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8-19)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2018-08-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멀티미디어개론

1. UNIX 명령어 중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명령어는?

  1. kill
  2. mk
  3. pwd
  4. rm
(정답률: 69%)
  • 정답은 "pwd"입니다.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해줍니다. 따라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위치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텍스트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각 글자의 문자 메트릭과 글자 쌍의 자간 조정을 의미하는 것은?

  1. 레딩(Leading)
  2. 커닝(Kearning)
  3. 세리프(Serif)
  4. 랜섬노트(Ransom-Note)
(정답률: 74%)
  • 커닝(Kearning)은 각 글자의 문자 메트릭과 글자 쌍의 자간 조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글자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더욱 균형있고 가독성이 좋은 텍스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레딩(Leading)", "세리프(Serif)", "랜섬노트(Ransom-Note)"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OSI-7 Layer에서 응용계층에 포함되는 프로토콜은?

  1. TCP
  2. TFTP
  3. ARP
  4. UDP
(정답률: 57%)
  • 응용계층은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계층으로,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TFTP는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파일 전송을 위한 간단한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TFTP는 응용계층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양자화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표본화 된 PAM 신호를 진폭영역에서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
  2. 신호가 전송로를 점유하는 시간 분할
  3. 통화로의 분기 및 삽입 용이
  4. 전송 신호의 위상 변화
(정답률: 76%)
  • 양자화는 연속적인 진폭 값을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표본화 된 PAM 신호를 진폭영역에서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이 양자화를 가장 잘 표현한 것입니다. 이는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하고 전송하기 용이하게 만들어주며, 통화로의 분기 및 삽입도 용이하게 해줍니다. 전송 신호의 위상 변화는 위상 변조와 관련이 있으며, 양자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각 픽셀을 박막 트랜지스터(TFT) 로 작동하게 하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더 정교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은?

  1. LCD
  2. AMOLED
  3. PMOLED
  4. CRT
(정답률: 80%)
  • AMOLED는 각 픽셀을 TFT로 작동시켜 더 정교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가 적기 때문에 LCD나 CRT보다 더 효율적이다. 또한, AM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선명하고 생생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CP를 사용하는 연결형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2. 신뢰성이 부족하다.
  3. 별도 인증이 없어 속도가 빠르다.
  4. 파일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답률: 58%)
  • 정답은 "TCP를 사용하는 연결형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이다. TFTP는 UDP를 사용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신뢰성이 부족하고 오류 복구 기능이 없어서 파일 전송 중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별도의 인증 기능이 없어 속도는 빠르지만 보안에 취약하다. TFTP는 파일 전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핵 시설이나 국가의 산업 기반 시설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해커가 USB를 이용하여 침투하고 공격하는 군사적 사이버 무기 수준의 해킹기법은?

  1. 매크로
  2. 스파이웨어
  3. 스턱스넷
  4. 메일폭탄
(정답률: 71%)
  • 스턱스넷은 USB를 이용하여 시설 내부에 침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며, 군사적인 공격을 수행하는 사이버 무기 수준의 해킹 기법이다. 따라서, 핵 시설이나 국가의 산업 기반 시설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공격에 매우 적합하다. 매크로는 문서나 프로그램 내부에 포함된 스크립트로, 악성 코드를 실행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스파이웨어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제어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악성 소프트웨어이다. 메일폭탄은 대량의 스팸 메일을 보내는 공격 기법으로, 대부분의 경우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내부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매핑하여 공인 IP 주소가 부족할 때 또는 내부 사설 IP 주소를 보호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기술은?

  1. GSM
  2. BLE
  3. NAT
  4. LPWAN
(정답률: 75%)
  • NAT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로, 내부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공인 IP 주소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여러 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내부 사설 IP 주소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A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운드에서 원음의 진폭이 기계가 수용하는 진폭보다 크거나 양자화 하여 나타낼 수 있는 진폭보다 큰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은?

  1. 클리핑
  2. 디더링
  3. 지터 에러
  4. 양자화 오차
(정답률: 53%)
  • 클리핑은 사운드에서 원음의 진폭이 기계가 수용하는 진폭보다 크거나 양자화 하여 나타낼 수 있는 진폭보다 큰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원음이 기계나 디지털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며, 원음의 일부가 잘리는 현상으로 인해 왜곡된 소리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클리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미리 설계된 시간이나 임의환경 조건이 충족되면 스스로 모양을 변경 또는 제조하여 새로운 형태로 바뀌는 제품을 3D 프린팅 하는 기술은?

  1. 애그노스틱 기술
  2. 스펙트럼 센싱
  3. 4D 프린팅
  4. 3D 모델러
(정답률: 69%)
  • 3D 프린팅은 3차원적인 형태를 만들어내는 기술이지만, 4D 프린팅은 시간이라는 4차원적인 개념을 추가하여 제품이 스스로 모양을 변경하거나 제조되어 새로운 형태로 바뀔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미리 설계된 시간이나 임의환경 조건이 충족되면 제품이 스스로 변화하는 4D 프린팅 기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그램, 문서, 웹사이트 등에서 사용자의 탐색경로를 시각적으로 제공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1. 용도 자유대역
  2. 브레드크럼즈
  3. 디지털 트윈
  4. 엠엔지
(정답률: 65%)
  • 정답은 "브레드크럼즈"입니다. 브레드크럼즈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페이지의 경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사이트 내에서 쉽게 이동하고,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문서, 웹사이트 등에서 사용자의 탐색경로를 시각적으로 제공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브레드크럼즈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리눅스 커널에서 페이징 유닛(Paging Unit) 이 하는 일은?

  1. 논리주소를 페이지 테이블로 매핑
  2. 선형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
  3. 물리주소를 논리주소로 전환
  4. 물리주소를 페이지 테이블로 매핑
(정답률: 59%)
  • 페이징 유닛은 선형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논리주소를 페이지 테이블로 매핑한 후, 페이지 테이블에서 해당 페이지의 물리주소를 찾아 선형주소와 결합하여 최종적인 물리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형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유닉스 명령이 의미하는 것은?

  1. 파일 f1이 파일 f2를 가리키도록 시스템 링크를 만든다.
  2. 디스크 f2를 디스크 f1로 복사한다.
  3. 프로세스 f1이 프로세스 f2에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4. 경로명 f2가 경로명 f1을 가리키도록 소프트 링크를 만든다.
(정답률: 60%)
  • ln 명령어는 링크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s 옵션은 소프트 링크를 생성하도록 지정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ln -s f1 f2"는 경로명 f2가 경로명 f1을 가리키도록 소프트 링크를 만든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이중(Half-Duplex) 통신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송신과 수신을 양쪽에서 할 수 있으나 동시에는 할 수 없다.
  2. 데이터 전송로에서 한 쪽 방향으로만 데이터가 흐르도록 하는 통신방식이다.
  3. 접속된 두 장치 간에 데이터가 동시에 양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신방식이다.
  4. 4선식 회선이 사용되나, 2선식 회선에서 주파수 분할로도 통신이 가능한 통신방식이다.
(정답률: 69%)
  • 반이중(Half-Duplex) 통신방식은 송신과 수신을 양쪽에서 할 수 있지만, 동시에는 할 수 없는 통신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로가 양방향으로 열려있지만,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가 흐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무전기 통신에서 상대방이 말하는 동안에는 우리가 말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IPv6는 주소별 라우팅 특성에 따라 3개의 범주로 구분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니캐스트 주소
  2. 라우팅 주소
  3. 멀티캐스트 주소
  4. 애니캐스트 주소
(정답률: 64%)
  • IPv6에서 라우팅 주소는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주소로,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는 주소별 라우팅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주소는 모두 이에 해당하지만 라우팅 주소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PEM(Privacy Enhanced Mail)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2. 미국 RSA 데이터 시큐리티사에서 개발
  3. 높은 보안성을 지원
  4. 메시지 무결성 등의 기능을 지원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 거래, 전달, 관리, 소비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한 네트워크 및 터미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자원을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사용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프레임 워크 표준 규격은?

  1. MPEG-2
  2. MPEG-7
  3. MPEG-21
  4. MPEG-Z
(정답률: 65%)
  • MPEG-21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 거래, 전달, 관리, 소비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한 네트워크 및 터미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자원을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사용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프레임 워크 표준 규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MPEG-21과는 다른 목적을 가진 MPEG 표준 규격들입니다. MPEG-2는 디지털 방송용 비디오 압축 규격, MPEG-7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검색 및 검색 결과의 표현을 위한 규격, MPEG-Z는 압축 알고리즘을 위한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PCM 전송에서 송신 측 과정은?

  1.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2.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3.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4. 부호화 → 표본화 → 양자화
(정답률: 68%)
  • PCM 전송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를 수행합니다. 이후,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여 부호화합니다. 따라서, 송신 측 과정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터넷 전자서명에서 사용되는 해쉬(Hash) 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쉬 함수는 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같은 입력에 대해서는 동일한 출력이 나온다.
  2. HAS-160는 국내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해쉬 함수다.
  3. 메시지의 오류나 변조를 탐지할 수 있는 무결성을 제공한다.
  4. 해쉬 함수는 양방향성을 갖는다.
(정답률: 60%)
  • 해쉬 함수는 양방향성을 갖지 않는다. 해쉬 함수는 일방향 함수로, 입력값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이 변환은 일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출력값으로 입력값을 역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해쉬 함수는 암호화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는 가장 짧은 코드로 표현하고,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는 가장 긴 코드로 표현하는 압축 방식은?

  1. 허프만 코딩 방식
  2. 줄길이 부호화 방식
  3. MPEG 방식
  4. JPEG 방식
(정답률: 69%)
  • 허프만 코딩 방식은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에는 짧은 코드를 할당하고,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에는 긴 코드를 할당하여 압축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압축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허프만 코딩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멀티미디어기획및디자인

21. 시각디자인(Visual Design) 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엔지니어링 디자인
  2. 도자기 디자인
  3. 건축 디자인
  4. 포스터 디자인
(정답률: 80%)
  • 시각디자인은 시각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미적 감각을 자극하는 디자인 분야이다. 이 중에서 포스터 디자인은 시각적인 요소를 가장 집중적으로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미적 감각을 자극하는 분야로, 시각디자인과 가장 관계가 깊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다른 색상이나 소리 첨가
  2. 애니메이션 사용
  3. 일관성 유지를 위해 동일한 크기의 폰트 사용
  4. 동화상(Moving Image) 을 통한 움직임 사용
(정답률: 77%)
  • 일관성 유지를 위해 동일한 크기의 폰트 사용은 사용자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색상이나 소리 첨가, 애니메이션 사용, 동화상을 통한 움직임 사용 등이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회색 바탕에 검정 선을 그리면 회색은 더 어둡게 보이고 하얀 선을 그리면 바탕의 회색이 더 밝아 보이는 현상은?

  1. 비렌 효과
  2. 베졸드 효과
  3. 페흐너 효과
  4. 푸르킨예 효과
(정답률: 70%)
  • 이 현상은 "베졸드 효과"라고 불린다. 이는 인접한 색상이 서로 영향을 주어 인식되는 색상이 변하는 현상으로, 회색 바탕에 검정 선을 그리면 바탕의 회색이 더 어둡게 보이고, 하얀 선을 그리면 바탕의 회색이 더 밝아 보이는 것이 그 예시이다. 이는 인접한 색상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인식되는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색의 잔상효과 중 하나로서 흑백으로 나눈 면적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파스텔 톤의 연한 유채색이 나타나는 현상은?

  1. 에브니 효과
  2. 페히너 효과
  3. 맥컬로 효과
  4. 보색잔상 효과
(정답률: 64%)
  • 페히너 효과는 흑백으로 나눈 면적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파스텔 톤의 연한 유채색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에서 색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회전하는 면적에서 인접한 색상들이 서로 상쇄되면서 새로운 색상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를 페히너 효과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그래픽의 색상 표현 모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HSB모드 – 색의 3속성인 색상, 채도, 명도를 바탕으로 색을 표현하는 방식
  2. Lab모드 – CIE에서 발표한 색체계로 채도축인 a와 명도축인 b의 값으로 색상을 정의하는 방식
  3. RGB모드 – 빛의 3원색인 빨강, 녹색, 파랑의 혼합으로 색을 표현하는 방식
  4. CMYK모드 – 인쇄나 프린트에 이용되며 Cyan, Magenta, Yellow, Black을 혼합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식
(정답률: 72%)
  • Lab모드는 색의 3속성인 색상, 채도, 명도를 바탕으로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 아니라, 채도축인 a와 명도축인 b의 값으로 색상을 정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Lab모드는 색의 밝기, 색도, 색상을 모두 고려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이 설명하는 디자인의 원리는?

  1. 변화
  2. 비대칭
  3. 강조
  4. 점이
(정답률: 60%)
  • 이 디자인의 원리는 "점이"다. 이 디자인에서는 큰 원 안에 작은 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작은 원이 점이 되어 전체 디자인에서 주목받게 된다. 이를 통해 강조와 조화를 이루며, 디자인에 균형감을 부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두 색이 경계부분에서 색의 3속성별로 대비현상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현상은?

  1. 채도대비
  2. 명도대비
  3. 연변대비
  4. 계시대비
(정답률: 62%)
  • 연변대비는 두 색이 경계부분에서 색의 채도, 명도, 색상의 대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두 색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 있을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경계부분에서 두 색이 섞이는 영역에서 특히 두드러집니다. 이러한 연변대비는 시각적으로 두 색의 경계를 더욱 뚜렷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출력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2. 대표적으로는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등이 있다.
  3. 화면 디스플레이도 출력 장치에 속한다.
  4. 프린터 작업도 출력 장치에 속한다.
(정답률: 72%)
  • 화면 디스플레이도 출력 장치에 속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출력장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로, 대표적으로는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등이 있다. 하지만 화면 디스플레이는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입력장치에 속한다. 프린터 작업도 출력 장치에 속하지만, 이는 이미 대표적인 예시로 언급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현실이나 상상 속에서 제안되거나 계획된 일련의 사건들에 대한 개략적인 줄거리를 일컫는 말로,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는데 토대가 되는 것은?

  1. 시나리오
  2. 플로우차트
  3. 가상현실
  4. 디지털 스토리텔링
(정답률: 77%)
  • 시나리오는 일련의 사건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개략적인 줄거리를 작성하는 것으로,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기반이 됩니다. 따라서 시나리오가 정답입니다. 플로우차트는 프로세스나 작업의 흐름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가상현실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의 세계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늘날 타이포그래피는 넓은 의미로 해석되고 활용되고 있다. 다음 중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글자 디자인
  2. 활자 서체 선택과 배열
  3. 문자 또는 활판적인 기호를 중심으로 한 이차원적 표현
  4. 단순화된 그림으로 대상의 성질이나 사용법을 표시
(정답률: 83%)
  • "단순화된 그림으로 대상의 성질이나 사용법을 표시"는 타이포그래피와는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아이콘 디자인이나 그래픽 디자인과 관련이 더 많다. 타이포그래피는 주로 글자 디자인, 활자 서체 선택과 배열, 문자나 활판적인 기호를 중심으로 한 이차원적 표현 등을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디자인 요소 중 시각적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형태
  2. 색채
  3. 방향감
  4. 질감
(정답률: 70%)
  • "방향감"은 디자인 요소 중에서는 시각적 요소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디자인 요소 중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개념으로서 물체나 이미지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형태", "색채", "질감"은 시각적 요소에 속하며, "방향감"은 시각적 요소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서체 중 글자의 가로, 세로 끝부분에 짧은 획이 붙어있는 세리프체가 아닌 것은?

  1. 바탕체
  2. 신명조
  3. 고딕체
  4. Times New Roman
(정답률: 75%)
  • 고딕체는 세리프체가 아닌 삐침 없는 굵은 선으로 이루어진 서체이다. 따라서 바탕체, 신명조, Times New Roman은 모두 세리프체이며, 고딕체는 세리프체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게슈탈트의 법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사성의 법칙
  2. 근접성의 법칙
  3. 복합성의 법칙
  4. 연속성의 법칙
(정답률: 71%)
  • 게슈탈트의 법칙 중 "복합성의 법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복합성의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Product Life Cycle)은 제품이 시장에 도입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매출액이 변화해가는 과정을 단계로 나눈 것이다. 다음 중 소비자의 인지도가 증가하여 생산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단계는?

  1. 성장기
  2. 성숙기
  3. 경쟁기
  4. 도입기
(정답률: 77%)
  • 정답: 성장기

    소비자의 인지도가 증가하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매출액 증가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기업은 생산량을 늘리고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은 많은 투자를 하게 되고, 이는 제품의 수명주기에서 성장기 단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신문광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간과 공간을 극복하여 새로운 소식을 전달하는 인쇄 매체로서 특정한 독자층을 형성할 수 있어 정보의 생명력이 매우 길다.
  2. 정보로서의 신뢰도가 높고 상품에 대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자세한 내용을 알릴 수 있다.
  3. 대부분의 신문은 매일 발간되기 때문에 광고주의 요구에 따라 즉각적인 광고가 가능하다.
  4. 직업, 소득, 연령층에 관계없이 여러 독자층에게 어필할 수 있으며 매체의 도발 범위가 매우 넓다.
(정답률: 63%)
  • 정답: "직업, 소득, 연령층에 관계없이 여러 독자층에게 어필할 수 있으며 매체의 도발 범위가 매우 넓다."이 틀린 것이다.

    신문광고는 시간과 공간을 극복하여 새로운 소식을 전달하는 인쇄 매체로서 특정한 독자층을 형성할 수 있어 정보의 생명력이 매우 길다. 또한, 대부분의 신문은 매일 발간되기 때문에 광고주의 요구에 따라 즉각적인 광고가 가능하며, 정보로서의 신뢰도가 높고 상품에 대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자세한 내용을 알릴 수 있다. 하지만, 신문은 모든 독자층에게 도달하지는 못하며, 특정한 성향이나 관심사를 가진 독자층에게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색의 동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색의 차이가 강조되어 지각되는 현상이다.
  2. 회색 바탕에 검은 선을 여러 개 그리면 바탕 회색은 더 밝게 보인다.
  3. 인접한 색들끼리 서로의 영향을 받아 인접한 색에 가깝게 보이는 현상이다.
  4. 빨강 바탕에 놓여진 회색은 초록빛 회색으로 보인다.
(정답률: 72%)
  • 인접한 색들끼리 서로의 영향을 받아 인접한 색에 가깝게 보이는 현상은 색의 동화 현상이다. 이는 인접한 색들이 서로 섞이면서 색상이 변화하고, 이로 인해 색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주황색이 인접해 있으면, 빨간색은 주황색에 가까워지고, 주황색은 빨간색에 가까워진다. 이러한 현상은 색의 조화를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편집디자인의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옥외광고
  2. 타이포그래피
  3. 일러스트레이션
  4. 레이아웃
(정답률: 75%)
  • 옥외광고는 편집디자인의 요소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편집디자인은 주로 인쇄물이나 디지털 매체를 위한 디자인을 다루는 반면, 옥외광고는 건물이나 도로 등 공공장소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광고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옥외광고는 편집디자인과는 다른 디자인 분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극으로 인해 색 지각이 생긴 후 그 자극이 없어져도 그 전의 상이나 그 반대의 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은?

  1. 주목성
  2. 잔상
  3. 동화
  4. 명시도
(정답률: 81%)
  • 잔상은 자극으로 인해 색 지각이 생긴 후 그 자극이 없어져도 일정 시간 동안 그 전의 상이나 그 반대의 상을 느낄 수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시각적 정보가 뇌에서 처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주목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명시도나 동화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TV광고 중 프로그램 중간에 삽입되는 광고는?

  1. 로컬(Local) 광고
  2. 네트워크(Network) 광고
  3. 프로그램(Program) 광고
  4. 스파트(Spot) 광고
(정답률: 72%)
  • 스파트(Spot) 광고는 TV 프로그램 중간에 삽입되는 광고로, 일반적으로 광고주가 직접 해당 방송국에 광고를 의뢰하고 방송 시간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에 반해 로컬(Local) 광고는 지역 방송국에서 방영되는 지역 광고, 네트워크(Network) 광고는 전국적으로 방영되는 대형 광고, 프로그램(Program) 광고는 프로그램 내에서 제작된 광고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제품디자인이 최종적 단계에 이르게 되면 실제 생산될 것과 똑같이 만들고 내부기계 장치까지 설치하여 동작방법과 성능, 부품사이의 간섭이나 결합 문제까지 세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모델은?

  1. 러프 모델
  2. 프로토타입 모델
  3. 클레이 모델
  4. 스크래치 모델
(정답률: 78%)
  • 프로토타입 모델은 제품디자인의 최종 단계에서 실제 생산될 제품과 똑같이 만들어진 모델로, 내부기계 장치까지 설치하여 동작방법과 성능, 부품사이의 간섭이나 결합 문제까지 세부적으로 검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디자인의 최종 검증을 위해 매우 중요한 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멀티미디어저작

41. HTML 태그를 이용하여 글자색을 붉은 색으로 할 때, ( ) 안에 추가할 알맞은 색상 코드는?

  1. #FF0000
  2. #D1FF00
  3. #000000
  4. #FFFF00
(정답률: 72%)
  • 글자색을 나타내는 CSS 속성은 color이며, 색상 코드를 입력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붉은 색은 #FF0000으로 표현되며, 이는 빨간색의 가장 진한 색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FF0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바스크립트의 Window 객체 중 다음 그림과 같이 다이얼로그 박스를 나타내는 메소드는?

  1. Open( )
  2. Prompt( )
  3. Alert( )
  4. Confirm( )
(정답률: 66%)
  • 정답은 "Confirm( )"이다. 이유는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사용자에게 "확인" 또는 "취소" 버튼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면 각각 true 또는 false 값을 반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onfirm( ) 메소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 href> 태그에서 새 창에 target 페이지를 띄워주는 속성은?

  1. _self
  2. _parent
  3. _top
  4. _blank
(정답률: 68%)
  • "_blank"는 링크를 클릭했을 때 새 창이나 탭에서 링크의 대상 페이지를 열어주는 속성입니다. 다른 속성들은 현재 창이나 부모 창, 최상위 창에서 링크를 열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객체지향 설계에 사용되는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다이어그램이 아닌 것은?

  1. Class 다이어그램
  2. Attribute 다이어그램
  3. State 다이어그램
  4. Sequence 다이어그램
(정답률: 50%)
  • Attribute 다이어그램은 UML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UML에서는 Class 다이어그램, State 다이어그램, Sequence 다이어그램 등이 사용됩니다. Attribute 다이어그램은 객체지향 설계에 사용되는 다른 도구나 방법론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Rumbaugh 의 객체 모델링 기법 중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객체들의 관계들을 표현함으로써 시스템의 정적인 자료구조를 기술하는 모델링은?

  1. 제어 모델링
  2. 클래스 모델링
  3. 객체 모델링
  4. 기능 모델링
(정답률: 56%)
  • Rumbaugh의 객체 모델링 기법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객체들의 관계들을 표현하여 시스템의 정적인 자료구조를 기술하는 모델링 기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객체 모델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다른 방법들을 나타내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HTML5의 선이나 도형에서 사용하는 그림자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hadowColor : 그림자의 색깔을 지정할 수 있다.
  2. shadowLine : 값이 클수록 그림자 경계가 선명해진다.
  3. shadowOffsetX : 양수, 음수 값에 따라 각각 그림자가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인다.
  4. shadowOffsetY : 양수, 음수 값에 따라 각각 그림자가 아래쪽, 위쪽으로 움직인다.
(정답률: 74%)
  • 정답은 "shadowLine : 값이 클수록 그림자 경계가 선명해진다." 이다. 이유는 HTML5에서 그림자 속성 중에 shadowLine이라는 속성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올바른 속성은 shadowBlur이며, 값이 클수록 그림자 경계가 흐려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 shadowColor : 그림자의 색깔을 지정할 수 있다.
    - shadowBlur : 값이 클수록 그림자 경계가 흐려진다.
    - shadowOffsetX : 양수, 음수 값에 따라 각각 그림자가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인다.
    - shadowOffsetY : 양수, 음수 값에 따라 각각 그림자가 아래쪽, 위쪽으로 움직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HTML 파일 내부의 style 태그에 아래 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때 결과는?

  1. 태그 이름이 poi인 태그에 빨간 색상의 Italic 체로 스타일 시트를 지정한다.
  2. ID 속성의 값이 poi 인 태그에 빨간 배경 색상의 Italic 체로 스타일 시트를 지정한다.
  3. CLASS 속성의 값이 poi 인 태그에 빨간 색상의 Italic 체로 스타일 시트를 지정한다.
  4. STYLE 속성이 지정된 태그에 빨간 배경 색상의 Italic 체로 스타일 시트를 지정한다.
(정답률: 61%)
  • CLASS 속성은 태그를 그룹화하여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CLASS 속성의 값이 poi인 태그들은 모두 빨간 색상의 Italic 체로 스타일 시트가 지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XML의 XSLT에 정의한 함수가 아닌 것은?

  1. Format-Number
  2. Current
  3. Element-Property
  4. Function-Available
(정답률: 45%)
  • XML의 XSLT에는 "Format-Number", "Current", "Function-Available"과 같은 내장 함수들이 있지만, "Element-Property"은 내장 함수가 아니다. "Element-Property"는 XSLT에서 사용되는 XPath 확장 함수 중 하나로, XML 문서의 요소 속성 값을 가져오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불필요한 정보의 중복으로 인한 문제점이 없도록 릴레이션을 작게 분해하는 과정은?

  1. 동등 조인
  2. 인덱싱
  3. 정규화
  4. 튜플
(정답률: 53%)
  • 정규화는 불필요한 정보의 중복을 제거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이다. 따라서 릴레이션을 작게 분해하여 중복을 제거하고, 각 릴레이션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정규화가 정답이다. 동등 조인은 두 개의 릴레이션에서 동일한 값을 가진 튜플을 연결하는 연산이고, 인덱싱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며, 튜플은 릴레이션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객체에 정의된 연산을 의미하며 객체의 상태를 참조 및 변경하는 객체의 멤버 함수를 의미하는 것은?

  1. Class
  2. Attribute
  3. Method
  4. Message
(정답률: 62%)
  • Method는 객체의 멤버 함수를 의미하며, 객체의 상태를 참조 및 변경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객체에 정의된 연산을 의미하는 것이다. Class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을 의미하고, Attribute는 객체의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Message는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관계 데이터 연산에서 관계대수의 순수 관계 연산자가 아닌 것은?

  1. Select
  2. Division
  3. Union
  4. Join
(정답률: 57%)
  • Union은 순수 관계 연산자가 아닙니다. Union은 두 개의 관계를 합치는 연산자로, 합쳐진 결과는 중복을 제거한 레코드들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Union은 순수 관계 연산자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HTML 태그에서 cell spacing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일반적으로 초기 값 0이 할당된다.
  3. 두 셀 사이의 여백 크기를 지정한다.
  4. 셀 가장자리와 셀 내용 사이의 여백을 지정한다.
(정답률: 60%)
  • cell spacing은 표에서 두 셀 사이의 여백 크기를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뷰(VIEW) 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뷰를 제거하면 그 뷰를 기초로 정의된 다른 뷰는 제거되지 않는다.
  2. SQL에서 뷰를 생성할 때 CREATE 문을 사용한다.
  3. 뷰는 가상 테이블이므로 물리적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다.
  4. 필요한 데이터만 뷰로 정의해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55%)
  • "하나의 뷰를 제거하면 그 뷰를 기초로 정의된 다른 뷰는 제거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하나의 뷰를 제거하면 그 뷰를 기초로 정의된 다른 뷰도 함께 제거된다. 이는 뷰가 기초 테이블의 데이터를 참조하므로, 기초 테이블이나 다른 뷰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뷰도 변경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HTML5 태그 중에서 형광펜을 사용하여 강조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1. <i>
  2. <mark>
  3. <keygen>
  4. <small>
(정답률: 80%)
  • "<mark>" 태그는 텍스트를 형광펜으로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i>" 태그는 텍스트를 이탤릭체로 표시하고, "<keygen>" 태그는 공개/비공개 키 쌍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small>" 태그는 작은 글꼴로 텍스트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mark>" 태그가 형광펜을 사용하여 강조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유일한 옵션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XML문서의 구조적 정보를 제공하고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서 구조 외양 내용을 변경하여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모델을 의미하는 용어는?

  1. CSS
  2. DOM
  3. DOCUMENT
  4. SCRIPT
(정답률: 51%)
  • DOM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XML 또는 HTML 문서의 구조적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자바스크립트에서 접근하여 문서의 내용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모델을 의미합니다. 즉, DOM은 문서의 구조와 내용을 트리 구조로 표현하고, 이를 자바스크립트에서 조작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DO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바스크립트 조건문에서 출력되는 값은?

  1. 0
  2. 4
  3. 30
  4. 31
(정답률: 63%)
  • 조건문에서는 "==="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31"과 31은 데이터 타입이 다르기 때문에 같지 않습니다. 그러나 "===" 연산자는 데이터 타입까지 비교하기 때문에 "31"과 "31"은 데이터 타입도 같고 값도 같기 때문에 같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조건문에서는 "31"이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바스크립트에서 Data 라는 이름으로 정수값 10을 저장하기 위한 변수 선언과 초기화 문장의 형태로 맞는 것은?

  1. Float Data = 10;
  2. Int Data = 10;
  3. Var Data = 10;
  4. Number Data = 10;
(정답률: 71%)
  • 정답: Var Data = 10;

    설명:
    - "Float Data = 10;"은 부동소수점 값을 저장하는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므로 정수값 10을 저장하기에는 부적절하다.
    - "Int Data = 10;"은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정수형 변수를 선언하는 문법이 없으므로 올바르지 않다.
    - "Var Data = 10;"은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값으로 10을 할당하는 올바른 문법이다. "Var"는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이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의 타입을 미리 지정하지 않고 "Var"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한다. 따라서 "Var Data = 10;"은 Data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값으로 10을 할당하는 문장이다.
    - "Number Data = 10;"은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값으로 10을 할당하는 문법이지만, "Number"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내장된 숫자형 객체를 나타내는 키워드이므로 변수 이름으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데이터베이스에서 모든 데이터 개체, 제약 조건, 접근 권한, 보안 정책, 무결성 규칙 등을 명세한 것은?

  1. 구조 스키마
  2. 내부 스키마
  3. 매핑 스키마
  4. 개념 스키마
(정답률: 62%)
  •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모든 데이터 개체, 제약 조건, 접근 권한, 보안 정책, 무결성 규칙 등을 명세한 것입니다. 다른 스키마들은 개념 스키마를 구현하기 위한 중간 단계이며, 구조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나타내고,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방식을 나타내며, 매핑 스키마는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간의 매핑 정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구조와 규칙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래 jQuery 문장의 단축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document)_(function( ) { });
  2. $(function( ) { });
  3. $Execute.(function( ) { });
  4. $CDATA.(function( ) { });
(정답률: 63%)
  • 정답은 "$(function( ) { });"입니다.

    이유는 $() 함수는 jQuery 함수로, 문서가 로드될 때 실행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function( ) { });"는 문서가 로드될 때 실행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이를 단축 표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SQL 에서 DELETE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테이블의 행과 열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
  2. WHERE절의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를 모두 삭제한다.
  3. 테이블을 완전히 제거하는 DROP과는 다르다.
  4. SQL문 'DELETE FROM 직원' 은 직원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를 삭제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테이블의 행과 열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 이다. DELETE 명령은 테이블의 행(row)을 삭제하는 명령이며, 열(column)을 삭제하는 명령은 없다. 따라서 "테이블의 행과 열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 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SQL문 'DELETE FROM 직원' 은 직원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를 삭제한다. DELETE 명령은 WHERE절을 사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만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DELETE 명령은 테이블을 완전히 제거하는 DROP과는 다르다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멀티미디어제작기술

61. 다음 중 가장 작은 해상도를 갖는 화면 규격은?

  1. 16CIF
  2. QCIF
  3. CIF
  4. 고선명 TV
(정답률: 53%)
  • QCIF는 Quarter Common Intermediate Format의 약자로, 화면 해상도가 176x144 픽셀인 화면 규격이다. 다른 보기들은 QCIF보다 더 큰 해상도를 갖는 화면 규격이므로, 가장 작은 해상도를 갖는 화면 규격은 QCI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꽃이 피는 과정이나 곤충이 알에서 깨어나는 장면 등 긴 시간 동안 일어나는 현상을 짧은 시간에 함축하여 보여주려 할 때 유용한 기법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접사 촬영
  2. 적외선 촬영
  3. 인터벌 촬영
  4. 콤마 촬영
(정답률: 75%)
  • 인터벌 촬영은 긴 시간 동안 일어나는 현상을 짧은 시간에 함축하여 보여주는 기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사진을 찍어 연속적으로 재생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을 빠르게 보여줍니다. 따라서 꽃이 피는 과정이나 곤충이 알에서 깨어나는 장면 등을 보여줄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음파가 1회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 음압
  2. 주기
  3. 음색
  4. 주파수
(정답률: 58%)
  • 음파는 파동의 일종으로, 한 번의 진동이 주기를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음파가 1회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주기와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기"입니다. "음압"은 음파의 압력을 나타내는 단어이고, "음색"은 음파의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주파수"는 음파의 진동수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알파 채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크로마키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지를 두 개의 채널로 만든 것이다.
  2. 그래픽 상의 한 픽셀의 색이 다른 픽셀의 색과 겹쳐서 나타낼 때, 두 색을 효과적으로 융합하도록 해준다.
  3. 4개의 채널을 이용하는 CMYK보다 색을 자유롭게 쓸 수 없지만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4. 선택 영역의 테두리 부분에 있는 픽셀을 부드럽게 처리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52%)
  • 알파 채널은 그래픽 상의 한 픽셀의 색이 다른 픽셀의 색과 겹쳐서 나타낼 때, 두 색을 효과적으로 융합하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크로마키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양지향성과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음원에 가깝게 대고 사용하면 저음의 출력이 상승하는 효과는?

  1. 근접효과
  2. 회절효과
  3. 왜곡효과
  4. 반사효과
(정답률: 74%)
  • 근접효과는 마이크와 음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저음의 출력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양지향성과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음원에 가깝게 대고 사용하면 근접효과가 발생하여 저음의 출력이 상승하게 됩니다. 회절효과는 음원이 장소에서 반사되어 들리는 현상, 왜곡효과는 음원이 왜곡되어 들리는 현상, 반사효과는 음원이 장소에서 반사되어 들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애니메이션 동작의 기본 3원칙이 아닌 것은?

  1. 예비 동작
  2. 범프 동작
  3. 본(실행) 동작
  4. 잔여 동작
(정답률: 68%)
  • 애니메이션 동작의 기본 3원칙은 예비 동작, 본(실행) 동작, 잔여 동작입니다. 이 세 가지 원칙은 애니메이션을 자연스럽고 실감나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비 동작은 다음 동작을 준비하는 역할을 하고, 본(실행) 동작은 실제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잔여 동작은 동작이 끝난 후에도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움직임을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범프 동작은 애니메이션 동작의 기본 3원칙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범프 동작은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의미하며, 애니메이션의 자연스러움을 해치는 요소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철사 또는 특수 제작된 골격구조 위에 애니메이션용 점토를 입혀 점토모델을 만든 후 모델을 조금씩 변형시키면서 변화된 각각의 장면을 한 프레임씩 촬영해서 만들어지는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은?

  1. 3D 애니메이션
  2. 클레이 애니메이션
  3. 셀 애니메이션
  4. 픽셀 애니메이션
(정답률: 80%)
  • 정답은 "클레이 애니메이션"입니다. 이 방식은 점토모델을 만들어서 조금씩 변형시키면서 촬영하는 방식으로, 실제 물질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감성적인 표현이 가능합니다. 3D 애니메이션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지는 방식이고, 셀 애니메이션은 도안을 그리고 그것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방식입니다. 픽셀 애니메이션은 픽셀 단위로 만들어지는 애니메이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벡터(Vector)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벡터 객체는 같은 객체를 비트맵 형식으로 저장했을 때보다 많은 메모리를 차지한다.
  2. 대부분의 드로잉 프로그램들은 벡터 드로잉을 비트맵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없다.
  3. 점, 선, 면의 좌표값을 수학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무리 확대를 해도 벡터 이미지가 깨지지 않는다.
  4. 래스터 그래픽스(Raster Graphics) 방식과 같은 의미다.
(정답률: 75%)
  • "점, 선, 면의 좌표값을 수학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무리 확대를 해도 벡터 이미지가 깨지지 않는다." 이것이 옳은 설명이다. 벡터 이미지는 수학적인 공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확대나 축소를 해도 이미지가 깨지지 않고 깔끔하게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이미지의 모든 컬러 정보와 알파 채널을 보존하고 손실 없는 압축 방법으로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파일의 방식은?

  1. JPEG
  2. PCX
  3. PNG
  4. TIFF
(정답률: 64%)
  • PNG는 이미지의 모든 컬러 정보와 알파 채널을 보존하고 손실 없는 압축 방법으로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파일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JPEG는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고, PCX는 256색까지만 지원하며, TIFF는 다양한 압축 방식을 지원하지만 파일 크기가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카메라 헤드가 위 아래로 움직이는 카메라 무빙 기법은?

  1. 팬(Pan)
  2. 틸트(Tilt)
  3. 줌(Zoom)
  4. 트레킹(Tracking)
(정답률: 76%)
  • 카메라 헤드가 위 아래로 움직이는 카메라 무빙 기법은 "틸트(Tilt)" 입니다. 이는 카메라를 수직 방향으로 움직여서 위나 아래를 촬영하는 기법으로, 카메라가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하는 것보다 더욱 다양한 각도와 시각적 효과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MPEG-7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디오와 비디오 콘텐츠 인식에 대한 표준을 제공한다.
  2.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3. MPEG-1과 MPEG-2를 대체할 수 있다.
  4. DVD 수준의 영상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정답률: 59%)
  • MPEG-7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징, 내용, 구조 등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정의하여 검색 및 관리에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영상관련 하드웨어 중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컴퓨터 영상을 중첩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는?

  1. 프레임 그레버 보드
  2. 그래픽 카드
  3.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
  4. MPEG 카드
(정답률: 65%)
  •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컴퓨터 영상을 중첩시켜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프레임 그레버 보드는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역할을 하고, 그래픽 카드는 컴퓨터 그래픽을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MPEG 카드는 MPEG 형식의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3D 애니메이션의 종류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형 애니메이션(Puppet Animation)
  2. 클레이 애니메이션(Clay Animation)
  3. 3D 캐릭터 애니메이션(3D Character Animation)
  4. 셀 애니메이션(Cell Animation)
(정답률: 74%)
  • 셀 애니메이션은 2D 애니메이션 기술로, 캐릭터나 배경 등을 여러 장의 셀에 그리고, 이를 연속적으로 이어붙여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3D 애니메이션의 종류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2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나 3차원 모델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해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기법은?

  1. 로토스코핑
  2. 모핑
  3. 모션 캡처
  4. 미립자 시스템
(정답률: 70%)
  • 모핑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나 3차원 모델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해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기법입니다. 이는 이미지나 모델의 형태를 서서히 변화시켜 자연스러운 전환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로토스코핑", "모션 캡처", "미립자 시스템"은 모핑과는 다른 애니메이션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디오의 압축 과정으로 옳은 것은?

  1. 변환 → 전처리 → 양자화 → 가변길이 부호화
  2. 전처리 → 변환 → 양자화 → 가변길이 부호화
  3. 양자화 → 가변길이 부호화 → 변환 → 전처리
  4. 가변길이 부호화 → 변환 → 전처리 → 양자화
(정답률: 65%)
  • 비디오의 압축 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전처리(preprocessing)로, 이 단계에서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고 필요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두 번째는 변환(transform)으로, 이 단계에서는 전처리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고 압축률을 높입니다. 세 번째는 양자화(quantization)와 가변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로, 이 단계에서는 변환된 데이터를 더욱 더 압축하여 최종적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옳은 압축 과정은 "전처리 → 변환 → 양자화 → 가변길이 부호화" 입니다. 전처리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필요한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며, 변환은 데이터를 변환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고 압축률을 높이는 단계입니다. 양자화와 가변길이 부호화는 변환된 데이터를 더욱 더 압축하여 최종적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여러 개의 음원 중 제일 먼저 도달되는 음원 쪽에 음상이 정위되는 현상은?

  1. 마스킹 효과
  2. 하스 효과
  3. 도플러 효과
  4. 비트 효과
(정답률: 56%)
  • 하스 효과는 여러 개의 음원이 동시에 재생될 때, 제일 먼저 도달되는 음원 쪽에 음상이 정위되어 소리가 강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서로 다른 음원이 같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음향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3차원 형상 모델링인 프랙털(Fractal)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단순한 형태의 모양에서 출발하여 복잡한 형상을 구축하는 방식의 모델을 말한다.
  2. 자연물, 지형, 해안, 산, 혹성 등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표현해낼 수 있다.
  3. 대표적은 프로그램으로는 Bryce 3D가 있다.
  4. 점과 점 사이의 선분이 곡선으로 되어 있어 가장 많은 계산을 필요로 한다.
(정답률: 64%)
  • 프랙털 모델은 단순한 형태에서 시작하여 반복적인 규칙에 따라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어가는 모델링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자연물이나 지형 등 복잡한 형상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며, Bryce 3D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점과 점 사이의 선분이 곡선으로 되어 있어 많은 계산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점과 점 사이의 선분이 곡선으로 되어 있어 가장 많은 계산을 필요로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3차원 컴퓨터 그래픽에서 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다각형을 의미하는 것은?

  1. Vertex
  2. Polygon
  3. Edge
  4. Object
(정답률: 76%)
  • 3차원 공간에서 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는 다각형이다. 다각형은 선분으로 이루어진 폐곡선으로, 3차원 공간에서는 세 개 이상의 점으로 이루어진 평면 도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3차원 컴퓨터 그래픽에서 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다각형을 사용한다. "Vertex"는 꼭짓점, "Edge"는 선분, "Object"는 객체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영상에서 사용되는 한 장면 한 장면을 말하며, 다른 의미로는 카메라의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범위를 말하기도 하는 영상의 기본 단위는?

  1. 풀 스크린(Full Screen)
  2. 프레임(Frame)
  3. 클립(Clip)
  4. 셀(Cell)
(정답률: 78%)
  • 영상에서 사용되는 한 장면 한 장면을 말하는 것은 "프레임(Frame)"이다. 이는 영상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 카메라가 한 번 촬영한 이미지를 말한다. 따라서 영상을 구성하는 모든 이미지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프레임들이 연속적으로 재생되면서 영상이 만들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 중 마커(Marker) 또는 트랙커(Tracker) 라 불리는 센서를 부착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방식은?

  1. 웹(Web) 애니메이션
  2. 파티클(Particle) 애니메이션
  3. 모션 캡처(Motion Capture) 애니메이션
  4. 로토스코핑(Rotoscoping) 애니메이션
(정답률: 73%)
  • 마커 또는 트랙커를 부착하여 실제 인간의 동작을 촬영하고, 이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캐릭터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방식이 모션 캡처 애니메이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