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1-26)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2003-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고속 디젤기관이 가솔린 기관보다 좋은 점은?

  1. 운전 중 소음이 비교적 적다.
  2. 엔진의 압축비가 낮다.
  3. 엔진의 출력당 무게가 가볍다.
  4. 열효율이 높고 연료 소비율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 디젤기관은 연료를 더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열효율이 높기 때문에 연료 소비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젤기관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속성이 좋고 운전이 정숙하다.
  2. 열효율이 높다.
  3. 화재의 위험이 적다.
  4. 연료소비율이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기관은 가속성이 좋고 운전이 정숙하지 않습니다. 디젤기관은 일반적으로 가속이 느리고 진동이 심하며 소음이 큽니다. 그러나 디젤기관은 열효율이 높고 화재의 위험이 적으며 연료소비율이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디젤기관에서 압축압력이 저하되는 가장 큰 원인은?

  1. 피스톤링의 마모
  2. 기어오일의 열화
  3. 엔진오일 과다
  4. 냉각수 부족
(정답률: 알수없음)
  • 피스톤링은 실린더 벽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압축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피스톤링의 마모가 발생하여 실린더 벽면과의 마찰이 감소하게 되어 압축압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피스톤링의 마모는 디젤기관에서 압축압력이 저하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디젤엔진의 진동원인이 아닌 것은?

  1. 불균율이 있을 때
  2. 분사압력이 실린더별로 차이가 있을 때
  3. 4기통 엔진에서 한개의 분사노즐이 막혔을 때
  4. 하이텐션 코드가 불량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엔진의 진동은 주로 불균형, 분사압력 차이, 분사노즐 막힘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하이텐션 코드가 불량할 경우에는 진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하이텐션 코드는 디젤엔진의 고압 연료 공급을 위한 전기선으로, 불량할 경우에는 연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엔진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이텐션 코드의 불량은 디젤엔진의 진동원인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4행정 기관에서 엔진이 4000rpm일 때 분사펌프의 회전수는?

  1. 2000rpm
  2. 8000rpm
  3. 4000rpm
  4. 1000rpm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사펌프는 엔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회전수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엔진이 4000rpm일 때 분사펌프의 회전수는 엔진의 회전수와 같은 4000rpm이 아닌, 분사펌프와 엔진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에서는 분사펌프의 회전수가 엔진의 회전수의 절반인 2000rpm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0r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디젤기관에서 주행중 시동이 꺼지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료필터가 막혔을 때
  2. 연료탱크내에 물이 들어 있을 때
  3. 프라이밍 펌프가 불량할 때
  4. 연료연결 파이프에 누설이 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프라이밍 펌프는 디젤엔진에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만들어주는 부품입니다. 만약 프라이밍 펌프가 불량하면 연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엔진이 갑자기 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행중 시동이 꺼지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프라이밍 펌프가 불량할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기관이 과열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온도조절기가 열린 채로 고장이 났다.
  2. 냉각수의 양이 적다.
  3. 물재킷에 스케일이 많이 쌓였다.
  4. 물펌프의 작용이 불완전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조절기가 열린 채로 고장이 났다는 것은, 기관의 열을 조절하는 장치인 온도조절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열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기관이 과열되어 고장이 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관 냉각수의 수온을 측정하는 곳으로 다음 중 가장 적당한 곳은?

  1. 수온조절기 내부
  2. 실린더헤드 물재킷부
  3. 라디에이터 하부
  4. 라디에이터 상부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린더헤드 물재킷부는 엔진 내부에서 가장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부분이기 때문에 냉각수의 수온을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입니다. 또한 엔진 내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수온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엔진오일중 오일 점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SAE #40
  2. SAE #10
  3. SAE #20
  4. SAE #30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 점도는 엔진오일의 끈적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점도가 낮을수록 오일은 더 끈적이지 않고 더 순환이 잘됩니다. 따라서 SAE #10은 다른 보기에 비해 오일 점도가 가장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엔진의 윤활유 소비량이 과다해지는 가장 큰 원인은?

  1. 오일 여과기 불량
  2. 냉각펌프 손상
  3. 기관의 과열
  4. 피스톤링 마멸
(정답률: 알수없음)
  • 피스톤링 마멸은 실린더 벽면과 피스톤링 사이에 오염물질이 들어가거나 마멸로 인해 실린더 벽면과 피스톤링 간의 간격이 벌어져서 오일이 누출되어 윤활유 소비량이 증가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과급기(Turbo charger)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피스톤의 흡입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한다.
  2. 연료 분사량을 증대시킨다.
  3. 가솔린 기관에만 설치된다.
  4. 실린더내의 흡입 공기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급기는 피스톤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를 압축시키고, 이를 실린더로 공급함으로써 실린더내의 흡입 공기량을 증가시킵니다. 이는 연소 공기량을 증가시켜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설기계에 많이 사용되는 전동기는?

  1. 교류 전동기
  2. 직류직권 전동기
  3. 직류복권 전동기
  4. 직류분권 전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기계는 대개 고출력, 고속 회전을 요구하므로 직류직권 전동기가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 중에서도 회전력이 높고, 속도 조절이 용이하며, 부하 변화에 대한 반응이 빠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건설기계는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므로 내구성과 방수성이 뛰어난 직류직권 전동기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설기계의 디젤기관 시동시 사용되는 기동모터에서 자력선을 잘 통과 시키고 동시에 맴돌이 전류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1. 전기자 철심
  2. 계자철심
  3. 계자코일
  4. 전기자 코일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기관 시동시 사용되는 기동모터에서는 전기자 철심이 사용됩니다. 이는 전기자 코일을 감싸고 있는 철심으로, 전기자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을 철심을 통해 전달하여 회전력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기자 철심은 맴돌이 전류를 감소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이는 전기자 코일에서 발생하는 역전류를 방지하여 전기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관을 회전하여도 전류계가 움직이지 않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레귤레이터 고장
  2. 전류계 불량
  3. 축전지 불량
  4. 스테이터코일 단선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전지가 불량하면 전기적인 에너지를 충분히 저장하지 못해 전류계에 충분한 전압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회전해도 전류계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축전지가 불량하면 기관을 회전해도 전류계가 움직이지 않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건설기계 차량에서 가장 큰 전류가 흐르는 것은?

  1. 시동모터
  2. 로터
  3. 배전기
  4. 콘덴서
(정답률: 알수없음)
  • 시동모터는 엔진을 가동시키기 위해 가장 큰 전류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엔진을 가동시키기 위해 큰 힘을 발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설기계 차량에서 가장 큰 전류가 흐르는 것은 시동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축전지의 양극단자는?

  1. 음극보다 약간 굵다.
  2. Neg라 표시되어 있다.
  3. 짙은 회색이다.
  4. 음극보다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전지의 양극은 음극과 양극으로 나뉘며, 음극은 전하를 받아들이는 부분이므로 양극보다 약간 더 굵습니다. 따라서 "음극보다 약간 굵다."가 정답입니다. "Neg"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음극을 나타내며, 짙은 회색이기 때문에 양극보다는 색이 짙지만, 크기는 양극보다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축전지 커버를 닦아내려 할 때 사용하는 중화제로 가장 좋은 것은?

  1. 증류수
  2. 베이킹 소다수
  3. 비눗물
  4. 암모니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전지 커버에는 산성물질이 묻어있기 때문에, 이를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알칼리성 물질이 필요합니다. 베이킹 소다수는 알칼리성이 강한 물질로, 중화력이 높아 축전지 커버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베이킹 소다수가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굴삭기에서 트랙장력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 것은?

  1. 아이들러
  2. 트랙 어저스터
  3. 주행모터
  4. 스프로켓
(정답률: 알수없음)
  • 굴삭기의 트랙은 트랙 어저스터를 통해 조정됩니다. 트랙 어저스터는 트랙의 장력을 조절하여 굴삭기의 주행 안정성을 유지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트랙 어저스터가 굴삭기에서 트랙장력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굴삭기 붐의 자연 하강량이 많다. 원인이 아닌 것은?

  1. 유압실린더 배관이 파손되었다.
  2. 콘트롤 밸브의 스풀에서 누출이 많다.
  3. 유압실린더의 내부누출이 있다.
  4. 유압작동 압력이 과도하게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굴삭기 붐의 자연 하강량이 많은 이유는 유압작동 압력이 과도하게 낮기 때문이 아닙니다. 유압작동 압력이 과도하게 낮다면 오히려 붐이 자연 하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압작동 압력이 과도하게 낮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 중 하나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게차의 일상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토크 컨버터의 오일 점검
  2. 타이어 손상 및 공기압 점검
  3. 작동유의 양
  4. 틸트 실린더 오일누유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토크 컨버터는 지게차의 변속기와 관련된 부품으로, 오일 점검은 일상점검 사항이 아니라 전문가에게 맡겨야 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토크 컨버터의 오일 점검"은 일상점검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지게차의 하중을 지지해 주는 것은?

  1. 마스터 실린더
  2. 구동 차축
  3. 차동 장치
  4. 최종 구동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지게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은 구동 차축입니다. 구동 차축은 지게차의 주행력을 제공하며, 모터에서 전달된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여 지게차를 움직입니다. 따라서 구동 차축은 지게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마스터 실린더는 지게차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차동 장치와 최종 구동장치는 지게차의 주행 및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중기의 사용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철도 교량 설치작업
  2. 경지정리 작업
  3. 파일 항타 작업
  4. 차량의 화물적재 및 적하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기중기는 건설 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철도 교량 설치작업, 파일 항타 작업, 차량의 화물적재 및 적하작업 등이 그 예입니다. 그러나 경지정리 작업은 기계적인 도움 없이도 수작업으로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기중기의 사용 용도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타이어식 로우더가 무한 궤도식 로우더에 비해 좋은 점은?

  1. 견인력
  2. 습지에서의 작업성
  3. 기동성
  4. 좁은 공간에서의 선회성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어식 로우더는 궤도가 아닌 지면을 직접 달리기 때문에 기동성이 뛰어나며,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좁은 작업장이나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크컨버터가 구조상 유체클러치와 다른 점은?

  1. 터빈(Turbine)
  2. 스테이터(Stator)
  3. 펌프(Pump)
  4. 임펠러(Impellar)
(정답률: 알수없음)
  • 토크컨버터는 유체클러치와 마찬가지로 유체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지만, 스테이터(Stator)라는 부품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스테이터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토크컨버터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테이터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부품들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브레이크 파이프 내에 베이퍼록이 발생하는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나친 브레이크 조작
  2. 드럼의 과열
  3. 잔압의 저하
  4. 라이닝과 드럼의 간극 과대
(정답률: 알수없음)
  • 브레이크 파이프 내에 베이퍼록이 발생하는 원인은 브레이크 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브레이크 오일이 기화되어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라이닝과 드럼의 간극 과대"입니다. 이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브레이크 패드와 드럼 브레이크의 간극이 너무 넓어져서 브레이크 패드가 드럼과 충돌하지 않고 공기가 들어가게 되어 생기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겨울철 연료탱크 내에 연료를 가득 채워두는 이유는?

  1.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이 생기므로
  2. 연료가 적으면 휘발하여 손실되므로
  3. 연료 게이지가 고장날 수 있으므로
  4. 연료가 적으면 출렁거리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겨울철에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이 생기기 때문에, 연료탱크 내에 연료를 가득 채워두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건설기계 등록말소 사유 중 반드시 시·도지사가 직권으로 등록 말소하여야 하는 것은?

  1. 사위(詐僞)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때
  2. 검사최고를 받고도 정기검사를 받지 아니한 때
  3. 건설기계의 용도를 폐지한 때
  4. 건설기계를 수출하는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사위(詐僞)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때"는 건설기계 등록을 위해 필요한 제반 서류나 정보를 조작하거나 위조하여 등록을 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법적으로 불법행위에 해당하며, 시·도지사가 직권으로 등록 말소하여야 합니다. 다른 사유들은 정기검사를 받지 않거나 용도를 폐지한 경우 등 건설기계의 상태나 용도와 관련된 사유이지만, "사위(詐僞)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때"는 건설기계 등록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시·도지사가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기검사를 받을 수 없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연기신청은언제까지 하여야 하는가?

  1. 검사유효기간 만료일까지
  2. 검사신청기간 만료일로부터 10 일이내
  3. 검사신청기간 만료일까지
  4. 검사유효기간 만료일 10 일전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기검사를 받을 수 없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연기신청은 검사신청기간 만료일까지 해야 합니다. 이는 검사신청기간이 지나면 검사를 신청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기신청도 검사를 신청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검사신청기간 내에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정차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차체의 전단부를 도로 중앙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정차한다.
  2.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정차한다.
  3. 일방 통행로에서 좌측단에 정차한다.
  4.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도로의 우측단에 정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도로의 우측단에 정차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이렇게 정차하면 다른 차량들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고,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좌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측단에 정차하면 좌회전할 때도 용이하며, 길가에 주차된 차량들과 충돌할 위험이 적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지선이나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서 정지하여야 할 신호는?

  1. 녹색 및 적색등화
  2. 적색 및 황색등화의 점멸
  3. 녹색 및 황색등화
  4. 황색 및 적색등화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선이나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서 정지하여야 할 신호는 황색 및 적색등화입니다. 이는 황색불이 켜지면서 운전자들에게 신호가 바뀌고 있다는 것을 알리며, 적색불이 켜지면 정지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적색 및 황색등화의 점멸은 신호등 고장 등의 상황에서만 사용되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녹색 및 황색등화는 진행 가능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황색불이 켜지면서 진행 가능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차마가 도로이외의 장소에 출입하기 위하여 보도를 횡단하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통행방법은?

  1. 보행자가 없으면 서행한다.
  2. 보도 직전에서 일시 정지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3. 보행자 유무에 구애받지 않는다.
  4. 보행자가 있어도 차마가 우선 출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도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공간이므로, 보도 직전에서 일시 정지하여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지나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면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며, 교통법규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도 직전에서는 보행자의 통행을 우선시하고, 보행자가 지나갈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술에 취한 상태로 타이어식 건설기계를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운전하였을 경우 벌금은?

  1. 200만원 이하의 벌금
  2. 1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술에 취한 상태로 운전하면 음주운전으로 처벌을 받게 됩니다. 이 경우, 타이어식 건설기계를 운전한 것은 운전면허가 없는 상태에서 운전한 것과 같으므로,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에 따라, 벌금의 기준은 운전면허가 없는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최대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교차로 통행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교차로 중심 바깥쪽으로 좌회전 한다.
  2. 우회전 차는 차로에 관계없이 우회전 할 수 있다.
  3. 좌.우 회전시는 경음기를 사용하여 주위에 주의 신호를 한다.
  4. 좌회전 차는 미리 중앙선을 따라 서행으로 진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차로에서 좌회전 차량은 우선적으로 직진 및 우회전 차량을 우선하여 통행해야 하기 때문에, 좌회전 차량은 교차로 진입 전에 미리 중앙선을 따라 서행하여 진입 시 우선권을 양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한 교차로 통행을 위한 기본적인 교통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작자로부터 건설기계를 구입한 자가 무상으로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는 법정기간은?

  1. 24월
  2. 6월
  3. 18월
  4. 12월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기계의 보증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에서 2년 사이입니다. 따라서 "24월"은 너무 오래되고, "6월"과 "18월"은 일반적인 보증기간과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월"입니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의 보증기간은 1년에서 2년이며, 이 기간 동안에는 제조사에서 무상으로 수리 및 유지보수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건설기계를 구입한 자가 무상으로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는 법정기간은 일반적으로 12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압기계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에너지 축적이 가능하다.
  2. 힘의 전달 및 증폭이 용이하다.
  3. 속도제어가 용이하다.
  4. 유압장치의 점검이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장치의 점검이 용이하다는 것은 유압기계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유압기계의 단점이 아닌 이유입니다. 유압장치의 점검이 용이하다는 것은 유압기계의 유지보수가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오일의 압력이 낮아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오일의 점도가 낮아졌을 때
  2. 오일의 점도가 높아졌을 때
  3. 계통내에서 누설이 있을 때
  4. 오일펌프의 마모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의 점도가 높아졌을 때는 오일이 더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압력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일의 압력이 낮아지는 원인은 오일의 점도가 높아졌을 때가 아니라 다른 이유들인 계통내에서 누설이 있을 때나 오일펌프의 마모 등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펌프에서 오일은 토출되나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유압 회로 중 밸브나 작동체의 누유가 발생할 때
  2.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는 커플링이 파손되었을 때
  3.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의 설정압이 낮거나 작동이 불량할 때
  4. 펌프 내부 이상으로 누유가 발생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펌프에서 오일은 토출되지만 압력이 상승하지 않는 원인은 펌프 내부 이상으로 누유가 발생할 때입니다. 반면에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는 커플링이 파손되면 펌프가 움직이지 않아 오일이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압력이 상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작동유의 열화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오일을 가열후 냉각되는 시간확인
  2. 점도 상태로 확인
  3. 색깔이나 침전물의 유무 확인
  4. 냄새로 확인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을 가열한 후 냉각되는 시간을 확인하는 것은 작동유의 열화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열화와는 관련이 없는 성질이기 때문입니다. 열화는 작동유가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거나 고온, 고압 등의 환경에서 노출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이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점도 상태, 색깔이나 침전물의 유무, 냄새 등과 같은 열화와 관련된 성질을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기어식 유압펌프에서 소음이 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오일의 과부족
  2. 펌프의 베어링 마모
  3. 흡입 라인의 막힘
  4. 오일량의 과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어식 유압펌프에서 소음이 나는 원인 중 오일량의 과다는 아닙니다. 오일량이 과다하면 유압펌프가 더 많은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 시스템에 과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지만, 이는 소음의 원인이 아닙니다. 대신, 펌프의 베어링 마모, 흡입 라인의 막힘 또는 오일의 과부족이 소음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차동 회로를 설치한 유압기기에서 속도가 나지 않는 이유는?

  1. 회로내에 압력손실이 있을 때
  2. 회로내에 감압밸브가 작동하지 않을 때
  3. 회로내에 관로의 지름차가 있을 때
  4. 회로내에 바이패스 통로가 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차동 회로는 유압기기의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회로내에 압력손실이 발생하면 유압기기의 속도가 나지 않게 됩니다. 이는 유압유가 회로내에서 압력을 잃게 되어 유압기기의 움직임에 충분한 힘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동 회로를 설치한 유압기기에서 속도가 나지 않는 경우, 회로내에 압력손실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유압유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적정한 유동성과 점성을 갖고 있을 것
  2. 실(seal) 재료와의 적합성이 좋을 것
  3. 필요한 압축성을 갖고 있을 것
  4. 물리·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장기사용에 견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필요한 압축성을 갖고 있을 것"은 유압유가 압축력에 의해 변형되어도 원래의 형태로 복구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유압유가 유압장치 내에서 움직이는 부품들을 움직이는 데 필수적인 성질입니다. 따라서 이는 구비조건이 아닌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내경이 작은 파이프에서 미세한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는?

  1. 바이패스 밸브
  2. 스로틀 밸브
  3. 니들 밸브
  4. 압력보상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니들 밸브는 밸브 내부에 있는 니들(바늘)을 이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입니다. 이는 내경이 작은 파이프에서 미세한 유량을 조절하기에 적합하며, 다른 보기들인 바이패스 밸브, 스로틀 밸브, 압력보상 밸브는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니들 밸브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압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오일탱크
  2. 펌프
  3. 제어밸브
  4. 차동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차동장치는 유압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차동장치는 기어나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하며, 유압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차동장치가 유압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기호 표시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V: Variable (가변)
    - Q: Displacement (배출량)
    - P: Pressure (압력)
    - M: Direction of rotation (회전 방향)
    - L: Left (왼쪽)
    - R: Right (오른쪽)

    따라서, ""은 가변용량형 유압펌프를 나타내며, 배출량, 압력, 회전 방향, 왼쪽/오른쪽 등의 정보를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압장치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최고 압력을 제한하며 회로를 보호해주는 밸브는?

  1. 로터리 밸브
  2. 첵 밸브
  3. 릴리프 밸브
  4. 제어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릴리프 밸브는 유압장치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최고 압력을 제한하며 회로를 보호해주는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설정된 압력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밸브가 열리면서 과압을 방출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압장치 내의 안전한 운전을 보장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압실린더의 숨돌리기 현상이 생겼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피스톤 작동이 불안정하게 된다.
  2. 시간의 지연이 생긴다.
  3. 기름의 공급이 과대해진다.
  4. 서지압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실린더의 숨돌리기 현상은 유압 실린더 내부의 압력이 갑자기 상승하여 피스톤이 움직이지 않고 멈추는 현상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기름의 공급이 부족해지거나 유압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끼어있어 발생하는데, 따라서 기름의 공급이 과대해진다는 것은 유압 실린더 내부의 압력이 갑자기 상승하여 피스톤이 멈추는 현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름의 공급이 과대해진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배출물 가스 중에서 인체에 가장 해가 없는 가스는?

  1. HC
  2. CO
  3. CO2
  4. NOx
(정답률: 알수없음)
  • CO2는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주지 않습니다. 다른 가스들과 달리 독성이 없으며, 대기 중에 존재하는 양이 많아도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환경 문제로 인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해머는 어느 것을 사용해야 안전한가?

  1. 타격면이 평탄한 것
  2. 타격면에 홈이 있는 것
  3. 머리가 깨어진 것
  4. 쐐기가 없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타격면이 평탄한 해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한 이유는 타격면이 평탄하면 물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타격면에 홈이 있거나 머리가 깨어진 해머를 사용하면 물체에 불균일한 압력이 가해져서 부러지거나 물체가 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쐐기가 없는 해머는 물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장에서 엔진을 이동시킬려고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1. 로프로 묶고 살며시 잡아당긴다.
  2. 지렛대를 이용하여 움직인다.
  3. 여러 사람이 들고 조용히 움직인다.
  4. 체인 블록이나 호이스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체인 블록이나 호이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은 무거운 물체를 안전하게 들어올리고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로프나 지렛대를 사용하면 물체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불안정하고 위험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들어올리는 것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에는 힘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인 블록이나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연료 주입시 주의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료탱크의 3/4까지 주입한다.
  2. 화기를 가까이 하지 않는다.
  3. 불순물이 있는 것을 주입하지 않는다.
  4. 탱크의 여과망을 통해 주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료탱크의 3/4까지 주입하는 이유는, 연료가 너무 가득 차면 탱크 내부에서 열팽창이 일어나면서 연료가 넘쳐서 불안전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3/4까지만 주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작업 중 장갑을 착용하고 해도 되는 작업은?

  1. 무거운 물건을 들어 낼 때
  2. 연삭 작업을 할 때
  3. 해머 작업을 할 때
  4. 정밀기계 작업을 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무거운 물건을 들어 낼 때"는 손이 다치거나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그러나 "연삭 작업을 할 때", "해머 작업을 할 때", "정밀기계 작업을 할 때"는 장갑이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고, 작업물의 정확성을 해치기 때문에 장갑을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안전보호구 선택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보호구 검정에 합격하고 보호성능이 보장될 것
  2. 착용이 용이하고 크기 등 사용자에게 편리할 것
  3. 작업 행동에 방해되지 않을 것
  4. 반드시 강철으로 제작되어 안전 보장형일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반드시 강철로 제작되어 안전 보장형일 것이 틀린 것입니다. 안전보호구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강철이 아닌 다른 재질로도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보호구를 선택할 때는 사용 목적과 환경에 맞는 적절한 재질과 디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그림의 안전표지판이 나타내는 것은?

  1. 안전제일
  2. 출입금지
  3. 인화성물질 경고
  4. 보안경 착용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안전표지판은 "안전제일"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구역에서는 안전이 최우선이며, 모든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구역에서 금지되거나 주의해야 할 사항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안전제일"은 해당 구역에서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원칙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설산업 현장에서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주요한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용의 불안정
  2. 작업 자체의 위험성
  3. 안전기술 부족
  4. 공사 계약의 용이성
(정답률: 알수없음)
  • 공사 계약의 용이성은 건설산업 현장에서 재해가 발생하는 주요한 원인이 아닙니다. 이는 건설 프로젝트를 계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공사 현장에서의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공사 계약의 용이성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지 않습니다.

    - 고용의 불안정: 건설산업은 프로젝트 완료 후에는 일시적인 고용이 종료되는 특성이 있어, 고용의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작업 자체의 위험성: 건설산업은 높은 고도에서의 작업, 큰 기계 및 장비 사용 등 위험한 작업이 많아 작업 자체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 안전기술 부족: 건설산업에서는 안전에 대한 교육 및 기술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작업개시전 운전자의 조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장비의 이상 유무를 작업전에 항상 점검하여야 한다.
  2. 주행로 상에 복수의 장비가 있을때는 충돌방지를 위하여 주행로 양측에 콘크리트 옹벽을 친다.
  3. 운전하는 장비의 사양을 숙지 및 고장나기 쉬운곳을 파악하여야 한다.
  4. 점검에 필요한 점검내용을 숙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행로 상에 복수의 장비가 있을 때는 충돌 방지를 위해 주행로 양측에 콘크리트 옹벽을 치는 것은, 장비 간 충돌로 인한 인명피해나 장비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오픈엔드렌치 사용 중 사용법이 틀린 것은?

  1. 볼트는 미끌리지 않도록 단단히 끼워 민다.
  2. 입(jaw)이 변형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3.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 사용하지 않는다.
  4. 조정 렌치는 아랫턱 방향으로 돌려서 사용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볼트는 미끌리지 않도록 단단히 끼워 민다."는 오픈엔드렌치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규칙 중 하나입니다. 이는 볼트를 끼울 때 올바른 각도와 힘을 사용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하면 볼트를 효과적으로 조이고, 동시에 렌치와 볼트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오픈엔드렌치 사용법 중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시가스 배관 주위에서 굴착장비 등으로 작업할 때 준수사항으로 적합한 것은?

  1. 가스배관 좌우 1m이내 에서는 장비작업을 금하고 인력으로 작업해야 한다.
  2. 가스배관 주위 50㎝ 까지는 사람이 직접 확인할 경우 굴삭기 등으로 작업할 수 있다.
  3. 가스배관 주위 30㎝ 까지는 장비로 작업이 가능하다.
  4. 가스배관 2m이내에서는 어떤 장비의 작업도 금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배관은 불안정한 물질이기 때문에, 굴착장비 등으로 작업할 경우에는 가스배관에 손상을 줄 수 있어서 인력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스배관 좌우 1m 이내에서는 장비작업을 금하고 인력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시가스가 공급되는 지역에서 지하차도 굴삭공사를 하고자 하는자는 어떤 서류를 작성하여 시· 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이 때 작성하는 서류의 명칭은?

  1. 안전관리규정
  2. 공급규정
  3. 가스안전영향평가서
  4. 기술검토서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안전영향평가서는 지하차도 굴삭공사를 하기 전에 도시가스 시설물에 대한 안전성과 영향도를 평가하는 서류이기 때문입니다. 이 서류를 작성하여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안전한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54kV 송전철탑 근접 굴착작업시 옳은 것은?

  1. 철탑이 일부 파손되어도 재질이 철이므로 안전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2. 전력선에 접촉만 되지 않도록 하여 조심하여 작업한다.
  3. 철탑부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접지선이 노출되어 단선되었을 경우라도 시설관리자에게 연락을 취한다.
  4. 철탑의 지표상 노출부와 지하매설부 위치는 다른 것을 감안하여 임의로 판단하여 작업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54kV 송전철탑은 전기를 전달하는 중요한 시설물이며, 근접 굴착작업시에는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철탑부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접지선이 노출되어 단선되었을 경우라도 시설관리자에게 연락을 취한다." 입니다. 이유는 근접 작업시에는 철탑의 일부 파손이나 전력선과의 접촉뿐만 아니라, 철탑부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접지선이 노출되어 단선되는 경우에도 안전에 대한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설관리자에게 연락하여 적절한 대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기 기기의 손상방지 대책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휴즈 단선시는 철선으로 연결하여 임시 사용한다.
  2. 휴즈 단선시는 전선으로 연결 후 계속 사용한다.
  3. 코드의 연결은 가급적 길게 한다.
  4. 휴즈 단선시는 정격 휴즈로 교체 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휴즈는 전기 기기 내부에서 과전류를 막기 위한 보호장치로 작동합니다. 만약 휴즈가 단선되어 작동하지 않는다면, 과전류가 발생하여 전기 기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휴즈가 단선되었을 경우에는 정격 휴즈로 교체하여 전기 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