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종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29)

버섯종균기능사
(2009-03-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균제조(임의구분)

1. 종균의 저장온도가 가장 낮은 버섯은?

  1. 양송이
  2. 느타리버섯
  3. 표고버섯
  4. 팽이버섯
(정답률: 95%)
  • 팽이버섯은 다른 버섯들보다 저장온도에 대한 내성이 높아서, 냉장고에서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균의 저장온도가 가장 낮은 버섯은 팽이버섯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양송이 곡립종균 제조시 균덩이 형성 방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흔들기를 자주하되 과도하게 하지 말 것
  2. 고온 저장을 피할 것
  3. 장기 저장을 피할 것
  4. 호밀은 박피하지 말 것
(정답률: 89%)
  • 양송이 곡립종균 제조시 균덩이 형성 방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호밀은 박피하지 말 것" 입니다. 이유는 양송이 곡립종균은 호밀을 이용하여 배양되기 때문에 박피하면 호밀의 영양분이 손실되어 균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호밀은 깨끗하게 세척한 후 박피하지 않고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느타리버섯 원균 증식용 배지 조제시 불필요한 것은?

  1. 양송이 퇴비
  2. 감자
  3. 설탕
  4. 한천
(정답률: 87%)
  • 느타리버섯 원균 증식용 배지 조제시 양송이 퇴비는 불필요합니다. 이는 다른 식물의 퇴비로 만들어진 것으로, 느타리버섯의 원균 증식에는 적합하지 않은 영양분 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느타리버섯 원균 증식용 배지 조제시에는 감자, 설탕, 한천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느타리버섯의 원목재배에 적합한 수중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낙엽송
  2. 버드나무
  3. 은사시나무
  4. 오리나무
(정답률: 77%)
  • 느타리버섯은 원목재배를 위해 살균된 나무를 사용하며, 이때 적합한 나무는 빠른 생장과 함께 살균에도 강한 나무여야 합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나무일수록 살균에 취약하고 생장이 느리기 때문에 원목재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중에서 거리가 먼 나무는 낙엽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버섯 종균생산에서 배지조제(곡립배지, 톱밥배지)시 산도 조절용으로 사용하는 첨가제는?

  1. 황산마그네슘
  2. 탄산석회
  3. 인산염
  4. 아스파라긴
(정답률: 94%)
  • 버섯 종균 생산에서 배지 조제 시에는 적절한 pH를 유지해야 합니다. 탄산석회는 산성 배지를 중성으로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며, 이는 버섯 종균 생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탄산석회는 버섯 종균 생산에서 배지 조제 시에 산도 조절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활물기생 또는 반활물기생이 가능한 것은?

  1. 뽕나무버섯
  2. 양송이
  3. 청부채버섯
  4. 표고버섯
(정답률: 78%)
  • 뽕나무버섯은 활물기생이 가능한 버섯으로, 다른 보기인 양송이, 청부채버섯, 표고버섯은 모두 활물기생이 불가능한 버섯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양송이의 균사배양시 적합 조건이 아닌 것은?

  1. 온도는 23~25℃
  2. 습도는 90~95%
  3. 충분한 산소 공급
  4. 배지의 pH 8 이상
(정답률: 82%)
  • 균사배양시 적합한 조건은 적절한 온도, 습도, 산소 공급 등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배지의 pH가 8 이상이면 균사배양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균류가 적산성을 띄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pH 조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양송이 자실체로부터 포자를 채취하여 원균을 제조하고자 한다. 다음 중 포자 채취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갓이 완전히 벌어진 것을 채취한다.
  2. 갓이 벌어져 포자가 많이 나르는 것을 채취한다.
  3. 갓이 벌어지기 직전의 것을 채취한다.
  4. 버섯의 모양이 갖추어진 상태일 때 채취한다.
(정답률: 90%)
  • 정답은 "갓이 벌어지기 직전의 것을 채취한다."입니다. 이유는 갓이 완전히 벌어지기 전에는 포자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갓이 벌어져 포자가 많이 나르는 것을 채취하면 이미 포자가 많이 흩어져 있어서 원균 제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갓이 벌어지기 직전의 것을 채취하여 포자를 채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균배지(톱밥배지)제조시 입병용기가 1,000ml일 경우 일반적으로 배지 주입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50~650g
  2. 660~750g
  3. 760~800g
  4. 850~900g
(정답률: 84%)
  • 종균배지(톱밥배지)는 일반적으로 1L 당 550~650g의 배지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1,000ml의 입병용기를 사용할 경우에도 이 범위 내에서 배지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배지의 영양성분 비율이 균형을 잃어 세균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양송이균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균사는 격막이 있고, 꺽쇠연결은 없다.
  2. 염색체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n = 9개 이다.
  3. 균사체를 구성하는 세포내에 다핵 상태로 균사내에서 핵융합이 일어난다.
  4. 대외 갓이 연결되는 부분에 생장점이 있다.
(정답률: 74%)
  • "균사체를 구성하는 세포내에 다핵 상태로 균사내에서 핵융합이 일어난다."는 양송이균의 특성 중 하나가 맞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균사는 격막이 있고, 꺽쇠연결은 없다."는 양송이균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염색체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n = 9개 이다."는 양송이균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대외 갓이 연결되는 부분에 생장점이 있다."는 양송이균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균사체를 구성하는 세포내에 다핵 상태로 균사내에서 핵융합이 일어난다."입니다.

    이유는 양송이균은 유전자를 교환하기 위해 균사를 형성합니다. 균사는 다수의 세포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각 세포는 다핵 상태입니다. 이러한 다핵 상태에서 핵융합이 일어나 유전자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버섯 균사를 접종(이식)할 때 주로 사용하는 기구는?

  1. 백금선
  2. 백금구
  3. 백금이
  4. 백근망
(정답률: 90%)
  • 버섯 균사를 접종할 때는 백금구를 사용합니다. 이는 백금이라는 금속의 성질을 이용하여 균사를 이식하는 것으로, 백금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높아서 균사를 보호하면서도 적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백금구는 손쉽게 살균이 가능하고, 균사 이식 후에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균주보존에서 자실체 형성이나 균의 생리적 특성이 변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보존방법은?

  1. 계면활성 보존법
  2. 계대배양 보존법
  3. 합면배양 보존법
  4. 고온처리 보존법
(정답률: 91%)
  • 계대배양 보존법은 균주를 일정한 주기로 새로운 배지에 이식하여 계속해서 배양하는 방법으로, 균주의 생리적 특성이나 자실체 형성 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균주의 유전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버섯 원균의 분리 및 배양시 반드시 필요한 기기인 것은?

  1. 항온기
  2. 냉동건조기
  3. 아미노산 분석기
  4. 초저온냉동기
(정답률: 93%)
  • 버섯 원균은 특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만 잘 성장하며 번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균을 분리하고 배양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기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기가 바로 항온기입니다. 항온기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원균의 성장과 번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버섯 원균의 분리 및 배양시 항온기는 반드시 필요한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접종실(무균실)의 습도는 몇 % 이하로 유지하여야 좋은가?

  1. 70%
  2. 80%
  3. 90%
  4. 100%
(정답률: 89%)
  • 접종실(무균실)의 습도는 7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체가 적게 번식하는 습도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너무 낮은 습도는 환자의 피부 건조, 호흡기 감염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너무 높은 습도는 곰팡이나 균류 등의 생물이 번식하기 쉬워서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종실(무균실)의 습도는 7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열에 민감하여 한계온도 이상의 열 처리시 변성될 가능성이 있는 비타민, 항생제 등의 성분들에 사용하는 열균법은?

  1. 가스멸균
  2. 여과멸균
  3. 자외선멸균
  4. 화염멸균
(정답률: 91%)
  • 열에 민감한 성분들은 고온 처리시 변성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성분들을 포함한 제품을 멸균할 때는 고온 처리를 하지 않는 여과멸균 방법을 사용합니다. 여과멸균은 필터를 통해 미생물을 걸러내는 방법으로, 고온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열에 민감한 성분들도 손상 없이 멸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에 민감한 비타민, 항생제 등의 성분들에 사용하는 열균법은 여과멸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식용버섯의 원균 보존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동 파라핀 봉임법
  2. 동결 건조법
  3. 진공 냉동 건조법
  4. 상온 장기 저장법
(정답률: 88%)
  • 식용버섯은 상온에서 보관하면 빠르게 부패되므로, 상온 장기 저장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온 장기 저장법은 식용버섯의 원균 보존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름버섯 목(目)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1. 양송이, 느타리버섯, 목이버섯
  2. 영지버섯, 표고버섯, 복령버섯
  3. 영지버섯, 구름버섯, 표고버섯
  4.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정답률: 87%)
  • 주름버섯 목(目)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입니다. 이유는 이 세 가지 버섯은 모두 재배하기 쉽고 인기가 많아서 상업적으로 많이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들은 맛이 좋고 영양가가 높아서 요리에 많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일반적인 버섯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버섯균은 고등균류에 속하는 생물군이다.
  2. 버섯세포는 전형적인 세포벽으로 싸여 있다.
  3. 버섯은 생태계 중 유기물 생산자이다.
  4. 버섯의 균사체는 진핵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74%)
  • 정답: 버섯은 생태계 중 유기물 생산자이다.

    설명: 버섯은 분해자로서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생산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의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버섯은 생태계 중 유기물 분해자이며, 유기물 생산자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로 양송이를 재배할 때 사용되는 종균은?

  1. 곡립종균
  2. 톱밥종균
  3. 퇴비종균
  4. 종목종균
(정답률: 75%)
  • 양송이는 곡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공급받는 균류인데, 곡립종균은 곡물을 분해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양송이 재배에 적합한 종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주로 양송이를 재배할 때 사용되는 종균은 곡립종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버섯의 분류학적 위치에서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양송이, 팽이버섯은 분류학상 생물계의 어디에 속하는가?

  1. 담자균아문
  2. 불안전균아문
  3. 자낭균아문
  4. 편모균아문
(정답률: 85%)
  •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양송이, 팽이버섯은 모두 버섯계(Fungi)에 속합니다. 버섯계는 담자균아문(Ascomycota), 불안전균아문(Zygomycota), 자낭균아문(Basidiomycota), 편모균아문(Deuteromycota)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양송이, 팽이버섯은 모두 편모균아문에 속하므로 정답은 "편모균아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표고버섯의 포자 색깔은?

  1. 회색
  2. 백색
  3. 흑색
  4. 갈색
(정답률: 89%)
  • 표고버섯의 포자는 백색입니다. 이는 표고버섯의 포자가 백색의 포자가 많은 버섯류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버섯의 돌연변이 균주를 찾기 위하여 사용하는 배지 종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버섯최소배지
  2. 퇴비추출배지
  3. 하마다배지
  4. 맥아배지
(정답률: 78%)
  • 버섯 최소배지는 버섯의 생장에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소만을 포함하고 있어서, 돌연변이 균주를 찾기에 적합합니다. 다른 배지들은 버섯의 생장을 위해 불필요한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돌연변이 균주를 찾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성생식과정에서 두 개의 반수체 핵이 핵융합을 하여 형성하는 것은?

  1. 반수체
  2. 2핵체
  3. 4핵체
  4. 2배체
(정답률: 77%)
  • 유성생식과정에서는 두 개의 반수체 핵이 핵융합을 통해 하나의 2배체 핵을 형성합니다. 이는 핵융합 과정에서 반수체 핵의 핵자들이 합쳐져서 2배체 핵의 핵자들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식용이 가능한 버섯은?

  1. 말불버섯
  2. 양파광대버섯
  3. 화경버섯
  4. 애기무당버섯
(정답률: 87%)
  • 말불버섯은 식용 가능한 버섯 중 하나입니다. 이는 말불버섯이 독성이 없으며, 맛과 향이 좋아서 요리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른 버섯들은 독성이 있거나 식용 가능성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식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국립 종균 배지 살균시간 결정에 관계가 없는 것은?

  1. 보일러 재질
  2. 중균병의 크기
  3. 배지의 수분함량
  4. 살균기의 크기
(정답률: 76%)
  • 보일러 재질은 국립 종균 배지 살균시간 결정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살균시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중균병의 크기, 배지의 수분함량, 살균기의 크기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양송이의 주름살의 색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생육단계에 상관없이 백색이다.
  2. 담홍색으로부터 차차 갈색, 암갈색으로 변한다.
  3. 초기에는 흑색이나 후기에는 백색으로 연하게 된다.
  4. 초기에 백색이나 후기에 노랑색으로 된다.
(정답률: 73%)
  • 양송이의 주름살은 생육 초기에는 담홍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차차 갈색, 암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는 주름살 내부의 셀룰로오스와 히알루론산 등의 성분이 노화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생육단계에 상관없이 일정한 패턴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감자추출배지(PDA) 1L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감자의 무게는 약 몇 g이 가장 적당한가?

  1. 10
  2. 50
  3. 100
  4. 200
(정답률: 91%)
  • 감자추출배지(PDA)는 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이므로, 감자의 양에 따라 배지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000mL의 PDA 배지를 제조할 때, 감자의 무게는 200g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감자의 양이 적어도 배지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과도한 감자의 양으로 인한 배지의 과다한 영양분 함량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감자추출배지(PDA) 1L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감자의 무게는 200g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표고버섯의 불량 종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균 표면에 푸른색이 보이는 것
  2. 종균병 속에 갈색 물이 고인 것
  3. 종균병 속의 표면이 흰색으로 만연된 것
  4. 종균 표면에 붉은색을 보이는 것
(정답률: 76%)
  • 종균병은 백색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며, 병원균이 잎의 표면에 침입하여 잎의 엽록소를 파괴하고 엽면에 흰색 또는 회색의 균사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종균병 속의 표면이 흰색으로 만연된 것이 맞고, 다른 보기들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대주머니가 있는 버섯은?

  1. 양송이
  2. 광대버섯
  3. 느타리버섯
  4. 팽이버섯
(정답률: 92%)
  • 대주머니가 있는 버섯은 광대버섯입니다. 광대버섯은 대주머니가 있는 특이한 형태의 버섯으로, 대주머니 안에 각각의 포자가 담긴 구슬 모양의 포자주머니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표고버섯 품종 중 톱밥재배용 품종은?

  1. 산림2호
  2. 산림4호
  3. 산림7호
  4. 산림10호
(정답률: 57%)
  • 산림10호는 톱밥재배용으로 개발된 표고버섯 품종 중 하나입니다. 다른 세 종류의 표고버섯 품종은 톱밥재배용으로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버섯재배(임의구분)

31. 자실체에서 버섯균을 분리할 때 세균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서 첨가하는 항생제가 아닌 것은?

  1. 베노밀
  2. 스트렘토마이신
  3. 크로람페니콜
  4. 패니실린
(정답률: 68%)
  • 베노밀은 항생제가 아닌 항진균제이기 때문에 자실체에서 버섯균을 분리할 때 세균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서 첨가하는 항생제가 아닙니다. 항진균제는 세균이 아닌 다른 미생물에 대한 작용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표고버섯의 자실체 발육에 가장 적합한 공중 습도는?

  1. 15~30%
  2. 40~60%
  3. 70~90%
  4. 100% 이상
(정답률: 73%)
  • 표고버섯은 공중 습도가 70~90%인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자생 환경을 갖추게 됩니다. 이는 표고버섯이 원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높은 습도와 따뜻한 기온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표고버섯의 자실체 발육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반면, 습도가 너무 낮으면 자실체가 건조해져 발육이 어렵고, 습도가 너무 높으면 곰팡이 등의 병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습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느타리버섯 볏짚배지 살균시 온도계 설치 위치로 가장 바른 것은?

  1. 재배사내 최상단의 볏짚내부
  2. 재배사내 상단의 볏짚표면
  3. 재배사내 중간단의 볏짚내부
  4. 재배사내 최하단의 볏짚내부
(정답률: 77%)
  • 느타리버섯은 볏짚배지에서 재배되는데, 이 배지는 미생물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므로 살균이 필요합니다. 온도계는 살균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온도는 배지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재배사내 최하단의 볏짚내부가 가장 바른 설치 위치입니다. 이 위치는 배지 내부의 온도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재배사의 바닥을 흙으로 할 때 가장 문제되는 점은?

  1. 온도관리
  2. 습도관리
  3. 살균 및 후발효관리
  4. 병해관리
(정답률: 78%)
  • 재배사의 바닥을 흙으로 할 때 가장 문제되는 점은 병해균의 발생입니다. 흙은 자연적으로 다양한 병원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지 않으면 작물에 병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병해관리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버섯 발생시 광도(조도)의 영향이 가장 적은 버섯은?

  1. 표고버섯
  2. 느타리버섯
  3. 양송이
  4. 영지버섯
(정답률: 61%)
  • 양송이 버섯은 광도(조도)의 영향이 적은 버섯 중 하나입니다. 이는 양송이 버섯이 자연에서 생장하는 환경이 어두운 곳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양송이 버섯은 어두운 곳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실내에서도 재배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양송이 재배시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방출량이 가장 많은 생육단계는?

  1. 계열직전의 큰 버섯
  2. 중간크기의 버섯
  3. 어린 버섯
  4. 균사생장
(정답률: 73%)
  • 양송이 버섯은 생장 초기에 호흡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어린 버섯 단계에서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가장 많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어린 버섯"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양송이나 느타리버섯 재해시 재배사 내에 탄산가스가 축적되는 주 원인은?

  1. 옥토에서 발생
  2. 퇴비에서 발생
  3. 외부공기로부터 혼입
  4. 농약 살포로 발생
(정답률: 87%)
  • 양송이나 느타리버섯은 퇴비를 사용하여 재배하기 때문에, 퇴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축적되어 탄산가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퇴비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축적된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서 탄산가스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느타리 원목재배시 땅에 묻는 작업 중 묻는 장소의 선정으로 적합하지 않은 곳은?

  1. 수확이 편리한 곳
  2. 관수시설이 편리한 곳
  3. 배수가 양호한 곳
  4. 진흙이 많은 곳
(정답률: 90%)
  • 느타리 버섯은 물이 많이 필요하므로 관수시설이 편리하고 배수가 양호한 곳이 적합합니다. 하지만 진흙이 많은 곳은 물이 과도하게 흡수되어 뿌리가 부패하거나 물이 과도하게 쌓여 버섯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표고 원목재배시 분눕혀두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뒤집기 작업이 필요 없다.
  2. 보온ㆍ보습이 잘 되게 관리한다.
  3. 분눕혀두기 방법은 임시눕혀두기와 같이 하거나 베갯속살기를 한다.
  4. 직사광선을 막아주고 광도가 2000~3000lux인 곳이 눕히는 장소로 적합하다.
(정답률: 75%)
  • "뒤집기 작업이 필요 없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표고 원목재배시 분눕혀두기 작업에서는 원목을 일정한 간격으로 눕혀두고 일정 기간마다 뒤집기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이는 원목의 고르게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뒤집기 작업이 필요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버섯 재배용 배재를 발효시킬 때 밀도가 가장 높아야 하는 미생물군은?

  1. 고온성, 호기성균
  2. 고온성, 혐기성균
  3. 중온성, 호기성균
  4. 중온성, 혐기성균
(정답률: 79%)
  • 고온성, 호기성균은 고온(50~60℃)에서도 잘 번식하며, 유기물을 호기적으로 분해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배재 내의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발효를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버섯 재배용 배재를 발효시킬 때 밀도가 가장 높아야 하는 미생물군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느타리버섯 재배시 볏짚단의 야외발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온, 혐기성 발효가 되도록 한다.
  2. 볏짚이 충분히 부숙되도록 발효시킨다.
  3. 발효가 진행될수록 볏짚더미를 크게 쌓는다.
  4. 볏짚더미의 상부가 60℃ 일 때 뒤집기를 한다.
(정답률: 74%)
  • 느타리버섯은 고온, 혐기성 발효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볏짚더미를 야외에서 발효시키는데, 이때 볏짚더미의 상부가 60℃ 이상이 되면 뒤집기를 한다. 이는 볏짚더미의 중심부까지 고온, 혐기성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고버섯의 불시재배시 표고 발생을 위한 골목의 살수 또는 침수시 골목의 수분함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5%
  2. 35%
  3. 50%
  4. 75%
(정답률: 74%)
  • 표고버섯은 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골목의 수분함량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수분은 곰팡이나 균류 등의 병해충 발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한 수분함량은 중요합니다. 표고버섯의 적정 수분함량은 약 50% 정도이며, 이는 골목의 살수 또는 침수 시에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0℃ 이하에서 원균을 보존할 때 사용하는 동결보호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살균수
  2. 유동파라핀
  3. 10% 글리세린
  4. 70% 에탄올
(정답률: 86%)
  • 0℃ 이하에서 원균을 보존할 때는 동결보호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10% 글리세린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유는 글리세린은 물에 녹기 쉬우며, 물의 얼음화를 억제하여 동결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글리세린은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어서 보존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로 버섯 병해충 방제를 할 때 가장 유의해야하는 방제 방법은?

  1. 생물학적 방제법
  2. 재배적 방제법
  3. 물리적 방제법
  4. 화학적 방제법
(정답률: 86%)
  • 화학적 방제법은 버섯 병해충을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으며, 효과가 높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우수농산물관리제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화학물질의 남용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인체에 대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한 사용법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양송이 종균 접종 후 실내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시작할 시기는?

  1. 종균재식 2일 후
  2. 종균재식 7일 후
  3. 보도 직전
  4. 종균재식 직후
(정답률: 67%)
  • 양송이 종균 접종 후 실내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시작할 시기는 종균재식 7일 후입니다. 이는 종균재식 후 7일이 지나면 양송이 식물체 내부에 있는 종균균사가 성장하여 식물체를 더욱 강화시키고, 이로 인해 식물체가 더욱 건강해지면서 실내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종균재식 7일 후부터는 양송이의 실내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래 설명하는 보기의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균주
  2. 원균
  3. 종균
  4. 품종
(정답률: 78%)
  • 위 그림은 동일한 종의 균주들이 서로 다른 품종으로 분류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가장 적합한 용어는 "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반적으로 양송이의 밀 곡립 종균의 최적 수분함량은?

  1. 35~40%
  2. 45~50%
  3. 55~60%
  4. 65~70%
(정답률: 63%)
  • 양송이는 곡식류와 달리 수분 함량이 높아서 저장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양송이의 밀 곡립 종균은 수분 함량이 적당해야 합니다. 너무 적으면 건조하고, 너무 많으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양송이의 밀 곡립 종균의 최적 수분함량은 45~5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느타리버섯 재배종 중 자실체 원기 유도시 저온처리가 필요 없는 것은?

  1. 느타리(Pieurotus ostreatus)
  2. 노랑느타리(Pieurotus cornucopise)
  3. 양송이(Agaricus bisporus)
  4. 큰느타리(Pieurotus eryngil)
(정답률: 65%)
  • 노랑느타리는 자연환경에서도 원기가 충분히 발현되어 저온처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도 저온처리 없이 쉽게 재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태생으로 생식하는 버섯파리는?

  1. 시아리드
  2. 프리드
  3. 세시드
  4. 가스가미드
(정답률: 90%)
  • 세시드는 유태생으로 생식하는 버섯파리의 유전자가 모두 담긴 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세시드는 버섯파리의 번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버섯파리의 번식과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느타리버섯 재배용 볏짚의 수분조절 방법 중 야외에서 실시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물탱크를 이용하여 물에 담그는 방법
  2. 입상 후 살수하는 방법
  3. 1차 침지 후 살수하는 방법
  4. 살수 후 담그는 방법
(정답률: 74%)
  • 야외에서는 기상 조건에 따라 수분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물탱크를 이용하여 물에 담그는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어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물의 온도와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적절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탱크를 이용하면 물의 증발을 막아 물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표고버섯 원목에서 주홉꼬리버섯이 발생되는 주 원인은?

  1. 원목에 수분이 적고 직사광선을 받았을 때
  2. 원목에 수분이 많고 그늘진 곳에서 재배시
  3. 표고재배시 지하수가 불량할 때
  4. 골목장에 잡초가 무성할 때
(정답률: 82%)
  • 주홉꼬리버섯은 원목에서 발생하는 노화된 나무를 분해하는 해충이나 균류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때 원목에 수분이 적고 직사광선을 받으면 원목이 건조해져 노화가 더욱 심해지고, 이에 따라 해충과 균류가 더욱 쉽게 원목을 분해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주홉꼬리버섯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팽이버섯 재배시 온도가 가장 높게 유지되어야 하는 곳은?

  1. 배지 배양실
  2. 억제실
  3. 발아실
  4. 생육실
(정답률: 57%)
  • 팽이버섯은 온도가 20~25도 사이에서 가장 적합하게 재배됩니다. 이 중에서도 배지 배양실은 팽이버섯의 초기 생장 단계에서 필요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재배 장소입니다. 억제실은 버섯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장소이며, 발아실은 버섯의 발아를 돕기 위한 장소입니다. 생육실은 버섯이 성장하고 열매를 맺는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버섯재배사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5000ppm 이면 % 농도로는 얼마인가?

  1. 0.005
  2. 0.05
  3. 0.5
  4. 5
(정답률: 69%)
  • 1ppm은 백만분의 1이므로, 5000ppm은 0.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양송이 곡립종균을 5℃에서 저장시 수량에 지장이 없는 허용한도 저장기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30일
  2. 60일
  3. 80일
  4. 90일
(정답률: 84%)
  • 양송이 곡립종균은 5℃에서 저장시 30일 이내에 수량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허용한도 저장기간은 30일입니다. 60일, 80일, 90일은 저장기간이 너무 길어서 곡립종균의 수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푸른곰팡이병의 발생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재배사의 온도가 높을 때
  2. 복토에 유기물이 많을 때
  3. 복토가 알칼리성일 때
  4. 후방효가 부적당할 때
(정답률: 68%)
  • 푸른곰팡이병은 복토가 과도하게 알칼리성을 띄면서 발생합니다. 이는 복토 pH가 7.5 이상일 때 발생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식물이 선호하는 산성 환경과는 맞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복토 pH를 조절하여 적절한 산성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양송이 및 느타리버섯 재배시 균상의 단과 단 사이의 간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0cm
  2. 30cm
  3. 60cm
  4. 90cm
(정답률: 84%)
  • 양송이 및 느타리버섯은 대형 버섯으로 성장하는데, 이들의 균사는 매우 넓게 퍼지기 때문에 충분한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단과 단 사이의 간격은 60cm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균사가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며, 버섯의 크기와 수확량을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표고버섯 종균 증식과정의 하나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원균분양
  2. 원균증식
  3. 접종원 제조
  4. 품질검사
(정답률: 79%)
  • 표고버섯 종균 증식과정은 원균분양, 원균증식, 접종원 제조 등의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모두 종균 증식과정의 핵심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품질검사는 이러한 과정들과는 조금 다른 측면에서 종균 증식과정의 일부로 보기 어렵습니다. 품질검사는 종균 증식과정에서 생산된 접종원의 품질을 확인하고 보증하기 위한 과정으로, 종균 증식과정의 일부는 아니지만 종균 증식과정에서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느타리버섯 병재배 시설에 필요 없는 것은?

  1. 배양살
  2. 배지냉각실
  3. 생육실
  4. 억제실
(정답률: 79%)
  • 느타리버섯은 억제실에서 재배하지 않기 때문에, 느타리버섯 병재배 시설에서는 억제실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억제실은 다른 종류의 버섯을 재배하거나, 버섯의 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톱밥배지의 상압 살균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약 80℃
  2. 약 100℃
  3. 약 121℃
  4. 약 150℃
(정답률: 68%)
  • 톱밥배지는 대부분의 세균이 성장하기 적합한 온도인 30~37℃에서 배양되기 때문에, 상압 살균 온도는 이보다 높아야 합니다. 또한, 살균 온도가 높을수록 세균을 죽일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적절한 살균 온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80℃보다는 높은 약 100℃이 적절한 상압 살균 온도입니다. 121℃나 150℃는 과도하게 높은 온도이므로, 톱밥배지의 성분이 변성될 우려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종균배양실의 환경 조건에 대하나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환기를 실시하여 신선한 공기를 유지한다.
  2. 실내습도를 70% 이하로 낮게 하여 잡균 발생을 줄인다.
  3.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응결수 형성을 억제한다.
  4. 100lux 정도의 밝기로 유지하여 자실체 원기 형성을 유도한다.
(정답률: 67%)
  • "100lux 정도의 밝기로 유지하여 자실체 원기 형성을 유도한다."는 부적합한 설명입니다. 종균배양실에서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신선한 공기를 유지하기 위해 환기를 실시합니다. 또한, 실내습도를 70% 이하로 유지하여 잡균 발생을 줄입니다. 하지만 자실체는 일정한 양의 빛이 필요하므로, 100lux 정도의 밝기로 유지하여 자실체 원기 형성을 유도하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