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회로

1. 다중 회선을 구성할 때 시분할 방식으로 하려면 어떤 변조 방식이 가장 적절한가?

  1. PWM
  2. AM
  3. 펄스 변조
  4. PM
(정답률: 70%)
  • 시분할 방식은 시간을 나누어 여러 개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식이므로, 각 회선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시간적으로 분할되어 전송되어야 합니다. 이때 펄스 변조 방식은 시간적으로 분할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다중 회선 구성에 적합합니다. PW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므로, 다중 회선 구성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AM과 PM은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이므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회선 구성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반전 증폭기의 출력전압 Vo는? (단, R1 = 20kΩ, R2 = 10kΩ, Vi = 5V 이다.)

  1. 2.5V
  2. -2.5V
  3. 10V
  4. -10V
(정답률: 54%)
  • 입력신호가 양수일 때, D1 다이오드가 conducing 상태가 되어 R2를 통해 출력신호가 나오게 된다. 이 때, R1과 R2의 전압분배에 의해 출력전압은 -10V가 된다. 입력신호가 음수일 때, D2 다이오드가 conducing 상태가 되어 R1을 통해 출력신호가 나오게 된다. 이 때도 R1과 R2의 전압분배에 의해 출력전압은 -10V가 된다. 따라서, 반전 증폭기의 출력전압은 "-1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의 PCM 회로 구성에서 들어갈 회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 표본화 회로, ㄴ : 양자화 회로, ㄷ : 부호화 회로
  2. ㄱ : 표본화 회로, ㄴ : 부호화 회로, ㄷ : 양자화 회로
  3. ㄱ : 부호화 회로, ㄴ : 양자화 회로, ㄷ : 표본화 회로
  4. ㄱ : 양자화 회로, ㄴ : 표본화 회로, ㄷ : 부호화 회로
(정답률: 100%)
  • PCM(Pulse Code Modulation)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세 가지 과정이 필요합니다.

    1. 표본화(Sampling) :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를 위해 표본화 회로가 필요합니다.

    2. 양자화(Quantization) : 샘플링된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근사값으로 변환합니다. 이를 위해 양자화 회로가 필요합니다.

    3. 부호화(Encoding) :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합니다. 이를 위해 부호화 회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회로 구성은 "ㄱ : 표본화 회로, ㄴ : 양자화 회로, ㄷ : 부호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입력의 반주기(180°) 동안은 직선 영역에서 동작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은 차단영역에서 동작하는 증폭기는?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73%)
  • 입력의 반주기 동안 직선 영역에서 동작하므로, 증폭기의 출력이 입력 신호의 평균값과 같아지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BJT나 MOSFET 등의 활성 영역에서 동작하는 증폭기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증폭기는 B급으로 분류됩니다. 반면, 차단 영역에서 동작하는 증폭기는 C급 또는 D급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파브리지 정류기의 다이오드 하나가 개방(open)될 때 출력전압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0 V
  2. 반파 전압
  3. 입력전압의 10배
  4. 입력전압의 2배
(정답률: 79%)
  • 전파브리지 정류기는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전압의 반파만을 정류하여 출력전압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다이오드 중 하나가 개방되면 해당 반파의 전압이 정류되지 않아 출력전압은 0 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파 전압"이 아닌 "0 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IC 연산증폭기의 입력단으로 사용되는 증폭기는?

  1. 차동 증폭기
  2. 전압 증폭기
  3. 전류 증폭기
  4. 전력 증폭기
(정답률: 91%)
  • IC 연산증폭기의 입력단은 차동 신호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차동 증폭기를 사용한다. 차동 증폭기는 두 개의 입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하는 회로로, 고장입력에 대한 고장반응이 적고, 고장신호가 적게 발생하는 등 안정적인 신호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류-전압 관계가 인 소자의 전달컨덕턴스(Transconductance) gm은?

(정답률: 58%)
  • 전달컨덕턴스 gm은 전류-전압 관계의 기울기이므로, 기울기가 인 소자의 전달컨덕턴스는 이 됩니다. 이는 소자의 전류가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회로의 동작으로 옳은 것은?

  1. 정(+)방향 피크를 기준 레벨 VR로 클램프 한다.
  2. 부(-)방향 피크를 기준 레벨 VR로 클램프 한다.
  3. 출력은 2VR 이다.
  4. 출력은 Vi 이다.
(정답률: 80%)
  • 부(-)방향 피크를 기준 레벨 VR로 클램프 하는 이유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정(+)방향 피크를 기준 레벨로 클램프 한다면,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회로 동작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부(-)방향 피크를 기준 레벨로 클램프하여 다이오드가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도록 한다. 출력은 클램핑된 입력 신호의 최대값인 2V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부귀환 증폭기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잡음이 감소한다.
  2. 대역폭이 증가한다.
  3. 안정도가 증가한다.
  4. 일그러짐이 증가한다.
(정답률: 73%)
  • 정답: "일그러짐이 증가한다."

    부귀환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잡음이 감소하고 대역폭이 증가하며 안정도가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귀환 증폭기는 일정한 입력 신호에 대해서는 일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증폭기의 특성상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출력 신호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출력 신호가 일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회로에서 저항 Ro양단의 출력전압은 몇 V 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저항 Ro는 전압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므로, 입력전압 6V 중 2/3만큼을 출력하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전압은 4V * 2/3 = 2.67V 입니다. 하지만 이 회로에서는 출력전압이 2V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출력전압은 2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단상 반파 정류 회로에서 순저항 부하에 걸리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200V 일 때,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의 크기는 약 몇 V 인가?

  1. 628
  2. 314
  3. 141.4
  4. 565.7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상 반파 정류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전류를 흐르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의 크기는 부하에 걸리는 직류 전압의 루트 2 배가 된다. 따라서, 200V의 루트 2 배는 약 282.8V가 되며, 이 값에 다시 루트 2를 곱해주면 최대 역전압의 크기는 약 400V가 된다. 하지만, 다이오드의 최대 역전압은 보통 2배 정도 여유를 두기 때문에, 이 값에 다시 2를 곱해주면 약 800V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62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n-채널 JFET의 IDSS = 16mA, VP = -4V, VGS = -2V 일 때 gm은 몇 S 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gm = 2IDSS/|VP| = 2(16mA)/4V = 8S

    정답은 "4"이다. gm은 IDSS와 VP에 비례하고, VGS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VGS가 일정하다면 IDSS와 VP가 증가하면 gm도 증가한다. 따라서 IDSS와 VP가 모두 더 큰 3과 2는 정답이 될 수 없고, IDSS와 VP가 모두 더 작은 1은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류 귀환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귀환이 없을 때와 비교하면 어떠한가?

  1. 감소한다.
  2. 증가한다.
  3. 변화가 없다.
  4.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정답률: 65%)
  • 전류 귀환 증폭기는 귀환을 통해 출력 임피던스를 높여서 입력 신호에 대한 영향력을 줄이기 때문에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이는 귀환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비해 더 안정적인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급 전력증폭기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입력신호 전주기(0~360°)에서 동작한다.
  2. 활성영역에서 동작한다.
  3. 효율은 [%]이다.
  4. 완충 증폭기로 이용한다.
(정답률: 80%)
  • "입력신호 전주기(0~360°)에서 동작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A급 전력증폭기는 입력신호의 일부분만을 증폭하기 때문에 입력신호 전체 주기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활성영역에서 동작한다.

    효율은 [%]이다는 것은 전력증폭기가 입력신호를 증폭할 때, 전력의 일부가 소모되어 열로 발산되는데, 이 소모되는 전력과 증폭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이 높을수록 전력증폭기의 효율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등가회로가 나타내는 소자는?

  1. SSS
  2. SUS
  3. SCR
  4. SCS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가회로에서 SCR은 양방향 동작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로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양방향 전류가 흐를 때 일정 전압 이상이 되면 SCR 내부에서 전류가 유지되며, 이를 유지상태라고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SCR은 스위치나 전류 제어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주어진 등가회로에서 SCR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전압 장치의 출력전압은 몇 V 인가?

  1. 5
  2. 7.5
  3. 10
  4. 30
(정답률: 62%)
  • 정전압 장치는 입력전압이 변해도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치이다. 이 때, 입력전압이 20V 일 때, 출력전압이 10V 이므로 정답은 "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이미터 접지증폭기에 이미터 저항을 연결했을 경우 나타나는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저항이 증가한다.
  2.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3. 안정도가 좋아진다.
  4. 전압이득이 증가한다.
(정답률: 43%)
  • 정답은 "전압이득이 증가한다."이다. 이미터 접지증폭기에 이미터 저항을 연결하면 입력저항이 증가하고, 주파수 특성이 개선되며 안정도가 좋아진다. 하지만 전압이득은 감소한다. 이는 이미터 접지증폭기의 동작 원리 때문인데, 이미터 접지증폭기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위상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출력 신호의 진폭을 입력 신호의 진폭보다 작게 만든다. 따라서 이미터 접지증폭기에 이미터 저항을 연결하면 출력 신호의 진폭이 더 작아지므로 전압이득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펄스 변조 방식 중에서 아날로그 변조가 아닌 것은?

  1. 펄스 진폭 변조(PAM)
  2. 펄스 부호 변조(PCM)
  3. 펄스 위상 변조(PPM)
  4. 펄스 폭 변조(PWM)
(정답률: 67%)
  • 펄스 진폭 변조(PAM), 펄스 위상 변조(PPM), 펄스 폭 변조(PWM)은 모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진폭, 위상, 폭 등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합니다. 반면에 펄스 부호 변조(PCM)는 입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한 후, 각 샘플마다 양자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값으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펄스 부호 변조(PCM)는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며, 다른 세 가지 방식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산증폭기에 계단파 입력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시간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은?

  1. 전류 드리프트
  2. 슬루레이트
  3. 동상신호제거비
  4. 출력 오프셋 전압
(정답률: 77%)
  • 슬루레이트는 입력신호의 기울기와 출력신호의 기울기가 일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산증폭기에 계단파 입력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시간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은 슬루레이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산증폭기와는 관련이 있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FET에서 VGS = 0.7V로 일정하고 하고 VDS를 5V에서 10V로 변화시켰을 때, ID가 10mA에서 15mA로 변환하였다면 드레인-소스 저항(rd)은 몇 kΩ 인가?

  1. 1
  2. 5
  3. 10
  4. 50
(정답률: 70%)
  • 드레인-소스 저항(rd)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d = ΔVDS / ΔID

    여기서 ΔVDS는 VDS의 변화량, ΔID는 ID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주어진 문제에서 VGS는 일정하므로, ID가 증가하면 VDS도 증가한다. 따라서 ΔVDS는 5V에서 10V로 변화한 값인 5V가 된다. 또한 ΔID는 15mA에서 10mA로 변화한 값인 -5mA가 된다.

    따라서,

    rd = ΔVDS / ΔID = 5V / (-5mA) = -1kΩ

    하지만 저항은 항상 양수이므로, 절대값을 취해준다. 따라서 드레인-소스 저항(rd)은 1kΩ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디지털공학

21. 다음 논리회로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2비트 일치 회로
  2. 2비트 크기 비교 회로(A>B)
  3. 2비트 크기 비교 회로(A<B)
  4. 2비트 불일치 회로
(정답률: 69%)
  • 이 논리회로는 A와 B의 2비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출력이 1이 되는 "2비트 일치 회로"이다. A와 B의 각 비트를 XOR 연산하여 출력을 구하고, 그 출력들을 AND 연산하여 최종 출력을 구한다. XOR 연산은 두 입력이 같으면 0, 다르면 1을 출력하므로, 두 비트가 일치하면 XOR 연산의 출력이 0이 되고, 일치하지 않으면 1이 된다. 따라서, A와 B의 각 비트를 XOR 연산하여 출력을 구하면, 두 비트가 일치하면 0, 일치하지 않으면 1이 된다. 이 출력들을 AND 연산하여 최종 출력을 구하면, 두 비트가 모두 일치할 때만 1이 되므로, "2비트 일치 회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2-input NAND 게이트 입력에 각각 인버터가 접속되어 있을 때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논리 작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AND
  2. OR
  3. NAND
  4. NOT
(정답률: 72%)
  • 2-input NAND 게이트 입력에 각각 인버터가 접속되어 있으면 결과적으로는 OR 게이트와 같은 논리 작용을 한다. 이는 NAND 게이트의 출력이 입력 인버터를 통해 반전되어 출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된 두 신호 중 하나 이상이 0이면 출력은 1이 되고, 두 신호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0이 된다. 이는 OR 게이트의 논리 작용과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읽기 전용의 속성을 가진 기억장치는?

  1. RAM
  2. Mask ROM
  3. 레지스터
  4. Cache Memory
(정답률: 85%)
  • Mask ROM은 제조과정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기 전용으로 만들어진 기억장치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고 읽기만 가능하다. 따라서 읽기 전용의 속성을 가진 기억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A′+B′)를 간략화 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A+B
  2. A′+B′
  3. A⦁B
  4. (A⦁B)′
(정답률: 알수없음)
  • (A′+B′)를 간략화하면 두 개의 부정된 항(A′, B′)이 모두 참이어야 하므로, 이는 A와 B가 모두 참일 때와 동일합니다. 따라서, (A′+B′)는 A⦁B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블록 회로도가 수행하는 카운터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비동기식 하향 16진 Counter
  2. 비동기식 8진 Counter
  3. 동기석 16진 Counter
  4. 상향 16진 Counte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비동기식으로 동작하며, 하향 카운터이다. 또한 출력이 16진수로 표현되므로 16진 카운터이다. 따라서 "비동기식 하향 16진 Coun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디지털 데이터를 기억 및 임시 저장할 수 있는 것은?

  1. 제너레이터
  2. 레지스터
  3. 인코더
  4. 전원 공급장치
(정답률: 92%)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있는 작은 기억 장치로, 디지털 데이터를 기억하고 임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를 기억 및 임시 저장할 수 있는 것은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논리회로에서 출력 D를 간호화하면?

(정답률: 28%)
  • AND 게이트의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 C가 1이 되고, C와 D가 모두 1일 때 출력 D가 1이 된다. 따라서, D는 A와 B, C의 AND 연산 결과와 D의 AND 연산 결과를 OR 연산한 값이 된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D = (A AND B AND C) OR D 이므로, 보기 중에서 ""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오류 검출 코드가 아닌 것은?

  1. 2-5진 코드
  2. 해밍 코드
  3. 링 카운터 코드
  4. 3-초과 코드
(정답률: 70%)
  • 정답은 "3-초과 코드"입니다.

    3-초과 코드는 오류 검출 코드가 아닌 오류 정정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보낸 후에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비트를 수정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코드는 오류 검출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2-5진 코드, 해밍 코드, 링 카운터 코드는 모두 오류 검출 코드입니다. 2-5진 코드는 2진수를 5진수로 변환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코드이고, 해밍 코드는 데이터에 추가적인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코드입니다. 링 카운터 코드는 데이터를 보낼 때마다 카운터 값을 증가시켜 오류를 검출하는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회로에서 입력 A = 0, B = 1 일 때 출력값은?

  1. X1
  2. X2
  3. X3
  4. X4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A = 0, B = 1 일 때, AND 게이트의 입력은 A와 B가 모두 1이어야 하므로 0이 되고, OR 게이트의 입력은 A와 B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1이 되므로 1이 된다. 따라서, XOR 게이트의 입력은 0과 1이므로 출력은 1이 된다.

    보기에서 "X1"과 "X2"는 AND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고, "X4"는 OR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는다. 하지만, XOR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는 것은 "X3"뿐이므로 정답은 "X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입력 펄스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상태가 변화하는 레지스터로서 발생 횟수를 세거나 동작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회로는?

  1. 범용 레지스터
  2. 멀티플렉서
  3. 카운터
  4. 스택
(정답률: 100%)
  • 입력 펄스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상태가 변화하는 레지스터는 카운터입니다. 카운터는 입력 펄스를 받아서 발생 횟수를 세거나 동작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만들기에 가장 적합한 회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데는 적합하지만, 발생 횟수를 세거나 동작순서를 제어하는데는 카운터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3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카운터의 모듈러스는?

  1. 3
  2. 4
  3. 8
  4. 16
(정답률: 91%)
  • 3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카운터는 2의 3승인 8개의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듈러스는 8입니다. 예를 들어, 카운터가 0부터 시작하여 7까지 증가하고 다시 0으로 돌아가는 것을 반복합니다. 이는 8진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논리회로이다. 이 회로에 대한 논리함수는?

  1. F(A, B, C, D) = ∑(0, 1, 3, 4, 8, 9, 15)
  2. F(A, B, C, D) = ∑(0, 2, 5, 6, 10, 11, 14)
  3. F(A, B, C, D) = ∑(1, 3, 8, 11, 14, 15)
  4. F(A, B, C, D) = ∑(1, 2, 6, 8, 9, 14)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4개의 입력(A, B, C, D)을 받아 2개의 출력(Y1, Y2)을 내보내는 회로이다. Y1은 A, B, C, D 중에서 2개 이상이 1일 때 1이 되고, Y2는 A, B, C, D 중에서 홀수 개의 입력이 1일 때 1이 된다.

    따라서 F(A, B, C, D)는 Y1과 Y2를 OR 연산한 것과 같다.

    Y1의 논리함수는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이다.

    Y2의 논리함수는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이다.

    따라서 F(A, B, C, D) = Y1 + Y2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이다.

    이를 간소화하면 F(A, B, C, D) = ∑(0, 1, 3, 4, 8, 9, 15)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회로의 입력에 120kHz 구형파를 인가하였을 때 출력 Q3으로 나오는 신호의 주파수는?

  1. 120kHz
  2. 60kHz
  3. 15kHz
  4. 120Hz
(정답률: 42%)
  • 다이오드 D1과 D2는 반파정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입력 신호의 양 극성에 따라 각각이 전류를 흐르게 합니다. 이 때, 출력 신호는 D3와 D4를 통해 정류되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인 120kHz의 반파인 60kHz가 됩니다. 그러나, C1과 C2는 저주파 통과 필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더욱 낮아지게 됩니다. C1과 C2의 용량이 크면 클수록 저주파 신호를 더욱 잘 통과시키므로,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더욱 낮아집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출력 신호의 주파수가 가장 낮은 것은 "15kHz"이므로 정답은 "15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장 단순한 반가산기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출력은 합과 자리올림수 2가지이다.
  2. 입력은 총 3가지이다.
  3. 자리올림수는 AND 게이트를 사용한다.
  4. 합은 EX-OR 게이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92%)
  • 입력은 총 2가지이다. 반가산기는 2개의 입력(A, B)과 2개의 출력(합, 자리올림수)을 가지며, 자리올림수는 AND 게이트, 합은 EX-OR 게이트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논리회로를 간략히 하였을 때 같은 여갈을 수행하는 게이트는?

  1. NAND gate
  2. NOR gate
  3. AND gate
  4. OR gate
(정답률: 80%)
  • 입력 A와 B가 둘 다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NAND 게이트의 출력 특성과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NAND gat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그림의 회로에서 출력 F로 옳은 것은?

  1. F(A, B, C) = ∑(0, 1, 2, 3)
  2. F(A, B, C) = ∑(0, 2, 4, 6)
  3. F(A, B, C) = ∑(1, 3, 5, 6)
  4. F(A, B, C) = ∑(2, 4, 6, 8)
(정답률: 67%)
  • 출력 F는 OR 게이트로 연결된 두 개의 입력(A와 B)과 AND 게이트로 연결된 C의 부정값(C')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출력 F는 A, B, C' 중 하나라도 1이면 1이 되는 논리식을 가진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F(A, B, C) = A + B + C'가 된다. 이 식을 참으로 만드는 입력 조합은 다음과 같다.

    - A=0, B=0, C=1
    - A=1, B=0, C=0
    - A=0, B=1, C=0
    - A=1, B=1, C=0

    이들 입력 조합에 대응하는 minterm은 각각 1, 3, 5, 6이다. 따라서 출력 F의 논리식은 F(A, B, C) = ∑(1, 3, 5, 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16진수 ABCD(16)를 10진수로 옳게 변환 한 것은?

  1. 34100
  2. 32380
  3. 42420
  4. 43981
(정답률: 54%)
  • 16진수 ABCD(16)를 10진수로 변환하려면 각 자리수를 16의 거듭제곱과 곱한 후 더해주면 된다.

    A는 10, B는 11, C는 12, D는 13을 나타내므로

    ABCD(16) = 10 × 16³ + 11 × 16² + 12 × 16¹ + 13 × 16⁰ = 43981 이다.

    따라서 정답은 "4398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진수 00010010의 2의 보수는?

  1. 11101100
  2. 11101101
  3. 11101110
  4. 11101111
(정답률: 72%)
  • 2진수 00010010의 1의 보수는 11101101이다.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므로, 11101101에 1을 더한 1110111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시간 폭이 매우 좁은 트리거 펄스 열이 입력측에 가해질 경우, 이 펄스가 나타나는 순간마다 출력 상태가 바뀌는 플립플롭은?

  1. JK 플립플롭
  2. T 플립플롭
  3. RS 플립플롭
  4. D 플립플롭
(정답률: 84%)
  • T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출력 상태가 반전되는 플립플롭으로, 시간 폭이 매우 좁은 트리거 펄스 열이 입력측에 가해질 경우에도 출력 상태가 바뀌기 때문에 이 상황에 적합하다. JK 플립플롭, RS 플립플롭, D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상태가 바뀌는데, 시간 폭이 매우 좁은 트리거 펄스 열이 입력측에 가해질 경우에는 입력 신호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현재 상태의 값에 관계없이 다음 상태가 “0”이 되려면 입력도 “0”이 되어야 하는 플립플롭은?

  1. T 플립플롭
  2. D 플립플롭
  3. JK 플립플롭
  4. RS 플립플롭
(정답률: 93%)
  • D 플립플롭은 입력이 "0"일 때만 현재 상태와 상관없이 다음 상태가 "0"이 되기 때문에 정답이다. T 플립플롭은 토글 기능을 가지고 있어 현재 상태와 상관없이 입력이 "1"이면 다음 상태가 "0"이 되고, 입력이 "0"이면 다음 상태가 현재 상태와 반대가 된다. JK 플립플롭과 RS 플립플롭은 입력과 현재 상태에 따라 다음 상태가 결정되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마이크로프로세서

41. 명령의 대상인 데이터 위치를 offset 값을 주어 명령어 자신의 기억번지를 기준으로 지정하는 주소 모드(addressing mode)는?

  1. 직접 주소 모드(direct addressing mode)
  2. 간접 주소 모드(indirect addressing mode)
  3. 상대 주소 모드(relative addressing mode)
  4. 즉시 주소 모드(immediate addressing mode)
(정답률: 50%)
  • 상대 주소 모드는 명령어 자신의 기억번지를 기준으로 offset 값을 더하여 데이터 위치를 지정하는 주소 모드이다. 즉,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명령어와 데이터가 상대적인 위치에 있을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광전 변환 소자가 아닌 것은?

  1. Thermocouple
  2. Photo Diode
  3. Photp Transistor
  4. cds
(정답률: 50%)
  • Thermocouple은 광전 변환 소자가 아닙니다. Thermocouple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온도 차이에 따라 전압을 생성하는 열전 대기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로그램 제어를 위한 명령에 해당하는 것은?

  1. 데이터 전송 명령
  2. 연산 명령
  3. 분기 명령
  4. 입출력 명령
(정답률: 80%)
  • 분기 명령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으로, 조건에 따라 다른 명령어를 실행하거나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한 명령에 해당합니다. 데이터 전송 명령은 데이터를 메모리나 레지스터 등에 전송하는 명령, 연산 명령은 덧셈, 뺄셈, 곱셈 등의 연산을 수행하는 명령, 입출력 명령은 입출력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카운터의 클록펄스 인가 방식에 따른 분류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동기식 카운터
  2. 2n 진 카운터
  3. 시프트 카운터
  4. 모듈러스 카운터
(정답률: 72%)
  • 가장 옳은 것은 "비동기식 카운터"이다.

    비동기식 카운터는 클록 펄스의 상승/하강에 관계없이 입력 신호에 따라 카운트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카운터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변화와 상관없이 카운트가 일어나므로 비동기식이라고 부른다.

    2n 진 카운터는 카운트 값이 2의 n승으로 제한되는 카운터이다.

    시프트 카운터는 이전 카운트 값을 시프트 연산으로 이동시켜 새로운 값을 생성하는 카운터이다.

    모듈러스 카운터는 카운트 값이 일정한 값으로 제한되는 카운터이다. 예를 들어, 0부터 9까지 카운트하는 모듈러스 10 카운터는 9 다음에 0으로 다시 돌아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RS-232 통신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RS-232는 EIA의 레벨을 갖고 있다.
  2. PC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이에 RS-232 통신을 하려면 MAX232와 같은 레벨 변환 소자가 있어야 한다.
  3. RS-232 통신의 장점은 무한한 거리의 직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RS-232 통신은 보통 20K baud 이하의 속도로 직렬 데이터 전송을 한다.
(정답률: 92%)
  • RS-232 통신의 장점은 무한한 거리의 직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짧은 거리에서도 안정적인 직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RS-232 통신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노이즈와 신호 감쇠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 거리 이상에서는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어렵다. 따라서 RS-232 통신에서는 중계기나 모뎀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하거나 변환하여 전송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터럽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주변장치들은 고유한 IRQ 값을 갖는다.
  2.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인터럽트 서비스 수행 후 복귀할 주소를 스택에 저장한다.
  3. 인터럽트 서비수 후에는 스택에 저장된 복귀주소를 PC에 세팅한다.
  4. 하나이상의 인터럽트가 처리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인터럽트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그들을 스택에 저장한다.
(정답률: 62%)
  • "하나이상의 인터럽트가 처리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인터럽트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그들을 스택에 저장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터럽트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은 운영체제의 역할이며,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는 해당 인터럽트에 대한 처리만 수행하고 복귀할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고 PC에 세팅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동기식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작속도가 고속으로 이루어진다.
  2. 설계가 쉽고 규칙적이다.
  3. 제어신호가 플립플롭의 입력으로 된다.
  4. 플립플롭의 상태가 순차적으로 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립플롭의 상태가 순차적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동기식 카운터는 제어신호가 플립플롭의 입력으로 들어와서 플립플롭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때, 플립플롭의 상태는 순차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순서대로 카운트가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플립플롭의 상태가 순차적으로 변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외부의 직렬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직렬-병렬 상호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1. baud rate
  2. UART
  3. Strobe 장치
  4. Centronics
(정답률: 알수없음)
  • UART는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의 약자로, 시리얼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칩이다. UART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의 직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직렬-병렬 상호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UART가 선택되는 것이다. "baud rate"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Strobe 장치"와 "Centronics"는 프린터와 관련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직렬 전송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회로 구성이 간단하다.
  2. 원거리 전송에 적합하다.
  3. 적은 비용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4. 병렬 전송에 비해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93%)
  • 정답: "원거리 전송에 적합하다."

    직렬 전송의 장점 중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씩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충돌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렬 전송보다 더 빠른 전송속도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명령어 OPCode 6비트, Operand 16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명령어를 쓰는 컴퓨터는 최대 몇 가지의 동작이 가능한가?

  1. 6
  2. 16
  3. 22
  4. 64
(정답률: 93%)
  • OPCode는 6비트로 표현되므로 2의 6승인 64가지의 명령어가 가능하다. Operand는 16비트로 표현되므로 각 명령어마다 2의 16승인 65536개의 다른 옵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컴퓨터는 64가지의 명령어와 각 명령어마다 65536개의 옵션을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프로세서의 여러 상태 비트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레지스터는?

  1. SP(Stack pointer)
  2. PSW(Program status word)
  3. INT(Interrupt)
  4. MAR(Memory address register)
(정답률: 59%)
  • PSW(Program status word)는 프로세서의 여러 상태 비트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레지스터이다. 이 레지스터는 프로세서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종류, 이전 명령어의 실행 결과, 인터럽트 상태 등을 저장한다. 따라서 PSW는 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플래그 레지스터 중 가산과 감산의 결과 누산기의 MSB에서 자리올림이나 자리빌림이 생길 경우 1로 세트되는 것은?

  1. carry flag
  2. zero flag
  3. sign flag
  4. subtract flag
(정답률: 84%)
  • 가산과 감산의 결과 누산기에서 MSB에서 자리올림이나 자리빌림이 생기면, 이전 연산에서 발생한 자리올림이나 자리빌림을 현재 연산에서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carry flag가 1로 세트된다. 따라서 정답은 "carry fla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변장치의 요청이 있을 때만 CPU가 처리를 행하고 그 외에는 CPU가 다른 일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방식은?

  1. Interrupt
  2. Isolated I/O
  3. Prallel processing
  4. Memory Mapped I/O
(정답률: 82%)
  • 주변장치의 요청이 있을 때만 CPU가 처리를 행하고 그 외에는 CPU가 다른 일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방식은 "Interrupt" 이다. 이는 주변장치가 CPU에게 요청을 보내면 CPU는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해당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한다. 이후에는 다시 이전 작업으로 돌아가서 수행을 계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CPU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로세서 제어구조 설계방식 중 하드와이어드(hard-wired) 방식에 비하여 마이크로프로그래밍(microprogramming)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상대적으로 처리 속도가 빠르다.
  2. 구조화된 제어 구조를 제공한다.
  3. 변경이 용이하다.
  4. 유지보수가 쉽다.
(정답률: 70%)
  • 마이크로프로그래밍 방식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 비해 처리 속도가 느리다. 이는 마이크로프로그래밍 방식에서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해 여러 개의 마이크로 명령어를 실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는 제어신호를 직접 연결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DC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은?

  1. 워치독(Watchdog) 방식
  2.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
  3. 바이폴라(bipolar) 방식
  4. 유니폴라(unipolar) 방식
(정답률: 62%)
  • DC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 중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은 주파수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펄스 폭을 조절하여 모터의 평균 전압을 변화시켜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즉, 모터에 가해지는 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전압이 가해지는 시간을 조절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자료의 표현 단위를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

  1. 비트-1bit, 니블-4bit, 바이트-8bit
  2. 비트-1bit, 바이트-4bit, 니블-8bit
  3. 니블-1bit, 비트-4bit, 바이트-8bit
  4. 니블-1bit, 바이트-4bit, 비트-8bit
(정답률: 93%)
  • 마이크로컴퓨터에서 가장 작은 자료의 표현 단위는 비트(bit)이며, 1비트는 0 또는 1의 두 가지 값을 가집니다. 니블(nibble)은 4비트(bit)로 이루어져 있으며, 2진수 4자리로 표현됩니다. 바이트(byte)는 8비트(bit)로 이루어져 있으며, 2진수 8자리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비트-1bit, 니블-4bit, 바이트-8bit"가 가장 옳은 표현 단위의 나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떤 프로시저(Procedure)를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는 의사 명령어는?

  1. INCLUDE
  2. CALL
  3. JMP
  4. RET
(정답률: 73%)
  • "INCLUDE"는 다른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프로시저를 현재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의사 명령어이다. 따라서 다른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프로시저를 중복 작성하지 않고도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CALL"은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명령어이고, "JMP"는 프로그램의 실행 위치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RET"는 서브루틴에서 메인 루틴으로 돌아가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인터럽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CPU 내부 인터럽트
  2. 시스템 인터럽트
  3. 소프트웨어적 인터럽트
  4. 인터럽트 확인 인터럽트
(정답률: 75%)
  • 인터럽트 확인 인터럽트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인터럽트이며, 단순히 예시로 나열된 것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의 종류가 아닙니다. CPU 내부 인터럽트는 CPU 내부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 시스템 인터럽트는 하드웨어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 소프트웨어적 인터럽트는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오퍼랜드가 명령어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랜드를 지정하지 않아도 묵시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의 주소 지정 모드(addressing mode)로 가장 옳은 것은?

  1. indexed addressing mode
  2. relative addressing mode
  3. indirect addressing mode
  4. implied addressing mode
(정답률: 72%)
  • 오퍼랜드가 명령어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랜드를 지정하지 않아도 묵시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필요한 경우, 이를 "implied addressing mode"라고 합니다. 다른 주소 지정 모드들은 명령어에서 명시적으로 오퍼랜드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프로그램 카운터의 동작으로 맞는 것은?

  1. 현재 명령어를 수행하는 동안에 현재 명령어의 위치를 기억한다.
  2. 현재 명령어를 수행하는 동안에 가장 하위 메모리 주소를 가진다.
  3. 현재 명령어를 수행하는 동안에 다음 명령어의 위치를 기억한다.
  4. 현재 명령어를 수행하는 동안에 이전 명령어의 위치를 기억한다.
(정답률: 70%)
  • "현재 명령어를 수행하는 동안에 다음 명령어의 위치를 기억한다."가 맞습니다.

    프로그램 카운터는 CPU 내부의 레지스터 중 하나로,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명령어를 실행하는 동안에는 다음 명령어의 주소를 계산하여 프로그램 카운터에 저장해둡니다. 이렇게 하면 현재 명령어가 실행을 마치면 다음 명령어를 즉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명령어를 수행하는 동안에 다음 명령어의 위치를 기억한다"는 말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프로그래밍언어

61. C언어에서 문자열 입력 함수로 가장 옳은 것은?

  1. putchar( )
  2. puts( )
  3. getchar( )
  4. gets( )
(정답률: 50%)
  • 정답: gets( )

    gets( ) 함수는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로, 입력받은 문자열을 문자 배열에 저장한다. 다른 함수들은 문자 하나씩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함수이므로, 문자열을 입력받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gets( ) 함수는 버퍼 오버플로우와 같은 보안 문제가 있어서, C11 표준에서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 대신 fgets( )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C언어에서 사용되는 출력 함수 “printf( )”에 사용되는 변환문자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d는 16진 정수를 나타낸다.
  2. %s는 단일 문자를 나타낸다.
  3. %e는 지수를 가진 정수를 나타낸다.
  4. %u는 부호 없는 10진 정수를 나타낸다.
(정답률: 70%)
  • "%u는 부호 없는 10진 정수를 나타낸다."는 부호가 없는 양의 정수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변환문자이기 때문이다. 이는 주로 변수나 상수의 값이 양수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unsigned int 형 변수의 값을 출력할 때 %u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빠르다.
  2. 호환성이 없고 기계마다 언어가 다르다.
  3.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
  4.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91%)
  • 기계어는 호환성이 없고 기계마다 언어가 다르다는 것이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계어는 각각의 CPU 아키텍처에 맞게 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없고, 또한 CPU 아키텍처마다 다른 명령어 집합을 가지기 때문에 언어가 다릅니다.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유는 기계어는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컴파일러를 사용합니다. 이때 컴파일러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최적화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컴파일러는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여 기계어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산술식 ″(A+B)*C″를 ″AB+C*″로 표현한 수식의 표기법으로 옳은 것은?

  1. Postfix
  2. Prefix
  3. Infix
  4. Outfix
(정답률: 72%)
  • 정답은 "Postfix"이다.

    Postfix 표기법은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쓰는 표기법으로, 계산 순서가 명확하고 괄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A+B)*C"를 "AB+C*"로 표현한 것은 연산자 "*"가 피연산자 "AB" 뒤에 위치하므로 Postfix 표기법이다.

    Prefix 표기법은 연산자를 피연산자 앞에 쓰는 표기법이고, Infix 표기법은 연산자를 피연산자 사이에 쓰는 표기법이다. Outfix 표기법은 연산자를 피연산자의 외부에 쓰는 표기법으로, 괄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셈블리어의 명령에서 오퍼랜드를 지정한 수만큼 오른쪽으로 산술 시프트 하는 명령은?

  1. SAL
  2. SAR
  3. SHR
  4. SHL
(정답률: 60%)
  • SAR은 Arithmetic Shift Right의 약자로, 오퍼랜드를 지정한 수만큼 오른쪽으로 산술 시프트하는 명령이다. 이 명령은 부호를 유지하면서 산술 시프트를 수행하기 때문에, 음수 값을 가진 데이터를 오른쪽으로 시프트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SAR이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셈블리어에서 워드 단위의 변수 선언을 위한 명령이 아닌 것은?

  1. db
  2. dw
  3. dd
  4. dq
(정답률: 알수없음)
  • "db"는 바이트 단위의 변수 선언을 위한 명령어이며, 나머지 세 명령어는 각각 워드, 더블워드, 쿼드워드 단위의 변수 선언을 위한 명령어이다. 따라서 "db"는 워드 단위의 변수 선언을 위한 명령어가 아니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PC 어셈블리어의 범용 레지스터의 기호와 그 의미를 잘못 짝지은 것은?

  1. AX – accumulator
  2. BX - base
  3. CX - compare
  4. DX – data
(정답률: 60%)
  • 정답은 "CX - compare"입니다. CX는 카운터 레지스터로, 반복 명령어에서 반복 횟수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비교 연산은 대신에 CMP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컴파일 과정 중에 어휘분석 단계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1. 구문트리(syntax tree)
  2. 파스트리(parse tree)
  3. 코트데이블(code table)
  4. 심볼테이블(symbol table)
(정답률: 알수없음)
  • 어휘분석 단계에서는 소스코드에서 사용되는 식별자(identifier)들을 추출하고, 이들을 심볼테이블에 등록합니다. 심볼테이블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변수, 함수, 상수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컴파일러가 코드를 생성하거나 오류를 검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어휘분석 단계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심볼테이블(symbol tab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프로그래밍 언어로 원시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기까지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컴파일러 → 로더 → 링커
  2. 링커 → 로더 → 컴파일러
  3.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4. 로더 → 컴파일러 → 링커
(정답률: 84%)
  •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소스 코드는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번역되어 오브젝트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후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로 합쳐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마지막으로 로더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로드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언어의 조건 판단 또는 반복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for문
  2. scanf문
  3. do~while문
  4. if문
(정답률: 알수없음)
  • scanf문은 조건 판단이나 반복문이 아니라 입력을 받는 함수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셈블러를 두 개의 PASS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1. 비용 절약을 위하여
  2. 가상 메모리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3. 메모리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4.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하기 위하여
(정답률: 92%)
  • 어셈블러를 두 개의 PASS로 구성하는 주된 이유는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하기 위하여" 입니다. 첫 번째 PASS에서는 기호를 정의하고, 두 번째 PASS에서는 실제 코드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두 개의 PASS를 사용함으로써, 기호를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코드를 생성할 때 기호를 실제 값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코드 작성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은 C언어의 프리프로세서(선생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원시 프로그램이 컴파일되기 전에 원시프로그램에 대한 일련의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2. 프로그램 상에 기술된 기호화된 약식표현을 모두 원래의 표현대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3. 대표적인 지시어로 #define과 #include가 있다.
  4. 선행처리기로 처리한 후 Link를 거치면 바로 실행할 수 있는 EXE 파일이 된다.
(정답률: 59%)
  • 선행처리기로 처리한 후 Link를 거치면 바로 실행할 수 있는 EXE 파일이 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선행처리기는 원시 프로그램이 컴파일되기 전에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작업은 주로 기호화된 약식표현을 원래의 표현으로 바꾸는 것이다. 또한 #define과 #include와 같은 지시어를 처리한다. 하지만 선행처리기로 처리한 후에도 아직 컴파일러를 거쳐야 하며, 컴파일러에서 생성된 오브젝트 파일을 링커를 통해 실행 파일로 만들어야 실행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C 언어의 자료형 중에 실수 값을 처리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1. int
  2. long
  3. short
  4. double
(정답률: 72%)
  • "double"은 64비트의 부동 소수점 수를 처리하는 자료형으로, 정밀한 실수 값을 다루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int", "long", "short"는 정수 값을 처리하는 자료형이므로 실수 값을 처리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C언어에서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는?

  1. &
  2. $
  3. %
  4. #
(정답률: 82%)
  • C언어에서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는 "%"이다. 이는 나눗셈 연산을 수행하고 남은 나머지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7을 3으로 나누면 몫은 2이고 나머지는 1이므로, 7 % 3은 1이 된다. 따라서 "%" 연산자는 나머지 값을 구하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계어와 비교할 경우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을 읽고 이해하기 쉽다.
  2. 번역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
  3. 프로그램의 주소가 기호 번지이다.
  4.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사용하기 쉽다.
(정답률: 75%)
  •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1:1 대응되는 언어로, 기계어보다는 프로그램을 읽고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램의 주소가 기호 번지이며,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어셈블리어는 여전히 기계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번역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는 것은 옳지 않다. 어셈블리어는 어셈블러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기계어로 번역되어야만 실행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구문(Synta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그래밍 개발의 방법론을 의미한다.
  2.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결과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3.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법을 의미한다.
  4.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이다.
(정답률: 74%)
  • 구문(Syntax)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법을 의미합니다. 즉,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코드를 작성할 때 지켜야 하는 문법적인 규칙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이해하지 못하고 오류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컴파일러기반 언어가 아닌 것은?

  1. FORTRAN
  2. COBOL
  3. C
  4. GWBASIC
(정답률: 92%)
  • GWBASIC은 인터프리터 기반 언어이며, 컴파일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컴파일러 기반 언어가 아닌 것은 GWBASI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셈블리어에서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값을 할당하는 명령은?

  1. EVEN
  2. ORG
  3. ASSUME
  4. EQU
(정답률: 90%)
  • "EQU"는 상수를 정의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기호적 이름에 상수값을 할당할 수 있다. "EVEN"은 주소값이 짝수가 되도록 정렬하는 명령어이고, "ORG"는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를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ASSUME"은 세그먼트 레지스터와 기본 레지스터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EQU"가 상수값을 할당하는 명령어인 이유는 다른 명령어들과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동일한 데이터 형의 자료들을 모아 놓은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배열(array)
  2. 스트링(string)
  3. 구조체(structure)
  4. 열거형(enumeration)
(정답률: 77%)
  •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 형의 자료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각각의 자료는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열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자료 구조입니다. 반면, 스트링은 문자열을 저장하는 자료형이며, 구조체는 서로 다른 데이터 형을 가진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관리하는 자료형입니다. 열거형은 서로 관련된 상수들을 정의하는 자료형입니다. 이들은 모두 배열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배열이라는 답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의 기본 구조가 아닌 것은?

  1. 순차구조
  2. 선택구조
  3. 반복구조
  4. 점프구조
(정답률: 93%)
  • 점프구조는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의 기본 구조가 아닙니다. 이유는 점프구조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바꾸어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는 점프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순차구조, 선택구조, 반복구조를 기본 구조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