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황적응적 접근방법(contingency approach)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신공공관리론(NPM)에 대한 비판적 논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의사결정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근무성적평정상의 오류 중 평가자가 일관성 있는 평정기준을 갖지 못하여 관대화 및 엄격화 경향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것은?
5. 롤스(J. Rawls)의 정의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살라몬(L. M. Salamon)이 제시한 정책수단의 유형에서 직접적 수단으로만 묶은 것은?
7. 립스키(M. Lipsky)의 일선관료제(Street-Level Bureaucracy)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 행정기관에 대하여 관계법령에 규정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9. 「국가공무원법」상 징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정부회계의 기장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예산과 재정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킹던(J. Kingdon)의 '정책의 창(policy windows)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 조직구조의 설계에 있어서 '조정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우리나라의 성인지 예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우리나라의 결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공무원 부패의 사례와 그 유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ㄱ, ㄴ, ㄷ, ㄹ)
17. 「지방자치법」상 지방의회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프렌치(J. R. P. French, Jr.)와 레이븐(B. H. Raven)의 권력유형분류에서 권력의 원천이 아닌 것은?
19. 전문경력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지방정부의 행정서비스 공급체계 및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