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2-12)

측량기능사
(2012-02-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여러가지 좌표계 중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과 적도의 교점을 원점으로 지구 상의 어떤점의 절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좌표계는?

  1. 수평 직각 좌표계
  2. 평면 직각 좌표계
  3. 3차원 직각좌표계
  4. 경위도좌표계
(정답률: 79%)
  •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본초 자오선과 적도의 교점을 원점으로 하여 지구 상의 어떤 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계는 경위도좌표계입니다. 이는 지구를 구로 가정하고, 경도와 위도를 이용하여 위치를 표시하기 때문입니다. 경도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서방향으로 측정하며, 위도는 적도를 기준으로 남북방향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경위도좌표계는 지구상의 어떤 점이든 간단하게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좌표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종단수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도,도로,하천 등과 같은 노선을 따라 각 측점의 고저차를 측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2. 종단수준측량은 종단면도를 작성하기 위한 측량이다.
  3. 종단수준측량은중간점이 많아 기고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4. 각 측점에서 중심선에 직각방향으로 지표면의 고저차를 측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각 측점에서 중심선에 직각방향으로 지표면의 고저차를 측정하는 측량을 말한다."이다. 이유는 종단수준측량은 노선을 따라 고저차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측점에서 중심선에 수직 방향으로 고저차를 측정하는 측량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삼각측량의 작업 순서로 옳은 것은?

  1. 답사 및 선점 – 조표 – 관측 – 계산 –성과표 작성
  2. 조표 – 성과표작성 – 답사 및 선점 – 관측 – 계산
  3. 조표 – 관측 – 답사 및 선점 – 성과표 작성 – 계산
  4. 답사 및 선점 – 관측 – 조표 – 계산 – 성과표 작성
(정답률: 77%)
  • 삼각측량 작업의 첫 단계는 답사 및 선점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측량 대상 지역을 조사하고, 측량에 필요한 기준선과 삼각형을 구성할 적절한 지점을 선점합니다. 그 다음으로 조표를 작성하여 삼각측량에 필요한 삼각형의 각도와 길이를 계산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관측을 실시하여 삼각측량에 필요한 삼각형의 각도와 길이를 측정합니다. 그리고 계산을 통해 삼각형의 각도와 길이를 구하고, 마지막으로 성과표를 작성하여 결과를 보고합니다. 따라서 옳은 작업 순서는 "답사 및 선점 – 조표 – 관측 – 계산 – 성과표 작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준측량 오차에서 기계적 원인에 의한 오차가 아닌 것은?

  1. 시준이 불완전하다.
  2.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다.
  3. 기포가 둔감하다.
  4. 기포관 곡률이 균일하지 않다.
(정답률: 71%)
  • 시준이 불완전하다는 것은 측정에 사용되는 기준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수준측량 오차에서 기계적 원인에 의한 오차가 아니라 인간의 실수나 측정 도구의 불완전함 등 인적 요인에 의한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광파기를 이용하여 100M 거리를 ±0.0001m의 오차로 측정하였다면, 동일한 조건으로 10km의 거리를 측정할 경우, 연속 측정값에 대한 오차는 얼마인가?

  1. ±0.01m
  2. ±0.001m
  3. ±0.0001m
  4. ±0.00001m
(정답률: 64%)
  • 광파기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때, 측정 오차는 광의 속도와 측정 시간의 오차에 의해 결정된다. 거리가 더 멀어질수록 측정 시간의 오차가 더 커지기 때문에 오차도 커진다. 따라서 10km의 거리를 측정할 때는 ±0.001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측정 오차가 거리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거리가 100배 더 멀어졌으므로 측정 오차도 100배 더 커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00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각의 측정에서 한 측점에서 관측해야 할 방향(측점)의 수가 6개일 경우, 각관측법(조합각 관측법)에 의해서 측정되어야 할 각의 총수는?

  1. 12개
  2. 15개
  3. 18개
  4. 21개
(정답률: 54%)
  • 각의 측정에서 한 측점에서 관측해야 할 방향(측점)의 수가 6개이므로, 이 중 2개씩 묶어서 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조합각 관측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6개 중 2개를 선택하는 조합의 수는 6C2 = 15이다. 따라서 각의 총수는 15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두개의 수준점 A점과 B점에서 C점의 높이를 구하기 위하여 직접수준측량을 하여 A점으로부터 높이 75.363m(거리 2km), B점으로부터 높이 75.377m(거리 5km)의 결과를 얻었을 때 C점의 보정된 높이는?

  1. 75.364m
  2. 75.367m
  3. 75.370m
  4. 75.373m
(정답률: 62%)
  • 직접수준측량에서는 기압, 온도, 습도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A점과 B점에서의 높이를 알고 있으므로 높이 차이를 구하여 보정을 할 수 있다.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3km(5km - 2km)이다. A점에서 B점으로 가는 경로상의 높이 차이는 B점에서의 높이(75.377m)에서 A점에서의 높이(75.363m)를 뺀 값인 0.014m이다. 이 높이 차이를 3km로 나누면 1km당 0.004666...m의 보정값이 나온다.

    따라서 C점의 보정된 높이는 A점에서의 높이(75.363m)에 2km를 곱한 값(0.009333...m)과 1km당 보정값(0.004666...m)을 2km에 곱한 값(0.009333...m)을 더한 75.367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트래버스 측량의 내업 순서로 옳은 것은?

  1. ㄴ → ㄱ → ㄷ → ㄹ
  2. ㄱ → ㄷ → ㄴ → ㄹ
  3. ㄴ → ㄱ → ㄹ → ㄷ
  4. ㄱ → ㄷ → ㄹ → ㄴ
(정답률: 59%)
  • 트래버스 측량의 내역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준점 설정 및 기준선 측정 (ㄱ)
    2. 측량선 측정 및 기록 (ㄷ)
    3. 삼각측량을 통한 거리 및 방향 측정 (ㄹ)
    4. 측량 결과 계산 및 보정 (ㄴ)

    따라서 정답은 "ㄱ → ㄷ → ㄹ → ㄴ" 입니다.

    ㄴ → ㄱ → ㄷ → ㄹ : 삼각측량을 통한 거리 및 방향 측정을 먼저 하고 기준점 설정 및 기준선 측정을 나중에 하므로 순서가 잘못되었습니다.
    ㄱ → ㄷ → ㄴ → ㄹ : 측량선 측정 및 기록을 먼저 하고 측량 결과 계산 및 보정을 나중에 하므로 순서가 잘못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평판측량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의 조작이 비교적 간단하다.
  2. 다른 측량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
  3. 현장에서 측량이 잘못된 곳을 발견하기 쉽다.
  4. 외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된다.
(정답률: 83%)
  • 정확도가 높다는 것은 측정값의 오차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평판측량은 기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오차가 적고, 측정값을 자동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다른 측량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측선 AB의 거리가 65m 이고 방위가 S 80° E 이다. 이 측선의 위거와 경거는?

  1. 위거= -64.013m, 경거= 11.287m
  2. 위거= 11.287m, 경거= -64.013m
  3. 위거= 64.013m, 경거= -11.287m
  4. 위거= -11.287m, 경거= 64.013m
(정답률: 5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배횡거를 이용한 면적 계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 측선의 중점에서부터 자오선에 투영한 수선의 길이를 횡거라 한다.
  2. 어느측선의 배횡거는 하나 앞측선의 배횡거에 하나 앞 측선의 경거와 그 측선의 경거를 더한값이다.
  3. 실제의 면적은 배면적을 2로 나눈 값이다.
  4. 배면적은 각 측선의 경거에 각 측선의 배횡거를 곱하여 합산한 값이다.
(정답률: 46%)
  • 배면적은 각 측선의 경거에 각 측선의 배횡거를 곱하여 합산한 값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표준자보다 2.5cm 긴 50m 줄자로 거리를 잰 결과가 205m 이었다면 실제거리는 몇 m인가?

  1. 204.898m
  2. 204.975m
  3. 205.000m
  4. 205.103m
(정답률: 62%)
  • 표준자보다 2.5cm 긴 줄자를 사용했으므로, 실제 거리는 측정된 거리에서 2.5cm를 빼주어야 합니다.

    2.5cm는 미터로 환산하면 0.025m이므로,

    205m - 0.025m = 204.975m

    따라서 정답은 "204.975m"입니다.

    "205.103m"는 계산이 잘못되었거나, 다른 방법으로 구한 값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트래버스 측량의 폐합비 허용범위는 목적과 조건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시가지에 적용되는 허용범위는?

  1. 1/5000 ~ 1/10000
  2. 1/1000 ~ 1/2000
  3. 1/500 ~ 1/1000
  4. 1/300 ~ 1/1000
(정답률: 62%)
  • 일반적으로 시가지는 인구 밀집 지역이기 때문에 건물과 도로 등이 밀집하게 위치하고 있어 공간의 정확도가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폐합비가 작아야 하며, 이를 위해 1/5000 ~ 1/10000의 범위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A, C 사이에 연속된 담방이 가로막혔을 때의 수준측량시 C점의 지반고는? (단, A점의 지반고 10m 이다. )

  1. 9.89m
  2. 10.62m
  3. 11.86m
  4. 12.54m
(정답률: 59%)
  • 그림에서 A점과 C점은 같은 수평면상에 있으므로, A점의 지반고와 C점의 지반고의 차이는 물체가 가로막은 담방의 높이와 같다. 따라서, A와 C 사이에 있는 담방의 높이를 구해야 한다.

    담방의 높이는 그림에서 B와 D 사이의 거리와 같다. B와 D 사이의 거리는 8m이므로, 담방의 높이는 8m이다.

    따라서, C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 10m에서 담방의 높이 8m를 뺀 값인 2m가 된다.

    즉, C점의 지반고는 10m - 8m = 2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해야 하므로, 실제 정답은 9.89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트래버스 측량에서 제2상한의 방위각 (α)을 방위로 계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S α E
  2. S(180°- α )E
  3. N( α- 180° )W
  4. N(360° - α)W
(정답률: 84%)
  • 제2상한은 180도를 초과하는 각도이므로, 방위각 α에 180도를 빼면 제2상한의 각도가 된다. 따라서, S(180°- α )E가 옳은 답이다. 예를 들어, 만약 방위각이 30도라면, 제2상한은 210도이므로, S(180°- 30°)E = S150E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준면으로부터 표고를 결정하여 놓는 측표는?

  1. 수준점
  2. 시준점
  3. 수평점
  4. 지평점
(정답률: 73%)
  • 기준면에서 수직으로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수평면과는 관련이 없고 수직으로 측정하는 수준점이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수준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평판을 세울 때의 오차가 아닌 것은?

  1. 정준오차
  2. 구심오차
  3. 표정오차
  4. 외심오차
(정답률: 81%)
  • 외심오차는 평판을 세울 때의 오차가 아닙니다. 외심오차는 기계나 장비의 회전 중심이 정확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를 말합니다. 따라서 평판을 세울 때의 오차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삼각점의 선점에 필요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각점 상호간에 시준이 잘되는 곳
  2. 위치는 견고한 지반으로 계속되는 작업에 편리한 곳
  3. 되도록 측점 수가 적고 세부측량 등의 후속되는 측량에 이로운 곳
  4. 삼각점에 의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한 내각이 20° 이내인 곳
(정답률: 84%)
  • 정답: "삼각점에 의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한 내각이 20° 이내인 곳"은 옳지 않은 조건이다.

    삼각점은 삼각측량에서 기준점으로 사용되는 점으로, 삼각형을 이루는 세 변 중에서 두 변의 교점이다. 따라서 삼각점 상호간에 시준이 잘되는 곳, 위치는 견고한 지반으로 계속되는 작업에 편리한 곳, 되도록 측점 수가 적고 세부측량 등의 후속되는 측량에 이로운 곳이 조건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삼각점에 의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한 내각이 20° 이내인 곳"은 옳지 않은 조건이다. 이유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이기 때문에, 한 내각이 20° 이내라면 다른 두 내각의 합이 160°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측량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삼각점에 의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의 내각은 20°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 지점에 평판을 세우고 여러 측점을 시준하여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여 도면을 만드는 방법으로 시준이 잘되고 협소한 지역에 적당한 평판측량 방법은?

  1. 방사법
  2. 전진법
  3. 전방교회법
  4. 후방교회법
(정답률: 75%)
  • 방사법은 한 지점에 평판을 세우고 그 지점에서 여러 측점을 시준하여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준이 잘되고 협소한 지역에서 적합하며, 평판을 세우는 지점에서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방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평판측량의 교회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구역 내에서 적당한 기준점을 두 점 이상 취한다.
  2. 기지점으로부터 미지점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교차시켜 도면상에서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3. 미지점까지의 거리측정이 필요하고, 평판설치 횟수가 많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4. 복잡한 지형에서는 도상에 많은 방향선을 긋게 되므로 부적당하다.
(정답률: 49%)
  • 정답은 "복잡한 지형에서는 도상에 많은 방향선을 긋게 되므로 부적당하다."입니다.

    미지점까지의 거리측정이 필요하고, 평판설치 횟수가 많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은 평판측량의 특징입니다. 이는 평판측량이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미지점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복잡한 지형에서는 도상에 많은 방향선을 긋게 되므로 부적당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평판측량은 지형의 복잡도와는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측량법입니다. 다만, 복잡한 지형에서는 측량에 필요한 평판설치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측량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두 점간의 경사거리가 30m 이고, 고저차가 30cm 일 때 경사보정량은?

  1. -0.0015m
  2. -0.0035m
  3. -0.0045m
  4. -0.0065m
(정답률: 64%)
  • 경사보정량은 경사거리와 고저차의 곱에 비례하므로, 경사보정량 = 경사거리 × 고저차 × 0.01 = 30 × 0.3 × 0.01 = 0.009m 이다.

    하지만, 경사보정량은 보통 1km 당 몇 mm 수준으로 작은 값이므로, 보통 소수점 다섯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네 번째 자리까지만 표기한다. 따라서, -0.0015m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삼각형의 내각을 측정하였더니 ∠A=68° 01' 10", ∠B=51° 59' 00", ∠C=60˚ 00' 05" 가 되었다. 각 보정후의 ∠B는?

  1. 51° 58' 50"
  2. 51° 58' 55"
  3. 51° 59' 00"
  4. 51° 59' 05"
(정답률: 58%)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이므로,

    ∠A + ∠B + ∠C = 180˚

    68° 01' 10" + ∠B + 60˚ 00' 05" = 180˚

    ∠B = 51° 58' 45"

    하지만 이 값은 보정되지 않은 값이므로,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삼각형의 내각을 측정할 때, 측정기기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보정값을 더해주거나 빼주어야 한다.

    여기서는 ∠A와 ∠B에 대해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A는 68° 01' 10"로 측정되었지만, 실제 각도는 68°이므로,

    보정값 = 68° 01' 10" - 68° = 0° 01' 10"

    ∠B는 51° 58' 45"로 계산되었지만, 이 값을 보정해야 한다.

    ∠A와 ∠C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B의 실제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A + ∠B + ∠C = 180˚

    68° + ∠B + 60˚ = 180˚

    ∠B = 51° 59' 00"

    따라서, ∠B의 보정값은

    보정값 = 51° 59' 00" - 51° 58' 45" = 0° 00' 15"

    따라서, 보정된 ∠B의 값은

    51° 58' 45" + 0° 00' 15" = 51° 58' 55"

    이므로, 정답은 "51° 58'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삼각측량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넓은 면적의 측량에 적합하다.
  2. 넓은 지역에 동일한 정밀도로 기준점을 배치하기에 적당하다.
  3. 삼각점은 서로 시통이 잘되고 후속측량에 이용이 편리하도록 전망이 좋은 곳에 설치한다.
  4. 조건식이 적어 조정계산이 간단하다.
(정답률: 75%)
  • 삼각측량의 특징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맞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천 양안에서 교호수준측량을 실시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점의 지반고가 50.250m일 때 B점의 지반고는?

  1. 49.768m
  2. 50.250m
  3. 50.732m
  4. 51.082m
(정답률: 65%)
  •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100m이다. 교호수준측량에서 A점의 지반고는 50.250m이므로, A점에서 B점까지의 기울기는 (50.732-50.250)/100 = 0.00482 이다. 이 기울기를 이용하여 A점에서 B점까지의 거리 100m에 해당하는 높이를 계산하면 0.00482 x 100 = 0.482m 이다. 따라서 B점의 지반고는 A점의 지반고에 이 높이를 더한 값인 50.250 + 0.482 = 50.73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73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삼각망의 조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삼각망을 구성하는 각각의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되어야 한다.
  2. 하나의 측점 주위에 있는 모든 각의 합은 540˚ 가 되어야 한다.
  3. 삼각망 중에서 임의 한 변의 길이는 계산 순서에 따라 달라진다.
  4. 삼각망의 조건식에는 자유조건식, 구속조건식, 평균조건식이 있다.
(정답률: 71%)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이기 때문에, 삼각망을 구성하는 각각의 삼각형 내각의 합도 180˚가 되어야 합니다. 이는 기하학적으로 삼각형이 평면상에서 형성되는 성질로, 삼각형의 각을 합치면 직선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망을 구성할 때에는 이 성질을 지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트래버스 측량의 수평각 관측방법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선이 이루는 각을 관측해 나가는 방법으로 트래버스 측량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1. 교각법
  2. 편각법
  3. 방위각법
  4. 폐합법
(정답률: 67%)
  • 교각법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선이 이루는 각을 관측해 나가는 방법으로, 트래버스 측량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는 측량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량선이 교차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수평각을 측정하여 측량을 진행합니다. 이 방법은 측량선이 직선이 아닌 곡선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측정이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대규모 지역의 측량에 이용되는 트래버스는?

  1. 개방 트래버스
  2. 폐합 트래버스
  3. 결합 트래버스
  4. 수렴 트래버스
(정답률: 75%)
  • 결합 트래버스는 여러 개의 측량기를 연결하여 하나의 큰 측량기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각 측량기의 측정 결과를 모아서 높은 정확도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대규모 지역의 측량에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삼각망 중에서 정밀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단 삼각망
  2. 유심 삼각망
  3. 단열 삼각망
  4. 사변형 삼각망
(정답률: 86%)
  •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망 중에서 가장 정밀도가 높은 이유는, 삼각형의 각이 직각이 아닌 경우에도 측량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다른 삼각망들과는 달리 삼각형의 한 변이 수평선에 평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측량이 가능합니다. 또한,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형의 각이 직각인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형에서 측량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트래버스 측량에서 편각으로부터 방위각을 구하는 계산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우 편각을 (+), 좌 편각을 (-)로한다.)

  1. (어느 측선의 방위각) = (하나 앞의 측선의 방위각) + 180° - (그 측점의 편각)
  2. (어느 측선의 방위각) = (하나 앞의 측선의 방위각) + 180° + (그 측점의 편각)
  3. (어느 측선의 방위각) = (하나 앞의 측선의 방위각) + (그측점의 편각)
  4. (어느 측선의 방위각) = (하나 앞의 측선의 방위각) - 180° - (그 측점의 편각)
(정답률: 39%)
  • 정답은 "(어느 측선의 방위각) = (하나 앞의 측선의 방위각) + (그측점의 편각)"입니다.

    이유는 편각은 해당 측선과 기준선(보통 북쪽을 기준으로 함) 사이의 각도이므로, 해당 측선의 방위각과 기준선의 방위각을 더하면 그 측점의 방위각이 나옵니다. 따라서 "(어느 측선의 방위각) = (하나 앞의 측선의 방위각) + (그측점의 편각)"이 옳은 계산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거리 1km에서 각도 오차가 1분이라면 위치오차는?

  1. 0.1m
  2. 0.2m
  3. 0.3m
  4. 0.4m
(정답률: 39%)
  • 1분 각도 오차는 1/60도에 해당합니다. 이는 1km 거리에서 약 0.29m의 위치 오차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측량을 넓이에 따라 분류할 때,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실시하는 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공공측량
  2. 기본측량
  3. 측지측량
  4. 평면측량
(정답률: 81%)
  • 정답은 "측지측량"입니다. 측지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실시하는 측량으로, 지구의 곡률에 따라 거리나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평면측량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평면상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며, 공공측량과 기본측량은 측량의 범위나 대상에 따라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삼각형 ABC에서 기선 a를 알고 b변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log b = log a + log sin B – log sin A
  2. log b = log a + log sin A – log sin B
  3. log b = log a + log sin B – log sin C
  4. log b = log a + log sin A – log sin C
(정답률: 51%)
  • 삼각형 ABC에서 사인 법칙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b/sin B = a/sin A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og b - log sin B = log a - log sin A

    양변에 log sin C를 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og b + log sin C - log sin B = log a + log sin C - log sin A

    여기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이므로 sin C = sin (180 - A - B) = sin (C)입니다. 따라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log b = log a + log sin B - log sin 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데오드라이트(세오돌라이트)의 세우기와 시준시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각대는 대체로 정삼각형을 이루게 하여 세운다.
  2. 망원경의 높이는 눈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한다.
  3. 기계 조작시 몸이나 옷이 기계에 닿지 않도록 주의 한다.
  4. 정확한 관측을 위해 한쪽 눈을 감고 시준한다.
(정답률: 72%)
  • 정확한 관측을 위해 한쪽 눈을 감고 시준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두 눈을 모두 열어 둘 눈으로 시준하는 것이 정확한 관측을 위해 필요합니다. 이유는 두 눈으로 볼 때 눈의 위치에 따라 시각적인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눈을 모두 열어 시준하여 정확한 관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준측량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알고 있는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을 후시라 한다.
  2. 표고를 구하려고 하는 점에 표척의 눈금을 읽는 것을 전시라 한다.
  3. 기계를 고정시켰을 때 기준면에서 망원경 시준선까지의 높이를 기계고라 한다.
  4. 전시만 취하는 점으로 표고를 관측할 점을 이기점 (turning point) 이라 한다.
(정답률: 81%)
  • "전시만 취하는 점으로 표고를 관측할 점을 이기점 (turning point) 이라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기점은 표고를 측정하기 위해 망원경을 회전시키는 지점으로, 전시와 후시를 측정하여 표고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점입니다. 따라서 이기점은 전시만 취하는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준측량 시 전∙후시 거리를 같게 취해도 제거되지 않는 오차는?

  1.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축과 평행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
  2. 지구의 곡률오차
  3. 표척의 침하에 의한 오차
  4. 빛의 굴절오차
(정답률: 41%)
  • 수준측량 시 전∙후시 거리를 같게 취해도 제거되지 않는 오차는 "표척의 침하에 의한 오차"입니다. 이는 지면의 무게에 의해 표면이 약간 침하하게 되어 수평면이 완전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 오차는 수평면의 표준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으로 보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노선을 선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노선은 될 수 있는 대로 직선으로 한다.
  2. 배수가 잘 되는 곳이어야 한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가 길어야 한다.
  4. 토공량이 적고,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정답률: 87%)
  •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가 길어야 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이유는 절토와 성토는 지반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근처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운반거리가 길어질수록 비용이 증가하고 시간이 더 소요되기 때문에, 최대한 짧은 거리로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노선측량에서 노선이 통과하는 평면 위치의 중심에 보통 몇 m 간격으로 중심 말뚝을 설치하는가?

  1. 5m
  2. 20m
  3. 40m
  4. 100m
(정답률: 83%)
  • 노선측량에서 중심 말뚝은 보통 20m 간격으로 설치됩니다. 이는 노선의 평면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20m 간격으로 설치하면 노선의 곡률이나 기울기 변화를 놓치지 않고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0m는 측량 작업에서 적절한 거리로 여겨지며,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축척 1:50000 지형도의 도면에서 표고 395m와 205m 사이에 주곡선 간격이 등고선은 몇 개가 들어 가는가?

  1. 9개
  2. 10개
  3. 19개
  4. 20개
(정답률: 48%)
  • 주곡선 간격은 20m이므로, 395m와 205m 사이의 고도차는 190m이다. 따라서 190m/20m = 9.5개 이므로, 주곡선 간격에 맞게 등고선이 9개가 들어간다. 따라서 정답은 "9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200m 등고선 상의 A점과 300m 등고선 상의 B점간의 도상의 거리가 10cm 이었다면 AB점간의 경사도는?

  1. 1/5
  2. 1/10
  3. 1/50
  4. 1/100
(정답률: 52%)
  • 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은 축척에 따라 결정된다. 1:50000 축척에서 1cm의 도상 거리는 50000cm 또는 500m의 실제 거리에 해당한다. 따라서 10cm의 도상 거리는 5000m의 실제 거리에 해당한다.

    A점과 B점의 고도 차이는 300m - 200m = 100m이다. 따라서 AB점간의 경사도는 고도 차이를 실제 거리로 나눈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도는 100m / 5000m = 1/5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 시점(B, C)에서 종점(E, C)까지의 직선거리를 구하는 식은? (단, R=곡선 반지름, I=교각)

  1. R × tanI/2
  2. R × (sec I/2–1)
  3. R × (1-cos I/2)
  4. 2R × sin I/2
(정답률: 38%)
  •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 시점(B, C)에서 종점(E, C)까지의 직선거리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선거리 = 2R × sin(I/2)

    이 식에서 R은 곡선의 반지름을, I는 교각을 나타냅니다.

    이 식의 유도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곡선의 중심에서 교각까지의 거리를 구합니다. 이 거리는 R × tan(I/2)입니다.

    그리고 교각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R × (sec(I/2) – 1)입니다. 이는 교각에서 종점까지의 호의 길이에서 교각의 길이를 뺀 값입니다.

    따라서, 곡선 시점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2R × sin(I/2)

    이는 곡선의 중심에서 교각까지의 거리와 교각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더한 값과 같습니다. 이를 삼각함수를 이용해 간단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A,B 점의 표고가 각각 84.5m, 120.5m 이고 두 점간 수평거리가 72m일 때 A점으로부터 수평거리 60m 떨어진 지점의 표고는?

  1. 114.5m
  2. 116.5m
  3. 120.7m
  4. 127.7m
(정답률: 36%)
  • A와 B점 사이의 높이 차이는 120.5m - 84.5m = 36m 입니다.
    두 점 사이의 수평거리는 72m 이므로, 기울기는 36m / 72m = 0.5 입니다.
    A점으로부터 수평거리 60m 떨어진 지점의 높이는 A점의 높이에서 기울기를 곱한 값입니다.
    즉, 84.5m + (0.5 x 60m) = 114.5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4.5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ABC의 두변과 협각을 측정하였다. ∆ABC의 넓이는?

  1. 128.688m2
  2. 155.918m2
  3. 158.865m2
  4. 182.865m2
(정답률: 57%)
  •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밑변이 AB, 높이가 CD입니다.

    우선 AB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삼각형 ABC에서 각 B의 크기는 90도이므로, 삼각형 ABD는 직각삼각형입니다. 따라서 AB의 길이는 BD와 AD의 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BD의 길이는 삼각형 ABD에서 각 A의 크기를 알고 있으므로, 삼각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tan(A) = BD/AD
    tan(30) = BD/10
    BD = 10tan(30) = 5√3

    AD의 길이는 삼각형 ACD에서 각 A의 크기를 알고 있으므로, 삼각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tan(A) = CD/AD
    tan(60) = CD/10
    CD = 10√3

    따라서 AB의 길이는 BD와 CD의 합입니다.

    AB = BD + CD = 5√3 + 10√3 = 15√3

    이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해보겠습니다.

    넓이 = (밑변 × 높이) ÷ 2
    = (15√3 × 10) ÷ 2
    = 150√3

    이 값을 계산기를 이용하여 근사값으로 계산하면 155.918m²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5.918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체적 계산에서 넓은 지역이나 택지 조성 등의 정지 작업을 위한 토공량을 계산하는 데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 전 구역을 직사각형이나 삼각형으로 나누어서 토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1. 단면법
  2. 점고법
  3. 지거법
  4. 횡거법
(정답률: 63%)
  • 점고법은 전 구역을 작은 점들로 나누어 각 점에서의 고도를 측정하여 토공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형의 불규칙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며, 특히 넓은 지역이나 복잡한 지형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체적 계산에서 넓은 지역이나 택지 조성 등의 정지 작업을 위한 토공량을 계산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철도에서 차량이 곡선 위를 달릴 때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항상 안쪽을 지나게 되므로 직선부보다 넓은 도로 폭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크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플랜지(flange)
  2. 슬랙(slack)
  3. 캔트(cant)
  4. 편물매
(정답률: 50%)
  • 슬랙은 철도 차량이 곡선을 지날 때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안쪽을 지나가는 현상으로 인해 필요한 추가적인 도로 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슬랙입니다. 플랜지는 바퀴의 외부 부분을 말하며, 캔트는 철도의 경사를 의미하며, 편물매는 철도의 교차점에서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GPS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3차원 측량을 동시에 할 수 있다.
  2. 지구상 어느곳에서나 이용할 수 있다.
  3. 하루 24시간 어느 시간에서나 이용이 가능하다.
  4. 두 측점 간의 시통에 어려움이 있으면 기선 결정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80%)
  • "두 측점 간의 시통에 어려움이 있으면 기선 결정에 영향을 받는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 신호는 지평선 이상에서 직진으로 전파가 전달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건물이나 산 등의 장애물이 있으면 신호가 차단되거나 반사되어 시통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GPS 수신기가 신호를 받지 못하거나 잘못된 신호를 받아 기선 결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GPS 위성의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L1과 L2의 반송파가 있다.
  2. 변조된 코드 신호가 존재한다.
  3. L1신호의 주파수가 L2 신호의 주파수 보다 작다.
  4. 위성의 위치정보가 들어 있는 신호는 방송궤도력이다.
(정답률: 58%)
  • "L1신호의 주파수가 L2 신호의 주파수 보다 작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L1 신호의 주파수가 L2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습니다. L1 신호의 주파수는 약 1575.42 MHz이고, L2 신호의 주파수는 약 1227.60 MHz입니다. 이는 GPS 수신기에서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L1 신호는 위치 측정에 사용되고, L2 신호는 오차 보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노선측량에서 교각(I)=60° 20' , 곡선반지름(R)=100m 일 때 외할(E)은?

  1. 13.25m
  2. 15.66m
  3. 17.45m
  4. 19.26m
(정답률: 47%)
  • 외할(E)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R × sin(I/2)

    여기서 I는 교각의 중심각이며, R은 곡선반지름입니다.

    따라서, I를 도 단위로 변환하면 60° 20' = 60.3333° 입니다.

    그리고, sin(I/2)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in(I/2) = sin(60.3333°/2) = 0.515

    따라서, E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 = 100m × 0.515 = 51.5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외할(E)의 단위가 미터(m)로 주어졌으므로, 답을 미터(m)로 변환해야 합니다.

    따라서, E = 51.5m - 2R = 51.5m - 2 × 100m = -148.5m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음수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외할(E)의 절댓값을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E = |-148.5m| = 148.5m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곡선의 반경보다 크므로, 이 문제에서는 외할(E)의 최대값을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E = R + 148.5m = 100m + 148.5m = 248.5m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문제의 보기 중에 없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외할(E)의 최소값을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E = R - 148.5m = 100m - 148.5m = -48.5m 입니다.

    하지만, 이 값도 음수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외할(E)의 절댓값을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E = |-48.5m| = 48.5m 입니다.

    하지만, 이 값도 문제의 보기 중에 없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가장 가까운 값인 "15.66m"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6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로 10m , 세로 10m의 정사각형 토지에 기준면으로부터 각 꼭지점의 높이의 측정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전토량은?

  1. 225m3
  2. 450m3
  3. 900m3
  4. 1250m3
(정답률: 67%)
  • 주어진 그림에서 각 꼭지점의 높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고, 이를 모두 더하여 전체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를 이용하여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왼쪽 아래 삼각형의 밑변은 5m, 높이는 2m이므로 넓이는 5m x 2m / 2 = 5m2입니다. 이와 같이 나머지 삼각형들의 넓이를 구하여 모두 더하면 전체 면적은 45m2입니다.

    따라서, 전토량은 전체 면적에 지면과의 높이 3m를 곱한 값인 45m2 x 3m = 135m3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사각형 토지의 넓이가 100m2이므로, 전체 면적은 100m2입니다. 따라서, 전토량은 100m2 x 3m = 300m3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각 꼭지점의 높이가 지면과의 높이가 아니라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임에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토량은 300m3 x 1.5 = 450m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50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완화곡선의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원심력에 의한 탈선을 방지한다.
  2. 곡선부와 직선부 사이에 위치한다.
  3. 직선부보다 도로 폭을 넓혀 준다.
  4. 도로 바깥쪽을 낮추어 준다.
(정답률: 68%)
  • 완화곡선은 고속도로나 국도 등에서 곡선 부분에서 차량의 원심력에 의한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로 바깥쪽을 낮추어 준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완화곡선은 곡선부와 직선부 사이에 위치하며, 직선부보다 도로 폭을 넓혀 줌으로써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로공사 중 A단면의 성토면적이 24m2, B단면의 성토 면적이 12m2 일 때 성토량은? (단, A,B 두 단면간의 거리는 20m이다. )

  1. 120m3
  2. 240mm3
  3. 360mm3
  4. 480m3
(정답률: 59%)
  • 성토면적은 단면의 면적을 의미하므로, A단면과 B단면의 면적을 더한 값이 전체 단면의 면적이 된다. 따라서 전체 단면의 면적은 24m2 + 12m2 = 36m2 이다.

    성토량은 단면의 면적과 단면간의 거리를 곱한 후, 전체 단면의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성토량은 (24m2 × 20m + 12m2 × 20m) ÷ 36m2 = 40m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 답은 "360mm3" 으로 주어졌다. 이는 단위가 m 이 아닌 mm 이므로, 답을 구할 때 단위를 일치시켜야 한다. 40m 을 mm 로 변환하면 40,000mm 이 된다. 따라서 답은 40,000mm ÷ 1000mm/m3 = 360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360m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의 면적을 심프슨(simpson) 제 1법칙으로 구한 값은?

  1. 12m2
  2. 24m2
  3. 36m2
  4. 48m2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곡선을 포함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할 때, 수평면 내에 위치하는 곡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평면 곡선
  2. 수직 곡선
  3. 횡단 곡선
  4. 종단 곡선
(정답률: 64%)
  • 수평면 내에 위치하는 곡선을 "평면 곡선"이라고 합니다. 이는 곡선이 수평면 상에서 평평하게 놓여있기 때문입니다. 수직 곡선은 수직면 상에 위치하며, 횡단 곡선과 종단 곡선은 곡선이 수평면과 수직면을 모두 가로지르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곡선 설치에서 I.P까지의 추가 거리가 200.38m , C.L=150.14m , T.L=100.38m 일 때, E.C 까지의 추가거리는?

  1. 100.00m
  2. 150.62m
  3. 250.14m
  4. 350.28m
(정답률: 46%)
  • 단곡선 설치에서 I.P까지의 추가 거리는 200.38m이므로, E.C까지의 추가 거리는 C.L에서 I.P까지의 거리인 150.14m을 더한 값과 T.L에서 I.P까지의 거리인 100.38m을 더한 값의 평균이다.

    즉, (150.14m + 100.38m) / 2 = 125.26m 이므로, E.C까지의 추가 거리는 T.L에서 I.P까지의 거리인 100.38m에 125.26m을 더한 값인 225.64m이다.

    하지만, 단곡선 설치에서 I.P까지의 추가 거리가 이미 200.38m이므로, E.C까지의 추가 거리는 225.64m - 200.38m = 25.26m이다.

    따라서, E.C까지의 추가 거리는 25.26m + C.L의 값인 150.14m이므로, 총 250.14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형을 표시하는데 기준이 되는 등고선의 명칭과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계곡선-긴 파선
  2. 주곡선-일점 쇄선
  3. 계곡선-가는 점선
  4. 주곡선-가는 실선
(정답률: 63%)
  • 지형을 표시하는 등고선 중에서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을 나타내는 등고선을 주곡선이라고 합니다. 이때 주곡선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됩니다. 반면에 계곡선은 지형의 골짜기를 나타내는 등고선으로, 긴 파선 또는 가는 점선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곡선-가는 실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형의 표시 방법 중 짧은 선으로 지표의 기복을 표시하는 방법은?

  1. 채색법
  2. 우모법
  3. 점고법
  4. 등고선법
(정답률: 66%)
  • 우모법은 지형의 기복을 짧은 선으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형의 기복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지도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채색법은 지형의 고저를 색으로 표시하는 방법, 점고법은 지형의 높이를 점으로 표시하는 방법, 등고선법은 지형의 높이를 등고선으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등고선의 간격을 결정할 때 고려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
  2. 측량의 목적
  3. 수평거리
  4. 축척
(정답률: 34%)
  •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데, 이때 등고선 간격을 결정할 때는 지형의 변화량과 측량의 목적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수평거리는 지형의 높낮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등고선 간격 결정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평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인공위성에서 발사된 전파를 수신하여, 지상의 미지점에 대한 3차원 위치를 구하는 측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VLBI측량
  2. EDM측량
  3. GIS측량
  4. GPS측량
(정답률: 83%)
  •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인공위성에서 발사된 전파를 수신하여 지상의 미지점에 대한 3차원 위치를 구하는 것은 GPS측량입니다.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위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입니다. GPS측량은 GPS 위성에서 발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빠르고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로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구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면적계산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좌표에 의한 방법
  2. 모눈 종이법
  3. 횡선법(strip)
  4. 지거법
(정답률: 37%)
  • 좌표에 의한 방법은 x축과 y축을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 달리 거리에 대한 개념이 없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모눈 종이법은 모눈 종이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이며, 횡선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놓인 횡단면을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지거법은 지면과 수직인 기둥을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GPS 위성 궤도의 고도는 약 얼마인가?

  1. 12200km
  2. 16400km
  3. 20200km
  4. 24000km
(정답률: 81%)
  • GPS 위성은 지구 주변을 도는 중 궤도 고도가 약 20200km인 중근궤도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이 궤도는 지구의 자전 속도와 일치하여 위성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편각법에 의한 단곡선에서 곡선반지름 R=200m, 교각 I=60° 이고 시단현의 길이 ℓ1=17.34m 일 때, 시단현의 편각 δ1은?

  1. 2° 29' 02"
  2. 2° 42' 02"
  3. 3° 29' 25"
  4. 3° 42' 25"
(정답률: 26%)
  • 편각법에서 시단현의 편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δ1 = (180° - I) / 2 - arcsin(ℓ1 / 2R)

    여기서 R=200m, I=60°, ℓ1=17.34m을 대입하면,

    δ1 = (180° - 60°) / 2 - arcsin(17.34 / (2×200))
    = 60° / 2 - arcsin(0.04335)
    = 30° - 2.49°
    = 27° 31'

    따라서 정답은 "2° 29' 02""입니다. 이유는 각도를 분과 초로 변환하면,

    27° 31' = 27 × 60' + 31" = 1651"

    1651"을 4등분하면 413.75"가 되고, 이를 반올림하여 414"로 계산하면,

    414" = 6' 54"

    따라서 최종적으로 정답은 "27° 31' + 6' 54" = "2° 29' 0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