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측량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측량의 분류에서 측량 기계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평판 측량
  2. GPS 측량
  3. 지형 측량
  4. 레벨 측량
(정답률: 78%)
  • 지형 측량은 측량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지형의 형태와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량 기계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지형 측량은 지형의 고도, 경사도, 거리 등을 측정하여 지형 지도를 작성하거나 건설 작업 등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8각형 외각의 합계는 몇 도인가?

  1. 2,880°
  2. 2,900°
  3. 3,240°
  4. 3,600°
(정답률: 80%)
  • 18각형은 18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삼각형의 외각은 360°이므로 18개의 삼각형의 외각의 합은 18 × 360° = 6,480°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18각형의 외각의 합은 6,480° - 360° = 3,600°이다. 따라서 정답은 "3,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결합 트래버스 측량결과 위거오차 ±0.016m, 경거오차 -0.012m였다. 전측선의 길이가 1760m일 때 폐합비는?

  1. 1/176000
  2. 1/146000
  3. 1/118000
  4. 1/88000
(정답률: 54%)
  • 폐합비는 (전측선 길이 - 위거오차 - 경거오차) / 전측선 길이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760 - 0.016 - (-0.012)) / 1760 = 1/88000 이므로 정답은 "1/88000" 이다.

    즉, 전측선 길이 88000m에 대해 1m의 오차가 발생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평판측량 방법 중에서 기준점으로부터 미지점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교차시켜 도면상에서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거리를 측정할 필요가 없는 것은?

  1. 방사법
  2. 전진법
  3. 교회법
  4. 기고법
(정답률: 67%)
  • 교회법은 방향성을 중심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거리를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평면 삼각형 ABC에서 ∠A, ∠B와 변의 길이 a를 알고 있을 때 변의 길이 b를 구할 수 있는 식은?

(정답률: 68%)
  • 삼각형의 세 각도의 합은 180도이므로, ∠C = 180 - ∠A - ∠B 이다. 이를 이용하여 코사인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b² = a² + c² - 2ac cosB

    = a² + (a² + b² - 2ab cosC) - 2a(a cosB + b cosA)

    = a² + a² + b² - 2ab cosC - 2a² cosB - 2ab cosA

    = 2a² + b² - 2ab(cosA + cosB)

    cosA와 cosB는 삼각형의 세 각도의 합이 180도이므로 cosC = -cos(A+B) = -cos(180-C) = -cosC 이다. 따라서 cosA + cosB = 2cos((A+B)/2)cos((A-B)/2) = 2cos(C/2)cos((A-B)/2) 이다. 이를 이용하여 b를 구하는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b² = 2a² - 2a²cosC - 2abcos((A-B)/2)

    = 2a²(1-cosC) - 2abcos((A-B)/2)

    = 4a²sin²(C/2) - 2abcos((A-B)/2)

    = 4a²sin(A/2)sin(B/2) - 2abcos((A-B)/2)

    = 4a²sin(A/2)sin(B/2) + 2absin(A/2)sin(B/2)

    = 2ab(sinA + sinB)

    따라서 b = 2a(sinA + sinB)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삼각측량에서 삼각망을 구성하기 위한 선점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측점 수를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의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3. 후속 측량에 이용 가치가 높은 점을 선택한다.
  4. 삼각점간 시준이 잘되는 점을 선택한다.
(정답률: 82%)
  •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의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가 옳은 이유는 직각삼각형의 경우 한 변이 다른 두 변의 합보다 길어지지 않기 때문에, 삼각형의 모든 변을 측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형의 모든 변을 측량할 수 있는 직각삼각형의 형태가 가장 바람직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조건은 "가능한 측점 수를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입니다. 삼각망을 구성할 때는 가능한 많은 측점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준길이보다 5cm 긴 50m의 테이프로 두 점 간의 거리측량을 한 값이 825m 이었다면 실제 거리는?

  1. 825.825m
  2. 825.400m
  3. 824.600m
  4. 824.175m
(정답률: 69%)
  • 표준길이보다 5cm 긴 50m의 테이프를 사용하였으므로, 실제 거리는 측정된 거리에 해당 테이프의 오차를 보정한 값이다.

    50m의 테이프가 5cm 길어졌으므로, 50m를 측정할 때 5cm의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825m를 측정할 때는 5cm의 오차가 825m에 대해서도 발생하게 된다.

    즉, 825m를 측정한 값에 825m의 0.00606(5/82500)의 비율을 곱해주면, 테이프의 오차를 보정한 실제 거리를 구할 수 있다.

    825m x 0.00606 = 5m (테이프의 오차)

    따라서, 실제 거리는 825m - 5m = 820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실제 거리와 가장 가까운 값을 찾으라고 하였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825.825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선 삼각망을 설치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선의 설정 위치는 평탄한 것이 좋다.
  2. 기선확대는 여러 번 확대하는 경우에도 10배 이내가 되도록 한다.
  3. 삼각망이 길게 될 때에는 기선의 20배 정도의 간격으로 검기선을 설치한다.
  4. 경사 1:5 이상의 지형에 기선을 설치한다.
(정답률: 64%)
  • 경사 1:5 이상의 지형에 기선을 설치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기선이 지면과 수직이 되지 않고 기울어지게 되어 측량 오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선을 설치할 때는 평탄한 지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교호수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천, 계곡 등 두 점 중간에 기계를 세울 수 없는 경우에 실시한다.
  2. 관측시에는 측점(A, B)에서 같은 거리에 기계를 세운다.
  3. 굴절 오차와 시준축 오차가 소거된다.
  4. 2점의 기압차에 따라 고저차를 구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57%)
  • 2점의 기압차에 따라 고저차를 구하는 방법은 교호수준측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교호수준측량은 두 점 사이의 고저차를 구하기 위해 같은 거리에 기계를 세우고 굴절 오차와 시준축 오차를 소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점의 기압차에 따라 고저차를 구하는 방법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최획값과 경중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측값들의 경중률이 다르면 최확값을 구할 때 경중률을 고려하여 한다.
  2. 경중률은 관측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3. 최확값은 어떤 관측값에서 가장 높은 확률을 가지는 값이다.
  4. 경중률은 표준 편차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7%)
  • "경중률은 표준 편차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경중률은 관측값과 최확값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며, 관측값이 최확값에 가까울수록 경중률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관측값들의 분포가 좁을수록 경중률이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관측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는 이유는, 관측거리가 멀어질수록 경중률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즉, 경중률은 최확값을 구할 때 관측값들의 분포를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값을 찾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준측량에 대한 관측자의 주의 사항 중 틀린 것은?

  1. 측정할 때에는 항상 기포가 중앙에 오도록 한다.
  2. 표척과 기계와의 거리는 60m 내외를 표준으로 한다.
  3. 표척의 눈금은 이기점에서는 1mm까지 읽는다.
  4. 수준측량은 반드시 편도 측량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1%)
  • "수준측량은 반드시 편도 측량을 원칙으로 한다."이라는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수준측량은 편도 측량과 역방향 측량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편도 측량은 측정 기둥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만 측정하는 방법이고, 역방향 측량은 측정 기둥을 중심으로 양쪽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수준측량에서는 편도 측량만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역방향 측량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준측량은 반드시 편도 측량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보기가 틀린 이유는, 수평면의 기울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역방향 측량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역방향 측량을 통해 측정된 값들을 평균하여 오차를 보정하고, 보정된 값으로 수평면의 기울기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수준측량에서는 편도 측량과 역방향 측량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임의의 기준선으로부터 어느 측선까지 시계 방향으로 잰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향각
  2. 방위각
  3. 연직각
  4. 천정각
(정답률: 80%)
  • 임의의 기준선으로부터 어느 측선까지 시계 방향으로 잰각을 방향각이라고 합니다. 이는 해당 측선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향각은 방향성을 나타내는 각도로서, 다른 보기들인 방위각, 연직각, 천정각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트래버스 측량의 수평각 관측 방법 중 앞 측선의 연장선과 그 다음 측선이 이루는 각을 관측하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교각법
  2. 편각법
  3. 방위각법
  4. 교회법
(정답률: 51%)
  • 정답은 "편각법"입니다.

    편각법은 앞 측선과 다음 측선이 이루는 각을 측정하여 수평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측량 기기의 측정 정확도와 측정자의 경험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측량 작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교각법은 두 개의 측량 기둥을 이용하여 수평면을 구하는 방법이며, 방위각법은 기압계를 이용하여 수평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교회법은 삼각측량법의 일종으로, 두 개의 삼각형을 이용하여 거리나 각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 B, C 세 점으로부터 수준측량을 한 결과 P점의 관측값이 각가 P1, P2, P3였다면 P점의 최확값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여기서 A, B, C로 부터 P점지의 거리 비 A:B:C:=2:1:2이다.)

(정답률: 67%)
  • P점의 최확값은 P1, P2, P3 중에서 가장 큰 값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최확값을 구할 수 있다.

    최확값 = max(P1, P2, P3)

    이때, P1, P2, P3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1 = 2x
    P2 = x
    P3 = 2x

    여기서 x는 A, B, C로부터 P점까지의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이다. 따라서 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x = min(AP, BP, CP)

    따라서 최확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확값 = max(2x, x, 2x) = 2x

    즉, P점의 최확값은 A, B, C로부터 P점까지의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의 2배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준측량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고를 이미 알고 잇는 점에 세운 수준척 눈금의 읽은을 후시라 한다.
  2. 표고를 알고자 하는 곳에 세운 수준척 눈금의 읽음을 전시라 한다.
  3. 측량 도중 레벨을 옮겨 세우기 위하여 한 측점에서 전시와 후시를 동시에 읽을 때 그 측점을 중간점이라 한다.
  4. 망원경 시준선의 표고를 기계고라 한다.
(정답률: 71%)
  • "망원경 시준선의 표고를 기계고라 한다."는 수준측량에서 사용하는 용어 설명과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망원경 시준선의 표고를 기계고라 한다."입니다.

    측량 도중 레벨을 옮겨 세우기 위하여 한 측점에서 전시와 후시를 동시에 읽을 때 그 측점을 중간점이라고 합니다. 이는 레벨링 중에 레벨을 이동시키면서 측정을 진행할 때, 이전 측정에서의 후시와 새로운 측정에서의 전시를 동시에 읽어서 중간점의 높이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축척 1:100으로 평판측량을 할 때, 앨리데이드의 외심거리 e=20mm에 의해 생기는 허용 오차는?

  1. 0.2mm
  2. 0.4mm
  3. 0.6mm
  4. 0.7mm
(정답률: 69%)
  • 앨리데이드의 외심거리 e=20mm이므로, 이 거리에 대한 허용 오차는 1/100배인 0.2mm이 됩니다. 이는 축척 1:100에서 1mm의 실제 거리가 1cm로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2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해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1. 기차에 의한 오차
  2. 구차에 의한 오차
  3. 레벨의 조정 불량에 따른 오차
  4. 시차에 의한 오차
(정답률: 47%)
  • 전시와 후시의 거리가 같더라도 시간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를 시차에 의한 오차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기차가 지나가는 동안 전시와 후시를 측정하는데 전시는 기차가 지나가기 전에 측정하고 후시는 기차가 지나간 후에 측정한다면, 기차의 속도에 따라 전시와 후시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시간 차이가 거리 측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차에 의한 오차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삼각망 중의 임의의 한 변의 길이는 계산해 가는 순서와는 관계없이 같은 값을 갖는다.」는 것을 삼각망의 기하학적 조건 중 어는 것에 해당 하는가?

  1. 각조건
  2. 변조건
  3. 측점조건
  4. 다항조건
(정답률: 77%)
  • 이 조건은 "변조건"에 해당한다. 변조건은 삼각형의 세 변 중 어느 두 변의 길이가 주어졌을 때, 나머지 한 변의 길이를 유일하게 결정하는 조건이다. 따라서 임의의 한 변의 길이가 주어졌을 때, 다른 두 변의 길이를 어떤 순서로 계산하더라도 결국 같은 값을 얻게 되므로, 이는 변조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수준측량의 관측결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표고
  2. 수심
  3. 좌표(X, Y)
  4. 지하깊이
(정답률: 65%)
  • "좌표(X, Y)"는 수평면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나머지 세 가지는 수직면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수평면과 수직면의 차이로 인해 "좌표(X, Y)"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두점 간의 거리를 5회 측정하여 최확값이 28.182m이고 잔차의 제곱을 합한 값이 720일 때 평균 제곱근 오차는? (단, 경중률은 일정하고 잔치의 단위는 mm이다.)

  1. ±2mm
  2. ±4mm
  3. ±6mm
  4. ±8mm
(정답률: 38%)
  • 평균 제곱근 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text{RMSE} = sqrt{frac{sum_{i=1}^n (d_i - bar{d})^2}{n-1}}
    $$

    여기서 $d_i$는 측정된 거리값, $bar{d}$는 거리값의 평균, $n$은 측정 횟수이다. 잔차의 제곱을 합한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sum_{i=1}^n (d_i - bar{d})^2 = sum_{i=1}^n d_i^2 - nbar{d}^2
    $$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
    text{RMSE} = sqrt{frac{sum_{i=1}^n d_i^2 - nbar{d}^2}{n-1}}
    $$

    최확값이 28.182m이므로 $d_i$의 최대값은 28.182m이다. 잔차의 제곱을 합한 값이 720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
    sum_{i=1}^n d_i^2 - nbar{d}^2 = 720 times 10^{-6}
    $$

    이를 이용하여 $bar{d}$를 구할 수 있다.

    $$
    bar{d}^2 = frac{1}{n}sum_{i=1}^n d_i^2 - frac{720 times 10^{-6}}{n} \
    bar{d} = sqrt{frac{1}{n}sum_{i=1}^n d_i^2 - frac{720 times 10^{-6}}{n}}
    $$

    $n=5$이므로 다음과 같다.

    $$
    bar{d} = sqrt{frac{1}{5}sum_{i=1}^5 d_i^2 - frac{720 times 10^{-6}}{5}} approx 28.176 text{m}
    $$

    따라서 평균 제곱근 오차는 다음과 같다.

    $$
    text{RMSE} = sqrt{frac{sum_{i=1}^n d_i^2 - nbar{d}^2}{n-1}} approx 6 text{mm}
    $$

    따라서 정답은 "±6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임의 측선의 방위각 계산에서 진행방향 오른쪽 교각을 측정했을 때의 방위각 계산은?

  1. 전 측선 방위각 + 180° - 그 측점의 교각
  2. 전 측선 방위각 × 180° + 그 측점의 교각
  3. 전 측선 방위각 × 180° - 그 측점의 교각
  4. 전 측선 방위각 - 180° + 그 측점의 교각
(정답률: 73%)
  • 임의 측선의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진행방향 오른쪽 교각은 현재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꺾어서 전진할 때의 각도를 의미합니다. 이때, 전진하는 방향은 현재 위치에서 반대 방향이므로 전 측선 방위각에 180°을 더해줍니다. 그리고 오른쪽 교각을 빼주어야 하므로 그 측점의 교각을 빼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 측선 방위각 + 180° - 그 측점의 교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수평각 관측에서 트랜싯의 조정 불완전에서 오는 오차를 소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관측거리를 멀리한다.
  2. 관측자를 교체하여 관측하고 평균을 취한다.
  3. 방향각법으로 관측한다.
  4. 망원경 정ㆍ반위 위치에서 관측하여 그 평균을 취한다.
(정답률: 70%)
  • 수평각 관측에서 트랜싯의 조정 불완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는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 위치에서 관측하여 그 평균을 취함으로써 소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위와 반위 위치에서의 관측값이 서로 상보적인 오차를 가지기 때문에 그 평균을 취하면 오차가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망원경 정위와 반위 위치에서의 관측값을 평균내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진법에 의한 평판측량에서 전 측선의 길이가 600m이고 축척 1:300도면 위의 폐합오차가 2.0mm일 떄 정밀도는?

  1. 1/300
  2. 1/500
  3. 1/600
  4. 1/1000
(정답률: 27%)
  • 전진법에 의한 평판측량에서 정밀도는 폐합오차를 전 측선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정밀도 = 폐합오차 / 전 측선의 길이 입니다.

    주어진 문제에서 전 측선의 길이는 600m이고, 폐합오차는 2.0mm입니다. 따라서, 정밀도 = 2.0mm / 600m = 0.00333...m/m입니다.

    이 값을 보기에서 주어진 축척으로 변환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300 축척에서 1m는 300mm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밀도 = 0.00333...m/m = 0.00333...m / 300mm = 0.0111... = 1/90

    1:500 축척에서 1m는 500mm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밀도 = 0.00333...m/m = 0.00333...m / 500mm = 0.00666... = 1/150

    1:600 축척에서 1m는 600mm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밀도 = 0.00333...m/m = 0.00333...m / 600mm = 0.00555... = 1/180

    1:1000 축척에서 1m는 1000mm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밀도 = 0.00333...m/m = 0.00333...m / 1000mm = 0.00333... = 1/300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1000"인 이유는 축척이 1:1000일 때 정밀도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방위각 105° 39‘ 42“에 대한 방위는?

  1. N 15° 39' 42" W
  2. S 15° 39' 42" E
  3. S 74° 20' 18" E
  4. N 74° 20' 18" E
(정답률: 68%)
  • 방위각은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105° 39‘ 42“는 북쪽에서부터 105° 39‘ 42“만큼 동쪽으로 떨어진 방향을 나타냅니다.

    그러면 이 방향을 남쪽으로 돌리면 얼마나 돌려야 하는지 계산해야 합니다. 180°를 더하면 북쪽에서부터 서쪽으로 74° 20' 18"만큼 떨어진 방향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동쪽으로 떨어진 방향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동쪽으로 90° 돌린 값인 S 74° 20' 18" 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이 삼각점 A, B를 연결하는 결합 트래버스 측량을 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측각오차는 얼마인가? (단, Wa=33° 54' 17", Wb=34° 36' 42", Σα=900° 42‘ 35“)

  1. -10“
  2. +10“
  3. -15“
  4. +15“
(정답률: 58%)
  • 결합 트래버스 측량에서 측정된 총 각도는 A와 B의 내각의 합과 같다. 따라서,

    A내각 + B내각 = 180° - (Wa + Wb) + Σα
    = 180° - (33° 54' 17" + 34° 36' 42") + 900° 42‘ 35“
    = 900° 10' 36"

    이제 A와 B의 내각을 구해보자. A와 B의 외각은 각각 Wa와 Wb이므로,

    A외각 = 180° - Wa = 146° 5' 43"
    B외각 = 180° - Wb = 145° 23' 18"

    따라서 A와 B의 내각은 각각,

    A내각 = 180° - A외각 = 33° 54' 17"
    B내각 = 180° - B외각 = 34° 36' 42"

    따라서 측각오차는 A와 B의 내각의 합에서 측정된 총 각도를 뺀 값이다.

    측각오차 = A내각 + B내각 - (A내각 + B내각) = 900° 10' 36" - (33° 54' 17" + 34° 36' 42") = 900° 10' 36" - 68° 31' 59" = 899° 41' 37"

    따라서 측각오차는 -15"이다. 정답은 "-10"이 아니라 "-15"인데, 이유는 측각오차를 반올림할 때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5"를 반올림하면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평판을 세울 떄의 오차 중 측량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오차는?

  1. 수평 맞추기 오차
  2. 중심 맞추기 오차
  3. 방향 맞추기 오차
  4. 표준오차
(정답률: 76%)
  • 평판을 세울 때 중심과 수평을 맞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이러한 작업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방향 맞추기 오차입니다. 이는 평판을 세울 때 사용되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와 사용자의 기술 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방향 맞추기 오차가 크면 평판의 각도가 크게 틀어져 결과적으로 평판의 안정성과 정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방향 맞추기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평판을 세울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평각 측정법 중 가장 간단한 측정 방법으로 높은 정확도를 요하지 않을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1. 단측법
  2. 배각법
  3. 방향각법
  4. 조합각 관측법
(정답률: 61%)
  • 단측법은 수평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하고 빠르며 정확도를 요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수평선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할 때, 수평선과 수직선을 이루는 기둥이나 기둥의 일부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이 방법은 측정 대상물과 측정기의 위치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간단하고 빠르기 때문에 일상적인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삼각측량에서 변길이와 좌표의 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측각 조정 전에 변의 길이와 좌표를 계산한다.
  2. sine법칙을 이용한다.
  3. 측점의 좌표계산은 합위거, 합경거를 구하면 된다.
  4. 음의 대수 계산에 대한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역대수(colog)를 사용한다.
(정답률: 29%)
  • "관측각 조정 전에 변의 길이와 좌표를 계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삼각측량에서는 관측한 각도를 조정하여 정확한 값을 얻기 때문에 관측각 조정 후에 변의 길이와 좌표를 계산합니다. 이는 관측한 각도가 조정되기 전에 계산된 값은 부정확하고 오차가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이 각을 측정한 결과 ∠A=20° 15' 30", ∠B=40° 15' 20", ∠C=10° 30' 10", ∠D=71° 01' 12"이었다면 ∠C와 ∠D의 보정값으로 옳은 것은?

  1. ∠C=10° 30' 10", ∠D=71° 01' 00"
  2. ∠C=10° 30' 14", ∠D=71° 01' 08"
  3. ∠C=10° 30' 07", ∠D=71° 01' 10"
  4. ∠C=10° 30' 13", ∠D=71° 01' 09"
(정답률: 42%)
  • 각도의 보정값은 각도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각도 측정 시 사용된 도구의 정확도와 측정 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정값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각도 측정 결과가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기반으로 각도의 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각도의 보정값은 보통 각도 측정 시 발생하는 최대 오차의 절반을 더하거나 빼서 구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각도 측정 시 발생하는 최대 오차의 절반을 더하거나 빼서 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C의 경우, 측정 결과가 10° 30' 10"이므로, 최대 오차의 절반을 더하거나 빼서 보정값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보정값 = 10° 30' 10" ± (최대 오차의 절반)
    = 10° 30' 10" ± 0° 00' 01"
    = 10° 30' 09" 또는 10° 30' 11"

    따라서, 보기 중에서 ∠C=10° 30' 13"이 옳은 것은 아닙니다. 옳은 답은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10° 30' 09"가 됩니다.

    ∠D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측정 결과가 71° 01' 12"이므로, 최대 오차의 절반을 더하거나 빼서 보정값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보정값 = 71° 01' 12" ± (최대 오차의 절반)
    = 71° 01' 12" ± 0° 00' 06"
    = 71° 01' 06" 또는 71° 01' 18"

    따라서, 보기 중에서 ∠D=71° 01' 09"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각측정기의 망원경 배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물렌즈의 초점거리(F)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f)와의 비(F/f)를 말한다.
  2. 접안렌즈의 초점거리(f)와 대물렌즈의 초점거리(F)와의 비(f/F)를 말한다.
  3. 접안렌즈로부터 기계중심까지의 거리(c)와 기계중심에서 대물렌즈지의 거리(C)와의 비 (C/c)를 말한다.
  4. 대물렌즈로부터 기계중심까지의 거리(C)와 기계중심에서 접안렌즈까지의 거리(c)와의 비(c/C)를 말한다.
(정답률: 50%)
  • 망원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 비율로 나타낸다. 이는 대물렌즈에서 모은 빛을 접안렌즈로 집중시켜 더 큰 확대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물렌즈의 초점거리(F)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f)와의 비(F/f)를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거리측량의 경중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측량거리 및 기타조건은 같다.)

  1. 경중률은 관측 횟수에 반비례한다.
  2. 경중률은 관측 횟수에 비례한다.
  3. 경중률은 관측 횟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경중률은 관측 횟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경중률은 관측 횟수에 비례한다."입니다.

    경중률은 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측량 거리와 기타 조건이 같을 때 관측 횟수가 많을수록 경중률은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관측 횟수가 많을수록 오차를 보정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중률은 관측 횟수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트래버스의 종류 중에서 측량 결과에 대한 점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노선 측량의 답사 등에 주로 이용되는 트래버스는?

  1. 트래버스 망
  2. 폐합 트래버스
  3. 개방 트래버스
  4. 결합 트래버스
(정답률: 67%)
  • 개방 트래버스는 측량 결과에 대한 점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노선 측량의 답사 등에 주로 이용되는 트래버스입니다. 이는 개방 트래버스가 측량 결과를 기록하지 않고, 단순히 노선을 따라 이동하며 측량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 결과를 확인하고 검증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트래버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준측량의 야장기입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단지 두 점 사이의 고저차를 구하는 것이 주목적일 때 사용되는 것은?

  1. 승강식
  2. 고차식
  3. 기차식
  4. 교호식
(정답률: 75%)
  • 고차식은 두 점 사이의 고저차를 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에 따른 고저차를 계산하여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측정이 간단하고 빠르며, 정확도도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단지 두 점 사이의 고저차를 구하는 것이 주목적일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단삼각망에서 ∠A의 보정각은?

  1. 79° 34‘ 50“
  2. 79° 34‘ 55“
  3. 79° 34‘ 57“
  4. 79° 34‘ 59“
(정답률: 55%)
  • 단삼각망에서는 ∠A + ∠B + ∠C = 180° 이므로 ∠A의 보정각은 180° - (∠B + ∠C)입니다.

    주어진 삼각형에서 ∠B = 50° 25‘ 03“, ∠C = 50° 00‘ 00“ 이므로 ∠A의 보정각은

    180° - (50° 25‘ 03“ + 50° 00‘ 00“) = 79° 34‘ 57“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9° 34‘ 5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트래버스 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답사 → 조표 → 선점 → 관측 → 방위각 계산
  2. 답사 → 선점 → 조표 → 관측 → 방위각 계산
  3. 선점 → 답사 → 조표 → 방위각 계산 → 관측
  4. 선점 → 조표 → 답사 → 과측 → 방위각 계산
(정답률: 76%)
  • 트래버스 측량에서는 먼저 측량 지역을 답사하여 지형을 파악하고, 이후에 조표를 설정하여 측량 기준점을 정확히 설정합니다. 그리고 선점 작업을 통해 측량 기준점과 측량 대상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측을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방위각을 계산하여 측량 결과를 정확히 도출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답사 → 선점 → 조표 → 관측 → 방위각 계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형도에서 지표의 같은 높이 지점을 연결한 곡선은?

  1. 도화선
  2. 방사선
  3. 등고선
  4. 시준선
(정답률: 82%)
  • 지형도에서 지표의 같은 높이 지점을 연결한 곡선을 등고선이라고 합니다. 이는 지형의 높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지형의 고저차이와 경사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GPS를 이용하여 시간의 오차도 미지수로 포함한 3차원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최소 몇 대의 위성이 필요한가?

  1. 1대
  2. 2대
  3. 3대
  4. 4대
(정답률: 83%)
  • GPS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시간의 오차를 보정하고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3차원 공간에서 3개의 미지수(x, y, z)와 시간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1개의 미지수(t)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소 4대의 위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하천, 항만, 해양 등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표고 또는 수심을 측정하여 도상에 숫자로 기입하는 방법은?

  1. 점고법
  2. 영선법
  3. 음영법
  4. 등고선법
(정답률: 72%)
  • 점고법은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 중 하나로, 하천, 항만, 해양 등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표고 또는 수심을 측정하여 도상에 숫자로 기입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지형의 높낮이를 점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수치적인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지형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노선측량에서 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반지름 R=150m, 교각 I=60°이다. 접선장(T.L)의 값은?

  1. 9.31m
  2. 43.30m
  3. 46.53m
  4. 86.60m
(정답률: 55%)
  • 접선장(T.L)은 곡선의 중심에서 곡선과 접하는 접선과의 교점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곡선반지름 R과 교각 I가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접선장(T.L)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장(T.L) = R × tan(I/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접선장(T.L) = 150 × tan(60/2) ≈ 86.60m

    따라서, 정답은 86.6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측량의 결과가 얻어졌다. 절토량과 성토량이 같은 기준면상의 높이는 얼마인가? (단, 직사각형 구역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다.)

  1. 1.55m
  2. 1.65m
  3. 1.75m
  4. 1.85m
(정답률: 47%)
  • 직사각형 구역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절토량과 성토량의 차이는 높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절토량과 성토량의 차이를 구하고, 이를 2로 나누면 기준면상의 높이가 된다.

    절토량 = 2.5m, 성토량 = 1.0m 이므로, 차이는 1.5m 이다.

    1.5m / 2 = 0.75m 이므로, 기준면상의 높이는 1.0m + 0.75m = 1.75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7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차량이 도로의 곡선부로 달이게 되면 원심력이 생겨 도로 바깥쪽으로 밀리려 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 안쪽보다 바깥쪽을 높여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레일(R)
  2. 플랜지(F)
  3. 슬랙(S)
  4. 캔트(C)
(정답률: 82%)
  • 캔트는 도로 안쪽보다 바깥쪽을 높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차량이 곡선부로 달리면 원심력에 의해 도로 바깥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캔트를 사용합니다. 레일은 철도에서 사용되는 것이고, 플랜지는 바퀴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합니다. 슬랙은 느슨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면적 계산에서 삼각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하는 삼각형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등고선법
  2. 삼사법
  3. 협각법
  4. 삼변법
(정답률: 67%)
  • 등고선법은 삼각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형의 고저차를 등고선으로 나타내어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삼각형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노선을 설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노선은 가능한 직선으로 한다.
  2. 배수가 잘되는 곳이어야 한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는 가급적 길게 한다.
  4. 경사를 완만하게 한다.
(정답률: 87%)
  •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는 가급적 길게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절토 및 성토는 운반 거리가 멀어질수록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한 짧은 거리로 운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삼각형 세 변만을 알 때 면적을 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삼변법
  2. 혈각법
  3. 삼사법
  4. sin 법칙
(정답률: 80%)
  •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은 삼변법입니다. 삼변법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알고 있을 때, 해리올의 공식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계산이 간단하고 정확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곡선설치법 중 중앙 종거법의 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규모 보도의 설치
  2. 시가지의 곡선 설치
  3. 기설치된 곡선의 검사
  4. 고속도로의 완화곡선 설치
(정답률: 50%)
  • 고속도로의 완화곡선 설치는 중앙 종거법이 아닌 곡선의 반경과 중심각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이다.

    고속도로의 완화곡선 설치는 고속도로에서 차량의 고속운행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완화곡선은 직선 도로와 곡선 도로의 연결부분에서 차량의 속도를 서서히 감속시켜 안전한 주행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GPS 측량의 제어(관제)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어부분은 위성들을 매일 같이 관리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2. 위성을 추적하여 각 위성의 상태를 체크한다.
  3. 위성의 각종 정보를 갱신하거나 예측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4. GPS 수신기와 안테나, 자료 처리 소프트웨어 및 측량 기법들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63%)
  • 위성을 추적하고 상태를 체크하는 역할은 GPS 측량의 제어(관제)부분이 아니라 위성 운영 담당 기관의 역할이다. 따라서 "위성을 추적하여 각 위성의 상태를 체크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단곡선에서 교각(I)가 45°, 반지름(R)이 100m, 곡선시점(B.C)의 추가거리가 120.85m일 때 곡선종점(E.C)의 추가거리는?

  1. 78.53m
  2. 124.53m
  3. 199.39m
  4. 225.39m
(정답률: 46%)
  • 단곡선에서 교각이 45°이므로, 교각의 중심각은 90°입니다. 이때 교각의 길이는 반지름의 루트 2배가 됩니다. 따라서 교각의 길이는 100루트2m입니다.

    또한, 곡선시점의 추가거리는 교각의 길이와 같습니다. 따라서 곡선시점의 추가거리는 100루트2m입니다.

    따라서 곡선종점의 추가거리는 곡선시점의 추가거리와 B.C와 E.C 사이의 거리의 합입니다. B.C와 E.C 사이의 거리는 반지름의 루트 2배가 되므로, 100루트2 x 2 = 200m입니다.

    따라서 곡선종점의 추가거리는 100루트2m + 200m = 199.39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99.39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곡선 설치에서 B.C=No.35+10.15m, E.C=No40+12.15m 일 때, 곡선장 C.L의 길이는? (단, 중심 말뚝간 거리는 20m 이다.)

  1. 88.15m
  2. 95.00m
  3. 98.15m
  4. 102.00m
(정답률: 30%)
  • B.C와 E.C의 번호는 각각 35와 40이므로, B.C와 E.C 사이의 거리는 5번 구간인 50m이다. 따라서, 곡선의 중심점은 35+10.15+20=65.15m 지점에 위치한다. 이때, 곡선의 반경은 중심 말뚝간 거리인 20m이므로, 반경 R=20m이다. 곡선의 길이는 L=2πR×(중심각/360)으로 구할 수 있다. 중심각은 B.C와 E.C를 잇는 호의 중심각이므로, sin(중심각/2)=20/R=20/20=1이다. 따라서, 중심각은 2sin⁻¹(1)=2×90°=180°이다. 따라서, 곡선의 길이는 L=2πR×(중심각/360)=2π×20×(180/360)=2π×20=40π≈125.66m이다. 따라서, 정답은 "102.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등고선 간격이 5m이고 제한 경사가 5%일 때 각 등고선의 수평 거리는?

  1. 100m
  2. 150m
  3. 200m
  4. 250m
(정답률: 45%)
  • 제한 경사가 5%이므로 100m 거리에서 고도는 5m 상승합니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이 5m일 때 각 등고선의 수평 거리는 1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한 파장의 길이가 가장 긴 GPS 신호는?

  1. L1
  2. L2
  3. C/A
  4. P
(정답률: 52%)
  • 정답은 "L1"이 아니라 "C/A"입니다. GPS 신호는 여러 개의 파장을 가지고 있지만, C/A (Coarse/Acquisition) 신호는 L1 파장을 사용합니다. L1 파장의 길이는 약 19cm이고, C/A 신호는 이 파장을 이용하여 전송됩니다. 따라서 C/A 신호가 가장 긴 GPS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노선측량에서 단곡선을 설치할 때 반지름이 300m이고 도로시점으로부터 곡선시점까지의 거리가 427.68, 곡선 종점까지의 거리는 554.39m일 때 종단현의 길이는?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 이다.)

  1. 5.61m
  2. 7.68m
  3. 12.32m
  4. 14.39m
(정답률: 2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A, B점의 표고가 각각 1110m, 1128m 이고 AB의 거리가 36m일 때 1122m의 등고선은 A점으로부터 몇 m의 거리에 있는가?

  1. 22m
  2. 24m
  3. 26m
  4. 28m
(정답률: 55%)
  • 1122m의 등고선은 A와 B의 중간 지점인 C에서 AB 직선과 수직이 교차하는 지점이다. 이 때 AC의 길이를 구하면 된다.

    AC의 길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AC^2 = AB^2 - BC^2

    BC는 A와 B의 고도 차이이므로 1128m - 1110m = 18m이다.

    따라서,

    AC^2 = 36^2 - 18^2 = 1080

    AC = √1080 = 6√30

    따라서, AC는 약 24m이다. 따라서 정답은 "2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체절계산 방법이 아닌 것은?

  1. 지거법
  2. 단면법
  3. 점고법
  4. 등고선법
(정답률: 55%)
  • "지거법"은 체절계산 방법이 아닙니다. "지거법"은 지형지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지형지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체절계산 방법은 지형지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형지물의 경사를 계산하여 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지거법"은 체절계산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이 성토된 제방의 단면적은?

  1. 12.7m2
  2. 16.0m2
  3. 18.7m2
  4. 20.0m2
(정답률: 49%)
  • 제방의 단면적은 삼각형과 사각형의 넓이의 합이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이 2m, 높이가 4m이므로 4m x 2m / 2 = 8m2 이다. 사각형의 넓이는 밑변이 4m, 높이가 2m이므로 4m x 2m = 8m2 이다. 따라서 제방의 단면적은 8m2 + 8m2 = 16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0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종단곡선으로 주로 사용되는 곡선은?

  1. 원곡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3차 포물선
  4. 렘니스케이트 곡선
(정답률: 64%)
  • 종단곡선은 회전체의 단면이 되는 곡선으로, 원곡선은 가장 간단하면서도 대칭성이 뛰어나며 회전체의 단면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곡선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원은 수학적으로도 다루기 쉽고, 컴퓨터 그래픽에서도 쉽게 구현할 수 있어 종단곡선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원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단곡선
  2. 복심 곡선
  3. 완화 곡선
  4. 반항 곡선
(정답률: 47%)
  • 완화 곡선은 원래의 곡선에서 곡률을 완화시켜 부드러운 곡선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원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완화 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형측량에서 주곡선 간격의 1/2의 거리를 파선으로 표시하는 등고선은?

  1. 반곡선
  2. 간곡선
  3. 조곡선
  4. 계곡선
(정답률: 60%)
  • 간곡선은 지형의 경사가 완만한 부분에서 주곡선 간격의 1/2 거리를 파선으로 표시하는 등고선입니다. 따라서, 지형의 완만한 부분을 나타내는 등고선으로 간곡선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총길이 L=13인 각주의 양 단면적 A1=3m2, A2=2m2, 중앙 단면적 Am=2.5m2일 때 이 각주의 체적은? (단, 각주 공식을 사용한다.)

  1. 32.5m3
  2. 33.5m3
  3. 36.5m3
  4. 37.5m3
(정답률: 43%)
  • 각주의 체적은 V = A1 + A2 + 4Am 이다.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V = 3 + 2 + 4(2.5) = 3 + 2 + 10 = 15 이다. 따라서 정답은 "36.5m3"이 아니라 "32.5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형측량의 일반적인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1. 답사 → 세부측량 → 골조측량 → 지형도제작
  2. 세부측량 → 골조측량 → 답사 → 지형도제작
  3. 답사 → 골조측량 → 세부측량 → 지형도제작
  4. 골조측량 → 답사 → 세부측량 → 지형도제작
(정답률: 81%)
  • 답사는 현장을 파악하는 작업으로, 지형의 특징과 장애물 등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지형측량의 첫 단계로 진행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골조측량으로 지형의 기본적인 형태와 크기를 파악합니다. 이후에는 세부측량으로 지형의 세부적인 부분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지형도를 제작합니다. 따라서 옳은 작업순서는 "답사 → 골조측량 → 세부측량 → 지형도제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GPS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차원 측량을 동시에 할 수 있다.
  2. 측량 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3. 극 지방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4. 하루 24시간 어느 시간에서나 이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84%)
  • "극 지방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GPS 위성의 위치와 수신기의 위치에 따라 신호의 강도와 수신 가능성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극 지방에서는 위성의 수신 각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GPS 신호를 수신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극 지방에서는 GPS 측량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