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철근콘크리트가 성립할 수 있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2.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와 지배단면 변형률 한계 사이의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의 설계 시 균열검토를 수행해야 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4. 보통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19MPa 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계수[MPa]는?
5. 기둥에서 장주와 단주의 구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주로 간주할 수 있다.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장주로 간주할 수 있다.6. 길이가10m인캔틸레버보에자중을포함한계수하중 ωu=20kN/m가 작용할 때 전단철근이 필요한 구간 x[m]는? (단, 최소전단철근 배근 구간은 제외한다. 그리고 폭 b=400mm, 유효깊이 d=600mm, fck=25MPa 이다)
7. PS 강재의 탄성계수 Eps=2×105MPa이고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률 ϵsh=25×10-5일 때,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의한 PS 강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율을 5%로 제어하기 위한 초기 프리 스트레스 값[MPa]은?
8. 그림과 같이 콘크리트 기초판과 기둥의 중심에 수직하중과 모멘트가 작용하고 있다. 콘크리트 기초판과 기초 지반 사이에 인장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최소 수직하중[kN]은? (단, 자중에 의한 하중효과는 무시하고, 하중계수는 고려하지 않는다)
9. 지속하중에 의한 탄성처짐이 20mm 발생한 캔틸레버보의 5년간의 장기처짐을 포함한 총처짐[mm]은? (단, 보의 인장철근비는 0.06, 압축철근비는 0.02, 지속하중의 재하기간에 따른 계수는 2.0 이다)
10.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과 비틀림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다 작으면 비틀림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11. 휨과 압축을 받는 직사각형 단주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이고, 압축부 콘크리트의 등가응력사각형깊이 ab=β1Cb이다.1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인한 콘크리트 압축응력 fcs=5MPa이고, 콘크리트 크리프계수 Cu=2.0, 탄성계수비 n=6일 때, 콘크리트 크리프에 의한 PS 강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량[MPa]은?
13. 표준갈고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플레이트 거더의 보강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5. 옹벽의 안정검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H는 수평력의 합, y는 기초저판 아래면에서 수평력 작용점까지의 높이, ∑V는 수직력의 합, x는 기초저판 앞면에서 수직력 작용점까지의 거리, μ는 마찰계수, B는 기초저판의 폭이다)
이다.16. 도로교 내진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7. 그림과 같이 지간이 8m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단순보에 PS 강재가 직선으로 단면의 도심에 배치되어 있고 1,200kN의 프리스트레스 힘이 작용하고 있다. 보의 단위중량을 25kN/m3로 가정할 때, 보의 중앙단면 하연의 응력이 0(zero) 이 되도록 하기 위해 자중 외에 추가로 가해 주어야 하는 등분포하중 ω[kN/m]은?
18. 그림과 같은 연결에서 볼트가 지지할 수 있는 인장력[kN]은? (단, 허용전단응력 vsa=200MPa, 허용지압응력 fba=300MPa, π=3으로 계산한다)
19.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T형보의 휨강도 계산시 플랜지 상연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와 가장 가까운 값[mm]은? (단, 콘크리트 압축강도 fck=25MPa, 철근의 항복강도 fy=300MPa, 철근 단면적 As=5,000mm2이다)
20. 압축과 휨을 받는 띠철근 기둥(단주)이 그림과 같은 변형률 분포를 나타낼 때 도심으로부터 편심을 갖는 공칭 축하중강도 Pn[kN]는? (단,
, Es=2.0×105MPa이다. 또한 압축철근은 항복한 것으로 가정하고, 철근의 압축력 Cs=As′fy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