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측량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그림과 같은 트래버스에서 AL의 방위각이 19° 48′ 26″, BM의 방위각이 310° 36′ 43″, 교각의 총합이 1190° 47′ 22″ 일 때 측각오차는?

  1. 15″
  2. 25″
  3. 47″
  4. 55″
(정답률: 32%)
  • 측각의 합은 360°이므로, 교각의 총합에서 360°을 빼면 된다.

    1190° 47′ 22″ - 360° = 830° 47′ 22″

    AL과 BM의 방위각을 더하면 두 선 사이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19° 48′ 26″ + 310° 36′ 43″ = 330° 25′ 09″

    이 각도에서 830° 47′ 22″를 빼면 측각오차를 구할 수 있다.

    330° 25′ 09″ - 830° 47′ 22″ = -500° 22′ 13″

    하지만 측각은 항상 양수이므로, 부호를 바꾸어 준다.

    500° 22′ 13″ = 500° 22′ - 60″ = 500° 21′ 00″

    따라서 측각오차는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트래버스(Traverse) 측량에서 CD의 방위는?

  1. N8° 38′W
  2. N 9° 38′W
  3. N10° 38′W
  4. N11° 38′W
(정답률: 42%)
  • CD의 위치는 AB와 BC의 교점인데, AB의 방위가 N10°W이고 BC의 방위가 S60°W이므로 CD의 방위는 AB와 수직이므로 N80°E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북위(N)와 서경(W)만을 사용하므로, N80°E를 서경을 기준으로 바꾸면 N11°38'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N11° 38′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트랜싯으로 수평각을 측정할 때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배각법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2. 시계와 반시계방향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3. 양쪽 버어니어에서 읽은 값의 평균을 취한다.
  4. 망원경의 정ㆍ반위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정답률: 68%)
  • 시준축 오차는 시준축이 수평선과 평행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평선과 평행한 시준축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 위치에서 수평선과 평행한 시준축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평각을 측정하여 평균을 취합니다. 이 방법은 시준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천 양안에서 교호 수준 측량을 실시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점의 지반고가 50.250m 일 때 B점의 지반고는?

  1. 50.732m
  2. 50.250m
  3. 51.082m
  4. 49.768m
(정답률: 52%)
  •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100m이다. 그리고 A점의 지반고가 50.250m이므로, A점에서 B점으로 갈수록 지반고가 0.482m씩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50.250m + 0.482m = 50.73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73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구의 전 표면을 평균 해수면으로 평균한 가상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적도
  2. 지표
  3. 지오이드
  4. 회전 타원체
(정답률: 93%)
  • 지구는 회전 타원체이기 때문에 지표면은 고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됩니다. 그러나 전 지구의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가상의 평면을 지오이드라고 합니다. 이는 지구의 실제 모양과 가장 근접한 모양으로, 지구의 중력장과 회전운동에 의해 형성됩니다. 따라서 지구의 전 표면을 평균 해수면으로 평균한 가상면을 지오이드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토털스테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공위성을 이용하므로 정확하다.
  2.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3. 레코드 모듈 (record module)에 성과값을 저장, 기록할 수 있다.
  4. 컴퓨터와 카드 리더(care reader)를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71%)
  • "인공위성을 이용하므로 정확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토털스테이션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계산하지만, 정확도는 인공위성의 수, 위치,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상 100%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삼각측량에서 1개의 삼각형의 각 점을 같은 정도로 관측하여 생긴 폐합 오차의 처리는?

  1.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2. 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3. 대변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3등분하여 똑같이 배분한다.
(정답률: 52%)
  • 삼각측량에서 생긴 폐합 오차는 각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오차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각 점에서 생긴 오차를 삼각형의 각도에 비례하여 분배해야 합니다. 따라서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와 "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는 이론적으로는 맞지만, 실제로는 계산이 복잡하고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대변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니라는 것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처리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3등분하여 똑같이 배분한다."는 가장 간단하고 정확한 처리 방법입니다. 각 점에서 생긴 오차를 삼등분하여 각각의 부분을 삼각형의 각도에 똑같이 배분하면, 오차를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계산된 방위각이 360° 보다 클 때는 어떻게 처리하는가?

  1. -360° 한다.
  2. -180° 한다.
  3. -90° 한다.
  4. -45° 한다.
(정답률: 78%)
  • 360°는 한 바퀴를 도는 각도이므로, 계산된 방위각이 360°보다 크다는 것은 한 바퀴 이상을 돌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360°를 빼서 최종적으로 0°~359° 범위 안에 들도록 보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360°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데오드라이트 기계로 같은 각을 측정횟수가 다르게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최확값은?

  1. 45° 42′ 20″
  2. 45° 42′ 22″
  3. 45° 42′ 26″
  4. 45° 42′ 29″
(정답률: 63%)
  • 데오드라이트 기계는 1회 측정시 약 2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측정횟수가 증가할수록 오차가 누적되어 최종 측정값이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측정횟수가 적을수록 정확도가 높다. 위의 측정값들을 보면 측정횟수가 적을수록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3회부터는 크게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측정횟수가 가장 적은 2회와 3회의 값 중에서 가운데 값인 "45° 42′ 26″"이 최종 측정값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우리나라에서는 평면 직각 좌표에서 모든 점의 좌표가 양수가 되도록 횡축(Y축)에 얼마를 더하였는가?

  1. 200000 m
  2. 300000 m
  3. 400000 m
  4. 500000 m
(정답률: 57%)
  • 우리나라에서는 평면 직각 좌표계로 KTM(Korea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좌표계에서는 중앙 경도 127도를 기준으로 좌표를 계산합니다. 이 때, 서쪽 경도는 음수, 동쪽 경도는 양수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부분 지역은 중앙 경도 127도보다 서쪽에 위치하므로 X축 좌표가 음수가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X축 좌표에 200,000m를 더하여 모든 점의 좌표가 양수가 되도록 보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계획 준비부터 현장 업무까지 작업을 자동화시키며 현장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 검토할 수 있는 각과 거리의 동시 측량장비는?

  1. 전파 거리 측정기
  2. 덤피레벨(Dumpy Level)
  3. 토털스테이션 (Total Station)
  4. 광파 거리 측정기
(정답률: 89%)
  • 토털스테이션은 거리 측정, 방위각 측정, 고도 측정 등 다양한 측정 기능을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측량장비입니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어 현장에서 빠르게 문제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작업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측선의 총 길이가 600m, 폐합오차가 0.3m 일 대 폐합비는?

  1. 1/1000
  2. 1/2000
  3. 1/3000
  4. 1/4000
(정답률: 68%)
  • 폐합비는 측선의 총 길이와 폐합오차의 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따라서 폐합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폐합비 = 폐합오차 / 측선의 총 길이

    여기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폐합비 = 0.3 / 600

    폐합비 = 1/2000

    따라서 정답은 "1/2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삼각측량에서 삼각형 내각의 크기를 얼마 내에 있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0° ~ 20°
  2. 20° ~ 30°
  3. 30° ~ 120°
  4. 120° ~ 150°
(정답률: 80%)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이므로, 각 내각이 모두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한 각이 120° 이상이면 다른 두 각의 합이 60° 미만이 되어 삼각형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삼각측량에서 삼각형 내각의 크기는 30° ~ 120° 내에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삼각 측량을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변장을 정확히 실측해야 하는데, 이를 무슨 측량이라 하는가?

  1. 거리측량
  2. 삼변측량
  3. 기선측량
  4. 망 측량
(정답률: 26%)
  • 삼각 측량에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변장을 정확히 실측하는 것은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알아내는 것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다른 변의 길이나 각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삼각형의 크기와 모양을 파악하는 측량 방법을 기선측량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500m 기선을 50m 줄자로 10구간으로 나누어 측정할 때 각 구간의 확률오차가 ±0.01m 이었다면 500m에 대한 확률오차는?

  1. ±0.01m
  2. ±0.02m
  3. ±0.03m
  4. ±0.05m
(정답률: 33%)
  • 각 구간의 측정값에 대한 확률오차가 ±0.01m 이므로, 50m 줄자를 사용하여 1구간을 측정할 때의 확률오차는 ±0.01m 이 됩니다. 따라서 500m 기선을 10구간으로 나누어 측정할 때의 확률오차는 10개의 구간 각각의 확률오차를 합한 값인 ±0.1m 이 됩니다. 하지만 이 값은 모든 구간에서 오차가 최대한으로 누적되는 경우이므로, 실제로는 구간 간의 오차가 서로 상쇄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구간 간의 오차가 서로 상쇄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10개의 구간 각각의 확률오차인 ±0.01m 에서 구간 간의 오차가 최대한으로 누적될 때의 추가적인 확률오차를 더해준 값인 ±0.02m 을 최종적인 확률오차로 취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3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삼각측량의 목적은 결과적으로 무엇을 구하고자 하는 것인가?

  1. 점의 위치를 결정
  2. 변의 길이를 산출
  3. 삼각형의 면적을 결정
  4. 기타 측량의 기준 높이를 결정
(정답률: 45%)
  • 삼각측량은 세 변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이를 이용해 삼각형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합니다. 이를 통해 삼각형 내부의 각 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각측량의 목적은 "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느 거리를 관측하여 100.28m , 100.20m , 100.16m 의 관측값을 얻었고 이들의 경중률이 순서대로 각각 1 : 3 : 2 일 때 최확값은?

  1. 100.16 m
  2. 100.20 m
  3. 100.24 m
  4. 100.28 m
(정답률: 68%)
  • 경중률이란 각 관측값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1:3:2로 주어졌으므로, 중요도가 가장 높은 값은 3, 그 다음은 2, 가장 낮은 값은 1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확값은 중요도가 가장 높은 값인 100.20m이 됩니다. 100.20m의 중요도는 3이므로, 다른 값들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 측선의 길이가 2㎞의 트래버스측량 결과 그 정도가 1 : 3000 이었다면 그 폐합오차는?

  1. 0.42 m
  2. 0.56 m
  3. 0.67 m
  4. 0.76 m
(정답률: 32%)
  • 전 측선의 길이가 2km이므로, 이를 3000으로 나누면 1m를 나타내는 비율이 나옵니다. 따라서 1:3000 비율은 1m를 3000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폐합오차는 측량 결과와 실제 거리의 차이를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측량 결과가 1:3000 비율로 나타났으므로, 실제 거리는 3000배가 됩니다. 따라서 폐합오차는 2km에서 3000배 한 값인 6,000m에서 실제 거리인 2km를 뺀 값이 됩니다.

    6,000m - 2,000m = 4,000m

    하지만 문제에서 답은 m 단위가 아니라 cm 단위로 주어졌으므로, 4,000m를 100으로 나누어 cm 단위로 변환합니다.

    4,000m ÷ 100 = 40,000cm

    마지막으로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을 cm 단위로 변환하여 비교하면, 0.67m가 67cm이 되므로 정답은 0.67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준길이보다 2㎝ 가 긴 30m 테이프로 A, B 두 점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1000m 이었다면 AB간의 정확한 거리는?

  1. 999.00 m
  2. 999.33 m
  3. 1000.00 m
  4. 1000.67 m
(정답률: 54%)
  • 표준길이보다 2cm가 긴 테이프를 사용했으므로, 실제 거리는 측정된 거리보다 더 길 것입니다. 따라서, 측정된 거리 1000m에 2cm를 더한 값이 정확한 거리가 됩니다. 2cm는 0.02m이므로, 1000m + 0.02m = 1000.02m가 됩니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000.67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67 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방사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가지 측량에 아주 편리하다.
  2. 일반적으로 평판측량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
  3. 시준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을 경우 가능한 방법이다.
  4.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대축척으로 세부 측량을 하는 경우 편리하다.
(정답률: 35%)
  • "시가지 측량에 아주 편리하다."는 방사법에 대한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방사법은 시준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방사선을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건물이나 도로 등의 위치를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가지와 같이 건물이 밀집하고 복잡한 지역에서도 측량이 가능하며, 다른 측량 방법에 비해 비교적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삼각 측량에서 정밀도가 가장 높고 조정이 복잡한 삼각망은?

  1. 단열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유심 다각망
  4. 육각형 삼각망
(정답률: 84%)
  •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형의 각이 60도 미만인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다른 삼각망에 비해 더 많은 지형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따라 조정이 복잡해지고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측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밀도가 가장 높고 조정이 복잡한 삼각망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트래버스측량 결과 다음과 같을 때 D점의 좌표는?

  1. X = -20.74 , Y = +43.12
  2. X = -19.45 , Y = +30.54
  3. X = -41.41 , Y = +2.36
  4. X = -30.54 , Y = +41.46
(정답률: 41%)
  • D점은 AB와 CD의 교점이므로, AB와 CD의 방정식을 구하고 이를 풀어서 D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습니다.

    AB의 방정식은 y = -2x - 77.88, CD의 방정식은 y = 0.06x + 4.44 입니다.

    이 두 방정식을 연립하여 x를 구하면 x = -692.5 입니다. 이 값을 CD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y를 구하면 y = 2.36 입니다.

    따라서 D점의 좌표는 X = -41.41, Y = +2.3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A점의 지반고가 105.60m 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기계고 1.46m , AB의 수평거리 125m)

  1. 12.67m
  2. 28.37m
  3. 33.27m
  4. 48.37m
(정답률: 32%)
  • A점의 기계고가 1.46m 이므로 A점의 실제 고도는 105.60m + 1.46m = 107.06m 입니다. 이제 A점과 B점의 고도차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AB의 기울기를 구해야 합니다. AB의 수평거리는 125m 이므로, AB의 기울기는 (105.60m - B점의 지반고) / 125m 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B점의 지반고 = 105.60m - (AB의 기울기) x 125m 입니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AB의 기울기를 구해야 합니다. AB의 기울기는 삼각형 ABC의 높이 / 밑변 = 28.37m / 125m = 0.22696 입니다. 이제 B점의 지반고를 구할 수 있습니다. B점의 지반고 = 105.60m - 0.22696 x 125m = 77.03m 입니다. 마지막으로 B점의 표고는 A점의 실제 고도에서 B점의 지반고를 빼면 됩니다. B점의 표고 = 107.06m - 77.03m = 30.03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3.27m이 아니라 30.03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준측량에서 왕복측량의 제한을 2㎞ 거리에 대하여 1.6㎝로 할 때 8㎞ 거리를 왕복할 경우 오차는 얼마까지 허용하는가?

  1. 16㎜
  2. 32㎜
  3. 48㎜
  4. 64㎜
(정답률: 35%)
  • 왕복측량에서는 실제 거리의 2배를 측정하므로, 8㎞ 거리를 왕복할 경우 측정하는 거리는 16㎞이 됩니다. 따라서, 2㎞ 거리에서의 오차가 1.6㎝이므로 16㎞ 거리에서의 오차는 1.6㎝ × 8 = 12.8㎝가 됩니다. 하지만, 왕복측량에서는 오차가 양방향으로 발생하므로, 최종 오차는 12.8㎝ × 2 = 25.6㎝이 됩니다. 따라서, 오차를 32㎜ 이하로 제한하려면, 왕복측량에서의 오차를 16㎜ 이하로 제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점 A로부터 2㎞ 떨어진 두 점 B, C 간의 거리가 100㎝ 일 때 ∠BAC는 얼마인가?

  1. 1′ 43.13″
  2. 1′ 45.13″
  3. 1′ 47.13″
  4. 1′ 49.13″
(정답률: 13%)
  • 먼저, 2km는 2000m이므로 AB = AC = 1000m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적용하면 된다.

    cos∠BAC = (AB² + AC² - BC²) / (2AB × AC)
    = (1000² + 1000² - 100²) / (2 × 1000 × 1000)
    = 0.9999...

    따라서, ∠BAC는 약 1도 43분 13초이다. 따라서 정답은 "1′ 43.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트래버스 내업의 순서가 가장 합리적인 것은?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률: 39%)
  •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트래버스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므로, ⓒ가 가장 먼저 올바른 순서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트래버스 내역에 따라 입금과 출금을 구분하여 정리해야 하므로, ⓐ와 ⓑ가 이어져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입금과 출금 내역을 날짜순으로 정렬하여 확인해야 하므로, ⓓ가 그 다음에 위치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잔액을 계산하여 기록해야 하므로, ⓔ가 가장 마지막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 ⓐ - ⓑ - ⓓ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데오드라이트를 검사할 때 조정조건이 아닌 것은?

  1. 기포관축과 연직축은 직교하여야 한다.
  2. 시준축과 기포관축은 직교하여야 한다.
  3. 수평축과 연직축은 직교하여야 한다.
  4. 시준축과 수평축은 직교하여야 한다.
(정답률: 35%)
  • 시준축은 데오드라이트의 정확한 방위를 나타내는 축이며, 기포관축은 데오드라이트의 수평을 나타내는 축입니다. 따라서 데오드라이트를 검사할 때 시준축과 기포관축이 직교하지 않으면 정확한 방위와 수평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조정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준 원점으로부터 국도 및 주요 도로 변에 2 ~ 4㎞ 마다 수준 표석을 설치하고 표고를 결정해 놓은 점은?

  1. 수준점
  2. 특별기준면
  3. 기준면
  4. 수평면
(정답률: 54%)
  • 주요 도로나 국도는 차량이 많이 다니는 곳이기 때문에 도로의 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준 원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수준 표석을 설치하고 표고를 결정해 놓습니다. 이렇게 결정된 표고를 기준으로 도로의 경사를 조절하면 차량 운행에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표석을 설치하는 것은 수준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도로의 수평면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레벨 야장에서 후시의 합계가 전시의 합계보다 작을 경우 다음 중 옳은 것은?

  1. 최초의 점은 최후의 점보다 높다.
  2. 최초의 점은 최후의 점보다 낮다.
  3. 최초의 점과 최후의 점의 표고가 같다.
  4. 최초의 점은 최후의 점의 2배 만큼 낮다.
(정답률: 25%)
  • 정답은 "최초의 점은 최후의 점보다 높다."입니다.

    이유는 레벨 야장에서 후시의 합계가 전시의 합계보다 작을 경우, 즉 전시보다 후시가 더 낮을 경우에는 레벨 야장이 내리막길이 되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초의 점이 최후의 점보다 높아야 내리막길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만약 최초의 점이 최후의 점보다 낮다면 상승하는 길이 형성되어 내리막길이 아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평판측량 방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방사법
  2. 전진법
  3. 좌표법
  4. 교회법
(정답률: 85%)
  • 방사법, 전진법, 교회법은 모두 평판측량에서 사용되는 측량법이지만, 좌표법은 위치를 좌표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량법이 아닌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사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GPS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3차원 측량을 동시에 할 수 있다.
  2. 지구상 어느 곳에서나 이용할 수 있다.
  3. 하루 24시간 어느 시간에서나 이용이 가능하다.
  4. 두 측점 간의 시통에 어려움이 있으면 기선 결정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86%)
  • 두 측점 간의 시통에 어려움이 있으면 기선 결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GPS 시스템이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하는데, 만약 신호가 잡히지 않거나 불안정하다면 위치 결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GPS를 이용할 때는 가능한한 개방된 공간에서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GPS 측량에서 위성 궤도의 고도는 약 몇 ㎞ 인가?

  1. 40400㎞
  2. 30300㎞
  3. 20200㎞
  4. 10100㎞
(정답률: 80%)
  • GPS 위성은 지구 주위를 고도 약 20200㎞의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이는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최적의 거리이며, 이 거리에서는 위성 신호의 정확도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거리에서는 위성의 속도와 지구의 회전 속도가 균형을 이루어 GPS 수신기가 이동하는 속도와 일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종단곡선으로 사용 하는 것은?

  1. 원곡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3차 포물선
  4. 렘니스케이트 곡선
(정답률: 64%)
  • 종단곡선은 시작점과 끝점이 서로 연결된 곡선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원곡선은 시작점과 끝점이 서로 대칭이며, 반지름의 길이에 따라 곡선의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종단곡선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로 노선을 선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토공량이 적고,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2. 배수가 잘 되는 곳이어야 한다.
  3. 노선은 가능한 곡선으로 하고, 경사를 완만하게 한다.
  4. 절토 및 성토의 운반 거리를 가급적 짧게 한다.
(정답률: 58%)
  • "노선은 가능한 곡선으로 하고, 경사를 완만하게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도로 건설 시 안전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가능한 곡선으로 하면 차량 운행이 원활해지고, 경사를 완만하게 하면 차량 운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모두 맞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로 곡선으로 둘러 쌓인 면적을 구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면적계산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좌표에 의한 방법
  2. 모눈 종이법
  3. 횡선법 (strip)
  4. 지거법
(정답률: 32%)
  • 좌표에 의한 방법은 평면 상의 점들의 좌표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 없습니다. 모눈 종이법은 모눈 종이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이며, 횡선법은 도로나 철도 등의 횡단면을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지거법은 지형의 고저차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시단현이 18.5m 이었다. 곡선반경이 300m 이고, 교각이 60° 일 때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1. 1° 25′
  2. 1° 46′
  3. 2° 15′
  4. 2° 26′
(정답률: 49%)
  • 시단현과 곡선의 접점에서 수직선을 그리면 교각과 수직이 됩니다. 이때 교각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60° 이므로, 시단현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30° 가 됩니다.

    또한, 곡선의 반경이 300m 이므로, 곡선의 중심에서 시단현까지의 거리는 300m - 18.5m = 281.5m 입니다. 이때 시단현과 곡선의 중심을 연결한 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를 구하면,

    arctan(18.5/281.5) = 3.76°

    따라서, 시단현에 대한 편각은 30° - 3.76° = 26.24° 입니다. 이 값을 분수로 나타내면,

    26.24° = 26° 14′ 24″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 4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사진 판독의 요소 중 거칠음, 세밀함 등으로 표현되며, 지표의 상태 및 지질 판독에 이용 되는 것은?

  1. 색조(color)
  2. 모양(pattern)
  3. 질감(texture)
  4. 형상(shape)
(정답률: 45%)
  • 질감은 지표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데, 거칠거나 부드러운 지면, 세밀한 입체적인 느낌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지표의 상태나 지질 판독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진 판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질감(textu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교각 I = 60° 30′ , 중앙종거 M = 40.95m 인 원곡선의 곡선 반지름은?

  1. 200.74m
  2. 250.74m
  3. 300.74m
  4. 350.74m
(정답률: 27%)
  • 원호의 중심각이 60° 30′ 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원주각은 2π × 60° 30′ / 360° = π / 3. 따라서 원호의 길이는 곡선반지름 r × π / 3 이다.

    중앙종거 M = 40.95m 이므로, 원호의 길이는 40.95m 이다. 따라서 r × π / 3 = 40.95m 이고, 이를 정리하면 r = 40.95m × 3 / π = 123.45m 이다.

    따라서 곡선반지름은 123.45m 이며, 보기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값은 "300.7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구를 둘러싸는 6개의 GPS 위성은 궤도상 몇도 간격을 유지 하는가?

  1. 30°
  2. 60°
  3. 90°
  4. 120°
(정답률: 63%)
  • 지구를 둘러싸는 6개의 GPS 위성은 극궤도와 적도궤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각 위성은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위성들이 서로 겹치지 않고 지구 전역을 균일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우리나라의 축척 1 : 25000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

  1. 25m
  2. 20m
  3. 10m
  4. 5m
(정답률: 41%)
  • 우리나라의 축척 1 : 25000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 10m입니다. 이는 지형도에서 높이를 나타내는 등고선이 10m 간격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즉, 등고선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주곡선 사이의 높이 차이는 1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등고선 측정방법 중 직접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레벨에 의한 방법
  2. 횡단점법
  3. 사각형 분할법(좌표점법)
  4. 기준점법(종단점법)
(정답률: 56%)
  • 레벨에 의한 방법은 측량기기인 레벨을 사용하여 지면의 고저차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면의 고저차를 직접 측정하기 때문에 직접법에 해당합니다. 횡단점법, 사각형 분할법, 기준점법은 모두 간접적인 방법으로 등고선을 측정하기 때문에 간접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면적을 심프슨 제1법칙으로 구하면? (단, 지거의 간격 5m)

  1. 54.53m2
  2. 163.60m2
  3. 272.62m2
  4. 818.12m2
(정답률: 44%)
  • 심프슨 제1법칙은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한 면적을 사다리꼴의 넓이로 근사하는 방법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지거의 간격이 5m이므로, 각 지점에서의 넓이를 구하고 이를 더해주면 전체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첫 번째 지점에서의 넓이는 (5+10) * 10 / 2 = 75m^2 입니다. 두 번째 지점에서의 넓이는 (10+15) * 10 / 2 = 125m^2 입니다. 세 번째 지점에서의 넓이는 (15+20) * 10 / 2 = 175m^2 입니다. 네 번째 지점에서의 넓이는 (20+25) * 10 / 2 = 225m^2 입니다. 다섯 번째 지점에서의 넓이는 (25+30) * 10 / 2 = 275m^2 입니다.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 지점에서의 넓이는 (30+35) * 10 / 2 = 325m^2 입니다.

    이렇게 구한 각 지점에서의 넓이를 모두 더해주면 전체 면적이 됩니다. 75 + 125 + 175 + 225 + 275 + 325 = 1200m^2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0m^2을 6으로 나눈 값인 200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형공간자료의 기본 형태가 아닌 것은?

(정답률: 60%)
  • 지형공간자료는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점, 선, 면은 지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기본 형태이지만, 각은 지형의 형태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본 형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진측량에서 촬영고도 2㎞에서 촬영한 탑의 윗부분이 연직점으로부터 100㎜ 떨어져 사진 상에 나타나고 탑의 변위가 5㎜일 때 탑의 높이는?

  1. 50m
  2. 100m
  3. 200m
  4. 500m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표고 읽음을 쉽게 하기 위하여 주곡선 5개마다 1개씩 굵은 실선으로 그리는 선은?

  1. 지성선
  2. 간곡선
  3. 계곡선
  4. 조곡선
(정답률: 70%)
  • 주곡선은 표고를 나타내는 선이며, 이 선 위에 굵은 실선으로 그려지는 것은 계곡선입니다. 계곡선은 지형의 골짜기와 계곡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지형의 높낮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고 읽음을 쉽게 하기 위해 계곡선이 그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GIS 운용에 필요한 컴퓨터와 각종 입출력장치 및 자료관리장치를 하드웨어라 한다. 다음 중 입력장비는?

  1. 플로터
  2. 프린터
  3. 자기테이프
  4. 디지타이저
(정답률: 62%)
  • 입력장비는 지도나 그림 등을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따라서, 디지타이저는 지도나 그림 등을 스캔하여 디지털화하는 입력장비이다. 다른 보기인 플로터는 출력장비, 프린터는 출력장비, 자기테이프는 자료관리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등고선 간격이 20m 이다.” 라고 할 때 등고선 간격이 의미하는 거리는?

  1. 연직거리
  2. 수평거리
  3. 경사거리
  4. 수준점으로부터의 거리
(정답률: 40%)
  • 등고선 간격이 의미하는 거리는 연직거리입니다.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등고선 간격이 20m 이라는 것은 인접한 등고선 사이의 높이 차이가 20m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은 지형의 연직거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표고가 100m 인 지점을 초점거리 19㎝의 카메라로 고도 2000m에서 촬영하였다면 이 사진의 축척은?

  1. 1/15000
  2. 1/20000
  3. 1/5000
  4. 1/10000
(정답률: 12%)
  •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표고가 100m인 지점을 초점거리 19㎝의 카메라로 촬영하였으므로, 실제 크기는 100m이고 촬영된 크기는 19㎝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축척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크기 / 촬영된 크기 = 축척
    100m / 0.19m = 526.32

    고도 2000m에서 촬영하였으므로, 지면과의 거리는 2000m입니다. 따라서 축척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면과의 거리 / 실제 크기 = 축척
    2000m / 100m = 20

    따라서 축척은 1/20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1/15000, 1/20000, 1/5000, 1/10000이 있으므로, 이 중에서 1/20에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1/15000과 1/20000은 1/20보다 작으므로 제외합니다. 1/5000은 1/20보다 크므로 제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사진측량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동체 측정이 가능하다.
  2. 접근이 곤란한 대상물의 측정이 가능하다.
  3. 목적에 따라 축척 변경이 용이하다.
  4. 정량적인 해석만이 가능하다.
(정답률: 47%)
  • 정답: "정량적인 해석만이 가능하다."

    사진측량은 사진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크기나 거리 등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이 때, 사진측량의 특징 중에서 "정량적인 해석만이 가능하다"는 것은 측정된 값이 숫자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진으로 측정한 값은 정확한 수치로 표현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대상물의 크기나 거리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량적인 해석만이 가능하다"는 것이 사진측량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실제 면적 36km2를 지도 상에 900cm2으로 나타내려면 필요한 지도의 축척은?

  1. 1/200
  2. 1/2000
  3. 1/20000
  4. 1/200000
(정답률: 38%)
  • 지도의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입니다. 따라서 면적의 경우에는 지도상의 면적과 실제 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가 축척이 됩니다.

    면적의 경우에는 면적의 제곱근을 취한 값이 거리와 같은 단위를 사용할 때의 비율이 됩니다. 따라서 실제 면적의 제곱근인 6km를 지도상에서 900cm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1cm가 6km/30의 거리를 나타내야 합니다.

    이를 축척으로 나타내면 1/300000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cm가 900cm2의 면적을 나타낸다고 하였으므로, 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축척은 1/300000의 제곱근을 취한 값이 됩니다.

    즉, 1/300000의 제곱근은 1/200이므로, 정답은 1/20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측량심의회의 위원의 수는 최대 몇 인 이내인가?

  1. 7인
  2. 10인
  3. 13인
  4. 20인
(정답률: 46%)
  • 측량심의회는 대한민국 측량학회의 중요한 기구 중 하나이며, 측량학 분야에서의 의견 교환과 정보 공유를 위한 조직입니다. 따라서 측량심의회의 위원 수는 적어도 일정한 수준 이상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최소한 7인 이상의 위원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측량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의견과 전문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보다 많은 위원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측량심의회의 위원 수는 20인 이내로 결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측량업 등록을 하고자 하는 자 중에서 측량업등록의 결격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1.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2.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3.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4. 금고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정답률: 28%)
  • "금고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3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측량업 등록 시 결격 사유로 인정되는 이유는, 이 사람들은 법적으로 실형을 받았으며, 그 집행이 면제되었지만, 아직 범죄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측량업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내용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것은?

  1.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
  2.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
  3. 측량기술자가 아닌 사람이 측량법에 규정된 측량을 할 때
  4.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
(정답률: 41%)
  • 측량법은 측량을 수행하는 사람이 측량기술자여야 하며, 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도 있습니다. 따라서 측량기술자가 아닌 사람이 측량법에 규정된 측량을 할 경우, 이는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일반측량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측량실시 지역의 면적이 1제곱킬로미터 이상인 삼각측량ㆍ지형측량 및 평면측량
  2. 측량노선의 길이가 1킬로미터 이상인 수준측량ㆍ다각측량
  3.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 제작
  4. 촬영지역의 면적이 1제곱킬로미터 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정답률: 27%)
  • "측량노선의 길이가 1킬로미터 이상인 수준측량ㆍ다각측량"이 잘못된 것입니다. 이유는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일반측량 중에서 측량노선의 길이가 1킬로미터 이상인 것은 수준측량과 다각측량 뿐만 아니라 삼각측량, 지형측량, 평면측량 등도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측량용역의 발주자는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해 측량업자로부터 영업정지의 통지를 받았을 때 그 사실을 안 날로부터 몇 일 이내에 한하여 도급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가?

  1. 60일
  2. 30일
  3. 20일
  4. 10일
(정답률: 63%)
  • 측량용역의 발주자는 도급계약을 체결한 측량업자가 영업정지 조치를 받았을 경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해당 사실을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해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측량법 시행령」 제23조 제2항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의 축척으로 옳은 것은?

  1. 1/5000
  2. 1/15000
  3. 1/2000
  4. 1/500
(정답률: 50%)
  •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는 대부분 1/5000 축척으로 제작됩니다. 이는 1cm가 실제 지면상에서 500cm(5m)에 해당하는 크기로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15000, 1/2000, 1/500 축척보다 더 상세하고 정확한 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측량표 중에서 일시표지에 해당하는 것은?

  1. 검조의와 검조장
  2. 표기와 임시측량표지 막대
  3. 측표와 측량표지막대
  4. 기선척검점표석
(정답률: 36%)
  • 일시표지는 측량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다음에 이어서 작업할 때 위치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기와 임시측량표지 막대"가 아닌 "측표와 측량표지막대"가 일시표지에 해당한다. 측표와 측량표지막대는 측량 작업 중에 위치를 표시하고, 작업을 재개할 때 이전 위치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에서 거리와 면적의 표시에 대한 기준은?

  1. 지평선상의 값
  2. 지평면상의 값
  3. 회전타원체면상의 값
  4. 지표면상의 값
(정답률: 22%)
  •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에서 거리와 면적의 표시에 대한 기준은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입니다. 이는 지구의 형태가 회전타원체이기 때문입니다. 지평선상의 값이나 지평면상의 값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지표면상의 값은 지형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지형지물의 위치나 높이 등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거리와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형태를 고려한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본측량의 실시로 인하여 손실을 받은 자가 있는 때에는 국토지리정보원장과 협의하여 그 손실을 보상 받을 수 있는바, 이때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하면 관할토지수용위원회에 재결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재결신청서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재결의 신청자와 상대방의 성명 및 주소
  2. 측량의 종류 및 손실발생의 사실
  3. 협의의 내용
  4. 측량의 실시기간
(정답률: 36%)
  • 재결의 신청서에는 측량의 실시기간을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측량의 실시기간이 손실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실발생 사실과 측량 종류, 그리고 협의 내용과 재결 신청자와 상대방의 성명 및 주소만 기재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공측량 성과를 심사한 결과 충분한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인정될 때는 누가 고시하는가?

  1. 대한측량협회장
  2. 한국측지학회장
  3. 측량계획기관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61%)
  • 공공측량은 국가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그 성과를 심사하는 것은 국가 기관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공공측량 성과를 심사한 결과 충분한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인정될 때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고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