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선박의 구조 및 흘수 계산방법
1. 다음은 유류 검량에 사용되는 온도 보정표(Temperature correction table)의 일부이다. 유류탱크 안의 기름 온도가 31.2℃이고, 측정한 양이 15kL이면 15℃에서의 중량(M/T)은 약 얼마인가? (단, 15/4℃에서 기름의 비중은 0.8512이다.)
2. 화물의 검량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계량단위의 환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LPG 및 LPG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온도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 선박의 이중저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선박의 톤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다음 그림과 같이 번들(bundle)의 단면이 삼각형 모양이고, 각 번들은 변을 서로 밀착하여 선적할 수 있다면 이 화물 1개의 검량 용적(m3)은?(단, 번들의 폭 W와 높이 H는 각각 60cm, 40cm, 길이는 10m이다.)
9. 선박의 유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를 검량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목재의 운임건에 사용하는 B.M.(Board Measure)과 B.F.(Board Foo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ft3이다.
measurement ton이다.11. 상단직경 20inch, 하단직경 12inch, 길이의 중앙부 원주 60inch, 길이 20ft인 원목(log)을 Hoppus string으로 검재하면 몇 B.F.인가?
12. 적화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다.13. 선수흘수 5.00m, 선미흘수 6.00m, TPC 20ton, MTC 120m-t, LCF -2m 인 선박을 등흘수로 만들고자 한다. 선체 중앙에서 28m 전방에 중심이 있는 탱크에 몇 톤의 평형수를 주입해야 하는가?
14. 선박의 배수량표(hydrostatic table)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
15. 만재흘수선을 표시해야 하는 선박은?
16. 복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배수량의 계산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8. 복원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화물의 선적과 양하에 따른 흘수의 변화를 계산하고자 할 때 필요가 없는 항목은?
20. 선적감독 A씨는 선적작업이 진행되는 중 추가로 선적해야 할 화물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작업을 잠시 중단시키고, 흘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선수흘수 5.00m, 선미흘수 6.00m일 때 TPC가 30톤이었다. 이 선박의 만재흘수가 5.70m라면 몇 톤의 화물을 더 실을 수 있는가?
21. 선박 자체의 중량을 의미하는 톤수는?
22. 비중에 따른 흘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3. 다음 중 배수량이 가장 작은 만재흘수선은?
24. 흘수감정에서 선수흘수 5.00m, 선미흘수 5.00m, 중앙흘수 5.02m를 얻었다. 화물량의 계산과 관련한 작업 중 불필요한 것은?
25. 흘수감정에서 불명중량(unknown constant)을 구성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2과목: 검량에 관한 일반적 지식
26. 컨테이너선에서 컨테이너의 적재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의 명칭과 A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적재위치번호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27. 컨테이너에 적입하는 화물의 고박방법이 아닌 것은?
28. 컨테이너 프레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의 규격 기호는?
30. 항만법상 하역시설이 아닌 것은?
31. ISO 표준규격 컨테이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2. 컨테이너를 재질에 따라 분류한 것은?
33. 화물 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4. 컨테이너를 다단적으로 적재할 때 사용하는 것은?
35. CCC 협약의 컨테이너 세관승인표찰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
36. Piggy Back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7. 선화증권(Bill of Lad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 해수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항만운송사업법령상 검량사업의 등록기준으로 옳은 것은?
40. 선박직원법상 항해장비 및 갑판기기를 포함한 선박의 전기ㆍ전자 및 자동제어 설비ㆍ시스템의 유지ㆍ점검ㆍ보수관리ㆍ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은?
41.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것은?
42. 해수면 위에서 양력이 급증하는 표면효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선박은?
43. ICD(Inland Container Depot)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44. 컨테이너의 하역 장비가 아닌 것은?
45. 컨테이너 크레인에 장착된 스프레더(Spreader)의 동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 다음 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7. 액체화물의 검량에서 Ulla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8. 컨테이너 하역용 갠트리 크레인을 안벽전장에 걸쳐 활용할 수 있도록 크레인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는?
49. 화물 고유의 성질 또는 포장 상태로 인하여 다른 화물에 오손 또는 손상을 주는 화물은?
50. 다음 IMDG Code의 표찰에 해당하는 것은?
3과목: 영 어
51. 화물의 적부 및 고박 상황에 해당하는 표현이 아닌 것은?
52.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to fill the blank.
53.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to fill the blank.
54. 선창 설비의 상태에 관한 표현으로 옳지 않은 것은?
55. 화물손상에 관한 표현으로 적합한 것은?
56.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CLC, 1969, 1992)의 내용 일부이다.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로 옳은 것은?
57. 다음 문장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58. Incoterms® 2010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9. IMDG Code(2016)의 위험물 등급과 위험화물의 연결이 옳은 것은?
60. 선적관련 서류에서 적요(Remark)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61. 해난사고 보고에 관한 내용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62. 선적관련 서류에서 적요(Remark)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63. 중량톤(Weight Ton)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64. 특수화물 중 포대물(Bagged Cargo) 검량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65. 특수화물 중 무포장 상태의 낱개 파이프(Unpacked Piece Pipe) 검량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66. A vessel has completed loading cargo in a port. What is the document signed by the chief officer stating that goods are delivered and received by the ship?
67. 선하증권(Bill of Lad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선적절차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69. 특수화물 검량에서 다음 문장이 의미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70. 특수화물 중 삽, 포크, 가래, 곡괭이 등(shovel, fork, hand-spade and pickaxe etc.)의 검량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71. 일반화물 검량에서 중량 계량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단어로 옳은 것은?
72. 용선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3. 일반화물 검량에서 검량단위(Measuring unit)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74.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to fill the blank.
75. 수출국의 선적지에서 발행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