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프로그래밍일반

1. A+(B*C) 를 PREFIX로 표현한 것은?

  1. +A*BC
  2. ABC*+
  3. +*ABC
  4. CBA*+
(정답률: 알수없음)
  • A+(B*C)를 PREFIX로 표현하면 연산자를 먼저 써주고, 그 다음에 피연산자를 써준다. 따라서 A+(B*C)는 +A*BC가 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PREFIX로 표현한 것을 찾는 것이므로, +A*BC와 ABC*+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ABC*+가 맞는 이유는, 연산자를 먼저 쓰고 피연산자를 쓰는 것이 PREFIX의 규칙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산자인 +가 가장 앞에 오고, 그 다음에는 *와 B, C가 차례로 나오게 되므로 ABC*+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동적 형(TYPE) 검사의 장점은?

  1. 실행되지 않는 경로 검사를 하지 않아 효율적이다.
  2. 프로그램 설계에 융통성이 있다.
  3. 형 정보유지를 위한 추가 저장소가 불필요하다.
  4.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 가능한 부분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적 형 검사는 실행 시간에 변수의 형을 검사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설계 시 형 정보를 따로 저장할 필요가 없어서 추가 저장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메모리 사용량이 줄어들고, 코드 실행 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억 장소의 이름을 의미하는 것은?

  1. 상수
  2. 변수
  3. 주석
  4. 라이브러리
(정답률: 알수없음)
  • 상수는 프로그램에서 값을 변경할 수 없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상수는 한 번 정해지면 그 값을 계속 유지하며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상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억 장소의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BNF 심볼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것은?

  1. ::=
  2. <>
  3. I
  4. -->
(정답률: 알수없음)
  • "-->"는 "정의됨"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BNF 심볼에서는 "::=" 기호를 사용하여 정의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기호는 왼쪽에 있는 심볼이 오른쪽에 있는 심볼들로 정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 B C는 A가 B와 C로 정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C 언어에서 연산자 우선 순위가 옳은 것은? (단, 오른쪽 마지막 연산자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짐.)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알수없음)
  • "+=, <<, &, ==, +, *, ++"이 옳은 연산자 우선 순위이다.

    - "+="은 대입 연산자 중에서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
    - "<<", "&", "==", "+", "*"은 모두 산술 연산자이며, 이 중에서 "<<", "&", "==", "+"는 같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 "*"는 이들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
    - "++"은 단항 연산자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 <<, &, ==, +, *, ++"이 옳은 연산자 우선 순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문 분석하여 그 문장의 구조를 트리로 표현한 것으로 루트, 중간, 단말 노드로 구성되는 트리는?

  1. 구문 트리
  2. 파스 트리
  3. 어휘 트리
  4. 문법 트리
(정답률: 알수없음)
  • 문법 트리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구문 분석 결과를 트리 구조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트리는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내며, 루트 노드는 프로그램 전체를 나타내고, 중간 노드는 구문 구조를 나타내며, 단말 노드는 구문의 최소 단위인 토큰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문법 트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절대로더의 기능별 행위 주체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기억 장소 할당-프로그래머
  2. 연결-로더
  3. 재배치-어셈블러
  4. 적재-로더
(정답률: 알수없음)
  • 재배치는 로더의 역할이며, 어셈블러는 프로그램을 어셈블링하여 오브젝트 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재배치-어셈블러는 옳지 않은 기능별 행위 주체의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C 언어 데이터 유형 가운데 가장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 것은?

  1. char
  2. int
  3. long
  4. double
(정답률: 알수없음)
  • "double"은 8바이트를 차지하며, 다른 데이터 유형들은 "char"가 1바이트, "int"가 4바이트, "long"이 4바이트 또는 8바이트를 차지하기 때문에 "double"이 가장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 데이터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번역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로 나열된 문자들을 기초적인 구성요소들인 식별자, 구분 문자, 연산기호, 핵심어, 주석 등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는?

  1. 어휘 분석
  2. 구문 분석
  3. 의미 분석
  4. 코드 생성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문자열을 단순히 나열된 문자들이 아닌 의미 있는 구성요소들로 분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문자열을 의미 있는 단위로 분해하고, 각각의 단위에 대해 그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문자열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의미 분석"이다. 따라서 정답은 "의미 분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상 기억 장치 관리기법 중 각 페이지당 두 개의 하드웨어 비트를 두어서 가장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은?

  1. FIFO
  2. OPT
  3. LRU
  4. NU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기법은 "OPT" 또는 "최적 교체" 기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각 페이지당 두 개의 하드웨어 비트를 두어서 가장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모든 페이지 요구 사항을 미리 알고 있을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기법은 실제로 구현하기 어렵지만, 이론적으로 가장 최적의 결과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간 구역성의 예가 아닌 것은?

  1. 배열 순례(array traversal)
  2. 순환(looping)
  3. 부프로그램(subprogram)
  4. 집계(totaling) 등에 사용되는 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부프로그램(subprogram)"입니다.

    시간 구역성은 프로그램에서 변수가 사용 가능한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 중 "배열 순례(array traversal)", "순환(looping)", "집계(totaling) 등에 사용되는 변수"는 모두 변수의 사용 범위가 시간적으로 제한되는 예시입니다.

    예를 들어, 배열 순례에서는 배열의 각 요소를 순서대로 접근하면서 해당 요소에 대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변수는 해당 요소의 인덱스 값이며, 순서대로 접근하므로 사용 가능한 범위가 순회하는 동안에만 제한됩니다.

    순환에서도 마찬가지로, 반복문 내에서 사용되는 변수는 해당 반복문의 범위 내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집계 등에 사용되는 변수는 여러 값을 누적하거나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변수로, 이 또한 시간적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됩니다.

    하지만 부프로그램은 함수나 메소드 등으로서, 호출될 때마다 새로운 변수가 생성되어 사용됩니다. 따라서 시간 구역성의 예시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 언어에서 데이터 형식을 규정하는 서술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 : 10진 정수
  2. %c : 문자
  3. %s : 문자열
  4. %f : 16진 정수
(정답률: 알수없음)
  • "%f : 16진 정수"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f"는 부동 소수점 실수를 나타내는 서술자이다.

    "%s : 문자열"은 문자열을 나타내는 서술자이다. 문자열은 여러 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배열이며, 문자열을 출력할 때는 "%s"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학적 수식이 "A+B"로 표현된 표기법은?

  1. PREFIX
  2. INFIX
  3. SUFFIX
  4. POSTFIX
(정답률: 알수없음)
  • "A+B" 표기법은 덧셈 연산자가 두 개의 피연산자 사이에 위치하는 중위 표기법이므로 "INFIX" 표기법이다. 그러나 "POSTFIX" 표기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위치하는 후위 표기법이므로 정답은 "POSTFI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연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정소수점(fixed point) 연산에 비해 연산절차는 단순하다.
  2.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를 계산하기에 편리하다.
  3. 고정소수점(fixed point) 연산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린다.
  4. 정규화(normaliz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동소수점 연산은 고정소수점 연산에 비해 연산 절차가 복잡하고 정규화 과정이 필요하며,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를 계산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정소수점 연산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부동소수점 연산이 소수점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 언어에서 사용되는 관계 연산자 중 "A와 B가 같지 않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1. A = > B
  2. A ! = B
  3. A < = B
  4. A <> B
(정답률: 알수없음)
  • "A <> B"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관계 연산자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A가 B보다 크다", "A와 B가 같지 않다", "A가 B보다 작거나 같다"와 같은 다른 의미를 갖습니다. 따라서 "A <> B"가 "A와 B가 같지 않다"의 의미를 갖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적 바인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실행시간
  2. 번역시간
  3. 언어구현 시간
  4. 언어정의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적 바인딩은 컴파일러가 컴파일 시간에 변수나 함수의 타입을 결정하여 실행 파일에 포함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번역시간"과 "언어구현 시간"은 정적 바인딩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실행시간"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에 변수나 함수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동적 바인딩에 해당하며, 정적 바인딩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언어정의 시간"은 언어 자체의 정의와 관련된 것으로, 바인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적 바인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실행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상향식(bottom-up) 파서에 해당하는 것은?

  1. Predictive parser
  2. LL parser
  3. Recursive descent parser
  4. Shift reduce parser
(정답률: 알수없음)
  • LL parser는 상향식 파서 중 하나이며, 입력 문자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들이면서 가장 왼쪽에 있는 비터미널 심볼부터 차례대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파싱을 수행합니다. 이 때, 다음에 올 심볼을 미리 예측하여 파싱 테이블을 구성하므로 "Predictive parser"라고도 불립니다. 따라서 LL parser는 상향식 파서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문장이나 식과 같은 구문적인 단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문적 요소는?

  1. 주석
  2. 리스트
  3. 연산자
  4. 구분 문자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자는 수학적인 계산이나 비교, 논리 연산 등을 수행하는 구문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문적인 단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연산의 대상이 되는 값들을 구분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산자가 주어진 보기 중에서 구문적인 단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요소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모듈화된 기억장치의 주소를 한개의 기억장치에만 집중시키지 않고 여러 기억장치의 모듈에 분산시켜서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은?

  1. 인터페이스(interface)
  2. 인터리빙(interleaving)
  3. 인터럽트(interrupt)
  4. 스래싱(thrashing)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리빙은 여러 모듈로 분산된 기억장치의 주소를 번갈아가며 접근하는 방식으로, 한 모듈에서만 처리하는 것보다 여러 모듈을 동시에 사용하여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지 중에서 인터리빙이 정답이다.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을 위한 접점을 의미하며, 인터럽트는 프로세스가 실행 중에 다른 프로세스나 하드웨어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는 것을 말한다. 스래싱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프로세스가 지나치게 많은 페이지 폴트(page fault)를 발생시켜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비용
  2. 처리 능력
  3. 반환 시간
  4. 사용 가능도
(정답률: 알수없음)
  • 반환 시간은 프로세스가 시작되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결과를 받아볼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으로, 사용자의 만족도와 직결되는 중요한 성능 평가 항목입니다. 비용, 처리 능력, 사용 가능도는 모두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항목이지만, 사용자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과를 얼마나 빨리 받을 수 있는지인 반환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21. 명령어 형식 가운데 모든 명령어의 처리가 누산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명령어 형식은?

  1. zero-address instruction
  2. one-address instruction
  3. two-address instruction
  4. three-address instruction
(정답률: 알수없음)
  • 누산기를 포함하여 총 3개의 주소를 사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명령어 형식이기 때문에 "three-address instruc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에서 수치 자료에 대한 부동 소수점 표현(floating point representation)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고정 소수점 표현보다 표현의 정밀도를 높일 수있다.
  2. 아주 작은 수와 아주 큰 수의 표현에는 부적합하다.
  3. 수 표현에 필요한 자리수에 있어서 효율적이다.
  4. 과학이나 공학 또는 수학적인 응용에 주로 사용되는 수 표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 표현에 필요한 자리수에 있어서 효율적이다는 것은 부동 소수점 표현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고정 소수점 표현과 달리 소수점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수와 작은 수 모두를 표현할 수 있으며, 더 정밀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 표현에 필요한 자리수에 있어서 효율적이다."가 아닌 것이 부동 소수점 표현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조합 논리 회로는?

  1. 멀티플렉서
  2. 레지스터
  3. 카운터
  4. RAM
(정답률: 알수없음)
  • 조합 논리 회로는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이 결정되는 회로이며, 입력값이 같으면 항상 같은 출력값을 가지는 회로이다. 이 중에서 RAM은 입력값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값이 같아도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출력값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RAM은 조합 논리 회로 중에서 유일하게 입력값과 출력값이 일치하지 않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소프트웨어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를 알아내는 방법은?

  1. 점프(jump)
  2. 폴링(polling)
  3. 인터럽트 벡터
  4. 데이지 체인(daisy chain)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지 체인은 인터럽트 컨트롤러에서 여러 개의 인터럽트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방식으로, 각 인터럽트 장치가 연결된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처리합니다. 이 방식은 각 장치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면 그 다음 장치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하고, 마지막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장치로 전달되어 처리됩니다. 따라서 데이지 체인을 사용하면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 제어장치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interrupt의 발생
  2. 입Χ출력 장치의 제어
  3. 산술논리 연산의 실행 지시
  4. 주기억장치에 data의 Read 와 Write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억장치에 data의 Read와 Write는 컴퓨터 제어장치의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 기능은 CPU가 주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쓰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interrupt의 발생, 입Χ출력 장치의 제어, 산술논리 연산의 실행 지시는 모두 컴퓨터 제어장치의 기능입니다. interrupt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이며, 입Χ출력 장치의 제어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기능입니다. 산술논리 연산의 실행 지시는 CPU가 수행해야 할 계산을 지시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메모리 인터리빙(interleaving) 방법의 사용 목적이 되는 것은?

  1.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 증대
  2. 기억 용량의 증대
  3. 입ㆍ출력 장치의 증설
  4. 전력 소모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메모리 인터리빙 방법은 여러 개의 메모리 모듈을 동시에 사용하여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메모리 액세스 속도를 높이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 증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명령 코드의 비트는 번지 필드(field)를 가지고 있다. 이 번지 필드의 기능은?

  1. 누산기를 지정한다.
  2. 오퍼랜드를 선택할 수 있다.
  3. 레지스터를 지정할 수 있다.
  4. 수행할 동작을 명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명령 코드의 번지 필드는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올 때 해당 명령어가 어디서부터 시작하는지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수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알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해당 명령어의 비트를 해석하여 수행할 동작을 명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수행할 동작을 명시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계산 도중 연산장치에서 계산된 중간 결과를 보존하는 곳은?

  1. address register
  2. accumulator
  3. parallel adder
  4. instruction register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장치에서 계산된 중간 결과를 보존하는 곳은 accumulator입니다. 이는 연산장치에서 수행되는 대부분의 연산이 accumulator를 기반으로 수행되기 때문입니다. 즉, accumulator는 연산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레지스터 중 하나이며, 계산된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연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기억장치의 제한된 용량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서 하드디스크가 주기억장치인 것처럼 사용하는 메모리는?

  1. Volatile Memory
  2. Cache Memory
  3. Virtual Memory
  4. Associative Memor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olatile Memory"입니다. 이는 주기억장치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지만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장기간 보존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저장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Compiler Language나 Assembly Language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지칭할 때 옳은 것은?

  1. Assembler
  2. Object Program
  3. Source Program
  4. Operating System Progra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Operating System Program"입니다.

    Assembler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Object Program은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번역한 결과물을 말합니다. Source Program은 원시 코드를 작성한 소스코드를 말하며, Compiler Language나 Assembly Language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Operating System Program은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이는 Compiler Language나 Assembly Language로 작성된 프로그램일 수도 있지만, 다른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이므로, 이러한 프로그램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터럽트를 요청한 I/O 장치가 자신의 서비스 루틴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정보를 가르쳐 주는 인터럽트는?

  1. I/O 인터럽트
  2. Nonvectored 인터럽트
  3. Vectored 인터럽트
  4.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입니다.

    I/O 인터럽트는 I/O 장치에서 발생한 인터럽트를 의미하며, Nonvectored 인터럽트와 Vectored 인터럽트는 인터럽트 처리 방식에 대한 구분입니다.

    반면에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는 프로그램이 직접 호출하는 인터럽트로, I/O 장치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I/O 장치의 서비스 루틴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binary 연산을 표시하는 것은?

  1. Complement
  2. shift
  3. AND
  4. Rotate
(정답률: 알수없음)
  • Rotate는 비트를 회전시키는 연산으로, 다른 연산들과는 달리 비트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비트를 순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다른 연산들과는 구분되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Rotate가 정답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패리티 비트의 최대 오차 검출 능력은?

  1. 1개
  2. 2개
  3. 5개
  4. 8개
(정답률: 알수없음)
  • 패리티 비트는 홀수 개의 비트 오류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 오차 검출 능력은 2개입니다. 만약 3개 이상의 비트 오류가 발생하면, 패리티 비트는 이를 검출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01010101, B=10101010 일때 A와 B의 불곱(boolean product)은?

  1. 00000000
  2. 01010101
  3. 10101010
  4. 11111111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의 불곱(boolean product)은 각 자리수를 곱한 결과이다. 0과 1을 곱하면 항상 0이 나오므로, A와 B의 각 자리수를 곱한 결과는 모두 0이다. 따라서 A와 B의 불곱은 모든 자리수가 0인 "00000000"이 된다. "11111111"은 보기에서 제시된 답 중에서 A와 B의 불곱이 아닌, 모든 자리수가 1인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2진수 0.101을 십진수로 나타내면?

  1. 0.2
  2. 0.35
  3. 0.5
  4. 0.625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 0.101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0.101 = 1 x 2^(-1) + 0 x 2^0 + 1 x 2^(-2) = 0.5 x 1 + 0.25 x 0 + 0.125 x 1 = 0.625

    즉, 2진수 0.101은 십진수로 0.625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명령어 사이클(Instruction Cycle)이 아닌 것은?

  1. Fetch Cycle
  2. Control Cycle
  3. Indirect Cycle
  4. Interrupt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Control Cycle은 컴퓨터의 명령어 사이클 중 하나가 아닙니다. 명령어 사이클은 Fetch Cycle, Indirect Cycle, Interrupt Cycle 등이 있지만, Control Cycle은 없습니다. Control Cycle은 컴퓨터의 제어 유닛이 수행하는 작업을 일컫는 용어로, 명령어 사이클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보기의 ( )안에 알맞은 말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①디코더 ②주소 ③누산기
  2. ①명령어 ②디코더 ③시퀀스
  3. ①명령어 ②누산기 ③주소
  4. ①시퀀스 ②주소 ③디코더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컴퓨터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먼저 CPU에서는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하기 위해 시퀀스(순서)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명령어에서 필요한 데이터나 연산을 하기 위해 해당하는 주소를 찾아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주소입니다. 마지막으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해 디코더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시퀀스 ②주소 ③디코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Karnaugh 도표를 간략화 하면?

  1. xz
  2. xzy
  3. x+y+z
  4. xy+y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떤 명령(Instruction)이 수행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1. MBR の PC
  2. PC の PC+1
  3. IR の MBR
  4. MAR の PC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PC의 PC+1"이다. 이는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PC(Program Counter) 값을 1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명령어의 실행이 끝나면 PC 값을 1 증가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스트럭션 세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억공간
  2. 사용빈도
  3. 레지스터의 종류
  4. 주기억장치 밴드 폭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억공간은 인스트럭션 세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인스트럭션 세트는 기억공간에 저장되어 있으며, 기억공간의 크기와 구성은 인스트럭션 세트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억공간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마이크로전자계산기

41.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소의 개념이 없는 메모리로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자료에 접근하는 메모리이다.
  2. 병렬판독회로가 추가되어야 함으로 하드웨어 비용이 크다.
  3. 가상기억 장치의 어드레스 탐색에 이용된다.
  4. 대표적인 DRO(Destructive Read Out) 메모리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CAM은 주소의 개념이 없는 메모리로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자료에 접근하는 메모리이며, 가상기억 장치의 어드레스 탐색에 이용됩니다. 하지만 CAM은 DRO가 아닌 NOR(Non-Destructive Read Out) 메모리입니다. 따라서 "대표적인 DRO(Destructive Read Out) 메모리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터럽트 발생 요인이 아닌 것은?

  1. 정전
  2. 서브루틴 콜
  3. 입ㆍ출력
  4. 에러(error)의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입ㆍ출력은 인터럽트 발생 요인이 아닙니다. 인터럽트는 CPU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주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의해 일어납니다. 반면에 입ㆍ출력은 CPU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작업을 말하며, 이는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CPU가 직접 처리합니다. 따라서 입ㆍ출력은 인터럽트 발생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의 회로가 나타내는 것은?

  1. Memory Cell
  2. ROM(Read Only Memory)
  3. PLA(Programmable Logic Array)
  4. Magnetic Core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Magnetic Core Memory(자기 코어 메모리)를 나타냅니다. Magnetic Core Memory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사용되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자기 코어 메모리의 기본 구성 요소인 자기 코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서브루틴(subroutine) 분기시 저장(save)되는 내용이 아닌것은?

  1.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
  2. CPU 레지스터의 내용
  3. 스택 메모리의 내용
  4. 상태 조건의 내용
(정답률: 알수없음)
  • 서브루틴 분기시 CPU 레지스터의 내용은 저장되지 않습니다. 서브루틴 호출시에는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이 저장되어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 주소를 보존하고, 스택 메모리의 내용은 호출한 함수에서 사용하는 지역 변수와 매개 변수를 보존합니다. 또한 상태 조건의 내용은 호출한 함수에서 사용하는 플래그 값을 보존합니다. CPU 레지스터의 내용은 서브루틴 호출 전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회로도 등의 도형을 그리기 위한 입력 장치로 적합한 것은?

  1. 키보드
  2. 라이트 펜
  3. 플로터
  4. 디지타이저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타이저는 펜이나 커서를 사용하여 실제 도형이나 그림을 그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회로도 등의 도형을 그리기에 적합합니다. 키보드는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는 데 적합하고, 라이트 펜은 그림을 그리는 데 적합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회로도 등의 정교한 도형을 그리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플로터는 출력 장치로, 이미 그려진 도형을 출력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료자신이라고 불리는 주소지정 방식으로 명령의 operand 부분에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어 메모리 참조를 하지 않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은?

  1. implied addressing mode
  2. indexed addressing mode
  3. relative addressing mode
  4. immediate addressing mode
(정답률: 알수없음)
  • "immediate addressing mode"는 명령어의 operand 부분에 직접 데이터 값을 기록하여 처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메모리 참조를 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 빠른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MODEM 이란?

  1. 변조장치
  2. 복조장치
  3. 변조 및 복조장치
  4. 동기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MODEM은 "Modulator-Demodulator"의 약자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변조 및 복조장치"가 정답입니다. 이를 통해 인터넷이나 전화 등의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변조장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기능을, "복조장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동기장치"는 데이터 전송 시간을 동기화하는 장치로, MODEM의 일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처리 프로그램과 관계가 먼 것은?

  1. Editor
  2. Loader
  3. Monitor
  4. Assembler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말하는데, 이와 관련된 것은 Loader와 Assembler입니다. Monitor는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Editor는 텍스트 편집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데이터 처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Edit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65,536워드(word)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가 있다. 프로그램 카운터(PC)의 비트 수는?

  1. 64
  2. 32
  3. 16
  4. 8
(정답률: 알수없음)
  • 65,536워드는 2의 16승과 같으므로,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기 위해 16비트가 필요하다. 프로그램 카운터(PC)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중 하나이므로, PC의 비트 수는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16비트와 동일하다. 따라서 정답은 "16"이 아닌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하나의 프로세스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여러개의 subprocess로 나누어 각 subprocess가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취급하도록 하는 기법은?

  1. firmware
  2. pipeline processing
  3. parallel processing
  4. bit-sliced processin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arallel processing"입니다. 이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여러 개의 subprocess로 분할하여 각 subprocess가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억장치에서 번지가 지정된 내용은 어느 버스를 통해 CPU로 가는가?

  1. 제어 버스
  2. 데이터 버스
  3. address 버스
  4. I/O 포트 버스
(정답률: 알수없음)
  • 번지가 지정된 내용은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는 정보이므로, CPU가 해당 주소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버스는 address 버스이다. 다른 버스들은 제어 신호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CPU의 상태를 프로그램에 의해 알수가 있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Indirect addressing
  2. Fetch
  3. Status flag
  4. Parity
(정답률: 알수없음)
  • CPU의 상태를 프로그램에 의해 알 수 있는 것을 "Status flag"라고 한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Fetch"이다. 이는 CPU가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오는 과정을 의미하는데,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을 "Fetch"라고 한다. 따라서 CPU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Fetch 과정을 통해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파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스트럭션을 읽은 후 이를 해석해 각각의 인스트럭션에 해당하는 일을 수행토록 하는 회로는?

  1. 연산회로
  2. 제어회로
  3. 레지스터
  4. 인터페이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스트럭션을 읽고 해당하는 일을 수행하는 회로는 제어회로이다. 제어회로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한 회로로, 인스트럭션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연산회로나 레지스터에 전달한다. 그 중에서도 인스트럭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레지스터가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레지스터"이다. 인터페이스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2진수 10011000의 2의 보수(2'S complement)는?

  1. 01100111
  2. 10011001
  3. 01101000
  4. 10010001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 10011000의 2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1의 보수를 구한 후 1을 더해주면 된다. 1의 보수는 각 자리수를 반전시키는 것이므로 01100111이 된다. 이에 1을 더해주면 01101000이 되어 정답은 "0110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특정의 비트를 삭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산은?

  1. OR 연산
  2. AND 연산
  3. 보수 연산
  4. MOVE 연산
(정답률: 알수없음)
  • MOVE 연산은 특정 비트를 삭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다른 비트를 이동시켜 삭제하려는 비트를 덮어쓰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OR 연산, AND 연산, 보수 연산은 비트를 조작하는 다른 방법들이지만, 특정 비트를 삭제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터럽트가 받아들여 졌을때 프로그램 카운터(PC)에 적재되는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1. Interrupt Flag
  2. Interrupt vector
  3. Interrupt Priority
  4. Interrupt service routine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실행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으로 분기합니다. 이때 CPU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ISR을 실행하기 위한 주소를 PC(Program Counter)에 적재합니다. 이때 PC에 적재되는 값은 인터럽트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Interrupt Priorit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마이크로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정 배선제어 방법과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방식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에 필요한 제어기능을 마이크로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 특정 메모리에 기억시켜 제어하는 방식을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이라 한다.
  2.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은 사용하는 Logic이 규칙적이므로 LSI화에 적합하다.
  3.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은 기능의 추가, 변경시 Control Storage에 기억된 Program의 수정만으로 가능하다.
  4.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은 고정 배선 제어에 비해 고속의 제어가 가능하지만 융통성이 부족해 개발 수정이 용이하지 못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은 고정 배선 제어에 비해 고속의 제어가 가능하지만 융통성이 부족해 개발 수정이 용이하지 못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은 기능의 추가, 변경시 Control Storage에 기억된 Program의 수정만으로 가능하다. 이는 융통성이 뛰어나며, 개발 수정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은 고정 배선 제어에 비해 고속의 제어가 가능하지만 융통성이 부족해 개발 수정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한다.
  2.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컴퓨터가 특정한 업무 처리를 하기 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4. 운영체제, 어셈블러,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한다."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컴퓨터가 특정한 업무 처리를 하기 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운영체제, 어셈블러,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등이 대표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컴퓨터가 어떤 프로그램을 수행 중 인터럽트 요구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취하는 동작은?

  1. 컴퓨터는 Help Sign을 보낸다.
  2. 모든 동작을 일시에 중지한다.
  3. 즉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Jump 한다.
  4. 현재의 수행 중인 명령을 끝내고, 현재 상태를 보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 요구가 발생하면 컴퓨터는 현재 수행 중인 명령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이동하여 해당 요구를 처리합니다. 그러나 이때 중요한 것은 현재 수행 중인 명령을 끝까지 실행하고, 현재 상태를 보관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도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수행 중인 명령을 끝내고, 현재 상태를 보관한다."가 가장 먼저 취하는 동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static RAM에 관한 설명이다.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refresh 회로가 필요 없다.
  2. 메모리 집적도가 Dynamic RAM보다 높다.
  3.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내용을 유지한다.
  4. 속도가 Dynamic RAM보다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refresh 회로가 필요 없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static RAM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논리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지만, 데이터를 저장하는 셀이 적어서 refresh 회로가 필요 없다는 것은 아니다. Static RAM도 일정 주기마다 refresh를 해주어야 하며, 이를 위한 refresh 회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논리회로

61. 다음의 단순화된 불 함수는?

  1. 반가산기
  2. 전가산기
  3. 인코더
  4. 감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불 함수는 입력값 중 가장 높은 자리수의 1의 위치를 찾아서 해당 위치를 출력값으로 반환하는 함수이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인코더의 동작 방식과 유사하므로 정답은 "인코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회로의 기능은?

  1. 4비트 가산기
  2. 4비트 크기 비교기
  3. 4비트 홀수 패리티 체커(CHECKER)
  4. 4비트 짝수 패리티 체커(CHECKE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4비트 데이터에 대해 짝수 패리티를 검사하는 체커입니다. 입력된 4비트 데이터의 각 비트를 XOR 연산하여 그 결과가 짝수인지 홀수인지 판단하고, 결과에 따라 출력값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의 기능은 "4비트 짝수 패리티 체커(CHECK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아래 조합논리회로의 명칭은?

  1. 2×1 decoder
  2. 2×1 multiplexer
  3. 4×1 encoder
  4. 2×1 demultiplexe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조합논리회로는 4개의 입력선 중 하나의 입력선만을 선택하여 출력선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4×1 encoder"로 명칭되며, 다른 보기들과는 출력선의 개수와 입력선의 선택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용량이 1024 어(Word)인 기억 시스템에서 2진수로 된 번지(Address) 어는 몇 비트가 되어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1024 어는 2의 10승과 같으므로, 10비트가 필요하다. 이는 2진수로 된 번지(Address) 어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10"이 아닌 "5"이다. 이유는 2진수로 된 번지(Address) 어는 바이트(Byte) 단위가 아닌 비트(Bit) 단위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10비트는 2의 10승인 1024개의 번지를 나타내지만, 5비트는 2의 5승인 32개의 번지를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2진 코드 1111을 그레이(Gray Code) 코드로 변환하면?

  1. 1111
  2. 1000
  3. 0000
  4. 1001
(정답률: 알수없음)
  •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비트 차이가 1인 코드를 말합니다. 따라서 1111과 1000은 인접한 두 수이며, 비트 차이가 1입니다. 1111을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면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1111의 두 번째 비트와 1000의 두 번째 비트는 다르므로, XOR 연산을 수행하면 1이 됩니다. 세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수행하면 1이 나오므로, 그대로 둡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비트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수행하면 0이 나오므로, 0으로 둡니다. 따라서 1111을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면 1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표는 J-K 플립플롭의 여기표(excitation table)이다. A, B, C, D는 각 각 어떻게 표시되는가? (단, d는 무정의 조건(don't care condition)이다.)

  1. A=0, B=d, C=d, D=0
  2. A=1, B=1, C=d, D=d
  3. A=1, B=d, C=d, D=1
  4. A=d, B=1, C=1, D=d
(정답률: 알수없음)
  • J-K 플립플롭의 여기표에서 J=K=1일 때, Q의 값이 0에서 1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A=1, D=1이 되어야 한다. 나머지 입력값들은 d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어떤 값이 들어와도 상관이 없다. 따라서 B와 C는 d로 표시된다. 따라서 정답은 "A=1, B=d, C=d, D=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과 같은 논리 회로의 출력 Y는?

  1. AB+AB
  2. (A+B)AB
  3. AB(A+B)
  4. (A+B)(A+B)
(정답률: 알수없음)
  •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진 논리 회로이다. 입력 A와 B가 AND 게이트를 통과하여 AB가 되고, 입력 A와 B가 OR 게이트를 통과하여 A+B가 된다. 이후 AB와 A+B가 AND 게이트를 통과하여 출력 Y가 결정된다. 따라서 출력 Y는 AB(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과 같은 회로의 출력은?

  1. A+BC
  2. AB+C
  3. ABC
  4. A+B+C
(정답률: 알수없음)
  •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진 이 회로에서, A와 B가 AND 게이트를 통과하고, 그 결과와 C가 OR 게이트를 통과한다. AND 게이트는 두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되므로, A와 B가 모두 참일 때만 AND 게이트의 출력이 참이 된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이면 출력이 참이 되므로, A와 B 중 하나 이상이 참이거나 C가 참일 때 OR 게이트의 출력이 참이 된다. 따라서, A+B+C가 이 회로의 출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Toggling 상태를 이용한 플립-플롭 형태는?

  1. RS 플립-플롭
  2. D 플립-플롭
  3. JK 플립-플롭
  4. T 플립-플롭
(정답률: 알수없음)
  • T 플립-플롭은 Toggling 상태를 이용하여 출력을 반전시키는 플립-플롭이다. T 입력이 1일 때 이전 출력 상태를 반전시키고, T 입력이 0일 때 이전 출력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T 플립-플롭은 입력이 바뀔 때마다 출력을 반전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Toggling 상태를 이용한 플립-플롭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5bit 2진(binary) 카운터가 00000 상태에서 계수를 시작한다고 가정하면 144개의 펄스가 입력된 후 계수 상태는 어떤 상태인가?

  1. (00000)2
  2. (11111)2
  3. (10000)2
  4. (00001)2
(정답률: 알수없음)
  • 5bit 2진 카운터는 00000 상태에서 시작하므로, 1번의 펄스 입력으로 00001이 되고, 2번의 펄스 입력으로 00010이 되고, 이와 같이 144번의 펄스 입력 후에는 10010000 상태가 된다. 이진수에서 10010000은 144를 2진수로 나타낸 것과 같다. 따라서 계수 상태는 "(10010000)2"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1111)2"이다. 이는 5bit 2진 카운터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는 이진수이다. 5bit 2진 카운터는 00000부터 시작하여 11111까지 계수할 수 있으므로, 144번의 펄스 입력 후에는 최대값인 "(11111)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입력이 모두 0(low)일 때만 출력이 1(high)로 나오는 게이트는?

  1. AND 게이트
  2. NAND 게이트
  3. OR 게이트
  4. NOR 게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NOR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이다. 이는 OR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킨 것과 같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지만, N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0이 된다. 따라서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NOR 게이트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BCD counter가 0111 상태에 있다. counter가 reset 된 후 몇 개의 pulse가 공급되었는가?

  1. 3
  2. 6
  3. 7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BCD counter가 0111 상태에서 reset 되면 0000 상태가 된다. 따라서 0000부터 1011까지 12개의 pulse가 공급되어야 BCD counter가 다시 0111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멀티플렉서 64개의 입력을 제어하기 위해 몇 개의 선택선이 필요한가?

  1. 4
  2. 6
  3. 16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64개의 입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2의 몇 제곱수인 선택선이 필요하다. 2^6 = 64 이므로 6개의 선택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선택선의 개수를 묻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선택선의 개수를 묻는 것이므로, 6개의 선택선을 가진 64:1 멀티플렉서를 사용한다면 64개의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선택선의 개수는 6개가 아니라 6개 중에서 2개씩 묶어서 3개의 선택선으로 구성된 2:1 멀티플렉서를 3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필요한 선택선의 개수는 3개가 아니라 3개씩 묶어서 2개의 선택선으로 구성된 2:1 멀티플렉서를 3개 사용하면 되므로 2 x 2 x 2 = 8개의 선택선이 필요하다. 이때 8개의 선택선 중에서 2개씩 묶어서 4개의 선택선으로 구성된 2:1 멀티플렉서를 사용하면 64개의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Shift Counter Code(Johnson Code)는 몇 개의 비트를 사용하는가?

  1. 4
  2. 5
  3. 6
  4. 8
(정답률: 알수없음)
  • Shift Counter Code(Johnson Code)는 입력된 비트 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8비트를 사용한다. 이는 8비트로 표현하면 256개의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8진수 224를 2진수로 변환하면?

  1. 010010100
  2. 010010101
  3. 010010110
  4. 010010111
(정답률: 알수없음)
  • 8진수 224는 2진수로 변환하면 1000 1000이 됩니다. 이를 두 자리씩 끊어서 2진수로 나타내면 10 00 10 00이 됩니다. 이를 다시 합치면 01001000이 되는데, 이는 보기 중에서 "010010101"와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010010101"이 아닌 다른 보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10진수 22를 3초과 코드(Execss-3 code)로 변환한 것은?

  1. 0101 0101
  2. 1011 1100
  3. 0011 1011
  4. 1100 1100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22를 3초과 코드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2 = 3 x 7 + 1

    따라서, 22을 3초과 코드로 변환한 결과는 "1100 1100" 입니다. 이유는 22를 3으로 나눈 몫이 7이고 나머지가 1이므로, 7을 3초과 코드로 변환한 "1100"을 두 번 연속해서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아래 게이트 회로의 명칭은?

  1. EXCLUSIVE-OR
  2. AND
  3. NOR
  4. NAND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게이트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둘 다 참일 때에만 출력이 참이 되는 AND 게이트이다. 입력 A와 B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출력이 거짓이 되므로 EXCLUSIVE-OR이 아니다. NOR과 NAND는 입력이 모두 거짓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반면, AND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므로 NOR과 NAND도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AN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RS-플립플롭의 동작 상태 중 옳지 않은 것은?

  1. S=0, R=0 이면 전상태 유지
  2. S=0, R=1 이면 리셋
  3. S=1, R=0 이면 셋
  4. S=1, R=1 이면 리셋
(정답률: 알수없음)
  • RS-플립플롭의 동작 상태 중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S=1, R=1 이면 리셋"인 이유는 S와 R이 모두 1인 상태에서는 어떤 상태로도 안정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태를 "미정 상태" 또는 "메타스터블 상태"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S와 R 중 하나는 반드시 0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회로의 기능은?

  1. 반가산기 회로
  2. 병렬 2진 가산 회로
  3. 3비트의 합(SUM)을 구하는 회로
  4. 전가산기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두 개의 반가산기 회로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2개의 2진수를 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병렬 2진 가산 회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3×8 디코더를 설계할 때 몇 개의 AND 게이트가 필요한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3×8 디코더는 3개의 입력선과 8개의 출력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출력선은 입력선의 조합에 따라서만 활성화되므로, 각 출력선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입력선들의 조합을 판별하는 AND 게이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총 3×8=24개의 AND 게이트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각 출력선은 하나의 입력선만 활성화되므로, 각 출력선에 대한 AND 게이트는 3개의 입력선 중에서 하나만을 선택하면 됩니다. 따라서, 총 8개의 AND 게이트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기(DTE)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할 때 따르는 규정을 정의한 프로토콜은?

  1. X.21
  2. X.25
  3. HDLC
  4. RS-232C
(정답률: 알수없음)
  • HDLC는 데이터 단말기(DTE)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HDLC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 구조와 제어 프레임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HDL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서로 관련성이 먼 것은?

  1. ENIAC - 최초의 컴퓨터
  2. SAGE - 상업용 위성통신 시스템
  3. SABRE - 항공기 좌석예약 응용
  4. ALOHANET - 최초의 패킷 무선망
(정답률: 알수없음)
  • "SAGE - 상업용 위성통신 시스템"은 다른 것들이 컴퓨터와 네트워크와 관련된 기술이나 시스템인 반면, 위성통신과 관련된 기술이기 때문에 서로 관련성이 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정보통신시스템의 통신회선 종단에 위치한 신호변환장치 중 디지털 전송로에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이 가능한 장치는?

  1. 지능 모뎀
  2. 음향결합기
  3. 코덱
  4.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
(정답률: 알수없음)
  • 코덱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전송로에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코덱은 정보통신시스템의 통신회선 종단에 위치한 신호변환장치 중 디지털 전송로에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발신가입자로부터 수신자까지의 모든 전송, 교환 과정이 디지털방식으로 처리되며, 음성과 비음성, 영상 등의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통신망은?

  1. PSDN
  2. VAN
  3. ISDN
  4. PSTN
(정답률: 알수없음)
  •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음성, 데이터,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하는 통신망입니다. 따라서 발신가입자로부터 수신자까지의 모든 전송, 교환 과정이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SDN은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VAN은 Value Added Network, PSTN은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약자로, 이들은 ISDN과는 다른 통신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브로드밴드의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ASK
  2. QAM
  3. FSK
  4. PCM
(정답률: 알수없음)
  •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PCM은 브로드밴드의 변조방식이 아니며, 나머지 세 가지 방식인 ASK, QAM, FSK는 모두 브로드밴드의 변조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TV 신호의 주사선 틈을 이용해서 문자나 도형정보를 방송 하고 시청자들이 단말기, 어댑터 등의 장치를 이용해서 TV 화면으로 그 내용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는?

  1. 텔리텍스트
  2. 비디오텍스
  3. CATV
  4. HDTV
(정답률: 알수없음)
  • 텔리텍스트는 TV 신호의 주사선 틈을 이용하여 문자나 도형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이용하여 시청자들은 단말기나 어댑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TV 화면으로 해당 내용을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텔리텍스트가 주어진 보기 중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데이터교환방식 중에서 128[byte] 혹은 256[byte] 등 일정 길이의 전송단위로 정보를 나누어 전송하는 것은?

  1. 회선교환
  2. 메시지교환
  3. 패킷교환
  4. 축적교환
(정답률: 알수없음)
  • 축적교환은 일정 길이의 전송단위로 정보를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 블록들을 모아서 전체 데이터를 복원합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실시간 통신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진오류수정(Forward Error Correction)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역채널이 필요하다.
  2. 연속적인 데이터의 흐름이 가능하다.
  3. ARQ에 비해 기기와 코딩이 더복잡하다.
  4. 잉여비트들이 데이터시스템 효율의 개선을 저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잉여비트들이 데이터시스템 효율의 개선을 저해한다. - 전진오류수정은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일부 추가 정보를 포함시켜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법이다. 이 때 추가 정보를 위해 일부 잉여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송할 데이터양이 증가하게 되어 데이터시스템의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통신제어장치의 역할은?

  1. 데이터 전송의 특성을 변조시킨다.
  2.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과정을 제어하고 감시한다.
  3. 수신신호에서 아이 패턴을 복조한다.
  4. 통신회선을 거쳐온 전송신호를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제어장치는 통신회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과정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수신신호에서 아이 패턴을 복조하는 이유는, 아이 패턴은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삽입된 신호로, 이를 복조하여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신제어장치는 수신신호에서 아이 패턴을 복조하여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데이터 통신에 의한 실시간 처리 형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오프라인 처리
  2. 온라인 배치 처리
  3. 온라인 리얼타임 처리
  4. 오프라인 리얼타임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라인 처리는 데이터를 미리 모아서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처리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처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에 의한 실시간 처리 형태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프라인 처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정보에 대하여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인간 또는 기계가 감지할 수 있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형식화한 것이다.
  2. 멀리 떨어져 있는 입·출력장치와 컴퓨터가 서로주고 받는 것이다.
  3. 여러가지 데이터를 처리 후, 특정 목적 수행을 위하여 체계화한 것이다.
  4. 기계와 기계 사이에 전달되는 일체의 기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는 인간 또는 기계가 감지할 수 있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형식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동기식 전송방식 중 비트지향성(bit oriented) 방식의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HDLC
  2. ADCCP
  3. BSC
  4. SDLC
(정답률: 알수없음)
  • ADCCP는 바이트 지향성(byte oriented) 프로토콜이므로 비트 지향성 방식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비트 지향성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ISDN 채널의 종류와 전송속도의 관계가 잘못된 것은?

  1. B채널 : 16[kbps]
  2. D채널 : 64/16[kbps]
  3. Ho채널 : 384[kbps]
  4. H11채널 : 1536[Kbp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채널 : 16[kbps]"입니다.

    ISDN 채널은 B채널, D채널, Ho채널, H11채널 등이 있으며, 각 채널의 전송속도는 다릅니다. B채널은 64[kbps]의 전송속도 중 48[kbps]를 음성통화에 사용하고, 나머지 16[kbps]는 제어정보에 사용합니다. D채널은 64[kbps]의 전송속도 중 16[kbps]를 제어정보에 사용하고, 나머지 48[kbps]를 데이터 전송에 사용합니다. Ho채널은 384[kbps]의 전송속도로, 30개의 B채널을 묶어서 사용합니다. H11채널은 1920[kbps]의 전송속도 중 1536[kbps]를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고, 나머지 384[kbps]를 제어정보에 사용합니다.

    따라서, H11채널의 전송속도는 1536[kbps]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LAN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음성, 데이터, 화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2. LAN 프로토콜은 OSI 참조모델의 상위층에 해당된다.
  3. 전송방식으로 베이스밴드와 브로드밴드 방식이 있다.
  4. 광케이블 및 동축케이블도 사용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케이블 및 동축케이블도 사용 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이다. LAN은 일반적으로 UTP 케이블을 사용하며, 광케이블 및 동축케이블은 LAN에서 사용되지만 일반적이지는 않다. 광케이블은 주로 광대역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동축케이블은 예전에는 LAN에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데이터 전송시 에러검출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1. 플래그(Flag) 비트
  2. 패리티 체크(Parity Check) 비트
  3. 시프트(Shift) 비트
  4. 시작 및 정지비트
(정답률: 알수없음)
  • 패리티 체크 비트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비트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이진수 값 중에서 0 또는 1의 개수를 짝수 또는 홀수로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생성됩니다. 수신측에서는 전송된 데이터의 패리티 비트와 실제 데이터의 패리티 비트를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리티 체크 비트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정보통신 관련 국제적인 권고규정을 제정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약자는?

  1. NBS
  2. EIA
  3. ITU
  4. IT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TU"입니다. ITU는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약자로, 정보통신 분야에서 국제적인 권고규정을 제정하는 국제기구입니다. NBS는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EIA는 Electronic Industries Alliance, ITT는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OSI 참조 모델 계층 가운데 암호화, 데이터압축, 코드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응용계층
  2. 표현계층
  3. 세션계층
  4. 네트워크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응용계층은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형식을 결정하고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암호화, 데이터압축, 코드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메일의 내용을 암호화하거나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응용계층에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단류 NRZ 방식
  2. 복류 NRZ 방식
  3. Bipolar 방식
  4. DSB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단류 NRZ 방식은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이 아니라,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되는 라인 코딩 방식 중 하나입니다.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단류 NRZ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단류 NRZ 방식"은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변환하여 신호를 얻는 변조방식은?

  1. PSK
  2. ASK
  3. QAM
  4. FSK
(정답률: 알수없음)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직교하는 반송파를 이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각각 변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든다. 따라서, QAM은 진폭과 위상을 상호변환하여 신호를 얻는 변조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보오(Baud)속도가 3200 보오이며, 트리비트(Tri-bit)를 사용하는 경우 몇 bps가 되는가?

  1. 1200
  2. 2400
  3. 4800
  4. 9600
(정답률: 알수없음)
  • 트리비트(Tri-bit)는 3개의 신호를 하나의 비트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3200 보오의 경우, 1초당 3200개의 신호가 전송된다. 이를 트리비트로 인식하면 3개의 신호가 하나의 비트로 인식되므로, 1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는 3200/3 = 1066.67개가 된다. 이를 bps로 환산하면 1066.67 x 3 = 3200 bp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00"이 아닌 "3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