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28)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2010-03-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냉각수가 엔진오일과 희석된 상태에서 운행되었을 경우 가장 가까운 오일의 색깔은?

  1. 검은색
  2. 붉은색
  3. 갈색
  4. 우유색
(정답률: 82%)
  • 냉각수와 엔진오일이 섞이면 엔진오일이 희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오일의 색깔은 "우유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압력의 단위 표현으로 틀린 것은?

  1. kgf/cm2
  2. psi
  3. bar
  4. GHz
(정답률: 86%)
  • 압력의 단위로 사용되는 "GHz"는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GHz는 기가헤르츠(Gigahertz)의 약어로, 주로 전자기파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압력의 단위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올바른 압력의 단위는 "kgf/cm^2", "psi", "bar"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중력에 대한 다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a, b
  2. a, c
  3. a, b, c
  4. b, c
(정답률: 60%)
  • a. 물체의 질량이 증가할수록 중력의 크기도 증가한다.
    - 맞습니다. 질량이 증가하면 중력의 크기도 증가합니다.

    b. 물체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중력의 크기는 작아진다.
    - 맞습니다. 중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중력의 크기는 작아집니다.

    c. 중력은 항상 물체의 질량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 틀립니다. 중력은 항상 물체의 질량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d. 중력은 물체의 운동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틀립니다. 중력은 물체의 운동 상태에 영향을 주며, 운동 방향이나 속도를 변화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타이어 규격 205/65R15 92H 중“15”가 의미하는 것은?

  1. 타이어 폭(mm)
  2. 편평비(타이어 높이/폭x 100)
  3. 림의 직경(인치)
  4. 최대 하중 지수
(정답률: 84%)
  • 타이어 규격에서 "15"은 림의 직경을 나타냅니다. 이는 타이어가 장착될 림의 크기를 나타내며, 인치 단위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205/65R15 92H에서 "15"은 타이어가 장착될 림의 직경이 15인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정한 압력하에서 1kg의 액체를 같은 온도의 증기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융해잠열
  2. 현열
  3. 감열
  4. 증발잠열
(정답률: 82%)
  • 일정한 압력하에서 액체가 증발하여 증기가 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열량을 증발잠열이라고 합니다. 이는 액체와 증기 간의 상태 변화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kg의 액체를 증기로 만드는 과정에서 필요한 열량을 증발잠열이라고 정답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기회로에서 옴의 법칙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저항이 일정할 때 전압이 증가되면 전류도 증가된다.
  2. 전류가 일정할 때 저항이 증가되면 전압도 증가된다.
  3. 전압과 저항이 증가되면 전류도 증가된다.
  4. 전류와 저항이 증가되면 전압도 증가된다.
(정답률: 71%)
  • 정답은 "전압과 저항이 증가되면 전류도 증가된다."가 아닌 "전류와 저항이 증가되면 전압도 증가된다."입니다.

    전압과 저항이 증가하면 전류는 감소합니다. 이는 옴의 법칙에서 I = V/R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과 저항이 증가하면 전류는 감소합니다.

    하지만 전류와 저항이 증가하면 전압은 증가합니다. 이는 전압과 저항의 관계식인 V = IR에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류와 저항이 증가하면 전압도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강과 비교한 주철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마찰저항이 낮고 절삭가공이 용이하다.
  2. 인장강도 및 인성이 작다.
  3. 담금질이나 뜨임이 잘 되지 않는다.
  4. 고온에서도 소성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37%)
  • 주철은 탄소 함량이 높아서 강보다 더 단단하고 부드럽지 않으며, 이로 인해 인장강도 및 인성이 작아지고 담금질이나 뜨임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탄소 함량이 높아서 마찰저항이 낮고 절삭가공이 용이하며, 고온에서도 소성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장강도 및 인성이 작다."가 주철의 특성과 관련된 내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용연료에 따른 자동차 기관의 분류가 아닌 것은?

  1. 디젤 기관
  2. 가솔린 기관
  3. LPG 기관
  4. 터보차저 기관
(정답률: 91%)
  • 터보차저는 사용연료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기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가장치이기 때문에 사용연료에 따른 분류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단체구조(unit construction) 또는 모노코크 보디 (monocoque body)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차체의 경량화에 유리하다.
  2. 외력을 차체 전체에 분산시키는 구조이다.
  3. 트럭 등 주로 중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4. 박판 구조이므로 점용접이 가능하다.
(정답률: 61%)
  • 트럭 등 주로 중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이유는,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보다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단체구조나 모노코크 보디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어 외력을 차체 전체에 분산시키고,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형 차량의 경우에는 보다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박판 구조로 제작되어, 점용접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차체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기관실(engine room)
  2. 트렁크실(trunk room)
  3. 타이어(tire)
  4. 펜더(fender)
(정답률: 80%)
  • 타이어는 차체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차체 자체를 구성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타이어는 바퀴와 함께 차량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상도 작업 중 발생되는 도막 결함이 아닌 것은?

  1. 오렌지 필
  2. 흐름
  3. 색 번짐
  4. 백아화
(정답률: 63%)
  • 백아화는 상도 작업 중 발생되는 도막 결함이 아닌 것입니다. 백아화는 사진이나 인쇄물에서 색상이 너무 밝거나 흰색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색상 조절이나 인쇄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도막 결함과는 다른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채도가 없는 안료는?

  1. 적색안료
  2. 청색안료
  3. 황색안료
  4. 백색안료
(정답률: 86%)
  • 백색안료는 모든 색상을 혼합한 결과물로 채도가 없는 안료입니다. 따라서 다른 색상 안료들과는 달리 채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블렌딩 작업을 하기 전 손상부위에 프라이머 서페이서를 도장할 때 적합한 마스킹 방법은?

  1. 일반 마스킹
  2. 터널 마스킹
  3. 리버스 마스킹
  4. 이중 마스킹
(정답률: 58%)
  • 손상부위에 프라이머 서페이서를 도장하기 전에는 손상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마스킹을 해야 합니다. 이때, 리버스 마스킹 방법이 적합한 이유는 마스킹 테이프를 손상부위 주변에 붙인 후, 손상부위를 덮는 것이 아니라 손상부위를 노출시키고 주변을 덮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프라이머 서페이서가 손상부위에만 도장되고, 주변에는 도장되지 않아 작업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작업성이 뛰어나고 휘발건조에 의해 도막을 형성 하는 수지타입의 도료는?

  1. 우레탄 도료
  2. 1액형 도료
  3. 가교형 도료
  4. 2액형 도료
(정답률: 44%)
  • 1액형 도료는 휘발성 용제가 적은 수지와 경화제가 혼합된 형태로, 도료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작업성이 뛰어나며, 휘발건조에 의해 도막을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1액형 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동차 보수용 에어 원형 샌더의 일반적인 회전수에 해당하는 것은?

  1. 4000 ~ 8000rpm
  2. 9000 ~ 12000rpm
  3. 13000 ~ 15000rpm
  4. 16000 ~ 20000rpm
(정답률: 61%)
  • 자동차 보수용 에어 원형 샌더는 보통 고속 회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회전수는 4000 ~ 8000rpm 정도입니다. 이는 적당한 속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구와 작업물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연마와 연마 효율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정답은 "4000 ~ 8000rp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레탄계 도료에서 사용되는 경화제를 취급할 때 유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독성이 없어 장갑이나, 보호마스크 착용이 필요 없다.
  2.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므로 경화제 뚜껑을 확실히 닫는다.
  3. 경화제가 젤 모양이나 하얗게 탁해진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4. 경화제의 배합은 분무하기 바로 전에 한다.
(정답률: 89%)
  •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독성이 있으며,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으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독성이 없어 장갑이나, 보호마스크 착용이 필요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료의 물성을 시험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입도
  2. 점도
  3. 비중
  4. 경도
(정답률: 53%)
  • 입도, 점도, 비중은 모두 도료의 물성을 시험하는 항목이지만, 경도는 도료의 물성을 시험하는 항목이 아니다. 경도는 일반적으로 고체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물성이며, 도료의 경우에는 경도보다는 인장강도나 내마모성 등의 물성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경도는 도료의 물성을 시험하는 항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펄 조색용 시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종이 시편
  2. 철 시편
  3. 필름 시편
  4. 나무 시편
(정답률: 50%)
  • 펄 조색은 샘플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 방법 중 하나로, 샘플을 불꽃 속에 던져서 발생하는 색을 분석하여 구성 요소를 파악합니다. 이 때, 철 시편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샘플의 펄 조색에 가장 적합합니다. 철은 불꽃 속에서 녹색 혹은 노란색을 띄는데, 이는 펄 조색에서 자주 사용되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철 시편은 펄 조색에 적합한 시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라이머 서페이서 건조가 불충분 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샌딩을 하면 연마지에 묻어나서 상처가 생긴다
  2. 상도의 광택부족
  3. 우수한 부착성
  4. 퍼티자국이나 연마자국
(정답률: 84%)
  • 프라이머 서페이서 건조가 불충분 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은 "상도의 광택부족", "퍼티자국이나 연마자국" 입니다. 이는 프라이머 서페이서가 제대로 건조되지 않아 부착력이 약해지고, 연마나 퍼티 작업 시에 묻어나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반면, "우수한 부착성"은 오히려 프라이머 서페이서가 제대로 건조되어 부착력이 강해져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부착물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튼튼한 마감재를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생산라인에서 정전도장을 할 때 피도물에 완전 접지를 시키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도료의 분무가 잘 되게 하기 위하여
  2. 도료의 비산을 적게 하기 위하여
  3. 감전 방지를 위하여
  4. 도료의 부착을 잘 되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51%)
  • 정전도장을 할 때 피도물에 완전 접지를 시키는 이유는 감전 방지를 위해서입니다. 완전 접지를 하면 전기적인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HVLP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많은 양의 공기를 저압으로 분무함으로서 도료의 높은 흡착율을 갖는 스프레이 건이다.
  2. 오버 스프레이에 의한 더스트가 많고 평균 흡착율이 35~40%정도이다.
  3. VOC 발생을 억제하고 환경 친화적인 건이다.
  4. 도료를 30%까지 절감할 수 있다.
(정답률: 54%)
  • "오버 스프레이에 의한 더스트가 많고 평균 흡착율이 35~40%정도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HVLP건은 고압 스프레이 건에 비해 오버 스프레이가 적고, 평균 흡착율이 높아서 도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코팅(왁스)작업시 유의해야 될 사항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보수도장 후 즉시 실리콘 성분이 포함된 코팅제를 사용한다.
  2. 광택 전용 타올을 사용한다.
  3. 일반적인 경우 페인트의 완전 건조는 90일 정도 걸린다.
  4. 표면을 골고루 닦아 주면서 광택제가 없어 질 때까지 문지른다.
(정답률: 46%)
  • "보수도장 후 즉시 실리콘 성분이 포함된 코팅제를 사용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리콘 성분이 포함된 코팅제는 이전에 사용한 페인트와 반응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보수도장 후에는 실리콘 성분이 없는 코팅제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보수도장 후에는 실리콘 성분이 없는 코팅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유는 실리콘 성분이 포함된 코팅제는 이전에 사용한 페인트와 반응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료의 성분 시험에서 가열잔분 이란 무슨 의미인가?

  1. 도료 중의 불휘발성분의 비율
  2. 도료 중의 안료의 혼합 비율
  3. 도료 중의 휘발성성분의 비율
  4. 도료 중의 첨가제의 혼합 비율
(정답률: 52%)
  • 가열잔분은 도료를 가열하여 남은 불휘발성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도료 중의 불휘발성분의 비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동차도장 색상 이색의 원인 중 도료업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1. 부적절한 공기압
  2. 도료제조용 안료의 변경
  3. 강제 건조 온도가 부적절한 경우
  4. 스프레이 설비의 변경
(정답률: 78%)
  • 도료제조용 안료의 변경은 자동차도장 색상 이색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도료 제조사가 사용하는 안료의 성분이 변경되어 색상이 변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제조사의 생산 공정이나 원료 공급 업체의 변경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플라스틱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비중이 0.9~1.3 정도로 가볍다.
  2. 내식성, 방습성이 우수하다.
  3. 방진, 방음, 절연, 단열성이 있다.
  4. 복잡한 형상의 성형이 불리하다.
(정답률: 70%)
  • 복잡한 형상의 성형이 불리한 이유는, 플라스틱은 가열 후 주형에 주입되어 형성되는데, 형상이 복잡할수록 주입이 어렵고, 성형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제품의 품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색상을 배색하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색의 심리적인 작용을 고려한다.
  2. 광원에 대해서 배려한다.
  3. 미적인 부분과 안정감을 주어야 한다.
  4. 주관성이 뚜렷한 배색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52%)
  • 주관성이 뚜렷한 배색은 개인의 취향이나 감성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디자인을 평가하는 입장에서도 주관성이 뚜렷한 배색은 좋지 않다고 평가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용제 퍼핑의 상태를 설명한 것은?

  1. 상도나 프라서페에 함유된 용제에 의해 거품이 생긴 형태
  2. 상도 도장시 혹은 건조시에 표면이 일그러지거나 오그라드는 상태
  3. 도막표면에 용제가 흘러 심하게 주름이 생긴 형태
  4. 구도막이나 하도를 연마한 자국이 표면에 확대되어 나타난 상태
(정답률: 66%)
  • 용제 퍼핑은 상도나 프라서페에 함유된 용제에 의해 거품이 생긴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용제가 도막 내부로 침투하여 기체나 액체 상태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도장시 혹은 건조시에 표면이 일그러지거나 오그라드는 상태, 도막표면에 용제가 흘러 심하게 주름이 생긴 형태 등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이 특정한 광원 아래에서 같은 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색순응
  2. 연색성
  3. 조건 등색
  4. 명암순응
(정답률: 68%)
  • 조건 등색은 특정한 광원 아래에서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이 같은 색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광원의 스펙트럼 분포와 물체의 흡수 스펙트럼이 일치할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광원의 스펙트럼 분포가 일정한 경우에만 조건 등색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동차 보수도장에서 동력공구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퍼티 연마에 적합한 연마지는?

  1. p24~p60
  2. p80~p320
  3. p400~p500
  4. p600~p1200
(정답률: 71%)
  • 동력공구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퍼티 연마는 고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마지의 고르기와 내구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p80~p320 범위의 연마지가 적합합니다. p24~p60은 고르기가 너무 거칠고, p400~p500, p600~p1200은 고르기가 너무 미세하여 내구성이 부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메탈릭 도료의 조색에 관련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조색과정을 통해 재 수리 작업을 사전에 방지하는 목적이 있다.
  2. 여러 가지 원색을 혼합하여 필요로 하는 색상을 만드는 작업이다.
  3. 원래 색상과 일치하도록 하기위한 작업으로 상품가치를 향상시킨다.
  4. 원색에 대한 특징을 알아 둘 필요는 없다.
(정답률: 90%)
  • 원색에 대한 특징을 알아 둘 필요는 없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원색에 대한 특징을 알아야 적절한 혼합 비율을 결정하고, 원하는 색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색에 대한 특징을 알아 둘 필요는 없다."가 아니라 다른 보기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료 및 용제의 보관창고에 가장 우선되어야 할 사항은?

  1. 난방
  2. 냉방
  3. 청소
  4. 환기
(정답률: 88%)
  • 도료 및 용제는 휘발성이 강하므로 보관 시에는 환기가 가장 우선되어야 합니다. 환기를 통해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을 배출하여 안전한 보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관창고 내부의 공기를 자주 교체하고, 환기 시스템을 구비하여 안전한 보관 환경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료 저장 중 (도장 전) 발생하는 결함의 방지 대책 및 조치사항을 설명하였다. 어떤 결함인가?

  1. 침전
  2. 점도상승
  3. 도료분리현상
  4. 피막
(정답률: 45%)
  • 도료 저장 중 (도장 전) 발생하는 결함은 "도료분리현상"입니다. 이는 도료 중에 성분이 분리되어 상이한 두 가지 상태로 나뉘는 현상으로, 이는 침전과 점도상승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도료의 품질이 저하되어 도장 작업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료를 저장할 때 주기적으로 저어주고, 저장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도료를 사용하기 전에는 충분히 저어주어 성분이 균일하게 섞이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막형성 조요소란 무엇인가?

  1. 수지를 용해하고 유동성을 부여한다.
  2. 부착성, 광택, 경도, 내구성 등의 모든 물성을 부여한다.
  3. 도료의 특정한 성능을 향상시킨다.
  4. 색채나 은폐력을 부여한다.
(정답률: 28%)
  • 도막형성 조요소는 도료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부착성, 광택, 경도, 내구성 등의 물성을 부여하는 물질입니다. 또한, 수지를 용해하고 유동성을 부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플라스틱 부품의 도장에 필요한 도료의 요구조건 중 틀린 것은?

  1. 고온 경화형 도료 사용
  2. 밀착형 프라이머 사용
  3. 유연성 도막의 도료 사용
  4. 전처리 함유 용제 사용
(정답률: 62%)
  • 고온 경화형 도료 사용은 틀린 요구조건입니다. 플라스틱 부품은 고온에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경화형 도료를 사용하면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스틱 부품의 도장에는 저온 경화형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솔리드 색상을 조색하는 방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 원색은 짙은 색부터 혼합한다.
  2. 견본색보다 채도는 맑게 맞추도록 한다.
  3. 색상이 탁해지는 색은 나중에 넣는다.
  4. 동일한 색상을 오래 동안 주시하면 잔상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피한다.
(정답률: 63%)
  • "동일한 색상을 오래 동안 주시하면 잔상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피한다."는 솔리드 색상을 조색하는 방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입니다.

    "주 원색은 짙은 색부터 혼합한다."는 색상을 혼합할 때 가장 짙은 색을 먼저 넣어서 색상의 밝기를 조절하고, 그 다음에 채도와 명도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색상이 더욱 깊고 선명해지며, 색상의 변화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메탈릭 색상 도장에서 색상을 밝게 하기 위하여 스프레이건만으로 할 수 있는 기법은?

  1. 많은 양의 도료를 중복도장 한다.
  2. 스프레이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고 공기압력을 높인다.
  3. 스프레이건의 선단과 물체와의 거리를 가깝게 한다.
  4. 스프레이 패턴 폭을 좁게 한다.
(정답률: 71%)
  • 스프레이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고 공기압력을 높이면, 도료가 물체에 더 밀착되어 밝은 색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도료가 물체에 더 균일하게 분포되어 밝은 색상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스프레이 부스의 설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자 위생을 위한 환기
  2. 먼지 차단
  3. 대기 오염 방지
  4. 색상 식별
(정답률: 78%)
  • 스프레이 부스의 설치 목적은 작업자 위생을 위한 환기, 먼지 차단, 대기 오염 방지, 그리고 주로 색상 식별입니다. 그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색상 식별입니다. 스프레이 부스는 색상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와 주변 환경을 보호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색상 식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박리제(리무버)에 의한 구 도막 제거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박리제가 묻지 않아야 할 부위는 마스킹 작업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2. 박리제를 스프레이건에 담아 조심스럽게 도포한다.
  3. 박리제를 도포하기 전에 p80 연마지로 구 도막을 샌딩하여 박리제가 도막 내부로 잘 스며들 도록 돕는다.
  4. 박리제 도포 후 약 10~15분 정도 공기 중에 방치하여 구 도막이 부풀어 오를 때 스크레이퍼로 제거한다.
(정답률: 47%)
  • "박리제를 스프레이건에 담아 조심스럽게 도포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박리제를 스프레이건에 담아 도포하는 것이 구 도막 제거 작업의 기본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작업시작 전의 안전점검에 관한 사항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인적인 면- 건강상태, 기능상태
  2. 물적인 면- 기계기구 설비, 공구
  3. 관리적인 면- 작업내용, 작업순서
  4. 환경적인 면- 작업방법, 안전수칙
(정답률: 63%)
  • 환경적인 면은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과 안전수칙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면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인적인 면은 작업자의 건강상태와 기능상태를, 물적인 면은 기계기구 설비와 공구를, 관리적인 면은 작업내용과 작업순서를 점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드릴머신 작업의 안전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회전하고 있는 주축이나 드릴에 손이나 걸레를 대거나 머리를 가까이 하지 않는다.
  2. 드릴의 탈부착은 회전이 완전히 멈춘 다음 행한다.
  3. 가공 중에 드릴에서 이상음이 들리면 회전 상태로 그 원인을 찾아서 수리를 한다.
  4. 작은 물건은 바이스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정답률: 83%)
  • "가공 중에 드릴에서 이상음이 들리면 회전 상태로 그 원인을 찾아서 수리를 한다."가 안전사항으로 맞지 않는 이유는, 드릴이 회전 중일 때 수리를 시도하면 부상의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드릴 작업 중에 이상음이 들리면 드릴을 멈추고, 회전이 완전히 멈춘 후에 원인을 찾아서 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전동공구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감전의 경우 사전 감지가 어렵다.
  2. 전기 감전시 사망할 수 있다.
  3. 감전으로 인한 2차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4. 공장의 전기는 저압교류를 사용함으로 안전하다.
(정답률: 85%)
  • "공장의 전기는 저압교류를 사용함으로 안전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전기감전은 전기가 흐르는 길에 사람이 들어가면 발생하므로 사전 감지가 어렵습니다. 전기 감전시 사망할 수 있으며, 감전으로 인한 2차 재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동공구 사용시에는 안전한 사용법을 숙지하고, 전기 안전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에서 안전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금지 표지
  2. 허가 표지
  3. 경고 표지
  4. 지시 표지
(정답률: 77%)
  • 안전.보건표지의 종류는 금지 표지, 경고 표지, 지시 표지로 구분됩니다. 허가 표지는 안전.보건표지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특정한 행동이나 활동을 허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지로, 안전.보건표지와는 다른 범주에 속합니다. 예를 들어, 주차 허가 표지나 통행 허가 표지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토크렌치를 사용할 때 안전하지 못한 것은?

  1. 볼트나 너트를 조일 때 조임력을 특정한다.
  2. 핸들을 잡고 몸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3. 조임력은 규정 값에 정확히 맞도록 한다.
  4. 손잡이에 파이프를 끼우고 돌리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5%)
  • 핸들을 잡고 몸 바깥쪽으로 밀어낸다는 것은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러운 반동으로 인해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반동은 작업자의 손목이나 팔을 부상시킬 수 있으며, 때로는 심각한 상해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중에는 핸들을 잡고 몸 안쪽으로 당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클리어(투명)가 인체에 유해하여도 사용되는 이유 중 틀린 것은?

  1. 도막이 아름답기 때문에
  2. 도장용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3. 도막이 오래가기 때문에
  4. 습관상 오래 사용했기 때문에
(정답률: 73%)
  • 클리어(투명)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습관상 오래 사용해왔기 때문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다른 대안을 찾기 어렵거나, 습관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안을 찾아보고 습관을 변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기 열풍기 사용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원 콘센트를 점검 확인한다.
  2.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한다.
  3. 흡입구를 막지 않는다.
  4. 전원 코드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정답률: 90%)
  •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하는 것은 안전사항이 아니라 올바른 사용 방법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하면 전기 열풍기 내부에 수분이 쌓여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 열풍기는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폐기물 관리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1. 재활용
  2. 재회수
  3. 감량화
  4. 소각
(정답률: 55%)
  •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감량화"입니다. 이는 폐기물을 최대한 줄이는 것으로, 자원의 유지와 보전을 위해 필요합니다. 감량화를 통해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면 자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 처리 비용도 감소하여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기물 관리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감량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수도장 중 구도막 제거시 안전상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1. 보안경과 방진 마스크를 꼭 사용한다.
  2. 안전은 위해서 습식 연마를 시행한다.
  3. 분진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용제성 장갑을 착용한다.
  4. 보안경 착용은 필수적이지 않다.
(정답률: 55%)
  • 구도막 제거 작업 시에는 보안경과 방진 마스크를 꼭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분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보안경은 눈을 보호하고, 방진 마스크는 호흡기를 보호하여 안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습식 연마를 시행하거나 내용제성 장갑을 착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분진으로 인한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안경과 방진 마스크가 필수적입니다. 보안경 착용은 필수적이지 않다는 선택지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기용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맞는 것은?

  1. 피부로는 흡수되지 않는다.
  2. 급성중독은 없고 만성중독이 위험하다.
  3. 중추신경 등 중요기관을 침범하기 쉽다.
  4. 유지류를 녹이고 스며드는 성질은 없다.
(정답률: 66%)
  • 유기용제는 지방에 녹아들어 중추신경 등 중요기관을 침범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만성적인 노출은 중추신경계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색채 계획 과정의 순서가 가장 옳은 것은?

  1. 색채 환경 분석 -> 색채 전달 계획 -> 색채 심리 분석 -> 디자인의 적용
  2. 색채 전달 계획 -> 색채 심리 분석 -> 디자인의 적용 -> 색채 환경 분석
  3. 색채 환경 분석 -> 색채 심리 분석 -> 색채 전달 계획 -> 디자인의 적용
  4. 색채 전달 계획 -> 색채 환경 분석 -> 색채 심리 분석 -> 디자인의 적용
(정답률: 67%)
  • 색채 환경 분석을 먼저 진행하여 디자인에 적합한 색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색채 전달 계획을 수립하고 색채 심리 분석을 진행하여 디자인에 적합한 감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후, 마지막으로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옳은 순서이다. 따라서 정답은 "색채 환경 분석 -> 색채 심리 분석 -> 색채 전달 계획 -> 디자인의 적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한 색상 중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순색
  2. 탁색
  3. 명청색
  4. 암탁색
(정답률: 68%)
  • 순색은 한 가지 색상의 순수한 색으로, 다른 색상과 혼합되지 않은 가장 진한 색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상은 순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동일 색상의 배색에서 받는 느낌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화려하고 자극적인 느낌
  2. 활동적이고 발랄한 느낌
  3. 부드럽고 통일성 있는 느낌
  4. 강한 대칭의 느낌
(정답률: 85%)
  • 동일 색상의 배색은 색상의 조화와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부드럽고 통일성 있는 느낌"은 색상들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일관성 있는 톤으로 구성되어 통일성 있는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육안으로 색을 알아볼 수 있는 가시광선의 범위로 가장 옳은 것은?

  1. 80~280nm
  2. 280~380nm
  3. 380~780nm
  4. 780~1080nm
(정답률: 73%)
  • 인간의 눈은 가시광선이라고 불리는 380~780nm의 파장 범위에서 색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를 넘어가면 자외선이나 적외선 등의 파장으로 인식되어 색을 구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80~780n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기억색에 대한 연결이 가장 틀린 것은?

  1. 검정- 어두움, 죽음, 절망
  2. 흰색- 희망, 팽창, 광명
  3. 파랑- 서늘함, 하늘, 우울
  4. 빨강- 정열, 위험, 분노
(정답률: 66%)
  • 흰색은 빛의 산란에 의해 모든 색상이 혼합된 결과물이기 때문에 광명하고 팽창적인 이미지를 상징하며, 이에 따라 희망적인 이미지와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의 A부분이 가장 진출(전진)해 보이려면 다음 색채 중 어느 색이 가장 좋은가? (바깥쪽부터 남색->청록->연두->A)(그림 오류로 현재 복원중입니다. 그림을 아시는 분들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보기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1. 회색
  2. 노랑
  3. 검정
  4. 파랑
(정답률: 56%)
  • 회색은 다른 색상들과 비교하여 중립적인 색상이기 때문에 A 부분이 가장 돋보이게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다른 색상들은 A 부분과 경쟁하게 되어 시선이 분산되어 진출 효과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먼셀표색계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1. 노랑
  2. 청록
  3. 연두
  4. 파랑
(정답률: 62%)
  • 먼셀표색계에서 채도란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채도가 높을수록 색이 선명하고 진해집니다. 따라서 보기 중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노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헤링의 4원색은 어느 것인가?

  1. 빨강, 초록, 노랑, 파랑
  2. 파랑, 자주, 노랑, 흰색
  3. 빨강, 파랑, 흰색, 검정
  4. 흰색, 검정, 회색, 자주
(정답률: 77%)
  • 헤링의 4원색은 빨강, 초록, 노랑, 파랑입니다. 이는 인간의 눈에 가장 자연스럽게 보이는 색상이며, 이 4가지 색을 혼합하여 모든 색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CMYK 색공간이라고도 부르며, 인쇄물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일반적으로 가장 무거운 느낌의 색은?

  1. 녹색
  2. 주황
  3. 빨강
  4. 파랑
(정답률: 73%)
  • 파랑은 대부분의 경우 더 어두운 색조와 연관되어 있으며, 물과 같은 자연적인 요소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파란색은 일반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줍니다. 또한, 파란색은 우리가 보는 빛의 파장 중 가장 긴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더욱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떤 색이 주변색의 영향을 받아서 실제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은?

  1. 색의 명시도
  2. 색의 주목성
  3. 인근색
  4. 색의 대비
(정답률: 50%)
  • 주변색의 영향을 받아서 실제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은 "색의 대비"입니다. 색의 대비는 주변의 색과의 대조로 인해 색의 밝기와 명도가 변화하여 실제 색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색의 명시도나 주목성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인근색은 주변에 있는 비슷한 색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은 색의 혼합에서 어떤 혼합에 가장 가까운가?

  1. 감산혼합
  2. 가산혼합
  3. 병치혼합
  4. 회전혼합
(정답률: 70%)
  • 이 그림은 빨간색과 파란색이 병치되어 있어서, 빨간색과 파란색이 섞여서 보라색이 만들어진 "병치혼합"에 가장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먼셀 표색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먼셀 표색계는 우리나라 교육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2. 먼셀 표색계에서는 색상을 휴(hue), 명도를 밸류(value) 채도를 크로마(chroma)라고 한다.
  3. 먼셀의 색상분할은 헤링의 4원색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4. 표기 순서는 HV/C로 한다.
(정답률: 69%)
  • "먼셀의 색상분할은 헤링의 4원색상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먼셀 표색계에서는 색상을 12가지로 분류하며, 이는 빨강, 노랑, 녹색, 청록, 파랑, 보라 등의 색상을 기본으로 합니다. 따라서 헤링의 4원색상이 아닌 12가지 색상을 기본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