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T 정보통신상식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02)

DIAT 정보통신상식
(201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이해

1. 다음 중 Windows의 메뉴 명칭과 그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Windows 탐색기 : 삭제된 파일이나 폴덕 임시로 보관되는 곳이다.
  2. 휴지통 : Windows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제공된다.
  3. 보조프로그램 : 컴퓨터에 설치된 드라이브나 프린터, 파일 및 폴더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이다.
  4. 제어판 : Windows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거나 시스템에 설치된 장치의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92%)
  • 제어판 : Windows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거나 시스템에 설치된 장치의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제어판은 Windows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장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메뉴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설정, 프린터 및 기타 장치 관리, 사용자 계정 관리 등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실시간 처리 시스템 운영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은행 예금처리 시스템
  2. 공장 작업용 프로세서 제어 시스템
  3. 항공 예약 시스템
  4. 월 급여 처리 시스템
(정답률: 66%)
  • 정답은 "월 급여 처리 시스템"입니다.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며, 즉각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시스템이 실시간 처리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월 급여 처리 시스템은 매월 정해진 시간에 일괄적으로 처리되는 시스템으로, 실시간 처리 방식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이는 실시간 처리 시스템 운영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사용자가 컴퓨터로 생성된 가상의 공간에서 보고, 듣고, 느끼면서 데이터와 상호작용을 하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R
  2. VR
  3. DVR
  4. AVR
(정답률: 96%)
  • 정답은 "VR"입니다. VR은 Virtual Reality의 약자로, 사용자가 컴퓨터로 생성된 가상의 공간에서 보고, 듣고, 느끼면서 데이터와 상호작용을 하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AR은 Augmented Reality의 약자로, 실제 세계에 가상의 요소를 추가하여 보여주는 기술이며, DVR과 AVR은 존재하지 않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프로그램 내의 입출력 단위로, 1개 이상의 필드로 구성된 것은?

  1. 레코드
  2. 패리티 비트
  3. 바이트
  4. 비트
(정답률: 67%)
  • 레코드는 여러 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필드들은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를 이루어 프로그램 내에서 입출력되는 단위이다. 따라서 레코드는 입출력 단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자료와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는 처리 이전 상태의 문자나 수치, 그림 등 컴퓨터에 입력되는 기초 자료를 말한다.
  2. 정보는 어떤 목적에 의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3. 정보는 자료를 처리한 결과이다.
  4. 자료는 어떤 현상을 종합적으로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일정한 체계에 따라 숫자로 나타낸다.
(정답률: 65%)
  • 정답: "자료는 어떤 현상을 종합적으로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일정한 체계에 따라 숫자로 나타낸다."

    설명: 자료는 원시적인 형태의 데이터를 말하며, 정보는 자료를 처리하여 유용한 결과를 도출한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자료를 일정한 체계에 따라 숫자로 나타내는 것은 자료를 처리하는 과정 중 하나일 뿐, 자료 자체를 설명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상용 소프트웨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Microsoft Office
  2. 아래한글
  3. Photoshop
  4. GOM Player
(정답률: 58%)
  • 정답은 "GOM Player"입니다. GOM Player는 무료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분류할 때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는 것은?

  1. 언어 번역기
  2.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3. 서비스 프로그램
  4. 문제 프로그램
(정답률: 79%)
  •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다른 프로그램들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생성, 저장, 검색, 수정, 삭제하는 등의 데이터 관리 작업을 수행하며, 이는 다른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어 프로그램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메모리 기반 보조기억장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USB
  2. SSD
  3. SD
  4. CD
(정답률: 50%)
  • CD는 메모리 기반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광학 디스크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USB, SSD, SD는 모두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기반의 보조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유틸리티 소프트웨어(Utility Softwa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프로그램이다.
  2. 특정 작업을 수행 및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3. 컴퓨터 소프트웨어 중 하나이다.
  4. 대표적인 예로는 디스크 조각 모음이나 화면 보호기가 있다.
(정답률: 52%)
  • "컴퓨터 소프트웨어 중 하나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프로그램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디스크 조각 모음이나 화면 보호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하게 된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지털 데이터 기술의 발전
  2. 고속 통신기술의 실현
  3. 아날로그 데이터 기술의 향상
  4.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정답률: 64%)
  • 아날로그 데이터 기술의 향상은 멀티미디어 기술 발전의 배경이 아닙니다. 멀티미디어 기술은 디지털 데이터 기술의 발전과 고속 통신기술의 실현, 그리고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등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이 결합하여 발전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날로그 데이터 기술의 향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알고리즘의 표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연어 : 한글이나 영어와 같은 자연어를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표현한다.
  2. 의사코드 :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과 무관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이 쉽도록 알고리즘을 표현한다.
  3. 순서도 :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의한 표준 기호를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표현한다.
  4. 프로그래밍 언어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로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정답률: 59%)
  • 정답은 "프로그래밍 언어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로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이다. 이유는 알고리즘의 표현 방법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로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것은 알고리즘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네트워크와 관련된 하드웨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LAN Card
  2. Ethernet Cable
  3. Wireless
  4. PSU
(정답률: 65%)
  • PSU는 네트워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하드웨어이다. PSU는 컴퓨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하드웨어로, 네트워크와는 전혀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PSU가 옳지 않은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모바일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바일 기기나 장치를 제어하는 운영체제
  2. 데스크톱 컴퓨터를 제어하는 운영체제
  3. 노트북을 제어하는 운영체제
  4. 산업용 PC를 제어하는 운영체제
(정답률: 88%)
  • 모바일 운영체제는 모바일 기기나 장치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입니다. 이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산업용 PC 등과는 다르게 작은 크기와 저전력 소비, 터치 인터페이스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나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운영체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운영체제의 주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컴퓨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2. 수행 중인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와준다.
  3.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를 처리하지 않고 기다린다.
  4. 작업 처리 과정 중에 데이터를 공유한다.
(정답률: 80%)
  • 운영체제의 주요 목적은 수행 중인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와주는 것이다. 따라서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를 처리하지 않고 기다린다."는 옳지 않은 목적이다. 이는 오히려 시스템의 안정성을 해치고, 사용자 경험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오류를 처리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옳지 않은 것은?

  1. 텍스트 데이터
  2. 오디오 데이터
  3. 통신 데이터
  4. 이미지 데이터
(정답률: 71%)
  • 통신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아닙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반면, 통신 데이터는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통신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Windows 운영체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어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
  2. 멀티태스킹(Multitasking)
  3.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4. 멀티미디어 구현
(정답률: 49%)
  • 명령어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는 Windows 운영체제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사용자가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명령어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는 옳은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정보처리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괄처리 시스템 –발생된 자료를 일정 기간 모아 두었다가 여러 번 나누어 처리하는 방식
  2. 실시간처리 시스템 –발생된 자료를 바로 처리하는 방식
  3. 다중처리 시스템 - 두 개 이상의 CPU로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방식
  4. 시분할 시스템 –하나의 CPU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사용권을 일정 시간(Time Slice) 동안 할당하여 혼자 독점 사용하는 것처럼 처리하는 방식
(정답률: 52%)
  • 일괄처리 시스템은 발생된 자료를 일정 기간 모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이 아니라, 여러 번 나누어 처리하는 방식이 맞습니다. 따라서, "일괄처리 시스템 –발생된 자료를 일정 기간 모아 두었다가 여러 번 나누어 처리하는 방식"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유닉스(UNIX)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스가 공개된 개방형 시스템
  2. 단일 작업 시스템
  3. 다중 사용자 시스템
  4. 이식성과 확장성이 좋음
(정답률: 53%)
  • 유닉스는 단일 작업 시스템이 아닌 다중 작업 시스템이다. 유닉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작업 시스템"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3D 그래픽을 편집하는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로 옳은 것은?

  1. Windows Movie Maker
  2. MAYA
  3. Flash
  4. Adobe Illustrator
(정답률: 47%)
  • MAYA는 3D 그래픽을 편집하는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영상 편집, 2D 애니메이션, 벡터 그래픽 디자인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통신기술과 멀티미디어 환경을 접목한 사례로 옳은 것은?

  1. 리듬액션 게임
  2. CD-ROM 개발
  3. 전자출판
  4. 영상회의
(정답률: 80%)
  • 영상회의는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대화 및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통신기술과 멀티미디어 기술을 접목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이해

21. 다음 중 웹 브라우저의 종류와 개발사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Safari - Apple
  2. Chrome - Samsung
  3. Internet Explorer - Google
  4. Kakao - Naver
(정답률: 62%)
  • 정답은 "Safari - Apple" 입니다. Safari는 Apple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이기 때문입니다. Chrome은 Google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이고, Internet Explorer는 Microsoft가 개발한 웹 브라우저입니다. Kakao과 Naver는 모두 한국의 인터넷 기업이지만, 웹 브라우저를 개발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짝지어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소셜미디어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Facebook
  2. Instagram
  3. Gmail
  4. Twitter
(정답률: 81%)
  • Gmail은 이메일 서비스이며, 소셜미디어의 종류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빅데이터(Big Dat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블로그에 등록된 글
  2. 데이터의 생성 양, 주기, 형식 등이 방대한 데이터
  3.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4. 모든 사물을 인터넷과 연결하는 것
(정답률: 75%)
  • 빅데이터는 데이터의 생성 양, 주기, 형식 등이 매우 방대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이는 블로그에 등록된 글과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센서, 로그,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소스에서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인프라와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인터넷과 같이 각각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비로 옳은 것은?

  1. 허브(Hub)
  2. 라우터(Router)
  3. 리피터(Repeater)
  4. 브릿지(Bridge)
(정답률: 27%)
  • 라우터는 각각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비로, 패킷을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터넷과 같이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해주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명칭과 설명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성형(Star형) : 중앙 컴퓨터를 중심으로 노드들이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된 형태
  2. 링형(Ring형) : 한 개의 통신 회선에 단말장치들이 연결된 형태
  3. 버스형(Bus형) : 여러 개의 단말장치들이 계층적으로 연결된 형태
  4. 망형(Mesh형) : 서로 이웃한 컴퓨터나 단말장치끼리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된 형태
(정답률: 50%)
  • "성형(Star형) : 중앙 컴퓨터를 중심으로 노드들이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된 형태"가 맞습니다. 이는 중앙에 있는 컴퓨터가 다른 모든 노드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중앙 컴퓨터가 통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IP 주소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 Class : 국가나 대형통신망에서 사용
  2. B Class : 중대형 통신망에서 사용
  3. C Class :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
  4. E Class : 실험용으로 사용
(정답률: 50%)
  • C Class는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멀티캐스트는 D Class 주소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네트워크 데이터의 전송 방식 및 종류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단방향 통신 - 핸드폰
  2. 반이중 통신 - 무전기
  3. 단방향 통신 - 전화기
  4. 전이중 통신 - 라디오
(정답률: 77%)
  • 반이중 통신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이 동시에 가능한 방식이며, 무전기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반이중 통신과 무전기는 데이터의 전송 방식 및 종류의 연결로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 또는 약속으로, 관련된 개체들 사이에 서로 용납되는 규약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라우팅(Routing)
  2. 프로토콜(Protocol)
  3. 인코딩(Encoding)
  4. 단편화(Fragmentation)
(정답률: 72%)
  • 정보를 주고 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 또는 약속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이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들이 서로 통신할 때,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 받을지, 어떤 형식으로 전송할지, 어떤 규칙으로 오류를 처리할지 등을 정해놓은 것이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컴퓨터나 네트워크에서 원활한 통신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등대나 봉화대처럼 일정한 신호를 보냄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혹은 그에 따르는 정해진 일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기는?

  1. NFC
  2. 비콘(Beacon)
  3. 블루투스
  4. RFID
(정답률: 50%)
  • 비콘은 일정한 주기로 무선 신호를 발신하여 주변 기기들이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일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등대나 봉화대처럼 일정한 신호를 보냄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정해진 일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기로서 비콘이 정답이다. NFC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블루투스는 무선 통신 기술, RFID는 무선 인식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전자우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신이 받은 메일을 원문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다.
  2. 한 번에 한 사람에게만 메일을 보낼 수 있다.
  3. 그림,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다.
  4. 메일을 받을 때는 POP3, 메일을 보낼 때는 SMT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정답률: 80%)
  • "한 번에 한 사람에게만 메일을 보낼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전자우편에서는 여러 사람에게 동시에 메일을 보낼 수 있는 그룹 메일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이용하면 한 번에 여러 사람에게 메일을 보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사회 이해

31. 다음 중 잦은 인터넷 사용을 통해 일상 생활에 심각한 사회적,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지장을 받고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박 중독
  2. 인터넷 중독
  3. 운동 중독
  4. TV 중독
(정답률: 86%)
  • 정답: 인터넷 중독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사용에 대한 강한 욕구와 제어 불능적인 상태로 인해 일상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사회적,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으로 지장을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 게임, SNS, 동영상 등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에 중독될 수 있다. 이러한 중독은 개인의 건강과 사회적 관계, 학업, 직장 생활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정보 사회의 역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화의 진전에 따른 첨단 직업이 출현한다.
  2. VDT 증후군 등과 같은 새로운 직업병이 발생한다.
  3.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사생활 침해가 발생한다.
  4. 인터넷이나 게임 등에 중독된다.
(정답률: 77%)
  • 정보화의 진전에 따른 첨단 직업이 출현한다는 것은 정보 사회의 긍정적인 측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는 정보 사회의 역기능이 아닙니다.

    정보화의 진전으로 인해 새로운 직업이 출현하고, 이를 수행하는 인력들이 필요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 앱 개발자, 인공지능 전문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반면, VDT 증후군 등과 같은 새로운 직업병이 발생하거나,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사생활 침해, 인터넷 중독 등은 정보 사회의 역기능으로 인식됩니다. 이들은 정보화의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문제들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네티켓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신망(Network)과 예의범절(Etiquette)의 합성어
  2. 네티즌들이 사이버공간에서 지켜야할 규범
  3. 사이버 공간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네티즌간 경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
  4. 네티즌 스스로 만들고, 공유하며, 지켜야 할 약속고,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
(정답률: 85%)
  • "사이버 공간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네티즌간 경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이버 공간에서도 예의와 존중을 지켜야 하며, 경어를 사용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필요하다. 네티켓은 네티즌들이 사이버공간에서 지켜야할 규범이며, 다양성을 인정하고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저작인격권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표권
  2. 성명표시권
  3. 방송권
  4. 동일성유지권
(정답률: 49%)
  • 방송권은 저작재산권의 일종으로, 방송물을 방송하거나 인터넷 등을 통해 전송하는 것에 대한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저작인격권의 종류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지적재산권 분쟁을 예방하는 활동으로 옳은 것은?

  1. 제품만 출시되면 상표등록은 하지않아도 된다.
  2. 제품개발이 최우선이니 관련 설계도 및 서류 작성은 필요없다.
  3. 자신의 발명 및 개발기술을 적시에 출원 및 권리화한다.
  4. 관련기술의 최신 특허 정보는 조회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77%)
  • 자신의 발명 및 개발기술을 적시에 출원 및 권리화한다. - 이는 자신의 기술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으로, 출원 및 권리화를 하면 타인이 해당 기술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전자서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서명은 금융 분야, 전자상거래 분야, 공공 분야 등 활용범위가 다양하다.
  2. 공인인증서는 주민센터에서 발급해준다.
  3. 한 쌍의 전자서명키(공개키+개인키)를 사용하여 자신을 증명하는 원리이다.
  4. 사이버 공간에서 전자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증명수단이다.
(정답률: 71%)
  • 공인인증서는 주민센터에서 발급해주는 것이 아니라 인증기관에서 발급해준다. 이유는 주민센터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인정보를 수집, 이용, 제공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증기관은 이에 대한 법적 근거와 보안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공인인증서 발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한 PC방 이용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이디, 비밀번호, 카드번호 등 개인정보 입력시 자동 완성 기능은 쓰지 않는다.
  2. 신용카드 결제 등 금융거래를 이용하지 않는다.
  3. 불법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복사하지 않는다.
  4.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보안 프로그램 및 백신 프로그램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정답률: 77%)
  •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보안 프로그램 및 백신 프로그램의 동작을 중지시킨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보안 프로그램과 백신 프로그램은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중지시키면 컴퓨터가 바이러스나 해킹 등의 공격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보안 프로그램 및 백신 프로그램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개인정보 침해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개된 기업정보(업체명, 설립연도, 사업장 주소 등)를 수집하여 활용
  2. 차량번호와 자동차등록원부를 획득하여 활용
  3. 마을 게시판에 특정 주거인의 성명, 주소, 연락처를 공지
  4. 병원 내원자의 병명과 성명을 홍보활동에 활용
(정답률: 69%)
  • "공개된 기업정보(업체명, 설립연도, 사업장 주소 등)를 수집하여 활용"은 개인정보 침해 유형이 아닙니다. 이는 기업의 공개된 정보이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를 수집하여 활용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온라인 공간에서 지켜야 할 예절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제 생활과 같은 바른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2.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3. 타인의 개인정보는 가공하여 자유롭게 사용한다.
  4. 다른 사람의 인권이나 사생활을 존중하고 보호해야 한다.
(정답률: 80%)
  • "타인의 개인정보는 가공하여 자유롭게 사용한다."는 온라인 공간에서 지켜야 할 예절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위배되며, 타인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사용하거나 유포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간단명료한 설명: 타인의 개인정보는 무단으로 사용하면 안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사이버 범죄의 유형으로, 개인정보를 낚시하는 것처럼 낚아챈다는 의미의 용어는?

  1. 파밍(Pharming)
  2. 피싱(Phishing)
  3. 해킹(Hacking)
  4. 스머핑(Smurfing)
(정답률: 75%)
  • 정답: 피싱(Phishing)

    설명: 피싱은 이메일, 문자, SNS 등을 통해 개인정보를 빼내기 위해 가짜 사이트나 메시지를 보내는 사기 수법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금전적 이득을 취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밍은 DNS 서버를 조작하여 사용자를 가짜 사이트로 유도하는 것이며, 해킹은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보를 빼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머핑은 IP 주소를 변조하여 대량의 패킷을 전송하여 네트워크를 마비시키는 공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