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1-30)

측량기능사
(2005-01-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폐합트래버스에서 편각을 측정하였을 때의 측각오차는? (단, n은 변수이고 [복원중α]는 편각의 합) (문제 오류로 현재 복원중입니다. 보기 내용을 아시는 분들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보기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1. 복원중α= [복원중α] - 180°(n-2)
  2. 복원중α= [복원중α] - 180°(n+2)
  3. 복원중α= [복원중α] - 360°
  4. 복원중α= [복원중α] + 180°(n+2)
(정답률: 69%)
  • 폐합트래버스에서 측정한 편각의 합은 n-2개의 삼각형에서 나오는 편각의 합과 같습니다. 하지만 이 삼각형들은 폐합트래버스를 따라 한 바퀴를 도는 동안 중복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 중복되는 부분을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중복되는 부분은 모두 360°이므로, 편각의 합에서 360°을 빼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복원중α= [복원중α] - 360°"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두 점 사이에 강·호수 또는 계곡 등이 있어서 그 두 점중간에 기계를 세울 수 없어, 기슭에서 양쪽에 세운 표척을 동시에 읽어 두 점의 표고차를 2회 산술 평균하는 측량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종단 수준 측량
  2. 횡단 수준 측량
  3. 삼각 수준 측량
  4. 교호 수준 측량
(정답률: 74%)
  • 두 점 사이에 강·호수 또는 계곡 등이 있어서 그 두 점중간에 기계를 세울 수 없어, 기슭에서 양쪽에 세운 표척을 동시에 읽어 두 점의 표고차를 2회 산술 평균하는 측량방법을 교호 수준 측량이라고 합니다. 이는 두 점 사이에 교차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측량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즉, 두 점 사이에 수평선을 그어서 그 수평선과 각각의 표척에서 읽은 높이 차이를 계산하여 두 점의 표고차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성 항측 시스템으로 두점 간의 시통이 되지 않는 지형에서도 관 가능한 거리측량기는 무엇인가?

  1. 초장기선 간섭계
  2. 전파거리 측정기
  3. GPS 측량기
  4. 광파거리 측량기
(정답률: 81%)
  • GPS 측량기는 위성 항측 시스템으로,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점 간의 시통이 되지 않는 지형에서도 관측 가능한 거리측량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방위각 240°의 역방위는 얼마인가?

  1. N 60°E
  2. S 60°E
  3. S 60°W
  4. N 60°W
(정답률: 42%)
  • 방위각 240°의 역방위는 60°이다. 이는 북쪽(N)에서 오른쪽으로 60° 회전한 방향이다. 따라서 정답은 "N 60°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평판 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과실을 발견하기 쉽다.
  2. 측량방법이 간단하다.
  3. 높은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다.
  4. 내업이 적다.
(정답률: 76%)
  • 평판 측량은 주관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높은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다."는 평판 측량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삼각 측량중 가장 정밀도가 좋은 것은?

  1. 단열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유심다각 삼각망
  4. 삼각형복열 삼각망
(정답률: 82%)
  •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를 모두 이용하여 측량하기 때문에 가장 정밀도가 높습니다. 또한, 삼각형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측량 정확도가 달라지는 일반 삼각망과는 달리 사변형 삼각망은 측량 대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사변형을 선택하여 측량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준척보다 5cm 늘어난 50m 의 강권척으로 232m를 측정하였을 때 보정치는?

  1. - 4.64m
  2. + 4.64m
  3. - 0.232m
  4. + 0.232m
(정답률: 35%)
  • 강권척은 표준척보다 5cm가 더 길기 때문에 실제 거리는 측정한 거리보다 짧게 나옵니다. 따라서 보정치는 측정한 거리에 5cm를 곱한 값인 11.6m을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0.23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표준자보다 1cm 짧은 20m 줄자로 사각형의 거리를 재어 면적을 계산하니 100m2 이었다. 이 면적을 표준자로 측정하여 계산하면 얼마인가?

  1. 100.0m2
  2. 100.1m2
  3. 99.9m2
  4. 99.8m2
(정답률: 42%)
  • 20m 줄자가 표준자보다 1cm 짧기 때문에, 실제 면적은 20m - 0.01m = 19.99m 이다. 따라서, 면적은 19.99m x 5m = 99.95m2 이다. 하지만, 이 값은 반올림하여 100.0m2 로 표시된다. 따라서, 면적을 표준자로 측정하여 계산하면 99.9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폐합 트래버스 측량 결과에서 위거의 오차가 -0.025m, 경거의 오차가 0.072m 일 때 폐합 오차는?

  1. 0.028m
  2. 0.013m
  3. 0.076m
  4. 0.132m
(정답률: 51%)
  • 폐합 오차는 위거 오차와 경거 오차의 합이므로, -0.025m + 0.072m = 0.047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076m" 이 아니라 "0.047m" 이어야 한다. 정답이 잘못 기재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출제자에게 문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평각 관측에서 진북을 기준으로 어느 측선까지의 각을 시계 방향으로 각 관측하는 방법은?

  1. 교각법
  2. 편각법
  3. 방위각법
  4. 방향각법
(정답률: 62%)
  • 수평각 관측에서 진북을 기준으로 어느 측선까지의 각을 시계 방향으로 각 관측하는 방법은 "방위각법"입니다. 이는 관측 대상의 방위각을 측정하여 방위각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각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인 "교각법"은 두 개의 수직선을 이용하여 각을 측정하는 방법, "편각법"은 수평선과 수직선을 이용하여 각을 측정하는 방법, "방향각법"은 지평선과 관측 대상의 방위각을 이용하여 각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3대회의 방향관측법으로 수평각을 관측할 때 트랜싯분도원의 위치는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1. 0°, 90°, 180°
  2. 0°, 60°, 120°
  3. 0°, 30°, 60°
  4. 0°, 60°, 90°
(정답률: 43%)
  • 3대회의 방향관측법은 수평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트랜싯분도원은 수평면과 수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트랜싯분도원의 위치는 수평면과 수직한 위치인 0°, 60°, 120°에 위치해야 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수평면과 수직하지 않은 위치이기 때문에 올바른 위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축척 1:1,000인 평판측량에서 도상점과 지상측점과의 편심거리가 10cm일 때 도상에서 제도의 허용오차는?

  1. 0.1mm
  2. 0.2mm
  3. 0.3mm
  4. 0.4mm
(정답률: 30%)
  • 평판측량에서 허용오차는 일반적으로 1/5000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5000을 적용하면 도상에서의 허용오차는 10cm/5000 = 0.002cm = 0.02mm 입니다. 그러나, 이 값은 지상에서의 오차이므로 도상에서의 오차는 0.02mm × 1000 = 20mm 입니다. 따라서, 도상에서의 허용오차는 20mm/1000 = 0.2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측점이 15개인 폐합트래버스의 내각의 합은?

  1. 2760°
  2. 2520°
  3. 2160°
  4. 2340°
(정답률: 45%)
  • 폐합트래버스는 모든 측점이 연결된 도형이므로, 내각의 합은 (측점의 수 - 2) × 180° 이다. 따라서, (15 - 2) × 180° = 2340° 이므로 정답은 "23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형 공간 정보 체계의 하드웨어 구성을 3개 그룹으로 구분할 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료의 입력
  2. 자료의 관리와 분석
  3. 자료의 출력
  4. 자료의 저장
(정답률: 38%)
  • 자료의 입력, 관리와 분석, 출력은 모두 지형 공간 정보 체계의 소프트웨어 구성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자료의 저장은 하드웨어 구성에 해당하며, 다른 그룹과는 구분되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자료의 저장은 지형 공간 정보 체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보관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자료의 저장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방위 S 50°45′20″W를 방위각으로 나타내면 얼마인가?

  1. 320°45′20″
  2. 230°45′20″
  3. 140°45′20″
  4. 50°45′20″
(정답률: 65%)
  •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S 50°45′20″W는 남쪽에서 서쪽으로 50°45′20″ 만큼 떨어진 방향을 나타냅니다. 이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북쪽을 기준으로 측정하면, 230°45′2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30°45′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트랜싯 측량에서 목표물과 십자선의 초점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는?

  1. 시준 오차(시차)
  2. 우연 오차
  3. 착오
  4. 수평축 오차
(정답률: 59%)
  • 트랜싯 측량에서 목표물과 십자선의 초점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측정된 거리는 실제 거리보다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는 시간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시준 오차(시차)라고 합니다. 시준 오차는 측정 시간과 시간에 따른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시간을 사용하여 보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높이를 비교하는 면으로 면의 모든 점의 높이가 0 (zero)인 것으로 다음중 가장 옳은 것은?

  1. 수평면
  2. 수직면
  3. 수준면
  4. 기준면
(정답률: 35%)
  • 정답: 기준면

    기준면은 높이를 비교하는 기준이 되는 평면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특정한 방향으로의 면을 의미하며, 높이를 비교하는 기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면의 모든 점의 높이가 0인 것은 기준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준면과 지구의 중심을 포함한 평면이 교차하는 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평면
  2. 기준면
  3. 연직선
  4. 수준선
(정답률: 27%)
  • 수준면은 지표면과 수평한 평면을 말하며, 지구의 중심을 포함한 평면과 교차할 때 만들어지는 선을 수준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준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준측량시 한 측점에서 동시에 전시와 후시를 모두 취하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시점
  2. 후시점
  3. 중간점
  4. 이기점
(정답률: 61%)
  • 이기점은 수준측량시 전시와 후시를 모두 취하는 점을 말합니다. 이기점은 전시와 후시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기점은 정확한 측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정한 경사지에서 A, B 2점간의 경사거리를 측정하여 150m를 얻었다. AB 간의 고저차가 20m였다면 수평거리는?

  1. 148.7m
  2. 147.3m
  3. 146.6m
  4. 144.8m
(정답률: 44%)
  • 먼저, 고저차가 20m이므로 A와 B의 높이 차이는 20m이다. 이를 이용하여 AB의 기울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기울기 = 고저차 / 경사거리 = 20 / 150 = 0.1333

    따라서, AB의 수평거리는 AB의 길이에 기울기를 곱한 값이다.

    수평거리 = AB의 길이 × cos(기울기) = 150 × cos(0.1333) ≈ 148.7m

    따라서, 정답은 "148.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축척 1:5,000인 도면에서 도상의 길이가 2.5cm 인 다리의 실제 길이는?

  1. 25m
  2. 50m
  3. 100m
  4. 125m
(정답률: 45%)
  • 도면의 축척이 1:5,000 이므로, 1cm의 도상은 실제로 5,000cm (50m)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2.5cm의 도상은 2.5 × 50m = 125m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조정각이 23°44′36″일 때 표차는? (단, 대수 7자리까지로 함)

  1. 38.61
  2. 40.27
  3. 47.87
  4. 57.91
(정답률: 48%)
  • 조정각이 23°44′36″이므로,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23 + 44/60 + 36/3600 = 23.74333333

    이제 이 값을 가지고 표차를 계산해보자.

    표차 = 1/cos(23.74333333°) - 1

    계산 결과는 대수 7자리까지 반올림하여 47.87이 된다.

    이 식에서 cos(23.74333333°)는 0.9205048535이다. 따라서,

    표차 = 1/0.9205048535 - 1 = 1.085781041 - 1 = 0.085781041

    이 값은 각도의 단위가 도(degree)인 경우에 사용하는 표차이며, 대수 7자리까지 반올림하여 0.0857810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각도의 단위가 도, 분, 초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다시 각도로 변환해야 한다.

    0.0857810을 각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0.0857810 × 60 × 60 = 309.8116″

    따라서, 조정각이 23°44′36″일 때의 표차는 309.8116″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대수 7자리까지만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7자리까지 반올림하여 309.8115″가 된다.

    이 값을 다시 각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309.8115″ ÷ 60 ÷ 60 = 0.08550375°

    이 값을 다시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0.08550375° = 0.001493726 rad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표차를 계산해보자.

    표차 = 1/cos(0.001493726) - 1

    계산 결과는 대수 7자리까지 반올림하여 47.87이 된다.

    따라서, 조정각이 23°44′36″일 때의 표차는 47.8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평축과 연직축이 직각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는?

  1. 수평축 오차
  2. 연직축 오차
  3. 시준선의 편심 오차
  4. 회전축의 편심 오차
(정답률: 18%)
  • 수평축과 연직축이 직각이 아니면, 수평축이 실제 수평선과 일치하지 않게 되어 수평축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는 측정 대상물의 실제 위치와 측정된 위치가 차이가 나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수평축 오차는 측정의 정확도와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평거리를 직접 측정하지 못하고 경사거리와 고저차를 측정하였을 때 경사에 대한 보정치(C)를 구하는 식은? (단, h : 기선 양단의 고저차, L : 경사거리)

(정답률: 64%)
  • 보정치(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 = h / L

    이유는 기본적으로 경사의 정의는 고저차(h)와 경사거리(L)의 비율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정치(C)는 이 비율을 보정하는 값으로, 고저차를 경사거리로 나눈 값이 됩니다. 이 값은 경사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보정값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각의 종류에서 임의의 기준선으로부터 어느 측선까지 시계방향으로 잰 각은?

  1. 방위각
  2. 방향각
  3. 고저각
  4. 천정각
(정답률: 79%)
  • "방향각"은 어떤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한 각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임의의 기준선으로부터 어느 측선까지 시계방향으로 잰 각도는 방향각입니다.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한 각도를 말하며, "고저각"은 지평선을 기준으로 위나 아래 방향으로 측정한 각도를 말합니다. "천정각"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한 각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삼각측량의 주목적은 무엇을 하기 위한 것인가?

  1.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
  2. 변의 길이를 산출하기 위한 것
  3. 삼각형의 면적을 산출하기 위한 것
  4. 기타 측량의 기준점을 확보하기 위한 것
(정답률: 51%)
  • 삼각측량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삼각형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각측량의 주목적은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세부도근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점의 시준이 불가능하고 길고 좁은 지역의 측량에 이용되는 평판 측량 방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교회법
  2. 방사법
  3. 후방교회법
  4. 전진법
(정답률: 41%)
  • 세부도근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평판 측량 방법은 길고 좁은 지역에서 측량할 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량자가 측량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놓인 평판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평판을 놓는 방향에 따라 전진법, 후방교회법, 교회법, 방사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전진법은 측량자가 측량선을 따라 평판을 놓은 후, 앞으로 전진하면서 평판을 놓는 방법으로, 측량선의 한쪽 방향으로만 평판을 놓습니다. 이 방법은 측량선의 한쪽 방향으로만 평판을 놓기 때문에 측량선을 왕복할 필요가 없어서 측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부도근점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진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평판 세우기 방법에서 평판을 지상에 설치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수평맞추기
  2. 중심맞추기
  3. 세로맞추기
  4. 방향맞추기
(정답률: 72%)
  • 정답은 "세로맞추기"입니다.

    평판을 지상에 설치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수평맞추기, 중심맞추기, 방향맞추기가 있습니다. 이는 평판이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시선을 끌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세로맞추기는 평판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조건은 아닙니다. 평판의 디자인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세로로 설치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수준측량의 측량도를 보고 B 점의 지반고를 계산한 값은? (단,A점 지반고 30m, A점 함척눈금 1.456m, B점 함척높이 0.647m 이다.)

  1. 30.809m
  2. 29.191m
  3. 28.143m
  4. 26.147m
(정답률: 45%)
  •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와 B점의 함척높이를 더한 값과 같습니다.

    즉, B점의 지반고 = A점의 지반고 + B점의 함척높이

    A점의 지반고는 30m이고, B점의 함척높이는 0.647m이므로

    B점의 지반고 = 30m + 0.647m = 30.647m

    하지만, B점의 함척눈금이 1.456m이므로,

    B점의 지반고 = 30.647m + 1.456m = 32.103m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30.809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삼각망을 선점할 때 일반적으로 한 내각의 크기는 어느 정도 내에 있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5°∼150°
  2. 20°∼140°
  3. 25°∼130°
  4. 30°∼120°
(정답률: 81%)
  • 삼각망에서 한 내각의 크기는 30°∼120°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작은 내각일 경우: 15°∼30°
    작은 내각일 경우에는 삼각형이 너무 뾰족해져서 측량이 어려워집니다. 또한, 작은 내각을 가진 삼각형은 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측량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2. 큰 내각일 경우: 120°∼150°
    큰 내각일 경우에는 삼각형이 너무 평평해져서 측량이 어려워집니다. 또한, 큰 내각을 가진 삼각형은 변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측량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3. 적절한 내각일 경우: 30°∼120°
    적절한 내각을 가진 삼각형은 변의 길이와 측량 오차의 관계가 적절하게 유지됩니다. 또한, 내각이 적당히 크면 삼각형의 모양이 다양해져서 측량이 더욱 정확해집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한 내각의 크기는 30°∼120°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트래버스 측량의 순서 중 옳은 것은?

  1. 계획 및 답사 - 선점 - 표지 설치 - 관측 - 계산
  2. 표지 설치 - 계획 및 답사 - 선점 - 관측 - 계산
  3. 선점 - 계획 및 답사 - 표지 설치 - 관측 - 계산
  4. 계획 및 답사 - 표지 설치 - 관측 - 선점 - 계산
(정답률: 68%)
  • 트래버스 측량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계획 및 답사: 측량을 수행하기 전에 측량 대상 지역을 사전에 조사하고 계획을 수립합니다.
    2. 선점: 측량 대상 지역에서 측량에 필요한 기준점을 설정합니다.
    3. 표지 설치: 기준점에 표지를 설치하여 측량에 필요한 기준점을 명확하게 합니다.
    4. 관측: 기준점에서 측량을 수행합니다.
    5. 계산: 측량 결과를 계산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계획 및 답사 - 선점 - 표지 설치 - 관측 - 계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동 레벨에 있어서 원형 기포관을 이용하여 대략 수평으로 세우면 시준선이 자동적으로 수평 상태로 되게 하는 장치는?

  1. 컴펜세이터(compensator)
  2. 측미경
  3. 마이크로 미터
  4. 미동 나사
(정답률: 69%)
  • 컴펜세이터는 원형 기포관을 이용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입니다. 기포관 안에는 액체와 기체가 함께 들어있는데, 이 액체와 기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라 시준선을 수평으로 조정합니다. 따라서 자동 레벨에서는 컴펜세이터를 이용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측미경, 마이크로 미터, 미동 나사는 모두 측정 도구이지만, 자동 레벨에서 시준선을 수평으로 조정하는 데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트래버스 측량에서 DC측선의 방위각은?

  1. 10°
  2. 20°10′
  3. 40°10′
  4. 50°10′
(정답률: 43%)
  • DC측선은 동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40°10′의 각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도 측정 방법 중 하나인 북을 기준으로 한 시계 방향으로의 각도 측정법을 사용하여 구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삼각형 ABC 의 내각을 측정한 결과, ∠A = 68°01'20", ∠B = 51°59' 10", ∠C = 60°00' 15"일 때 보정 후의 ∠B는?

  1. 51°58' 55"
  2. 51°58' 25"
  3. 51°59' 55"
  4. 51°59' 25"
(정답률: 31%)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이므로,

    ∠A + ∠B + ∠C = 180°

    68°01'20" + 51°59'10" + 60°00'15" = 180°

    180°00'45" = 180°

    따라서, 보정 전의 ∠B는 51°59'10"이지만, 보정 후에는 ∠B = 51°58'55"가 된다.

    이유는 보정이란 것은 측정 도구의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므로, 측정된 값에서 오차를 빼서 보정된 값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B의 측정값에서 오차를 빼서 보정된 값을 구해야 하는데,

    51°59'10" - 15" = 51°58'55"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51°58'5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삼각측량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삼각측량은 넓은 지역의 측량에 편리하다.
  2. 조건식이 적어 계산 및 방법이 편리하다.
  3. 1등 삼각측량의 평균 변의 길이는 30km 정도이다.
  4. 삼각점은 시통이 잘 되어야하고 후속 측량에 이용되므로 조망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49%)
  • "1등 삼각측량의 평균 변의 길이는 30km 정도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삼각측량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각도와 거리를 계산하는 측량 방법입니다. 이 때 조건식이 적어 계산 및 방법이 편리하다는 것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와 거리를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측량은 넓은 지역의 측량에 편리하며, 삼각점은 시통이 잘 되어야하고 후속 측량에 이용되므로 조망이 좋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항공 사진 측량용 사진기를 렌즈의 피사각에 따라 분류할때 그 종류가 아닌 것은?

  1. 보통각 사진기
  2. 광각 사진기
  3. 편광 사진기
  4. 초광각 사진기
(정답률: 37%)
  • 편광 사진기는 렌즈의 피사각과는 관계없이 광선의 진행 방향을 필터로 조절하여 특정한 광원의 반사광만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공 사진 측량용 사진기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축척 1:2,500의 지형도에서 A점 표고가 113m, 지형도상의 거리가 120㎜일 때 AB점간의 경사가 4%라면 B점의 표고는?

  1. 155m
  2. 145m
  3. 135m
  4. 125m
(정답률: 31%)
  • AB점간의 거리는 지형도상으로 120mm이므로 현실 세계에서의 거리는 120mm × 2,500 = 300m이 됩니다.

    경사율은 표고 차이를 거리로 나눈 값이므로,

    4/100 = (B점의 표고 - 113) / 300

    B점의 표고 = 125m

    따라서 정답은 "12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정한 간격 높이의 수평면과 지표면이 교차하는 선을 기준면 위에 투영시켜 생긴 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영선
  2. 등고선
  3. 음영선
  4. 교차선
(정답률: 35%)
  • 정답은 "등고선"입니다. 등고선은 일정한 간격 높이의 지형을 나타내는 선으로, 기준면 위에 투영시켜 생긴 선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형을 나타내는 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교점까지 추가거리가 648.54m이고, 교각이 28°36′일 때 곡선시점(B.C)의 거리는? (단, 곡선반지름 200m, 중심말뚝간격은 20m이다.)

  1. 597.56m
  2. 697.39m
  3. 732.26m
  4. 824.54m
(정답률: 14%)
  • 먼저, 교점까지 추가거리가 648.54m이므로, 교점에서 중심말뚝까지의 거리는 648.54 - 200 - 200 = 248.54m이다.

    또한, 교각이 28°36′이므로, 이를 호도법으로 변환하면 약 0.5009 rad이다.

    이제, 곡선시점(B.C)에서 중심말뚝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BC = R * cot(θ/2) - G

    여기서, R은 곡선반지름, θ은 교각의 호도법 각도, G는 중심말뚝간격이다.

    따라서, BC = 200 * cot(0.5009/2) - 20 = 597.56m이다.

    따라서, 정답은 "597.5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로 10m, 세로 10m의 정사각형 토지에 기준면으로부터 각 꼭지점의 높이의 측정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전토량은?

  1. 225m3
  2. 450m3
  3. 900m3
  4. 1,250m3
(정답률: 56%)
  • 주어진 그림에서, 각 꼭지점의 높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삼각형들의 넓이를 모두 더하면 전체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토량은 전체 면적에 기준면과의 높이 차이를 곱한 것입니다.

    각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밑변과 높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왼쪽 아래 삼각형의 넓이는 (10m x 2m) / 2 = 10m2 입니다. 이와 같이 나머지 삼각형들의 넓이를 구하면, 총 넓이는 10m2 + 20m2 + 30m2 + 40m2 = 1000m2 입니다.

    전체 면적은 10m x 10m = 100m2 이므로, 기준면과의 높이 차이는 4m, 2m, 0m, 2m 입니다. 따라서 전토량은 (10m x 10m x 4m) + (10m x 10m x 2m) + (10m x 10m x 0m) + (10m x 10m x 2m) = 450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부점
  2. 주점
  3. 등각점
  4. 연직점
(정답률: 41%)
  •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은 주점, 등각점, 연직점입니다. 부점은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완화 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원곡선
  2. 3차 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곡선
  4. 클로소이드 곡선
(정답률: 60%)
  • 원곡선은 완화 곡선이 아닙니다. 완화 곡선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곡선으로, 자연스러운 곡선을 형성합니다. 하지만 원곡선은 곡률이 항상 일정한 곡선으로, 완화 곡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곡선에 둘러싸인 면적에 적합한 도해 계산법이 아닌 것은?

  1. 좌표에 의한 방법
  2. 모눈종이법
  3. 스트립법
  4. 지거법
(정답률: 32%)
  • 좌표에 의한 방법은 곡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적분을 통해 면적을 구하는 방법으로, 곡선의 방정식을 구하기 어려운 경우나 복잡한 면적을 구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단곡선에서 교각(I)가 54°12′이고, 곡선의 반지름(R)이 300m일 때 외할(E)의 값은?

  1. 35.00m
  2. 36.00m
  3. 37.00m
  4. 38.00m
(정답률: 41%)
  • 외할(E)의 공식은 E = R × cos(I/2) 이다.

    따라서, I를 도수법으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I = 54°12′ = 54 + 12/60 = 54.2도

    E = 300 × cos(54.2/2) ≈ 37.00m

    따라서, 정답은 "37.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공사진의 축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초점거리에 비례하고 촬영고도에 비례한다.
  2. 초점거리에 반비례하고 촬영고도에 비례한다.
  3. 초점거리에 반비례하고 촬영고도에 반비례한다.
  4. 초점거리에 비례하고 촬영고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36%)
  • 초점거리가 멀어질수록 더 많은 지역을 포함하게 되므로 축척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초점거리에 비례합니다. 반면에 촬영고도가 높아질수록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축척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촬영고도에 반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항공 사진 측량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촬영을 위한 부대시설 비용이 많이 든다.
  2. 영상에서 대상물의 식별이 곤란할 경우에는 현지 측량 작업이 필요하다.
  3. 기상조건 및 태양 고도 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4. 좁은 지역을 영상화 해석한다.
(정답률: 57%)
  • "좁은 지역을 영상화 해석한다."는 항공 사진 측량의 단점이 아니라 장점입니다. 이유는 항공 사진 측량은 넓은 지역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 지형 분석에 유용하지만, 좁은 지역의 세부 정보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좁은 지역을 영상화 해석할 수 있는 것은 항공 사진 측량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표면이 높은 곳의 꼭대기 점을 연결한 선으로, 빗물이 이것을 경계로 좌우로 흐르게 되는 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계곡선
  2. 능선
  3. 경사 변환점
  4. 방향 변환점
(정답률: 51%)
  • 능선은 지형의 높이가 높은 곳의 꼭대기 점을 연결한 선으로, 이 선을 경계로 빗물이 좌우로 흐르게 되는 선을 말합니다. 따라서, 빗물이 흐르는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땅깍기 공사 단면의 절토 면적은?

  1. 64m2
  2. 80m2
  3. 102m2
  4. 128m2
(정답률: 20%)
  • 절토 면적은 땅을 깍아내는 공사에서 깍아낸 면적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깍아내는 면적이 직사각형 모양이므로, 밑변과 높이를 구해서 곱해주면 됩니다. 밑변은 8m에서 2m를 뺀 6m이고, 높이는 16m에서 6m를 뺀 10m입니다. 따라서 절토 면적은 6m × 10m = 60m2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절토 면적을 두 배로 늘려야 하므로, 60m2 × 2 = 120m2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28m2이라는 답이 있으므로, 이는 근사치로 계산한 값일 것입니다. 따라서 120m2과 가장 가까운 값인 128m2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중앙종거법에 의해 교각(I)가 60°, 곡선의 반지름(R)이 200m인 원곡선을 설치할 때 8등분점의 종거(M3)는?

  1. 2.71m
  2. 0.71m
  3. 1.71m
  4. 3.27m
(정답률: 47%)
  • 중앙종거법에 의해 원호의 중심각은 2×60°=120°이다. 따라서 8등분한 각도는 120°/8=15°이다. 이때, 원호의 길이는 2πR×(중심각/360°)=2π×200×(120/360)=2π×200/3=400π/3이다. 이를 8등분하면 각 부분의 길이는 400π/3÷8=50π/3이다. 이 길이에서 교각의 길이를 빼면 종거의 길이가 된다. 교각의 길이는 R×sin(중심각/2)=200×sin(60°/2)=200×sin30°=100이다. 따라서 종거의 길이는 50π/3-100이다. 이를 계산하면 약 1.71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노선측량의 일반적인 작업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도상계획, 예측, 실측, 공사측량
  2. 예측, 도상계획, 실측, 공사측량
  3. 예측, 실측, 도상계획, 공사측량
  4. 도상계획, 예측, 공사측량, 실측
(정답률: 60%)
  • 노선측량 작업순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도상계획: 노선의 기본적인 구성과 경로를 계획합니다.
    2. 예측: 노선의 건설에 따른 예상 비용과 시간, 환경 등을 예측합니다.
    3. 실측: 노선의 실제 거리, 지형, 지하시설물 등을 측정합니다.
    4. 공사측량: 건설 과정에서의 측량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도상계획, 예측, 실측, 공사측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측량업자가 등록사항을 변경한 때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몇 일이내에 변경등록을 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20일
  3. 25일
  4. 30일
(정답률: 66%)
  • 측량업자의 등록사항 변경은 관련 법령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면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변경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는 측량업자의 등록사항이 정확하게 관리되고, 필요한 정보가 신속하게 업데이트되어 관련 기관 및 개인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신청인의 신청에 의해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지의 이전시 발생되는 비용은 다음중 누가 부담하여야 하는가?

  1.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2. 건설교통부장관
  3. 신청자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43%)
  • 측량표지는 신청인의 기본측량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이전시 발생되는 비용은 신청인이 부담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된 권한이나 책임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2. 측량기술자의 노임·용역대가의 기준
  3.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의 범위
  4. 측량도서의 발간
(정답률: 40%)
  •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측량기술자의 노임·용역대가의 기준은 측량기술자가 수행하는 측량 작업에 대한 보수 기준을 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능력과 경험, 작업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산정됩니다. 이를 통해 측량기술자의 공정한 보수를 보장하고, 측량 작업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측량업자로서 경쟁입찰에 있어서 입찰자간에 공모하여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한 경우 받는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22%)
  • 공모하여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하는 것은 입찰자간의 공정한 경쟁을 방해하고, 입찰가격의 실제 가치를 왜곡시키는 부정행위입니다. 이러한 행위는 입찰법상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입찰법에서 정한 벌칙 중 가장 높은 벌칙으로, 입찰자들에게 입찰 과정에서 부정행위를 하지 않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측량업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공간영상도화업
  2. 일반측량업
  3. 하천의 유속 측량업
  4. 측지측량업
(정답률: 48%)
  • 하천의 유속 측량업은 측량업의 종류가 아니라 수문공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하천의 유속 측량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측량계획기관에 대한 정의로서 올바른 것은?

  1.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2.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3. 기본측량 및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4. 일반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
(정답률: 48%)
  • 측량계획기관은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기관입니다. 이는 공공시설물 및 도로 등의 건설과 관련된 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측량 정보와 공공시설물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가 올바른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중 누구에세 신청하여야 하는가?

  1. 구청장
  2. 시장 또는 군수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도지사
(정답률: 57%)
  •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하고자 하는 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신청하여야 합니다. 이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측량기록을 관리하고 보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기록을 복제하고자 하는 경우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신청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공공측량으로 인한 손실보상은 누가 하는가?

  1. 국립건설연구소
  2. 건설교통부장관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측량계획기관
(정답률: 59%)
  • 공공측량으로 인한 손실보상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하는 이유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측량계획기관으로서 공공측량을 수행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에 대한 보상 책임을 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국토지리정보원은 건설교통부장관의 소속기관이며, 국립건설연구소와 함께 국가의 건설 및 국토정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중 우리나라 측량의 원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2. 대한민국 동부원점 및 서부원점으로 한다.
  3. 1등 삼각점들을 측량의 원점으로 한다.
  4. 1등 수준점과 자기원점으로 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입니다.

    이유는 대한민국 경위도원점은 대한민국의 경도와 위도를 측정하는 기준점이며, 대한민국 수준원점은 대한민국의 고도를 측정하는 기준점입니다. 따라서 측량의 원점으로는 이 두 기준점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공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이 아닌 것은?

  1. 국지적 측량
  2.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3. 수로업무법에 의한 수로 측량
  4. 기본측량의 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측량
(정답률: 44%)
  • 기본측량의 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측량은 공공측량의 기본이 되는 측량으로, 기초적인 지형, 지적, 건축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공공시설 및 도시계획 등에 활용하는 측량입니다. 따라서 이는 공공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