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4-11)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2009-04-11 기출문제)

목록

1. 철근의 이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휨부재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게 겹침이음 된 철근은 횡방향으로 소요 겹침길이의 1/5 또는 150 mm 중 작은 값 이상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2. 용접이음은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의 125% 이상 발휘할 수 있는 완전용접이어야 한다.
  3.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1 MPa 미만인 경우, 압축철근의 겹침이음 길이를 1/3 증가시켜야 한다.
  4. 다발철근의 이음 시 다발 내에서 각 철근은 같은 위치에서 겹침이음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발철근의 이음 시 다발 내에서 각 철근은 같은 위치에서 겹침이음을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다발철근의 이음은 각 철근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겹쳐지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철근의 강도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우리나라 도로교 설계 시 적용하는 표준트럭에 관한 그림이다. 옳은 것은? (단위: cm) (순서대로 ㉠, ㉡, ㉢, ㉣)

  1. 400, 400~900, 60, 240
  2. 420, 420~900, 60, 180
  3. 420, 420~920, 30, 240
  4. 400, 400~900, 30, 18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420, 420~900, 60, 18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전체적인 길이는 420cm 이어야 합니다.
    - ㉡: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420cm 이내에 위치해야 하며, 최대폭은 900cm 이어야 합니다.
    - ㉢: 전체 높이는 60cm 이어야 합니다.
    - ㉣: 전체 길이는 180cm 이어야 하며, 중심선에서 좌우로 30cm 이내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러한 표준트럭을 기준으로 도로교를 설계함으로써, 트럭의 안전한 통행이 가능하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에서 철근의 간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 평면에서 평행한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25mm 이상
  2. 동일 평면에서 평행한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철근의 공칭 지름 이상
  3. 기둥의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40 mm 이상
  4. 기둥의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기둥의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둥의 축방향 철근은 보의 교차지점에서 교차하는 철근으로, 보와 기둥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힘을 견디기 위해 설계됩니다. 이 때,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공칭지름 이하의 간격으로 설계하면 철근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져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구조물의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둥의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으로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보에 균열이 발생하여 중립축의 깊이가 200 mm가 된 경우 균열단면의 단면2차모멘트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탄성계수비 n=7)

  1. Icr=(300)(500)3/3+(4,000)(7-1)2
  2. Icr=(300)(200)3/3+(7)(4,000)(500-200)2
  3. Icr=(300)(500)3/3+(7)(4,000)(500-200)2
  4. Icr= (300)(200)3/3+(4,000)(500-300)2
(정답률: 알수없음)
  • 균열이 발생한 후 중립축의 깊이가 200 mm가 되었으므로, 균열 위쪽 부분의 단면적은 300×200=60,000 mm²이고, 아래쪽 부분의 단면적은 500×200=100,000 mm²이다. 따라서, 균열단면의 단면2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cr = (60,000)(200-100)^2/4 + (100,000)(500-200)^2/4
    = (300)(200)^3/3 + (7)(4,000)(500-200)^2

    따라서, 옳은 계산식은 "Icr=(300)(200)3/3+(7)(4,000)(500-20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간 8m인 단순보에 고정하중에 의한 등분포하중 20.0 kN/m와 활하중에 의한 등분포하중 25.0 kN/m만 작용할 때 현행 기준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2007)에 따라 휨부재를 설계하는 경우 계수휨모멘트[kNㆍm]는?

  1. 212
  2. 312
  3. 412
  4. 512
(정답률: 알수없음)
  • 계수휨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M = (1.2DL + 1.6LL) × L^2 / 8

    여기서 DL은 dead load(고정하중), LL은 live load(활하중)입니다. L은 보의 길이입니다.

    따라서, 계수휨모멘트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M = (1.2 × 20.0 + 1.6 × 25.0) × 8^2 / 8 = 512 kNㆍm

    따라서, 정답은 "5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복철근보와 단철근 T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철근보는 보의 높이가 제한을 받거나 단면이 정(+)ㆍ(-)의 휨모멘트를 교대로 받는 경우 적합하다.
  2. 복철근보의 압축철근은 지속하중에 의한 장기처짐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3. 정(+)의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T형보의 단면에서 중립축이 복부에 있을 때는 T형보로 보고 해석한다.
  4. 부(-)의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T형보의 단면에서 중립축이 복부에 있을 때는 유효플랜지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보고 해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부(-)의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T형보의 단면에서 중립축이 복부에 있을 때는 유효플랜지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보고 해석한다."입니다.

    이유는 부(-)의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T형보의 복부가 인장력을 받게 되어 유효플랜지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보고 해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SD400철근을 사용한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인장지배단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0.005 이상인 단면
  2.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2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0.005 이상인 단면
  3.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 철근이 항복변형률에 도달한 단면
  4.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2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 철근이 항복변형률에 도달한 단면
(정답률: 알수없음)
  • SD400철근을 사용한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인장지배단면은 최외단 인장 철근의 항복변형률에 도달하기 전에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3에 도달할 때 발생한다. 이는 인장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0.005 이상인 단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0.005 이상인 단면"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보통 중량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테두리 보의 균열비틀림모멘트 Tcr[kNㆍm]은? (단, fck=29.16 MPa, √39.16=5.4)

  1. 30.7
  2. 40.7
  3. 50.7
  4. 60.7
(정답률: 알수없음)
  • 균열비틀림모멘트 Tc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cr = 0.33 × fct × bw × dw2

    여기서, fct는 압축강도의 제로.2배인 값으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fct = 0.2 × fckc

    여기서, γc는 콘크리트의 안전계수로 1.5입니다.

    fct = 0.2 × 29.16 MPa / 1.5 = 3.872 MPa

    따라서,

    Tcr = 0.33 × 3.872 MPa × 30 cm × 50 cm × (5.4 cm)2 = 50.7 kNㆍm

    따라서, 정답은 "5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단마찰철근의 단면적이 4,000mm2이고, 설계기준항복강도가 300MPa이다. 전단마찰철근이 예상균열면에 수직한 경우 공칭전단강도[kN]는? (단, 일체로 친 일반 콘크리트이다)

  1. 1,280
  2. 1,480
  3. 1,680
  4. 1,880
(정답률: 알수없음)
  • 공칭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칭전단강도 = 전단마찰철근의 단면적 × 설계기준항복강도

    = 4,000mm2 × 300MPa

    = 1,200,000 N

    하지만, 전단마찰철근이 예상균열면에 수직한 경우, 전단마찰력이 콘크리트와 전단마찰철근 사이에서 작용하게 되어 전단마찰력이 콘크리트 내부로 전달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공칭전단강도를 보정해야 합니다.

    일반 콘크리트에서 전단마찰력이 콘크리트 내부로 전달되는 효과를 고려한 보정계수는 보통 1.4 ~ 1.6 사이입니다. 따라서, 공칭전단강도에 1.4 ~ 1.6을 곱해 보정된 전단강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공칭전단강도 × 보정계수 = 보정된 전단강도

    1,200,000 N × 1.4 = 1,680,000 N

    따라서, 정답은 "1,6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폭 b=300mm, 유효높이 d=400mm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콘크리트에 의한 공칭전단강도[kN]는? (단, fck=36MPa)

  1. 100
  2. 120
  3. 140
  4. 160
(정답률: 알수없음)
  •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공식: Vrd,c = 0.36 × fck × b × d

    여기서,

    Vrd,c : 콘크리트에 의한 공칭전단강도
    fck : 콘크리트의 고주파압축강도
    b : 보의 폭
    d : 보의 유효높이

    따라서, 계산해보면

    Vrd,c = 0.36 × 36 × 300 × 400 = 1,555.2 (≈ 1,560)

    따라서, 콘크리트에 의한 공칭전단강도는 1,560 kN이 되며, 보기에서 정답은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띠철근으로 D10을 사용하는 기둥에서 축방향 철근으로 D29를 4가닥 사용하고, 기둥단면의 크기가 가로 400mm, 세로 300mm 일 때 시방서(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2007)규정에 따른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mm]은?

  1. 300
  2. 400
  3. 480
  4. 580
(정답률: 알수없음)
  • 시방서(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2007)에 따르면,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은 기둥단면의 최소크기와 띠철근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띠철근의 직경은 D10이므로, 최대 수직간격은 기둥단면의 최소크기와 D10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기둥단면의 크기가 가로 400mm, 세로 300mm 이므로, 최소크기는 300mm이다.

    따라서, 최대 수직간격은 D10의 직경인 10mm이다.

    300mm / 10mm = 30

    따라서,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은 30배인 300mm이다.

    정답은 "3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연속보 또는 1방향 슬래브가 2경간 이상, 인접 2경간의 차이가 짧은 경간의 20% 이하, 등분포하중 작용, 활하중이 고정하중의 3배를 초과하지 않고, 부재의 단면이 일정하다는 조건으로 휨모멘트를 근사식으로 구하고자 한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wu: 등분포하중, ln: 지간)

  1. 정모멘트에서 불연속 단부가 구속되지 않은 경우의 최외측 경간 값: wuln2/11
  2. 정모멘트에서 불연속 단부가 받침부와 일체로 된 경우의 최외측 경간 값: wuln2/14
  3. 부모멘트에서 2개의 경간일 때 첫번째 내부 받침부 외측면에서의 값: wuln2/9
  4. 부모멘트에서 3개 이상의 경간일 때 첫번째 내부 받침부 외측면에서의 값: wuln2/16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정모멘트에서 불연속 단부가 구속되지 않은 경우의 최외측 경간 값: wuln2/11"입니다.

    부모멘트에서 3개 이상의 경간일 때 첫번째 내부 받침부 외측면에서의 값인 wuln2/16은 옳은 값입니다. 이유는 부모멘트에서 3개 이상의 경간이 있을 때, 내부 받침부 외측면에서의 최대 모멘트는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간에서 발생합니다. 이때 최대 모멘트는 wuln2/16로 계산됩니다.

    정모멘트에서 불연속 단부가 구속되지 않은 경우의 최외측 경간 값인 wuln2/11은 옳지 않은 값입니다. 이유는 정모멘트에서 불연속 단부가 구속되지 않은 경우, 최대 모멘트는 내부 받침부에서 발생합니다. 이때 최대 모멘트는 wuln2/9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정모멘트에서 불연속 단부가 구속되지 않은 경우의 최외측 경간 값: wuln2/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장주의 유효좌굴길이를 구하고자 한다. L이 10m이면 이론적인 유효좌굴길이[m]는? (단, 하단의 구속조건에서 회전은 고정이며 수평변위를 허용하지 않고, 상단의 구속조건에서 회전은 고정이나 수평변위를 허용한다)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장주의 유효좌굴길이는 구속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하단의 구속조건에서는 수평변위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하단에서의 변위는 0이다. 상단의 구속조건에서는 수평변위를 허용하기 때문에, 상단에서의 변위는 L(10m)이다. 따라서, 유효좌굴길이는 상단에서의 변위와 하단에서의 변위의 차이인 10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역T형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지반반력이 q1=20 kN/m2, q2=10 kN/m2이고, 지반과 옹벽저판 사이의 마찰계수는 0.5이다. 옹벽의 활동에 대한 안정을 만족하기 위한 최대수평력 H[kN]는?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적용되는 물리법칙과 수식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지반반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q1 = γ1 * H1 + σh * tanφ

    q2 = γ2 * H2 + σh * tanφ

    여기서, γ는 지반의 단위중량, H는 수평력, σh는 지반과 옹벽저판 사이의 마찰저항, φ는 마찰각을 나타냅니다.

    또한, 안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H ≤ (q1 - q2) / 2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여 최대수평력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 ≤ (20 - 10) / (2 * 0.5) = 10

    따라서, 최대수평력 H는 10kN 이하이므로, 정답은 2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받침부 사이에 보와 슬래브의 휨강성비 α값이 1.0보다 큰 보가 있는 2방향 슬래브이다. 외부 모퉁이 부분을 현행 기준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2007)에 따라 특별 보강철근으로 보강하려고 한다. 보강영역 a, b의 치수[m]가 옳은 것은? (순서대로 a, b)

  1. 2.0, 1.7
  2. 1.2, 1.0
  3. 1.2, 1.2
  4. 1.0, 1.0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 모퉁이 부분은 굽힘 및 전단력이 발생하는 위험이 있으므로 보강이 필요하다. 이 때, 보강철근의 최소 굵기는 10mm이며, 보강영역의 너비는 최소 2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a와 b의 값은 최소 1.2m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보강철근의 최대 간격은 200mm이므로, a와 b의 값은 1.2m 이하이어야 한다. 따라서, 옳은 답은 "1.2,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이 긴장재를 직선으로 편심배치(편심=e)한 경우에 보의 밑면에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kN/m2]는? (단, 단면2차모멘트 I : 1m4, 중립축에서 밑면까지 거리 y : 1m, 단면적 A: 2m2, 자중 및 하중에 의한 단면에 작용하는 휨모멘트 M: 50 kNㆍm, 긴장력 P : 100 kN, 편심량 e : 0.1m)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응력의 크기는 σ = P/A + My/Iy, 여기서 P/A는 단면의 압축응력, My/Iy는 단면의 굽힘응력이다. 이 문제에서는 단면의 압축응력은 무시하고 굽힘응력만 고려한다.

    굽힘응력은 중립면에서 가장 크고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의 밑면에서 굽힘응력을 구해야 한다. 중립축에서 밑면까지의 거리 y는 1m이므로, 이 거리에서의 굽힘응력은 My/Iy = (50 × 103 × 1) / (1 × 104) = 5 kN/m2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긴장재가 편심배치되어 있으므로, 편심에 의한 추가적인 굽힘응력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굽힘응력이 y축 방향으로도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편심량 e는 0.1m이므로, 이 거리에서의 굽힘응력은 Me/Iy × y/e = (50 × 103 × 1) / (1 × 104) × 1 / 0.1 = 50 kN/m2이다.

    따라서 보의 밑면에서의 총 굽힘응력은 5 + 50 = 55 kN/m2이다. 이 값을 10으로 반올림하면 정답은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미리 만들어 놓은 PSC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가설한 후 나머지 부분을 현장에서 이어쳐서 완성하는 것을 PSC합성구조라 한다. 이 합성구조의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합면에서 전단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2. 현장에서 거푸집과 비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3. 현장작업이 간단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4. 단면의 인장측만을 PSC구조로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의 인장측만을 PSC구조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이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PSC합성구조의 이점으로는 현장에서 거푸집과 비계를 줄일 수 있고, 현장작업이 간단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접합면에서 전단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PSC부재와 콘크리트가 결합되어 하나의 단일 구조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재 간의 이동이나 변형이 없어 전단응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긴장재의 응력-변형률 곡선이다. 긴장재의 항복점응력(fpy)을 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영구신율 A의 값은?

  1. 0.001
  2. 0.002
  3. 0.003
  4. 0.004
(정답률: 알수없음)
  • 항복점응력(fpy)은 영구신율(A)과 관련이 있다. 영구신율은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탄성영역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즉, 영구신율이 작을수록 긴장재는 변형이 적은 상태에서 항복점응력을 초과하게 된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탄성영역의 기울기가 가파르므로 영구신율은 작은 값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002"인 이유는 영구신율이 작아서 항복점응력을 정하기 위해서는 작은 값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용입홈용접에서 목두께 표시가 옳은 것은? (순서대로 ㉠, ㉡, ㉢, ㉣)

  1. 12, 15, 10, 18
  2. 15, 12, 8, 25
  3. 10, 12, 6, 18
  4. 12, 12, 6, 16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0, 12, 6, 18"입니다.

    ㉠은 목재의 두께를 나타내는데, 10mm가 가장 적절합니다. 15mm는 너무 두껍고, 8mm는 너무 얇습니다.

    ㉡은 용접의 굵기를 나타내는데, 12mm가 적절합니다. 15mm는 너무 두껍고, 12mm보다 얇은 8mm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은 용접의 길이를 나타내는데, 6mm가 적절합니다. 10mm는 너무 길고, 6mm보다 짧은 4mm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은 용접의 간격을 나타내는데, 18mm가 적절합니다. 25mm는 너무 넓고, 16mm는 너무 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은 지압형 연결부에 가할 수 있는 최대 허용 인장력[kN]은? (단, M22(B10T)볼트의 허용전단응력: 190MPa, SM490Y강재의 허용지압응력: 360MPa, 볼트는 4개이며 볼트의 간격은 규정을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1. 233.2
  2. 243.2
  3. 253.2
  4. 263.2
(정답률: 알수없음)
  • 지압형 연결부는 볼트에 의해 압축력이 발생하므로, 최대 허용 인장력은 볼트의 허용전단응력과 SM490Y강재의 허용지압응력 중 작은 값에 의해 결정된다. 볼트 4개의 인장력은 각각 같으므로, 전체 인장력은 4배가 된다. 따라서, 최대 허용 인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 허용 인장력 = (M22(B10T)볼트의 허용전단응력 × 볼트 4개의 단면적) ÷ 4 + (SM490Y강재의 허용지압응력 × 지압면적)
    = (190 MPa × π × (22 mm ÷ 2)²) ÷ 4 × 4 + (360 MPa × 100 mm²)
    = 243.2 kN

    따라서, 정답은 "24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