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책집행에 대한 연구방법 중 상향적 접근방법(bottom-up approach 또는 backward mapp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오늘날 시민사회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3. 현행 국가공무원법상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정확하지 않은 것은?
4. 우리나라의 예산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 성과주의 예산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 제도적 책임성(accountability)과 대비되는 자율적 책임성(responsi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7. 현행 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협력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8. 지식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학습조직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묶은 것은?
9. 정책대안의 비교평가기준 중 내부수익률(IRR:Internal Rate of Retur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우리나라의 현행 인사행정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정부의 개입활동 중에서 외부효과, 자연독점, 불완전 경쟁, 정보의 비대칭 등의 상황에 모두 적절한 대응방식은?
12. 허즈버그(F. Herzberg)의 욕구충족요인이원론에서 제시하는 동기요인(motivator) 내지 만족요인(satisfier)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3. 바스(B. Bass) 등이 제시한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의 주된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평정자인 A팀장은 피평정자인 B팀원이 성실하다는 것을 이유로 창의적이고 청렴하다고 평정하였다. A팀장이 범한 오류에 가장 가까운 것은?
15. 발생주의 복식부기 회계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정보화 사회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7. 행정학의 주요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론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순서대로 신공공관리론 / 뉴거버넌스론)
19. 현행 정부업무평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주어진 조건으로 보고 그 안에서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전제하고 정책대안의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은?
일선집행관료의 재량권을 축소하고 통제를 강화하는 이유는 일선집행관료들이 자율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정책목표에 따라 일관된 행동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일선집행관료들의 행동이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고, 정책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