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 또는 슬래브에서 부(-)모멘트에 의해 생긴 인장응력에 대하여 배치하는 철근은?
2. 철근콘크리트 휨부재를 설계할 경우, 인장철근에 대한 최소 허용변형률 규정을 두는 이유는? (단, KDS 14 20 20: 2021을 따른다)
3. 구조부재의 단면에 작용하는 부재 내력과 응력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철근의 부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그림과 같은 복철근 단순보의 지간 중앙 단면에서 발생한 지속하중에 의한 순간처짐이 15mm로 측정되었다. 6년 후 지속하중에 의한 추가 장기처짐량[mm]은? (단, As=1800mm2, As′=600mm2, KDS 14 20 30: 2021을 따른다)
6. 합력의 연직성분 ∑W=300kN이 편심거리가 B/6인 위치에 작용할 때 B=3m인 기초 저판에 발생되는 지지력분포는 그림과 같다. 최대 지반 지지력(pmax)의 크기[kN/m2]는? (단, 단위폭으로 고려하고, 지반조건은 균일하며, 자중은 무시한다)
7.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보 제작과정에서 측정한 손실값이 표와 같다.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Pi=720kN인 경우의 유효율 R[%]은?
8.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단순보에서 전단철근의 배근이 필요 없는 구간 a의 길이[m]는? (단, 보의 단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공칭 전단강도 Vc=120kN, 자중을 포함한 계수등분포하중 wu=45kN/m, L=6m, KDS 14 20 22: 2021을 따른다)
9. 축방향 철근량이 50,000mm2이고, 정사각형 500mm×500mm 단면을 가지는 띠철근 기둥에서, 편심이 없는 순수 축하중을 받는 압축재의 설계축강도 Pd의 최대 크기[kN]는? (단,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fck=30MPa, 철근의 항복강도 fu=400MPa이고, KDS 14 20 20: 2021을 따른다)
10. 한계상태설계법에 의한 교각 기둥부 내진설계의 심부구속 횡방향철근상세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24 17 11: 2018을 따른다)
11. 표준트럭하중이 강합성 거더 교량에 작용할 때, 하중이 전달되는 순서로 옳은 것은?
12. 복철근 직사각형보에서 압축철근을 배근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3. 그림과 같이 맞대기용접연결된 강판에 전단력 P=360kN이 작용할 때, 용접 이음부의 전단응력 크기[MPa]는?
14. 그림과 같은 깊은 보의 스트럿-타이모델에서 F가 200kN인 경우, 경사 스트럿 AB의 부재력(㉠)과 수평 타이 BC의 부재력(㉡)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자중은 무시한다)
15. 그림과 같이 곡선 배치 된 PSC 단순보에 프리스트레스 힘 P=2,500kN이 작용할 때,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 w와 평형을 이루는 지간 중앙에서의 최대편심(emax) 거리[m]는? (단, 자중과 프리스트레스 손실은 무시한다)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14 20 60: 2021과 KDS 24 14 20: 2016을 따른다)
17. 고장력볼트 마찰접합의 설계미끄럼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14 31 25: 2021을 따른다)
18.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균질단면에서 x축에 대한 회전반경(rx), 탄성단면계수(Sx), 소성단면계수(Zx), 형상계수(f)를 각각 계산한 결과로 옳은 것은?
19. 그림과 같이 높이 6m인 중력식 옹벽의 상부에 상재하중 q=10kN/m2이 작용할 때, 옹벽의 외적 안정검토를 위한 옹벽의 전면 하부(O점)에 작용하는 전도모멘트의 크기[kNㆍm/m]는? (단, 주동토압계수 ka=1/3, 흙의 단위중량 γs=18kN/m3이고, 지하수위 영향은 무시하며, KDS 11 80 05: 2020을 따른다)
20. 그림과 같은 기둥의 축력과 휨모멘트의 상관곡선(P-M 상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Po는 축방향 압축강도, eb는 균형편심, e는 휨모멘트와 축력의 비, emin은 최소편심거리, Pd는 설계압축강도, Md는 설계휨강도이고, KDS 14 20 10 및 KDS 14 20 20: 2021을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