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선박의 구조 및 흘수 계산방법
1. 배수량 등곡선도(hydrostatic curv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적화척도(dead weight scal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3. 흘수를 읽을 때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4. 선박 복원성과 메타센터 높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해수 비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으로 구한다.6. 화물 틈(broken spa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 화물 틈을 포함하고 있는 적화계수(stowage fact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 유류량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사운딩 깊이가 1.189 m이고 유류량이 437.87 K/L인 탱크의 측정온도가 21 ℃일 때, 실제 기름 무게(M/T)는 약 얼마인가? (단, 15/4 ℃ 비중은 0.9673이고, 21 ℃ 온도보정계수는 0.9963이다.)
10. 선수흘수 8 m, 선미흘수 10 m의 선박에서 sounding depth가 1 m이고 heeling correction value가 0.035 m일 때, trim과 heeling은 얼마인가?
11. 액화석유가스(LPG)의 하역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다목적 케미컬 탱커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3. 2포대 × 2포대 배열로 높이 2단으로 쌓은 화물의 길이가 132 cm, 폭이 65 cm, 높이가 30 cm일 때, 458 포대의 용적(m3)은? (단, 모든 계산은 소수점 다섯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4. 부선(barge)과 같은 소형선박의 용적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선수 높이: H1, 중앙부 높이: H2, 선미 높이: H3, 길이: L, 폭: W)




15. 길이 5 m, 외경 35 cm인 원통형 직관의 양쪽 끝에 외경 40 cm와 60 cm 소켓이 달려있다. 소켓의 길이가 각각 20 cm일 때 화물이 차지하는 용적(m3)은?
16. 할재(cant)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화물 검량 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8. 종류가 다른 두 금속선의 접점에 생기는 온도차에 의한 기전력 변화를 이용하는 온도계는?
19. 각 단위의 환산 관계가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0. 화물창의 가로 × 세로 × 높이가 각각 500 in × 45 ft × 26 yd일 때, 용적(m3)은 약 얼마인가? (단,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21. 국내 총톤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2. 선박의 배수톤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일반 화물선 선창의 베일 용적(Vb)이 34,425 m3이다. 적화계수(S/F) 75(2.093 m3/T)의 잡화를 싣는다면 최대 적재 중량(ton)은 약 얼마인가?
24. 검량 단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25. 비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검량에 관한 일반적 지식
26. 항만운송사업법상 항만운송사업에 속하는 것은?
27. 디젤 추진선박에서 추진축계가 선체의 선미격벽을 관통하는 곳은?
28. 해수의 염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9. 해수면이 표준해수면보다 50 cm 상승한 해상의 중심기압은 약 얼마인가?
30. 조악화물(dirty cargo)을 모두 고른 것은?
31. IMDG Code상 산화성 물질은 몇 급에 해당하는가?
32. 안벽 또는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계선설비가 아닌 것은?
33. 선원법상 항구를 출입할 때 선박의 조종을 직접 지휘해야 하는 사람은?
34. 항만운송사업법령상 검량사업의 등록기준에서 검량사의 인원은?
35. 선박안전법령상 제한하중이 70톤인 데릭형 하역설비의 시험하중은?
36.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장비가 아닌 것은?
37. 컨테이너 크레인의 부속장치가 아닌 것은?
38. 수출의 경우 LCL 화물을 양하항별로 구분하여 컨테이너에 적입하고, 수입의 경우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적출한 후 수하주별로 분류하는 장소는?
39. 컨테이너를 걸어 올리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8개의 모서리에 세 방향으로 구멍이 뚫려 있는 구조의 명칭은?
40. CSC 안전승인 표찰에 표기되는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41. ISO 코드(6346)에 의한 컨테이너 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 다음 그림의 컨테이너 하역장비는?
43. 컨테이너 종류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44. Tare capacity가 67.2 m3인 컨테이너에 비중이 2인 그레인 화물을 가득 채웠다면, 이 화물의 중량은 약 얼마인가?
45. 컨테이너 전용선에서 적재위치를 나타내는 '210684'의 의미로 옳은 것은?
46. 컨테이너 전용선에서 냉동 컨테이너의 취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 컨테이너 서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 철도를 이용한 컨테이너의 운송방식이 아닌 것은?
49. 육상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선적하는 방식은?
50. 컨테이너 내부에 건화물을 적입할 때 준수해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영 어
51. ( )에 적합한 것은?
52. 용어의 의미로 옳은 것은?
53. ( )에 적합한 것은?
54. 다음은 선장의 통지문이다. ( )에 적합한 것은?
55. 다음 문장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56. Cargo claims를 청구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서류의 제출을 요청하는 통지문이다. 다음중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로 ( )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57. B/L에 기재되는 용어의 의미로 옳은 것은?
58. ISO 6346(1995)에 따른 다음 컨테이너 식별 표시에서 파악할 수 없는 내용은?
59. 특수화물의 검량 중 Bundled pipe의 계측에 관한 설명으로 ( )에 적합한 것은?
60. Select the unsuitable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log.
61. Select an incorrect translation of the following remarks on M/R or B/N.
62. 다음 Hold survey report에서 대상으로 하는 선적화물은?
63. 다음 해난보고서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64.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1974) Annex 제1장에서 규정한 내용으로 ( )에 적합한 것은?
65. 다음이 설명하는 국제협약은?
66.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1974) Annex 제7장에서 규정한 내용으로 ( )에 적합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67. 다음 중 화물의 파손에 관한 적요는?
68. 다음 통지문에 포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69. 다음 중 황천항해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화물사고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70. ( )에 적합한 것은?
71. 선적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그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을 계산하거나 증명하는 사람은?
72. 해상운송 도중에 생기는 화물의 부패, 변질, 발아, 곰팡이 발생 등 선창 내의 다양한 화물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73. 다음 중 하역설비와 관련된 내용은?
74. 다음 중 하역작업자가 준수하여야 하는 일반적인 안전규칙으로 옳은 것은?
75. 하역 시 인명사고 방지와 관련된 내용으로 ( )에 적합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