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02)

측량기능사
(2005-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고저차가 0.5m 되는 두 점간의 경사거리를 steel tape로 측정하여 50.0m를 얻었다. 이 때 수평거리로 보정할 때 보정값은?

  1. -0.0045m
  2. +0.0035m
  3. -0.0025m
  4. +0.0015m
(정답률: 63%)
  • 고저차가 0.5m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0.5^2 + 수평거리^2) 이다. 이를 테이프로 측정한 값이 50.0m 이므로, √(0.5^2 + 수평거리^2) = 50.0m 이다. 이를 정리하면 수평거리 = √(50^2 - 0.5^2) = 49.999875m 이다. 따라서 보정값은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인 50.0m - 49.999875m = -0.000125m 이다. 이 값을 측정 거리인 50.0m으로 나누면, -0.000125m / 50.0m = -0.0025m/m 이므로 보정값은 -0.002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평판측량에서 전진법을 행할 경우 폐합오차의 한계는? (단, 변수 n은 16이다.)

  1. ±1.0mm
  2. ±1.2mm
  3. ±1.4mm
  4. ±1.6mm
(정답률: 63%)
  • 전진법에서 폐합오차는 측정된 값과 실제 값 사이의 차이이다. 이 오차는 측정된 값이 작을수록 커지며, 변수 n이 증가할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n이 16일 때, 폐합오차는 약 ±1.2mm이 된다. 이는 전진법에서 가장 정확한 측정값의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이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A점 지반고가 32.578m일 때 B점의 지반고는? (단, a1 = 2.065m, a2 = 1.573m, b1 = 3.465m, b2 = 2.158m)

  1. 31.585m
  2. 31.858m
  3. 33.478m
  4. 33.748m
(정답률: 49%)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높이 차이는 a1-b1+a2-b2=2.065-3.465+1.573-2.158=-1.985m 이다. 따라서 A점의 지반고 32.578m에서 -1.985m만큼 내려가면 B점의 지반고를 구할 수 있다. 32.578m-1.985m=31.585m 이므로 정답은 "31.58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야장에서 B 점의 표고는 얼마인가?

  1. 12.12m
  2. 14.35m
  3. 16.46m
  4. 20.62m
(정답률: 50%)
  • B점은 A점과 C점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A점과 C점의 표고의 평균값과 같습니다. A점의 표고는 10.89m이고, C점의 표고는 13.35m입니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10.89m + 13.35m) / 2 = 12.12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거리 3km에 대한 수준측량의 허용오차가 ±20mm일 때 같은 정확도로 거리 4㎞에 대하여 측량할 때 오차는 얼마인가?

  1. ± 12.13mm
  2. ± 20.13mm
  3. ±23.09mm
  4. ± 40.27mm
(정답률: 44%)
  • 수준측량에서 오차는 거리에 비례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거리가 2배가 되면 오차도 2배가 된다. 따라서 거리가 4km일 때의 오차는 거리가 2배인 6km일 때의 오차인 ±40.27mm의 절반인 ±20.14mm이 된다. 그러나 문제에서 오차의 허용범위가 ±20mm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벗어나는 ±20.14mm 대신 가장 가까운 허용범위 내의 값인 ±23.09m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평판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내업이 적다.
  2. 정확도가 높다.
  3. 현장에서 바로 작도가 된다.
  4. 측량의 과실을 발견하기 쉽다.
(정답률: 87%)
  • 정확도가 높다는 것은 평판측량의 장점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준길이 50m보다 5mm 짧은 강철테이프로 어느 구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600m를 얻었다면 이 구간의 정확한 거리는 얼마인가?

  1. 599.06m
  2. 600.94m
  3. 600.06m
  4. 599.94m
(정답률: 58%)
  • 표준길이 50m보다 5mm 짧은 강철테이프는 실제 길이보다 5mm씩 짧게 측정된다. 따라서 600m를 측정한 것은 실제 거리보다 5mm씩 짧게 측정된 것이므로, 실제 거리는 600m에서 5mm씩 더해주면 된다.

    5mm는 0.005m이므로, 실제 거리는 600m + 0.005m = 599.94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99.9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에서 A점과 B점의 고저차는? (단, 단위는 m임)

  1. 0.66m
  2. 1.49m
  3. 1.79m
  4. 1.87m
(정답률: 37%)
  • A점과 B점의 고저차는 B점의 고도에서 A점의 고도를 뺀 값입니다. 따라서, B점의 고도는 12.5m이고 A점의 고도는 10.71m이므로, 고저차는 12.5m - 10.71m = 1.79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79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삼각측량의 작업순서가 옳은 것은?

  1. 답사 및 선점 → 조표 → 측정 → 계산
  2. 조표 → 측정 → 답사 및 선점 → 계산
  3. 답사 및 선점 → 측정 → 조표 → 계산
  4. 조표 → 답사 및 선점 → 측정 → 계산
(정답률: 81%)
  • 삼각측량 작업순서는 답사 및 선점 → 조표 → 측정 → 계산 순서로 진행됩니다.

    먼저, 답사 및 선점 작업은 측량 대상 지역을 조사하고 측량에 필요한 기준선과 삼각측량의 기본선을 설정하는 작업입니다.

    다음으로, 조표 작업은 기준선과 기본선을 기준으로 지점을 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지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그리고 측정 작업은 조표에서 표시한 지점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작업으로, 삼각측량에서는 각 지점 사이의 각도와 거리를 측정합니다.

    마지막으로, 계산 작업은 측정한 각도와 거리를 바탕으로 지점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삼각측량 작업순서는 답사 및 선점 → 조표 → 측정 → 계산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단 및 횡단수준측량에서 중간점(I.P)이 많은 경우 편리한 방법은?

  1. 기고식
  2. 고차식
  3. 승강식
  4. 교호수준식
(정답률: 75%)
  • 정답은 "기고식"입니다.

    기고식은 종단 및 횡단수준측량에서 중간점(I.P)이 많은 경우에 편리한 방법입니다. 이는 기하학적인 계산을 최소화하고, 측량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기고식은 측량 시간을 단축시키고,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중간점이 많은 경우에는 기고식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준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고,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대축척으로 세부측량을 할 경우 효율적인 평판측량방법은?

  1. 방사법
  2. 전진법
  3. 전방 교회법
  4. 후방 교회법
(정답률: 52%)
  • 방사법은 측량 기준점에서 빛을 방사하여 그림자를 만들어 측정하는 방법으로, 장애물이 없고 좁은 지역에서 대축척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측량 기준점에서 빛을 방사하여 그림자를 만들어 측정하기 때문에,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측정이 가능하며, 대축척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방사법이 가장 적합한 평판측량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파나 광파를 이용한 전자파 거리측정기로 변 길이만을 측량하여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측량은?

  1. 수준측량
  2. 삼각측량
  3. 삼변측량
  4. 삼각수준측량
(정답률: 59%)
  • 전파나 광파를 이용한 전자파 거리측정기로 변 길이만을 측량하여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측량은 삼변측량입니다. 이는 세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삼각형의 모양과 크기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평위치를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즉, 삼변측량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천측량, 터널측량과 같이 나비가 좁고 길이가 긴 지역의 측량에 적당한 것은?

  1. 유심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격자 삼각망
  4. 단열 삼각망
(정답률: 44%)
  • 단열 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길이가 서로 다른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지형의 변화가 심한 지역에서도 측량이 가능합니다. 또한, 나비가 좁고 긴 지역에서도 측량이 용이하며, 측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천측량, 터널측량과 같이 좁고 긴 지역의 측량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에서 측선 BC의 방위각은? (단, 의 방위각= 82°, 19′, ∠B=111°, 45′, ∠C= 82°, 08′, ∠D= 76°, 30′, ∠A= 89°, 37′)

  1. 82°, 19′
  2. 150°, 34′
  3. 248°, 26′
  4. 351°, 56′
(정답률: 58%)
  • 우선 삼각형 ABC의 내각의 합은 180°이므로 ∠A = 180° - ∠B - ∠C = 180° - 111°, 45′ - 82°, 08′ = 6°, 37′입니다. 또한 삼각형 ABD의 내각의 합은 180°이므로 ∠D = 180° - ∠A - ∠B = 180° - 6°, 37′ - 111°, 45′ = 62°, 38′입니다.

    이제 삼각형 BCD에서 측선 BC의 방위각을 구해보겠습니다. 우선 ∠B와 ∠C의 합은 111°, 45′ + 82°, 08′ = 193°, 53′입니다. 이를 180°에서 빼면 삼각형 BCD의 나머지 내각인 ∠CBD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180° - 193°, 53′ = 13°, 07′입니다. 마지막으로 ∠D와 ∠CBD의 합을 구하면 측선 BC의 방위각을 구할 수 있습니다. ∠D + ∠CBD = 62°, 38′ + 13°, 07′ = 75°, 45′입니다. 이 값을 180°에서 빼면 측선 BC의 방위각이 됩니다. 180° - 75°, 45′ = 104°, 15′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방위각을 도와 분으로 나타내야 하므로, 104°, 15′을 60으로 나누어 분으로 변환합니다. 104°는 1시간 44분을 나타내므로, 104°, 15′ = 1시간 44분 15초입니다. 따라서 측선 BC의 방위각은 150°, 34′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 3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느 측선의 길이가 25m, 위거가 15m일 때 경거는?

  1. 10m
  2. 20m
  3. 30m
  4. 40m
(정답률: 39%)
  • 경거는 삼각형의 빗변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빗변^2 = 밑변^2 + 높이^2

    따라서, 경거^2 = 25^2 - 15^2 = 400

    경거 = √400 = 20

    따라서, 정답은 "2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천 또는 계곡에서 두 점간의 거리가 먼 경우 고저차를 구하는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삼각 수준 측량
  2. 간접 수준 측량
  3. 직접 수준 측량
  4. 교호 수준 측량
(정답률: 68%)
  • 하천 또는 계곡에서 두 점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삼각 수준 측량이나 간접 수준 측량으로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이 경우에는 교호 수준 측량이 가장 적합합니다. 교호 수준 측량은 두 점 사이에 중간 지점을 설정하고, 이 지점에서 두 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삼각 측량보다 정확하고, 간접 측량보다는 간단하며, 직접 측량보다는 안전합니다. 따라서 하천이나 계곡에서 두 점간의 거리를 측정할 때는 교호 수준 측량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방위 N 43°, 20′, E 의 역방위는?

  1. N 43°, 20′, W
  2. S 43°, 20′, W
  3. N 46°, 40′, W
  4. S 46°, 40′, E
(정답률: 72%)
  • 방위 N 43°, 20′, E는 북쪽에서 43도 20분 동쪽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역방위는 북쪽에서 43도 20분 서쪽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 43°, 20′, 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측선의 방위가 S 60°, W 일 때 이 측선의 방위각은?

  1. 60°
  2. 120°
  3. 180°
  4. 240°
(정답률: 43%)
  • 측선의 방위가 S 60°, W 이므로, 서쪽으로 60°만큼 회전한 방향이다. 따라서, 원점에서부터 측선까지 반시계방향으로 60°만큼 회전한 방향이 측선의 방위각이 된다. 이는 서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60°만큼 회전한 방향과 같으므로, 측선의 방위각은 2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탄지에서 측점의 수(n)이 9개인 트래버스 측량을 시행한 결과 측각 오차가 3′생겼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단, 각 측점의 정확도는 같고, 허용오차는 1.0√n' 이하로 가정한다.)

  1. 다시 측량을 실시한다.
  2.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오차 조정한다.
  3. 각 각에 등배분하여 오차 조정한다.
  4. 변의 크기에 비례하여 오차 조정한다.
(정답률: 44%)
  • 각 측점의 정확도가 같기 때문에, 측각 오차가 발생한 이유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한 인과적인 오차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각 측점에서 발생한 오차를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각 각에 등배분하여 오차 조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를 통해 전체 오차를 최소화하고,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특별히 높은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측량이나 기선 삼각망 등에 이용되는 삼각망은?

  1. 단열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유심 삼각망
  4. 특별 삼각망
(정답률: 78%)
  •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형의 세 변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측량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별히 높은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측량이나 기선 삼각망 등에 이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트래버어스 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측량계획 및 답사 → 방위각 관측 → 선점 및 표지설치 → 계산 및 조정 → 수평각 및 거리 관측 → 측점 전개
  2. 측량계획 및 답사 → 선점 및 표지설치 → 방위각 관측 → 수평각 및 거리 관측 → 계산 및 조정 → 측점 전개
  3. 선점 및 표지설치 → 방위각 관측 → 측량계획 및 답사 → 계산 및 조정 → 측점 전개 → 수평각 및 거리 관측
  4. 선점 및 표지설치 → 측량계획 및 답사 → 방위각 관측 → 계산 및 조정 → 측점 전개 → 수평각 및 거리 관측
(정답률: 80%)
  • 정답은 "측량계획 및 답사 → 선점 및 표지설치 → 방위각 관측 → 수평각 및 거리 관측 → 계산 및 조정 → 측점 전개"입니다. 이는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순서입니다. 먼저 측량계획과 답사를 수행하고, 그 다음에 선점과 표지설치를 하여 측량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방위각을 관측하고, 수평각과 거리를 관측하여 측정값을 얻습니다. 이후 계산과 조정을 통해 측정값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마지막으로 측점 전개를 통해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트랜싯의 수평각 측정방법 중 아래 그림과 같이 측정하는 방법은?

  1. 방향각법
  2. 방위각법
  3. 배각법
  4. 단각법
(정답률: 59%)
  • 이 방법은 방향각법이다. 이유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과 관측자 사이의 방향각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각 측량의 기계적 오차 중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관측값을 평균하여도 제거되지 않는 오차는?

  1. 시준축 오차
  2. 수평축 오차
  3. 편심 오차
  4. 연직축 오차
(정답률: 55%)
  •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관측값을 평균하더라도 제거되지 않는 오차는 연직축 오차입니다. 이는 망원경의 수직 축이 정확하게 수직하게 조정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로, 이 오차는 망원경의 수평축이나 시준축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와는 별개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망원경을 사용할 때는 연직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확한 조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삼각측량에서 삼각점의 선점시 주의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되도록이면 측점수가 많을 것
  2. 삼각형은 될 수 있는 대로 정삼각형에 가까울 것
  3. 삼각점 상호간에 시준이 잘 될 것
  4. 땅이 견고하고 이동, 침하하지 않는 곳일 것
(정답률: 71%)
  • "되도록이면 측점수가 많을 것"은 주의사항이 아니라 올바른 측량 방법입니다. 삼각측량에서는 측정한 각도와 변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점수를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삼각형이 정삼각형에 가까울수록 측정 오차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점수가 많을수록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평각의 관측방법에서 1대회 관측이란?

  1. 망원경의 정위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망원경의 반위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3.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한번씩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4.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2회 반복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0%)
  • 수평각의 관측방법에서 1대회 관측은 망원경을 이용하여 천체의 수평각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를 이용하여 한 번씩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정위는 수평선과 천체의 높이 각도를, 반위는 천체의 높이와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합니다. 이렇게 두 번의 측정을 통해 오차를 줄이고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평판을 세울 때의 오차 중 측량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오차는?

  1. 수평맞추기 오차
  2. 중심맞추기 오차
  3. 표준 오차
  4. 방향맞추기 오차
(정답률: 64%)
  • 방향맞추기 오차는 측정 대상의 위치나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 오차가 크면 측정 결과가 크게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평판을 세울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오차입니다. 수평맞추기 오차는 수평선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해 발생하는 오차, 중심맞추기 오차는 측정 대상의 중심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해 발생하는 오차, 표준 오차는 여러 번 측정한 결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어느 거리를 관측하여 482.16m, 482.17m, 482.20m, 482.18m의 관측값을 얻었고, 이들의 경중률이 각각 1 : 2 : 2 : 4라면 최확값은 얼마인가?

  1. 482.08m
  2. 482.18m
  3. 482.36m
  4. 482.56m
(정답률: 62%)
  • 경중률이란 각 관측값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1:2:2:4로 주어졌으므로, 마지막 값인 482.18m이 가장 중요한 값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확값은 482.18m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값보다 더 작거나 크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삼각 측량에서 정확도가 가장 높게 요구되는 삼각점은?

  1. 1등 삼각점
  2. 2등 삼각점
  3. 3등 삼각점
  4. 4등 삼각점
(정답률: 66%)
  • 정답: 1등 삼각점

    이유: 삼각 측량에서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삼각형의 각도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지형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합니다. 이 때, 삼각형의 정확한 각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의 한 꼭지점이 정확하게 알려져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삼각형의 한 꼭지점을 1등 삼각점으로 지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삼각점들의 위치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1등 삼각점의 위치는 매우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많은 노력과 자원이 투입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평판측량의 교회법에서 두 방향선이 만나는 각(교회각)은 얼마에 가까울수록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가?

  1. 30°
  2. 45°
  3. 90°
  4. 120°
(정답률: 52%)
  • 두 방향선이 만나는 각이 90°일 때, 측량 정확도가 가장 높아진다. 이는 직각삼각형의 성질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즉, 두 방향선이 이루는 각이 90°일 때, 측량한 거리와 실제 거리의 차이가 가장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법에서는 두 방향선이 이루는 각이 90°일 때, 가장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트래버스 측량에서 수평각 관측법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선이 이루는 각을 관측해 나가는 방법은?

  1. 교각법
  2. 편각법
  3. 방위각법
  4. 부전법
(정답률: 70%)
  • 교각법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선이 이루는 각을 관측해 나가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량 기기의 정확도와 측정자의 경험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측정 대상이 높은 건물이나 긴 다리와 같은 대형 구조물일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유는 이러한 대형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수평면에 가까운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수평각을 측정하는 교각법이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축척 1/1000로 평판측량을 실시할 때 중심맞추기 오차는 몇 cm까지 허용되는가? (단, 도상에서 제도의 허용 오차를 0.2mm라 한다.)

  1. 20cm
  2. 16cm
  3. 13cm
  4. 10cm
(정답률: 28%)
  • 축척 1/1000에서 1mm는 현실 세계에서 1m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제도의 허용 오차 0.2mm는 현실 세계에서 0.2m, 즉 20cm에 해당합니다. 중심맞추기 오차는 제도의 허용 오차보다 작아야 하므로, 중심맞추기 오차는 20cm보다 작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은 트래버어스에서 의 직선거리는? (단, XA=2m, YA=4m, XB=8m, YB=10m임)

  1. 8.5m
  2. 7.5m
  3. 6.5m
  4. 5.5m
(정답률: 27%)
  • 먼저, XA와 XB의 차이는 6m, YA와 YB의 차이는 6m입니다. 이를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입하면 √(6²+6²) = √72 ≈ 8.5m 이므로 정답은 "8.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축척 1/50,000의 도면상에서 저수지의 면적을 구하였더니 35㎝2이었다. 이 저수지의 실제 면적은 얼마인가?

  1. 8.75㎞2
  2. 16.75㎞2
  3. 24.25㎞2
  4. 30.25㎞2
(정답률: 34%)
  • 축척 1/50,000이므로 1㎝2의 면적이 실제로는 50,000㎝2이 된다. 따라서 35㎝2의 면적은 35 × 50,000 = 1,750,000㎝2이 된다. 이를 제곱미터로 환산하면 1,750,000 ÷ 10,000 = 175㎡이 된다. 마지막으로 제곱킬로미터로 환산하면 175 ÷ 1,000,000 = 0.000175㎞2이 된다. 이는 8.75㎞2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8.7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준측량에서 그 점의 표고만을 구하고자 표척을 세워 전시를 취하는 점은?

  1. 이기점
  2. 기계고
  3. 지반고
  4. 중간점
(정답률: 46%)
  • 수준측량에서는 기준면과 측정점 사이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여 표고를 구합니다. 이때, 기준면을 정하기 위해 표척을 세워 전시를 취합니다. 이때, 표척을 세우는 위치는 측정하려는 지점과 수평거리가 먼저 고려되며, 이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가 선택됩니다. 이 위치가 중간점입니다. 따라서, 중간점은 수평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로 표척을 세우는 것으로, 표고를 구하기 위한 기준면을 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500의 축척도면을 만들기 위한 거리측량 작업에서 제도가 가능한 한도가 0.2mm라고 하면 실제 측량을 할 때 몇 cm 까지 눈금을 읽으면 되는가?

  1. 2cm
  2. 5cm
  3. 10cm
  4. 15cm
(정답률: 55%)
  • 1/500의 축척도면은 1cm의 실제 거리를 1/500cm로 축소한 것입니다. 따라서 1cm를 0.2mm로 나누면 500번 읽어야 합니다. 이를 cm로 환산하면 500/10=50cm입니다. 즉, 50cm까지 눈금을 읽으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0cm이 정답인데, 이는 50cm를 넘어가면 눈금을 읽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cm까지 눈금을 읽으면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등고선의 측정 방법 중 측량구역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분할하고, 각 교점의 표고를 구하여 교점 간에 등고선이 지나가는 점을 비례식으로 산출하는 방법은?

  1. 기준점법
  2. 횡단점법
  3. 종단점법
  4. 좌표점법
(정답률: 15%)
  • 좌표점법은 측량구역을 정확한 좌표계로 나타내어 각 교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등고선을 비례식으로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스타디아 측량이 이용되는 측량작업이 아닌 것은?

  1. 삼각측량
  2. 세부측량
  3. 간접수준측량
  4. 간접거리측량
(정답률: 34%)
  • 삼각측량은 스타디아 측량이 아닌 다른 측량 방법입니다. 삼각측량은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거리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그에 대한 각도를 알면 다른 변의 길이나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스타디아 측량은 삼각측량과는 다른 방법으로, 레벨링을 이용하여 높이 차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거리나 높이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삼각측량은 스타디아 측량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등고선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1. 같은 등고선 위의 모든 점은 높이가 같다.
  2. 한 등고선은 도면 안이나 밖에서 서로가 폐합된다.
  3.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에서 반드시 한점에 교차한다.
  4. 등고선의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다.
(정답률: 55%)
  •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에서 반드시 한점에 교차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동굴이나 절벽에서는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이 교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굴의 천장과 바닥이 각각 등고선이라면, 이 두 등고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절벽에서는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이 서로 교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성질은 항상 참인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사진의 특수 3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점
  2. 등각점
  3. 연직점
  4. 부점
(정답률: 38%)
  •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은 주점, 등각점, 연직점입니다. 부점은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부점은 항공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항로나 공항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점은 항공사진에서 사용되는 특수 3점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조건에서 중앙종거 M1은 약 얼마인가? (단, R=100m, I=120°)

  1. 1.5m
  2. 6.5m
  3. 8.5m
  4. 12.5m
(정답률: 28%)
  • 중앙종거 M1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M1의 위치 = R × sin(I/2) = 100 × sin(120°/2) ≈ 86.6m

    따라서, 보기 중에서 M1 위치가 가장 가까운 것은 "8.5m"이지만, 이는 실제 위치와 차이가 많이 나므로 정답은 "12.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단곡선에서 교각 I=60°, 반경 R=60m일 때 접선장 T.L은?

  1. 30.46m
  2. 32.56m
  3. 34.64m
  4. 36.68m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고도 3,0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의 축척은? (단, 사진기의 초점거리 f = 150㎜)

  1. 1/200
  2. 1/2,000
  3. 1/20,000
  4. 1/200,000
(정답률: 52%)
  • 축척은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비율은 사진기의 초점거리와 촬영 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고도 3,0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의 축척은 초점거리와 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경우, 초점거리 f = 150mm이고 대상과의 거리는 3,000m입니다.

    축척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축척 = 실제 크기 / 사진상 크기

    실제 크기는 대상의 실제 크기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대상의 실제 크기는 알 수 없으므로 계산할 수 없습니다.

    사진상 크기는 항공사진에서 대상이 차지하는 크기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대상이 차지하는 크기는 항공사진에서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척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사진상 크기를 알아야 합니다.

    고도 3,0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의 축척은 1/20,000입니다. 이는 대상이 항공사진에서 1cm를 차지할 때, 실제 대상의 크기가 20,000cm(200m)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축척은 초점거리와 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데, 초점거리가 일정하다면 대상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축척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고도 3,000m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의 축척이 1/20,000인 이유는 초점거리와 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단곡선 설치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접선 편거와 현 편거법
  2. 지거법
  3. 중앙 종거법
  4. 수직곡선법
(정답률: 30%)
  • 수직곡선법은 단곡선 설치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수직곡선법은 수직선을 이용하여 지면의 고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주로 건축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단곡선 설치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길이가 10m인 각주의 양단면적이 4.2m2, 5.6m2이고 중앙단면적이 4.9m2일 때 이 각주의 체적은?

  1. 47m3
  2. 48m3
  3. 49m3
  4. 50m3
(정답률: 52%)
  • 각주의 체적은 양단면적과 중앙단면적의 평균값을 길이로 곱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체적 = (양단면적1 + 양단면적2 + 중앙단면적 x 2) / 4 x 길이
    = (4.2 + 5.6 + 4.9 x 2) / 4 x 10
    = 49

    따라서 정답은 "49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곡선 반지름 200m 의 원곡선에서 편각은? (단, ℓ= 20m 임)

  1. 2°, 50′, 53″
  2. 2°, 51′, 53″
  3. 2°, 52′, 53″
  4. 2°, 53′, 53″
(정답률: 49%)
  • 편각은 원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각도로, 원의 중심각과는 다릅니다. 편각은 원의 호의 길이와 반지름의 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원의 호의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원의 둘레와 편각의 비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원의 둘레는 2πr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원의 호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원의 둘레 = 2π × 200m = 400πm

    편각의 비율은 편각 / 360° = 호의 길이 / 원의 둘레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편각을 구할 수 있습니다.

    편각 / 360° = 20m / 400πm

    편각 = 360° × (20m / 400πm) = 9°

    하지만, 이는 원의 중심각이므로, 편각은 이보다 반으로 작습니다. 따라서,

    편각 = 4.5°

    이 됩니다. 이를 도, 분, 초로 변환하면,

    편각 = 4° 30′ 0″

    이 됩니다.

    하지만, 이는 정답 보기 중에 없습니다. 따라서,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이나 계산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가장 가까운 보기는 "2°, 51′, 53″" 이므로, 이를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스타디아측량을 할 때 시준고를 기계고와 같게 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2.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하여
  3. 계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4. 외업을 능률적으로 하기 위하여
(정답률: 35%)
  • 스타디아측량에서 시준고를 기계고와 같게 하는 이유는 계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시준고와 기계고가 같으면 측량 결과를 계산할 때 불필요한 보정 작업을 줄일 수 있고, 계산이 간단해져서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타디아측량에서는 시준고를 기계고와 같게 맞추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삼각형 세변의 길이가 a=8m, b=6m, c=4m일 때 이 삼각형의 면적을 삼변법으로 구하면 얼마인가?

  1. 15.4m2
  2. 14.0m2
  3. 11.6m2
  4. 9.0m2
(정답률: 39%)
  •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알고 있을 때, 헤론의 공식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헤론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text{삼각형의 면적} = sqrt{s(s-a)(s-b)(s-c)}
    $$

    여기서 $s$는 삼각형의 둘레의 절반을 의미한다.

    $$
    s = frac{a+b+c}{2}
    $$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s = frac{8+6+4}{2} = 9
    $$

    $$
    text{삼각형의 면적} = sqrt{9(9-8)(9-6)(9-4)} approx 11.6
    $$

    따라서 정답은 "11.6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입체감을 얻기 위한 입체사진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한 쌍의 사진은 중복되어야 한다.
  2. 기선고도비(B/H)가 적당하여야 한다.
  3. 한 쌍의 사진은 각각 비행코스가 달라야 한다.
  4. 한 쌍의 사진 축척은 거의 같아야 한다.
(정답률: 42%)
  • 한 쌍의 사진이 각각 비행코스가 달라야 하는 이유는 입체감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두 사진이 비슷한 코스를 가지고 있다면 입체감이 덜해지고 단조로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코스를 가진 사진을 조합하여 입체감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토공량을 구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지형의 토공량은 얼마인가?

  1. 230m3
  2. 250m3
  3. 270m3
  4. 290m3
(정답률: 58%)
  • 이 지형의 토공량은 "밑면적 x 높이"로 구할 수 있다. 밑면적은 10m x 5m = 50m2 이다. 높이는 5m 이므로, 토공량은 50m2 x 5m = 250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공 입체시하는 경우 대상물이 과장되어 보이는 정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팽창감
  2. 과고감
  3. 확장고
  4. 여색 입체시
(정답률: 56%)
  • 과고감은 인공 입체시에서 대상물이 과장되어 보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팽창감"은 대상물이 팽창되어 보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확장고"는 대상물이 확장되어 보이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여색 입체시"는 대상물의 색상이 입체감을 강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사항중 공공측량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2.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3. 일반측량 또는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4. 일반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36%)
  • 공공측량은 일반측량과는 달리 법적인 규제와 관련이 있으며,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해야 합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의 기준은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하여야 합니다. 이는 이미 검증된 측량 방법을 사용하여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기본 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는 누가 관리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
  4. 관할 경찰서장
(정답률: 56%)
  • 측량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급하며, 따라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측량표를 관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를 감시하여야 하는 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구청장
  2. 시장
  3. 군수
  4. 경찰서장
(정답률: 63%)
  • 기본측량을 위한 측량표 감시는 지역 행정에 관련된 업무이므로, 경찰서장은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경찰서장은 범죄 예방 및 수사, 교통 관리 등과 같은 경찰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측량업의 등록사항중 변경이 있어 변경등록을 하고자 할때 에는 변경이 있은 날로 부터 최대 며칠이내에 변경등록을 하여야 하는가?

  1. 10일
  2. 15일
  3. 20일
  4. 30일
(정답률: 57%)
  • 측량업은 법적으로 등록되어야 하며, 등록사항에 변경이 있을 경우에는 변경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때, 변경이 있은 날로부터 최대 30일 이내에 변경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규정한 기간으로, 이 기간을 초과하면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됩니다. 따라서, 측량업에서는 변경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변경등록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측량기록』의 정의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측량에서 얻은 결과를 말한다.
  2.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을 말한다.
  3. 측량기록을 얻을 때까지의 결과를 말한다.
  4. 측량에서 얻을 측량성과를 말한다.
(정답률: 63%)
  • 측량기록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면서 얻은 모든 정보와 데이터를 기록한 것으로,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을 말합니다. 즉, 측량 결과물이 아니라 측량 작업의 과정과 데이터를 기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일반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량실시지역의 면적이 1제곱킬로미터 이상인 삼각측량
  2. 측량노선의 길이가 5킬로미터 이상인 수준측량
  3.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4. 촬영지역의 면적이 1제곱킬로미터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정답률: 49%)
  • "측량노선의 길이가 5킬로미터 이상인 수준측량"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측량노선의 길이가 5킬로미터 이상인 경우, 일반측량에서는 오차가 적고 정확도가 높은 수준측량으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
  2. 측량업의 등록증·등록수첩을 대여한 자 및 그 상대방
  3.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
  4. 규정에 의한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성능검사를 대행한 자
(정답률: 20%)
  •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는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작업을 방해하거나 방해할 의도로 측량 작업장에 출입하거나 측량 장비를 손상시키는 등의 행위를 한 자를 말합니다. 이는 측량 작업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사항 중 측량업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측지측량업
  2. 항공사진촬영업
  3. 수치지도제작업
  4. 항공사진제작업
(정답률: 47%)
  • 항공사진제작업은 측량업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항공사진제작업은 지형의 형태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촬영하여 사진으로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지측량업, 항공사진촬영업, 수치지도제작업은 지형의 형태나 위치를 측정하거나 지도를 제작하는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며, 항공사진제작업은 그와 다른 분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2. 측량도서의 발간
  3. 측량용역대가의 기준에 관한 사항
  4. 측량기술의 연구발전에 관한 사항
(정답률: 36%)
  • 측량용역대가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측량용역대가는 측량기술의 가치와 성격, 측량기술의 발전 정도, 측량용역의 난이도 등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측량심의회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임시설치표지의 좌면에 기록할 사항인 것은?

  1. 번호 년월일
  2. 공공측량 계획기관명
  3. 삼각점 또는 도근점
  4.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
(정답률: 43%)
  • 임시설치표지의 좌면에 기록할 사항 중 "공공측량 계획기관명"은 해당 공사를 계획하고 지도하는 공공기관의 이름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공사의 책임자나 관련 기관과의 연락을 위해 필요하며, 공사의 법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