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선박의 구조 및 흘수 계산방법
1. 배수량 등곡선도에서 읽은 배수용적 곡선의 길이가 52.5 cm이다. 배수용적 곡선의 척도가 1 cm = 12.0 m3 일 때 배수량은? (단, 해수 비중량 = 1.025 t/m3)
2. 만재흘수선의 적용 구역이 다른 것은?
3. 배수용적 10,000 m3 선박이 비중량 1.025 t/m3 바다에서 비중량 1.0 t/m3 강으로 진입하면 흘수의 변화량은? (단, TPC = 50 t/cm)
4. KB = 4.6 m, BM = 4.3 m일 때 KG가 5.2 m이면 GM은?
5. 배수량 30,000 ton, KM = 18.0 m, KG = 15.0 m인 선박이 6° 경사하였을 때 복원력은? (단, cos 6° = 0.995, sin 6° = 0.105)
6. 선박의 복원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 해수 비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적화계수와 적화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표준화물선 환산톤수(CGT: Compensated Gross Tonna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격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Ullage depth와 Sounding depth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유류 검량 시 보정 종류가 아닌 것은?
13. LPG와 L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초산, 염산, 수은 등의 위험물이나 특수 화공약품을 담는 병은?
15. 결속되지 않은 다수 개의 철강재 검량에서 전체용적의 공제비율이 같은 것끼리 모은 것은?
16. 다음과 같은 소형요트의 전체 용적은? (단, 돌출부는 선박중앙에 한 개 있으며, 계산은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17. 하부직경 35", 상부직경 20", 길이 40"및 중앙부 원주가 86"인 원목(Log)의 용적을 Brereton scale, Hoppus string scale 및 Conference scale로 계산한 값은?
18. 선미 흘수가 6.5 m, 선수 흘수가 8.0 m 일 때 트림 상태는?
19. 수면의 상하 움직임이 크고 너울이 있는 장소에서 흘수 읽기에 옳지 않은 것은?
20. 길이의 환산관계가 틀린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1. 무거운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22. 중량톤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적화용적(cargo capac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 톤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 선적화물 검량에서 검재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과목: 검량에 관한 일반적 지식
26.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관련사업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7. 피스톤 왕복동 내연기관 중 운동부분으로 분류되는 부품은?
28. 해상의 중심기압이 983 hPa이라면 해수면은 표준해수면보다 약 몇 cm 상승하는가? (단, 해수의 밀도는 1,025 kg/m3이고, 중력가속도는 9.8 m/s2이다.)
29. 해수의 밀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조악화물(Dirty cargo)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1. IMDG Code상 인화성액체류는 몇 급에 해당하는가?
32. 승용차의 부품 명칭이 아닌 것은?
33. 선원법상 좁은 수로를 통과할 때 선박의 조종을 직접 지휘해야 하는 사람은?
34. 항만운송사업법령상 검량사업 등록기준 중 자본금의 기준은?
35.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하역장비가 아닌 것은?
36.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Spreader) 동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컨테이너를 적재한 부선을 실어 운송하는 선박은?
38. 발행 시기에 따라 분류한 선하증권의 종류는?
39. RO/RO 화물운송 방식에서 하역작업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40. 컨테이너 화물을 취급하는 장비 중 스프레더(Spreader)가 부착된 장비가 아닌 것은?
41. 컨테이너를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2. 컨테이너 화물운송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3. 다음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 형태는?
44. 부산항신항 등에서 운영 중인 반자동화(Semi-automation)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작업별 자동화 수준의 연결로 옳은 것은?
45. 컨테이너 표시 중 컨테이너에 실을 수 있는 화물의 총무게를 나타낸 것은?
46. 컨테이너의 철도 운송방식 중 컨테이너만을 철도의 대차에 실어 운송하는 방식은?
47. 컨테이너 화물 적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 선박의 폭 방향으로 적재된 컨테이너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는?
49. 컨테이너의 종류 중 과일, 채소, 커피 등 호흡하는 화물을 위해 통풍구를 설치한 컨테이너는?
50. 컨테이너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과목: 영 어
51. Select the most suitable translation of the following remark.
52. 화물손상에 관한 영문표현으로 옳지 않은 것은?
53.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73/78) 부속서에서 정의하고 있는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단어로 옳은 것은?
54.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to fill the blank.
55. 일반화물 검량에서 검량단위(measuring unit)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56. 선적화물 검량 규정상의 서류보관(documentation retention)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5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58. 일반화물 검량에서 중량톤(weight ton)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59. 특수화물의 검량 중 드럼(Drum)의 계측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60. Incoterms 2010은 매도인의 물품 선적 의무에 대한 대안으로써 '연속매매'(string sales)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1. 용어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은?
62. 선적, 양하 및 본선내의 적부, 화물정리비를 모두 화주의 책임과 비용으로 이루어지는 조건은?
63.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to fill the blank.
64. Select the best one which represents following sentence.
65. 화물의 명칭과 그 의미가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6. IMDG Code에서 다음 위험물 표시가 의미하는 것은?
67. 화물의 주의 표시 의미가 옳지 않은 것은?
68.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70.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1974) Annex 제1장 Definitions 부분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71. Incoterms 2010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2. Select the best one which represents following sentences.
73. IMDG Code의 위험물 등급과 위험화물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74. 다음 ( )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것은?
75. Select the best one which represents following sen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