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06)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2016-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한 개의 NPN형 트랜지스터와 PNP형 트랜지스터를 직결하여 등가 PNP형 트랜지스터로 동작시키는 접속은?

  1. 트랜스 결합 접속
  2. 달링톤(darlington) 접속
  3. SEPP(single ended push pull) 접속
  4. 상보대칭(complementary symmetry) 접속
(정답률: 알수없음)
  • 달링톤 접속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등가 트랜지스터로 동작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입력 저항이 크고 출력 전류가 큰 등가 트랜지스터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증폭기나 스위칭 회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불연속 레벨 변조 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펄스 위상 변조(PPM)
  2. 펄스 수 변조(PNM)
  3. 펄스 부호 변조(PCM)
  4. 델타 변조(△M)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 위상 변조(PPM)는 펄스의 폭과 상관없이 펄스의 위상을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불연속 레벨 변조 방식에 속하지 않는다. 반면에 펄스 수 변조(PNM), 펄스 부호 변조(PCM), 델타 변조(△M)는 모두 펄스의 폭을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불연속 레벨 변조 방식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출력 임피던스가 0 이다.
  2. 입력 오프셋 전압이 0 이다.
  3. 동상신호제거비가 0 이다.
  4. 주파수 대역폭이 무한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동상신호제거비가 0 이다." 이다. 이유는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동상신호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상신호제거비는 무한대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EO을 계산하는 식을 유도했을 경우에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EO을 계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EO = -EI x (RF / R1)

    여기서 RF를 무한대로 가까이 하면 EO는 무한대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반송파 전력이 50kW 일 때 변조율이 90%로 진폭 변조 하였을 때, 하측파 전력은?

  1. 5.1kW
  2. 10.1kW
  3. 15.1kW
  4. 20.1kW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 전의 반송파 전력은 변조 후의 하측파 전력과 변조된 상위파 전력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상위파 전력은 변조 전 반송파 전력의 90%에서 하측파 전력을 뺀 값이 됩니다.

    상위파 전력 = 50kW x 0.9 - 하측파 전력

    하측파 전력을 구하기 위해 상위파 전력과 반송파 전력의 합이 전체 전력이 되어야 합니다.

    전체 전력 = 상위파 전력 + 하측파 전력 + 반송파 전력

    전체 전력 = (50kW x 0.9 - 하측파 전력) + 하측파 전력 + 50kW

    전체 전력 = 50kW x 0.9 + 50kW

    전체 전력 = 95kW

    따라서, 하측파 전력은 95kW - 50kW x 0.9 = 10.1kW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직렬 전압 부귀환 회로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압이득의 감소
  2. 주파수 대역폭의 감소
  3. 비직선 일그러짐의 감소
  4.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의 증가는 직렬 전압 부귀환 회로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전압 부귀환 회로에서 입력 임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어 다른 회로와의 연결이 어려워지고, 신호 전달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압이득이 40dB, 무귀환 시 왜율이 12% 인 저주파 증폭기에 입력 측으로 귀환률(β)을 0.09라고 하면 귀환 시 왜율은 몇 % 인가? (단, 전압증폭도는 AV는 100이다.)

  1. 0.9
  2. 1.5
  3. 2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이득 = 40dB = 100배
    무귀환 시 왜율 = 12% = 0.12
    입력 측 귀환률(β) = 0.09

    귀환 시 왜율 = 무귀환 시 왜율 / (1 + 전압이득*β)
    = 0.12 / (1 + 100*0.09)
    = 0.012 / 1.9
    = 0.0063
    = 0.63%

    따라서 정답은 "1.2"가 아닌 "0.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어떤 B급 푸시풀 증폭기의 효율이 0.7이고, 직류 입력전력이 16W 이면, 교류 출력전력은 몇 W 인가?

  1. 9.3
  2. 9.7
  3. 10.5
  4. 11.2
(정답률: 알수없음)
  • 효율 = 출력전력 / 입력전력 이므로, 출력전력 = 입력전력 x 효율
    따라서, 교류 출력전력 = 직류 입력전력 x 효율 = 16W x 0.7 = 11.2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단안정, 비안정, 쌍안정 멀티바이프레이터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1. 결합 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
  2. 전원 전압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3. 전원 전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4.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바이프레이터의 단안정, 비안정, 쌍안정 여부는 결합 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결합 회로는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부품들의 연결 방식과 속성에 따라 멀티바이프레이터의 동작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멀티바이프레이터의 단안정, 비안정, 쌍안정 여부는 결합 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격 부하에서 출력 전압이 100V인 전원이 무부하 상태에서의 출력 전압이 110V로 증가하였다면 부하 전압 변동률은 몇 % 인가?

  1. 5
  2. 10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부하 전압 변동률은 (무부하 상태에서의 출력 전압 변화량 / 정격 부하에서의 출력 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10-100)/100 x 100 = 10 이므로 부하 전압 변동률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연산증폭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높은 입력 오프셋 전압을 갖는 연산증폭기는 낮은 전압 드리프트를 갖는다.
  2. 연산증폭기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란 두 입력단자를 통해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평균값이다.
  3. 연산증폭기의 슬루율(Slew Rate)이란 출력전압의 변화율을 입력 전압의 변화율로 나눈 값이다.
  4. 연산증폭기의 개방루프이득이 100000 이고, 동상이득 0.25이면 동상신호제거비(CMRR)는 56dB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란 두 입력단자를 통해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평균값이다. 이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에도 입력단자를 통해 일정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연산증폭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므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전압 귀환 바이어스 회로의 실효 컬렉터 부하 저항은? (단,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귀환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의 DC 바이어스를 제거하기 위해 적용되는데, 이 때 바이어스 전압은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R1과 R2에 나누어져 전압 귀환 회로의 출력으로 나오게 된다. 이 출력 신호는 다시 적절한 부하 저항을 거쳐 적용되는데, 이 때 부하 저항이 클수록 출력 신호의 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부하 저항이 작을수록 출력 신호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피어스 수정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 변동요인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부하의 변동
  2. 주위 온도의 변화
  3. 발진회로의 차폐
  4. 전원 전압의 변동
(정답률: 알수없음)
  • 발진회로의 차폐는 피어스 수정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아닙니다. 발진회로의 차폐란 외부에서 발진회로에 영향을 주는 신호나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발진주파수의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부하의 변동, 주위 온도의 변화, 전원 전압의 변동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최고 주파수가 4kHz의 신호파로 펄스 변조를 행할 겨우, 표본화 주파수의 최저값은 몇 kHz 인가?

  1. 1
  2. 2
  3. 4
  4. 8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 변조를 하게 되면 원래의 신호 주파수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이 때, 대역폭은 최고 주파수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고 주파수가 4kHz인 경우 대역폭은 8kHz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최저 표본화 주파수는 8kHz이므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과 같이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DTL 논리회로의 게이트 기능은?

  1. 3입력 NOR
  2. 3입력 XOR
  3. 3입력 NAND
  4. 3입력 AND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DTL 논리회로에서 입력 A, B, C 중 하나라도 LOW(0)이면 해당 입력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는 OFF 상태가 되어 출력이 HIGH(1)이 된다. 따라서, 입력 A, B, C 중 하나라도 LOW(0)이면 출력이 HIGH(1)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NAND 게이트의 동작과 일치하므로, 이 DTL 논리회로는 3입력 NAND 게이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귀환이 걸리지 않을 때의 증폭회로의 전압이득을 A, 귀환율을 β라 할 때 발진 조건은?

  1. Aβ ≥ 1
  2. Aβ < 1
  3. A = -β
  4. A = β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회로의 전압이득 A는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귀환율 β는 출력신호가 다시 입력으로 되돌아가는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Aβ는 전체 증폭회로에서 한 신호가 몇 번이나 증폭되고 귀환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발진 조건은 증폭회로에서 한 신호가 계속해서 증폭되고 귀환되어서 안정적인 진동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때 Aβ는 1 이상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Aβ가 1 이하면 입력신호가 증폭되어 출력으로 나가지만, 귀환되는 신호가 더 작아져서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출력이 다시 증폭되지 않고 감소하므로 진동이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Aβ ≥ 1이어야 증폭회로에서 안정적인 발진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동 컬렉터(Common Collector) 증폭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압 증폭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2. 전압 이득은 AV ≃ 1 이다.
  3. 입력과 출력 사이의 위상은 동일하다.
  4. 입력 임피던스가 높고, 출력 임피던스는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압 증폭용으로 많이 사용된다."가 아닙니다.

    공동 컬렉터 증폭 회로는 전압 증폭보다는 전류 증폭에 더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입력 임피던스가 높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에 신호 소스의 저항이 높아도 신호가 손실되지 않고 출력 부하에 전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압 이득은 대략 1에 가깝기 때문에 전압 증폭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입력과 출력 사이의 위상은 반전되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원회로에서 전압안정계수에 표현한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L는 직류출력전압, VS는 신호원전압, T는 주위온도, IL은 부하전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전압안정계수는 전압안정기의 출력전압의 변화량을 입력전압의 변화량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전압안정계수를 표현한 식에서는 출력전압 VL의 변화량을 입력전압 VS의 변화량으로 나눈 것이다. 이 때, VL은 직류출력전압이므로 T와 IL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VL은 VS에 대한 변화량만 고려하면 된다. 이에 반해, "", "", ""는 VL이 아닌 T나 IL에 대한 변화량을 고려한 식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증폭기의 이득에 관련한 관계식 중 틀린 것은?

  1. 전압이득(Gv) =
  2. 전류이득(Gi) =
  3. 전력이득(Gp) =
  4. 다단 증폭기의 종합이득(GT) = G1+G2+G3+…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전력이득(Gp) = "이 틀린 것이다.

    전력이득은 전압이득과 전류이득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전력이득의 관계식은 "전력이득(Gp) = 전압이득(Gv) x 전류이득(G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진폭변조(DSB) 방식에서 변조도를 90%로 하면 피변조파의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약 몇 배인가?

  1. 1.1
  2. 1.4
  3. 1.6
  4. 2.1
(정답률: 알수없음)
  • DSB 방식에서 변조도가 90%이면 피변조파의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1.4배가 된다. 이는 변조도가 100%일 때 피변조파의 전력이 반송파 전력의 2배가 되는 것과 비교하여, 변조도가 90%일 때는 피변조파의 전력이 반송파 전력의 1.4배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디지털공학

21. 다음 회로를 논리식으로 바르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데, A와 B가 모두 참일 때는 A의 보수인 A'와 B'의 보수인 B가 거짓이기 때문에 AND 게이트의 출력이 참이 된다. 따라서 ""가 올바른 논리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과 같이 3개의 T플립플롭을 연결하여 처음 플립플롭에 가해지는 입력주파수가 1kHz의 구형파라 하면 마지막 플립플롭의 출력 값은?

  1. 125Hz
  2. 250Hz
  3. 500Hz
  4. 1000Hz
(정답률: 알수없음)
  • T플립플롭은 입력주파수의 2배 주기마다 출력이 반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플립플롭에서 1kHz의 구형파를 입력하면, 두 번째 플립플롭에서는 2kHz의 구형파가 입력되고, 세 번째 플립플롭에서는 4kHz의 구형파가 입력됩니다. 이 중에서 4kHz의 구형파는 125Hz의 주기를 가지므로, 마지막 플립플롭의 출력 값은 125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입력변수 A와 B가 있을 때 half adder의 부울식으로 옳은 것은?

  1. A⊕B, A+B
  2. A+B, AB
  3. A⊕B, AB
(정답률: 알수없음)
  • Half adder는 두 개의 입력(A와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다.

    A와 B가 XOR 연산을 통해 합(S)을 구하고, AND 연산을 통해 자리올림(C)을 구한다. 따라서 옳은 부울식은 "A⊕B, AB"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A⊕B : XOR 연산은 두 입력이 다를 때 1을 출력하므로, A와 B가 다를 때만 합(S)이 1이 된다.
    - AB : AND 연산은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1을 출력하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자리올림(C)이 1이 된다.

    따라서 "A⊕B, AB"는 half adder의 동작을 올바르게 나타내는 부울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의 논리회로 중 전력소모를 기준으로 비교한 것으로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ECL > TTL > CMOS > MOS
  2. ECL > MOS > CMOS > TTL
  3. ECL > TTL > MOS > CMOS
  4. TTL > ECL > MOS > CMOS
(정답률: 알수없음)
  • ECL은 높은 전압과 높은 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매우 큽니다. TTL은 ECL에 비해 전압과 속도가 낮아 전력소모가 적습니다. MOS는 TTL에 비해 전압과 속도가 높아 전력소모가 큽니다. 마지막으로 CMOS는 MOS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습니다. 따라서 전력소모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ECL > TTL > MOS > CMOS"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A > B 일 때 Y = 1 인 회로는?

(정답률: 알수없음)
  • A가 B보다 크다는 조건이 Y=1일 때, AND 게이트를 사용하여 A와 B를 비교하고 Y를 출력하면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회로는 어떤 일을 수행하는가?

  1. 크기 비교
  2. 8진수 변환
  3. 0의 신호 검출
  4. 그레이코드 변환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4비트 이진수를 입력받아 그레이코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XOR 게이트를 사용하여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가 같으면 출력은 0이 되고, 다르면 출력은 1이 된다. 이를 반복하여 모든 비트를 처리하면 입력된 이진수가 그레이코드로 변환된다. 따라서 정답은 "그레이코드 변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입력이 모두 0(L)일 때만 출력이 1(H)인 게이트는?

  1. AND 게이트
  2. NAND 게이트
  3. OR 게이트
  4. NOR 게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NOR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이다. 이는 OR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킨 것과 같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지만, N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0이 된다. 따라서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NOR 게이트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기 보수성을 갖고 있는 코드 방식이 아닌 것은?

  1. 3-초과코드 방식
  2. BCD코드 방식
  3. 8421코드 방식
  4. 2421코드 방식
(정답률: 10%)
  • BCD 코드 방식은 자기 보수성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각 자릿수마다 4비트를 사용합니다. 이진수로 변환할 때 각 자릿수를 나누어 변환하기 때문에 자기 보수성을 갖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9의 BCD 코드는 1001이지만, 10의 BCD 코드는 0001 0000입니다. 이처럼 자리 올림이 발생하면 코드의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기 보수성을 갖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10진수 12.3125를 8진수로 표현한 것은?

  1. 14.24
  2. 14.21
  3. 13.23
  4. 13.21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12.3125를 8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정수부와 소수부를 각각 8진수로 변환해야 합니다.

    정수부: 12 ÷ 8 = 1 ... 4 (나머지)
    나머지인 4를 8진수로 표현하면 4입니다.

    소수부: 0.3125 × 8 = 2.5
    나머지인 2를 8진수로 표현하면 2입니다.

    따라서, 10진수 12.3125를 8진수로 표현한 것은 14.24입니다.

    참고로, 14.21, 13.23, 13.21은 모두 10진수 12.3125를 8진수로 표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불 대수에 관한 정리가 틀린 것은?

  1. A + A = A
  2. A + AB = A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A + A = A"는 항등원에 대한 정의이다.

    ""는 결합법칙에 대한 정의이다.

    "A + AB = A"는 흡수법칙에 대한 정의이다.

    하지만 ""는 분배법칙에 대한 정의가 아니다. 올바른 분배법칙은 "A(B+C) = AB + A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플립플롭 회로에서 안전 상태는 몇 개인가?

  1. 0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립플롭 회로는 두 개의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 상태는 "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식을 합의 곱 형식으로 간략히 하면?

  1. F = (A′+B′)(B′+C′+D)(C′+D′)
  2. F = (A′+B′)(B′+C′)(C′+D′)
  3. F = (A′+B′)(B′+C′)(A+C′+D′)
  4. F = (A′+B′)(A+C′)(C′+D)
(정답률: 알수없음)
  • 식을 합의 곱 형식으로 간략히 하면 F = (A' + B')(B' + C')(C' + D')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B' + C' + D)를 (B' + C')와 (C' + D)로 분해할 수 있다.

    그리고 (B' + C')와 (C' + D)를 곱하면 B'C' + B'D + C'C' + C'D가 된다.

    하지만, B'C'와 C'C'는 항상 0이므로 B'D + C'D가 남게 된다.

    따라서, 원래 식인 F = (A' + B')(B' + C' + D)(C' + D')를 간략히 하면 F = (A' + B')(B' + C')(C' + 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함수 F = x′y′z + x′yz′ 의 보수는?

  1. F = x + y′z + yz′
  2. F = x′y + xy′ + z
  3. F = xy + x′y′ + z′
  4. F = x + yz + y′z′
(정답률: 알수없음)
  • 보수란 논리식에서 모든 변수의 부정(not)을 취한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함수 F의 보수는 x′y′z′ + x′yz 입니다. 이를 간소화하면 x′(y′z′ + yz)가 됩니다. 이제 y′z′ + yz를 간소화해야 합니다. 이 식은 y′z′ + yz = (y′ + y)(z′ + z) = z′ + z입니다. 따라서 F의 보수는 x′(z′ + z) = x′ + z입니다. 이제 이를 다시 보수 형태가 아닌 원래의 논리식 형태로 바꾸면 F = x + z′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F = x + yz + y′z′가 정답이므로, 이는 x + z′와 다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답을 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논리식 를 간략화 하면?

  1. 0
  2. 1
  3. AB
(정답률: 알수없음)
  • 간략화된 논리식은 "" 이다. 이유는 AND 게이트의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므로, A와 B가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된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참일 때 "" 는 참이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거짓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논리회로를 간단히 하면?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논리회로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AND 게이트의 입력 A와 B는 모두 1이어야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인 경우에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된다. 그리고 OR 게이트의 입력 C와 D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이고, C와 D 중 하나 이상이 1인 경우에만 전체 논리회로의 출력이 1이 된다. 이 경우는 "" 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과 같은 회로의 출력 f는?

(정답률: 알수없음)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된다. 그리고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과 C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f는 AND 게이트의 출력과 OR 게이트의 출력을 AND 연산한 값이다. 입력 A, B, C가 각각 1, 0,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0이 되고, 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f는 0과 1을 AND 연산한 값인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4단으로 구성된 D플립플롭의 우측이동 레지스터가 1101을 기억하고 있을 때, clock pulse가 1개 인가되었다. 이 때 레지스터의 출력으로 옳은 것은? (단, 입력데이터는 0 이다.)

  1. 1101
  2. 1010
  3. 0011
  4. 0110
(정답률: 알수없음)
  • D플립플롭은 입력신호(D)와 클럭신호(C)를 받아서 출력(Q)을 결정한다. 클럭신호가 1개 인가되면, 입력신호(D)가 출력(Q)에 반영된다. 이 문제에서는 입력신호가 0이므로, 출력(Q)은 이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레지스터의 우측이동 레지스터는 "1101"을 유지하고, 출력으로는 "0110"이 나온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4단으로 구성된 D플립플롭에서는, 입력신호(D)가 첫 번째 단에 들어가고, 출력신호(Q)는 마지막 단에서 나온다. 따라서, 입력신호(D)가 첫 번째 단에 들어가면서, 이전 출력(Q)은 두 번째 단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 출력(Q)은 세 번째 단으로 이동하고, 마지막 출력(Q)은 우측이동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이 문제에서는 입력신호(D)가 0이므로, 이전 출력(Q)이 그대로 유지되고, 마지막 출력(Q)은 우측이동 레지스터에 저장된 "1101"이 된다. 따라서, 출력으로는 "0110"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클록 펄스가 입력될 때 마다 출력 상태가 Low 와 High 동작을 반복하며 변환되는 플립플롭은?

  1. JK 플립플롭
  2. RS 플립플롭
  3. D 플립플롭
  4. T 플립플롭
(정답률: 알수없음)
  • T 플립플롭은 클록 펄스가 입력될 때마다 출력 상태를 반대로 전환하는 플립플롭이다. 따라서 Low 상태에서 High 상태로,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변환된다. 이와 달리 JK 플립플롭, RS 플립플롭, D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와 클록 신호에 따라 출력 상태가 변화하는 방식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나의 입력 단자를 가지며 입력이 1 일 때 출력이 반전되는 플립플롭은?

  1. D
  2. RS
  3. T
  4. JK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입니다. T 플립플롭은 토글(Toggle)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이전 상태와 반대되는 값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입력이 1일 때 이전 상태와 반대되는 값을 출력하므로, 출력이 반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출력된 결과가 기억 회로에 의해 다시 입력에 영향을 주는 회로는?

  1. 전가산기
  2. 디멀티플렉서
  3. 플립플롭
  4. 인코더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립플롭은 출력된 결과가 기억 회로에 저장되어 다시 입력에 영향을 주는 회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출력 결과를 저장하지 않거나 저장하지만 다시 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회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마이크로프로세서

41. 다음 중 세그먼트 레지스터의 종류로 잘못된 것은?

  1. 데이터 세그먼트 레지스터
  2. 코드 세그먼트 레지스터
  3. 스택 세그먼트 레지스터
  4. 인덱스 세그먼트 레지스터
(정답률: 알수없음)
  • 인덱스 세그먼트 레지스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세그먼트 레지스터의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매크로 명령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여러 개의 기계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는 원시 언어 명령이다.
  2. 프로그램의 시행을 제어하고 실제로는 아무런 연산이 일어나지 않는 명령이다.
  3. 루틴 속에서 미리 정해진 일련의 기계 명령들과 대치될 수 있는 하나의 명령이다.
  4. 프로그램 작성을 간결하게 하여 수정과 오류발견이 쉽고 프로그램의 표준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프로그램의 시행을 제어하고 실제로는 아무런 연산이 일어나지 않는 명령이다."

    매크로 명령은 프로그램 작성을 간결하게 하여 수정과 오류발견이 쉽고 프로그램의 표준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명령어이다. 매크로 명령은 원시 언어 명령으로 여러 개의 기계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루틴 속에서 미리 정해진 일련의 기계 명령들과 대치될 수 있는 하나의 명령이다. 따라서 매크로 명령은 프로그램의 시행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적분기, 비교기, 카운터로 구성된 A/D 변환기는?

  1. 축차형 A/D 변환기
  2. 적분형 A/D 변환기
  3. 병렬형 A/D 변환기
  4. 전압/주파수 변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적분기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므로, 입력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A/D 변환기에서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적분형 A/D 변환기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두 지점 간의 직렬 데이터 전송 방법이 아닌 것은?

  1. 단방향(Simplex) 전송
  2. 반이중(Half-Duplex) 전송
  3. 전이중(Full-Duplex) 전송
  4. 스트로빙(Strobing) 전송
(정답률: 알수없음)
  • 스트로빙(Strobing) 전송은 데이터를 직렬로 전송하는 방법이 아니라,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직렬 데이터 전송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장치들을 하드웨어적으로 연결하여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식은?

  1. Polling
  2. Interface
  3. Daisy Chain
  4. DMA
(정답률: 알수없음)
  • Daisy Chain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장치들을 연결하여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각 장치는 이전 장치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받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다음 장치로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지만, 인터럽트 처리 속도가 느리고 복잡한 시스템에서는 우선순위 결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제어장치가 시간을 계수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것은?

  1. 플래그
  2. 클록(clock)
  3. 제어버스
  4. 포트출력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제어장치가 시간을 계수할 수 있는 기준은 클록(clock) 신호입니다. 클록 신호는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는 신호로, 이를 기준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이 조정됩니다. 클록 신호의 주기가 짧을수록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 속도가 빨라지고, 주기가 길어질수록 동작 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클록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렬 전송속도가 56kbps 일 때 분당 전송되는 수는?

  1. 240 kbyte
  2. 420 kbyte
  3. 560 kbyte
  4. 640 kbyte
(정답률: 알수없음)
  • 직렬 전송속도가 56kbps 이므로 1초에 56,000 bit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1 byte는 8 bit이므로 1초에 7,000 byte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분당 전송되는 수는 60초를 곱하면 됩니다. 따라서 분당 전송되는 수는 420,000 byte 또는 420 kbyte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PU는 4가지 단계를 반복 실행한다.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Fetch Cycle
  2. Interrupt Cycle
  3. Branch Cycle
  4. Execute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CPU는 Fetch Cycle, Interrupt Cycle, Execute Cycle을 반복 실행하며, Branch Cycle은 조건 분기 명령어를 실행할 때만 발생한다. 따라서 Branch Cycle은 4가지 단계 중 하나가 아니며,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매크로 프로세서가 기본적으로 하는 3가지 수행사항이 아닌 것은?

  1. 매크로 명령을 인식할 것
  2. 매크로 정의을 인식할 것
  3. 매크로 정의을 보관할 것
  4. 매크로 콜을 인식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매크로 프로세서가 기본적으로 하는 3가지 수행사항은 "매크로 정의을 인식할 것", "매크로 정의을 보관할 것", "매크로 콜을 인식할 것" 입니다. 따라서 "매크로 명령을 인식할 것"은 매크로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기본적인 작업이 아닙니다. 매크로 명령은 매크로 정의를 통해 정의된 매크로를 호출하는 것으로, 매크로 프로세서는 이러한 매크로 콜을 인식하여 해당 매크로를 실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터럽트의 원인 중 내부 인터럽트가 아닌 것은?

  1. 정의되어 있지 않은 명령의 실행연산 에러
  2. 기억장치의 고장
  3. 전원의 이상
  4. 출력장치의 종료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내부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로, 예를 들어 정의되어 있지 않은 명령의 실행연산 에러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때 발생합니다. 하지만 출력장치의 종료는 외부 인터럽트로, 외부 장치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입니다. 따라서 출력장치의 종료는 내부 인터럽트가 아닌 외부 인터럽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터럽트 발생시 CPU가 가장 먼저 선행처리 해야 할 것은?

  1. 수행중이던 명령어 주소 및 데이터 저장
  2. 시스템의 초기화
  3. 인터럽트 종류 선택
  4. 인터럽트 벡터 저장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는 CPU가 수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해야 할 때 발생합니다. 이때 CPU는 수행중이던 명령어 주소와 데이터를 저장해야 합니다. 이는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 수행중이던 작업을 이어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수행중이던 명령어 주소 및 데이터 저장"이 가장 먼저 선행처리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직렬통신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통신 케이블 수가 적어 가격이 저렴하다.
  2. 병렬 통신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3. 1비트씩 통신한다.
  4. 대표적인 직렬통신방식으로 RS-232C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 통신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는 직렬 통신에서는 한 번에 한 비트씩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다는 것입니다. 병렬 통신은 한 번에 여러 비트를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사용되는 신호 중 양방향성인 것은?

  1. 어드레스 신호
  2. 데이터 신호
  3. RESET 신호
  4. 인터럽트 제어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다른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며, 양방향성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내는 것뿐만 아니라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양방향성인 신호 중 데이터 신호가 됩니다. 어드레스 신호는 주소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RESET 신호는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데 사용되며, 인터럽트 제어 신호는 인터럽트를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신호들은 단방향성이므로 양방향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셈블러의 4개 테이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MRI 테이블
  2. 기호 테이블
  3. 의사 명령 테이블
  4. LC(LOcation Counter) 테이블
(정답률: 알수없음)
  • LC(LOcation Counter) 테이블은 어셈블러가 소스 코드를 읽으면서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터 값을 저장하는 테이블이다. 다른 세 개의 테이블은 어셈블러가 소스 코드를 분석하고 기호를 해석하거나 명령어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테이블이다. 따라서 LC(LOcation Counter) 테이블은 다른 세 개의 테이블과는 목적과 역할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UAR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ART의 원어는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이다.
  2. Start bit가 필요하다.
  3. 8비트 UART의 구성의 1개의 Start bit, 8개의 Data bit, 1개의 Stop bit 이다.
  4.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이다." 이다. 이유는 UART에서 데이터 전송 시에는 Start bit와 Stop bit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9비트 UART에서는 1개의 Start bit와 9개의 Data bit만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1개의 Stop bit이 아니라 1개의 Start bit와 9개의 Data bit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6진수 5DH를 2진수로 변환한 결과는?

  1. 01010101
  2. 11010101
  3. 01110101
  4. 01011101
(정답률: 알수없음)
  • 16진수 5D는 2진수로 0101 1101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각각 4비트씩 끊어서 2진수로 변환하면 0101은 5, 1101은 13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6진수 5D는 2진수로 01011101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rry 등과 같은 연산과정과 결과를 표현하는 레지스터는?

  1. 상태 레지스터
  2. 임시 저장 레지스터
  3. 스택 포인터
  4. 프로그램 포인터
(정답률: 알수없음)
  • 상태 레지스터는 프로세서의 연산과정에서 발생하는 결과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로, carry 등의 연산 결과나 비교 연산 결과 등을 저장한다. 따라서 상태 레지스터는 프로세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임시 저장 레지스터는 연산 중간 결과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며, 스택 포인터는 스택 메모리의 위치를 가리키는 데에 사용되고, 프로그램 포인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제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억장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2. 수행속도가 빠르도록 해야 한다.
  3. 이해하기 쉬워야 하며, 조직적이어야 한다.
  4.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하기에는 고급(high-lever) 언어일수록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하기에는 고급(high-level) 언어일수록 좋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코드가 컴파일러에 의해 어셈블리어나 기계어로 변환되어 실행되기 때문이다. 고급 언어는 인간이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래밍이 쉬우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어 프로그램 개발에도 고급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래 설명 중 틀린 것은?

  1. CdS 광도전 셀은 황화카드뮴을 주성붕느로 한 광도전 소자의 일종이다.
  2. 서미스터는 온도변화를 감지하고, 그 내부저항이 변화하는 일종의 감온저항체이다.
  3. 포토다이오드는 P형층을 형성시킨 pn접합부에 광 기전력 효과를 이용한 소자이다.
  4. 포토트랜지스터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핀의 출력 전압에 의해 빛을 발하는 발광부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포토트랜지스터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핀의 출력 전압에 의해 빛을 발하는 발광부에 주로 사용된다." 이다.

    포토트랜지스터는 빛을 감지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광전효과를 이용한 소자로, 발광 기능은 없다. 따라서 위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CdS 광도전 셀은 황화카드뮴을 주성분으로 한 광도전 소자이다. 서미스터는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내부저항이 변화하는 감온저항체이다. 포토다이오드는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는 소자로, P형층을 형성시킨 pn접합부에 광을 조사하면 전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FN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ND는 7-세그먼트 LED라고도 한다.
  2. FND는 캐소드 공통과 애노드 공통이 있다.
  3. 캐소드 공통 FND는 공통 단자에 (-) 전원을 공급한다.
  4. FND는 0~9의 숫자만을 표시할 수 있는 숫자표시 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FND는 0~9의 숫자만을 표시할 수 있는 숫자표시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프로그래밍언어

61. C언어에서 표준 출력 장치로 문자열을 출력시키는 함수는?

  1. putchar()
  2. puts()
  3. getchar()
  4. gets()
(정답률: 알수없음)
  • puts() 함수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로, 문자열의 끝에 자동으로 개행 문자를 추가해준다. 따라서 문자열을 출력할 때 개행 문자를 따로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putchar() 함수는 한 문자씩 출력하는 함수이므로 문자열을 출력하려면 반복문을 사용해야 하며, 개행 문자를 따로 출력해줘야 한다. getchar() 함수는 한 문자씩 입력받는 함수이고, gets() 함수는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이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C언어에서 문자열 st2를 st1으로 복사하는 함수를 옳게 표현한 것은?

  1. strcpy(st1, st2)
  2. strcpy(st2, st1)
  3. strcmp(st1, st2)
  4. strcmp(st2, st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trcpy(st1, st2)"입니다.

    strcpy 함수는 문자열을 복사하는 함수로, 첫 번째 인자로 복사한 문자열을 저장할 배열을, 두 번째 인자로 복사할 문자열을 전달합니다. 따라서 "strcpy(st1, st2)"는 st2 문자열을 st1으로 복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strcpy(st2, st1)"은 st1 문자열을 st2로 복사하는 것이므로 오답입니다. "strcmp(st1, st2)"와 "strcmp(st2, st1)"은 문자열을 비교하는 함수이므로 복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셈블리어는 특정 프로세서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호환성이 우수하다.
  2. 명령 기능을 쉽게 연상할 수 있는 기호를 기계어와 1:1로 대응시켜 코드화한 기호 언어이다.
  3. 어셈블리어로 작성한 원시 프로그램은 어셈블러를 통해 목적 프로그램으로 어셈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4. 프로그램에 기호화된 명령 및 주소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리어는 특정 프로세서에 종속되므로 호환성이 우수하지 않다. 이는 다른 프로세서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어셈블리어에서 기호 번지로 사용한 각종 데이터나 명령어가 기억된 번지 값을 특정 레지스터로 가져오도록 하는 명령은?

  1. XCHG
  2. LEA
  3. POP
  4. NOP
(정답률: 알수없음)
  • LEA 명령은 Load Effective Address의 약자로, 기호 번지로 사용한 데이터나 명령어가 저장된 번지 값을 특정 레지스터에 가져오는 명령이다. 이 명령은 실제 데이터나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해당 번지 값 자체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LEA 명령은 주로 주소 계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표준 C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로 적합하다.
  2.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다.
  3.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4. 구조적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 C언어는 대표적인 컴파일러 언어이며, 인터프리터 언어가 아니다. 인터프리터 언어는 소스 코드를 바로 실행하는 반면, C언어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실행 파일을 만든 후 실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언어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실행되기까지의 과정이 옳은 것은?

  1. 원시프로그램 → 어셈블 → 목적프로그램 → 링크 → 로딩 → 실행
  2. 원시프로그램 → 어셈블 → 목적프로그램 → 로딩 → 링크 → 실행
  3. 원시프로그램 → 링크 → 어셈블 → 목적프로그램 → 로딩 → 실행
  4. 원시프로그램 → 어셈블 → 링크 → 목적프로그램 → 로딩 → 실행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먼저 원시프로그램으로 작성되고, 이를 어셈블어로 변환하여 목적프로그램을 생성합니다. 이 목적프로그램은 다른 목적프로그램과 결합하기 위해 링크 과정을 거칩니다. 링크된 목적프로그램은 로딩 과정을 거쳐 메모리에 적재되고, 실행됩니다. 따라서 옳은 과정은 "원시프로그램 → 어셈블 → 목적프로그램 → 링크 → 로딩 → 실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BNF 표기법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는?

  1. { }
  2. ::=
  3. < >
  4. = =
(정답률: 알수없음)
  • BNF 표기법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이는 우측에 있는 기호가 좌측에 있는 기호를 정의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 ::= + "는 ""이 " + "로 정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은 BNF 표기법에서 가장 중요한 기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변수의 이름에 해당 속성을 관련시키는 일련의 작접을 일컫는 용어는?

  1. binding
  2. scope
  3. lexical
  4. constant
(정답률: 알수없음)
  • 변수의 이름에 해당 속성을 관련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bind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변수가 어떤 값을 가지고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변수 이름과 값을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즉, 변수 이름과 해당 변수가 가리키는 값 사이의 연결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C 언어의 기억클래스 종류가 아닌 것은?

  1. automatic variables
  2. static variables
  3. register variables
  4. internal variables
(정답률: 82%)
  • "Internal variables"은 C 언어에서 기억 클래스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서브루틴에서 자신을 호출한 곳으로 복귀시키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LOOP
  2. RET
  3. CASE
  4. NOP
(정답률: 알수없음)
  • RET는 "Return"의 약자로, 서브루틴에서 자신을 호출한 곳으로 돌아가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ET가 정답이다. LOOP는 반복문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이고, CASE는 조건문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이며, NOP는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구문(Synta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
  2. 프로그래밍 개발의 방법론
  3. 프로그래밍 언어의 결과
  4.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구문(Syntax)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구성하는 규칙을 말한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이 정답이다. "프로그래밍 개발의 방법론"은 프로그래밍의 절차나 방법을 말하며, "프로그래밍 언어의 결과"는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의미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분류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계 원칙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램 작성의 효율성을 위해서 설계 시에는 간결함이 결여되어도 표현력이 뛰어나야 한다.
  2. 프로그래밍 과정은 언어의 신뢰성뿐 아니라 번역기의 신뢰성에도 도움을 주기 위해 정확해야 한다.
  3. 프로그래밍 언어는 특정 기계에 제한되지 않고 독립성을 가져야 한다.
  4. 프고르매 완성 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언어의 특징을 더 추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확장이 용이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그램 작성의 효율성을 위해서 설계 시에는 간결함이 결여되어도 표현력이 뛰어나야 한다는 것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쉽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작성하는 데 있어서 생산성을 높이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설계 시에는 간결함과 표현력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0과 1의 이진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다.
  2. 제어를 위해서는 효율적이지만 작성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3. 고급 언어(High level language)에 해당한다.
  4. 호환성이 없고 기계마다 언어가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어는 고급 언어가 아닌 저급 언어(low level language)에 해당한다. 고급 언어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작성된 언어이며, 기계어는 0과 1의 이진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어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급 언어(High level language)에 해당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예약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변하지 않는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2.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번역과정에서 속도를 높여준다.
  4.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예약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미리 정의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로, 변수나 함수 등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약어를 사용함으로써 번역과정에서 속도를 높여주고,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예약어는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변하지 않는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 언어에서 사용되는 출력문 “printf”에 사용되는 변환문자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d는 16진 정수를 나타낸다.
  2. %s는 단일 문자를 나타낸다.
  3. %e는 문자열을 가진 문자를 나타낸다.
  4. %u는 부호 없는 10진 정수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u는 부호 없는 10진 정수를 나타낸다."는 부호가 없는 양의 정수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변환문자이기 때문이다. 이는 주로 변수나 상수의 값이 양수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unsigned int 형 변수의 값을 출력할 때 %u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해 호출한 함수를 수행하고 함수를 호출한 위치로 복귀하여야 한다. 이 때 복귀할 주소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자료구조는?

  1. 큐(Queue)
  2. 스택(Stack)
  3. 트리(Tree)
  4.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정답률: 알수없음)
  • 함수 호출 시에는 호출한 함수의 주소를 저장하고, 함수 수행이 끝나면 저장된 주소로 복귀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후입선출(LIFO) 구조인 스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함수 호출 시에는 호출한 함수의 주소를 스택에 push하고, 함수 수행이 끝나면 스택에서 pop하여 저장된 주소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복귀할 주소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자료구조는 스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셈블러가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필요한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직접 명령(Direct Instruction)
  2. 어셈블러 명령(Assenbler Instruction)
  3. 사용자 명령(User Instruction)
  4. 작업 명령(Work Instruc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러가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필요한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을 어셈블러 명령이라고 한다. 이는 어셈블러가 프로그램을 읽고 해석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프로그램의 구조와 동작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어셈블러 명령은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셈블러가 원시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번역할 때 현재의 오퍼랜드에 있는 값을 다음 명령어의 번지로 할당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EJECT
  2. INCLUDE
  3. END
  4. OR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ORG"입니다. ORG는 "origin"의 약자로, 현재의 오퍼랜드에 있는 값을 다음 명령어의 번지로 할당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를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어셈블러가 원시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번역할 때,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를 설정하기 위해 ORG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셈블러를 두 개의 PASS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1. 비용 절약을 위하여
  2. 유지보수 용이성을 위하여
  3. 메모리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4.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러를 두 개의 PASS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하기 위하여" 입니다. 첫 번째 PASS에서는 기호를 정의하고, 두 번째 PASS에서는 실제 코드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기호를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코드를 작성하는 동안 기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코드 작성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주며,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MOV
  2. RET
  3. JMP
  4.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EST"입니다.

    해당 어셈블리어 명령은 "TEST AL, 0Fh"로 AL 레지스터와 0Fh 값을 AND 연산하여 결과를 플래그 레지스터에 저장합니다. 이때 0Fh는 00001111b와 같이 하위 4비트가 모두 1인 값이므로, AL 레지스터의 하위 4비트를 검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명령은 AL 레지스터의 하위 4비트가 모두 0인지 검사하는 것입니다. 만약 하위 4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ZF(Zero Flag) 플래그가 0이 되고, 모두 0이면 ZF 플래그가 1이 됩니다. 이후에 조건 분기 명령인 "JZ"나 "JNZ" 등을 사용하여 ZF 플래그의 값을 검사하여 분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EST"는 AL 레지스터의 하위 4비트가 모두 0인지 검사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