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무원임용시험령」 상의 면접시험 평정요소가 아닌 것은?
2. 경영과 구분되는 행정의 속성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3. 예산 관련 제도들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것은?
4. 정책결정모형 중에서 점증모형을 주장하는 논리적 근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5. 2014년 현재 우리나라와 같은 유형의 중앙인사기관이 갖는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6. 정책의제설정과 관련된 이론과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순서대로 A, B, C, D)
7. 예산결정에 대한 공공선택론적 관점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8.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사무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 조직구성원들의 동기이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0. 정책결정요인론 중 도슨과 로빈슨(R. Dawson & J. Robinson)이 주장한 '경제적 자원모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경합성과 배제성을 고려할 때 공공재(public goods)에 가장 가까운 것은?
12. 관료제의 여러 병리현상 중 '과잉동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 우리나라의 행정정보공개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조직이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5. 전자정부 구현에 따른 기대효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6. 우리나라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엽관주의와 실적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8. 정책문제의 구조화기법과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순서대로 A, B, C, D)
19. 기획재정부에서 국가재정규모를 파악할 때 사용하는 '중앙정부 총지출' 산출방식으로 옳은 것은?
20. 정부규제(행정규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