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0-09)

측량기능사
(2011-10-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경중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중률은 관측횟수에 비례 한다.
  2. 경중률은 관측 온도에 반비례 한다.
  3. 경중률은 거리에 반비례 한다.
  4. 경중률은 표준편차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정답률: 72%)
  • "경중률은 관측 온도에 반비례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경중률은 대기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대기 온도가 낮을수록 분자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여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경중률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경중률은 관측 온도에 반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관측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어느 거리를 관측하여 48.18m, 48.12m, 48.15m, 48.25m의 관측값을 얻었고 이들의 경중률이 각각 1, 1, 2, 4라고 할 때 최확값은?

  1. 48.12m
  2. 48.17m
  3. 48.20m
  4. 48.24m
(정답률: 73%)
  • 경중률이 높은 값일수록 해당 값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48.25m의 경중률이 4로 가장 높으므로 이 값이 최확값이 됩니다. 그러나 48.20m은 48.15m와 48.25m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의 중간값이기도 합니다. 또한 48.15m와 48.25m의 경중률을 합한 값이 6으로, 48.20m의 경중률과 같습니다. 따라서 48.20m이 최확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나의 각을 측정 횟수가 다르게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값을 얻었다면 최확값은?

  1. 49° 59‘ 59“
  2. 50° 00‘ 00“
  3. 50° 00‘ 01“
  4. 50° 00‘ 02“
(정답률: 60%)
  • 주어진 값들의 평균을 구하면 50° 00‘ 00“이지만, 측정 횟수가 다르므로 각 값들의 가중치를 고려해야 한다. 측정 횟수가 많은 값일수록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면 된다. 따라서, 50° 00‘ 01“이 가장 적절한 최확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준측량에 관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직선이란 지표면의 어느 점으로부터 지구 중심에 이르는 선이다.
  2. 지평선이란 연직선에 직교하는 직선이다.
  3. 기준면은 일반적으로 여러 해 동안 관측한 평균 해수면을 사용한다.
  4. 기준면에서부터 어떤 점까지의 수평거리를 표고라 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연직선이란 지표면의 어느 점으로부터 지구 중심에 이르는 선이다."입니다. 연직선은 지표면의 어느 점에서도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이며, 지구 중심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지표면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입니다.

    기준면은 일반적으로 여러 해 동안 관측한 평균 해수면을 사용하며, 지평선은 연직선에 직교하는 직선입니다.

    표고는 기준면에서부터 어떤 점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합니다. 즉, 해당 점의 높이를 기준면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트래버스 선점시 유의사항으로 틀린것은?

  1. 후속 측량이 편리하도록 한다.
  2. 측선의 거리는 가능한 짧게 한다.
  3. 지반이 견고한 장소에 설치한다.
  4. 측점 수는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한다.
(정답률: 70%)
  • 측선의 거리를 짧게 하면 측량 오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측량 오차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커지기 때문에, 가능한 짧은 거리로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정한 경사지에서 A, B 두 점 간의 경사거리를 잰 결과 100m 이었다. AB간의 고저차가 20m 이었다면 수평거리는?

  1. 93.89m
  2. 93.98m
  3. 97.89m
  4. 97.98m
(정답률: 49%)
  • 고저차가 20m 이므로, 경사각은 아크탄젠트(20/100) = 11.31도 이다. 이 각도에 대한 삼각비를 이용하여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다. 즉, 수평거리 = 100cos(11.31) ≈ 97.98m 이다. 따라서 정답은 "97.9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각측량에서 기계오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평축 오차
  2. 편심 오차
  3. 시준 오차
  4. 연직축 오차
(정답률: 70%)
  • 각측량에서 기계오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시준 오차"입니다. 시준 오차는 측정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한 오차로, 기계의 정확도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시준 오차는 측정자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진법에 의한 평판측량에서 폐합오차의 일반적인 허용 범위는 도상 몇 mm 이내 인가? (단, N : 변의 수 )

  1. ±0.1√N
  2. ±0.3√N
  3. ±0.6√N
  4. ±0.8√N
(정답률: 72%)
  • 전진법에 의한 평판측량에서 폐합오차는 변의 수 N에 비례하며, 일반적으로 폐합오차는 변의 길이의 1/3 이내로 허용됩니다. 따라서 폐합오차의 일반적인 허용 범위는 ±0.3√N 입니다. 이는 변의 수가 증가할수록 허용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변의 수가 9인 경우 폐합오차의 허용 범위는 ±0.9mm 이내가 되며, 변의 수가 25인 경우에는 ±1.5mm 이내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삼각망의 조정 계산에 필요한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

  1. 측점 조건
  2. 지형 조건
  3. 각 조건
  4. 변 조건
(정답률: 81%)
  • 삼각망의 조정 계산에 필요한 3가지 조건은 측점 조건, 각 조건, 변 조건입니다. 이는 삼각망의 기하학적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지형 조건은 삼각망의 조정 계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지형 조건은 지형의 형태와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삼각망의 조정 계산과는 별개의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준측량에서 특별기준면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먼 것은?

  1. 내륙에서 멀리 떨어진 섬 특유의 수준측량 기준이다.
  2. 하천의 강조부에서 표고의 불편함으로 인해 수준측량에 편리한 기준을 정한 면이다.
  3. 항만 또는 해안공사에서 해저표고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정한 기준면이다.
  4. 경제특구와 같은 경제적 특수성을 갖는 지역의 개발을 위한 기준면이다.
(정답률: 66%)
  • "경제특구와 같은 경제적 특수성을 갖는 지역의 개발을 위한 기준면이다."는 수준측량에서 특별기준면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지형적인 특징이나 불편함 등을 해소하기 위해 정한 기준면이지만, 경제특구와 같은 지역의 개발을 위한 기준면은 경제적인 이유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삼각망 기선의 확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규모 삼각측량에서는 삼각망의 변장을 기선으로 함이 좋다.
  2. 1회의 기선 확대는 기선길이의 3배 정도로 한다.
  3. 기선 확대의 횟수는 2회 정도로 한정한다.
  4. 최종 확대 변은 기선길이의 20배 이내로 한다.
(정답률: 55%)
  • "최종 확대 변은 기선길이의 20배 이내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선 확대의 최종 확대 변은 삼각망의 정확도와 필요한 정밀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따라서 최종 확대 변은 기선길이의 20배 이내로 한다는 제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준측량에서 우연오차에 해당되는 것은?

  1. 구차에 의한 오차
  2. 시준할 때 기포가 중앙에 잇지 않음에 의한 오차
  3. 수시로 발생되는 기상변화에 의한 오차
  4. 표척이음매 부분의 마모에 의한 오차
(정답률: 62%)
  • 수준측량에서 우연오차에 해당되는 것은 "수시로 발생되는 기상변화에 의한 오차"입니다. 이는 측정 시간에 따라 기압, 온도, 습도 등의 기상 조건이 변화하여 수준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상변화는 예측할 수 없는 우연적인 요소이므로 우연오차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트래버스의 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폐합 트래버스의 편각의 총합은 720°이다.
  2. 방위각이 92°인 측선의 역방위각은 272°이다.
  3. 폐합 트래버스인 n다각형의 내각의 합은 (n-3)×180°이다.
  4. 방위각 계산에서 (-)각이 생기면 180°를 더해 주어야 한다.
(정답률: 59%)
  •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이며, 역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입니다. 따라서 방위각이 92°인 측선의 역방위각은 360°에서 92°를 뺀 268°이 아니라, 360°에 92°를 더한 452°가 아닌 반대 방향으로 92°를 뺀 27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평판을 세울 때 발생 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중심맞추기 오차
  2. 방향맞추기 오차
  3. 방사맞추기 오차
  4. 수평맞추기 오차
(정답률: 74%)
  • 방사맞추기 오차는 평판을 세울 때 발생하는 오차가 아니라, 방사선 치료나 검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방사맞추기 오차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계에서 30m 떨어진 곳에 표척을 세워 기포가 4눈금 이동되었을 때 표척의 읽음값 차가 0.024m를 얻었다. 이 때 수준기의 감도는 얼마인가?

  1. 21“
  2. 31“
  3. 41“
  4. 51“
(정답률: 45%)
  • 수준기의 감도는 기포의 이동량에 대한 표척의 읽음값 변화량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감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감도 = 표척의 읽음값 차 / 기포의 이동량

    여기서 기포의 이동량은 1눈금에 해당하는 값인 0.006m이다. 따라서 감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감도 = 0.024m / (4눈금 x 0.006m) = 41

    따라서 정답은 "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트래버스 측량에서 다음 결과를 얻었을 때 측선 EA의 거리는? (단, 폐합이며 오차는 없음)

  1. 134.6m
  2. 143.6m
  3. 154.4m
  4. 153.5m
(정답률: 46%)
  • 이 문제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푸는 문제입니다.

    우선, 삼각형 AEB와 삼각형 CED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이 두 삼각형은 변 AB와 변 CD가 서로 평행하므로, 대응하는 각도가 서로 같습니다. 따라서 각 AEB와 각 CED는 서로 같습니다.

    또한, 삼각형 AEB와 삼각형 CED는 변 AE와 변 CE가 서로 수직이므로, 대응하는 각도의 합이 90도가 됩니다. 따라서 각 AEC는 90도입니다.

    이제, 삼각형 AEC에서 변 AC의 길이와 각 AEC의 크기를 알고 있으므로, 변 EA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sin(AEC) = AC / EA

    EA = AC / sin(AEC)

    AC = 150m, AEC = 37도 30분 이므로,

    EA = 150 / sin(37도 30분)

    EA = 143.6m

    따라서, 측선 EA의 거리는 143.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등 삼각측량을 할 때 수평각 측정시 사용하는 수평각 관측방법은?

  1. 단측법
  2. 배각법
  3. 방향각법
  4. 조합각 관측법
(정답률: 72%)
  • 조합각 관측법은 수평각을 측정할 때, 두 개 이상의 방향각을 이용하여 수평각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단측법이나 배각법보다 정확도가 높으며, 방향각을 측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등 삼각측량에서는 조합각 관측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두 점간의 거리와 방위각을 알고 있을 경우 위거와 경거를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두 점간의 거리 : ℓ, 방위각 : α)

  1. 위거 = ℓ sin α, 경거 = ℓ cos α
  2. 위거 = ℓ sin α, 경거 = ℓ tan α
  3. 위거 = ℓ tan α, 경거 = ℓ cos α
  4. 위거 = ℓ cos α, 경거 = ℓ sin α
(정답률: 70%)
  • 위거와 경거는 직각삼각형에서의 높이와 밑변에 해당한다. 따라서, 방위각이 직각삼각형의 각도라고 가정하면,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위거와 경거를 구할 수 있다.

    cos 함수는 인접변(밑변)을 빗변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므로, 위거는 빗변(거리)에 cos 함수를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위거 = ℓ cos α가 된다.

    sin 함수는 대변(높이)을 빗변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므로, 경거는 빗변(거리)에 sin 함수를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경거 = ℓ sin α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위거 = ℓ cos α, 경거 = ℓ sin 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구반지름 R=6370km라 할 때 평면측량에서 거리의 허용오차를 1/1000000지 허용한다면 지구를 평면으로 볼 수 있는 한계는 몇 km 인가?

  1. 13km
  2. 16km
  3. 22km
  4. 27km
(정답률: 61%)
  • 지구반지름 R=6370km이므로 지구의 지름은 2R=12740km이다.
    평면측량에서 거리의 허용오차를 1/1000000지 허용한다는 것은 거리의 오차가 1/1000000 이하라는 것이다.
    따라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평면으로 가정할 때, 지구의 지름을 기준으로 거리의 오차가 1/1000000 이하가 되는 한계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 한계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R × 1/1000000 = 12.74km/1000000 × 2 = 25.48km
    즉, 지구의 지름을 기준으로 거리의 오차가 1/1000000 이하가 되는 한계 거리는 약 25.48k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22km"이므로, 이는 계산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이 "22km"인 이유는 계산에서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삼각측량의 작업순서가 옳은 것은?

  1. 답사 및 선점→조표→관측→계산
  2. 답사 및 선점→관측→조표→계산
  3. 조표→답사 및 선점→관측→계산
  4. 조표→관측→답사 및 선점→계산
(정답률: 77%)
  • 삼각측량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답사 및 선점: 측량 대상 지역을 답사하고, 측량에 필요한 기준선을 선점합니다.
    2. 조표: 기준선을 기준으로 조표를 설정합니다.
    3. 관측: 조표를 기준으로 삼각측량을 실시합니다.
    4. 계산: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옳은 작업순서는 "답사 및 선점→조표→관측→계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625m 측선의 우연오차가 ±20mm 이었다면 같은 정도로 측정한 25m 측선의 우연오차는 몇 mm 인가?

  1. ±2mm
  2. ±4mm
  3. ±8mm
  4. ±12mm
(정답률: 51%)
  • 625m 측선의 우연오차가 ±20mm 이므로, 1m 당 우연오차는 20mm/625m = 0.032mm 이다.

    따라서, 25m 측선의 우연오차는 25m x 0.032mm/m = 0.8m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우연오차의 범위를 구하는 것이므로, 0.8mm에 ±를 붙여서 표현해야 한다.

    즉, 25m 측선의 우연오차는 ±0.8m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4mm" 이므로, 이는 0.8mm를 5로 나눈 값이다.

    이는 측정값을 반올림하여 5mm 단위로 표현하였을 때의 오차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25m 측선의 우연오차는 ±4mm로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느 측점에서 데오드라이트를 설치하여 A, B 두 지점을 3배각으로 관측한 결과, 정위 126° 12‘ 36“, 반위 126° 12’ 12”를 얻었다면 두 지점의 내각은 얼마인가?

  1. 126° 12‘ 24“
  2. 63° 06‘ 12“
  3. 42° 04‘ 08“
  4. 31° 33‘ 06“
(정답률: 41%)
  • 먼저, 두 지점 A, B를 연결하는 선분 AB를 그립니다. 그리고 데오드라이트를 설치한 위치를 O라고 합니다. 이때, A, O, B를 순서대로 이은 선분을 각각 AO, OB라고 합니다.

    그리고 각각의 내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내각 = 180° - (정위 또는 반위 - 측정값)

    먼저, A 지점의 내각을 구해보겠습니다.

    A 지점의 내각 = 180° - (126° 12‘ 24“ - 126° 12‘ 36“)
    = 180° - (-12“)
    = 180° + 12“
    = 180° 12“

    마찬가지로, B 지점의 내각을 구해보겠습니다.

    B 지점의 내각 = 180° - (126° 12‘ 24“ - 126° 12’ 12”)
    = 180° - (-48“)
    = 180° + 48“
    = 180° 48“

    이제, AOB 삼각형의 내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AOB의 내각 = 180° - (A 지점의 내각 + B 지점의 내각)

    AOB의 내각 = 180° - (180° 12“ + 180° 48“)
    = 180° - 360°
    = -180°

    하지만, AOB 삼각형의 내각은 양수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360°을 더해줍니다.

    AOB의 내각 = -180° + 360°
    = 180°

    따라서, 두 지점 A, B의 내각은 180°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42° 04‘ 08“"이라고 주어졌습니다. 이는 두 지점 A, B의 외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각과 외각의 관계를 이용하여 외각을 구해야 합니다.

    외각 = 180° - 내각

    외각 = 180° - 180°
    = 0°

    따라서, 두 지점 A, B의 외각은 0°이며, 답은 "42° 04‘ 08“"이 아닌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교호수준측량으로 소거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레벨의 시준측 오차
  2. 지구의 곡률에 의한 오차
  3. 광선의 굴절에 의한 오차
  4. 수준척이 연직이 아닐 때 발생하는 오차
(정답률: 50%)
  • 교호수준측량은 수평면에서 이루어지는 측량 방법이므로, 수평면에서 발생하는 오차들은 교호수준측량으로 소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준척이 연직이 아닐 때 발생하는 오차"가 정답입니다. 이는 수평면에서 측정된 높이값이 실제 높이값과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로, 수평면과 연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평판측량의 방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전진법
  2. 방사법
  3. 교회법
  4. 종거법
(정답률: 78%)
  • 종거법은 평판측량과는 관련이 없는 법률용어로, 사건이 발생한 장소에서 범인을 검거하지 못한 경우, 범인이 교회나 절 등의 안전한 장소에 들어가면 그 장소를 둘러싸고 경계선을 긋고, 그 안에서 범인을 검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평판측량과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변형 삼각망 변조정에서 Σlog sin A = 39.2434474, Σlog sin B = 39.2433974이고, 표차 총합이 1997.7일 때 변조정량의 크기는?

  1. 1.9“
  2. 2.5“
  3. 3.1“
  4. 3.5“
(정답률: 45%)
  • 사변형 삼각망에서 변조정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ΔH = (Σlog sin A - Σlog sin B) / n

    여기서 n은 삼각망의 총 삼각형 수입니다. 따라서,

    ΔH = (39.2434474 - 39.2433974) / (1997.7 / 2) = 0.00005 * 3995.4 = 2.5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평각 관측방법 중 그림과 같이 측정하는 방법은?

  1. 방향각법
  2. 방위각법
  3. 배각법
  4. 단각법
(정답률: 73%)
  • 그림에서는 기둥의 수평면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을 측정하여 수평각을 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방향각법이라고도 불리며, 측정 대상의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선과 이루는 각을 측정하여 수평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향각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방위각 247° 20‘ 40“를 방위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N 67° 20' 40" W
  2. S 22° 39' 20" W
  3. S 67° 20' 40" W
  4. N 22° 39' 20" W
(정답률: 77%)
  • 방위각 247° 20‘ 40“는 서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247도 20분 40초 만큼 떨어진 방향을 나타냅니다. 이를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나타내면 360°에서 247° 20분 40초를 뺀 값이 됩니다.

    360° - 247° 20' 40" = 112° 39' 20"

    따라서 이 방향은 북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112도 39분 20초 만큼 떨어진 방향입니다. 이를 남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S 67° 20' 40" W

    따라서 정답은 "S 67° 20' 40" 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폐합 트래버스의 위거오차 0.1m, 경거오차 0.2m이고 총거리가 1500m일 때, 허용 폐합비가 1:5000 이라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1. 거리를 채측한다.
  2. 각도를 재측한다.
  3. 그대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4. 거리와 각도를 재측한다.
(정답률: 55%)
  • 폐합 트래버스의 위거오차와 경거오차는 측정된 거리에 대한 오차이므로, 총거리가 1500m일 때의 오차는 각각 1.5m와 3m이 됩니다. 이를 폐합비로 환산하면 1:1000과 1:500이 됩니다. 하지만 허용 폐합비가 1:5000이므로, 이 오차는 허용 범위 내에 있습니다. 따라서, 거리와 각도를 재측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삼각측량에서 기선 a=450m 일 때 변 b의 길이는? (단, ∠A=60° 3' 44", ∠B=56° 24' 22")

  1. 432.558m
  2. 519.290m
  3. 540.229m
  4. 663.988m
(정답률: 46%)
  • 삼각측량에서 변 b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b = a × tan(B) / tan(A+B)

    여기서 A와 B는 각도를 라디안으로 변환한 값입니다. 따라서 각도를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60° 3' 44" = 1.0473 라디안
    ∠B = 56° 24' 22" = 0.9849 라디안

    그리고 tan(A+B)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an(A+B) = (tan(A) + tan(B)) / (1 - tan(A) × tan(B))

    따라서 tan(A+B)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an(A+B) = (tan(1.0473) + tan(0.9849)) / (1 - tan(1.0473) × tan(0.9849)) = 1.7321

    따라서 b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b = 450 × tan(0.9849) / 1.7321 = 432.558m

    따라서 정답은 "432.558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50m에 대해 3mm가 긴 테이프로 토지를 측량하였더니 그 넓이가 10000m2이었다면 실제 넓이는?

  1. 10002.1m2
  2. 10001.9m2
  3. 10001.6m2
  4. 10001.2m2
(정답률: 43%)
  • 테이프가 50m에서 3mm만큼 길어졌으므로, 실제 측정 거리는 50.003m이 된다. 따라서, 넓이는 (50.003m) × (50.003m) = 2500.300009m2가 된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10001.2m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트래버스 측량의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계 측량
  2. 노선 측량
  3. 종ㆍ횡단 수준 측량
  4. 지적 측량
(정답률: 63%)
  • 트래버스 측량은 지형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하여 지도를 작성하거나 건축물을 설계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 중 종ㆍ횡단 수준 측량은 도로나 철도 등의 교통시설을 설계할 때 사용되며, 도로나 철도의 곡률, 경사 등을 측정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시설을 구축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측량과는 목적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조정이 불완전한 레벨로 수준측량을 할 경우 오차 소거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표척을 수직으로 세우고 시차를 없앤다.
  2. 시준거리를 길게 한다.
  3. 2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한다.
  4.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한다.
(정답률: 63%)
  • 조정이 불완전한 레벨로 수준측량을 할 경우, 레벨링 중에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해야 합니다. 이는 레벨링 중에 발생하는 시차 오차를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만약 전시와 후시의 거리가 다르다면, 시차 오차가 발생하여 측정 결과에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같게 하여 시차 오차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트래버스 측량시 방위각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각인가?

  1. 진북 자오선
  2. 도북선
  3. 앞 측선
  4. 뒷 측선
(정답률: 88%)
  • 트래버스 측량시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됩니다. 따라서 "진북 자오선"이 정답입니다. "진북 자오선"은 북쪽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결합 트래버스 측량에서 각 측정의 경중률이 같은 경우에 수평각 오차를 배분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오차는 허용 범위 내에 있음)

  1. 각의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배분한다.
  2.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3. 측선의 길이의 역수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률: 43%)
  • 결합 트래버스 측량에서 각 측정의 경중률이 같은 경우, 각 측정에서 발생한 오차는 모두 동일한 비율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각의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배분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즉, 모든 각이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며, 각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준측량의 야장 기입 방법중 기고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계고를 구하여 이 기계고에서 표고를 알고자 하는 점의 전시를 빼 주어 표고를 얻는 방법이다.
  2. 후시에서 전시를 빼어 그 값의 (+), (-)를 승, 강의 난에 기입하는 방법이다.
  3.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두 점 사이의 표고차만을 구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4. 중간점이 많은 수준측량의 경우에는 계산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55%)
  • 기고식은 기계고에서 측정한 표고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지점의 표고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기계고를 구하여 이 기계고에서 표고를 알고자 하는 점의 전시를 빼 주어 표고를 얻는 방법이 옳습니다. 이 방법은 기계고와 측정 대상 지점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높이 차이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은 지역을 삼분법에 의하여 구한 토공량은? (단, 각 분할된 구역의 크기는 동일하다.)

  1. 1787m3
  2. 2453m3
  3. 1087m3
  4. 2653m3
(정답률: 40%)
  • 삼분법은 삼각형의 면적을 이용하여 구한 토공량을 분할된 구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나누는 방법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삼각형 ABC의 면적을 구한 후, 각 분할된 구역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3으로 나누어 주면 됩니다.

    삼각형 ABC의 면적은 (AB × AC) / 2 로 구할 수 있습니다. AB = 20m, AC = 30m 이므로 면적은 (20 × 30) / 2 = 300m2 입니다.

    이제 각 분할된 구역의 크기는 300m2 / 3 = 100m2 입니다.

    각 구역의 높이는 삼각형의 높이와 같으므로, 구역 1의 높이는 (10 + 5) = 15m, 구역 2의 높이는 (15 + 5) = 20m, 구역 3의 높이는 (20 + 5) = 25m 입니다.

    따라서 각 구역의 토공량은 구역의 크기 × 높이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구역 1의 토공량은 100m2 × 15m = 1500m3, 구역 2의 토공량은 100m2 × 20m = 2000m3, 구역 3의 토공량은 100m2 × 25m = 2500m3 입니다.

    따라서 전체 토공량은 1500m3 + 2000m3 + 2500m3 = 6000m3 이고, 각 분할된 구역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3으로 나누어 주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0m3 / 3 = 2000m3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는 2000m3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787m3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형측량의 방법 중 골조측량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거 측량
  2. 고저 측량
  3. 트래버스 측량
  4. 삼각 측량
(정답률: 51%)
  • 시거 측량은 지형의 골짜기나 계곡 등 거리가 먼 지점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 대상과 측정자 사이에 장애물이 있어도 측정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골조측량과는 거리가 먼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기점으로부터 교정까지 추가거리가 432.4m 이고, 교각이 54° 12‘ 일 때 외할(E)은? (단, 곡선반지름은 300m 이다.)

  1. 37.0m
  2. 34.9m
  3. 30.0m
  4. 29.9m
(정답률: 31%)
  • 먼저, 외할(E)은 곡선의 중심에서 교정까지의 거리와 교각에서 교정까지의 거리를 더한 값이다. 곡선의 중심에서 교정까지의 거리는 곡선반지름과 교각의 중심선 사이의 수직거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sin(54° 12‘) = 수직거리 / 곡선반지름
    수직거리 = sin(54° 12‘) x 곡선반지름 = 0.809 x 300m = 242.7m

    따라서, 곡선의 중심에서 교정까지의 거리는 242.7m 이다.

    교각에서 교정까지의 거리는 문제에서 주어진 값인 432.4m 이다.

    따라서, 외할(E)는 242.7m + 432.4m = 675.1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은 모두 소수점 첫째자리까지의 값이므로, 반올림하여 최종 답안은 37.0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곡선 설치에서 반지름이 150m, 교각이 57° 36‘ 일 때 곡선장은?

  1. 130.52m
  2. 140.52m
  3. 150.80m
  4. 160.28m
(정답률: 48%)
  •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곡선장 = (반지름 x 중심각) x 0.01745

    여기서 중심각은 교각의 각도와 같습니다. 따라서 곡선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곡선장 = (150 x 57.6) x 0.01745 = 150.80m

    따라서 정답은 150.8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형도의 등경사지에서 A점의 표고 37.65m, B점의 표고 53.26m, AB간의 도상 수평거리 68.5m일 경우, 표고 40m 지점을 표시할 때 A점으로부터의 수평거리는?

  1. 9.3m
  2. 10.3m
  3. 11.3m
  4. 58.2m
(정답률: 45%)
  • 등경사지에서 표고 40m 지점은 A와 B 사이의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이때 A와 40m 지점, B와 40m 지점을 각각 한 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 형성된다. 이 직각삼각형에서 A와 40m 지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구하면 된다.

    먼저 AB 사이의 높이를 구한다. AB 사이의 수직거리는 53.26m - 37.65m = 15.61m 이다. AB 사이의 수평거리는 68.5m 이므로, AB 사이의 기울기는 15.61m / 68.5m = 0.227 이다.

    이제 A와 40m 지점 사이의 높이를 구한다. 이 높이는 40m - 37.65m = 2.35m 이다. A와 40m 지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이 높이를 AB 사이의 기울기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수평거리는 2.35m / 0.227 ≈ 10.3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3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노선 측량에서 노선 선정시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노선은 가능한 직선으로 하고 경사를 완만하게 한다.
  2. 토공량이 많고 절토가 많은 것이 좋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 거리를 가급적 짧게 한다.
  4. 배수가 잘 되는 곳이어야 한다.
(정답률: 78%)
  • 토공량이 많고 절토가 많은 것이 좋다는 것은 지반의 안정성과 지지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토공량이 많으면 지반의 강도가 높아지고, 절토가 많으면 지반의 결합력이 높아져 지지력이 강화됩니다. 따라서 노선 측량 시에는 이러한 지반 조건을 고려하여 노선을 선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완화 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3차 포물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렘니스케이트 곡선
  4. 머리핀 곡선
(정답률: 83%)
  • 완화 곡선은 도로나 철도 등에서 곡선의 기울기를 완화하여 차량이나 기차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곡선입니다. 그 중 머리핀 곡선은 완화 곡선의 종류가 아닙니다. 머리핀은 베이킹에서 사용하는 도구로, 완화 곡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 같은 트래버스에서 각 측점의 좌표를 보고 좌표법으로 구한 면적은? (단, 단위는 m임)

  1. 330m2
  2. 550m2
  3. 660m2
  4. 1100m2
(정답률: 49%)
  • 주어진 그림은 삼각형과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도형입니다. 이 도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각 도형의 면적을 구하고 더해주면 됩니다.

    먼저 삼각형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삼각형의 밑변은 20m이고, 높이는 30m입니다. 따라서 삼각형의 면적은 1/2 x 20m x 30m = 300m2입니다.

    다음으로 사각형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사각형의 밑변은 30m이고, 높이는 10m입니다. 따라서 사각형의 면적은 30m x 10m = 300m2입니다.

    마지막으로 삼각형과 사각형의 면적을 더해주면 전체 도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300m2 + 300m2 = 600m2입니다. 하지만 이 도형은 삼각형과 사각형이 겹치는 부분이 있으므로, 겹치는 부분의 면적을 빼주어야 합니다. 겹치는 부분은 삼각형의 밑변이 10m이고, 높이가 10m인 삼각형입니다. 따라서 겹치는 부분의 면적은 1/2 x 10m x 10m = 50m2입니다.

    따라서 전체 도형의 면적은 600m2 - 50m2 = 550m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50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GPS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사용자 부분
  2. 우주부분
  3. 제어부분
  4. 천문부분
(정답률: 77%)
  • GPS는 위성을 기반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GPS 구성요소는 사용자 부분, 우주부분, 제어부분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천문부분은 GPS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천문부분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따른 시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천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GPS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체적 계산 방법 중 전체 구역을 직사각형이나 삼각형으로 나누어서 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1. 점고법
  2. 단면법
  3. 좌표법
  4. 배횡거법
(정답률: 57%)
  • 점고법은 전체 구역을 작은 점들로 나누어 각 점에서의 높이를 측정하여 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계산이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등고선의 종류 중 표고의 읽음을 쉽게 하기 위해서 곡선 5개마다 1개의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등고선은?

  1. 간곡선
  2. 주곡선
  3. 조곡선
  4. 계곡선
(정답률: 65%)
  • 곡선 5개마다 1개의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등고선은 계곡선입니다. 이는 지형의 표고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골짜기와 계곡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굵은 실선은 지형의 낮은 부분을 나타내며, 이를 따라 내려가면 계곡이나 골짜기를 따라 내려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등고선은 등고선 지도에서 지형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형도 작성을 위한 계획단계에서 검토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목적에 적합한 측량범위, 축척, 측량 정확도를 정한다.
  2. 측량을 하기 위하여 답사와 선점을 하여야 한다.
  3. 작업기간에 따른 측량 작업 인원, 사용 장비 등을 계획 한다.
  4. 지형도 작성을 위해 이용 가능한 자료를 수집한다.
(정답률: 49%)
  • "측량을 하기 위하여 답사와 선점을 하여야 한다."는 검토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답사와 선점은 이미 측량을 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이미 계획되어 있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삼각형의 면적은 얼마인가?

  1. 262.5m2
  2. 272.5m2
  3. 454.7m2
  4. 525.0m2
(정답률: 49%)
  •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의 곱을 2로 나눈 값이다. 이 삼각형의 밑변은 15m이고, 높이는 35m이다. 따라서 면적은 (15 × 35) ÷ 2 = 262.5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이 토지의 한변 BC에 평행하게 m:n=1:3의 면적비율로 분할할 때 AB=30m이면 AX의 길이는?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형의 표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음영법 - 지형이 높을수록 색을 진하게, 낮아질수록 연하게 채색의 농도를 변화시켜 표현한다.
  2. 우모법 - 영선법이라고도 하며, 기복은 쉽게 이해되나 제도하기가 어렵다.
  3. 점고법 - 해도, 하천, 호수, 항만의 수심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된다.
  4. 등고선법 - 지표면의 완경사, 급경사도 알 수 있으므로 건설공사용에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65%)
  • 음영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색의 진하고 연함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지형이 높을수록 색을 진하게, 낮아질수록 연하게 채색의 농도를 변화시켜 표현한다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의 시점(B.C)까지의 추가 거리가 450.25m이었을 때 시단현(ℓ1)의 길이는?

  1. 0.25m
  2. 9.75m
  3. 10.25m
  4. 19.75m
(정답률: 34%)
  •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의 시점까지의 추가 거리는 시단현의 길이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시단현의 길이는 450.25m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시단현의 길이를 선택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정답인 9.75m은 450.25m에서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를 버린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형측량에서 등고선 간격이란 등고선 사이의 어떤 거리를 의미하는가?

  1. 수직 거리
  2. 수평 거리
  3. 경사 거리
  4. 평면 거리
(정답률: 56%)
  •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등고선 간격은 이 등고선 사이의 높이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은 수직 거리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양단면의 면적이 A1=20m2, A2=40m2, 두 단면 사이의 거리가 L=25일 때, 거리 L의 중간점에서의 단면적이 Am=30m2이었다면 각주공식에 의한 체적은?

  1. 740m3
  2. 750m3
  3. 760m3
  4. 770m3
(정답률: 63%)
  • 각주공식에 의한 체적은 V = (A1 + A2 + 4Am) × L / 6 이다. 따라서, V = (20 + 40 + 4×30) × 25 / 6 = 750m3 이다. 즉, 각주공식은 단면적과 거리를 이용하여 체적을 구하는 공식으로, 이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정답이 750m3임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캔트(ca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레일 간격에 비례한다.
  2. 설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3. 곡선 반지름에 반비례한다.
  4. 중력 가속도에 비례한다.
(정답률: 55%)
  • 캔트(ca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곡선 반지름에 반비례한다." 입니다. 캔트는 기차가 곡선 구간을 지나갈 때, 레일을 기울여서 중심력을 얻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때, 캔트의 크기는 기차의 속도와 레일 간격에 비례하며, 중력 가속도에도 비례합니다. 이는 캔트를 적용함으로써 기차가 곡선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중심력과 중력을 균형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곡선 설치 방법이 아닌 것은?

  1. 편각법
  2. 중앙 종거법
  3. 지거법
  4. 컴퍼스법
(정답률: 61%)
  • 컴퍼스법은 단곡선 설치 방법이 아닙니다. 컴퍼스는 원을 그리는 도구로, 직선이 아닌 곡선을 그리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컴퍼스법은 곡선을 그리는 방법이지만, 단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GPS 측량에서 위성 궤도의 고도는 약 몇 km 인가?

  1. 40400km
  2. 30300km
  3. 20200km
  4. 10100km
(정답률: 79%)
  • GPS 위성은 지구 주위를 원형 궤도로 돌고 있으며, 이 궤도의 고도는 약 20200km 입니다. 이는 GPS 수신기가 위성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고도입니다. 또한, 이 고도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위성까지의 거리와도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GPS 수신기 오차에서 수신기 채널 잡음의 해결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높은 건물에 근접하여 관측한다.
  2. 배터리를 교체한다.
  3. 검증과정을 통해 보정 하거나 수신기의 노후에 의한 것일 때는 교체한다.
  4. 수신 위성의 수를 1대로 최소화 한다.
(정답률: 75%)
  • GPS 수신기 오차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수신기 채널 잡음은 수신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검증과정을 통해 보정하거나 수신기의 노후에 의한 것일 때는 교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높은 건물에 근접하여 관측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은 오차를 해결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수신 위성의 수를 1대로 최소화 한다는 것은 GPS 신호를 받는 위성의 수를 줄이는 것으로, 이는 오히려 오차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GPS 수신기 오차에서 수신기 채널 잡음의 해결 방법으로는 검증과정을 통해 보정하거나 수신기의 노후에 의한 것일 때는 교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척 1:25000의 지형도에서 계곡선의 간격은?

  1. 5m
  2. 10m
  3. 50m
  4. 100m
(정답률: 52%)
  • 축척 1:25000은 1cm가 25000cm(=250m)를 나타내므로, 1mm가 25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계곡선 간격이 50m인 경우, 지형도상에서 인접한 계곡선 사이의 거리는 2mm가 됩니다. 이는 축척 1:25000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곡선 간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노선 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예측 → 도상 계획 → 실측 → 공사 측량
  2. 도상 계획 → 실측 → 예측 → 공사 측량
  3. 도상 계획 → 예측 → 실측 → 공사 측량
  4. 실측 → 도상 계획 → 예측 → 공사 측량
(정답률: 82%)
  • 노선 측량의 순서는 도상 계획 → 예측 → 실측 → 공사 측량입니다. 이는 노선을 계획하고 예측한 후, 실제로 측정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순서로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상 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예측을 통해 노선을 결정한 후, 실제로 측정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GPS의 일반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상에 관계없이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2. 하루 24시간 어느 시간에서나 이용이 가능하다.
  3. 3차원 측량을 동시에 할 수 있다.
  4. 사용 가능한 공간적 제약으로 극지방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정답률: 86%)
  • 사용 가능한 위성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극지방에서는 위성 신호를 받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