서 솔벤트나 가솔린과 같은 화학물질은 사용하면 안 됩니다. 반면에 소다는 약한 염기성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녹과 오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과 함께 사용하면 중성화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다와 물이 축전지 케이스와 커버 세척에 가장 알맞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AC 발전기에서 전류가 발생되는 것은?

  1. 로터 코일
  2. 스테이터 코일
  3. 전기자 코일
  4. 레귤레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AC 발전기에서 전류가 발생되는 것은 스테이터 코일입니다. 스테이터 코일은 회전자인 로터 코일 주위에 위치하며, 자기장을 생성하여 회전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일은 AC 발전기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핵심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건설기계 기관에서 축전지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1. 오일펌프의 작동
  2. 기동전동기의 작동
  3. 워터펌프의 작동
  4. 연료펌프의 작동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기계의 기동전동기는 축전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합니다. 따라서 축전지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기동전동기의 작동을 위한 전기 공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작업 중 운전자가 확인해야 할 것이 아닌 것은?

  1. 온도계
  2. 유압계
  3. 전류계
  4. 실린더 압력
(정답률: 알수없음)
  • 운전자가 확인해야 할 것은 차량의 상태와 운전 조건 등과 관련된 것들입니다. 따라서 실린더 압력은 엔진의 내부 상태와 관련된 것으로, 운전자가 직접 확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정비사나 엔진 전문가가 확인하고 조치해야 할 사항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린더 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현재 널리 사용되는 할로겐 램프에 대하여 운전사 두사람(A,B)이 서로 주장하고 있다. 다음 중 어느 운전사의 말이 옳은가?

  1. A, B가 모두 맞다.
  2. A가 맞다.
  3. A, B 둘 다 틀리다.
  4. B가 맞다.
(정답률: 알수없음)
  • B가 맞다. 할로겐 램프는 긴 수명과 높은 밝기를 가지며, 주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로 사용된다. 하지만 할로겐 램프는 열 발생이 매우 심하고, 손으로 직접 만지면 램프가 깨질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램프를 교체할 때는 반드시 램프가 식은 후에 작업해야 하며, 작업 시에는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압계통에서 오일의 누설 점검시 유의 사항이 아닌것은?

  1. 실(seal)의 파손
  2. 실(seal)의 마모
  3. 오일의 윤활성
  4. 볼트의 이완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의 윤활성은 유압계통에서 오일이 부드럽게 흐르고 부풀어 오르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오일이 부드럽게 흐르면서 실과 부품들을 윤활하여 마모를 줄이고, 오일이 부풀어 오르면서 압력을 유지하여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오일의 윤활성은 유압계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압회로에서 유압유의 점도가 너무 클 때 발생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열발생의 원인이 된다.
  2. 동력 손실이 커진다.
  3. 관내의 마찰 손실이 커진다.
  4. 유압이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열발생의 원인이 된다.

    유압유의 점도가 너무 클 때 발생하는 현상은 유압이 낮아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유압유의 점도가 높아지면 유체의 흐름이 느려지고, 따라서 유압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동력 손실이 커지고, 관내의 마찰 손실도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열발생은 점도가 높아지는 것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펌프가 오일을 토출하지 않을 때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오일 탱크의 유면이 낮다.
  2. 오일의 점도가 너무 높다.
  3. 흡입관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4. 토출측 배관 체결 볼트가 이완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출측 배관 체결 볼트가 이완되면 오일이 배출되는 곳으로 누출되지 않고 배관과 연결된 부분에서 누출되기 때문에 펌프가 오일을 토출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압기기에서 회전펌프가 아닌 것은?

  1. 제트펌프
  2. 기어펌프
  3. 베인펌프
  4. 나사펌프
(정답률: 알수없음)
  • 제트펌프는 유체를 고속으로 이동시켜 압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유압기기입니다. 따라서 회전펌프와는 원리가 다르며, 회전펌프가 아닌 것입니다. 기어펌프, 베인펌프, 나사펌프는 모두 회전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어식 유압펌프에서 소음이 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오일의 과부족
  2. 펌프의 베어링 마모
  3. 흡입 라인의 막힘
  4. 오일량의 과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어식 유압펌프에서 소음이 나는 원인 중 오일량의 과다는 아닙니다. 오일량이 과다하면 유압펌프가 더 많은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 시스템에 과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지만, 이는 소음의 원인이 아닙니다. 따라서, 오일의 과부족, 펌프의 베어링 마모, 흡입 라인의 막힘 등이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압장치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작은 동력원으로 큰 힘을 낼 수 있다.
  2. 과부하 방지가 용이하다.
  3. 운동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4. 고장원인의 발견이 쉽고 구조가 간단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장치의 장점은 작은 동력원으로 큰 힘을 낼 수 있고, 과부하 방지가 용이하며, 운동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장원인의 발견이 쉽고 구조가 간단하다."는 유압장치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유압장치는 유체를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유체 누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고장원인을 찾기 어렵고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압장치에서 고압 소용량, 저압 대용량 펌프를 조합운전 할 때, 작동압이 규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시 동력 절감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밸브는?

  1. 감압밸브
  2. 릴리프밸브
  3. 시퀀스밸브
  4. 무부하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무부하밸브는 유압장치에서 고압 소용량, 저압 대용량 펌프를 조합운전 할 때, 작동압이 규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시 동력 절감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밸브입니다. 이는 펌프가 더 이상 압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회전하는 상태로 만들어, 펌프의 동력 소모를 줄이고 유압장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무부하밸브는 작동압을 유지하면서도 펌프의 동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축압기의 기호 표시는?

(정답률: 알수없음)
  • 축압기의 기호 표시는 "" 이다. 이는 압력을 나타내는 P와 축을 나타내는 기호가 결합된 것으로, 축압기는 압력을 측정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작동유 탱크에 공기압을 조절하는 밸브는?

  1. 유압조절 밸브
  2. 공기압력 조절밸브
  3. 컨트롤 밸브
  4. 언로드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작동유 탱크에 공기압을 조절하는 밸브는 "공기압력 조절밸브"입니다. 이는 작동유 탱크 내부에 공기압을 조절하여 유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로, 다른 보기들은 유압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밸브이지만 공기압을 조절하는 기능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압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오일탱크
  2. 펌프
  3. 제어밸브
  4. 차동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차동장치는 유압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차동장치는 기어나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하며, 유압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차동장치는 유압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피스톤 펌프의 특징 중 맞지 않은 것은 ?

  1. 일반적으로 토출압력이 높다.
  2. 펌프 효율이 높다.
  3.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다.
  4. 베어링에 부하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다는 것은 피스톤 펌프가 기계적인 부품이 적고, 제작이 비교적 쉽기 때문입니다. 이는 제조 비용을 낮추고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압계통의 최대압력을 제어하는 밸브는?

  1. 첵 밸크
  2. 쵸크밸브
  3. 오리피스밸브
  4. 릴리프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릴리프밸브는 유압계통에서 최대압력을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유압계통에서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시스템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릴리프밸브는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가 열리면서 과압을 방출시킵니다. 이를 통해 유압계통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건설기계 등록사항의 변경이 있을 때에는 며칠 이내에 관할 시·도지사에게 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7일
  2. 30일
  3. 10일
  4. 15일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기계 등록사항의 변경이 있을 때에는 30일 이내에 관할 시·도지사에게 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건설기계 등록규정 제9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30일 이내에 변경사항을 신고하지 않으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검사 유효기간이 만료된 건설기계는 유효기간이 만료된날로부터 몇월이내에 건설기계 소유자에게 최고하여야 하는가?

  1. 3개월
  2. 1개월
  3. 4개월
  4. 2개월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기계 검사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건설기계 소유자는 유효기간 만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당 건설기계를 재검사 받아야 합니다. 이는 건설기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규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교차로 통행방법 중 틀린 것은?

  1. 교차로에서는 다른 차를 앞지르지 못한다.
  2. 교차로에서는 정차하지 못한다.
  3. 좌.우회전시에는 방향지시기 등으로 신호를 하여야한다.
  4. 교차로에서는 반드시 경음기를 울려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차로에서는 반드시 경음기를 울려야 한다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교통안전법에 따르면 교차로 진입 시에는 경적을 울리지 않아도 되며, 경적을 울리는 경우에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상황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정차는 할 수 있으나 주차만 금지된 장소는?

  1. 교차로의 측단으로부터 5미터 이내의 지점
  2. 도로공사 구역 양단으로부터 5미터 이내의 지점
  3. 횡단보도내
  4. 건널목 측단으로부터 10미터 이내의 지점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공사 구역은 도로를 관리하는 공사의 영역이므로, 이곳에서는 주차를 금지하여 도로 관리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도로공사 구역 양단으로부터 5미터 이내의 지점에서는 정차는 가능하지만 주차는 금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철길 건널목 통과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건널목에서 앞차가 서행하면서 통과할 때에는 그 차를 따라 서행한다.
  2. 차단기가 내려지려고 할 때에는 통과하여서는 아니된다.
  3. 경보기가 울리고 있는 동안에는 통과하여서는 아니된다.
  4. 건널목 직전에서 일시 정지하였다가 안전함을 확인한 후 통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널목에서 앞차가 서행하면서 통과할 때에는 그 차를 따라 서행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앞차를 따라 서행하면서는 시야가 제한되어 있어서 안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앞차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건널목에서는 안전한 속도로 직진하거나, 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할 때는 신호 및 표지판을 확인하고 안전한 속도로 진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눈이 20mm 미만 쌓인 때는 얼마로 감속운행 하여야 하는 가?

  1. 100분의 20
  2. 100분의 30
  3. 100분의 40
  4. 100분의 50
(정답률: 알수없음)
  • 20mm 미만의 눈은 가벼운 눈으로 간주되며, 이 경우에는 감속운행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안전을 위해 속도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감속운행을 할 경우, 일반적으로 속도를 20% 정도 줄이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100분의 20"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도주차량 신고로 인한 벌점상계에 대한 특혜점수는?

  1. 120점
  2. 30점
  3. 40점
  4. 특혜점수 없음
(정답률: 알수없음)
  • 도주차량 신고로 인한 벌점상계에 대한 특혜점수는 40점입니다. 이는 2019년 12월 31일 이전에는 30점이었지만, 2020년 1월 1일부터는 40점으로 인상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특혜점수는 40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과태료 50만원 이하의 처분에 해당되는 것은?

  1. 사후관리에 관한 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자
  2. 등록되지 않은 건설기계를 사용하거나 운행한자
  3. 건설기계조종사의 주소변경 신고를 허위로 한 자
  4. 승인을 얻지 않고 건설기계의 주요 구조를 변경한자
(정답률: 알수없음)
  • 과태료 50만원 이하의 처분에 해당되는 것은 "건설기계조종사의 주소변경 신고를 허위로 한 자" 입니다. 이유는 건설기계조종사의 주소변경 신고는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으며, 이를 허위로 신고하는 것은 법에 위반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행위의 위험성이 다른 항목들에 비해 낮아서 과태료가 상대적으로 낮게 부과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계시설의 안전 유의사항에 맞지 않는 것은?

  1. 회전부분(기어, 벨트, 체인) 등은 위험하므로 반드시 커버를 씌워둔다.
  2. 발전기, 아크용접기, 엔진 등 소음이 나는 기계는 한곳에 모아서 배치한다.
  3. 작업장의 통로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정리정돈을 한다.
  4. 작업장의 바닥이 미끄러워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전기, 아크용접기, 엔진 등 소음이 나는 기계는 한곳에 모아서 배치한다."는 안전 유의사항에 맞는 내용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기계들은 소음이 크기 때문에 근로자들의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기계들을 한 곳에 모아두면 소음이 다른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곳에 가장 적절한 보호구는?

  1. 안정장갑
  2. 안전모
  3. 보안경
  4. 귀마개
(정답률: 알수없음)
  •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모가 가장 적절합니다. 다른 보호구들은 손, 눈, 귀 등을 보호하지만, 머리는 가장 중요한 부위이며, 추락 시 큰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모를 착용하여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에서 화재의 분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A급화재 : 일반 가연물 화재
  2. B급화재 : 금속화재
  3. C급화재 : 유류화재
  4. D급화재 : 전기화재
(정답률: 알수없음)
  • A급화재는 일반적으로 가연성이 높은 물질로 인한 화재를 말합니다. 이러한 물질은 종이, 나무, 섬유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물질이 불에 타면 빠르게 확산되어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호안경을 사용하는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유해 약물로 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2. 유해 광선으로 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3. 비산되는 칩으로 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4. 중량물이 떨어질때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중량물이 떨어질때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안경을 사용하는 것은 눈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얼굴과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떨어지는 물체로 인해 머리나 얼굴에 큰 충격을 받을 경우 심각한 상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보호안경을 착용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크레인 신호자는 안전작업수행을 위하여 작업내용, 환경조건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는데 안전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걸이신호는 크레인 작업표준 신호에 따른다.
  2. 신호는 반드시 1명 이상의 신호자를 선임하여 신호한
  3. 신호는 크레인 운전자가 잘 보이는 위치에서 행한다.
  4. 걸이자는 걸이 보조자의 작업행동을 주시하여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는 반드시 1명 이상의 신호자를 선임하여 신호해야 하는 이유는 크레인 작업 중에 운전자가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부분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신호자가 운전자에게 작업 상황을 정확히 전달하여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신호자는 최소한 1명 이상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이동식 기계로 주행할 경우 운전자의 주의사항으로 운전 방법이 잘못된 것은?

  1. 급출발, 급제동을 하여서는 안된다.
  2. 한눈을 팔고 운전을 하여서는 안된다.
  3. 주행 중 뛰어오르거나 뛰어내려서는 안된다.
  4. 제한속도를 준수하여야 하며 추월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식 기계는 일반적인 차량과는 다른 크기와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크다. 따라서 제한속도를 준수하여 안전한 주행을 유지해야 하며, 추월 시에도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고 신호 및 표지판을 잘 확인하여 추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운전자는 작업 전에 장비의 정비 상태를 확인하고 점검하여야 하는데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타이어 및 궤도 차륜상태
  2. 브레이크 및 클러치의 작동상태
  3. 낙석, 낙하물 등의 위험이 예상되는 작업시 견고한 헤드가이드 설치상태
  4. 엔진의 진공도와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엔진의 진공도와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상태는 차량의 안전 운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점검 사항입니다. 엔진의 진공도가 낮으면 브레이크 작동이 원활하지 않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상태가 심하면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감소하여 급정거나 급회전 시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운반과정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필요한 규칙과 규정을 지킨다.
  2. 끝날때만 주의를 하여야 한다.
  3. 올바른 몸의 자세를 취한다.
  4. 기술적으로 들어올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운반 과정에서 끝날 때만 주의를 하는 것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운반 과정에서는 항상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필요한 규칙과 규정을 지키고 올바른 몸의 자세를 유지하며 기술적으로 들어올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공구 보관 및 사용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건에 해머를 대고 몸의 위치를 정한다.
  2. 담금질 한 것은 함부로 두들겨서는 안된다.
  3. 숫돌은 강도유지를 위하여 적당한 습기가 있어야 한
  4. 파손, 마모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숫돌은 강도유지를 위하여 적당한 습기가 있어야 한" 이유는 숫돌이 너무 건조하면 강도가 약해지고 깨지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당한 습기를 유지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공구 사용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무리한 공구 취급을 금한다.
  2. 알맞은 것이 없으면 유사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3. 위험한 작업에는 보호장구를 사용한다.
  4. KS 품질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맞은 것이 없으면 유사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는 것은 위험한 조작이나 작업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유사한 것을 사용하면 원래의 공구와 다른 성능이나 기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한 작업에서는 반드시 알맞은 공구를 사용해야 하며,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