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전원 주파수가 60Hz를 사용하는 정류회로에서 120Hz의 맥동 주파수를 나타내는 회로는?

  1. 단상 반파 정류회로
  2. 단상 전파 정류회로
  3. 3상 반파 정류회로
  4. 3상 전파 정류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상 전파 정류회로는 하나의 전압 신호만을 다루는 회로로, 60Hz의 전원 주파수에서 120Hz의 맥동 주파수를 나타내는 회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압을 정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전압이 양수일 때는 다이오드가 열리고 전압이 음수일 때는 다이오드가 닫히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전압이 양수일 때만 출력이 나오므로, 맥동 주파수를 나타내는 회로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누설전류가 주위 온도 변화로 40μA에서 200μA로 증가할 때 컬렉터 전류가 1mA에서 1.8mA로 되었다면 안정도(S)는 약 얼마인가?

  1. 3
  2. 5
  3. 12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도(S)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 = (ΔIc / Ic) / (ΔIb / Ib)

    여기서 ΔIc는 컬렉터 전류의 변화량, ΔIb는 베이스 전류의 변화량, Ic는 초기 컬렉터 전류, Ib는 초기 베이스 전류를 나타낸다.

    주어진 문제에서 ΔIc는 0.8mA (1.8mA - 1mA), Ic는 1mA, ΔIb는 160μA (200μA - 40μA), Ib는 40μA이다.

    따라서,

    S = (0.8mA / 1mA) / (160μA / 40μA) = 5

    따라서, 안정도(S)는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반전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로 옳은 것은? (단, Zin = 4MΩ, Zout = 75Ω)

  1. 1 MΩ
  2. 2 MΩ
  3. 4 MΩ
  4. 5 MΩ
(정답률: 60%)
  • 반전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는 입력 신호가 흐르는 경로에 있는 임피던스이므로, R1과 R2의 병렬 저항인 2MΩ와 R3의 직렬 저항인 2MΩ를 합한 값인 4MΩ이 아닌 R1과 R2의 직렬 저항인 1MΩ이다. 따라서 정답은 "1 M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단, 다이오드 전압강하는 0.7 V 이다.)

  1. 2mA
  2. 3mA
  3. 5mA
  4. 10mA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는 일방향 전류만을 통과시키는 반도체 소자이다. 이 회로에서는 전압이 12V이고, 다이오드의 전압강하가 0.7V이므로, 전압이 11.3V인 부분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저항이 1.13kΩ이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전류는 I = V/R = 11.3V/1.13kΩ = 10m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집적회로(IC) 형태의 3단자 정전압 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력 손실이 높다.
  2. 회로가 복잡하다.
  3. 방열 대책이 필요하다.
  4. 발진 방지용 커패시터가 필요하다.
(정답률: 60%)
  • 답: "회로가 복잡하다."

    이유: IC 형태의 3단자 정전압 회로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전력 손실이 적으며, 방열 대책이 필요하고 발진 방지용 커패시터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회로가 복잡하다는 특징은 아니다. 오히려 IC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회로가 간단해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입력 신호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잠기거나 동기화 될 수 있는 전압제어발진기(VCO)를 갖고 있는 회로는?

  1. 비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2.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3. 위성검출기
  4. PLL
(정답률: 알수없음)
  • PLL은 입력 신호와 VCO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VCO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입력 신호와 VCO 출력 신호를 동기화시키는 회로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잠기거나 동기화 될 수 있는 VCO를 갖고 있는 회로는 PL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펄스 변조방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PPM이라 한다.
  2.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PNM이라 한다.
  3.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것을 PAM이라 한다.
  4.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열의 유무로 2진 부호화하는 것을 PWM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열의 유무로 2진 부호화하는 것을 PWM이라 한다." 이다. PWM은 펄스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펄스의 주기를 변화시켜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펄스열의 유무로 2진 부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펄스 폭과 주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부귀환 회로의 특징 중 옳은 것은?

  1. 이득이 감소한다.
  2.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진다.
  3. 왜율이 증가한다.
  4. 잡음이 증가한다.
(정답률: 90%)
  • 정답: 이득이 감소한다.

    부귀환 회로는 피드백 회로 중 하나로,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여 전체 회로의 이득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 때, 부귀환 회로는 입력과 출력이 서로 다른 증폭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득이 크게 증폭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회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증폭되어 이득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부귀환 회로는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회로 내부에 추가적인 커패시터나 인덕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지고 왜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부하저항 RL = 16Ω에 20 Vpeak의 신호를 공급한 B급 증폭기의 입력전력 Pi와 출력전력 Po는? (단, 전원전압 VCC = 30V 이다.)

  1. Pi = 24W, Po = 13W
  2. Pi = 34W, Po = 23W
  3. Pi = 24W, Po = 28W
  4. Pi = 54W, Po = 43W
(정답률: 알수없음)
  • B급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절반 주기에 대해서만 증폭을 하기 때문에, 입력전력은 전체 주기에 대한 평균값이 아닌 절반 주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입력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i = (VCC/π)²RL = (30/π)² × 16 ≈ 24W

    출력전력은 출력전압의 제곱을 부하저항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Po = Vpeak²/2RL = (20/√2)²/(2×16) ≈ 13W

    따라서 정답은 "Pi = 24W, Po = 13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은 몇 V 인가?

  1. 7
  2. -13
  3. 36.5
  4. -5.5
(정답률: 알수없음)
  • 가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합으로 결정된다. 이 경우 입력전압이 2V와 5V로 주어졌으므로 출력전압은 2V+5V=7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센서는?

  1. 열전대
  2. CdS
  3. 서미스터
  4. 포토다이오드
(정답률: 알수없음)
  •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센서입니다. 이는 서미스터 내부의 반도체 소재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서미스터는 온도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저주파 전력증폭회로에서 출력의 기본파 전압이 100V이고 제2고조파 전압이 10V, 제3고조파 전압이 8V일 때 왜율은?

  1. 0.13%
  2. 6.4%
  3. 12.8%
  4. 42.4%
(정답률: 알수없음)
  • 왜율은 제2고조파 전압과 제3고조파 전압의 합을 기본파 전압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왜율은 ((10V+8V)/100V) x 100 = 18/125 x 100 = 14.4%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으로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라고 하였기 때문에, 14.4%를 가장 근접한 값으로 반올림하여 12.8%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20V, 60Hz인 사이파가 반파정류기에 공급될 때, 출력주파수는 몇 Hz 인가?

  1. 0
  2. 60
  3. 30
  4. 120
(정답률: 알수없음)
  • 반파정류기는 입력 주파수의 2배인 출력 주파수를 가지므로, 120V, 60Hz의 입력 주파수에서 출력 주파수는 60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증폭기의 출력에서 전압을 샘플링하여 입력단으로 전압을 부귀환할 때 임피던스의 변화로 옳은 것은? (단, 증폭기의 신호원과 출력단은 각각 테브난 등가회로로 나타낸다.)

  1. 임력임피던스 증가, 출력임피던스 감소
  2. 임력임피던스 증가, 출력임피던스 증가
  3. 임력임피던스 감소, 출력임피던스 증가
  4. 임력임피던스 감소, 출력임피던스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임력임피던스 증가, 출력임피던스 감소"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정의되며, 증폭기의 출력에서 전압을 샘플링하여 입력단으로 전압을 부귀환할 때, 입력단의 임피던스는 변화하지 않지만 출력단의 임피던스는 변화합니다.

    증폭기의 출력단에서 전압을 샘플링할 때, 출력단의 임피던스는 샘플링하는 점의 임피던스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출력단의 임피던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출력단의 저항을 줄여야 합니다.

    반면, 입력단으로 전압을 부귀환할 때는 입력단의 임피던스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입력단의 임피던스는 변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입력단의 임피던스는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며, 출력단의 임피던스만 감소하므로, 증폭기의 임피던스는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n-채널 JFET의 IDSS = 16mA, Vp = -4V, VGS= -2V 일 때 ID는 몇 mA 인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JFET의 동작 원리에 따라 VGS가 Vp보다 작을 때, JFET는 포화 상태가 되어 ID가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따라서 ID는 IDSS와 같은 16mA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6mA가 없으므로, VGS가 -2V일 때 ID가 가장 근접한 값은 4mA이다. 이는 VGS가 -2V일 때 JFET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보면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BJT와 비교한 FET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잡음이 적다.
  2. 열적으로 안정하다.
  3. 입력 임피던스가 크다.
  4. 이득대역폭 적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득대역폭 적이 크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FET는 BJT보다 이득대역폭이 넓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FET가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이득이 변화하는 BJT와 달리,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이득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증폭기의 계단응답에서 상승시간이 증가할 때 옳은 것은?

  1. 대역폭이 좁아진다.
  2. 대역폭이 넓어진다.
  3. 전압증폭률이 감소한다.
  4. 전류증폭률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기의 계단응답에서 상승시간이 증가하면 대역폭이 좁아진다. 이는 상승시간이 증가하면 고주파 신호를 증폭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역폭이 좁아지게 되어 고주파 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트랜스 결합 증폭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증폭기 출력과 부하를 정합시킬 수 있다.
  2. 트랜스의 1차와 2차의 접지는 독립적이다.
  3. 주파수 특성이 좋다.
  4. 대신호 증폭단의 입출력회로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스 결합 증폭기의 특징 중 주파수 특성이 좋다는 것은,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증폭기가 넓은 대역폭에서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디지털 변조가 아닌 것은?

  1. PM
  2. ASK
  3. FSK
  4. QAM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변조 방식 중에서 "PM"은 아날로그 변조 방식이기 때문에 디지털 변조가 아니다. 나머지 세 가지 방식은 모두 디지털 변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산증폭기 회로의 출력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출력 신호의 크기도 커진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차이가 가장 큰 ""가 출력으로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디지털공학

21. 반가산기(half adder)의 식이 아닌 것은? (단, X, Y는 가수 및 피가수, S는 합, C는 캐리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 이다.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X, Y)을 받아서 합(S)과 캐리(C)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이다.

    식은 다음과 같다.

    S = X XOR Y

    C = X AND Y

    하지만 ""는 반가산기의 식이 아니다. 이 식은 전가산기(Full Adder)의 식이다. 전가산기는 3개의 입력(A, B, C_in)을 받아서 합(S)과 캐리(C_out)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이다.

    식은 다음과 같다.

    S = (A XOR B) XOR C_in

    C_out = (A AND B) OR (C_in AND (A XOR B))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MOD-5 계수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최소 플립플롭 수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MOD-5 계수기는 5개의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지므로, 최소 3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이는 2개의 플립플롭으로는 4개의 상태까지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개의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MOD-5 계수기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논리회로는 어떤 회로인가?

  1. 전가산기
  2. 전감산기
  3. 디크리멘터(decrementer)
  4. 인크리멘터(incremente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된 4비트 이진수를 1씩 증가시키는 인크리멘터(incrementer)이다. 입력된 이진수는 1씩 증가된 결과가 출력된다. 이를 위해 입력된 이진수와 1을 더한 값을 전가산기를 통해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에서 하위 4비트만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인크리멘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SR 플립플롭의 기능표에서 ①, ②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①SET, ②RESET
  2. ①SET, ②HOLD
  3. ①RESET, ②SET
  4. ①SET, ②DON’T CARE
(정답률: 50%)
  • SR 플립플롭은 S와 R 입력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하는데, S 입력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고, R 입력이 1이면 출력이 0이 된다. 따라서, ①이 RESET(초기화)에 해당하는 이유는 S 입력이 0이 되면 출력이 0이 되기 때문이고, ②가 SET(설정)에 해당하는 이유는 R 입력이 0이 되면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RESET, ②SE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진 계수(binary counter) 회로에 많이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1. D 플립플롭
  2. T 플립플롭
  3. M/S 플립플롭
  4. JK 플립플롭
(정답률: 59%)
  • 2진 계수 회로에서는 이전 상태에서 1씩 증가하는 카운터를 구현해야 하므로, T 플립플롭이 가장 적합하다. T 플립플롭은 입력값이 1일 때 이전 상태와 반대로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전 상태에서 1씩 증가하는 카운터를 구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8진수 224를 2진수로 변환하면?

  1. 010010100
  2. 010010101
  3. 010010110
  4. 010010111
(정답률: 92%)
  • 8진수 224는 2진수로 변환하면 1 1 1 0 0 0 0 이 됩니다. 이를 그룹으로 나누어 3비트씩 끊어서 2진수로 변환하면 111 000 0 이 됩니다. 이를 각각 2진수로 변환하면 111은 7, 000은 0, 0은 0이 됩니다. 따라서 8진수 224를 2진수로 변환하면 1110000이 되고, 이를 0을 채워서 8자리로 만들면 0100101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0진수 141을 16진수로 변환하면?

  1. 6C
  2. 7C
  3. 8D
  4. 9E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141을 16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41 ÷ 16 = 8 ... 13

    나머지 13은 16진수에서 D에 해당합니다. 몫 8은 16진수에서 8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0진수 141을 16진수로 변환하면 "8D"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71과 다른 크기의 수는?

  1. 2223(4)
  2. 253(8)
  3. 444(6)
  4. AB(16)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주어진 수들은 각각 4자리, 3자리, 3자리, 2자리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171과 다른 크기의 수는 이 중에서 2자리보다 크거나 작은 수가 된다. 그러므로 "2223(4)"와 "253(8)"는 3자리 이상의 크기를 가지므로 답이 될 수 없다. "AB(16)"는 16진수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10보다 큰 숫자가 포함되어 있어 2자리보다 큰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답은 "444(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트 A, B가 있을 때 반가산기가 할 수 있는 기능은?

(정답률: 알수없음)
  • 반가산기는 두 비트 A, B를 입력받아 A XOR B와 A AND B를 출력한다. ""는 A XOR B를 출력하는 반가산기의 진리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반도체 메모리가 아닌 것은?

  1. SRAM
  2. AOI
  3. PROM
  4. DRAM
(정답률: 90%)
  • AOI는 반도체 메모리가 아닌 논리 게이트입니다. SRAM, PROM, DRAM은 모두 반도체 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회로는 어떤 기능을 하는 회로인가?

  1. AND
  2. NAND
  3. OR
  4. NO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NOR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이다. NOR 연산은 두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1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모두 0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 회로의 출력 Y는 입력 A와 B가 모두 0일 때만 1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모두 0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NOR 게이트로 구성된 회로이며, 정답은 "N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6비트 D/A 변환기의 백분율 분해능은?

  1. 약 0.15[%]
  2. 약 1.59[%]
  3. 약 15.9[%]
  4. 약 159[%]
(정답률: 82%)
  • 6비트 D/A 변환기는 2^6 = 64개의 서로 다른 출력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변환기의 분해능은 1/64, 즉 약 1.56%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백분율로 표현할 때 너무 작아서, 일반적으로는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약 1.59%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5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2진수를 16진수로 나타낸 것은?

  1. 2C6B.E98(16)
  2. 2C6B.E91(16)
  3. B1A2.E98(16)
  4. B1A2.E91(16)
(정답률: 60%)
  • 주어진 2진수를 4자리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100 1100 0110 1011 . 1110 1001 1000

    이를 16진수로 나타내면 2C6B.E98 이 된다. 이유는 2C6B은 앞의 4자리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한 값이고, . 뒤의 1110 1001 1000은 16진수로 변환한 값이다. 따라서 2C6B.E98(16)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논리 회로는 BCD-10진 디코더의 일부를 나타낸다. 출력 F는?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A, B, C, D가 각각 0 또는 1의 값을 가질 때, 출력 F는 입력 A, B, C, D에 해당하는 10진수 값과 일치한다. 따라서 입력이 0101일 때, 10진수 값으로는 5가 되므로 출력 F는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떤 ROM이 입력 번지 10비트와 8비트 출력 Word를 가지고 있다. 이 ROM에 포함된 총 비트(bit) 수는?

  1. 1024 bits
  2. 2048 bits
  3. 4096 bits
  4. 8192 bits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번지가 10비트이므로 2의 10승, 즉 1024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출력 Word가 8비트이므로 각 주소마다 8비트의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따라서 총 비트 수는 1024 x 8 = 8192 bit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8비트로 구성된 11010000에 대하여 좌시프트(left shift) 논리 연산 1bit씩 3번 수행하였을 때의 결과로 옳은 것은?

  1. 01000000
  2. 10000000
  3. 10100000
  4. 11010000
(정답률: 알수없음)
  • 11010000을 좌시프트(left shift) 논리 연산 1bit씩 3번 수행하면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

    1번째 연산: 11010000 -> 10100000
    2번째 연산: 10100000 -> 01000000
    3번째 연산: 01000000 -> 10000000

    따라서 정답은 "10000000"입니다. 좌시프트(left shift) 논리 연산은 이진수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으로, 이동한 빈 자리는 0으로 채워집니다. 11010000을 1bit씩 3번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빈 자리를 0으로 채워서 계산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적으로 미사용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문제없이 정상적인 카운트 루프로 복귀하는 카운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와 같이 미사용 상태에서 정상의 카운트 루프로 복귀하지 않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glitch
  2. lockout
  3. drop
  4. jitte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ockout"이다. Lockout은 카운터가 미사용 상태에서 정상적인 카운트 루프로 복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카운터가 잘못된 입력 신호를 받았거나, 내부 회로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Glitch는 일시적인 신호의 변동을 말하며, Drop은 신호의 손실을 의미한다. Jitter는 신호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개의 입력 단에 동시에 1을 가했을 때의 출력이 이전출력의 보수로 나타나는 플립플롭은?

  1. RS
  2. JK
  3. D
  4. 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JK"이다. 이유는 JK 플립플롭은 입력이 동시에 1이 되었을 때 이전 출력의 보수를 출력하기 때문이다. JK 플립플롭은 J(K) 입력이 1(0)일 때 이전 출력의 보수를 출력하고, J(K) 입력이 0(1)일 때는 이전 출력을 그대로 출력한다. 따라서 입력이 동시에 1이 되었을 때 이전 출력의 보수를 출력하는 JK 플립플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드모르간의 4단계 정리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OR을 AND로, AND는 OR로 바꾼다.
  2. 전 변수를 개별로 부정한다.
  3. 모든 2종 부정 기호를 제거한다.
  4. 함수 일부를 부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함수 일부를 부정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드모르간의 4단계 정리 방법에서는 모든 OR을 AND로, AND는 OR로 바꾸고, 전 변수를 개별로 부정하며, 모든 2종 부정 기호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함수 일부를 부정하는 것은 드모르간의 4단계 정리 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배타적 OR와 AND gate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회로는?

  1. 플립플롭 회로
  2. 래치 회로
  3. 카운터 회로
  4. 반가산기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반가산기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AND와 XOR 게이트를 통해 출력값(S, C)을 계산하는 회로입니다. XOR 게이트는 배타적 OR 게이트의 기능을, AND 게이트는 AND 게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가산기 회로는 배타적 OR와 AND gate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마이크로프로세서

41. 메이저 상태(Major Stat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etch state : 명령을 읽고 해독
  2. Interrupt state : 인터럽트 처리
  3. Indirect state : 유효 주소를 계산
  4. Execute state : 실행 및 Indirect state로 복귀
(정답률: 알수없음)
  • Execute state에서는 Indirect state로 복귀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명령어를 읽어와 Fetch state로 돌아가게 된다. Indirect state는 유효 주소를 계산하는 단계이며, Execute state 이전에 실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PU에서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이 순서적으로 발생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1. control signal
  2. instruction register
  3. stack pointer
  4. index register
(정답률: 알수없음)
  • CPU에서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이 순서적으로 발생하기 위해서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가 필요합니다. 제어 신호는 CPU의 동작을 제어하고,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제어 신호는 CPU의 동작을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nstruction register", "stack pointer", "index register"는 CPU의 레지스터로, 제어 신호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패리티 비트(parity bi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error)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2.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를 교정할 수 있다.
  3. 짝수 패리티는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1의 개수를 짝수로 만든다.
  4. 추가된 패리티 비트는 전송후 검사하고 오류가 없으면 제거된다.
(정답률: 100%)
  •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를 교정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패리티 비트는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오류가 발견되면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다른 오류 검출 및 교정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 패리티 비트는 오류를 교정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변장치는 전기 또는 기계, 전자기적 장치로 신호변환이 필요하다.
  2. 주변장치의 속도와 CPU의 처리속도를 맞춰주어야 한다.
  3. 주변장치의 데이터 코드와 형식이 CPU나 메모리의 워드형식과 같다.
  4. 주변장치들의 동작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정답률: 75%)
  • "주변장치의 데이터 코드와 형식이 CPU나 메모리의 워드형식과 같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주변장치의 데이터 코드와 형식은 CPU나 메모리의 워드형식과 다를 수 있으며, 이를 맞추기 위해 데이터 변환기가 필요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주변장치와 CPU 또는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하나는 클록(SCL)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SDA)를 위한 풀업된 라인을 가진 인터페이스 방식은?

  1. SPI
  2. I2C
  3. USART
  4. USB
(정답률: 알수없음)
  • I2C는 클록(SCL)과 데이터(SDA) 라인을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SDA 라인에는 풀업 저항이 존재하여 데이터 전송 시 SDA 라인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장치를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저전력 통신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0~20[V]의 전압을 8비트의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A/D변환 할 경우 분해능은?

  1. 약 0.078[V]
  2. 약 0.156[V]
  3. 약 1.25[V]
  4. 약 2.5[V]
(정답률: 알수없음)
  • 8비트의 A/D 컨버터는 2^8=256개의 레벨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 범위인 0~20V를 256개의 레벨로 분해하면 20/256≈0.078[V]의 분해능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0.078[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UAR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UART는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의 약어이다.
  2. Start bit가 필요하다.
  3. 8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8개의 Data bit, 1개의 Stop bit 이다.
  4.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9비트 UART의 구성은 1개의 Start bit, 9개의 Data bit 이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터럽트 종류 중 하드웨어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

  1. 전원 중단
  2. 입출력 인터럽트
  3. 외부 인터럽트
  4. SVC 인터럽트
(정답률: 50%)
  • SVC 인터럽트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인으로, 사용자 프로그램에서 명시적으로 호출하여 발생시키는 인터럽트이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요인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SVC 인터럽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RS-232C 규격에서 DCE(Data Communication Equipment)의 송신을 요구하는 핀 기호는?

  1. RTS
  2. CTS
  3. DTR
  4. DSR
(정답률: 알수없음)
  • DCE(Data Communication Equipment)에서 송신을 요구할 때는 RTS(Request to Send) 핀을 사용합니다. RTS 핀은 DTE(Data Terminal Equipment)에서 DCE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DCE가 준비되었는지 확인하는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타이머/카운터의 동작 기능 설정은 CPU의 출력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 명령(control word)이 입력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어 명령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인터럽트 벡터
  2. 채널 제어 명령
  3. 시간 정수 데이터
  4. CPU 입출력 제어 명령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머/카운터의 동작 기능 설정은 CPU의 출력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 명령(control word)이 입력되어야 합니다. CPU 입출력 제어 명령은 타이머/카운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이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PU 입출력 제어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명령어(Instruction) 포맷 내에 있는 대표적인 영역이 아닌 것은?

  1. DATA FIELD
  2. OPCODE FIELD
  3. ADDRESS FIELD
  4. MODE FIELD
(정답률: 30%)
  • "DATA FIELD"는 명령어 포맷 내에 있는 대표적인 영역이 아닙니다. 명령어 포맷은 일반적으로 "OPCODE FIELD", "ADDRESS FIELD", "MODE FIELD"로 구성되며, 이들은 명령어의 작동 방식과 필요한 데이터를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DATA FIELD"는 명령어가 처리해야 할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명령어 포맷과는 별개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Xon/Xoff 프로토콜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컴퓨터와 동기 병렬 접속되어 있는 다른 장치들 간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2. 프린터가 컴퓨터의 전송속도를 따라잡기 전에 버퍼가 꽉 차게 되면, 프린터 내의 작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라는 신호인 Xon 신호를 컴퓨터에 보낸다.
  3. 데이터가 충분히 인쇄되고 버퍼의 저장공간에 여유가 생기면, 프린터는 컴퓨터에게 데이터 전송을 다시 재개하라는 의미로 Xoff 신호를 보낸다.
  4. “X”는 “transmitter”의 약자이므로 Xon 또는 Xoff 신호는 transmitter(송신장치)를 켜거나 끄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X"는 "transmitter"의 약자이므로 Xon 또는 Xoff 신호는 transmitter(송신장치)를 켜거나 끄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IBM PC의 인터럽트 처리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재 프로그램카운터 레지스터의 값을 스택에 저장하고 인터럽트처리루틴으로 분기한다.
  2. CPU는 각 명령 사이클 종료 후 인터럽트발생 유, 무를 조사한다.
  3. 인터럽트 수행후 스택에서 메인 프로그램의 주소로 복귀한다.
  4. 인터럽트 동작을 시작하고 난 후에 인터럽트 인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인터럽트 동작을 시작하고 난 후에 인터럽트 인지신호를 발생시킨다."입니다.

    인터럽트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PU는 각 명령 사이클 종료 후 인터럽트 발생 유무를 조사합니다.
    2.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 카운터 레지스터의 값을 스택에 저장합니다.
    3. 저장된 주소로 인터럽트 처리 루틴으로 분기합니다.
    4. 인터럽트 처리 루틴에서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5. 처리가 끝나면 스택에서 메인 프로그램의 주소로 복귀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동작을 시작하고 난 후에 인터럽트 인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인터럽트 인지 신호는 인터럽트가 발생하기 전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RS-232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드라이버 칩셋의 명칭은?

  1. MAX158
  2. MAX232
  3. MAX481
  4. MAX485
(정답률: 알수없음)
  • MAX232는 RS-232C 통신을 위한 드라이버 칩셋으로, TTL 레벨의 신호를 RS-232C 레벨의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와 PC 등의 RS-232C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LCD에 M자를 표시하는 동작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였을 때 수행되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①-③-④-②
  2. ③-①-④-②
  3. ③-①-②-④
  4. ①-③-②-④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①-③-④-②"이다.

    ①번에서는 커서를 M자가 시작될 위치로 이동시킨다.
    ③번에서는 M자의 왼쪽 세로줄을 그린다.
    ④번에서는 M자의 가로줄을 그린다.
    ②번에서는 M자의 오른쪽 세로줄을 그린다.

    따라서, ①-③-④-② 순서대로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메모리 소자 27C128의 의미는?

  1. RAM이고 128KBYTE 용량을 가진다.
  2. ROM이고 64KBYTE 용량을 가진다.
  3. RAM이고 32KBYTE 용량을 가진다.
  4. ROM이고 16KBYTE 용량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27C128은 ROM 소자이며, 16KBYTE 용량을 가지기 때문에 정답은 "ROM이고 16KBYTE 용량을 가진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프로그래머가 어셈블리 언어(Assembly languge)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반복되는 작업을 처리하기 가장 적합한 것은?

  1. 매크로(MACRO)
  2. 함수(function)
  3. reserved instruction set
  4. 마이크로 프로그래밍(micro-programming)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리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반복되는 작업을 처리하기 가장 적합한 것은 "매크로(MACRO)"입니다. 매크로는 반복되는 코드 블록을 하나의 명령어로 정의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매크로를 사용하면 반복되는 코드를 일일이 작성하지 않고, 매크로를 호출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어셈블리 언어에서는 매크로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작업을 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설명과 가장 부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장치는?

  1. MOT
  2. M2M
  3. MEMS
  4. MMU
(정답률: 92%)
  • 이 장치는 메모리 관리 장치(MMU)로, 주소 변환과 가상 메모리 관리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실제 메모리 주소를 모르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정 페이지 제로 주소 지정 방법(modified page zero addressing mode)에서 RST 명령어로 지정이 가능한 주소의 개수는?

  1. 5개
  2. 6개
  3. 7개
  4. 8개
(정답률: 알수없음)
  • RST 명령어는 3비트로 표현되며, 이는 2의 3승인 8개의 주소를 지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8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D/A 변환기에 관한 설명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D/A 변환기는 디지털 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이다.
  2. D/A 변환기의 원리로 R-2R D/A가 많이 사용된다.
  3. D/A 변환기는 분해능이 높을수록 섬세한 아날로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4. 8비트 분해능을 갖는 D/A 변환기는 전체 신호를 최대 64등분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8비트 분해능을 갖는 D/A 변환기는 전체 신호를 최대 256등분할 수 있다. (2의 8승 = 2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프로그래밍언어

61. C언어에서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b : back slach
  2. \t : tab
  3. \r : carriage return
  4. \f : form feed
(정답률: 84%)
  • 정답은 "\b : back slach" 이다. 이스케이프 시퀀스 중 "\b"는 백스페이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백슬래시는 "\"이며, 이스케이프 시퀀스에서는 "\" 다음에 특정 문자를 붙여서 사용한다. 따라서 "\b"는 백스페이스가 아니라 백슬래시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C 언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형이 아닌 것은?

  1. char
  2. float
  3. int
  4. real
(정답률: 91%)
  • C 언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형 중 "real"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real"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으로, C 언어에서는 "double"이나 "float"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상호배타적인 서브루핀들을 분류하여 어느 순간에 필요한 것끼리 모아 적재하는 구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세그먼트 구조
  2. 오버레이 구조
  3. 네트워크 구조
  4. 오버플로우 구조
(정답률: 40%)
  • 오버레이 구조는 상호배타적인 서브루핀들을 분류하여 필요한 것끼리 모아 적재하는 구조를 말한다. 이 구조는 서브루틴 호출 시 필요한 서브루틴들을 미리 메모리에 적재해 놓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호출되는 서브루틴들은 오버레이 구조에서 필요한 부분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메모리에서 해제된다. 이를 통해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실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어셈블리어에서 무조건 분기를 나타내는 명령어는?

  1. CMP
  2. MOV
  3. CASE
  4. JMP
(정답률: 알수없음)
  • JMP는 Jump의 약자로, 무조건적으로 분기를 수행하는 명령어이다. JMP 명령어는 주어진 주소로 프로그램 카운터(PC)를 변경하여 해당 주소로 분기한다. 따라서 JMP 명령어는 조건에 상관없이 무조건 분기를 수행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C언어에서 x=3 이고, y=4 일 때 다음의 수식을 계산한 결과로 옳은 것은?

  1. 10
  2. 12
  3. 13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수식을 계산하면, 먼저 괄호 안의 값인 x*y가 계산되어 3*4=12가 된다. 그리고 이 값에 2를 곱하면 12*2=24가 된다. 마지막으로 3을 더하면 24+3=27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이 아닌 "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C언어에서 변수의 기억영역이 블록 출구에서도 소멸되지 않고 그대로 존속하여 함수 호출 시에 배정한 값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려면 어떤 기억클래스를 지정해야 하는가?

  1. auto
  2. register
  3. static
  4. ref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tatic"이다. static 변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메모리에 계속 존재하며, 함수 호출 시에도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변수를 초기화하지 않아도 되므로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반면 auto와 register 변수는 함수 호출이 끝나면 소멸되므로 값을 유지할 수 없다. ref는 기억클래스가 아니라 참조자를 나타내는 키워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가 이해하는 유일한 언어이다.
  2. 기계어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기호언어이다.
  3. 기계어로 번역하기 위해 어셈블러라는 번역프로그램을 사용한다.
  4. 기계어에서 사용되는 일련의 숫자들을 영어와 비슷한 기호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기호언어이며, 기계어로 번역하기 위해 어셈블러라는 번역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따라서 "컴퓨터가 이해하는 유일한 언어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컴퓨터는 기계어를 이해하며, 어셈블리어는 기계어로 번역되어 실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휘 구조인 토큰(Token)에서 토큰의 인식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예약어
  2. 상수
  3. 공백
  4. 특수 심볼
(정답률: 50%)
  • 토큰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의미를 가지는 최소 단위이며, 이를 인식하기 위해 공백을 이용합니다. 공백은 토큰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공백을 무시하고 처리합니다. 따라서 토큰의 인식 방법에서 공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어셈블리어 명령 “NO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 위치의 내용을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해서 실행되도록 하는 반복 명령이다.
  2. 분기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오퍼랜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3. “no-operation”의 약어로 아무런 동작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4.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명령어가 기억된 번지의 경계선을 맞추기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특정 위치의 내용을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해서 실행되도록 하는 반복 명령이다."가 아닙니다. NOP는 아무런 동작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명령어이며, 분기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오퍼랜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명령어가 기억된 번지의 경계선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어셈블리어에서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은?

  1. ORG
  2. ASSUME
  3. INCLUDE
  4. EQU
(정답률: 알수없음)
  • "EQU"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이다. "ORG"는 시작 주소를 설정하는 명령어, "ASSUME"은 세그먼트 레지스터를 설정하는 명령어, "INCLUDE"는 다른 파일을 포함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EQU"가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인 이유는 다른 명령어와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실행 파일은 EXE와 COM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COM 파일과 EXE 파일 형식의 비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EXE 파일은 스택 세그먼트가 정의
  2. COM 파일은 스택 세그먼트가 미정의
  3. EXE 파일은 데이터 세그먼트가 미정의
  4. COM 파일은 데이터 세그먼트가 코드 세그먼트 내에 정의
(정답률: 알수없음)
  • "EXE 파일은 데이터 세그먼트가 미정의"가 틀린 설명입니다. EXE 파일은 데이터 세그먼트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EXE 파일은 코드, 데이터, 스택 세그먼트가 모두 정의되어 있으며, 실행 파일의 크기가 크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COM 파일은 코드와 데이터만을 가지고 있으며, 스택 세그먼트는 미정의 상태입니다. 따라서 COM 파일은 실행 파일의 크기가 작고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프로그래밍 언어 구현 시에 binding의 주된 기능 및 역할은?

  1. 프로그램을 목적코드로 번역
  2.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를 결정
  3. 변수에 대해 기억장소를 할당
  4. infix 표기의 수식을 Postfix로 변환
(정답률: 알수없음)
  • binding은 변수와 값 사이의 연결을 의미하며, 변수에 대해 기억장소를 할당하는 것이 binding의 주된 기능 및 역할입니다. 이는 변수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언어 구현 시에 binding은 변수의 선언과 할당을 관리하며, 변수가 메모리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추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어셈블리어에서 레지스터 간접 번지 지정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MOV, AL, [BL]
  2. MOV, AL, BL
  3. MOV, AL, 12h
  4. INT 21h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MOV, AL, [BL]"입니다.

    레지스터 간접 번지 지정방식은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에 있는 값을 가져오거나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MOV, AL, [BL]"는 BL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에 있는 값을 AL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명령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레지스터나 값이 직접적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간접 번지 지정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시스템 프로그래밍에서 매크로 프로세서가 어셈블러의 패스와 동시에 수행될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중간화일을 없앨 수 있다.
  2. 프로그램의 크기가 커지고 복잡해진다.
  3. 매크로를 사용할 때 어셈블러의 전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4. 매크로 프로세서와 어셈블러의 비슷한 기능들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매크로 프로세서가 어셈블러의 패스와 동시에 수행될 때, 매크로를 사용하는 부분이 많아질수록 프로그램의 크기가 커지고 복잡해지기 때문에 이는 장점이 아닌 단점이다. 이는 매크로를 사용하는 부분이 많아질수록 매크로를 정의하고 유지보수하는데 드는 비용이 증가하고, 매크로를 사용하는 부분이 많아질수록 프로그램의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언어에서 반복 처리를 위한 명령어는?

  1. static
  2. auto
  3. if
  4. whil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while"입니다. "while"은 조건식이 참인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반복문입니다. 따라서 반복 처리를 위한 명령어로 가장 적합합니다. "static"은 변수 선언 시 사용되는 저장 클래스 지정자입니다. "auto"는 변수 선언 시 자동으로 저장 클래스가 지정되는 지정자입니다. "if"는 조건문을 나타내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원시프로그램(Source Program)의 문자열(Stream)을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요소(Token)로 구분하는 작업은?

  1. Preprocessor
  2. Lexical Analysis
  3. Syntax Analysis
  4. Semantic Analysis
(정답률: 28%)
  • 문자열을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요소로 구분하는 작업은 Lexical Analysis(어휘 분석)이지만, 이 작업 이후에는 각 요소들이 올바른 문법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Syntax Analysis(구문 분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Syntax Analysi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자동변수와 내부정적 변수를 이용하여 처리결과를 비교해 보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최종 처리 결과 후 imsi와 temp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은 각각 얼마인가?

  1. imsi = 100, temp = 100
  2. imsi = 100, temp = 101
  3. imsi = 101, temp = 100
  4. imsi = 101, temp = 101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자동변수 imsi와 내부정적 변수 temp에 각각 100의 값을 할당한다.
    2. 함수 addOne()을 호출하면서 imsi의 값을 인자로 전달한다.
    3. addOne() 함수 내부에서는 인자로 전달받은 값에 1을 더한 후, imsi에 저장한다.
    4. addOne() 함수 내부에서는 내부정적 변수 temp에 1을 더한 후, temp에 저장한다.
    5. addOne() 함수가 종료되면, imsi와 temp에 저장된 값이 출력된다.
    6. 따라서, imsi는 101이 되고, temp는 100이 된다.

    즉, addOne() 함수 내부에서는 imsi와 temp 변수를 각각 다루고 있으며, imsi는 함수 호출 시 전달된 인자값을 기반으로 처리되고, temp는 내부정적 변수로서 함수 호출 시마다 초기화되지 않고 이전에 저장된 값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imsi와 temp의 최종값은 각각 101과 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하기 위한 C언어의 소스코드에서 ( A )에 가장 적합한 값은?

  1. 8
  2. 9
  3. 10
  4. 1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0"입니다.

    이유는 for문에서 i가 1부터 10까지 증가하면서 sum에 더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가 10일 때 sum에는 1부터 10까지의 합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 A )에는 10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기계어의 Operation부를 기호화한 것을 무슨 코드라 하는가?

  1. Mnemonic
  2. Symbol
  3. Data
  4. Machine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어의 Operation부를 기호화한 것을 Mnemonic이라고 한다. 이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기호로 표현된 코드이기 때문이다. Mnemonic 코드는 기계어를 직접 작성하는 것보다 이해하기 쉽고 작성하기도 쉬우며,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들은 Mnemonic 코드를 사용하여 기계어를 작성하고, 이를 어셈블러(assembler)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어셈블리어 명령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EJECT
  2. TITLE
  3. PAGE
  4. CREF
(정답률: 100%)
  • "TITLE"은 어셈블리어에서 프로그램의 제목을 정의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시작 부분에 프로그램의 이름, 버전, 작성자 등의 정보를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TITLE"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