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8-21)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2011-08-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멀티미디어개론

1. 인터넷 아키텍처와 관련된 문제들을 협의하고 조정하는 국제 기구로 IETF와 IRTF를 산하기구로 두고 있는 기관은?

  1. IAB(Internet Architecture Board)
  2. ISOC(Internet Society)
  3. NIC(National Information Center)
  4.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정답률: 알수없음)
  • IAB(Internet Architecture Board)는 인터넷 아키텍처와 관련된 문제들을 협의하고 조정하는 국제 기구로, 인터넷 프로토콜의 표준화와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들을 다루며, IETF와 IRTF를 산하기구로 두고 있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IAB가 정답입니다. ISOC(Internet Society)는 인터넷의 발전과 보호를 위한 비영리 단체, NIC(National Information Center)는 국가 정보 센터,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으로, 이들은 인터넷 아키텍처와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는 기관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IPv6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주소의 길이는 128비트이다.
  2. 새로운 기술이나 응용 분야에 의해 요구되는 프로토콜의 확장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3. 암호화와 인증 옵션들은 패킷의 신뢰성과 무결성을 제공한다.
  4. 주소를 보다 읽기 쉽게 하기 위해 8진수 콜론 표기로 규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소를 보다 읽기 쉽게 하기 위해 8진수 콜론 표기로 규정한다."는 IPv6의 주소 표기법에 대한 설명이며, 다른 보기들은 IPv6의 기술적인 특징들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주소를 보다 읽기 쉽게 하기 위해 8진수 콜론 표기로 규정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로토콜의 세 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1. 구문(Syntax)
  2. 순서(timing)
  3. 통제(Control)
  4. 의미(Semantics)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토콜의 구문, 순서, 의미는 모두 프로토콜이 통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이지만, 통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통제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프로토콜의 동작을 제어하고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토콜의 세 가지 요소는 구문, 순서,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터넷 웹사이트의 방문기록을 남겨 사용자와 웹사이트 사이를 연결해 주는 정보는?

  1. 스파이웨어
  2. 해커
  3. 쿠키
  4. 백도어
(정답률: 알수없음)
  • 쿠키는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방문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추적하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전에 방문한 웹사이트에서 설정한 기본 설정을 유지하고,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심사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쿠키는 사용자와 웹사이트 사이를 연결해 주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스파이웨어, 해커, 백도어는 보안과 관련된 용어이며, 쿠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B 클래스에 속하는 IP주소는?

  1. 200.200.200.1
  2. 192.200.190.1
  3. 168.126.63.1
  4. 244.221.5.1
(정답률: 알수없음)
  • B 클래스의 IP주소는 첫 번째 옥텟이 128~191 사이의 범위를 가지고, 두 번째 옥텟이 0~255, 세 번째 옥텟이 0~255, 네 번째 옥텟이 0~255의 범위를 가지는 주소입니다. 따라서 "168.126.63.1"은 B 클래스에 속하는 IP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ICMP 패킷을 사용하는 서비스 거부 공격은?

  1. SYN Flooding
  2. Land
  3. Ping of Death
  4. Teardrop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Ping of Death"

    ICMP 패킷을 사용하는 서비스 거부 공격 중 "Ping of Death"은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에 과도한 크기의 ICMP 패킷을 보내는 공격입니다. 이 공격은 대상 시스템의 버퍼 오버플로우를 유발하여 시스템을 다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 공격은 과거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현재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는 패킷 크기를 제한하거나 필터링하여 방어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와 포트번호가 잘 못 연결된 것은?

  1. DNS : 53
  2. Telnet : 23
  3. TFTP : 69
  4. SMTP : 53
(정답률: 알수없음)
  • SMTP은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이며, 포트번호는 25입니다. 따라서 "SMTP : 53"은 포트번호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상현실의 몰입감 중 게임 등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방식으로 참여자가 가상세계 안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가상세계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은?

  1. Third person 방식
  2. Extensible 3D방식
  3. On-the-table 방식
  4. Through-the-window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Third person 방식은 참여자가 가상세계 안에서 자신의 캐릭터를 바라보며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가상세계 안에서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몰입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게임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보보호를 통해 달성하려고 하는 목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밀성
  2. 무결성
  3. 책임성
  4. 가용성
(정답률: 알수없음)
  • 책임성은 정보보호의 목표 중 하나이지만, 다른 세 가지 목표인 비밀성, 무결성, 가용성과는 다르게 보호 대상이 되는 정보 자체보다는 정보를 다루는 주체의 행동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정보보호를 통해 달성하려는 목표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책임성이 아니라 다른 세 가지 목표 중 하나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스니퍼를 탐지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UDP를 이용한 방법
  2. ARP를 이용한 방법
  3. Ping을 이용한 방법
  4. DNS를 이용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UDP를 이용한 방법은 스니퍼가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가로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는 호스트에서는 해당 패킷을 버리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달리 스니퍼가 패킷을 가로채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가장 거리가 먼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달하려는 기밀 정보를 이미지 및 오디오 파일 등 디지털 매체에 암호화해 숨기는 심층암호 기술은?

  1. Copyright
  2. Modulation
  3. Mondex
  4. Steganography
(정답률: 알수없음)
  • Steganography는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 등의 디지털 매체에 기밀 정보를 숨기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를 숨기기 때문에 외부인이 정보를 탈취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기술은 기밀 정보 보호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DNS 스푸핑을 이용하여 공격대상의 신용정보 및 금융정보를 획득하는 사회공학 방법은?

  1. 서비스 거부 공격
  2. 트로이 목마
  3. 파밍
  4. 스머핑
(정답률: 알수없음)
  • DNS 스푸핑은 공격자가 DNS 서버를 위조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웹사이트로 연결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공격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훔쳐낼 수 있습니다. 이 때 사용되는 사회공학 기술 중 하나가 파밍입니다. 파밍은 위조된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빼내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고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1. POP
  2. TCP
  3. ICMP
  4. SMTP
(정답률: 알수없음)
  •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고,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TC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FTP에서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모드가 아닌 것은?

  1. 스트림 모드
  2. 블록 모드
  3. 압축 모드
  4. 라인 모드
(정답률: 알수없음)
  • 라인 모드는 FTP에서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모드가 아닙니다. 이유는 라인 모드는 파일을 텍스트 형식으로 전송할 때 사용하는 모드로, 파일을 줄 단위로 전송하며 줄 끝에는 개행 문자가 포함됩니다. 따라서 이 모드는 텍스트 파일 전송에 적합하며, 이외의 파일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UNIX 시스템에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시분할 시스템으로 설계된 운영체제이다.
  2. 장치 프로세스간 호환성을 줄인 제한적 접근 방식으로 효율성이 높다.
  3. 다중 사용자 다중 태스킹을 제공한다.
  4.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가진다는 것은 UNIX 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UNIX 시스템의 핵심적인 특징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가진다."가 된다.

    "장치 프로세스간 호환성을 줄인 제한적 접근 방식으로 효율성이 높다."라는 것은 UNIX 시스템의 보안 철학 중 하나인 "최소 권한 원칙"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나 프로세스가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을 가지고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리눅스 명령어는?

  1. man
  2. mv
  3. cat
  4. id
(정답률: 알수없음)
  • "id" 명령어는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의 UID, GID, 그룹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i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JPEG의 압축 효율 개선과 블록화 문제를 해결하고, 웨이블릿 변환 및 적응적 산술코딩을 적용한 정지영상압축 표준은?

  1. JPEG1000
  2. JPEG2000
  3. H.264
  4. JPEG-EXR
(정답률: 알수없음)
  • JPEG2000은 JPEG의 압축 효율을 개선하고, 블록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하였습니다. 또한, 적응적 산술코딩을 적용하여 압축률을 높였습니다. 이러한 기술적인 개선으로 인해 JPEG2000은 고화질의 이미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화면의 밝기가 변화할 때 색상이 변동하는 현상으로 특히 화면의 고휘도 부분에서 색이 적절치 않게 재생되는 현상은?

  1. 휘도 비직선
  2. 미분위상
  3. 전압이득
  4. 색도 비직선
(정답률: 알수없음)
  • 화면의 밝기가 변화할 때 색상이 변동하는 현상은 미분위상이다. 이는 밝기와 색상을 제어하는 두 가지 신호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밝기를 조절하는 신호와 색상을 조절하는 신호가 동시에 변화하지만, 그 변화하는 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색상이 변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분위상 보정 기술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영상내의 색정보, 즉 영상의 크로미넌스(Chrominance) 정보를 그래픽 표시로 나타내는 측정계기는?

  1. Vector scope
  2. Waveform monitor
  3. Color displayer
  4. Level meter
(정답률: 알수없음)
  • "Vector scope"는 영상의 크로미넌스 정보를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측정계기입니다. 이는 영상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고 조정하는데 유용하며, 색상의 포화도와 색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상 제작 및 편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2개의 음이 동시에 존재할 때, 한쪽 음이 다른 한쪽의 음에 의해 은폐되어 들리지 않는 현상은?

  1. 바이노럴현상
  2. 마스킹현상
  3. 푸리에현상
  4. 웨이블릿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마스킹현상은 두 개의 음이 동시에 존재할 때, 더 큰 음의 주파수 범위가 작은 음의 주파수 범위를 가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작은 음이 들리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오디오 콘솔의 기능 중 마이크 입력에서 들어오는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기기는?

  1. potentiometer
  2. post-amplifier
  3. fader
  4. preamplifier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 입력에서 들어오는 신호는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이를 증폭하여 다음 단계로 전달하기 위해 preamplifier가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오디오 콘솔에서 사용되는 다른 기능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니터의 성능을 평가하는 요소로서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점과 점 사이의 거리를 말하는 것은?

  1. 도트피치(dot pitch)
  2. 해상도(resolution)
  3. 핀쿠션(pin cushion)
  4. 주파수(frequency)
(정답률: 알수없음)
  • 도트피치(dot pitch)는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점과 점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는 모니터의 해상도(resolution)와는 다른 개념으로, 해상도는 화면에 표시되는 픽셀의 수를 나타내는 반면, 도트피치는 픽셀 간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도트피치가 작을수록 모니터의 해상도가 높아지며, 더욱 선명한 화면을 제공합니다. 핀쿠션(pin cushion)은 화면 왜곡을 말하며, 주파수(frequency)는 모니터의 주사율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모니터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활성화율은 초당 화면이 몇 번 디스플레이 되는가를 나타내는 회수이다.
  2. 높은 활성화율은 깜빡임을 없애 주고 눈을 덜 피로하게 한다.
  3. 해상도는 단위 영역당 픽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이다.
  4. 해상도가 높으면 선명도는 감소하고 스크롤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도가 높으면 선명도는 감소하고 스크롤이 필요하다."는 거리가 가장 먼 설명이다. 이유는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선명도가 감소하고 스크롤이 필요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44.1[khz]로 샘플링한 CD의 경우 이론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에 가장 근접한 주파수[khz]는?

  1. 5
  2. 10
  3. 13
  4. 22
(정답률: 알수없음)
  • 이론적으로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까지만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44.1[khz]로 샘플링한 CD의 경우 최대 재생 가능 주파수는 22.05[khz]입니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주파수는 22[kh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시에 사용되는 과정이 아닌 것은?

  1. 복호화(decoding)
  2. 표본화(sampling)
  3. 양자화(quantization)
  4. 부호화(coding)
(정답률: 알수없음)
  • 복호화(decoding)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복호화는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여 원래의 정보를 복원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아닙니다.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일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멀티미디어기획및디자인

26. 다음 중 디자인의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통일
  2. 다양
  3. 균형
  4. 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다양"입니다.

    디자인의 원리 중에서 "통일", "균형", "비례"는 모두 디자인 요소들 간의 조화와 조절을 위한 원리이지만, "다양"은 디자인 요소들의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하고 활용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다양"은 디자인의 원리 중에서 유일하게 조화와 조절을 위한 원리가 아니며, 오히려 디자인의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자인의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형태
  2. 재료
  3. 질감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는 디자인의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디자인의 형태, 색, 질감 등이 시각적인 측면에서 바로 인식되는 반면, 재료는 보다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측면에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재료는 디자인의 다른 요소들과 달리 변화하기 어렵고 고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의 변화나 발전에 있어서 다른 요소들보다는 덜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자인의 개념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리듬
(정답률: 알수없음)
  • 점, 선, 면은 디자인의 기본적인 개념 요소이지만, 리듬은 디자인의 원칙 중 하나로서 요소들 간의 규칙적인 반복과 패턴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리듬은 개념 요소와는 조금 더 추상적이며, 디자인의 구성과 조화를 위한 원칙적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색의 3속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상, 명도, 채도를 말한다.
  2. 색상을 둥글게 배열한 것을 색상환이라고 한다.
  3. 순색에 무채색을 섞으면 채도가 높아진다.
  4. 먼셀 표색계의 무채색 명도는 0~10단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색에 무채색을 섞으면 채도가 높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순색에 무채색을 섞으면 채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유는 무채색은 색상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에 흰색을 섞으면 연한 분홍색이 되는데, 이는 빨간색의 강도가 약화되어 채도가 낮아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디자인 조형요소 중 형태의 분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유동 형태
  2. 자연 형태
  3. 순수 형태
  4. 인위적 형태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동 형태는 다른 형태들과 달리 고정된 형태가 없으며, 변화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형태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예를 들어, 물결이나 구름 등이 유동 형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실용성 또는 기능성과 관련되는 디자인의 조건은?

  1. 심미성
  2. 독창성
  3. 합목적성
  4. 경제성
(정답률: 알수없음)
  • 합목적성은 디자인이 기능적인 측면과 함께 실용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자인이 단순히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면서도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디자인은 생태학적으로 건강하고 유기적 전체에 통합하는 인간 환경의 구축을 궁극적 목표로 설정되는 디자인 요건은?

  1. 친환경성
  2. 사용자 인터페이스
  3. 합리성
  4. 문화성
(정답률: 알수없음)
  • 친환경성은 디자인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환경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태학적으로 건강하고 유기적 전체에 통합하는 인간 환경의 구축을 위한 필수적인 요건입니다. 따라서, 디자인이 친환경성을 고려하면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디지털색채 시스템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CMYK 시스템
  2. HSB 시스템
  3. RGB 시스템
  4. LUB 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LUB 시스템은 디지털색채 시스템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LUB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는 다른 색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LUB 시스템은 색상, 채도, 명도를 나타내는 색공간으로, 다른 시스템과는 다른 색상 모델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LUB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과는 호환되지 않으며,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색상을 LUB 시스템에서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컬러 슬라이드에 해당되는 혼합 방법은?

  1. 가산혼합
  2. 감산혼합
  3. 중간혼합
  4. 동시가법 혼색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 슬라이드는 RGB 색 모델을 사용하며, 이는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감산혼합은 이와 반대로, 빛의 삼원색인 시안, 마젠타, 노랑을 혼합하여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컬러 슬라이드에 해당되는 혼합 방법은 감산혼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색온도의 단위는?

  1. 나노미터(nm)
  2. 켈빈(K)
  3. 럭스(lx)
  4. 마이크로미터(㎛)
(정답률: 알수없음)
  • 색온도의 단위는 켈빈(K)이다. 이는 절대온도 척도로, 절대적인 온도를 나타내며 0K는 절대영도로서 모든 분자의 운동이 멈춘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색온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켈빈(K)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먼셀 색체계의 표기법은?

  1. H/VC
  2. HV/C
  3. HC-V
  4. H-VC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 색체계는 색상, 채도, 명도를 각각 표기하는데, "H"는 Hue(색상), "V"는 Value(명도), "C"는 Chroma(채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HV/C"는 색상과 명도를 슬래시("/")로 구분하고, 채도는 그 뒤에 따로 표기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슬래시 대신 하이픈("-")을 사용하거나, 채도를 앞에 놓거나, 채도와 명도를 합쳐서 표기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색채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1. 명도
  2. 채도
  3. 색상
  4. 색입체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명도"이다. 이는 색의 밝기와 어둡기를 나타내며, 색의 밝기가 높을수록 명도가 높고, 어둡기가 높을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색 중 헤링의 4원색이 아닌 것은?

  1. Blue
  2. Yellow
  3. Purple
  4. Green
(정답률: 알수없음)
  • 헤링의 4원색은 Cyan, Magenta, Yellow, Black 이므로, "Purple"은 헤링의 4원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노랑이 되는 RGB코드는?

  1. (255, 0, 255)
  2. (255, 255, 255)
  3. (0, 255, 255)
  4. (255, 255, 0)
(정답률: 알수없음)
  • 노랑은 빨강과 초록이 섞인 색이므로, RGB 코드에서 빨강과 초록 값이 모두 최대인 (255, 255, 0)이 노랑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붉은 망에 들어간 귤의 색이 본래의 주황보다도 붉은 기미를 띠어 보이는 효과는?

  1. 스푸마토(sfymato) 효과
  2. 플루트(flute)효과
  3. 베졸드(bezold) 효과
  4. 팬텀컬러(phantom color)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베졸드 효과는 색의 밝기나 채도가 변화하면서 색의 인식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같은 색이라도 주변 색이나 밝기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붉은 망에 들어간 귤의 주황색이 붉은 망과 함께 보이면서 색의 인식이 변화하여 더욱 붉은 기미를 띠어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두 색 이상의 색을 보게 될 때 때로는 색들끼리 서로 영향을 주어 인접색에 가까운 것으로 느껴지는 경우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전파효과
  2. 동화효과
  3. 줄눈효과
  4. 매스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매스효과"입니다. 매스효과는 색들끼리 서로 영향을 주어 인접색에 가까운 것으로 느껴지는 현상이 아니라, 크기나 밀도 등의 차이로 인해 더 크거나 더 집중된 것으로 인식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작은 점들이 모여있는 것보다 큰 점 하나가 더 크게 느껴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따라서 매스효과는 색과는 관련이 없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색채는 각각 특정한 사물과 연관되어 인식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빨간색'을 보았을 때 '사과'를 떠올리는 것을 색채 심리 용어로 무엇이라 하는가?

  1. 색채 환상
  2. 색채 기억
  3. 색채 연상
  4. 색채 복사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 연상은 특정한 색을 보았을 때 그 색과 연관된 사물이나 이미지를 떠올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우리 뇌가 색과 사물을 연결시켜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빨간색을 보면 사과나 장미와 같은 빨간색을 가진 사물을 떠올리게 된다. 이러한 색채 연상은 우리가 색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동일한 색을 채도가 낮은 바탕에 놓았을 때는 선명해보이고, 채도가 높은 바탕에 놓았을 때는 탁해 보이는 것은 무슨 대비현상 때문인가?

  1. 색상대비
  2. 채도대비
  3. 명도대비
  4. 보색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채도대비는 색의 채도가 다른 두 색을 비교할 때 발생하는 대비현상입니다. 동일한 색을 채도가 낮은 바탕에 놓았을 때는 색의 차이가 더욱 뚜렷하게 보이고, 채도가 높은 바탕에 놓았을 때는 색의 차이가 희미해지는 것입니다. 이는 채도가 높은 바탕에서는 색이 더욱 포화되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채도대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빛의 파장 영역 중 색 자극으로 작용하는 380~780 nm의 영역은?

  1. 반사영역
  2. 감각영역
  3. 가시영역
  4. 단색영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가시영역은 눈으로 볼 수 있는 색깔의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380~780 nm의 파장을 가진 빛이 눈에 들어와 색 자극으로 작용하는 영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가시영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먼셀 색체계의 색상환에서 마주보고 있는 색으로 배색했을 때 어떤 효과를 볼 수 있는가?

  1. 명도대비
  2. 채도대비
  3. 보색대비
  4. 색조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 색체계의 색상환에서 마주보고 있는 색은 보색이다. 보색대비는 두 색상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있어서 가장 강한 대비를 보이며, 이를 이용하여 색감을 강조하거나 조화롭게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은 보색이므로 함께 사용하면 두 색상이 더욱 선명하게 느껴지며, 조화롭게 조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물체로부터 여러 가지 파장이 고르게 반사될 때 그 물체는 다음 중 어느 색으로 지각되는가?

  1. 녹색
  2. 무채색
  3. 파랑색
  4. 빨강색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로부터 여러 가지 파장이 고르게 반사될 때, 그 물체는 모든 색을 동시에 반사하므로 무채색으로 지각됩니다. 즉, 빨강, 녹색, 파랑 등 모든 색상이 혼합되어 백색광과 같은 무채색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게슈탈트(gestalt) 요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시각성의 요인
  2. 유사성의 요인
  3. 폐쇄성의 요인
  4. 근접성의 요인
(정답률: 알수없음)
  • 시각성의 요인은 개별적인 요소들이 전체적인 형태를 결정하는 것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전체적인 형태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시각성의 요인이다. 유사성의 요인은 비슷한 형태나 색상을 가진 것들끼리 묶이는 것이고, 폐쇄성의 요인은 완전한 도형이나 형태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근접성의 요인은 서로 가까이 있는 것들끼리 묶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프린터에 사용되는 컬러 잉크의 색 이름이 아닌 것은?

  1. MAGENTA
  2. RED
  3. CYAN
  4. YELLOW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RED"입니다. 프린터에 사용되는 컬러 잉크의 색 이름은 일반적으로 CMYK 색 모델에서 파란색(Cyan), 자홍색(Magenta), 노란색(Yellow)으로 구성됩니다. "RED"는 CMYK 색 모델에서 사용되지 않는 색상이기 때문에 프린터에 사용되는 컬러 잉크의 색 이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점을 찍어가며 그림을 그린 인상파 화가들의 그림과 관련된 혼합 기법은?

  1. 가산혼합
  2. 병치혼합
  3. 감산혼합
  4. 회전혼합
(정답률: 알수없음)
  • 점을 찍어가며 그림을 그린 인상파 화가들은 색상을 혼합할 때 색상을 섞어가는 것이 아니라 색상을 옆에 놓아두어 눈으로 섞어보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병치혼합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병치혼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에 관한 내용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타입(Type)과 그래피(Graphy)의 합성어이다.
  2. 디자인 된 문자를 활용한 문자 표현이나 작품을 레터링(Lettering)이라고 한다.
  3. 타입(Type)은 문자 또는 활자의 의미를 갖는다.
  4.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의 넓은 의미로는 인쇄술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의 넓은 의미로는 인쇄술을 의미하기도 한다."가 가장 먼 것이다.

    "디자인 된 문자를 활용한 문자 표현이나 작품을 레터링(Lettering)이라고 한다."는 타이포그래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타입(Type)과 그래피(Graphy)의 합성어이다."와 "타입(Type)은 문자 또는 활자의 의미를 갖는다."는 타이포그래피의 정의와 관련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멀티미디어저작

51. 객체지향 방법론의 가장 큰 목적은?

  1. 객체의 캡슐화
  2. 소프트웨어 재사용
  3. 인스턴스 생성
  4. 설계 자동화
(정답률: 알수없음)
  • 객체지향 방법론의 가장 큰 목적은 소프트웨어 재사용입니다. 이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를 재사용 가능한 모듈로 취급하고, 이를 조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객체지향 시스템을 가시화, 명세화, 문서화 하는데 사용하는 그래픽 언어는?

  1. XML(eXtended Markup Language)
  2. OOL(Object Oriented Language)
  3. DFD(Data Flow Diagram)
  4.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정답률: 알수없음)
  • UML은 객체지향 시스템을 가시화, 명세화, 문서화하는데 사용하는 그래픽 언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종류의 언어이며, 객체지향 시스템을 가시화, 명세화, 문서화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DTD 명세를 확장하고 개선한 것으로, XML 문서의 내용과 구조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XSLT
  2. XML Schema
  3. Xpath
  4. SAX
(정답률: 알수없음)
  • XML Schema는 DTD 명세를 보완하고 확장하여 XML 문서의 내용과 구조를 더욱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입니다. DTD보다 더욱 강력한 유효성 검사 기능을 제공하며, 데이터 타입, 제약 조건, 네임스페이스 등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XML 문서의 구조와 내용을 더욱 엄격하게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클래스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항목이 주어졌을 대 그 항목이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지를 예측하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은?

  1. 연관
  2. 특성화
  3. 클러스터링
  4. 분류
(정답률: 알수없음)
  • 분류는 새로운 항목을 미리 정의된 클래스 중 하나에 할당하는 기법으로,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목의 속성을 분석하고 패턴을 찾아내어 새로운 항목이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지를 예측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주어진 새로운 항목이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지를 예측하는 것은 분류 기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글자체, 줄간격, 웹페이지의 배경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스타일시트파일을 만들어 여러 개의 웹 문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1. HTML
  2. COBOL
  3. VRML
  4. CSS
(정답률: 알수없음)
  • CSS는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로, 웹페이지의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담당하는 스타일시트 언어입니다. HTML과는 달리, CSS는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하나의 스타일시트 파일을 만들어 여러 개의 웹 문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CSS를 사용하면 글자체, 줄간격, 웹페이지의 배경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CS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ctionScript3.0 패키지 중에서 마우스 및 키보드의 상호 작용에 사용되는 클래스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래스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1. fl.controls
  2. fl.containers
  3. flash.ui
  4. flash.utils
(정답률: 알수없음)
  • "flash.ui" 패키지에는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클래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Mouse" 클래스는 마우스 이벤트를 처리하고, "Keyboard" 클래스는 키보드 이벤트를 처리합니다. 또한 "ContextMenu" 클래스는 컨텍스트 메뉴를 만들고, "MouseCursor" 클래스는 마우스 커서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ctionScript 3.0에서 DisplayObjectContainer 클래스의 메서드를 정의한 것 중 틀린 것은?

  1. contains() : 표시 객체가 DisplayObjectContainer의 자식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2. getChildByName() : 이름을 기준으로 표시 객체를 검색한다.
  3. getChildIndex() : 자식 표시 객체의 위치를 변경한다.
  4. swapChildren() : 두 표시 객체의 순서(전후 순서)를 교체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getChildIndex() 메서드는 자식 표시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자식 표시 객체의 인덱스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이다. 따라서 정답은 "getChildIndex() : 자식 표시 객체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다. 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해당 자식 표시 객체가 현재 DisplayObjectContainer의 몇 번째 자식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메서드들과 함께 자식 표시 객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ctionScript 3.0에서 변수에 대한 문법으로 맞는 것은?

  1. var +dist:int =4;
  2. var 3Deltax:int = 3;
  3. var celsi:int = 6;
  4. var delete:int = 5;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ar celsi:int = 6;"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var +dist:int =4;" : 변수명에 "+" 기호가 들어가 있어서 문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
    - "var 3Deltax:int = 3;" : 변수명이 숫자로 시작하기 때문에 문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
    - "var celsi:int = 6;" : 변수명이 영문자로 시작하고, 변수 타입과 초기값이 모두 지정되어 있어서 문법적으로 올바릅니다.
    - "var delete:int = 5;" : "delete"는 예약어이기 때문에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var celsi:int = 6;"이 올바른 변수 선언 문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Actionscript 3.0에서 아래 코드를 실행할 때 화면에 출력되는 값은?

  1. 15
  2. 50
  3. 150
  4. 250
(정답률: 알수없음)
  • 화면에 출력되는 값은 "150"이다. 이는 for문에서 i가 1부터 10까지 증가하면서 sum에 i를 더하고, 마지막으로 sum을 15로 나눈 값이 출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부터 10까지의 합은 55이고, 이를 15로 나눈 값이 3이므로, 출력되는 값은 3 * 50 = 1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HTML문서에서 이미지 파일의 삽입을 위해 사용하는 태그(Tag)인 <IMG>에서 검색될 이미지의 주소(URL)를 정의할 수 있는 옵션은?

  1. BORDER
  2. ALIGN
  3. SRC
  4. AL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RC"이다.

    이유는 "SRC"는 이미지 파일의 주소(URL)를 정의하는 옵션이기 때문이다. "BORDER"는 이미지 주변에 테두리를 추가하는 옵션, "ALIGN"은 이미지의 위치를 정렬하는 옵션, "ALT"는 이미지가 로드되지 못했을 때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XML 관련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XSLT : XML을 XML로 변환하거나 XML을 HTML로 변환 하기위해 설계된 범용 변환 언어
  2. DOM : 파서모델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를 파싱 하기 위한 이벤트 핸들러를 제공하는 표준 XML API
  3. XQuery : W3C에서 표준화하고 있는 다양한 XML문서를 해석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범용 XML 질의언어
  4. XPath : XML문서의 구조에 대한 경로식 구문을 사용하여 항목을 선택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언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XQuery : W3C에서 표준화하고 있는 다양한 XML문서를 해석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범용 XML 질의언어"입니다.

    DOM은 XML 문서를 파싱하고, 이벤트 핸들러를 제공하는 API입니다. XSLT는 XML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언어입니다. XPath는 XML 문서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XQuery는 XML 문서를 검색하고 처리하는 범용 질의 언어로, 다른 기술과는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XML에 대한 설명 중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데이터의 비교와 연산이 수월하다.
  2. 플랫폼과 언어에 독립적이다.
  3. XML은 특정 벤더에 종속적이다.
  4. 필요에 따라 새로운 태그 추가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XML은 특정 벤더에 종속적이다."

    이유: XML은 범용적인 마크업 언어이기 때문에, 어떤 플랫폼이나 언어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특정 벤더나 제품에 종속적일 수 있다는 것은 XML의 단점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Microsoft의 Office 제품군에서 사용되는 XML 형식은 Microsoft Office에 종속적이며,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XML의 DTD에서 주어진 엘리먼트 타입의 속성들을 지정하고, 속성 타입의 제한요소를 설정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속성의 기본 유형이 아닌 것은?

  1. #MIXED
  2. #FIXED
  3. #REQUIRED
  4. #IMPLIED
(정답률: 알수없음)
  • "#MIXED"는 엘리먼트가 문자열과 다른 엘리먼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혼합된 타입을 지정하는 것으로, 속성 타입의 제한요소를 설정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속성 타입의 제한요소를 설정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속성의 기본 유형이 아닌 것은 "#MIXE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PHP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서버측 스크립트 언어이다.
  2. 플랫폼에 제약이 있다.
  3. HTML 처리에 감정을 가지고 있다.
  4.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HTML 처리에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PHP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HP는 서버측 스크립트 언어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며, HTML을 생성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플랫폼에 제약이 있다."는 PHP의 특징 중 하나로, PHP는 주로 Apache 웹 서버와 함께 사용되며, Windows와 Linux 등의 운영체제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부 기능은 특정 플랫폼에서만 지원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XQuery에서 FLOWER 표현식에 사용되는 질의구문과 관련이 없는 키워드는?

  1. for
  2. from
  3. where
  4. return
(정답률: 알수없음)
  • XQuery에서 "from"은 FLOWER 표현식에서 데이터 소스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 "for"는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데 사용되며, "where"는 조건을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return"은 결과를 반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from"은 FLOWER 표현식에 사용되는 질의구문과 관련이 있는 키워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데이터베이스에서 병행수행 연산에 대해 적절한 제어가 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가 아닌 것은?

  1. 중복성(redundancy)
  2. 연쇄복귀(cascading rollback)
  3. 모순성(inconsistency)
  4. 갱신분실(lost update)
(정답률: 알수없음)
  • 중복성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중복해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병행수행 연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중복성은 병행수행 연산에 대한 제어가 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자료 객체(Entity), 이들의 속성(Attribute), 이들 간에 존재하는 관계(Relation) 그리고 자료의 조작과 이들 자료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에 관한 정의를 총칭해서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키마(schema)
  2. 도메인(domain)
  3. 질의어(query)
  4. 튜플(tuple)
(정답률: 알수없음)
  •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자료 객체, 이들의 속성, 관계,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는 개념이다. 즉,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내용을 정의하는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며,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도메인은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개념이며, 질의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이다. 튜플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시스템 카탈로그를 직접 갱신할 수 있다.
  2. 일반 질의어를 이용해 그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3.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특별한 테이블의 집합체이다.
  4.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자가 시스템 카탈로그를 직접 갱신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시스템 카탈로그는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특별한 테이블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는 직접 갱신할 수 없다. 시스템 카탈로그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일반 질의어를 이용해 그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SQL 문장 중 column1의 값이 널(null value)값인 경우를 찾아내는 문장은?

  1. select * from ssTable where column1 is null;
  2. select * from ssTable where column1 = null;
  3. select * from ssTable where column1 EQUALS null;
  4. select * from ssTable where column1 not null;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elect * from ssTable where column1 is null;" 입니다.

    이유는 널(null) 값은 다른 값과는 다르게 비교 연산자(=, <, > 등)로 비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널 값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is null"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대수에서 관계 연산자가 아닌 것은?

  1. SELECT
  2. JOIN
  3. UNION
  4. DIVISION
(정답률: 알수없음)
  • UNION은 관계 대수에서 집합 연산자에 해당하며, 관계 연산자가 아니다. UNION은 두 개의 관계를 합치는 연산으로, 중복된 튜플은 하나로 처리한다. SELECT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을 선택하는 연산, JOIN은 두 개의 관계를 조인하는 연산, DIVISION은 두 개의 관계에서 첫 번째 관계의 모든 튜플이 두 번째 관계의 모든 튜플과 매칭되는 경우에만 결과로 출력하는 연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자바 애플릿을 사용하기 위한 <applet> 태그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ode = 애플릿 파일 이름 지정
  2. codebase = 데이터 필드 지정
  3. archive : 압축된 라이브러리 파일 지정
  4. hspace = 애플릿 왼쪽과 오른쪽 여백을 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odebase = 데이터 필드 지정"이 아닌 것이다.

    codebase 속성은 애플릿 파일이 위치한 URL을 지정하는 속성이다. 이 속성을 사용하여 애플릿 파일이 위치한 서버의 주소를 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플릿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codebase = 데이터 필드 지정"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바스크립트에서 Document에 포함된 객체 중 HTML문서안에 있는 <A NAME> 태그에 관한 정보를 배열로 포함하고 있는 객체는?

  1. Anchor 객체
  2. Applet 객체
  3. Link 객체
  4. Form 객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nchor 객체"이다.

    이유는, <A NAME> 태그는 HTML 문서에서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링크를 만들 때 사용된다. 이 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 링크를 다루기 위해 Anchor 객체를 사용한다. Anchor 객체는 HTML 문서 안에 있는 <A> 태그에 대한 정보를 배열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링크의 속성과 값을 변경하거나, 링크를 클릭했을 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자바스크립트에서 아래 코드의 결과 값으로 맞는 것은?

  1. 1234
  2. 1234.5
  3. 1234.56
  4. 1234.567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코드는 문자열 "1234"를 숫자형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소수점 이하의 숫자들은 모두 버려지기 때문에 결과 값은 "123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34"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 값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바스크립트에서 너비 300픽셀에 높이 300픽셀이 되는 새 창을 띄우기 위해 ㉠에 윈도우 객체 메서드는?

  1. window.show
  2. window.new
  3. window.open
  4. window.run
(정답률: 알수없음)
  • 윈도우 객체의 메서드 중에서 새 창을 띄우는 메서드는 window.open 입니다. 이 메서드는 새로운 브라우저 창을 열고, 해당 창의 크기, 위치, URL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너비 300픽셀, 높이 300픽셀인 새 창을 띄우기 위해 window.open 메서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보기는 5를 제외한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출력하는 PHP 예제이다. 괄호 안에 알맞은 코드는?

  1. ㉠ $i=1;$i<10;$i++ ㉡ break
  2. ㉠ $i=1;$i<=10;$i++ ㉡ break
  3. ㉠ $i=1;$i<10;$i++ ㉡ continue
  4. ㉠ $i=1;$i<=10;$i++ ㉡ continu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i=1;$i<=10;$i++ ㉡ continue" 이다.

    continue는 현재 반복문의 이번 회차를 건너뛰고 다음 회차로 넘어가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5를 건너뛰고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continue를 사용해야 한다.

    반면에 break는 현재 반복문을 완전히 종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break를 사용하면 5를 포함하여 1부터 5까지의 숫자만 출력된다.

    또한, $i<10과 $i<=10의 차이는 $i가 10일 때의 동작이다. $i<10일 경우 9까지만 반복하고 종료되지만, $i<=10일 경우 10까지 반복하고 종료된다. 따라서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i<=10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멀티미디어제작기술

76. 화면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기록하지 않고 앞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이 큰 변화가 없는 점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압축하는 기법은?

  1. 델타프레임기법
  2. 주파수 차원변환기법
  3. 동작보상기법
  4. 서브샘플링 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델타프레임기법은 앞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이 큰 변화가 없는 경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차이를 기록하여 동영상을 압축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화면 프레임의 모든 정보를 기록하지 않고도 동영상을 압축할 수 있어 저장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델타프레임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MPEG-1 영상부호화 기법에서 화면내 부호만을 사용하여 부호화하는 것은?

  1. I 화면
  2. B 화면
  3. P 화면
  4. D 화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 화면"입니다.

    MPEG-1에서 I 화면은 Intra 화면으로, 이전 화면과 상관없이 현재 화면 내에서만 부호화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화면 내에서만 부호화를 하기 때문에 화면 간 차이가 큰 경우에는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화면 간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높은 압축률을 보입니다.

    반면에 B 화면과 P 화면은 Inter 화면으로, 이전 화면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부호화를 진행합니다. B 화면은 이전 화면과 다음 화면 모두와 차이점을 찾아내어 부호화를 하며, P 화면은 이전 화면과만 차이점을 찾아내어 부호화를 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화면 간 차이가 큰 경우에도 효율적이지만, 부호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압축률이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3차원 질감에서 물이나 유리처럼 투명체가 주위의 환경을 왜곡시키는 정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굴절률(Reflection)
  2. 스페큘러(Specular)
  3. 발광률(Glow)
  4. 투명도(Transparenc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굴절률(Reflection)

    해설: 굴절률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속도와 방향이 변화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때 빛이 투과하는 매질의 밀도나 굴절률이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3차원 질감에서 물이나 유리처럼 투명체가 주위의 환경을 왜곡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죠. 따라서 정답은 굴절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두 개의 스피커로 주파수와 음압이 동일한 음을 동시에 재생할 경우, 인간의 귀에는 먼저 도달한 소리만 들리는 현상은?

  1. 도플러 효과
  2. 마스킹 효과
  3. 하스 효과
  4. 임계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두 개의 스피커로 동일한 음을 재생할 경우, 소리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귀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 때, 먼저 도달한 소리는 더 크게 들리고, 나중에 도달한 소리는 작게 들리는데, 이러한 현상을 하스 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소리의 진폭이 서로 상쇄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강도를 더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귀에는 먼저 도달한 소리만 들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미국식 디지털TV 표준(ATSC-DTV)의 오디오 압축 방식(돌비디지털 압축)은?

  1. AC-1
  2. AC-2
  3. AC-3
  4. AC-4
(정답률: 알수없음)
  • 미국식 디지털TV 표준(ATSC-DTV)에서 사용하는 오디오 압축 방식은 AC-3이다. 이는 돌비디지털 압축 방식으로, 높은 압축률과 고음질을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AC-1과 AC-2는 이전에 사용되었던 오디오 압축 방식이며, AC-4는 최근에 개발된 새로운 압축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 중 촬영시 카메라 동작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촬영하는 것은?

  1. Crain Shot
  2. Reaction Shot
  3. Follow Shot
  4. PAN
(정답률: 알수없음)
  • "Follow Shot"은 카메라가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촬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Crain Shot"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것을 말하며, "Reaction Shot"은 대상의 반응을 촬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PAN"은 카메라를 좌우로 움직여 촬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디지털방송의 음성부호화에서 사용되는 PCM방식의 경우 표본화 주파수를 입력신호의 2배가 되지 않는 주파수로 표본화하면 높은 주파수성분이 낮은 주파수 신호에 침범하여 신호가 왜곡된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양자화 왜곡
  2. 압축 에러
  3. 부호화 잡음
  4. 엘리어싱 에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엘리어싱 에러

    설명: PCM 방식에서는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2배가 되지 않는 주파수로 표본화하여 양자화를 진행한다. 그러나 이 때 주파수가 너무 낮으면 신호가 왜곡되는 엘리어싱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입력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낮은 주파수 신호에 침범하여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주파수로 표본화를 해야 엘리어싱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IPTV의 영상신호소스 압축과 전송장식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신호압축 = H.264, 전송 = MPEG2
  2. 신호압축 = MPEG2, 전송 = MPEG2
  3. 신호압축 = MPEG4, 전송 = MPEG4
  4. 신호압축 = WMV-9, 전송 = MPEG4
(정답률: 알수없음)
  • IPTV에서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H.264가 가장 효율적이고 고품질이기 때문에 신호압축에 H.264를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전송 방식으로는 MPEG2가 IPTV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 방식이기 때문에 전송에는 MPEG2를 선택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호압축 = H.264, 전송 = MPEG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영상편집에서 한 화면을 밀어내면서 다른 화면이 나타나는 전환하는 기법으로 상하, 좌우, 원형, 마름모형,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커튼을 여는 것과 같이 화면을 전환하는 기법은?

  1. 오버랩(over lap)
  2. 페이드 인/아웃(fade-in/out)
  3. 와이프(wipe)
  4. 디졸브(dissolve)
(정답률: 알수없음)
  • 와이프(wipe)는 한 화면을 밀어내면서 다른 화면이 나타나는 전환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기법은 상하, 좌우, 원형, 마름모형,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커튼을 여는 것과 같이 화면을 전환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와이프(wipe)"인 이유는 이 기법이 커튼을 여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화면을 전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영상의 비월주사(Interlace)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V에서 주로 사용된다.
  2. 2필드가 1프레임이 된다.
  3. 순차주사방식이라고도 한다.
  4. 순차주사에 비해 화면의 깜박거림이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차주사방식이라고 한 이유는 비월주사 방식은 한 프레임을 두 개의 필드로 나누어서 번갈아가며 화면에 출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즉, 한 프레임을 완전히 출력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필드가 모두 출력되어야 한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번갈아가며 출력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실사 촬영한 영상 시퀀스를 배경으로 하여 그 위에 컴퓨터에서 만들어진 모델을 정렬시켜 애니메이션 동작을 얻어내는 것은?

  1. 리깅(rigging)
  2. 로토스코핑(rotoscoping)
  3. 인 비트원(in between)
  4. 플레이 백(play back)
(정답률: 알수없음)
  • 로토스코핑은 실사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컴퓨터 모델을 정렬시켜 애니메이션 동작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즉, 영상에서 움직이는 대상을 추적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모델을 만들고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로토스코핑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음향에서 디지털신호 처리시 생기는 현상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채널 사이에 누화(Cross Talk) 현상이 거의 없다.
  2. 구동 시스템에 의한 와우&플러터의 영향을 받는다.
  3. 표본화 주파수와 양자화 비트수에 의해 성능이 좌우 된다.
  4. 아날로그 시스템보다 유연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동 시스템에 의한 와우&플러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시 생기는 현상 중 하나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때 발생하는 진동 현상이다. 이는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오차는 구동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구동 시스템의 성능이 좋을수록 와우&플러터 현상이 적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넓은 범위의 응용범위를 상정한 범용성이 높은 영상 데이터의 압축방식인 JPEG의 4가지 동작모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속 DCT 모드
  2. 계층화 모드
  3. 순차 DCT 모드
  4. 손실 모드
(정답률: 알수없음)
  • 손실 모드는 압축 과정에서 일부 데이터를 제거하여 압축률을 높이는 방식이지만, 이로 인해 원본 데이터의 일부 정보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지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JPEG의 4가지 동작모드 중에서는 손실 모드가 범용성이 떨어지는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믹싱에서 이펙트가 많이 사용되는 이펙트를 음의 요소로 분류할 때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주파수의 변화
  2. 진폭의 변화
  3. 시간축의 변화
  4. 위상의 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의 변화는 주파수, 진폭, 시간축과는 다르게 음의 특성을 변화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믹싱에서 이펙트로 많이 사용되는 이펙트 중에서 음의 요소로 분류할 때 거리가 가장 먼 것이다. 위상의 변화는 음의 위상을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진폭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등의 효과를 줄 수 있어, 음악의 분위기나 감성을 변화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음성의 파형을 직접 양자화하지 않고 파형을 분석하여 유성음, 무성음으로 구분항 기본주기, 성도의 계수 등 특성만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1. ARS(Audio Response System)
  2. VRS(Video Response System)
  3. 보코딩(Vocoding) 방식
  4. MHS(Message Handling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보코딩 방식은 음성의 파형을 직접 양자화하지 않고 파형을 분석하여 유성음, 무성음으로 구분하고 기본주기, 성도의 계수 등 특성만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ARS, VRS, MHS는 음성 처리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사운드 파일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WAV : PC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운드 저장용 포맷으로 웨이브 방식을 사용하는 모든 사운드에 적용할 수 있다.
  2. RA : RealAudio 압축방식을 사용한 웨이브 파일 포맷으로 웹의 스트림 방식을 사용한다.
  3. WMA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표준 포맷으로 압축을 지원하며 파일 구조에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4. MPEG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스트리밍 미디어를 위해 만든 포맷으로 여러 가지 다른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MPEG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스트리밍 미디어를 위해 만든 포맷으로 여러 가지 다른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MPEG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만든 것이 아니라,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만든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포맷이다. 또한 MPEG은 오디오 뿐만 아니라 비디오도 압축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도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DCT 부호화 방식에서 입력 화상의 기본 블록화 화소 수는?

  1. 100
  2. 64
  3. 16
  4. 8
(정답률: 알수없음)
  • DCT 부호화 방식에서 입력 화상은 8x8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됩니다. 각 블록은 64개의 화소를 포함하므로, 입력 화상의 기본 블록화 화소 수는 64입니다. 이는 DCT 부호화 방식에서 사용되는 표준 블록 크기이며, 이 크기를 사용하면 효율적인 부호화와 디코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이미지의 모든 컬러 정보와 알파채널을 보존하고 손실 없는 압축방법으로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파일의 형식은?

  1. JPEG
  2. PCX
  3. PNG
  4. TIFF
(정답률: 알수없음)
  • PNG는 "Portable Network Graphics"의 약자로, 이미지의 모든 컬러 정보와 알파채널을 보존하고 손실 없는 압축 방법으로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파일 형식입니다. 이는 JPEG와는 달리 압축 과정에서 이미지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으며, 투명 배경을 지원하기 때문에 웹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CX와 TIFF는 비교적 더 큰 파일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용도에 적합한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카르테시안 공간(Cartesian Space)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컴퓨터의 가상공간
  2. X=0, Y=0, Z=0
  3. 직교좌표계
  4. 삼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면에 대한 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카르테시안 공간은 직교좌표계를 이용하여 공간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이 때, 각 축은 X, Y, Z로 나타내며, X=0, Y=0, Z=0은 공간의 원점을 의미합니다. 삼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면에 대한 좌표는 X, Y, Z 좌표가 모두 정해져 있으므로 다른 좌표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먼 거리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삼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면에 대한 좌표"입니다. 컴퓨터의 가상공간은 실제 공간과는 다르게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동작하기 때문에 거리가 가장 먼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컬러 버스트(Color burst) 신호의 역할은?

  1. 포화도 조절
  2. 색상 조절
  3. 휘도 조절
  4. 색위상 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컬러 버스트 신호는 비디오 신호에서 색상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색상과 위상을 동기화하여 정확한 색상 재생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위상 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물체의 각 점에 전달되는 빛의 양을 계산해서 가장 사실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음영처리 방법은?

  1. 플랫 쉐이딩(Flat Shading)
  2. 퐁 쉐이딩(Phong Shading)
  3. 메탈 쉐이딩(Metal Shading)
  4. 고로드 쉐이딩(Gouraud Shading)
(정답률: 알수없음)
  • 퐁 쉐이딩은 물체의 각 점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계산하여 부드러운 음영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이는 빛의 입사각, 물체의 표면 법선 벡터, 물체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계산되며, 따라서 더욱 사실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반면에 플랫 쉐이딩은 각 면의 법선 벡터를 기준으로 단순하게 쉐이딩을 처리하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 메탈 쉐이딩은 금속 재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며, 고로드 쉐이딩은 퐁 쉐이딩과 유사하지만 계산량이 많아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아래 그림과 같이 카메라의 위치를 움직이지 않고 카메라 헤드만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촬영하는 기법은?

  1. Tilt
  2. Pan
  3. Zoom
  4. Dolly
(정답률: 알수없음)
  • 위치를 움직이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법은 "Pan"이다. "Tilt"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법이고, "Zoom"은 확대/축소하는 기법, "Dolly"는 카메라를 전진/후진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인간의 시각과 청각을 나타내는 미디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지각 미디어
  2. 전송 미디어
  3. 표현 미디어
  4. 저장 미디어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의 시각과 청각을 나타내는 미디어를 "지각 미디어"라고 한다. 이는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미디어를 의미한다. 반면에 "전송 미디어"는 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 "표현 미디어"는 아이디어나 감정을 표현하는 미디어, "저장 미디어"는 정보를 저장하는 미디어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애니메이션 동작의 기본 3원칙이 아닌 것은?

  1. 예비동작
  2. 정지동작
  3. 본동작
  4. 잔여동작
(정답률: 알수없음)
  • 애니메이션 동작의 기본 3원칙은 예비동작, 본동작, 잔여동작입니다. 이 세 가지 원칙은 모두 동작의 연속성과 자연스러움을 위해 필요한 것들입니다. 하지만 정지동작은 동작이 아닌 상태이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동작의 기본 3원칙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엔비디아에서 개발한 포맷 방식으로 DirectXrl반의 텍스쳐 맵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 형식은?

  1. BMP
  2. GIF
  3. CDR
  4. DD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DS"입니다. DDS는 DirectDraw Surface의 약자로, DirectX에서 사용되는 텍스쳐 맵을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 형식입니다. DDS는 압축 기능이 있어서 텍스쳐 맵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빠른 로딩이 가능합니다. 또한, MIP 맵 및 알파 채널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BMP, GIF, CDR은 모두 이미지 형식이지만, DirectX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